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874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874A
KR20100133874A KR1020090102446A KR20090102446A KR20100133874A KR 20100133874 A KR20100133874 A KR 20100133874A KR 1020090102446 A KR1020090102446 A KR 1020090102446A KR 20090102446 A KR20090102446 A KR 20090102446A KR 20100133874 A KR20100133874 A KR 20100133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management message
subframe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문
타오리 라케쉬
손중제
강현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95,01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316007A1/en
Priority to JP2010131242A priority patent/JP2010288275A/ja
Priority to EP10165457A priority patent/EP2262325A2/en
Priority to CN201010229272.0A priority patent/CN101925014B/zh
Publication of KR2010013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방송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타입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송 관리 메시지, 트래픽 지시 메시지, 페이징 광고 메시지, 슬립 모드, 아이들 모드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PLURAL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 이하 '4G'라 칭함)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 칭함)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 이하 'LAN'이라 칭함)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 이하 'MAN'이라 칭함)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 : BWA)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 과 QoS를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이다.
도 1은 일반적인 IEEE 802.16m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IEEE 802.16m 프레임 구조는, 수퍼 프레임(Super-frame)(100), 프레임(Frame)(102), 서브 프레임(Sub-frame)(104)의 계층적인(hierarchical) 구조를 가지고 있다. 20msec 주기의 상기 수퍼 프레임(100)은 각각 5msec 주기의 4개의 프레임(102)들로 구성되고, 각 프레임(102)은 8개의 서브 프레임(104)들로 구성되며, 각 서브 프레임(104)은 다수개(예, 6개)의 OFDMA 심볼들(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8개의 서브 프레임(104)들 중 앞에 위치한 다수개(예, 5개)의 서브 프레임들로 하향링크(Downlink : DL) 구간이 구성되고, 나머지(예, 3개) 서브 프레임들로 상향링크(Uplink : UL) 구간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구간과 상향링크 구간은 8개의 서브 프레임(104)을 몇대 몇으로 나누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하향링크 구간의 상세 구조에 대해 이후 도 2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IEEE 802.16m 시스템의 상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구간의 윗부분에는 매 서브 프레임마다 혹 은 매 2개의 서브 프레임마다 A(advanced)-MAP 영역(region)이 존재하며, 상기 A-MAP 영역에는 하향링크 자원할당정보를 포함하는 A-MAP IE(212, 214)가 전송된다. 상기 A-MAP 영역(200, 204)은 Non-user specific 영역과 User-specific 영역으로 구성되며, User-pecific 영역에 A-MAP IE가 포함된다. 또한, A-MAP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제어메시지(시그널링 메시지) 혹은 트래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혹은 패킷)(202, 206, 208)가 전송된다. 이때,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버스트(202, 206, 208)의 할당은 서브 프레임의 윗부분을 차지하는 A-MAP 영역 안에 포함된 A-MAP IE(212, 214)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매 서브 프레임마다 전송되는 A-MAP IE(212, 214)는, 해당 서브 프레임의 나머지 영역에 전송되는 데이터 버스트(202)들의 할당정보(즉,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매 2개의 서브 프레임마다 전송되는 A-MAP IE(212, 214)는, 해당 2개의 서브 프레임의 나머지 영역에 전송되는 데이터 버스트(206, 208)들의 할당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A-MAP 영역은 크게 Non-user-specific 필드(field)와 user-specific 필드를 포함한다.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210)가 포함되며, A-MAP 영역의 크기 정보(210)를 통해 A-MAP 영역의 경계(boundary)를 파악할 수 있다. 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IE들(212, 214)이 포함되며, A-MAP IE들(212, 214)을 통해 대응하는 데이터 버스트들(220, 222)에 대한 할당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도 2에서, A-MAP 영역 안에 포함된 A-MAP IE들(212, 214) 중, A-MAP IE #1(212)은 Data Burst #1(220)에 대한 할당정 보를 나타낸 것이며, A-MAP IE #2(214)는 Data Burst #2(222)에 대한 할당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단말들은 A-MAP 영역 안에 포함된 A-MAP IE들을 수신 및 디코딩하여 자신의 데이터 버스트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한 후, 파악된 위치에서 파악된 크기의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 IEEE 802.16m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서비스 영역 내 단말들에게 방송 관리(Broadcast Management)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며, 단말은 이를 수신함으로써 단말 운용에 필요한 제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로는, 트래픽 지시(MOB_TRF-IND : Mobile Traffic Indication) 메시지, 페이징 광고(MOB_PAG-ADV : Mobile Paging Advertizement) 메시지 등이 있다.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는 다수개가 한꺼번에 방송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가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방송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규격에서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데이터 버스트에 대한 할당정보를 나타내는 A-MAP IE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기지국은 A-MAP IE를 통해 단말에게 방송 관리 메시지의 데이터 버스트에 대한 위치와 크기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지 않는다. 다만, 방송 관리 메시지의 데이터 버스트가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위치한다고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가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방송될 경우, 단말은 어떤 메시지가 전송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오정보를 획득하여 오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도 2와 같이, 트래픽 지시 메시지(216)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218)가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방송될 수 있다.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슬립(Sleep) 모드와 아이들(Idle) 모드를 정의하고 있다. 임의 단말에 대하여 일정 시간(슬립 타이머(timer)) 동안 송수신 트래픽이 없을 경우, 단말의 상태를 슬립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임의 단말에 대하여 일정 시간(아이들 타이머) 동안 송수신 트래픽이 없을 경우, 단말의 상태를 아이들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시스템 입장에서 슬립모드와 아이들 모드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차이점들이 있다. 첫째, 기지국 제어기는 활성(awake) 모드와 슬립모드 모두를 어웨이크인 것처럼 단말에 대한 모든 정보(CID 및 스케줄링 정보 등)를 유지/관리한다. 둘째, 아이들 모드에 대해서는 단말과 시스템간의 통신을 위한 모든 MAC 계층 네임 태그(MAC layer name tag, 예 : B-CIS, P-CID, T-CID)들을 해제한다. 섹터나 기지국간 이동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슬립모드 단말은 활성모드로 천이하여 핸드오버(HO : Handover) 절차를 진행한다. 반면, 기지국간 이동시 아이들 모드 단말은 핸드오버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위치 갱신(location update) 절차를 진행한다.
단말은 슬립 모드로의 상태 천이를 요청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슬립 요청(MOB_SLP-REQ : Mobile Sleep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슬립 응답(SLP-RSP : Sleep Request)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여 슬립 모드로의 천이 동작을 허락한다. 이후, 단말은 시작 프레임 넘버(Start_Frame_Number)가 지시하는 시점에 슬립 모드로 상태 천이하여 슬립 윈도우(Sleep Window) 동안 슬립 모드를 수행한다. 슬립 모드 수행중인 단말에 대해 패 킷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리스닝 윈도우(Listening Window) 동안에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로 전송될 패킷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려야 한다. 또한, 단말는 리스닝 윈도우 동안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 자신에게로 전송될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상기 확인 결과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자신에게로 전송될 패킷 데이터가 존재함이 감지되면, 단말은 활성 모드로 상태 천이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단말 자신에게로 전송될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이 감지될 경우, 단말은 다시 슬립 모드로 돌아가 다음 리스닝 윈도우 때까지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반대로, 슬립 모드를 수행중인 단말이 기지국으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은 대역폭 요청(BW request)을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활성 모드로 상태 천이할 수 있다.
단말은 아이들 모드로의 상태 천이를 요청하기 위해 현재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으로 등록해제 요청(DREG-REQ : De-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빙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해제 명령(DREG-CMD : De-Registration Command)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하여 아이들 모드로의 천이 동작을 허락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하여 아이들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등록해제 명령 메시지는 페이징 정보 TLV(Paging Information TLV(Type/Length/Value))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징 정보 TLV 필드는 페이징 그룹 식별자(Paging Group Identifier), 페이징 주기(Paging Cycle) 및 페이징 오프셋(Paging Offset)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징 그룹 식별자 파라미터는 페이징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자로, 상기 페이징 그룹은 다수의 셀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페이징 주기 파라미터는 단말이 요청한 페이징 주기 요구(Paging Cycle Request)를 참조하여 결정되는 호출 주기이다. 상기 페이징 오프셋 파라미터는 프레임 번호와 상기 페이징 주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단말을 호출할 수 있는 시점을 결정할 때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다. 아이들 모드 수행중인 단말은 상기 페이징 주기 파라미터와 페이징 오프셋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페이징 리스닝 인터벌(Paging Listening Interval)을 결정하며, 상기 페이징 리스닝 인터벌 동안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수신 대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페이징 광고 메시지는 단말이 아이들 모드를 계속 유지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다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가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방송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방송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슬립모드 수행중인 단말의 리스닝 윈도우와 아이들 모드 수행중인 단말의 페이징 리스닝 인터벌은, 도 3과 같이, 교차할 수 있으며, 시간적으로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서브 프레임을 다르게 하여 전송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슬립 모드 내지 아이들 모드 모두 미리 협상된 서브 프레임 내에서 단말이 깨어나야 하는 제한 조건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슬립 모드 수행중인 단말과 아이들 모드 수행중인 단말은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깨어날 수 있다. 이 경우, A-MAP IE를 통해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데이터 버스트에 대한 할당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주 지 않기 때문에, 단말입장에서는 어떤 메시지가 먼저 전송될지 알 수 없다. 따라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먼저 전송되는 경우, 아이들 모드 수행중인 단말은 그 사실을 모른채,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전송된다고 간주하여 페이징 정보를 파싱(parsing)하게 되며, 결국 오정보를 얻게 된다. 즉, 기지국이 해당 단말에 대해 페이징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페이징한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먼저 전송된다면, 슬립모드 수행중인 단말도 오정보를 얻게 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단말 입장에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 어떤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메시지의 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해 기지국이 관련 정보를 전송해 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 특히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EEE 802.16m 시스템에서 단말의 슬립모드 및 아이들 모드 동작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방송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타입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는 서브 프레임 내 전송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는 서브 프레임 내 전송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타입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방송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타입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생성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 하는 프레임 매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고,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는 프레임 디매핑기와, 여기서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는 서브 프레임 내 전송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는 서브 프레임 내 전송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타입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와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해석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해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브 프레임 내 전송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를 정의하기 위한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새로 정의하고, 이를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의 위치 및 크기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적은 오버헤드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IEEE 802.16m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설명에서, 방송 관리 메시지는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그외 해당 데이터 버스트에 대한 할당정보를 나타내는 A-MAP IE가 존재하지 않는 모든 방송 관리 메시지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서브 프레임 내에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데이터 버스트 다음에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데이터 버스트가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서브 프레임 내 상기 두 메시지의 데이터 버스트의 위치는 서로 반대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슬립 모드 수행중인 단말은 '슬립 모드 단말', 아이들 모드 수행중인 단말은 '아이들 모드 단말'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기 정해진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가 존재하며, 기지국은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해당 서브 프레임에 전송되는 복수의 방송 관리 메시지들(예를 들어,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402, 404)을 정의하기 위한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400)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서브 프레임을 수신 및 디코딩해야 하는 모든 슬립 모드 단말 및 아이들 모드 단말은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400)는 하기 <표 1>과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Existence of MOB_TRF-IND 1
Existence of MOB_PAG-ADV 1
If(Existence of MOB_TRF-IND ==1) { -
Size of MOB_TRF-IND 10
MCS information for MOB_TRF-IND 6
} -
If(Existence of MOB_PAG-ADV ==1) { -
Size of MOB_PAG-ADV 10
MCS information for MOB_PAG-ADV 6
} -
Padding Variable If needed, for alignment to bytes boundary.
여기서, 상기 Existence of MOB_TRF-IND 필드는 서브 프레임 내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존재유무를 나타낸다. 상기 Existence of MOB_TRF-IND 필드에 설정된 값이 '1'이면, 이는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전송됨을 의미한다. 상기 Size of MOB_TRF-IND 필드는 상기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크기를 나타내며, 상기 MCS information for MOB_TRF-IND 필드는 상기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MCS 레벨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상기 Existence of MOB_PAG-ADV 필드는 서브 프레임 내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존재유무를 나타낸다. 상기 Existence of MOB_PAG-ADV 필드에 설정된 값이 '1'이면, 이는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Existence of MOB_TRF-IND 필드에 설정된 값이 '0'인 경우) 또는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Existence of MOB_TRF-IND 필드에 설정된 값이 '1'인 경우)에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전송됨을 의미한다. 상기 Size of MOB_PAG-ADV 필드는 상기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크기를 나타내며, 상기 MCS information for MOB_PAG-ADV 필드는 상기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MCS 레벨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MCS 레벨이 고정된 값(대개 Robustest MCS)으로 기 정해져있는 경우, 상기 <표 1>에서 MCS information for MOB_TRF-IND 필드와 MCS information for MOB_PAG-ADV 필드는 생략할 수 있다. 그렇게 된다면, 상기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를 더욱 작은 크기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할당된 비트의 수는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도 당연히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501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을 통해 송신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여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에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매핑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3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버스트에 대한 할당정보를 나타내는 A-MAP IE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A-MAP IE를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에 매핑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5단계에서 전송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 관리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은 방송 관리 메시지별로 전송 주기에 따른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서브 프레임이 전송 시점인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서브 프레임이 전송 시점인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함이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은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되는 단말이 존재함이 판단될 시,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송이 요구되는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7단계에서 전체 방송 관리 메시지별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와,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9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11단계에서 전송이 요구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들을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들에 순서대로 매핑한다. 예를 들어,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매핑하고, 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매핑할 수 있으며, 혹은 그 반대로 매핑할 수도 있다. 이로써, 서브 프레임의 구성을 완료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13단계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을 단말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601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서브 프레임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601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이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은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에서 A-MAP IE를 추출하고, 605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A-MAP IE를 이용하여 단말 자신에게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버스트에 대한 할당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07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버스트에서 자신의 데이터 패킷을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09단계에서 서브 프레임 내 상기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서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고, 611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한다. 즉, 전체 방송 관리 메시지별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와,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13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전체 방송 관리 메시지별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이 요구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슬립 모드 단말의 경우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므로 서브 프레임 내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아이들 모드 단말의 경우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므로 서브 프레임 내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615단계에서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들 중 대응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수신이 요구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내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존재하고, 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슬립 모드 단말은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추출하고, 아이들 모드 단말은 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방송 관리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1비트)(700)가 포함된다.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트(700)는 '0'의 값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방송 관리 메시지 범주에 속하는 트래픽 지시 메시지 및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것이므로, 결국 A-MAP 영역 바로 뒤에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슬립 모드 단말 및 아이들 모드 단말은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반면, 상기 비트(700)는 '1'의 값으로 설정된 경우, 이는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함을 나타내므로, 슬립 모드 단말 및 아이들 모드 단말은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해야 한다.
상기 비트(700)가 '1'의 값으로 설정된 경우,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기 정해진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가 존재하며,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방송 관리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유무에 대한 비트맵을 포함하는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702)가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702)는 하기 <표 2>와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The bitmap for existence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16 Each bit is assigned to each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여기서, 상기 The bitmap for existence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유무에 대한 비트맵을 나타내며, 비트맵 내 각 비트는 대응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유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비트맵을 이용하여 방송 관리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유무를 나타낼 경우, 비트 자체로서 방송 관리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방송 관리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기 위한 Type 필드를 따로 추가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MSB 1번째 비트에 할당되고,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2번째 비트에 할당되어 있는 경우, MSB 1번째 비트가 '1'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은 서브 프레임 내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존재함을 알 수 있고, 2번째 비트가 '1'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은 서브 프레임 내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는, 비트맵 내에서 '1'의 값으로 설정된 비트들 각각에 대응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704)가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704)는 하기 <표 3>과 같은 L format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L format () {
For(i=0; i< The number of ‘1’ in The bitmap for existence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i++) {
Length 12 The length of each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whose bit is set to ‘1’ in the predefined fixed-sized data burst
}
}
여기서, 상기 Length 필드의 개수는, 상기 The bitmap for existence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에서 '1'의 값으로 설정된 비트들의 총 개수와 동일하며, 각각의 Length 필드는 상기 The bitmap for existence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에서 '1'의 값으로 설정된 비트들의 순서와 동일하다. 즉, 상기 Length 필드는 비트맵 내 '1'의 값으로 설정된 비트에 대응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단말은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702)와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704)를 통해 서브 프레임 내에 어떤 방송 관리 메시지들이, 몇 개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방송 관리 메시지들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 3>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 3>에 padding 필드를 더 포함시켜, 여분의 비트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 2>의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와 상기 <표 3>의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는, 상기와 같이 분리하여 전송할 필요 없이, 하나의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7에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702)와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704) 각각의 전송을 위한 두 개의 데이터 버스트가 아닌, 하나의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가 필요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트래픽 지시 메시지는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MOB_TRF-IND_I)(802)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와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MOB_TRF-IND_II)(804)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다른 형태의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새로이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는 최소 두개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804)의 존재 여부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두개 이하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 지시 정보의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의 전송만으로도 충분하지만, 그 이상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 지시 정보의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추가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804)의 전송이 필요하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 지시 정보의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에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804)의 존재 여부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여, 슬립 모드 단말이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와 함께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804)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1비트)(800)가 포함된다.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는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를 전송한다.
슬립 모드 단말은 상기 비트(800)를 통해 서브 프레임 내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의 존재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 내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트(800)는 '0'의 값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슬립 모드 단말은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반면, 상기 비트(800)가 '1'의 값으로 설정된 경우, 이는 서브 프레임 내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가 존재함을 나타내므로, 슬립 모드 단말은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해야 한다. 물론, 슬립 모드 단말이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를 수신하는 것으로 기 정해져 있다면, 슬립 모드 단말은 상기 비트(800)를 디코딩할 필요없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하여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를 획득할 수 있다.
아이들 모드 단말의 경우, 상기 비트(800)를 반드시 디코딩해야 한다. 상기 비트(800)가 '1'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은 서브 프레임 내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가 존재함을 파악하고,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하여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를 획득하여야 한다. 상기 아이들 모드 단말은 상기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802)에 포함되어 있는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804)의 존재 여부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전체 트래픽 지시 메시지들(802, 804)의 끝 지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페이징 광고 메시지(806)의 시작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아이들 모드 단말은 해당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하여 페이징 광고 메시지(806)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901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을 통해 송신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여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에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매핑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903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버스트에 대한 할당정보를 나타내는 A-MAP IE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905단계에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기지국은 전송 주기에 따라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서브 프레임이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전송 시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서브 프레임이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전송 시점임이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은 슬립 단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슬립 단말이 존재함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전송 요구 판단 결과에 따라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907단계에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와 A-MAP IE를 A-MAP 영역에 매핑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909단계에서 두 개의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생성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즉,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생성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는 최소 두개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두개 이하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 지시 정보의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전송만으로도 충분하지만, 그 이상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 지시 정보의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추가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전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는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존재 여부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909단계에서, 두 개의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생성이 필요하지 않음이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은 911단계에서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913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한다. 이로써, 서브 프레임의 구성을 완료한 후, 상기 기지국은 915단계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을 단말로 전송한다.
반면, 상기 909단계에서, 두 개의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생성이 필요함이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은 917단계에서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와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919단계에서 상기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고, 9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한다. 이로써, 서브 프레임의 구성을 완료한 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915단계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을 단말로 전송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또는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전송되는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또는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전송되는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매핑하여 서브 프레임의 구성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슬립 모드 단말을 의미한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1001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서브 프레임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1001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이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은 1003단계로 진행하여 A-MAP 영역에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와 A-MAP IE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005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A-MAP IE를 이용하여 단말 자신에게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버스트에 대한 할당정보를 확인하고, 1007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버스트에서 자신의 데이터 패킷을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009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를 이용하여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011단계에서 상기 확인을 통해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서브 프레임 내 존재함이 판단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1011단계에서 상기 확인을 통해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서브 프레임 내 존재하지 않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1011단계에서 상기 확인을 통해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서브 프레임 내 존재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1013단계에서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015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통해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존재 여부 및 크기 정보 확인하고, 1017단계에서 상기 확인을 통해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존재함이 판단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1017단계에서 상기 확인을 통해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1017단계에서 상기 확인을 통해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존재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1019단계에서 상기 제 1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전송된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2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1비트)(11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비트(1100)는 상기 도 7의 비트(700)와 동일한 것이며, 따라서 상기 비트(1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기 정해진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가 존재하며, 상기 비트(1100)가 '1'의 값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를 정의하기 위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102)가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102)는 하기 <표 4>와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4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which are transmitted in the same subframe
여기서, 상기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는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는,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1106, 1108)를 정의하기 위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104)가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104)는 하기 <표 5>와 같은 TL format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TL format () {
For(i=0; i<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i++) {
Type 4 0b0000 : MOB_TRF-IND
0b0001: MOB_PAG-ADV
0b0010 ~ 0b1111 : Reserved
Length 12 The length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specified by Type field
}
}
여기서, 상기 Type 필드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며, 상기 Length 필드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크기를 나타낸다. 상기 Type 필드와 Length 필드의 개수는,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102) 내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에 나타나있는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x 16bit (i.e. Type and Length)를 통해,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104)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를 알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102)와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104)를 통해 서브 프레임 내에 어떤 방송 관리 메시지들이, 몇 개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방송 관리 메시지들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통해서 전송할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는 대부분 4개 정도로 예상된다. 따라서,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와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로 분리하여 전송할 필요없이, 하기 <표 6>과 같이, 하나의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로 전송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Syntax Size (bit) Notes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4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which are transmitted in the same subframe
For(i=0; i<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i++) {
Type 4 0b0000 : MOB_TRF-IND
0b0001: MOB_PAG-ADV
0b0010 ~ 0b1111 : Reserved
Length 12 The length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specified by Type field
}
Padding Variable If needed, for alignment to bytes boundary.
여기서, 상기 <표 6>과 같이,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하나의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도 11에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102)와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104) 각각의 전송을 위한 두 개의 데이터 버스트가 아닌, 하나의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가 필요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1201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을 통해 송신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패킷에 대해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여 할당된 데이터 버스트에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매핑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203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버스트에 대한 할당정보를 나타내는 A-MAP IE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205단계에서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기지국은 방송 관리 메시지별로 전송 주기에 따른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서브 프레임이 전송 시점인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서브 프레임이 전송 시점인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함이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은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이 필요한 단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이 필요한 단말이 존재함이 판단될 시,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 요구 판단 결과에 따라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1207단계에서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와 A-MAP IE를 A-MAP 영역에 매핑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209단계에서 전송이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 관리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211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고, 1213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215단계에서 상기 전송이 요구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들에 대한 타입과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고, 1217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219단계에서 상기 전송이 요구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들을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들에 순서대로 매핑한다. 이로써, 서브 프레임의 구성을 완료한 후, 상기 기지국은 1221단계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을 단말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은 1301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서브 프레임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1301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이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은 1303단계로 진행하여 A-MAP 영역에서 방송 관리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와 A-MAP IE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305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A-MAP IE를 이용하여 단말 자신에게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버스트에 대한 할당정보를 확인하고, 1307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버스트에서 자신의 데이터 패킷을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309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를 이용하여 방송 관리 메시지의 서브 프레임 내 존재 유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311단계에서 상기 확인을 통해 방송 관리 메시지가 서브 프레임 내 존재함이 판단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1311단계에서 상기 확인을 통해 방송 관리 메시지가 서브 프레임 내 존재하지 않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1311단계에서 상기 확인을 통해 방송 관리 메시지가 서브 프레임 내 존재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1313단계에서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고, 1315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317단계에서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고, 1319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들에 대한 타입과 길이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321단계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와, 각 방송 관리 메시지들에 대한 타입 정보 및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수신이 요구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1321단계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수신이 요구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1321단계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 내에 수신이 요구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할 시, 상기 단말은 13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들 중 대응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수신이 요구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1비트)(14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비트(1400)는 상기 도 7의 비트(700)와 동일한 것이며, 따라서 상기 비트(1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비트(1400)가 '1'의 값으로 설정된 경우,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기 정해진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가 존재하며,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를 정의하기 위한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전송된다. 서브 프레임 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1406, 1408)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에 대응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402, 1404) 역시 복수개가 존재하며,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402, 1404)는 복수개의 연속된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각각 매핑되어 단말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402, 1404)는 각각 하기 <표 7>과 같은 LTL format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LTL format () {
Last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1 0 : There is one more LTL format right after this LTL format
1 : There is no LTL format after this LTL format (i.e. this LTL is last LTL)
Type 4 0b0000 : MOB_TRF-IND
0b0001: MOB_PAG-ADV
0b0010 ~ 0b1111 : Reserved
Length 11 The length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specified by Type field
}
여기서, 상기 LTL format 내 Last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필드는 해당 LTL format이 마지막인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두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가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두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에 각각 대응하는 두개의 LTL format이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이때, 첫 번째 LTL format의 Last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필드는 '0'의 값으로 설정되어, 다른 LTL format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두 번째 LTL format의 Last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필드는 '1'의 값으로 설정되어, 더 이상 다른 LTL format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하여 첫번째 LTL format을 획득하며, 이때, 상기 획득된 첫번째 LTL format의 Last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필드가 '0'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다른 LTL format이 포함되어 있을 다음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두 번째 LTL format을 획득하며, 이때, 상기 획득된 두 번째 LTL format의 Last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필드가 '1'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다른 LTL format이 존재하지 않고 첫번째 LTL format에 대응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함을 파악하게 된다. 상기 LTL format 내 Type 필드는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며, 상기 LTL format 내 Length 필드는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크기를 나타낸다. 두 번째 LTL format이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첫번째 LTL format에 대응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예, 트래픽 지시 메시지)가 전송되며, 이어 그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두 번째 LTL format에 대응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예,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전송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1비트)(15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비트(1500)는 상기 도 7의 비트(700)와 동일한 것이며, 따라서 상기 비트(1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기 정해진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가 존재하며, 상기 비트(1500)가 '1'의 값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를 정의하기 위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502)가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502)는 하기 <표 8>과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4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in the subframe
여기서, 상기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는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502)를 포함하는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상기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에 나타나있는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만큼, 연속되는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가 존재하게 되며, 각각의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1508, 1510) 각각을 정의하기 위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504, 1506)가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504, 1506)는 각각 하기 <표 9>와 같은 TL format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TL format () {
Type 4 0b0000 : MOB_TRF-IND
0b0001: MOB_PAG-ADV
0b0010 ~ 0b1111 : Reserved
Length 11 The length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specified by Type field
}
여기서, 상기 TL format 내 Type 필드는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며, 상기 TL format 내 Length 필드는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크기를 나타낸다. 단말은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502)와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504, 1506)를 통해 서브 프레임 내에 어떤 방송 관리 메시지들이, 몇 개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방송 관리 메시지들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서브 프레임 내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1비트)(16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비트(1600)는 상기 도 7의 비트(700)와 동일한 것이며, 따라서 상기 비트(16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기 정해진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가 존재하며, 상기 비트(1600)가 '1'의 값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를 정의하기 위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602)가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602)는 하기 <표 10>과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The size of 2nd data burst 8 The size of data burst(i.e following this predefined fixed-sized data burst) which contains Type & Length format
여기서, 상기 The size of 2nd data burst 필드는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는 가변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가변 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1606, 1608)를 정의하기 위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604)가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604)는 하기 <표 11>과 같은 TL format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TL format () {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1
For(i=0; i<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i++) {
Type 4 0b0000 : MOB_TRF-IND
0b0001: MOB_PAG-ADV
0b0010 ~ 0b1111 : Reserved
Length 12 The length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specified by Type field
}
}
여기서, 상기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는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Type 필드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며, 상기 Length 필드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크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Type 필드와 Length 필드의 개수는, 상기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에 나타나있는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와 동일하다. 단말은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602)와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604)를 통해 서브 프레임 내에 어떤 방송 관리 메시지들이, 몇 개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방송 관리 메시지들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필드(17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는 가변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가변 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1704, 1706)를 정의하기 위한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702)가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702)는 상기 <표 10>과 같은 TL format으로 구성된다. 단말은 상기 필드(1700)에 설정된 값에 따라,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1702)를 통해 서브 프레임 내에 어떤 방송 관리 메시지들이, 몇 개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서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방송 관리 메시지들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A-MAP 영역 내 Non-user specific 필드에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유무를 나타내기 위한 비트가 존재하고,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에 하기 <표 12>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Syntax Size (bit) Notes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4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which are transmitted in the same subframe
bitmap 2 1st bit : indicates the existence of MOB_TRF-IND
2nd bit : indicates the existence of MOB_PAG-ADV
상기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가변 크기의 데이터 버스트에 하기 <표 13>과 같은 포맷을 가지는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Syntax Size (bit) Notes
For(i=0; i<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i++) {
Length 10
}
Padding For byte alignment
여기서, 상기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필드에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가변 크기의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 첫번째 Length와 두번째 Length는 상기 비트가 '1'로 설정된 방송 관리 메시지와 맵핑된다. 예컨데, 상기 비트가 '11' 이면, 첫번째 Length는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Length를, 두번째 Length는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Length를 의미한다. 만약 상기 비트가 '10'이면, 첫번째 Length는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Length를 의미하며, 두번째 Length부터는 트래픽 지시 메시지 및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아닌 다른 방송 관리 메시지의 Length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만약, 상기 비트가 '01'이면, 첫번째 Length는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Length를 의미하며, 두번째 Length부터는 트래픽 지시 메시지 및 페이징 광고 메시지가 아닌 다른 방송 관리 메시지의 Length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MOB_NBR-ADV, SII-ADV 같은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슬립 모드 단말과 아이들 모드 단말 모두는 이를 디코딩하여야 한다. 따라서,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유무를 명시적으로 알려주지 않더라도 단말은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를 디코딩하여야 한다. 그러나, 페이징 광고 메시지 및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경우, 슬립 모드 단말은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아이들 모드 단말은 트래픽 지시 메시지를 읽어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표 12>와 같이 별도의 비트맵을 두어, 페이징 광고 메시지 및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존재유무를 지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0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2000)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A-MAP 영역에 포함되는 Broadcast A-MAP IE(2002, 2004)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A-MAP 영역에 포함되는 Broadcast A-MAP IE(2002, 2004)의 개수에 대한 정보는 하기 <표 14>와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bit) Note
The number of Broadcast A-MAP IEs 4 Indicates the number of broadcast A-MAP IE to be included in A-MAP region
여기서, 상기 The number of Broadcast A-MAP IEs 필드는 A-MAP 영역에 포함되는 Broadcast A-MAP IE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Broadcast A-MAP IE의 개수만큼, Broadcast A-MAP IE가 A-MAP 영역에 포함된다. 여기서, Broadcast A-MAP IE는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Broadcast A-MAP IE(2002, 2004)는 하기 <표 15>와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bit) Note
Broadcast A-MAP IE format() {
Type 4 0b0000 : MOB_TRF-IND
0b0001: MOB_PAG-ADV
0b0010 ~ 0b1111 : Reserved
Length 12 The length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specified by Type field
}
여기서, 상기 Broadcast A-MAP IE format 내 Type 필드는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며, 상기 Length 필드는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크기를 나타낸다.
상기 Broadcast A-MAP IE들(2002, 2004)은 상기 A-MAP 영역 내에서 특정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Broadcast A-MAP IE(2002, 2004)는 Non-User Specific 필드 바로 뒤 또는 마지막 A-MAP IE 바로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Broadcast A-MAP IE(2002, 2004)는 고정 크기를 가지며, 따라서 단말은 상기 Broadcast A-MAP IE(2002, 2004)의 위치 및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A-MAP IE의 위치도 Non-User Specific 필드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부터 연이어서 방송 관리 메시지(2006, 2008)가 포함된다. 즉, 상기 A-MAP 영역 내 Broadcast A-MAP IE들(2002, 2004)의 순서대로,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2006, 2008)가 A-MAP 영역 바로 뒤의 데이터 버스트들에 순서대로 위치하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1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2100)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위치할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위치할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는 하기 <표 16>과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bit) Note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4 Indicates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to be included right after A-MAP region
여기서, 상기의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는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위치할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도 20의 경우, A-MAP 영역 내에 Broadcast A-MAP IE가 여러 개 포함될 수 있지만, 여러 개의 Broadcast A-MAP IE가 동일 MCS 레벨로 전송되는 것이라면, 이를 여러 개의 Broadcast A-MAP IE로 구성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Broadcast A-MAP IE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상기 Non-User Specific 필드(2100)에 포함되는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가 지시하는 만큼, 하나의 Broadcast A-MAP IE(2102)에 여러 방송 관리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한꺼번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Broadcast A-MAP IE(2102)는 하기 <표 17>과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bit) Note
Broadcast A-MAP IE format() {
For(i=0; i<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i++) {
Type 4 0b0000 : MOB_TRF-IND
0b0001: MOB_PAG-ADV
0b0010 ~ 0b1111 : Reserved
Length 12 The length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 specified by Type field
}
}
여기서, 상기 Broadcast A-MAP IE format 내 Type 필드는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며, 상기 Length 필드는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크기를 나타낸다. 상기 Type 필드와 Length 필드의 개수는, 상기 <표 16>의 The number of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필드에 나타나있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와 동일하다.
상기 Broadcast A-MAP IE(2102)는 상기 A-MAP 영역 내에서 특정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Broadcast A-MAP IE(2102)는 Non-User Specific 필드 바로 뒤 또는 마지막 A-MAP IE 바로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Broadcast A-MAP IE(2102)는 고정 크기를 가지며, 따라서 단말은 상기 Broadcast A-MAP IE(2102)의 위치 및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A-MAP IE의 위치도 Non-User Specific 필드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부터 연이어서 방송 관리 메시지(2104, 2106)가 포함된다. 즉, 상기 A-MAP 영역 내 Broadcast A-MAP IE(2102)의 Type 필드와 Length 필드가 지시하는 순서대로,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2104, 2106)가 A-MAP 영역 바로 뒤의 데이터 버스트들에 순서대로 위치하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2를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Non-user-specific 필드 다음에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Non-user-specific A-MAP extension flag(2200)(1비트)가 포함된다. 상기 Non-user-specific A-MAP extension flag(2200)가 '1'의 값으로 설정되면, Non-user-specific 필드 바로 뒤에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가 위치하게 되며, 이에 사용되는 MCS는 Non-user-specific 필드와 동일하다. 반면, 상기 Non-user-specific A-MAP extension flag(2200)가 '0'의 값으로 설정되면, Non-user-specific 필드 뒤에,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가 위치하지 않게 된다.
상기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는 하나 이상의 방송 관리 메시지가 포함될 방송 버스트(Broadcast burst)(2204)에 대한 위치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결국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Non-user-specific A-MAP extension flag(2200) 1 비트는, 해당 프레임에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 유무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는 하기 <표 18>과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Resource Index 11 bits This indicates the location and size of broadcast burst in a subframe which contains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MCS 1 bit This indicates the MCS level with which the broadcast burst is transmitted
여기서, 상기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 내 Resource Index 필드는 방송 관리 메시지들(예, MOB_TRF-IND, MOB_PAG-ADV, MOB_NBR-ADV 등)을 포함하는 방송 버스트(2204)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한꺼번에 지시하는 인덱스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MCS 필드는 상기 방송 버스트(2204)의 전송에 요구되는 MCS 레벨을 지시한다. 만약, 수퍼 프레임 헤더(Super frame header)로 전송되는 MCS 정보를 이용한다면, 상기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 내 MCS 필드는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송 버스트(2204)의 위치 및 크기는 상기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방송 버스트(2204) 내에는 하나 이상의 MAC PDU가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MAC PDU의 길이는 해당 MAC PDU를 구성하는 GMH(Generic MAC Header)의 Length 필드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Resource Index 필드를 이용하여, 서브 프레임 내 임의의 위치에 방송 버스트를 할당할 수도 있지만, 상기 언급된 다른 실시예들과 같이, A-MAP 영역 바로 뒤에 방송 버스트가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꼭 A-MAP 영역이 아니더라도, 특정 영역을 기점으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방송 버스트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에 상기 Resource Index 필드 대신에, 상기 방송 버스트의 위치 정보를 제외한 크기(size) 정보만 포함하는 필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컨데, Length 필드로 대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 여러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여러 방법이 혼용될 수 도 있다. 예컨데, 각각의 메시지와 맵핑되는 비트맵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22의 경우,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Non-user-specific 필드 다음에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Non-user-specific A-MAP extension flag(2200)(1비트)가 포함된다. 상기 Non-user-specific A-MAP extension flag(2200)가 '1'의 값으로 설정되면, Non-user-specific 필드 바로 뒤에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가 위치하게 되며, 그로 인해,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를 뒤따르는 user-specific 필드 내 A-MAP IE들은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의 사이즈 만큼 뒤로 밀려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Non-user-specific A-MAP extension flag(2200)(1비트)에 따라 user-specific 필드 내 A-MAP IE들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한편, 상기 Non-user-specific 필드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채널상태에 따라 비트에러가 발생할 수가 있다. 만약 상기 Non-user-specific A-MAP extension flag(2200)(1비트)에 에러가 발생하면, 단말 입장에서는 상기 user-specific 필드 내 A-MAP IE의 시작 포인트, 즉 첫번째 A-MAP IE(도 22의 경우 A-MAP IE #1)의 위치를 잘못 파악하게 되므로, user-specific 필드 내 A-MAP IE들에 대한 제대로 된 검출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상기 Non-user-specific A-MAP extension flag(2200)(1비트)와 Extended Non-user-specific 필드(2202)의 사용 없이, 에러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A-MAP IE 형태의 Broadcast A-MAP IE를 제안하며, 이하 도 23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3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는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고, User-pecific 필드에는 다수의 A-MAP IE가 포함된다. User-pecific 필드에 포함되는 다수의 A-MAP IE 중 첫번째 A-MAP IE(도 23의 경우 A-MAP IE #1)(2300)는 Broadcast A-MAP IE 또는 Unicast A-MAP IE(예, 56bit)로 구성된다. 그 외 나머지 A-MAP IE는 해당 서브 프레임의 나머지 영역에 전송되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Unicast A-MAP IE로 구성된다.
한편, 현재 16m에서 A-MAP IE에 사용할 수 있는 최소 부호화율(Coding Rate)은 1/8이다. 그러나, 이는 16e에서 A-MAP IE에 사용할 수 있는 최소 부호화율 1/12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이다. 이로 인해, 16m에서의 A-MAP IE는 셀 경계(Cell edge)에 있는 단말들에게 전송하는데 무리가 따른다. 그러므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들에 대해 다수의 반복(Repetition)을 가하여 Broadcast A-MAP을 생성한다. 즉, 반복을 통해서, 최소 부호화율 1/8을 보완하여 1/12 이상이 가능하도록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반복의 횟수는, 방송 버스트(2304)의 위치 및 크기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자원할당정보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예를 들어, 2번)된다. 예를 들어, 방송 버스트(2304)의 위치 및 크기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자원할당정보의 사이즈가 12비트인 경우, CRC(16bit)를 추가하여 28비트의 Broadcast A-MAP IE(2302)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심볼 혹은 비트 레벨에서 2회의 반복을 하게 되면, 168 톤이 되어 부호화율 1/8을 사용하는 다른 A-MAP IE와 동일한 크기를 갖게 된다. 만약 데이터와 CRC(16bit)의 길이가 56비트의 약수가 되지 않는다면, 예를 들어 28비트보다 작게 되는 경우, Broadcast A-MAP IE(2302) 내 남는 비트에 상기 여러 실시예에서 제안되었던 기능들의 일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컨데, 방송 버스트에 슬립 모드 단말용 트래픽 지시 메시지의 존재유무, 아이들 모드 단말용 페이징 광고 메시지의 존재유무, 그외 메시지의 존재유무를 지시하기 위한 각각의 1비트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Broadcast A-MAP IE(2302)는 하기 <표 19>와 같은 포맷으로 구성된다.
Syntax Size (bit) Notes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X bit
It may be the same as Resource Index.
This indicates the location and size of
broadcast burst in a subframe which
contains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CRC 16bit
여기서, 상기 Broadcast A-MAP IE(2302) 내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는 방송 버스트(2304)의 위치 및 크기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자원할당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CRC(16bit)는 상기 Broadcast A-MAP IE(2302)의 에러유무를 파악하기 위한 비트이다.
상기 Broadcast A-MAP IE(2302)의 사이즈는 Unicast A-MAP IE 사이즈의 약수가 되고 Unicast A-MAP IE와 동일한 톤(tone) 수를 갖도록 반복된다. 하지만, Unicast A-MAP IE는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identifier)인 STID(Station ID)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스크램블링되고, 해당 단말이 상기 Unicast A-MAP IE를 상기 STID로 디스크램블링하여 단말 자신을 위한 A-MAP IE인지를 구분한다. 이와 달리, Broadcast A-MAP IE는 모든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IE이므로, 단말의 고유한 STID가 아닌, Broadcast용 STID(예컨데, 0xffff)를 사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스크램블링되고, 모든 단말이 상기 Broadcast A-MAP IE를 상기 Broadcast용 STID로 디스크램블링한다.
상기 Broadcast A-MAP IE는 User-pecific 필드에 포함되는 다수의 A-MAP IE 중 첫번째 A-MAP IE(도 23의 경우 A-MAP IE #1)(2300)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해당 서브 프레임을 통해 전송할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들을 전송할 방송 버스트에 대한 위치 및 크기 정보를 모든 단말들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첫번째 A-MAP IE(2300)의 위치에 Unicast A-MAP IE 대신에 상기 Broadcast A-MAP IE를 포함시킨다. 만약, 해당 서브 프레임을 통해 전송할 방송 관리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첫번째 A-MAP IE(2300)의 위치부터 Unicast A-MAP IE를 포함시킨다.
단말 입장에서는, 상기 첫번째 A-MAP IE(2300)의 위치에 Broadcast A-MAP IE가 포함되었는지, Unicast A-MAP IE가 포함되었는지 알 수 없으며, 따라서 일단 정해진 반복 회수와 채널 부호화율을 이용해 복호하고, Broadcast용 STID를 이용하여 상기 첫번째 A-MAP IE(2300)를 디스크램블링해 본다. 만약, 그 결과 Broadcast A-MAP IE가 성공적으로 검출되면, 단말은 해당 Broadcast A-MAP IE를 이용하여 방송 버스트의 위치 및 크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 및 크기를 기반으로 해당 서브 프레임 내에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추출한다. 만약 Broadcast A-MAP IE가 성공적으로 검출되지 않으면, 단말은 해당 A-MAP IE가 단말자신에게 unicast로 전송된 A-MAP IE인지 파악하기 위해, 단말 자신이 네트워크 엔트리(Network Entry) 과정에서 할당 받은 고유의 STID를 이용하여, 해당 A-MAP IE를 디스크램블링한다. 참고로, 아이들 모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Unicast A-MAP IE를 수신할 이유가 없으므로, Broadcast A-MAP IE가 존재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상기 첫번째 A-MAP IE(2300)에 대해서, 상기 Broadcast용 STID를 이용한 디스크램블링만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도 23에서 서브 프레임의 A-MAP 영역 내 Non-user-specific 필드에 A-MAP 영역의 크기(size)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User-pecific 필드에 Broadcast A-MAP IE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flag(1비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User-pecific 필드에 포함되는 다수의 A-MAP IE 중 첫번째 A-MAP IE(도 23의 경우 A-MAP IE #1)(2300)가 Broadcast A-MAP IE로 구성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flag(1비트)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flag가 '1'의 값으로 설정되면, User-pecific 필드에 포함되는 다수의 A-MAP IE 중 첫번째 A-MAP IE(도 23의 경우 A-MAP IE #1)(2300)가 Broadcast A-MAP IE로 구성되며, 따라서 단말은 Broadcast용 STID를 이용하여 상기 첫번째 A-MAP IE(2300)를 디스크램블링하고, 이에 따라 파악된 방송 버스트의 위치 및 크기를 기반으로 해당 서브 프레임 내에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추출한다. 반면, 상기 flag가 '0'의 값으로 설정되면, User-pecific 필드에 포함되는 다수의 A-MAP IE 중 첫번째 A-MAP IE(도 23의 경우 A-MAP IE #1)(2300)가 Unicast A-MAP IE로 구성되며, 따라서 단말은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에서 할당받은 고유의 STID를 이용하여, 해당 A-MAP IE를 디스크램블링한다.
또한 구현에 따라, 여러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여러 방법이 혼용될 수 도 있다. 예컨데, 각각의 메시지와 맵핑되는 비트맵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대부분의 실시 예에서는 기 설정된 고정크기의 작은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MCS 레벨이 미리 결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있으며, 방송 관리 메시지들이 포함되는 데이터 버스트를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MCS 레벨 역시 미리 결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 만약, MCS 레벨이 미리 결정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MCS 레벨을 나타내는 MCS 정보 필드가 더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부분의 실시 예에서는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에 Type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Type 필드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단말은 상기 Type 필드를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방송 관리 메시지의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는, 선택적인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에서 상기 Type 필드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은 Length 필드를 이용하여 각 방송 관리 메시지의 크기를 확인한 후, 각 방송 관리 메시지 내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의 앞쪽에 위치한 Type 필드를 이용하여 방송 관리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부분의 실시 예에서는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에 Length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Length 필드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단말은 상기 Length 필드를 확인함으로써 각각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방송 관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MCS 레벨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역으로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i.e.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를 도출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전송할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 정보를 상기 Length 필드 대신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컨데, 필요한 LRU(Logical Resource Unit)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스케줄러(1800), 데이터 패킷 생성기(1802), A-MAP 메시지 생성기(1804),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생성기(1806), 방송 관리 메시지 생성기(1808), 다중화기(MUX)(1810), 부호기(1812), 변조기(1814), 프레임 매핑기(1816), OFDM 변조기(1818), RF 송신기(1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스케줄러(1800)는 프레임 통신을 위한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패킷 생성기(1802)는 상기 스케줄러(1800)의 자원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송신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A-MAP 메시지 생성기(1804)는 상기 스케줄러(1800)의 자원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A-MAP IE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생성기(1806)는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생성기(1808)에 의해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정의하기 위한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생성기(1806)는 방송 관리 메시지를 정의하기 위한 짧은 비트의 정보를 A-MAP 메시지 생성기(1804)로 제공하여, A-MAP 메시지 생성기(1804)로 하여금 A-MAP IE와 함께 상기 짧은 비트의 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생성기(1808)는 상기 스케줄러(1800)의 자원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방송 관리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됨이 판단되는 경우, 해당 방송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기(1810)는 상기 데이터 패킷 생성기(1802), A-MAP 메시지 생성기(1804),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생성기(1806), 방송 관리 메시지 생성기(1808)로부터의 메시지(혹은 패킷)를 물리계층의 부호기(1812)로 전달한다.
상기 물리계층의 부호기(1812)는 상기 다중화기(1810)로부터의 메시지(혹은 패킷)를 정해진 부호방식(예 : 부호 종류, 부호율 등)에 따라 부호화한다.
상기 변조기(1814)는 상기 부호기(1812)로부터의 부호비트(coded bits)를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하여 변조 심볼들을 발생한다.
상기 프레임 매핑기(1816)는 상기 변조기(1814)로부터의 변조심볼들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프레임 데이터를 OFDM 변조기(1818)로 출력한다.
상기 OFDM 변조기(1818)는 상기 프레임 매핑기(1816)로부터의 데이터를 OFDM 변조하여 시간영역의 샘플데이터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OFDM 변조는 IFFT연산, CP부가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RF 송신기(1820)는 상기 OFDM 변조기(1818)로부터의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RF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RF 수신기(1900), OFDM 복조기(1902), 프레임 디매핑기(1904), 복조기(1906), 복호기(1908), 역다중화기(DEMUX)(1910), 데이터 패킷 처리기(1912), A-MAP 메시지 해석기(1914),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해석기(1916), 방송 관리 메시지 처리기(19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RF 수신기(1900)는 수신되는 RF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 복조기(1902)는 상기 RF 수신기(1900)로부터의 샘플데이터를 OFDM 복조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OFDM 복조는 CP제거, FFT연산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프레임 디매핑기(1904)는 상기 OFDM 복조기(1902)로부터의 프레임 데이터에서 패킷(제어정보 패킷, 데이터 패킷 등)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패킷들을 정렬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조기(1906)는 상기 프레임 디매핑기(1904)로부터의 패킷을 복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호기(1908)는 상기 복조기(1906)로부터의 복조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기(1910)는 상기 복호기(1908)로부터의 복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패킷 처리기(1912), A-MAP 메시지 해석기(1914),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해석기(1916), 방송 관리 메시지 처리기(1918)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 패킷 처리기(1912)는 상기 역다중화기(1910)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을 규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한다.
상기 A-MAP 메시지 해석기(1914)는 상기 역다중화기(1910)로부터의 A-MAP IE를 규격에 따라 해석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자원할당 정보를 상기 데이터 패킷 처리기(1912)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패킷 처리기(1912)는 상기 자원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버스트에서 자신의 데이터 패킷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해석기(1916)는 상기 역다중화기(1910)로부터의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해석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방송 관리 메시지 관련 정보를 방송 관리 메시지 처리기(1918)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처리기(1918)는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버스트에서 수신이 필요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 처리기(1918)는 상기 역다중화기(1910)로부터의 방송 관리 메시지를 처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IEEE 802.16m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IEEE 802.16m 시스템의 상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슬립모드 수행중인 단말의 리스닝 윈도우와 아이들 모드 수행중인 단말의 페이징 리스닝 인터벌이 교차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 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Claims (12)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타입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터 패킷에 대한 A-MAP IE를 생성하는 과정과,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와 상기 생성된 A-MAP IE를,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에 매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는 서브 프레임 내 전송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는 서브 프레임 내 전송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타입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에서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와 데이터 패킷에 대한 A-MAP IE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의 타입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생 성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생성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는 프레임 매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매핑기는,
    상기 생성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터 패킷에 대한 A-MAP IE를 생성하는 A-MAP 메시지 생성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매핑기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와 상기 생성된 A-MAP IE를,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방송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고,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추출하는 프레임 디매핑기와, 여기서 상기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는 서브 프레임 내 전송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는 서브 프레임 내 전송되는 방송 관리 메시지의 타입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된 제 1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와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를 해석하는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 해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디매핑기는, 서브 프레임 내 상기 제 2 방송 관리 메시지 정의 메시지가 매핑된 데이터 버스트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방송 관리 메시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디매핑기는, 서브 프레임 내 A-MAP 영역에서 상기 방송 관리 메시지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와 데이터 패킷에 대한 A-MAP IE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102446A 2009-06-12 2009-10-2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133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95,018 US20100316007A1 (en) 2009-06-12 2010-06-0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plural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0131242A JP2010288275A (ja) 2009-06-12 2010-06-08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複数の放送管理メッセージの同時送信を支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EP10165457A EP2262325A2 (en) 2009-06-12 2010-06-10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plural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010229272.0A CN101925014B (zh) 2009-06-12 2010-06-12 支持多个广播管理消息的同时传输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52564 2009-06-12
KR1020090052564 2009-06-12
KR20090056610 2009-06-24
KR1020090056610 2009-06-24
KR1020090079461 2009-08-26
KR20090079461 2009-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874A true KR20100133874A (ko) 2010-12-22

Family

ID=4350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446A KR20100133874A (ko) 2009-06-12 2009-10-2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288275A (ko)
KR (1) KR201001338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8061A2 (ko) * 2009-07-17 201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방송 메시지 전송 방법
KR20180114179A (ko) * 2016-02-19 2018-10-17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퍼시스턴트 스케쥴링 리소스의 할당 및 퍼시스턴트 스케쥴링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338A (ko) * 2009-03-31 201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8061A2 (ko) * 2009-07-17 201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방송 메시지 전송 방법
WO2011008061A3 (ko) * 2009-07-17 201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방송 메시지 전송 방법
US9320055B2 (en) 2009-07-17 2016-04-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broadcasting messag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20180114179A (ko) * 2016-02-19 2018-10-17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퍼시스턴트 스케쥴링 리소스의 할당 및 퍼시스턴트 스케쥴링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88275A (ja)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141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inform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63255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유휴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441984B2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efficiently paging idle-mode mobile stations in multicarrier systems
US6965579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cast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USRE44774E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1773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통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92650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BMS receiv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104381B1 (en) Method and apparatuses of receiving a disaster warning message using a system information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SI-RNTI
CN102077620B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提供紧急服务的装置和方法
KR10151643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67750A1 (en) Method for processing pag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21150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시스템에서 페이징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10255499A1 (en) Method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KR10153518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003160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plural broadcast management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034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g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2376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징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0013387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방송 관리 메시지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9427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의 디코딩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