KR20100138323A - 전동식 다용도 가위 - Google Patents

전동식 다용도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323A
KR20100138323A KR1020090056799A KR20090056799A KR20100138323A KR 20100138323 A KR20100138323 A KR 20100138323A KR 1020090056799 A KR1020090056799 A KR 1020090056799A KR 20090056799 A KR20090056799 A KR 20090056799A KR 20100138323 A KR20100138323 A KR 20100138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ade
scissors
solenoid
movable
bla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숙
김효철
채혜선
박유석
김경란
진기환
정순연
김관우
구혜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9005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8323A/ko
Publication of KR20100138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32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 A01G3/037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the driving means being an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 수박, 참외 등의 순치기 및 적과 등의 작업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가위에 관한 것으로, 자기력을 동력으로 동작하는 가동날을 이용하므로, 가동날의 구동을 위한 모터의 생략이 가능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가동날에 전달하기 위한 관련 부품을 생략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가동날이 본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므로, 무작위 순치기, 선별식 순치기 및 커팅과 동시에 피절단물 붙잡기 등 작업 용도에 따라 가동날을 적절하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순치기, 순치기 가위, 적과, 자기장, 솔레노이드, 스위치

Description

전동식 다용도 가위{Electro-motion versatile scissors}
본 발명은 전동식 다용도 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무의 순치기 작업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 조경, 산림 및 화훼용 각종 작물이나 나무의 가지치기를 위하여 순치기 가위, 순치기 톱 혹은 칼 등의 순치기 수단을 이용한다.
통상적인 순치기 작업시 적당한 간격으로 순치기를 수행하는데, 일찍 작업하는 경우 꽃이 피기 전 적화를 수행할 수 있지만, 보통 과일이 달리기 시작하는 시점에 적과를 수행한다.
종래의 순치기 가위는 단순히 작업자의 인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고,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전동식 순치기 가위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동식 순치기 가위의 가위날은 본체에 고정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 상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을 반복하여 움직일 수 있는 가동날로 구성되어, 순치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에는 취급이 간편하고 일정시간 동안 연속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의 전동식 가위들이 출시되었으며, 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등 점차 전동식 가위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가위들은 가위날이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무작위 순치기, 선별식 순치기 및 커팅과 동시에 줄기 붙잡기 등 순치기 작업의 용도에 따라 다른 종류의 순치기 가위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가위날의 동작을 위한 모터 및 스위칭 수단과 관련한 부품이 복잡하게 구성됨에 따라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결국 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시 스위칭 수단이 의도된 바 없이 작동할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솔레노이드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가동날을 동작하여 순치기 작업을 수행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가동날을 본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고 작업 용도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 가능한 전동식 다용도 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본체에 연결막대를 결합하여 높은 곳에 위치한 나무의 줄기를 정리할 수 있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위하여 본체에 설치되는 통전 스위치와 별도의 안전 스위치를 갖춘 스위칭 수단을 이용하여 취급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순치기물을 자르는 두 개의 가동날; 상기 가동날의 회전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통전을 개폐하는 통전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솔레노이드에 구비된 로드에 연결핀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연결핀을 구비하는 헤드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 가이드핀이 제1가동날의 슬롯과 제2가동날의 슬롯이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다용도 가위는 솔레노이드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가동날을 이용하므로, 가동날의 구동을 위한 모터의 생략이 가능하고, 따라서 모터의 회전력을 가동날에 전달하기 위한 관련 부품을 생략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 가동날은 본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므로, 무작위 순치기, 선별식 커팅과 동시에 줄기 붙잡기 등의 순치기 및 적과 작업의 용도에 따라 가동날을 적절하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고,
또한 본체에 연결막대를 결합하여 높은 곳에 위치한 줄기도 손쉽게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다용도 가위는 통전 스위치와 별도의 안전 스위치를 갖춘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므로써, 취급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위한 관련 부품수가 감소되어,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피 감소로 인해 경량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다용도 가위는 솔레노이드의 자기장에 의해 생성되는 동력(자력)으로 가동날(110)을 동작하여 순치기 작업을 수행하고, 탈착 가능한 가 동날(110)을 용도에 맞는 다양한 구조로 구비하여 적절하게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순치기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 스위치(200)와, 높은 곳에 피순치기물을 자를 수 있도록 다용도 가위의 본체(100)에 결합되는 연결막대(300)가 별도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다용도 가위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위 본체(100)의 일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순치기 작업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가동날(110)과, 상기 가동날(110)이 순치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120)와, 상기 솔레노이드(120)가 생성하는 자력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로드(130)와, 상기 로드(130)의 직선 운동을 상기 가동날(11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헤드(140) 및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통전을 개폐하는 통전 스위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날(110)은 두 개가 짝을 이루어 각각의 칼날이 마주보는 상태로 힌지핀(11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힌지핀(113)을 중심축으로 회전되어 제1가동날(11)과 제2가동날(112) 사이에 개재되는 피순치기물을 자르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20)는 전원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가 통전되면 자기장을 형성하고, 이러한 자기장에 의해 상기 가동날(110)이 모아질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자기장 방향은 가동날(110)쪽에서 솔레노이드(120)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로드(130)는 솔레노이드(120)의 자력에 의해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헤드(140)의 측면에 구비되는 연결핀(142)이 상기 로드(130)의 상단에 나선 결합된다.
상기 헤드(140)는 하우징(180) 내측에 고정된 플레이트(160)의 가이드홈(161)을 따라 직선 운동하며 상기 가동날(110)이 순치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로드(130)의 구동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160)는 하우징(180)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140)가 로드(130)의 직선 운동을 가동날(11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날(110)의 슬롯(110a)을 관통하는 가이드핀(141)이 상기 헤드(14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슬롯(110a)은 가동날(110)의 칼날 아래쪽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동날(110)은 제1가동날(111)과 제2가동날(112)의 슬롯(111a,112a)이 상호 교차되게 적층되고, 상기 가이드핀(141)이 각 슬롯(111a,112a)의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도록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140)가 로드(130)와 함께 직선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핀(141)은 가동날(110)의 슬롯(110a)을 관통한 상태로 플레이트(160)의 가이드홈(161)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동날(110)은 힌지핀(113)을 중심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160)는 하단이 'ㄴ'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드(130)는 리턴스프링(150)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를 받는 구조, 예를 들어 리턴스프링(150)의 일단이 상기 로드(13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리턴스프링(150)의 타단이 솔레노이드(120)의 상단에 고정되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어서, 솔레노이드(120)의 자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리턴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날(110)이 항시 벌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용도 가위의 본체(100)는 개폐 가능한 하우징(180) 내부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동날(110)은 피순치기물의 절단을 위해 상기 하우징(180)의 일단에서 돌출되게 조립되고, 전원공급부와 솔레노이드(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190)는 상기 하우징(180)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전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 솔레노이드(120)는 본체(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통전 스위치(170)의 온(on)/오프(off) 동작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면서 자기장을 생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전 스위치(180)는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접점(171) 및 가동접점(172)으로 구성되고, 작업자가 본체(100)를 감싸쥔 상태에서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전 스위치(170)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위한 안전 스위치(200)가 상기 본체(100)와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전 스위치(200)는 통전 스위 치(170)에 접함으로써 가동접점(172)을 고정접점(171)으로 이동시켜 통전 스위치(170)를 온(on) 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전 스위치(200)는 통전 스위치(170)의 가동접점(172)을 자력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자석(210) 등의 자성부재를 포함하고, 사용시 작업자의 손가락 등에 끼워서 이용할 수 있도록 고리 혹은 골무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가동접점(172)과 고정접점(171)의 접촉은 통전 스위치(170)의 온(on) 상태로서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솔레노이드(120)에 공급됨을 의미한다.
상기 안전 스위치(200)가 통전 스위치(170)에서 떨어지면 상기 가동접점(172)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고정접점(171)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동접점(172)과 고정접점(171) 사이에 스프링(173)과 같은 탄성부재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통전 스위치(170)와 안전 스위치(200)는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칭 수단이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일회용 배터리나 충전 가능한 배터리 또는 외부의 전원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소형 배터리와 같이 하우징(180) 내부에 장착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커넥터(190)의 생략이 가능하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다용도 가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외부 사시도 및 내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도 1과 같은 실시예는 피순치기물 예를 들어 과일나무를 무작위로 순치기하는 순치기 작업시 이용하기 바람직한 순치기 가위로서, 피순치기물을 선별적으로 순치기하는 순치기 작업시에는 별도의 구조를 가진 다용도 가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다용도 가위는 도 1의 실시예에서 가동날(110)과 플레이트(160)를 변형하여 구성한 것으로, 선택된 피순치기물을 제외한 나머지 피순치기물을 절단하는 순치기 작업시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하우징(18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160)는 그 상단부(칼날 부분)가 모아진 가동날(110)과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에는 칼날이 형성되며, 선택된 피순치기물을 보호할 수 있는 가드슬롯(16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드슬롯(163)은 플레이트(160)의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가동날(110)이 하나의 힌지핀(113)을 중심축으로 플레이트(16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반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가동날(110)은 두 개의 힌지핀(114,115)으로 조립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가동날(111)과 제2가동날(112)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힌지핀(114,115)으로 플레이트(160) 상에 각각 조립되므로써, 적과 작업시 헤드(140)의 직선 이동으로 모아진 가동날(110)은 상기 가드슬롯(163)의 폭 간격보다 넓게 벌어진 상태가 된다.
그럼, 가동날(110)과 플레이트(160)의 칼날에 의해 적과 작업이 수행되므로 가드슬롯(163)에 들어간 피적과물은 잘리지 않게 된다.
이때, 제1가동날(111) 또는 제2가동날(112)과 플레이트(160)의 칼날에 의해 피적과물이 절단될 수 있도록 모아진 가동날(110)은 상기 플레이트(160)의 폭 간격보다 좁게 모아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60)의 가드슬롯(163)에 절단하지 않고자 하는 피적과물을 끼운 다음 통전 스위치(170)를 온(on) 시키므로써 피적과물을 선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드슬롯(163)의 끝단을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하여 선택된 피적과물이 가드슬롯(163)으로 들어오기 용이하도록 한다.
첨부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외부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다용도 가위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다용도 가위는 도 1의 실시예에서 가동날(110)에 탄성마찰부재를 부착하여 구성한 것으로, 피절단물(혹은 피순치기물)을 커팅하는 것은 물론 절단된 피절단물을 잡아서 원하는 장소로 옮길 수 있는 작업이 요구될 시 이용 가능하도록 순치기 가위를 변형한 실시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동날(111)과 제2가동날(112)의 표면에 탄성고무(116,117)와 같은 탄성마찰부재를 부착하되, 아래쪽에 배치된 제1가동날(111)에는 칼등(칼날 반대편)측에 근접하게 탄성고무(116)를 부착하고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된 제2가동날(112)에는 칼날측에 근접하게 탄성고무(117)를 부착하여 순치기 작업시 모아진 가동날(111,112)에 의해 피순치기물이 절단되면서 양측 탄성고 무(116,117)의 탄성력과 마찰력에 의해 절단된 피순치기물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가동날(111)과 제2가동날(112)이 겹쳐지면서 각 가동날(111,112)에 부착된 탄성고무(116,117)끼리 접촉하게 되면 제1가동날(111)과 제2가동날(112)은 더 이상 모아지지 않는다. 상기 탄성고무(116,117)는 가동날(110)의 동일 방향 표면(앞면 또는 뒷면)에 부착된다.
즉, 상기와 같이 가동날(110)에 부착된 탄성마찰부재(116,117)가 집게 역할을 하므로,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피절단물을 잡지 않고도 잘라진 피절단물을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기에 가시가 많은 장미를 따는 경우, 가동날(110)의 표면에 탄성마찰부재(116,117)가 부착된 순치기 가위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직접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장미를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적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가위는 상기 탄성마찰부재(116,117)가 접하게 되면 상기 가동날(110)이 더 이상 모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동날(110)의 벌어짐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날(110)의 벌어짐 각도를 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연결핀(142)과 로드(130) 간에 나사 결합시 상기 연결핀(142)이 로드(130) 안쪽으로 삽입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헤드(140)와 로드(130) 간에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가능하다. 이렇게 가동날(110)의 벌어짐 각도를 조정하므로써 가동날(110)이 모아질 시 칼날이 겹쳐지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다용도 가위의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 막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다용도 가위는 본체(100) 하단에 연결막대(300)를 연결 장착하여 높은 곳에 위치한 피순치기물을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막대(300)의 일단부에 상기 본체(100) 하단의 커넥터(19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연결막대용 커넥터(310)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막대(300)의 타단부에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막대용 커넥터(310)의 통전을 단속할 수 있는 연결막대용 통전 스위치(320)를 장착한다. 상기 연결막대용 통전 스위치(320) 역시 본체(100)와 별도로 구성되는 안전 스위치(200)를 이용하여 온(on)/오프(off) 동작을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커넥터(190)와 연결막대용 커넥터(31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 스위치(200)를 손가락에 낀 상태에서 본체(100)의 통전 스위치(170)에 갖다 대면, 안전 스위치(200)에 내장된 자석(210)의 자력에 의해 통전 스위치(170)의 가동접점(172)이 고정접점(171)에 붙게 되고, 이와 동시에 솔레노이드(120)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로드(130)가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내측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럼, 상기 로드(130)와 함께 헤드(140)가 솔레노이드(120) 측으로 직선 이 동하고, 상기 헤드(140)에 연결된 가이드핀(141)이 가동날(110)의 슬롯(110a)을 관통한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벌어져 있던 가동날(110)이 힌지핀(113,114,115)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며 모아지게 되어 피순치기물을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안전 스위치(200)를 통전 스위치(170)에서 떼면 상기 로드(130)에 작용하던 자력이 약화되고 리턴스프링(150)의 복원력보다 작아지면서 상기 로드(13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로드(130)가 복귀하는 동시에 상기 헤드(140)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날(110)이 벌어지면서 1회의 순치기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 용도에 따라 헤드(140)와 연결핀(142)을 분리하여 적절한 가동날(110)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다용도 가위는 피순치기물을 무작위로 절단하는 순치기 작업시에 적절하고, 도 6과와 같은 다용도 가위는 선택된 피적과물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절단하는 작업시 적합하며, 도 9와 같은 다용도 가위는 피순치기물을 절단한 다음 피순치기물을 잡아서 원하는 위치로 옮기는 작업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과수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도 1이나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미와 같이 손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것이 어려운 피절단물은 도 9와 같은 다용도 가위를 이용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다용도 가위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다용도 가위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내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보여주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전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다용도 가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외부 사시도 및 내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외부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다용도 가위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다용도 가위의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막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가동날
120 : 솔레노이드
130 : 로드
140 : 헤드
141 : 가이드핀
142 : 연결핀
150 : 리턴스프링
160 : 플레이트
170 : 통전 스위치
180 : 하우징
190 : 커넥터
200 : 안전 스위치
210 : 자석
300 : 연결막대
310 : 연결막대용 커넥터
320 : 연결막대용 통전 스위치

Claims (9)

  1. 피순치기물을 자르는 두 개의 가동날;
    상기 가동날의 회전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통전을 개폐하는 통전 스위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구비된 로드에 연결핀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연결핀을 구비하는 헤드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 가이드핀이 제1가동날의 슬롯과 제2가동날의 슬롯이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전 스위치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은 본체와 별도로 구성되는 안전 스위치의 자성부재를 이용하여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이동된 헤드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피적과물을 자를 시 선택된 피적과물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드슬롯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이 상기 가드슬롯의 폭 간격보다 넓게 벌어진 상태로 모아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날의 표면에 탄성마찰부재가 더 부착되되, 아래쪽에 배치된 제1가동날에는 칼등에 근접하게 부착되고, 위쪽에 배치된 제2가동날에는 칼날에 근접하게 부착되어, 상기 가동날에 의해 절단된 피순치기물이 상기 탄성마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커넥터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막대용 커넥터와, 상기 연결막대용 커넥터의 통전을 개폐하는 연결막대용 통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연결막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다용도 가위.
KR1020090056799A 2009-06-25 2009-06-25 전동식 다용도 가위 Ceased KR20100138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799A KR20100138323A (ko) 2009-06-25 2009-06-25 전동식 다용도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799A KR20100138323A (ko) 2009-06-25 2009-06-25 전동식 다용도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323A true KR20100138323A (ko) 2010-12-31

Family

ID=4351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799A Ceased KR20100138323A (ko) 2009-06-25 2009-06-25 전동식 다용도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83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3188A (zh) * 2016-10-27 2017-02-15 黎柏麟 一种多功能小刀
KR20190032067A (ko) * 2017-09-18 2019-03-27 안은삼 굴삭기용 좌우회전식 동력 가위
KR20220083065A (ko) 2020-12-11 2022-06-20 심상용 순치기용 자동 절단장치
CN115336477A (zh) * 2022-09-22 2022-11-15 陕西中村园林工具有限公司 电动疏花疏果剪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3188A (zh) * 2016-10-27 2017-02-15 黎柏麟 一种多功能小刀
KR20190032067A (ko) * 2017-09-18 2019-03-27 안은삼 굴삭기용 좌우회전식 동력 가위
KR20220083065A (ko) 2020-12-11 2022-06-20 심상용 순치기용 자동 절단장치
CN115336477A (zh) * 2022-09-22 2022-11-15 陕西中村园林工具有限公司 电动疏花疏果剪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7419C (en) Pet nail trimmer including a nail clipper and a grinder
US7509743B2 (en) Electric hair clipper
JP5085540B2 (ja) 一体型湿式シェービング及びトリミング手段
KR101681629B1 (ko) 2개의 샤프트를 갖는 기계화된 휴대용 전기 공구
US9460869B2 (en) Electric hand tool with activation indication device
CN105339143B (zh) 动力两阶段带切割器
MX2011001787A (es) Herramienta electrica portatil operada por un gatillo.
US9289906B2 (en) Device for cutting hairs
EP2159529A1 (en) Switch-operating mechanism
GB2475953A (en) Blade equipped garden equipment comprising an excitation actuator
KR20100138323A (ko) 전동식 다용도 가위
US4592143A (en) Reciprocating trimming apparatus
AU2022324561B2 (en) Hair trimmer and deshedder for pets
EP2158803A1 (en) Vegetation cutting tool
US6230598B1 (en) Automatic cutting device
KR101174640B1 (ko) 자동전지가위
JP7284005B2 (ja) 往復動刈刃装置
JP5281999B2 (ja) 園芸用バリカンに用いられる延長ハンドル
JP3196477U (ja) 園芸用バリカン装置
KR102261043B1 (ko) 전동식 전지 가위
JP2004008069A (ja) ヘッジトリマーなどの動力工具における偏心カム構造
AU2012223119B2 (en) Integrated Wet Shaving and Trimming Implement
CN110692379B (zh) 绿篱修剪器
SU1644809A1 (ru) Секатор
KR20090096013A (ko) 휴대용 전동 전지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