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200A - Ⅲ―ⅴ 반도체 태양 전지용 집광형 광기전 시스템 리시버 - Google Patents

Ⅲ―ⅴ 반도체 태양 전지용 집광형 광기전 시스템 리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200A
KR20100135200A KR1020100057094A KR20100057094A KR20100135200A KR 20100135200 A KR20100135200 A KR 20100135200A KR 1020100057094 A KR1020100057094 A KR 1020100057094A KR 20100057094 A KR20100057094 A KR 20100057094A KR 20100135200 A KR20100135200 A KR 20100135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ramic substrate
conductive
region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브 셜
다미엔 뷰이
필립 블루멘펠드
제임스 포레사이
존 나기바리
리차드 더블유 쥬니어 호프만
Original Assignee
엠코어 솔라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코어 솔라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엠코어 솔라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3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04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31/03046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including ternary or quaternary compounds, e.g. GaAlAs, InGaAs, InGaAs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3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ractive type, e.g.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7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lecting type, e.g. parabolic mirrors, concentrator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4Solar cells from Group III-V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화시키는 태양전지 리시버는 세라믹 기판, 태양전지 및 히트싱크를 포함한다. 세라믹 기판은 제1 금속화 표면 및 반대되는 제2 금속화 표면을 갖는다. 세라믹 기판의 제1 금속화 표면은 분리된 전도성 영역을 갖는다. 태양전지는 세라믹 기판의 전도성 영역의 제1 영역에 연결된 전도성 제1 표면, 및 전도성 영역의 제2 영역에 연결된 전도성 접촉 영역을 갖는 반대되는 제2 표면을 갖는다. 히트싱크는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 또는 땜납과 같은 열전도성 부착 매체에 의하여 세라믹 기판의 제2 금속화 표면에 결합된다.

Description

Ⅲ―Ⅴ 반도체 태양 전지용 집광형 광기전 시스템 리시버{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 RECEIVER FOR Ⅲ―Ⅴ SEMICONDUCTOR SOLAR CELLS}
본 출원은 태양전지 리시버(solar cell receiver), 특히 태양전지(solar cell), 금속화 세라믹 기판(metallized ceramic substrate) 및 히트싱크(heat sink)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에 관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태양열 발전(우주 및 지구상에서 모두)은 실리콘 태양전지에 의하여 주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지난 수년간, 우주 적용을 위한 고효율 Ⅲ―Ⅴ 화합물 반도체 다중접합 태양전지(multijunction solar cell)의 대량 생산은 지구상에서의 발전(power generation)에 있어서 이러한 대체적인 기술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리콘과 비교하여, Ⅲ―Ⅴ 화합물 반도체 다중접합 전지는 일반적으로 더 방사 저항적이고(radiation resistant), 더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energy conversion efficiencies)을 가지지만, 제조하는데 더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 일부 Ⅲ―Ⅴ 화합물 반도체 다중접합 전지는 27%를 넘는 에너지 효율을 갖는 반면, 실리콘 기술은 일반적으로 단지 약 17% 효율성에 그친다. 집광(concentration) 하에서, 현재 일부 Ⅲ―Ⅴ 화합물 반도체 다중접합 전지는 37%를 넘는 에너지 효율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다중접합 전지는 n-on-p 극성(polarity)이며, InGaP/(In)GaAs/Ge 반도체 구조의 수직 스택(vertical stack)으로 이루어진다. Ⅲ―Ⅴ 화합물 반도체 다중접합 태양전지 층은 게르마늄(Ge) 기판 상에서 금속-유기화학 기상 증착(metal-organic vapor deposition, MOCVD)을 통하여 전형적으로 성장된다. Ge 기판을 이용함으로써 접합이 n-형 및 p-형 Ge 사이에 형성되어, 기판을 바닥 또는 저 밴드갭 서브전지(bottom or low band gap subcell)를 형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 에너지를 전기(electricity)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 리시버(solar cell receiver)는 세라믹 기판(ceramic substrate), 태양전지(solar cell) 및 히트싱크(heat sink)를 포함한다. 세라믹 기판은 제1 금속화 표면(first metallized surface) 및 반대되는 제2 금속화 표면(opposing second metallized surface)을 갖는다. 세라믹 기판의 제1 금속화 표면은 분리된 전도성 영역들(separated conductive regions)을 갖는다. 태양전지는 세라믹 기판의 전도성 영역의 제1 영역과 연결된 전도성 제1 표면, 및 전도성 영역의 제2 영역과 연결된 전도성 접촉 영역(conductive contact area)을 갖는 반대되는 제2 표면을 갖는다. 히트싱크는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metal-filled eopxy adhesive) 또는 땜납(solder)과 같은 고 열전도성 부착 매체(attach media)로 세라믹 기판의 제2 금속화 표면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 리시버는 세라믹 기판, 태양전지,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 및 히트싱크를 포함한다. 세라믹 기판은 제1 금속화 표면 및 반대되는 제2 금속화 표면을 갖는다. 세라믹 기판의 제1 금속화 표면은 분리된 전도성 영역들을 갖는다. 태양전지는 세라믹 기판의 전도성 영역의 제1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애노드 단자(anode terminal), 및 전도성 영역의 제2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소드 단자(cathode terminal)를 갖는다. 바이패스 다이오드는 제1 및 제2 전도성 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태양전지와 병렬로(in parallel) 연결된다. 히트싱크는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 또는 땜납과 같은 고 열전도성 부착 매체로 세라믹 기판의 제2 금속화 표면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전지 리시버는 제1 금속화 표면 및 반대되는 제2 금속화 표면을 갖는 세라믹 기판을 제공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제1 금속화 표면은 분리된 전도성 영역들을 갖는다. 태양전지의 전도성 제1 표면은 세라믹 기판의 전도성 영역의 제1 영역과 연결되고, 태양전지의 반대되는 제2 표면의 전도성 접촉 영역은 전도성 영역의 제2 영역과 연결된다. 히트싱크는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 또는 땜납과 같은 고 열전도성 부착 매체로 세라믹 기판의 제2 금속화 표면에 결합된다.
물론,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 및 이점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하기 상세한 설명을 읽는 경우, 및 첨부된 도면을 보는 경우 부가적인 특징 및 이점을 인지할 것이다.
도 1은 태양전지, 금속화 세라믹 기판 및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태양전지 및 금속화 세라믹 기판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태양전지, 금속화 세라믹 기판 및 히트싱크의 단면도이다.
예시적인 측면 및 그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기재될 것이다. 도면 및 하기 기재를 참조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예시적인 실시예의 주요 특징을 매우 단순화된 도식화 방식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면은 실제 실시예의 모든 특징이나 도시된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며, 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지 않는다.
태양전지 리시버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구현예에서, 삼중-접합(triple-junction) Ⅲ―Ⅴ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가 채용되었으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른 형태의 태양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태양전지 리시버는 종종 부가적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출력 장치 또는 다른 태양전지 리시버에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어플리케이션에서, 태양전지 리시버는 태양전지 모듈의 부분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리시버 및 상기 태양전지 리시버에 결합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수용된 광을 태양전지 리시버에 집중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렌즈의 결과로, 더 많이 집광된 태양 에너지가 태양전지 리시버에 의하여 수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렌즈는 400 이상의 인자(factor)로 태양 에너지를 집광시키도록 조절된다. 예를 들어, 500 sun 집광(concentration)에서, 1 ㎠의 태양전지 면적은 집광 없이 500 ㎠의 태양전지 면적이 생산할 수 있는 전력과 동일한 양을 생산한다. 따라서, 집광의 이용은 더욱 비용이 많이 드는 반도체 전지 물질을 렌즈 및 거울과 같은 비용효율적 물질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2 이상의 태양전지 모듈은 어레이로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 이러한 어레이는 때때로 "패널(panels)", 또는 "태양전지판(solar panels)"로 나타내어진다.
도 1은 태양전지(102)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태양전지(102)는 직렬로(in series) 배열된 상부 전지, 중간부 전지 및 하부 전지를 포함하는 삼중-접합 Ⅲ―Ⅴ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태양전지(102)는 n-on-p 극성을 갖는 다중접합 태양전지이고, Ge 기판 상의 InGaP/(In)GaAs Ⅲ―Ⅴ 화합물로 구성된다. 각 경우에, 태양전지(102)는 2차적 광학 구성요소(secondary optical element)(104)로부터 집중된 태양 에너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위치된다.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는 태양전지(102), 및 렌즈와 같은 1차적인 집중 구성요소(primary focusing element)(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위치된다.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는 태양전지(102)의 상부 표면을 향하는 상응하는 렌즈에 의하여 집중된 태양 에너지를 수집하도록 일반적으로 설계된다.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는 상응하는 렌즈로부터 광 빔(light beam)을 수용하는 입구 개구부(entry aperature)(105), 및 광 빔을 태양전지(102)로 전달하는 출구 개구부(exit aperature)(107)를 포함한다.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는 개구부(105) 및 개구부(107) 사이에 중간 영역(intermediate region)(112)을 포함한다. 이상적 조건하에서,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에 관련된 렌즈는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에 대한 라이트 히팅(light hitting) 없이, 광을 태양전지(102)에 직접적으로 집중시킨다.
대부분의 환경에서, 렌즈는 광을 태양전지(102) 상에 직접적으로 집중시키지 않는다. 이는 굴절형 렌즈 디자인(refractive lens design)의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구성(constsruction) 중 렌즈에 대한 태양전지(102)의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 트랙커 오류(tracker error)에 기인하는 동작(operation) 중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 구조적 플렉싱(structural flexing) 및 풍하중(wind raod)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다양한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조건하에서, 렌즈는 광이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에 반사되도록 광을 집중한다. 이상적인 설정(ideal setup)과 미스얼라인된 설정(misaligned setup) 사이의 차이는 1°보다 작은 렌즈 위치의 미세한 변화일 수 있다.
따라서,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는 상응하는 렌즈가 태양전지(102) 상에 광을 직접적으로 집중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더 많은 광이 태양전지(102)에 도달되도록 하는 광 흘림 방지제(light spill catcher)로서 작용된다.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는 전체적으로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되는, 2009년 3월 12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2/402814호에 개시된 종류와 같은 반사형 다층 중간 영역(reflective multi-layer intermediate region)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형 다층 중간 영역은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에서 태양전지(102)로 전달되는 광 빔의 반사율(reflectivity)이 입사 태양 스펙트럼(incident solar spectrum)에 걸쳐 태양전지(102)의 표면에 응집 방사 조도(aggregate irradiance)를 최적화하도록,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의 몸체(112) 내부 표면은 은 또는 다른 고반사율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일부 경우, 반사 코팅(reflective coating)은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를 산화, 변색(tarnish) 또는 부식(corrosion)에 대하여 보호하기 위하여, SiO2와 같은 패시베이션 코팅(passivation coating)에 의하여 보호된다.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의 몸체(112)는 일 이상의 패스너(fastener)(118)를 통하여 몸체(112)를 브래킷(bracket)(116)에 부착시키기 위한 일 이상의 마운팅 탭(mounting tab)(114)을 갖는다. 브래킷(116)은 일 이상의 패스너(122)를 통하여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를 히트싱크(120)에 탑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브래킷(116)은 작동 중에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에 의하여 생성된 열 에너지가 히트싱크(120)로 이동되어 소멸되도록, 열전도성(thermally conductive)이다. 이 구현예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는 4개의 반사벽(reflective wall)을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이한 형태(예를 들어, 삼각형 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3면)이 채용될 수 있다.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유리 또는 다른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집광기(concentrator)(106)는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의 출구 개구부(107)와 태양전지(102) 사이에 배치된다. 집광기(106)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며, 광학적 입구(optical inlet)(108) 및 광학적 출구(optical outlet)(110)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집광기(106)는 고체 유리(solid glass)이다. 집광기(106)는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를 나오는 광을 증폭하고, 증폭된 광을 태양전지(102)로 향하도록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집광기(106)는 입구(108)로부터 출구(110)로 점점 가늘어지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집광기(106)의 광학적 입구(108)는 사각형이고, 약 2 ㎝ × 2 ㎝이며, 광학적 출구(110)는 약 0.9 ㎝ × 0.9 ㎝이다. 집광기(106)의 크기는 태양전지 모듈 및 리시버의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광학적 출구(110)의 크기는 태양전지(102)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집광기(106)는 2X 집광기이다. 집광기(106)의 하부 표면은 실리콘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태양전지(102)의 상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태양전지(102)는 광기전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하여 입사된 태양광을 직접적으로 전기(electricity)로 변환시킨다.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124)는 태양전지(102)와 병렬로 연결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오드(124)는 쇼트키 바이패스 다이오드(Schottky bypass diode) 또는 에피택셜 성장된 p-n 접합(epitaxially grown p-n junction)과 같은 반도체 소자이다. 설명을 위하여, 바이패스 다이오드(124)는 쇼트키 바이패스 다이오드이다. 외부 연결 단자(125, 127)는 태양전지(102)와 다이오드(124)를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인접한 태양전지 리시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바이패스 다이오드(124)의 기능성은 직렬로 연결된 다중 태양전지(102)를 고려함으로써 인식될 수 있다. 각각의 태양전지(102)는 배터리(battery)로서 그려질 수 있으며, 각각의 다이오드(124)의 캐소드(cathode)는 관련된(associated) "배터리"의 양극 단자(positive terminal)에 연결되고, 각각의 다이오드(124)의 애노드(anode)는 관련된 "배터리"의 음극 단자(negative terminal)에 연결된다.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리시버(100)의 하나가 손상되거나, 그늘지게 되는(shadowed) 경우, 그 전압 출력(voltage output)이 감소되거나 제거된다(예를 들어, 다이오드(124)에 관련된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이하로). 따라서, 관련된 다이오드(124)는 포워드 바이어스되고(forward biased), 바이패스 전류(bypass current)는 그 다이오드(124)(태양전지(102)가 아닌)를 통해서만 흐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손상되지 않은, 또는 그늘지지 않은 태양전지 리시버(100)는 그러한 태양전지에 의하여 수용된 태양 에너지로부터 계속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바이패스 다이오드(124)가 아닌 경우, 다른 태양전지 리시버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의 실질적으로 전부가 그늘진 또는 손상된 태양전지 리시버를 통과하여, 그를 파괴하고 예를 들어 패널(panel) 또는 어레이(array) 내에 개회로(open circuit)를 생성한다. 태양전지 리시버(100)는 태양전지(102)를 탑재하기 위한 알루미나 기판과 같은 세라믹 기판(126), 및 작동 중에 태양전지(102)에 의하여 생성된 열을 소멸시키기 위한 히트싱크(120)를 포함한다.
도 2는 태양전지(102) 및 세라믹 기판(126)을 좀더 상세하게 나타낸다. 세라믹 기판(126)은 금속화 상부 및 하부 표면(128, 130)을 갖는다. 세라믹 기판(126)의 양 표면(128, 130)은 금속화되어 세라믹 기판(126)의 열전달용량(heat transfer capacity)을 증가시켜, 태양전지 리시버(100)가 태양전지 작동 조건의 갑작스런 변화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급속한 온도 변화를 더욱 적절하게 다룰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102)는 광을 전기로 변환시킬 때 열 에너지를 생성한다. 세라믹 기판(126)의 상부 및 하부 표면(128, 130)의 모두를 금속화함으로써, 태양전지(102)로부터 히트싱크(120)로 열 에너지를 더 빠르게 전달하여 소멸시키게 된다. 태양전지(102)가 갑자기 그늘지게 되는 경우, 반대 상황이 일어난다. 즉, 태양전지(102)는 전기 생성을 중단하고,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와 같이 급속히 냉각된다. 세라믹 기판(126)의 금속화 상부 및 하부 표면(128, 130)은 열 에너지를 히트싱크(120)로부터 태양전지(102)로, 및 열적 조건에 따라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로 전달함으로써, 태양전지(102)가 너무나 급속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태양전지 리시버(100)의 증가된 열전달용량은 급속한 온도 변화 중에 태양전지(102)와 세라믹 기판(126) 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에 주어지는 스트레스(stress)의 양을 감소시켜, 태양전지-대-기판 인터페이스를 신뢰성 있게 한다.
세라믹 기판(126)의 금속화 상부 표면(128)은 태양전지(102)와 접촉하고, 태양전지(102)에 대한 격리된 전기전도성 경로(isolated electrically conductive paths)를 제공하기 위한 분리된 전도성 영역(separated conductive regions)(132, 134)을 갖는다. 제1 전도성 영역(132)은 태양전지(102)에 대한 애노드 전기적 접점(anode electrical contact point)을 제공하고, 제2 전도성 영역(134)은 태양전지(102)에 대한 캐소드 전기적 접점(cathode electrical contact point)을 제공한다. 태양전지(102)는 도 2에는 보이지 않으나, 도 3의 단면에 보이며, 세라믹 기판(126)의 금속화 상부 표면(128)의 제1 전도성 영역(132) 상에 위치하고, 이에 연결되는, 전도성 하부 표면(136)을 갖는다. 태양전지(102)의 반대되는 상부 표면(138)은 세라믹 기판(126)의 제2 전도성 영역(134)에 연결된 전도성 접촉 영역(conductive contact area)(140)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태양전지(102)의 전도성 하부 표면(136)은 태양전지(102)의 애노드 단자(anode terminal)를 형성하고, 태양전지(102)의 상부 표면(138)에 배치된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캐소드 단자(cathode terminal)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전지(102)의 전도성 하부 표면(136)은 세라믹 기판(126)의 제1 전도성 영역(132) 상에 위치하며, 태양전지(102)의 적절한 작동을 위하여 제2 전도성 영역(134)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세라믹 기판(126)의 제1 전도성 영역(132)은 세라믹 기판(126)의 주변 영역 주위에 제2 전도성 영역(134)에 의하여 3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일 실시예에서, 태양전지(102)의 상부 표면(138)에 배치된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태양전지(102)의 주위를 차지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부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원하는 연결 형태(connection type)를 수용하기 위하여 더 작거나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태양전지(102)의 단지 1면, 2면 또는 3면(또는 그 일부)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부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영역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작게 만들어진다. 태양전지(102)의 특정 크기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달라지나, 표준 크기는 약 1 ㎠이다. 예를 들어, 표준 크기 설정은 전체적으로 약 12.58 ㎜ × 12.58 ㎜, 두께는 약 0.160 ㎜, 총 활성 영역(total active area)은 약 108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2.58 ㎜ × 12.58 ㎜인 태양전지(102)에서, 상부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폭이 약 0.98 ㎜이고, 활성 영역이 약 10 ㎜ × 10 ㎜일 수 있다.
태양전지(102)의 상부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다양한 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구리, 은, 및/또는 금-코팅된 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광을 수용하는 것은 태양전지(102)의 n-전도도 캐소드(n-conductivity cathode)(즉, 이미터(emitter))이고, 따라서, 상부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태양전지(102)의 캐소드 측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태양전지(102)의 상부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일 이상의 본딩 와이어(bonding wire)(142)를 통하여 세라믹 기판(126)의 금속화 상부 표면(128)의 제2 전도성 영역(134)에 와이어 본딩된다(wire bonded).
바이패스 다이오드는 세라믹 기판(126)의 금속화 상부 표면(128)의 제1 전도성 영역(132)을 제2 전도성 영역(134)에 결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다이오드(124)의 캐소드 단자는 세라믹 기판(126)의 제1 전도성 영역(132)을 통하여 태양전지(102)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되고, 바이패스 다이오드(124)의 애노드 단자는 세라믹 기판(126)의 제2 전도성 영역(134)을 통하여 태양전지(102)의 캐소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태양전지(102)의 애노드 단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102)의 하부 전도성 표면(136)에 의하여 형성되고, 도 2에는 보이지 않으나 도 3의 단면에 보인다. 태양전지(102)의 캐소드 단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102)의 상부 전도성 접촉 영역(140)에 의하여 형성된다. 세라믹 기판(126)의 금속화 상부 표면(128) 상에 배치된 외부 연결 단자(125, 127)는 소자와, 태양전지(102)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124)와의 전기적 결합(electrical coupling)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결기 단자(connector terminals)(125, 127)는 애노드 단자 및 캐소드 단자에 상응하고, 인접한 태양전지 리시버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리셉터클 플러그(receptacle plug)(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세라믹 기판(126)의 상부 표면(128)은 금속화 층(metallization layers)(132, 134)을 기판에 부착함으로써 금속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홀(hloes)(144)이 금속화 층(132, 134) 내에 형성된다. 도 2는 상부 기판 표면(128)에 부착된 2개의 금속화 층(132, 134)을 갖는 세라믹 기판(126)을 나타낸다(하부 금속화 표면은 도 2에 보이지 않으며 도 3의 단면에 보여진다). 상응하는 범프(bumps)(146)(도 2에 보이지 않으며, 도 3의 단면에 보여짐)는 세라믹 기판(10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범프(146)는 금속화 층(132, 134) 내에 형성된 홀(14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진다. 다음으로, 금속화 층(132, 134) 내의 홀(144)은 땜납(solder) 또는 접착제와 같은 다른 형태의 결합 물질(bonding material)로 채워져, 금속화 층(132, 134)을 세라믹 기판(126)의 상부 표면(128)에 부착시킨다. 세라믹 기판(126)의 하부 표면(130)은 유사하게 금속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범프가 세라믹 기판(126) 상에 제공되지 않고, 기판은 정상적인 제작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s) 내에서 상대적으로 평면이다.
도 3은 도 1에 X-X'으로 표시된 선을 따라 태양전지 리시버(100)의 태양전지(102), 세라믹 기판(126) 및 히트싱크(12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2차적 광학 구성요소(104), 집광기(light concentrator)(106) 및 단자(125, 127)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되지 않는다. 세라믹 기판(126)의 상부 및 하부 표면(128, 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화 층을 세라믹 기판(126)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금속화 층(132, 134, 148) 내에 형성된 홀(14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지는 범프(146)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세라믹 기판(126)은 정상적인 제작 공차 내에서 상대적으로 평평하다. 어떠한 경우에도, 세라믹 기판(126)의 상부 및 하부 표면(128, 130)은 금속화된다. 세라믹 기판(126)의 상부 금속화 표면(128)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102)에 대한 전기적으로 분리된 애노드 및 캐소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분리된 전도성 영역(132, 134)을 갖는다.
태양전지(102)는 세라믹 기판(126)의 금속화 상부 표면(128)의 전도성 영역(132)에 연결된 전도성 하부 표면(136)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태양전지(102)의 전도성 하부 표면(136)은 태양전지(102)의 애노드 단자를 형성하고, 태양전지(102)의 상부 표면(138)에 배치된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태양전지(102)의 캐소드 단자를 형성한다. 태양전지(102)의 전도성 하부 표면(136)은 세라믹 기판(126)의 금속화 상부 표면(128)의 제1 전도성 영역(132) 상에 위치하고, 태양전지(102)가 적절하게 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전도성 영역(134)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세라믹 기판(102)의 하부 표면(130)은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metal-filled epoxy adhesive) 또는 땜납과 같은 고 열전도성 부착 매체(highly thermally conductive attach media)(150)로 히트싱크(120)에 결합된 금속화 층(148)을 갖는다. 실리콘과 같은 에폭시 접착제에 금속을 충진시키면 세라믹 기판(126)과 히트싱크(120)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가 증가되고, 태양전지 리시버(100)의 열 전달 특성이 향상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 열전도성 부착 매체(150)는 약 1 내지 3 밀(mils)의 두께 t epoxy 를 갖는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이다.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는 세라믹 기판(126)의 하부 금속화 표면(130), 히트싱크(120), 또는 양쪽 모두에 적용될 수 있고, 다음으로 경화되어 히트싱크(120)를 기판(126)에 결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히트싱크(120)는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단일편 압출 알루미늄 히트싱크(single-piece extruded heat sink)이다.
태양전지 리시버(100)는 금속화 세라믹 기판(126)을 제공하고, 태양전지(102)의 전도성 하부 표면(136)을 기판(126)의 금속화 상부 표면(138)의 제1 전도성 영역(132)에 연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태양전지(102)의 상부 표면(138)에 배치된 전도성 접촉 영역(140)은 예를 들어, 일 이상의 본드 와이어(bond wire)(142)를 통하여 세라믹 기판(126)의 금속화 상부 표면(128)의 제2 전도성 영역(134)에 연결된다. 히트싱크(120)는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120)에 의하여 세라믹 기판(126)의 하부 금속화 표면(130)에 결합된다.

Claims (23)

  1. 분리된 전도성 영역(separated conductive regions)을 갖는 제1 금속화 표면(first metallized surface), 및 반대되는 제2 금속화 표면(opposing second metallized surface)을 갖는 세라믹 기판;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전도성 영역의 제1 영역과 연결된 전도성 제1 표면(conductive first surface), 및 상기 전도성 영역의 제2 영역과 연결된 전도성 접촉 영역(conductive contact area)을 갖는 반대되는 제2 표면(opposing second surface)을 갖는 태양전지; 및
    열전도성 부착 매체(thermally conductive attach media)에 의하여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2 금속화 표면에 결합된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 리시버(solar cell receiv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애노드 단자(anode terminal)는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1 전도성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태양전지의 캐소드 단자(cathode terminal)는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2 전도성 영역에 연결되는
    태양전지 리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1 전도성 영역은 상기 세라믹 기판의 주변 영역 주위에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2 전도성 영역에 의하여 3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태양전지 리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전도성 제1 표면은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1 전도성 영역 상에 위치하고,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2 전도성 영역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태양전지 리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전도성 접촉 영역은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2 전도성 영역에 와이어 본딩되고(wire bonded),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1 전도성 영역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태양전지 리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다중접합 태양전지(multijunction solar cell)인
    태양전지 리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압출 알루미늄 히트싱크(extruded aluminum heat sink)인
    태양전지 리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부착 매체는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metal-filled epoxy adhesive)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는 약 1 내지 3 밀(mils)의 두께를 갖는
    태양전지 리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1 전도성 영역을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2 전도성 영역에 결합(coupling)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히트싱크에 열적으로 연결되는 2차적 광학 구성요소(second optical elem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적 광학 구성요소는 일 이상의 반사 표면(reflective surfaces),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반대로 향하는(face away) 확대된 입구(enlarged inlet), 및 상기 태양전지를 향하는 더 작은 출구(smaller outlet)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및 2차적 광학 구성요소 사이에 배열된 집광기(light concentrator)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
  13. 분리된 전도성 영역(separated conductive regions)을 갖는 제1 금속화 표면(first metallized surface), 및 반대되는 제2 금속화 표면(opposing second metallized surface)을 갖는 세라믹 기판;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전도성 영역의 제1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애노드 단자(anode terminal), 및 상기 전도성 영역의 제2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소드 단자(cathode terminal)를 갖는 태양전지;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1 및 제2 전도성 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태양전지와 병렬로(in parallel) 연결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 및
    열전도성 부착 매체(thermally conductive attach media)에 의하여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2 금속화 표면에 결합된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 리시버(solar cell receiver).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1 전도성 영역 상에 위치하고,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2 전도성 영역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태양전지 리시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캐소드 단자는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2 전도성 영역에 와이어 본딩되고,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1 전도성 영역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태양전지 리시버.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다중접합 태양전지인
    태양전지 리시버.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부착 매체는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는 약 1 내지 3 밀(mils)의 두께를 갖는
    태양전지 리시버.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태양전지의 캐소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는 상기 태양전지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되는
    태양전지 리시버.
  20. 제13항에 있어서,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를 갖는 2차적 광학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적 광학 구성요소는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반대로 향하는 입구, 및 상기 태양전지를 향하는 출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2차적 광학 구성요소는 상기 히트싱크에 열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 리시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및 상기 2차적 광학 구성요소 사이에 위치하는 집광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광기는 상기 2차적 광학 구성요소의 출구를 향하는 확대된 제1 말단, 및 상기 태양전지를 향하는 축소된 제2 말단을 갖는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
  23. 분리된 전도성 영역(separated conductive regions)을 갖는 제1 금속화 표면(first metallized surface), 및 반대되는 제2 금속화 표면(opposing second metallized surface)을 갖는 세라믹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태양전지의 전도성 제1 표면을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전도성 영역의 제1 영역에 연결시키는 단계;
    태양전지의 반대되는 제2 표면의 전도성 접촉 영역을 상기 전도성 영역의 제2 영역에 연결시키는 단계; 및
    금속-충진 에폭시 접착제에 의하여 히트싱크를 상기 세라믹 기판의 제2 금속화 표면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리시버의 제조방법.
KR1020100057094A 2009-06-16 2010-06-16 Ⅲ―ⅴ 반도체 태양 전지용 집광형 광기전 시스템 리시버 KR201001352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85,684 US20100313954A1 (en) 2009-06-16 2009-06-16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 Receiver for III-V Semiconductor Solar Cells
US12/485,684 2009-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200A true KR20100135200A (ko) 2010-12-24

Family

ID=4281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094A KR20100135200A (ko) 2009-06-16 2010-06-16 Ⅲ―ⅴ 반도체 태양 전지용 집광형 광기전 시스템 리시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313954A1 (ko)
EP (1) EP2264785A3 (ko)
JP (1) JP2011003896A (ko)
KR (1) KR20100135200A (ko)
CN (1) CN101924157A (ko)
TW (1) TW2011084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010B1 (ko) * 2014-05-16 2014-12-03 주식회사 건영테크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용 광 분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9138B2 (en) 2008-02-11 2014-06-24 Suncore Photovoltaics, Inc.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 modules using III-V semiconductor solar cells
US9331228B2 (en) 2008-02-11 2016-05-03 Suncore Photovoltaics, Inc.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 modules using III-V semiconductor solar cells
CN110082844A (zh) 2009-02-09 2019-08-02 艾克斯瑟乐普林特有限公司 集中器型光电(cpv)模块、接收器和子接收器及其形成方法
US9012771B1 (en) 2009-09-03 2015-04-21 Suncore Photovoltaics, Inc. Solar cell receiver subassembly with a heat shield for use in a concentrating solar system
US9806215B2 (en) 2009-09-03 2017-10-31 Suncore Photovoltaics, Inc. Encapsulated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 subassembly for III-V semiconductor solar cells
AU2010311955B2 (en) * 2009-10-30 2014-03-20 Docter Optics Se Solar concentrator and production method
WO2011050886A2 (de) 2009-10-30 2011-05-05 Docter Optics Gmbh Solarkonzentrator
US9337360B1 (en) 2009-11-16 2016-05-10 Solar Junction Corporation Non-alloyed contacts for III-V based solar cells
US8097484B1 (en) 2010-03-18 2012-01-17 Emcore Solar Power, Inc. Solar cell receiver component placement control with positioning receptacles
US9214586B2 (en) 2010-04-30 2015-12-15 Solar Junction Corporation Semiconductor solar cell package
WO2012072187A2 (de) * 2010-12-03 2012-06-07 Docter Optics Gmbh Solarkonzentrator
US8859892B2 (en) 2011-02-03 2014-10-14 Solar Junction Corporation Integrated semiconductor solar cell package
US8962988B2 (en) 2011-02-03 2015-02-24 Solar Junction Corporation Integrated semiconductor solar cell package
US20120222739A1 (en) * 2011-03-02 2012-09-06 Atomic Energy Council-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Photovoltaic Apparatus
CN104205348B (zh) 2011-12-09 2017-05-31 森普留斯公司 高浓度光电模块及其制造方法
JP2013191643A (ja) * 2012-03-12 2013-09-26 Daido Steel Co Ltd 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のレシーバ
CN102683463A (zh) * 2012-04-16 2012-09-19 成都聚合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聚光光伏的散热器
WO2014028336A2 (en) * 2012-08-11 2014-02-20 Pyron Solar Iii, Llc Solar receiver and conversion apparatus for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s
US9821469B2 (en) * 2012-11-30 2017-11-21 Nikon Corporation Carrier system, exposure apparatus, carrier method, exposure metho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suction device
US9412891B2 (en) 2012-12-17 2016-08-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ermal receiver for high power solar concentrators and method of assembly
US20140182667A1 (en) * 2013-01-03 2014-07-03 Benjamin C. Richards Multijunction solar cell with low band gap absorbing layer in the middle cell
CN104752544A (zh) * 2015-03-27 2015-07-01 日芯光伏科技有限公司 太阳能接收器组件结构
WO2017105581A2 (en) 2015-10-02 2017-06-22 Semprius, Inc. Wafer-integrated, ultra-low profile concentrated photovoltaics (cpv) for space applications
US10090420B2 (en) 2016-01-22 2018-10-02 Solar Junction Corporation Via etch method for back contact multijunction solar cells
US9680035B1 (en) 2016-05-27 2017-06-13 Solar Junction Corporation Surface mount solar cell with integrated coverglass
US20180076339A1 (en) * 2016-09-14 2018-03-15 The Boeing Company Prefabricated conductors on a substrate to facilitate corner connections for a solar cell array
US10763383B2 (en) 2016-09-14 2020-09-01 The Boeing Company Nano-metal connections for a solar cell array
US11967923B2 (en) 2018-03-28 2024-04-23 The Boeing Company Single sheet foldout solar arra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972A (en) * 1985-07-05 1987-12-08 Entech, Inc. Photovoltaic cell cover for use with a primary optical concentrator in a solar energy collector
US5498297A (en) * 1994-09-15 1996-03-12 Entech, Inc. Photovoltaic receiver
IL157716A0 (en) * 2003-09-02 2004-03-28 Eli Shifman Solar energy utilization unit and solar energy utilization system
US20050092360A1 (en) * 2003-10-30 2005-05-05 Roy Clark Optical concentrator for solar cell electrical power generation
US7281793B2 (en) * 2004-03-16 2007-10-16 D Agostino Savino Impact resistant lens, frame and tool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4515817B2 (ja) * 2004-05-18 2010-08-04 株式会社三社電機製作所 太陽電池モジュール接続具
US20060169315A1 (en) * 2005-02-01 2006-08-03 Alexander Levin Modular photovoltaic solar power system
US20060185713A1 (en) * 2005-02-23 2006-08-24 Mook William J Jr Solar panels with liquid superconcentrators exhibiting wide fields of view
US20080083450A1 (en) * 2006-10-04 2008-04-1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of concentrator photovoltaic cells
WO2008153892A1 (en) * 2007-06-06 2008-12-18 Green Volts Inc. Reflective secondary optic for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s
US7807920B2 (en) * 2007-10-30 2010-10-05 Opel, Inc. Concentrated solar photovoltaic module
US7985921B2 (en) * 2007-11-14 2011-07-26 Solfocus, Inc. Systems to retain an optical element on a solar cell
US20090120500A1 (en) * 2007-11-14 2009-05-14 Eric Prather Solar cell package for solar concentrator
US9331228B2 (en) * 2008-02-11 2016-05-03 Suncore Photovoltaics, Inc.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 modules using III-V semiconductor solar cells
US8759138B2 (en) * 2008-02-11 2014-06-24 Suncore Photovoltaics, Inc.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 modules using III-V semiconductor solar ce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010B1 (ko) * 2014-05-16 2014-12-03 주식회사 건영테크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용 광 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4785A3 (en) 2011-01-19
JP2011003896A (ja) 2011-01-06
TW201108428A (en) 2011-03-01
CN101924157A (zh) 2010-12-22
US20100313954A1 (en) 2010-12-16
EP2264785A2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5200A (ko) Ⅲ―ⅴ 반도체 태양 전지용 집광형 광기전 시스템 리시버
US9923112B2 (en)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 modules using III-V semiconductor solar cells
US9806215B2 (en) Encapsulated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 subassembly for III-V semiconductor solar cells
US9331228B2 (en) Concentrated photovoltaic system modules using III-V semiconductor solar cells
KR101224923B1 (ko) Ⅲ-ⅴ 반도체 태양 전지를 이용한 집중식 태양광 시스템 모듈
AU2010257428B2 (en) Solar cell structure with integrated discrete by-pass diode
ES2400634B2 (es) Módulos de sistema fotovoltaico de concentración usando células solares de semiconductores iii-v.
US20150027513A1 (en) Semiconductor substrate for a photovoltaic power module
US10804420B2 (en) Solar cell arrays for concentrator photovoltaic modules
US9012771B1 (en) Solar cell receiver subassembly with a heat shield for use in a concentrating solar system
US20220416106A1 (en) Concentrator photovoltaic module
KR20130052989A (ko) 고방열 집광형 태양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