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267A -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 및 단어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 및 단어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267A
KR20100137267A KR1020090055606A KR20090055606A KR20100137267A KR 20100137267 A KR20100137267 A KR 20100137267A KR 1020090055606 A KR1020090055606 A KR 1020090055606A KR 20090055606 A KR20090055606 A KR 20090055606A KR 20100137267 A KR20100137267 A KR 2010013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subject
image
displa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955B1 (ko
Inventor
정재훈
정종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정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정종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102009005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95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 및 단어 학습 방법으로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사용자에게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를 이용해서, 피사체로부터 인지된 제1 단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제1 단어에 대응되는 제2 단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제2 단어를 피사체와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촬영 명령의 입력에 의해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저장한다.

Description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 및 단어 학습 방법{Portable apparatus for learning words by imaging object associated with word and method for learning words}
본 발명은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 및 단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도 단어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 및 단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프로세서의 속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집적화 및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휴대기기를 지니고 다니며, 그 기능은 날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휴대기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일상생활에 활용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능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복잡화, 구체화하고 있다.
휴대기기 개발 초창기에는 전화기, 카메라, 전자사전, MP3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등 다양한 기기들이 별도로 존재하였지만, 이제는 하나의 휴대기기에 다양한 기능들을 복합화시켜 단일 기기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고 할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휴대전화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전화 통화 기능 이외에도 수백만 화 소에 이르는 정지 화상 촬영이 가능하고 동화상 촬영까지도 가능한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음은 물론, 다양한 언어 검색이 가능한 전자사전, MP3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까지 하나의 기기에 통합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기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를 만족시킬수 있는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정관리, 게임, 인터넷 검색 등을 위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이 휴대기기에 사용자 편의를 위해 탑재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중 많은 사용자들은 어학 학습을 위한 도구로써 휴대기기를 활용하고 있다. 어학 학습용 MP3 파일을 재생하면서 어학 공부를 한다든지 동화상 강의를 재생하면서 공부를 한다든지 하는 것이다. 휴대기기에 탑재된 전자사전을 이용해서 단어 검색을 하고 필요한 경우 책갈피 기능을 이용해 검색한 단어를 저장하고 재검색한다.
그런데, 현재 휴대기기를 이용해서 어학 학습을 하는 경우 타인이 제작한 음성 파일이나 동화상 파일을 재생하면서 학습하는 단방향 학습에 그치고 있다. 그리고 어학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는 단어 학습이 주가 되지만, 단어 학습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의 기능은 전자 사전이나 단순히 단어를 나열하는 학습 파일의 재생 밖에 없는 실정이다. 휴대기기의 기능이 복잡화, 다양화하고 있고 휴대기기의 성능 또한 향상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기능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단어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응용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휴대기기에서 제공되는 카메라와 전자사전 기능을 이용한 단어 학습 기술로는, 영어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텍스트를 촬영해서 문자 인식 기능을 이용해 전자 사전 검색에 이용하는 것이 있다. 이것은 영어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자사전에 직접 철자를 입력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주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철자를 입력하는 절차를 문자 인식으로 대체한 것에 불과하며, 원하는 단어를 갖는 텍스트가 존재해야만 어느 정도 실효성을 갖는다. 위 기술은 휴대기기를 이용해 단어 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킨다는 것보다는 휴대기기를 이용해 단어 검색을 수행하는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는 한편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도 단어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 및 단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방법은,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화상 촬영부 및 사용자에게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으로서, 피사체로부터 인지된 제1 단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1 단어 입력 단계; 제1 단어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제1 단어에 대응되는 제2 단어를 검색하는 대응 단어 검색 단계; 대응 단어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제2 단어를 피사체와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 및 촬영 명령의 입력에 의해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저장하는 촬영 및 저장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는 피사체로부터 인지된 제1 단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에 입력된 제1 단어에 대응하는 제2 단어를 사전 데이터 저장부에서 검색하기 위한 제어부; 검색된 제2 단어를 피사체와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입력부에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화상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촬영화상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촬영화상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 및 단어 학습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휴대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도 단어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도 해당 단어의 기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직접 제작한 컨텐츠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연상 기억에 의해 재학습시에도 학습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피사체의 이미지와 외국어를 직접적으로 연관시켜 기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외국어를 모국어처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100)는 제어부(102), 화상 촬영부(104), 촬영화상 처리부(106), 디스플레이(108), 표시화상 처리부(110), 입력부(112), 오디오 처리부(114), 오디오 출력부(116), 오디오 입력부(118), 안테나(120), 무선 통신부(122), 저장부(124)를 갖는다. 여기서 나열한 구성요소 중 일부는 휴대기기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또한 휴대기기는 나열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갖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그리고, 설계적 필요에 따라, 도시된 구성요소를 재구분하거나 통합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먼저, 제어부(102)는 휴대기기(100)의 각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휴대기기(100)가 수행하는 기능의 전체적인 통제 관리 및 연산을 수행하고,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명령어를 발행하고 각 구성요소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여 적절한 처리를 한다. 통상적으로는 CPU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연동하여 제어부(102)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화상 촬영부(104)는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 주는 CCD 센서나 CMOS 센서 등의 카메라 센서를 구비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화상 데 이터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화상 촬영부(104)는 정지 화상 촬영 기능만을 가질 수도 있지만, 근래의 대부분의 화상 촬영부는 동화상 촬영 기능까지 가지고 있다. 화상 촬영부(104)는 제어부(102)로부터 촬영을 위한 여러 가지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촬영화상 처리부(106)와 연결되어 촬영된 화상을 전송한다.
촬영화상 처리부(106)는 촬영 중 및 촬영 후에 화상 촬영부(104)가 전송하는 피사체의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다. 줌인, 줌아웃, 감도 조정 등 화상 촬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에 관해 촬영된 화상에 단어 또는 음성을 합성하여 최종적인 촬영화상을 작성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108)는 LCD, OLED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화면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표시화상 처리부(11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처리하여 화면으로 출력한다. 표시화상 처리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 촬영부(104)가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과 단어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108)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피사체의 화상과 단어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112)는 메뉴 조작, 촬영 조작과 같은 휴대기기의 조작을 위해 복수 개 설치되는 버튼 등의 입력 수단 이외에도, 디스플레이(108)에 설치되는 화면 터치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화면 터치 입력 수단은 정전기를 이용한 방식, 압력 센서를 이용한 방식, 광신호를 이용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기능이 있는 경우 오디오 입력부(118)로 입력부(112)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14)는 음성, 음악 등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압축해제 과정 등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압축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오디오 처리부(114)는 이어폰이나 스피커에 연결되어 소리를 재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16)에 연결되고, 또한 마이크와 같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오디오 입력부(118)에 연결된다. 오디오 처리부(1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어에 대응하는 발음의 음성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116)에 출력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오디오 입력부(118)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해당하는 단어를 찾을 수 있도록 처리한다.
안테나(120)는, 휴대기기가 전화 통화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CDMA 안테나나 GSM 안테나와 같은 이동 통신 안테나이며, 휴대기기가 DMB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DMB 안테나와 같은 방송 안테나이고, 또 휴대기기가 GPS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GPS 안테나와 같은 위성 안테나일 것이며, 예를 들면 휴대기기가 카메라 기능을 위주로 하는 기기인 것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휴대기기(100)에 안테나(120)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안테나(120)는 무선 통신부(122)와 연결되어 안테나(120)가 수신한 신호의 복조를 행하거나,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120)로 전송한다. 도 1에서는 무선 통신부만을 도시했지만 휴대기기(100)는 USB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유선 통신부를 가질 수 있다.
저장부(124)는 ROM, RAM, 하드 디스크, FLASH ROM과 같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이다. 저장부(124)에는 휴대기기(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며, 예를 들면 촬영화상을 저장하기 위한 촬영화상 저장부(1241) 및 전자사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전 데이터 저장부(1242)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단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예를 들어 피사체인 '사과'를 인지하고 '사과'에 대응하는 영어 단어인 'apple'을 기억하는 과정이다. 사용자는 피사체(200)인 '사과'를 발견하고 관찰한 후 피사체에 대응해서 알고 있는 피사체(200)의 한글(모국어) 명칭인 제1 단어(202) '사과'를 인지한다. 그리고, 사전을 찾거나 학습 교재로부터 확인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1 단어(202) '사과'에 대응하는 영어(외국어) 대응 단어인 제2 단어(204) 'apple'을 인식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제1 단어인 '사과'가 제2 단어인 'apple'에 대응한다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단어와 제2 단어를 연관시켜 기억하게 된다. 이러한 기억 방법은 효과적이지 않지만, 과거 영어 교육 방법이 이러한 기억 방법에 의존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글에 대응하는 영어 단어를 연관지어 기억하는 이러한 방식은 효율성이 떨어지고 기억도 오래가지 않으며, 실제 회화 상황에서 사용하기에는 한글을 인지한 후 대응하는 영어 단어를 인식하여 사용해야 하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영어 활용성이 떨어지고 영어에 대한 두려움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피사체(200)와 제2 단어(204)를 직접 연관시켜 기억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휴대기기의 기능을 이용해 간단한 조작에 의해 단어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3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단어 및 제2 단어의 언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시적으로 제1 단어를 한글, 제2 단어를 영어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를 인용하여 단어 학습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단계 S300에서 사용자는 피사체로부터 제1 단어인 '사과'를 인지하는 인지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계 S302로 진행하여 사용자는 제1 단어인 '사과'에 대응하는 타국어 단어인 제2 단어를 알기 위한 대응 단어 검색 과정을 수행한다. 대응 단어 검색 과정은 사용자가 휴대기기(100)의 입력부(112)에 '사과'라는 제1 단어를 입력하고, 제어부(102)는 입력된 제1 단어에 대응하는 제2 단어인 'apple'을 사전 데이터 저장부(1242)에서 검색하여 이를 디스플레이(108)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제1 단어인 '사과'와 제2 단어인 'apple'을 보고 대응 단어를 인지한다.
여기서, 화면상에 예를 들어 '단어 학습 촬영'이라는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입력부(112)를 조작하여 '단어 학습 촬영' 메뉴를 선택하면 절차는 단계 S304로 진행한다. 단계 S304는 촬영 과정으로서 화상 촬영부(104)로부터 입력된 피사 체의 화상에 단계 S302에서 검색된 제2 단어의 철자를 합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108)에 피사체의 화상과 'apple'이라는 제2 단어를 함께 표시한다. 제2 단어를 표시하는 위치는 디스플레이 중앙 근처가 바람직하고, 사용자가 설정 또는 조작에 의해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의 화상에 제2 단어의 철자를 합성한다는 것은, 화상 촬영부(104)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에 제2 단어의 철자 이미지를 오버레이와 같은 방식으로 겹쳐서 표시화상 처리부(110)가 디스플레이(108)로 전송한다는 것이고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시 피사체의 화상 외에 메뉴와 같은 다른 텍스트를 같이 표시하는 방식과 마찬가지이다. 사용자는 이 화면을 보면서 통상적으로 화상 촬영시에 이루어지는 화질 조정, 초점 조정, 감도 조정, 줌인, 줌아웃 등의 작업과 함께 휴대기기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에서 피사체의 위치를 맞춘 후 최종적으로 촬영 버튼을 누름으로써 촬영 명령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눌러 촬영을 하면 촬영화상 처리부(106)는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합성하여 촬영화상 저장부(1241)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재학습 과정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눌러 촬영 명령을 하는 경우에 통상적인 '찰칵'하는 촬영음 대신에 제2 단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좋다. 사용자가 피사체 화상을 촬영하는 순간에 피사체에 해당하는 제2 단어의 음성을 듣게 됨으로써 단어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을 위한 작업 조정 중에도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주시하게 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지속적으로 인지한다. 즉, 사용자는 대응 단어 검색 과정에서 검색된 제2 단어를 촬영 과정에서 피사체와 직접 연관지어 지속적으로 보게 됨으로써 해당 피사체가 'apple'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단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 촬영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지만, 촬영 과정 동안 주기적으로 표시되었다가 사라졌다 하는 방식으로 반복 표시를 할 수 있다. 반복 표시를 하게 되면 제2 단어에 대해 사용자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단어 학습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촬영 과정 동안 오디오 출력부(116)를 이용해서 제2 단어 'apple'에 해당하는 음성을 1회 이상 출력시킬 수 있다. 사전 데이터 저장부(1242)에 각 단어에 해당하는 발음이 개별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TTS(Text-To-Speech)와 같은 음성 합성 기능을 이용해서 각 단어에 해당하는 발음을 합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촬영 과정 동안 여러 번 해당 단어의 발음을 듣기 때문에 단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 단계 S306은 재학습 과정이다. 단계 S300부터 단계 S304를 여러 번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피사체에 대한 촬영화상을 촬영화상 저장부(1241)에 저장하게 되고, 단계 S306은 이렇게 저장된 촬영화상을 다시 보면서 재학습하는 과정이다. 재학습 과정에서 이용하는 촬영화상은 그림 카드와 같은 기존의 학습 도구들과 달리 사용자 본인이 직접 촬영하고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그 학습 효과가 클 것이라는 것은 알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학습 도구들은 사용자에 의해 관찰되고 제작된 것이 아니라, 획일적으로 제공되는 이미지를 가지기 때문에 효과적인 학습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 용자는 촬영화상을 보고 해당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장소, 시간 등의 연관 상황을 떠올릴 수 있기 때문에 단어 학습의 효과가 충분히 배가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어떠한 단어 학습 방법보다도 빠르고 효과적인 단어 기억이 가능하다. 재학습 과정에서도 촬영 과정과 마찬가지로 제2 단어에 해당하는 음성을 1회 이상 출력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단어 학습 절차에 의한 효과를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피사체를 발견하고 관찰한 후 해당하는 제2 단어를 학습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게 되고, 첫 단계로서 인지 과정에서 인지한 제1 단어를 이용해서 대응 단어 검색 과정을 통해 제2 단어를 획득한다. 그리고, 촬영 과정에서 피사체의 화상과 함께 제2 단어가 표시됨으로써 피사체와 제2 단어를, 제1 단어의 개입 없이 직접적으로 연관지어 촬영 과정동안 지속적인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과 함께 직접 연관된 제2 단어가 저장됨으로써 재학습 과정에서의 학습 효과도 매우 크다 할 것이다.
사용자가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은 사용자가 직접 발견하여 관찰하고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이기 때문에 오래도록 기억하기 쉽고, 피사체 화상이 의미하는 바를 쉽고 다양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로부터 인지된 제1 단어를 이용하여 제2 단어를 검색하기 때문에 제2 단어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또한 촬영 과정동안 피사체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동시에 제2 단어가 표시되기 때문에 피사체의 이미지와 직접 연관시켜 제2 단어를 집중도 있게 인지할 수 있으며 오래도록 기억하기 쉽다. 또한, 피사체의 화상이 제2 단어와 직접 연관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촬영 후 피사체와 제2 단어를 직접 연관시킨 촬영화상을 반복 재학습함으로써 제2 단어를 피사체의 이미지와 연관지어 상기시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사과'라는 피사체가 실물인 명사 단어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효과는 다른 단어 형태에서도 충분히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관'이라는 제1 단어는 'habit'이라는 제2 단어에 대응된다. 사용자가 '습관'에 해당하는 'habit'이라는 단어를 검색해 기억하고 싶고, 사용자 본인이 화장실 전등을 켜고 나오는 습관이 있다고 가정하자. 사용자는 먼저 '습관'에 대응하는 단어를 검색하기 위해 휴대기기의 전자사전을 이용하고 'habit'이라는 단어를 검색하는 대응 단어 검색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촬영 과정으로 진행하여 전등이 켜진 화장실로 휴대기기의 카메라 렌즈가 향하도록 하면 촬영 과정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전등이 켜진 화장실과 'habit'이라는 제2 단어가 함께 표시된다. 이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추상적인 단어인 'habit'을 본인의 습관으로부터 연상되는 이미지와 연관시켜 볼 수 있고 이를 저장하여 재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habit'이라는 단어 자체의 의미를 명확하게 효과적으로 기억하는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전등이 켜진 화장실로부터 연상되는 이미지는 각자 다르겠지만, 위 사용자는 전등이 켜진 화장실로부터 '습관', 즉 'habit'이라는 이미지를 떠올리며 이를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다. 또한, 'run', 'jump', 'connect'와 같은 동사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직접 적절한 이미지를 선택하고 촬영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 절차를 도시하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설명에서도 도 1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를 인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절차는 단계 S400에서 시작된다. 사용자는 제2 단어를 학습하고 싶은 피사체를 인지하고 휴대기기의 작동을 시작한다. 휴대기기에서 예를 들면 '단어 학습 촬영'이라는 직접적인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절차가 시작될 수도 있고, '전자사전'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절차가 시작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단계 S402에서 피사체에 해당하여 알고 있는 제1 단어를 휴대기기의 입력부(112)를 이용해 입력한다. 제1 단어의 입력은 디스플레이(108)상에 키보드가 표시되어 철자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에 의할 수 있고, 또는 오디오 입력부(118)를 통해 사용자가 제1 단어에 해당하는 음성을 입력하고 오디오 처리부(114)와 제어부(102)가 음성 인식 기능에 의해 제1 단어의 철자를 획득하는 방식에 의할 수도 있다. 음성 인식에 의한 입력 방식은 정확한 철자를 입력하기 어려운 어린 사용자들에게 특히 유용할 것이며, 이 경우에는 음성 입력된 제1 단어에 해당하는 철자가 학습을 위한 제2 단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는 S404로 진행하여 휴대기기는 사전 데이터 저장부(1242)에서 제1 단어에 대응하는 제2 단어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추출된 제2 단어 후보가 여러개인 경우 사용자가 하나 이상을 확정하여 제2 단어로 선정할 수 있다. 사용자 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제1 단어와 제2 단어를 보고 대응 단어를 인지하여 최초 학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계 S400의 시작이 '단어 학습 촬영'이라는 메뉴를 선택해서 이루어졌다면, 단어가 확정된 이후 단계 S406으로 진행하게 된다. 만약, 단계 S400의 시작이 '전자사전'이라는 메뉴를 선택해서 이루어졌다면, 사용자가 단어 검색 이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어 학습 촬영'이라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 다음 단계 S406으로 진행한다.
단계는 S406으로 진행하여, 휴대기기의 카메라 렌즈가 바라보고 있는 피사체의 화상과 확정(검색)된 제2 단어를 디스플레이에 함께 표시한다. 화상 촬영부(104)로부터 입력된 피사체의 화상에 단계 S404에서 검색된 제2 단어의 철자를 합성함으로써 피사체와 제2 단어를 함께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2 단어의 위치는 변동이 없겠지만 피사체의 화상은 휴대기기가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서 다르게 표시될 것이다.
사용자가 피사체와 제2 단어가 함께 표시되는 화면을 보면서 휴대기기를 이동시켜 피사체의 위치를 맞춘 후 촬영 버튼을 누르면 단계 S408로 진행하여 촬영 및 저장이 이루어진다. 단계 S408에서는 촬영화상 처리부(106)가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합성하여 촬영화상 저장부(1241)에 저장하여 추후 재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상 포맷에 제공되는 태그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되는 촬영화상에 제2 단어 및/또는 제1 단어를 기록해 두면 재학습시 검색에 의해 원하는 촬영화상을 찾기 쉽게 되고 또한 촬영화상이 많아지는 경우 분류나 색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계 S408에서 촬영화상 처리부(106)가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합성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피사체의 화상에 제2 단어의 철자가 직접 합성되어 있는 것 보다는 화상 파일의 태그에만 제2 단어의 철자를 기록해 두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제2 단어 DB를 구현하거나 파일명에 기입하는 방법으로 해당 피사체의 화상 파일과 제2 단어를 관련지어 저장하는 것도 좋다. 피사체의 사진 검색 및 단어 검색이 가능하고 관련 화상이나 단어를 함께 볼 수 있다. 피사체의 화상 파일에는 직접 제2 단어의 철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관련된 해당 제2 단어를 DB에서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피사체의 화상 파일에 겹쳐 보일 수 있고, 검색, 분류 등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제2 단어 DB는 촬영화상 저장부에 피사체의 화상과 함께 저장될 수도 있고, 저장부(124) 또는 다른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그 저장 위치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피사체의 화상에 제2 단어를 직접 합성하는 경우에는 플랫폼이나 사용 프로그램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관련지어두는 경우에는 이 기능을 구현 가능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리고, 단계는 S410으로 진행하여 절차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406을 수행하는 최소 시간, 즉 제2 단어 표시 최소 시간이 설정되어 저장되고, 제2 단어를 표시하는 시간이 설정된 최소 시간을 경과하기 전까지는 촬영을 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최소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단어 학습 시간이 충분하지 않습니다'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도 좋다.
이처럼 제2 단어 표시 최소 시간이 설정된다면, 적어도 이 최소 시간 동안은 제2 단어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어 학습을 위한 좋은 방법이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단어를 반복 표시하는 경우에는 이 최소 시간이 표시 회수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단어 표시 최소 시간은 절대적인 시간이나 표시 회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제2 단어 표시 최소 시간이 경과되면 디스플레이에 피사체만을 표시하고 제2 단어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제2 단어 표시 최소 시간 동안 제2 단어를 학습하고, 그 이후에는 디스플레이에 피사체만 표시되기 때문에 학습한 제2 단어를 되새기면서 피사체 촬영에 집중할 수 있다. 제2 단어 표시 최소 시간은 제2 단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절차는 단계 S500에서 시작된다. 단계 S500, S502, S504, S508, S510은 도 4를 이용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고, 단계 S506에서 도 4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 단계 S506에서는 피사체와 제2 단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대신에, 피사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제2 단어를 음성으로써 출력한다. 사전 데이터 저장부(1242)에 제2 단어에 해당하는 음성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음성 합성 기능을 이용해서 각 단어에 해당하는 발음을 합성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로부터 제2 단어에 해당하는 음성을 입력받아 이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음성이기 때문에 학습 효과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예에서는 피사체와 제2 단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도 5의 예에서는 피사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제2 단어의 음성을 출력했지만, 이 두 개의 예를 동시에 실행하게 되면 단어 학습의 효과가 배가될 것이다. 즉, 피사체와 제2 단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제2 단어의 음성을 출력한다면 시각 및 청각을 통한 동시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촬영 및 저장하는 단계 S408, 단계 S508에서 저장되는 촬영화상은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가 합성된 정지화상이 대표적인 예이지만, 동화상을 촬영하여 피사체의 동화상과 제2 단어가 합성된 동화상을 저장할 수도 있고, 또 피사체의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에 연관시켜 음성파일을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으며, 피사체의 화상에 음성파일을 결합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제2 단어가 동사인 경우에는 동화상 저장이 가능한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제2 단어의 발음 음성의 학습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인 경우에는 음성파일이 함께 저장되는 것이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표시 및 저장에 있어서 제2 단어를 위주로 해서 설명했지만, 제2 단어와 함께 제1 단어를 표시 또는 저장할 수 있으며 학습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제1 단어 표시와 저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또, 피사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 제2 단어 검색 단계 이후로 설명되었지만, 제1 단어 입력 단계부터 피사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피사체 관찰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학습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해 휴대기기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단어 학습이 가능해짐으로써 휴대기기의 다양한 기능이 적절하게 복합 활용될 수 있어 휴대기기 산업분야에 있어 새로운 응용분야를 제시하고 해당 산업의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단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Claims (24)

  1.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화상 촬영부 및 사용자에게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으로서,
    피사체로부터 인지된 제1 단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1 단어 입력 단계;
    제1 단어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제1 단어에 대응되는 제2 단어를 검색하는 대응 단어 검색 단계;
    상기 대응 단어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제2 단어를 피사체와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 및
    촬영 명령의 입력에 의해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저장하는 촬영 및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단어 학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어 입력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제1 단어의 철자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어 입력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제1 단어의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 및 저장 단계에서는, 제1 단어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제2 단어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제2 단어를 반복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에서 제2 단어를 표시하는 최소 시간인 제2 단어 표시 최소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어 표시 최소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상기 촬영 및 저장 단계 를 수행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제2 단어의 음성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에는 피사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 및 저장 단계는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합성한 화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 및 저장 단계는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관련지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 및 저장 단계에서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제2 단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13. 피사체로부터 인지된 제1 단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제1 단어에 대응하는 제2 단어를 사전 데이터 저장부 에서 검색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검색된 제2 단어를 피사체와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입력부에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화상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촬영화상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촬영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제1 단어의 철자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제1 단어의 음성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촬영화상 처리부는 제1 단어가 촬영화상 저장부에 더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2 단어와 피사체를 함께 표시할 때, 제2 단어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2 단어와 피사체를 함께 표시할 때, 제2 단어를 반복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2 단어를 표시하는 최소 시간인 제2 단어 표시 최소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어 표시 최소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상기 촬영 명령을 입력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피사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단어의 음성이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22.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촬영화상 처리부는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합성한 화상을 작성하여 상기 촬영화상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23.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촬영화상 처리부는 피사체의 화상과 제2 단어를 관련지어 상기 촬영화상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2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제2 단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 기기.
KR1020090055606A 2009-06-22 2009-06-22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 방법 KR10114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606A KR101142955B1 (ko) 2009-06-22 2009-06-22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606A KR101142955B1 (ko) 2009-06-22 2009-06-22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290A Division KR101188421B1 (ko) 2011-08-16 2011-08-16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267A true KR20100137267A (ko) 2010-12-30
KR101142955B1 KR101142955B1 (ko) 2012-05-08

Family

ID=4351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606A KR101142955B1 (ko) 2009-06-22 2009-06-22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3032A (zh) * 2019-12-31 2020-05-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005B1 (ko) * 2004-10-0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KR100727068B1 (ko) * 2005-10-24 2007-06-1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전자 사전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방법을 채용하는 통신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3032A (zh) * 2019-12-31 2020-05-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1093032B (zh) * 2019-12-31 2021-08-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955B1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1980B1 (en) Voice-controlled image editing
CN110322760B (zh) 语音数据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2911371A1 (en) Portable terminal
JP7116088B2 (ja) 音声情報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6782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인언어를 설정하는 방법
US20210029304A1 (en) Methods for generating video,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6550132A (zh)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871779B1 (ko) 사진 촬영 및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단말기
US20080300012A1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s thereof
JP2018045558A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01527772A (zh) 数码相机以及信息记录方法
JP5320913B2 (ja) 撮像装置およびキーワード作成プログラム
CN113851029A (zh) 一种无障碍通信方法和装置
JP2010081012A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42955B1 (ko)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 방법
JP2009081785A (ja) 撮像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913841B (zh) 语音识别方法、装置及终端
KR101188421B1 (ko) 단어와 연관시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어 학습용 휴대기기
KR20060031769A (ko) 촬영문자를 음성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CN113301444B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390341B (zh) 一种视频录制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及芯片
JP5023932B2 (ja) 撮像装置、シナリオによる画像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558017B (zh) 一种输入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345451B (zh) 一种变声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5522728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