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23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239A
KR20100137239A KR1020090055564A KR20090055564A KR20100137239A KR 20100137239 A KR20100137239 A KR 20100137239A KR 1020090055564 A KR1020090055564 A KR 1020090055564A KR 20090055564 A KR20090055564 A KR 20090055564A KR 20100137239 A KR20100137239 A KR 20100137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member
drawer
storage
cabine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호
전상운
이재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7239A/ko
Priority to EP10166237.7A priority patent/EP2267386A3/en
Priority to US12/801,667 priority patent/US20100320890A1/en
Priority to CN2010105111604A priority patent/CN101949627A/zh
Publication of KR2010013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서로 구획되는 제1저장실,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도어 및 제2힌지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2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1드로워와,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3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2드로워와, 상기 제1힌지도어 및 상기 제2힌지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1조명부재와, 상기 제1드로워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조명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서로 구획되는 복수 개의 저장실과,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또는 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드로워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저장실 내의 음식물 등을 입출하고자 도어를 오픈 할 경우, 저장실 내에 고정배치되는 조명부재가 점등 되어 사용자가 저장실 내의 음식물 등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심미성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서로 구획되는 제1저장실,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도어 및 제2힌지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2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1드로워와,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3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2드로워와, 상기 제1힌지도어 및 상기 제2힌지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1조명부재와, 상기 제1드로워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조명부재와, 사용자에 의해 각종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1드로워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1개폐감지센서와, 상기 제2드로워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2개폐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드로워의 개방시에 상기 제1조명부재는 소정 패턴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2드로워의 개방시에 상기 제2조명부재는 소정 패턴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의 색상, 조도, 점멸패턴 등의 동작정보를 입력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밝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밝기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밝기 값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밝기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밝기 값에 기초한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방식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미리 입력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저장실 및 제2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저장실 도어와,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저장실 도어와, 상기 제1저장실 도어의 하단부 및 상기 격벽의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조명장치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방식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무드기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무드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조명장치는 야간시간대에 무드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알람기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알람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제1저장실 도어 또는 제2저장실 도어가 열려 있거나 시스템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상기 조명장치는 알람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제1저장실,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 힌지도어 및 제2힌지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2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1드로워와,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3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2드로워와, 상기 제1힌지도어 및 상기 제2힌지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1조명부재와, 상기 제1드로워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조명부재와, 각종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의 동작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동작정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대, 계절, 저장실의 온도 등에 따른 조도, 색상, 점멸패턴 등의 동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심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각 저장실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서로 구획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제1저장실(11), 제2저장실(12) 및 제3저장실(13)이 형성된 캐비닛(10)(cabinet)과, 제1저장실(11)을 개폐하도록 캐비닛(10)의 좌, 우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와, 캐비닛(10)의 제2저장실(12)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1드로워(drawer)(25)와, 캐비닛(10)의 제3저장실(13)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2드로워(20d)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1을 기준으로 제1저장실(11)은 냉장고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3저장실(13)은 냉장고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저장실(12)은 제1저장실(11)과 제3저장실(13)의 중간에 배치된다.
캐비닛(10)은 제1저장실(11), 제2저장실(12) 및 제3저장실(13)을 구획하는 제1단열격벽(14) 및 제2단열격벽(15)을 구비하며, 내상, 외상 및 내상과 외상 사이에 충진되는 발포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캐비닛(10)은 제1단열격벽(14) 및 제2단열격벽(15)을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되므로, 각 저장실 사이의 단열성이 향상된다. 도면부호 16는 보관되는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해 캐비닛(10)에 결합되는 선반을 나타낸다.
캐비닛(10)에 형성되는 제1저장실(11), 제2저장실(12) 및 제3저장실(13)은 각각 독립적인 저장공간을 이루며, 각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에 따라 저장온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물론,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격벽은 생략될 수 있고, 이 외에도 저장실의 형태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의 내면 각부에는 수납선반(27)이 마련된다. 또한, 제1힌지도어(20a)에는 물 또는 얼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디스 펜서장치(28)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는 보조도어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24a 및 도면부호 24b는 각각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에 마련되며 도어의 개방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파지부는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지만, 파지부는 홈형태로 마련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냉장고는 사용자로부터 냉장고의 각종 기능(예를 들면, 저장실의 시간, 저장실의 저장온도 등)을 입력받는 입력부(30)(도 5 참조)를 더 포함한다. 이때, 입력부(30)는 제1힌지도어(20a)의 전면패널(21a)의 전면부(22a)에 마련되는 제1입력부(31) 및 제1드로워(20c)의 전면패널(21c)의 전면부(22c)에 마련되는 제2입력부(32)를 구비한다. 제1입력부(31) 및 제2입력부(32)의 근방에는 기능입력상태, 설정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0)(도 5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의 도면부호 71은 제1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고, 도 1의 도면부호 72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 물론, 제1입력부(31) 및 제2입력부(32)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증발기, 압축기, 팽창기, 응축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각 저장실의 후부에 마련되는 냉기공급부를 통해 저장실의 각 부분으로 분산 토출 된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구성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냉장고는 외측에서 광(L)을 발생시키는 마련되는 조명부재(40)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도어, 제2힌지도어 및 제1드로워의 저부 사시도이다.
조명부재(50)는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의 전면패널(21a)의 하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조명부재(81)와, 제1드로워(20c)의 전면패널(21a)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조명부재(82)를 포함한다.
제1조명부재(81)는, 제1힌지도어(20a)의 전면패널(21a)의 하단면(23a) 및 제2힌지도어(20b)의 전면패널(21b)의 하단면(23b)에 형성된 홈부에 각각 설치되는 LED램프(미도시)와, LED램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LED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조명광(L)이 은은하게 퍼질 수 있도록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에 각각 결합되는 투명창(51a)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냉장고에서는, 제1조명부재(81)가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에 마련되지만, 제1조명부재(81)는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 중 하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제1힌지도어(20a)의 전면패널(21a) 및 제2힌지도어(20b)의 전면패널(21a)은 캐비닛(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 높이 돌출된 부분을 나타낸다.
제2조명부재(82)는 제1드로워(20c)의 전면패널(21c)의 하단면(23c)에 형성된 홈부에 설치되는 LED램프(미도시)와, LED램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LED램프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은은하게 퍼질 수 있도록 제1드로워(20c)에 결합되는 투명창(52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드로워(20c)의 전면패널(21a)은 캐비닛(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 높이 돌출된 부분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된 LED램프 및 투명창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및 투명창의 재질, 구조 등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LED램프는 선광원이 이용되고 투명창은 수지 재질이 이용될 수 있지만, LED램프는 복수 개의 점광원들이 되고 투명창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LED램프는 색상이 상이한 복수 개의 광원들로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발광체는 LED램프 외에도, 백열램프, 할로겐램프, 형광램프 등이 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성도로서, 냉장고는 입력부(30), 감지부(40), 저장부(50), 제어부(60), 디스플레이부(70),조명부재(80) 및 음향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입력부(31) 및 제2입력부(32)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제1입력부(31) 및 제2입력부(32)를 통해 냉장고의 구동 및 편의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저장부(50)에 저장되거나, 제어부(60)에 의해 처리된다.
감지부(40)는 제1개폐감지센서(41)와, 제2개폐감지센서(42)와, 접근감지센서(43)를 구비한다.
제1개폐감지센서(41)는 제1드로워(20c)의 개폐상태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고, 제2개폐감지센서(42)는 제2드로워(20d)의 개폐상태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한다. 이때, 제1개폐감지센서(41) 및 제2개폐감지센서(42)는 광센서 타입, 스위치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접근감지센서(43)는 사용자를 포함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물체의 접근거 리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한다.
밝기감지센서(44)는 냉장고 주변의 밝기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한다.
저장부(50)에는 입력된 각종 정보, 사용 이력 등이 저장된다.
제어부(60)는 냉장고의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으로서,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조명부재(80), 음향부재(90) 등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냉장고의 동작상태, 동영상 화면, 인터넷 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는 각각 대응되는 저장실의 개방 시에 대응되는 드로워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다. 즉, 제1조명부재(81)는 제2저장실(12)의 개방 시에 제1드로워(20c)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고, 제2조명부재(82)는 제3저장실(13)의 개방 시에 제2드로워(20d)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드로워(20c) 또는 제2드로워(20d)로부터 음식물을 취출할 경우에 사용자는 음식물들을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된다. 특히, 서랍형식의 저장구조의 경우, 드로워를 개방한 경우 냉장고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광에 의해 노출된 부분으로부터 음식물을 취출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는 각 도어(20a, 20b, 20c)의 전면패널(21a, 21b, 21c)의 하단부에 마련되므로, 각 조명부재의 하측에서 열리며 각 조명부재에 대응되는 드로워의 공간 중에서 외부광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의 바로 후부, 즉 외부광이 조명되지는 아니하지만 취출되는 음식물의 일부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조명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음식물의 인지 및 음식물의 취출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제1조명부재(81)의 광원 및 제2조명부재(82)의 광원은 각 전면패널(21a, 21b, 21c)의 하단면(23a, 23b, 23c)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는 바, 전면에서 보았을 때 은폐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사용자에게 직접 비춰지지 아니하고 냉장고의 하측을 향해 발산되므로,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는 은은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무드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30)를 통해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의 시간대,계절, 저장실온도 등에 따른 색상, 조도, 점멸패턴 등의 동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광량이 풍부한 낮시간 대에는 채도가 높은 색상 및 높은 조도로 광원을 점등시키고, 자연광량이 부족한 밤시간 대에는 채도가 낮은 색상 및 낮은 조도로 광원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무드기능, 알람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의 입력부를 통한 설정이 가능하고, 설정된 기능 중 하나를 사용자는 선택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무드기능을 선택하면, 제1조명부재(81) 또는 제2조명부재(82)는 무드등으로 기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알람기능을 선택하면, 제1조명부재(81) 또는 제2조명부재(82)는 냉장고 도어가 소정시간 이상 열려 있거나 시스템의 에러가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람등으로 기능할 수 있다. 물론, 시간 대에 따라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의 깜빡이는 패턴, 즉 점멸패턴이 상이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정정보는 저장부(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 중 적어도 하나는 밝기감지센 서(44)에 의해 측정된 밝기 값에 따라 동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낮 시간대이더라도 밝기감지센서(44)에 의해 측정된 밝기 값이 낮은 경우, 즉 주변 조도가 낮은 경우에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 중 적어도 하나는 무드등 형태로 점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밝기감지센서(44)에 의해 측정된 밝기 값에 따른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의 동작방식을 입력부(30)를 통해 미리 입력해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기감지센서(44)에 의해 측정된 밝기 값에 따른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의 색상, 조도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 둘 수 있다.
또한,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는 대응되는 저장실(12, 13)의 드로워(20c, 20d)가 완전히 닫히지 아니한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경고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조명부재(81)는 제1드로워(20c)의 개방시에 소정 패턴으로 점멸되고, 제2조명부재(82)는 제2드로워(20d)의 개방시에 소정 패턴으로 점멸될 수 있다. 이때,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는 각각 대응되는 드로워(20c, 20d)가 개방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제1패턴으로 점멸되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 제1패턴과 상이한 제2패턴으로 점멸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드로워(20c) 및 제2드로워(20d)가 열린 상태로 방치되어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는 물체의 접근 정도에 따라 상이한 패턴으로 점멸될 수 있다. 접근감지센서(43)는 사람을 포함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60)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의 색상, 조도, 점멸패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는 사용자에게 능동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바, 냉장고의 고급스러움 및 심미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활동이 장시간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에너지 절약을 위해 제1조명부재 및 제2조명부재(82)를 점멸시킬 수 있다.
음향부재(90)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음을 포함한 각종 효과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음향부재(90)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음원을 재생, 출력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냉장고의 제1힌지도어의 파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제1힌지도어(20a)의 파지부(24a)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그 내용은 제2힌지도어(20b)의 파지부(24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제1힌지도어(20a)의 파지부(24a) 및 제2힌지도어(20b)의 파지부(24b)에 각각 마련되는 제3조명부재(83)를 더 포함한다.
제3조명부재(83)는 제1힌지도어(20a)의 파지부(24a)의 배면 및 제2힌지도어(20b)의 파지부(24b)의 배면에 설치되어, 후방을 향해 조명되어 무드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된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의 이용예들 은 제3조명부재(8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제3조명부재(83)는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파지부의 후면이 아닌 파지부에 인접하여 도어의 전면패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성도이다.
입력부(30)는 상품의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리딩부(33)를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코드리딩부(33)를 통하여 음식물의 정보, 예를 들어 음식물의 명칭, 보관일자, 잔존보관기간 등의 정보를 별도 입력이 없이 저장부(5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바코드리딩부(33)는 각 저장실(11, 12, 13) 별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보관되는 음식물의 보관위치(제1저장실, 제2저장실, 제3저장실)를 별도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저장부(50)에는 보관되는 음식물의 보관위치가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물론, 냉장고는 하나의 바코드리딩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제1입력부(31) 또는 제2입력부(32)를 통하여 보관되는 음식물의 보관위치를 입력하여 저장부(5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입력부(31) 또는 제2입력부(32)를 통해 음식물의 명칭, 보관일자, 잔존보관기간, 보관위치 등의 모든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감지부(40)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센서(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인식센서(44)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한다. 제어부(60)는 음성인식센서(44)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조명부재(81), 제2조명부재(82), 제3조명부재(83) 및 음향부재(90)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보관되는 음식물의 명칭 등을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5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관된 음식물의 보관일자, 잔존보관기간 등을 볼 수 있고, 잔존보관기간(유효기간)이 도과하여 신선도가 낮아진 음식물을 먼저 사용하거나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보관된 음식물 중 하나를 제1입력부(31), 제2입력부(32), 음성인식센서(44) 등을 통해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음식물이 보관된 저장실에 대응되는 조명부재는 소정의 패턴으로 점멸되어 선택된 음식물의 보관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준다. 이때, 보관된 음식물의 잔존보관기간에 따라 조명부재는 상이한 색상, 점멸패턴 등으로 점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우유(牛乳)를 제1저장실에 보관시키면서, 우유의 명칭(음성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 잔존보관기간(유통기한), 보관위치를 저장부(50)에 저장시킨 후, 제1입력부(31) 또는 제2입력부(32)를 통하여 '우유'를 선택하거나 음성인식센서(44)를 통하여 '우유'라는 음성을 입력시키면 제1저장실(11)에 대응되는 제3조명부재(83)가 점멸된다. 이때, 우유의 잔존보관기간이 남아 있어서 신선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녹색의 램프가 점멸되고, 우유의 잔존보관기간이 도과되어 신선도가 낮아진 경우에는 적색의 램프가 점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전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되고, 냉장고에 오랜 기간 사용되지 아니하고 방치되는 음식물의 양을 줄일 수도 있다. 물론, 램프의 색상 이외에도 점멸패턴, 즉 점멸속도 또는 점멸주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의 이용예를 중심으로 설명 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조명부재(81) 및 제2조명부재(82)는 더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기능들은 제1조명부재(81), 제2조명부재(82) 및 제3조명부재(83) 모두에 적용될 수 있고, 제1조명부재(81), 제2조명부재(82) 및 제3조명부재(83) 중 하나의 부재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조명부재의 개수 및 위치에는 큰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2저장실(12) 및 제1드로워(20c)에 대응되는 제1조명부재(81)는 제1힌지도어(20a) 및 제2힌지도어(20b) 중 하나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BMF(Bottom Mounted Freezer) 형태의 냉장고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TMF(Top Mounted Freezer),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저장실이 3개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저장실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3저장실이 생략되고, 제1저장실 및 제2저장실 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제2조명부재(8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힌지도어는 드로워로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드로워는 힌지도어로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도어는 힌지도어 타입 또는 드로워 타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조명부재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광의 밝기는 점등되는 발광체의 숫자를 제어하거나 발광체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하여 조절할 수 있다.
제품생산시점부터 저장부(50)에는 미리 대표적인 음식물에 대한 명칭, 유통 기간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사용자는 음식물을 보관하며 목록 중에 음식물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는 바코드출력기를 더 포함하고, 바코드출력기에 의해 출력된 바코드를 음식물에 부착하여 냉장고에 보관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음료 등과 같이 입출이 잦은 음식물을 보관할 때, 입출시 마다 입력부(30)를 통해 입력시켜야 하는 정보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단면도로서, 냉장실 도어, 제1드로워 및 제2드로워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와 캐비닛의 조립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캐비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캐비닛 11 제1저장실
12 제2저장실 13 제3저장실
14 제1단열격벽 15 제2단열격벽
16 선반 20a 제1힌지도어
20b 제2힌지도어 20c 제1드로워
20d 제2드로워 28 디스펜서장치
30 입력부 40 감지부
50 저장부 60 제어부
70 디스플레이부 80 조명부재
81 제1조명부재 82 제2조명부재
83 제3조명부재 90 음향부재

Claims (10)

  1. 서로 구획되는 제1저장실,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도어 및 제2힌지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2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1드로워와,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3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2드로워와,
    상기 제1힌지도어 및 상기 제2힌지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1조명부재와,
    상기 제1드로워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조명부재와,
    사용자에 의해 각종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로워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1개폐감지센서와,
    상기 제2드로워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2개폐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드로워의 개방시에 상기 제1조명부재는 소정 패턴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2드로워의 개방시에 상기 제2조명부재는 소정 패턴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의 색상, 조도, 점멸패턴 등의 동작정보를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밝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밝기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밝기 값에 따라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밝기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밝기 값에 기초한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방식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미리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저장실 및 제2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저장실 도어와,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저장실 도어와,
    상기 제1저장실 도어의 하단부 및 상기 격벽의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조명장치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방식이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무드기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무드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조명장치는 야간시간대에 무드등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알람기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알람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제1저장실 도어 또 는 제2저장실 도어가 열려 있거나 시스템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상기 조명장치는 알람등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제1저장실,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도어 및 제2힌지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2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1드로워와,
    상기 캐비닛의 상기 제3저장실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2드로워와,
    상기 제1힌지도어 및 상기 제2힌지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1조명부재와,
    상기 제1드로워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조명부재와,
    각종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의 동작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동작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조명부재 및 상기 제2조명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대, 계절, 저장실의 온도 등에 따른 조도, 색상, 점멸패턴 등의 동작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090055564A 2009-06-22 2009-06-22 냉장고 KR20100137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564A KR20100137239A (ko) 2009-06-22 2009-06-22 냉장고
EP10166237.7A EP2267386A3 (en) 2009-06-22 2010-06-17 Refrigerator
US12/801,667 US20100320890A1 (en) 2009-06-22 2010-06-18 Refrigerator
CN2010105111604A CN101949627A (zh) 2009-06-22 2010-06-21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564A KR20100137239A (ko) 2009-06-22 2009-06-2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239A true KR20100137239A (ko) 2010-12-30

Family

ID=4351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564A KR20100137239A (ko) 2009-06-22 2009-06-2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72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310A (ko) * 2014-02-25 201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74440A (ko) * 2017-12-20 2019-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10808993B2 (en) 2014-01-07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8993B2 (en) 2014-01-07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50100310A (ko) * 2014-02-25 201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74440A (ko) * 2017-12-20 2019-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7386A2 (en) Refrigerator
US9890992B2 (en) Domestic appliance having a door leaf which includes a recessed handle
US9702619B2 (en) Controlled, dynamic lighting of interior of appliance
US7959313B2 (en) Refrigerator
KR20090020454A (ko) 냉장고
KR20110037303A (ko) 냉장고
JP7157211B2 (ja) 冷蔵庫
JP6523594B2 (ja) 冷蔵庫
KR20170019772A (ko) 센서부를 가지는 냉장고
US11913712B2 (en) Wall panel for an appliance
KR20100137239A (ko) 냉장고
KR20110005940A (ko) 냉장고
KR100766111B1 (ko) 냉장고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06288615B (zh) 具有包括把手槽的门页的家用器具
KR20140088720A (ko) 냉장고 내부 조명 장치 및 방법
CN106382783B (zh)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间室照明控制方法
JP2008106975A (ja) 冷蔵庫
KR102157878B1 (ko) 냉장고
JP6478083B2 (ja) 冷蔵庫
CN113494810B (zh) 冷藏冷冻装置及其照明控制方法
KR100839849B1 (ko) 냉장고의 램프 점등장치 및 방법
JP6564996B2 (ja) 冷蔵庫
KR20070049294A (ko) 냉장고
KR20170048884A (ko) 쇼케이스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6871843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