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712A -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712A
KR20100133712A KR1020090052402A KR20090052402A KR20100133712A KR 20100133712 A KR20100133712 A KR 20100133712A KR 1020090052402 A KR1020090052402 A KR 1020090052402A KR 20090052402 A KR20090052402 A KR 20090052402A KR 20100133712 A KR20100133712 A KR 20100133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packet
rreq
rrep
ro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095B1 (ko
Inventor
오민석
허운강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09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4Shortest path evaluation using a combination of me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6Multipoint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발신노드에서 목적지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로설정 방법은 상기 발신노드가 상기 발신노드의 이웃노드로 RREQ(route request) 패킷을 퍼뜨리는 단계, 상기 목적지노드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상기 목적지노드의 복수의 이웃노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RREQ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노드가 복수의 상기 RREQ 패킷에 대한 복수의 RREP(route reply) 패킷을 RREQ를 보낸 이웃노드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노드가 상기 복수의 RREP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노드와 상기 목적지노드 사이에 다중경로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RREQ 패킷 및 상기 RREP 패킷에 포함된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을 이용하여 최적 경로가 설정된다.
Figure P1020090052402
AODV, 애드혹 네트워크, 다중경로

Description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METHOD FOR ROUTE DISCOVERY IN MESH NETWORK}
본 발명은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경로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년 동안 통신과 네트워크 분야에서 엄청난 발전이 있었으며, 무선환경에서의 이동통신사용자들간의 통신서비스는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노트북(notebook) 컴퓨터 및 무선 모뎀이나 무선 랜 장치의 발달로, 무선데이터통신시장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의 발전은 새로운 분야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분야는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MANET: Mobile Ad-hoc Network)이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routing) 경로설정 프로토콜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는 프로액티브(proactive) 또는 테이블 기반(table- driven)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DSDV(destination sequenced distance vector), OLSR(optimized link state routing), TBRPF(topology broadcast based on reverse-path forwarding) 등이 있다. 두번째는 리엑티브(reactive) 또는 요구 기반(on-demand)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DSR(dynamic source routing),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routing), TORA(temporally ordered routing algorithm)등이 있다. 마지막 세 번째는 혼합형(hybrid) 프로토콜로서 ZRP(zone routing protocol)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AODV는 대표적인 요구기반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발신노드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만 목적지노드(destination node)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찾게 되는데 이 과정을 경로탐색(route discovery)이라고 한다. 일단 경로를 찾은 뒤에는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게 되는데, 노드의 빈번한 이동으로 인하여 경로가 중간에 자주 끊기게 된다. 이때에는 경로단절을 발견한, 경로 상의 중간노드가 목적지노드까지의 경로탐색을 하고 단절된 경로를 복구하게 되는데, 이를 지역 경로복구(local route repair)라고 부른다.
발신노드는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지노드로의 유효한 경로가 없는 경우 경로단절 또는 경로복구를 위해 경로설정을 요구하는 RREQ(route request) 패킷을 이웃노드로 퍼뜨린다.
종래 기술에 따른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은 메트릭으로 홉카운트(Hop Count)를 사용한다. 이 경우, 홉수가 많은 경로는 링크의 성능이 좋아서 데이터 전달 속도가 높을지라도 사용되지 않고, 홉수가 적은 경로는 데이터 전달 속도가 느림에도 불구하고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은 사용하던 경로의 문제가 발생하면 많은 수의 제어 패킷을 사용하여 경로가 끊겼음을 알리고, 다시 경로 재탐색을 함으로써, 새로운 경로를 찾기 위한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로설정을 수행할 경우,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이 좋은 경로를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발신노드에서 목적지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로설정 방법은 상기 발신노드가 상기 발신노드의 이웃노드로RREQ(route request) 패킷을 퍼뜨리는 단계, 상기 목적지노드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상기 목적지노드의 복수의 이웃노드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RREQ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노드가 복수의 상기 RREQ 패킷에 대한 복수의RREP(route reply) 패킷을 RREQ를 보낸 이웃노드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발 신노드가 상기 복수의 RREP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노드와 상기 목적지노드 사이에 다중경로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RREQ 패킷 및 상기 RREP 패킷에 포함된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을 이용하여 최적 경로가 설정된다.
상기 목적지노드는 상기 복수의 RREQ 패킷 중 첫번째로 수신한 제1 RREQ 패킷에 대한 제1 RREP 패킷을 상기 발신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최적 경로가 설정되고, 두번째부터 수신한 나머지 RREQ 패킷에 대한 나머지 RREP 패킷을 순차적으로 상기 발신노드로 전송하여 나머지 경로가 설정된다.
상기 제1 RREQ 패킷을 수신한 순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된 미리 설정된 수의 상기 나머지 RREQ 패킷에 대한 상기 나머지 RREP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다중경로의 개수를 제한한다.
상기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은 이전 링크의 전송속도의 역수값을 누적 합산한 값이고, 상기 RREQ 패킷 및 상기 RREP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상기 발신노드와 상기 목적지노드 사이에 설정된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문제를 인지한 노드가 RERR 패킷을 이웃노드로 멀티캐스팅하여 발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경로가 분기되는 지점에 위치한 분기노드가 상기 RERR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다중 경로 중 나머지 유효한 경로의 전송 속도 메트릭 값 중 가장 낮은 값을 상기 RERR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에 포함시켜 상기 발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RERR 패킷 또는 상기 RREP 패킷을 수신한 임의의 노드는 상기 패킷에 포함된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을 이용하여 이웃노드로 계속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RREQ 패킷, 상기 RREP 패킷, 상기 RRER 패킷을 포함하는 제어 패킷을 수신하는 임의의 노드는 상기 제어 패킷을 이용하여 라우팅 엔트리를 생성하거나 갱신하고, 같은 목적지로의 라우팅 엔트리가 생성되거나 갱신되는 경우, 상기 전송 속도 메트릭 값에 의해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라우팅 엔트리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로설정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로설정을 수행할 경우,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이 좋은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중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즉시 다른 경로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경로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발신노드(S), 목적지노드(D), 1번부터 13번 노드까지로 구성된다.
발신노드(S)가 목적지노드(D)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최초에 발신노드(S)는 목적지노드(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라우팅 엔트리가 없으므로, RREQ(route request)를 퍼뜨려 목적지노드(D)로의 경로를 찾을 수 있다.
발신노드(S)는 경로를 찾기 위해 이웃노드(1번 노드)로 RREQ를 퍼뜨리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EQ가 퍼져 나간다. 즉, RREQ는 발신노드(S)에서 이웃노드인 1번 노드로 전달되고, 1번 노드의 이웃노드인 2번 및 9번 노드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RREQ는 발신노드(S)로부터 목적지노드(D)까지 전달된다.
RREQ의 구분은 송신노드의 IP 주소 및 RREQ ID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8→6 및 10→7의 RREQ 패킷은 이미 해당 노드(6번 및 7번 노드)에서 성능이 더 빠른 경로를 통해 RREQ를 수신받고 전파되었다고 하자(5→6→D, 3→7→8). 그러면, 이후 수신되는 같은 송신노드의 IP 주소와 RREQ ID를 갖는 RREQ 패킷은 라우팅 엔트리의 갱신 정보로 사용되고 더 이상 전파되지 않는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목적지노드(D)는 이웃노드인 6번, 8번 및 13번 노드로부터 RREQ를 수신하게 된다. 목적지노드(D)는 RREQ를 수신하면 수신한 순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RREP(route reply)로 응답한다. 이때, 목적지노드(D)는 같은 송신노드 IP와 RREQ ID를 갖는 K개(K는 자연수)의 RREQ에 대해서만 K개의 RREP로 응답한다. 또한, 목적지노드(D)는 RREP 응답시간 이내에 수신된 K개의 RREQ에 대하여 RREP로 응답함으로써, 발신노드(S)는 수신한 RREP의 수를 이용하여 다중 경로의 수를 제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노드(D)는 여러 경로를 통해 전달된 RREQ1, RREQ2, RREQ3를 순서대로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목적지노드(D)는 RREP 응답시간 이내에 RREQ를 3개 수신하였다고 하자. (K > 3 이라고 가정하자.) 이에 따라, 목적지노드(D)는 각 RREQ에 대하여 RREP 응답을 하면, RREP1, RREP2, RREP3가 발신노드(S)로 전송된다. RREP1은 발신노드(S)까지 도착하게 되어 우선적으로 경로설정이 될 수 있다. 한편, RREP2 및 RREP3는 각각 3번 노드 및 1번 노드까지 전달되고, 링크의 성능에 따라 목적지노드(D)를 향한 다중 경로가 구성될 수 있다.
각 노드는 RREQ 및 RREP 패킷을 전송할 때 이전 링크의 전송속도(bit rate)를 누적 계산하고 패킷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그래서, RREQ 및 RREP 패킷을 수신하는 노드는 이전까지 거쳐온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 엔트리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경로설정 방법은 각 노드에 저장되는 라우팅 엔트리의 수정이 필요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우팅 엔트리 정보는 기존의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의 라우팅 엔트리 정보에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rate metric) 필드 및 우선순위(Priority) 필드가 추가된다.
라우팅 엔트리는 같은 목적지노드에 대하여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엔트리는 다른 우선순위를 갖는다.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는 제어 패킷이 전송되면서 거쳐온 구간의 데이터 전송률의 역수를 누적 합산한 값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률을 R이라 가정하면, R=1/R1+1/R2+ … +1/Rn이 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거쳐온 구간의 개수가 될 수 있다.
우선순위 필드는 다중 경로가 생성되었을 경우, 링크 전송속도의 차이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새롭게 수신된 라우팅 엔트리의 링크 전송속도가 기존의 라우팅 엔트리의 링크 전송속도보다 좋을 경우, 새롭게 수신된 라우팅 엔트리의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 엔트리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노드의 라우팅 엔트리 갱신은 제어 패킷을 송수신 할 때 마다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노드는 제어 패킷을 수신한다(S310).
다음으로, 제어 패킷을 수신한 수신노드는 제어 패킷을 송신한 송신노드(originator)로의 라우팅 엔트리의 존재를 확인한다(S315).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노드는 송신노드로의 새로운 라우팅 엔트리를 생성한다(S320).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노드는 제어 패킷 내의 Seq. No와 현재 갖고 있는 Seq. No를 비교한다(S325). 노드가 현재 갖고 있는 Seq. No는 송신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노드의 라우팅 엔트리로부터 추출된다.
비교 결과, 수신노드는 기존의 보유하고 있는 Seq. No가 더 큰 경우, 기존의 라우팅 엔트리 정보를 유지한다(S330). Seq. No가 더 크다는 것은 그것과 연계되어 있는 정보가 보다 최신의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수신노드는 수신된 제어 패킷의 Seq. No가 더 큰 경우, 수신한 제어 패킷이 RREP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35). 판단 결과, 수신노드는 수신한제어 패킷이 RREP인 경우, S345 단계로 이동하고, RREP가 아닌 경우, 즉 RREQ, RERR, HELLO의 경우, 기존의 라우팅 엔트리 정보를 수신한 제어 패킷의 라우팅 엔트리 정보로 갱신한다(S340).
수신노드는 Seq. No가 동일한 경우, 수신한 제어 패킷의 링크의 성능과 기존의 링크성능을 비교한다(S345).
비교 결과, 기존의 라우팅 엔트리의 링크성능이 좋은 경우, 수신노드는 기존의 라우팅 엔트리의 우선순위는 그대로 유지하고, 새롭게 수신한 라운팅 엔트리의 우선순위를 낮게 설정한다(S350). 우선순위에 따른 엔트리의 위치는 링크성능에 따라 결정된다. 즉, 링크성능이 좋은 엔트리가 위에 위치하게 되며, 같은 목적지를 갖는 엔트리의 개수는 K개로 제한하여, K개를 초과하는 엔트리는 라우팅 테이블에 서 삭제한다.
수신한 제어 패킷의 라우팅 엔트리의 링크성능이 좋은 경우, 수신노드는 기존의 라우팅 엔트리의 우선순위를 낮추고, 새롭게 수신한 라우팅 엔트리의 우선순위를 최우선으로 설정한다(S355).
링크성능이 동일한 경우, 수신노드는 동일한 경로일 경우 갱신하지 않고, 다른 노드를 통해서 수신된 제어 패킷일 경우, 기존 라우팅 엔트리를 유지하고 새롭게 수신한 라우팅 엔트리를 후순위로 설정한다(S360).
다음으로, 수신노드는 라우팅 엔트리의 갱신을 종료한다(S37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설정을 위한 패킷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EQ 패킷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로설정을 위해서는 각각의 링크의 성능이 누적 합산된 값을 반영하는 패킷 포맷이 필요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패킷 포맷에서 사용되지 않던 예비 필드(Reserved)를 이용하여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속도 메트릭(rate metric)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RREQ 패킷을 구성한다.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은 RREQ 패킷이 전송되면서 거쳐온 구간의 데이터 전송율의 역수를 합산한 값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EQ의 전송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5는 특정 노드에서 해당 목적지에 대한 라우팅 엔트리가 없을 경우의 RREQ 전송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노드는 다른 노드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경우, 라우팅 테이블에 유효한 경로 정보가 없음을 인지한다(S510).
다음으로, 노드는 RREQ 패킷을 생성한다(S520). RREQ 패킷의 포맷은 도 4에서 상술한 RREQ 메시지 포맷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될 RREQ 필드 정보는Type=1, 링크성능=0, 홉수=0, RREQ ID= 현재 RREQ ID+1, Originator IP & Seq. No, Destination IP & Seq. No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노드는 RREQ 패킷에 IP 헤더를 붙여서 이웃노드로 퍼뜨린다(S530).
즉, 네트워크에서 모든 노드는 다른 임의의 노드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때 해당 라우팅 엔트리가 없는 경우, RREQ 패킷을 생성하여 플루딩한다.
임의의 노드 사이에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RREQ 패킷이 전달될 경우, RREQ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는 RREQ 패킷이 거쳐온 노드들의 링크별 성능을 누적 합산한 값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EQ 패킷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RREQ 제어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노드는 이웃노드로부터 발신노드가 퍼뜨린 RREQ 패킷을 수신한다(S610).
다음으로, 수신노드는 수신한 RREQ 패킷이 자신이 과거에 생성했던 RREQ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15). 이것은 자신이 퍼뜨린 RREQ 패킷이 다른 노드들을 거쳐 자신에게 되돌아 올 수 있기 때문이다.
S61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RREQ 패킷이 자신이 생성한 RREQ 패킷인 경우(출발지=수신노드), 수신한 RREQ 패킷을 폐기한다(S620).
S61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RREQ 패킷이 자신이 생성한 RREQ 패킷이 아닌 경우, 기존의 발신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갱신한다(S625).
다음으로, 수신노드는 수신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RREQ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S630 단계에서 판단 결과, RREQ 패킷의 목적지가 수신노드가 아닌 경우, 수신노드는 라우팅 테이블에 RREQ 패킷의 목적지 노드까지의 유효한 라우팅 엔트리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35).
S63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RREQ 패킷을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한 유효한 라우팅 엔트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노드는 이전에 수신한 RREQ 패킷과 중복(동일 출발지 및 동일 RREQ ID)되는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40). RREQ 패킷에 포함된 RREQ ID 및 소스 IP를 비교해서 모두 일치하는 경우 동일한RREQ 패킷으로 중복되는 RREQ 패킷이다.
S640 단계에서 판단 결과, RREQ 패킷이 중복 RREQ 패킷인 경우, 수신노드는 수신한 RREQ 패킷을 폐기한다(S620).
S640 단계에서 판단 결과, RREQ 패킷이 중복 RREQ 패킷이 아닌 경우, 수신노드는 수신한 RREQ 패킷을 이웃노드들로 퍼뜨린다(S645).
S630 단계와 S63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RREQ 패킷이거나, 또는 수신노드가 목적지가 아닐지라도 수신한 RREQ 패킷을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한 유효한 라우팅 엔트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노드는 이전에 수신한 RREQ 패킷과 중복(동일 출발지 및 동일 RREQ ID)되는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50). RREQ 패킷에 포함된 RREQ ID 및 소스 IP를 비교해서 모두 일치하는 경우 동일한 RREQ 패킷으로 중복되는 RREQ 패킷이다.
S650 단계에서 판단 결과, RREQ 패킷이 중복 RREQ 패킷이 아닌 경우, 수신노드는 수신한 RREQ 패킷에 대한 응답패킷인RREP 패킷을 발신노드로 전송한다(S655).
S650 단계에서 판단 결과, RREQ 패킷이 중복 RREQ 패킷인 경우, 수신노드는 첫번째 RREQ 패킷에 대한 응답(첫번째 RREP 패킷 송신)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안에 수신된 K개의 RREQ에 대하여 RREP 패킷을 발신노드로 전송한다(S660). 여기서, 시간 및 RREQ의 개수 K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수신노드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거나 K개를 초과하여 수신한 RREQ 패킷을 폐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설정을 위한 패킷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EP 패킷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로설정을 위해서는 각각의 링크의 성능이 누적 합산된 값을 반영하는 패킷 포맷이 필요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패킷 포맷에서 사용되지 않던 예비 필드(Reserved)를 이용하여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속도 메트릭(rate metric)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RREP 패킷을 구성한다.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은 RREP 패킷이전송되면서 거쳐온 구간의 데이터 전송율의 역수를 합산한 값이 될 수 있다.
RREP 패킷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며, 라우팅 엔트리의 프리커서(precursor) 정보는 RREP 패킷이 전달되면서 저장된다. RREP 패킷의 전달은 목적지노드에서 첫 RREQ 패킷 수신 이후, 일정시간 안에 수신된 K개의 RREQ에 대하여 RREP로 응답하면서 시작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EP 패킷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RREP 제어 패킷을수신하는 수신노드는 이웃노드로부터 목적지노드(RREQ destination)가 전송한 RREP 패킷을 수신한다(S810).
다음으로, 수신노드는 RREP 패킷이 수신노드를 RREP의 목적지(RREQ originator)로 하는 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15).
S81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노드가 수신한 RREP 패킷의 목적지(노드 S)가 될 경우, 수신노드는 수신한 RREP 패킷의 발신노드(목적지노드, 노드 D)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한다(S820).
S82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RREP 패킷의 발신노드(목적지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가지고 있는 경우, 수신노드는 기존 라우팅 엔트리와수신한 RREP 패킷의 라우팅 엔트리의 링크 성능정보를 비교한다(S825). 링크 성능정보는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이 될 수 있다. 전송 속도 메트릭은 데이터 전송률이며 bit rate로 나타낼 수 있다.
S825 단계에서 판단 결과, 기존 전송 속도 메트릭이 새롭게 수신된 전송 속도 메트릭보다 좋을 경우, 수신노드는 수신된 RREP 패킷의 경로 정보를 우선순위 K개 중에 포함될 경우 낮은 라우팅 엔트리로등록하고(S830),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S835). 목적지가 같은 라우팅 엔트리중 우선순위 K개를 초과하는 라운팅 엔트리는 삭제한다.
S82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된 RREP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이 기존 전송 속도 메트릭보다 좋을 경우, 수신노드는 기존 라우팅 엔트리의우선순위를 낮추고, 새롭게 수신한 RREP 패킷의 경로 정보를 높은 우선순위의 라우팅 엔트리로 등록하고(S840),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S835).
S82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RREP 패킷의 발신노드(목적지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 수신노드는 수신한 RREP 패킷의 라우팅 엔트리 정보를 수신노드의 새로운 라우팅 엔트리로 등록하고(S845),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S835).
S81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RREP 패킷이 수신노드를 RREP의 목적지로 하지 않는 경우, 수신노드는 수신한 RREP 패킷의 발신노드(destination node)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50).
S85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RREP 패킷의 발신노드(목적지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가지고 있는 경우, 수신노드는 기존 라우팅 엔트리와 수신한 RREP 패킷의 라우팅 엔트리의 링크 성능정보를 비교한다(S855). 링크 성능정보는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이 될 수 있다. 전송 속도 메트릭은 데이터 전송률이며 bit rate로 나타낼 수 있다.
S855 단계에서 판단 결과, 기존 전송 속도 메트릭이 새롭게 수신된 전송 속도 메트릭보다 좋을 경우, 수신노드는 수신된 RREP 패킷의 경로 정보를 우선순위 K개 중에 포함될 경우 낮은 라우팅 엔트리로 등록하고(S860), RREP 패킷의 전달을 중단한다. 목적지가 같은 라우팅 엔트리중 우선순위 K개를 초과하는 라우팅 엔트리는 삭제한다.
S855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된 RREP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이기존 전송 속도 메트릭보다 좋을 경우, 수신노드는 기존 라우팅 엔트리의 우선순위를 낮추고, 새롭게 수신한 RREP 패킷의 경로 정보를 높은 우선순위의 라우팅 엔트리로 등록하고(S865), 목적지(노드 S)로 전송하기 위하여 다음 홉으로 RREP 패킷을 전달한다(S870). 이것은 나중에 수신되는 RREP 패킷이 더 낮은 메트릭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S85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한 RREP 패킷의 발신노드(목적지노드, 노드 D)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 수신노드는 수신한 RREP 패킷의 라우팅 엔트리 정보를 수신노드의 새로운 라우팅 엔트리로 등록하고(S875), 목적 지(originator, 노드 S)로 전송하기 위하여 다음 홉으로 RREP 패킷을 전달한다(S87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설정을 위한 패킷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RR 패킷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로설정을 위해서는 각각의 링크의 성능이 누적 합산된 값을 반영하는 패킷 포맷이 필요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의 패킷 포맷에서 사용되지 않던 예비 필드(Reserved)를 이용하여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속도 메트릭(rate metric)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RERR 패킷을 구성한다.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은 RERR 패킷이전송되면서 거쳐온 구간의 데이터 전송율의 역수를 합산한 값이 될 수 있다.
RERR 패킷은 데이터 전송 중에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발견한 노드에 의해 생성되며 발신노드(originator, 노드 S) 방향으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임의의 노드가 기존 경로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였으나, 인접한 이웃노드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거나, 자신에게 유효한 경로 정보가 없을 때, 자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해당 노드는 해당 노드를 사용하는 발신노드(노드 S) 방향의 이웃노드로 RERR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모든 노드는 RERR 패킷을 수신할 경우, RERR 패킷에 포함된 끊겨진 노드로의 라우팅 엔트리를 사용불가한 것으로 인식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한다. RERR 패 킷의 전달은 수신노드가 가진 라우팅 엔트리의 프리커서(precursor) 리스트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다. 이때, 프리커서 리스트는 문제가 발생한 노드로의 링크를 사용하던 이웃노드들의 정보를 의미한다. 라우팅 테이블의 모든 라우팅 엔트리는 각각의 라우팅 엔트리를 사용하는 발신노드 방향의 이웃노드들의 주소를 프리커서 리스트에 보관한다.
다중경로의 유지를 위해 문제가 발생한 링크에서 RERR 패킷을 전달할 때, 노드는 다중경로의 유효한 나머지 경로들의 전송 속도 메트릭 중에 가장 좋은 값을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것은 다중경로를 가지고 있는 노드에서 어느 한방향의 경로가 끊겼을 경우, 나머지 유효한 경로의 정보를 발신노드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발신노드는 다중경로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경로 중에서 가장 좋은 성능의 경로를 이용하여 목적지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초기 경로 형성 후 모든 노드의 목적지노드(노드 D)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간략히 예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문제 발생 후 모든 노드의 목적지노드(노드 D)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간략히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과 앞서 상술한 도 1을 참조하여RERR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발신노드(S)에서 목적지노드(D)로 경로가 요청되어 형성된 라우팅 경로는 R 1 =S-1-2-3-4-5-6-D, R 2 =S-1-2-3-7-8-D, R 3 =S-1-9-10-11-12-D가 될 수 있다. 이때,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경로는 성능이 가장 좋은 R1 경로이다. 나머지 경로에 대한 구분은 각각의 분기노드인 1번 노드 및 3번 노드에서 이루어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 전송은 링크의 전송 속도 메트릭이 가장 좋은 경로 R1을 통해 전달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이하, 5번 노드에서 6번 노드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5번 노드를 통해 6번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5번 노드는 6번 노드로부터 ACK 메시지를 받지 못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6번 노드로부터 HELLO 패킷을 받지 못하였을 경우, 링크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5번 노드는 6번 노드로의링크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RERR 패킷을 생성하고 목적지노드(D)가 목적지인 라우팅 엔트리중에서 다음 홉을 노드 6으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를사용 불가로 갱신한다. 5번 노드는 해당 라우팅 엔트리의 프리커서를 참고하여 4번 노드로 RERR 패킷을 전달한다. 이때, 경로상에는 다중 경로가 없으므로, RERR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는 NULL 값으로 전달된다. 4번 노드는 RERR 패킷을 전달받고 전달하기 전에 목적지노드(D)가 목적지인 유효한 링크를 가지지 않으므로 자신의 링크를 사용 불가로 수정한다.
프리커서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를 거슬러 올라가면, 분기점이 되는 3번 노드 가 있다. 3번 노드는 라우팅 엔트리에 목적지노드(D)로의 유효한 경로가 존재하므로 유효한 경로 중 가장 좋은 성능을 갖는 경로(R2)에 해당하는 라우팅 엔트리의 성능 값을 2번 노드로 전달한다. 또한 3번 노드는 라우팅 엔트리의 성능 값을 전달할 RERR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에 넣고 2번 노드로 전달한다. 이때, 3번 노드는 목적지노드(D)를 목적지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 중 문제가 발생한 엔트리 정보만 사용 불가로 갱신하고 나머지 유효한 경로는 그대로 유지한다.
2번 노드는 3번 노드로부터 RERR 패킷을 수신하나 RERR 패킷에 포함된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의 값이 NULL이 아니므로 문제는 발생했으나 아직 유효한 경로 상에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2번 노드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목적지노드(D)를 목적지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의 값을 새롭게 전달받은 RERR 패킷에 포함된 링크 전송 속도 메트릭 값으로 갱신하고, 1번 노드로 RERR 패킷을 전달한다.
1번 노드는 2번 노드로부터 RERR 패킷을 전달받으면 3번 노드와 마찬가지로 목적지노드(D)가 목적지인 라우팅 엔트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신의 라우팅 엔트리의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을 수신한 RERR 패킷에 포함된 전송 속도 메트릭 값으로 갱신하고, 발신노드(S)로 RERR 패킷을 전달한다. 이때, 1번 노드에서 목적지노드(D)가 목적지인 엔트리의 전송 속도 메트릭의 성능에 따라 우선순위가 바뀔 수 있다.
발신노드(S)는 RERR 패킷을 전달받으나, 전송 속도 메트릭이 유효한 값을 가 지고 있으므로, 목적지노드(D)가 목적지인 라우팅 엔트리의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을 수신한 RERR 패킷에 포함된 전송 속도 메트릭 값으로 갱신한다. 발신노드(S)는 RERR 패킷을 전달받았으나, 유효한 경로가 있음을 확인했으므로 그대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5번 노드에서 6번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에 문제가 발생한 후, RERR 패킷의 전달에 의해 경로가 재설정된 상태에서 모든 노드의 목적지노드(D)에 대한 간략한 라우팅 엔트리를 나타낸다. 1번 노드에서는 우선순위의 변화가 없지만, 3번 노드에서 끊긴 경로에 의해 우선순위가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은 R 2 =S-1-2-3-7-8-D의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RR 패킷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임의의 노드는 RERR 패킷을 수신한다(S1210).
다음으로, RERR 패킷을 수신한 수신노드는 RERR 패킷에 포함된 문제노드들(끊어진 링크로 인해 도달하지 못하는 노드들)을 목적지로 갖는 라우팅 엔트리가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0).
S1220 단계에서 판단 결과, RERR 패킷에 포함된 문제노드를 목적지로 갖는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할 경우, 수신노드는 해당 라우팅 엔트리에목적지 노드로의 끊어진 링크 이외에 유효한 링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30).
S1230 단계에서 판단 결과, 해당 라우팅 엔트리에 목적지 노드로의 끊어진 링크 이외에 유효한 링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RERR 패킷내의 문제노드를 목적지로 갖는 라우팅 엔트리를 사용불가로 갱신한다(S1240).
S1230 단계에서 판단 결과, 해당 라우팅 엔트리에 목적지 노드로의 끊어진 링크 이외에 유효한 링크가 존재할 경우, 수신노드는 유효한 링크 중에서 가장 좋은 성능의 값을 RERR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에 추가한다(S1250). 이때, 수신노드는 문제의 끊어진 링크를 사용불가로 수정한다. 다중경로 중에서 문제의 링크는 사용불가로 수정되었으므로, 목적지노드로의 데이터 전송은 나머지 차선의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유지된다.
다음으로, RRER 메세지를 수신한 수신노드는 RREQ 메세지 안의 포함되어 있는 도달 불가능한 목적지 노드 목록의 모든 노드에 대해 해당하는(목적지가 같은) 라우팅 엔트리에 저장된 프리커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260), 프리커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라우팅 엔트리에 저장된 프리커서를 참고하여 또 다시 RERR 패킷을 전달한다(S1270). 즉, RERR 패킷의 전파는 수신한 RERR 패킷에 해당되는 라우팅 엔트리가 존재하고, 해당 라우팅 엔트리의 프리커서 리스트가 존재할 때 진행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ELLO 패킷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HELLO 패킷은 모든 노드가 주기적으로 이웃노드에 퍼뜨리는 정보로, 해당 노 드가 이웃노드의 주변에 위치해 있음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모든 노드는 특정 노드의 HELLO 패킷을 수신할 경우, 특정 노드를 다음 홉으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의 유효시간(lifetime)을 연장시킨다.
도 13을 참조하면, 임의의 노드는 HELLO 패킷을 수신한다(S1310).
다음으로, HELLO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노드는 수신된 HELLO 패킷의 송신노드를 다음 홉으로 사용하는 라우팅 엔트리 정보가 수신노드의 라우팅 엔트리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20).
S132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노드의 라우팅 엔트리 중 HELLO 패킷의 송신노드를 다음 홉으로 사용하는 라우팅 엔트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노드는 해당 라우팅 엔트리의 유효시간을 연장한다(S1330).
S132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수신노드의 라우팅 엔트리 중 HELLO 패킷의 송신노드를 다음 홉으로 사용하는 라우팅 엔트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HELLO 패킷의 송신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라우팅 엔트리를 생성한다(S1340).
다음으로, 수신노드는 수신한 HELLO 패킷을 폐기한다(S1350).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100)는 애드혹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 노트북(Notebook) 컴퓨터,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PDA 등의 유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통신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네트워크 노드(100)는 통신부(110) 및 제 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100)는 표시부(미도시), 입력부(미도시), 저장부(미도시) 등의 일반적인 통신단말의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으며,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경로설정을 위한 제어 패킷 메시지(RREQ, RREP, RERR, HELLO 등)을 수신하고 이웃노드로 송신한다.
제어부(120)는 네트워크 노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목적지노드로 경로설정을 하기 위하여 통신부(110)가 수신한 제어 패킷을 확인하고 갱신하여 이웃노드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도 1 내지 도 13에서 상술한 내용에 따라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경로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성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 엔트리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 엔트리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설정을 위한 패킷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EQ의 전송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EQ 패킷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설정을 위한 패킷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EP 패킷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설정을 위한 패킷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초기 경로 형성 후 모든 노드의 목적지노드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간략히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문제 발생 후 모든 노드의 목적지노드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간략히 예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RR 패킷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ELLO 패킷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네트워크 노드 110: 통신부
120: 제어부

Claims (8)

  1.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발신노드에서 목적지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노드가 상기 발신노드의 이웃노드로 RREQ(route request) 메세지를 퍼뜨리는 단계;
    상기 목적지노드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상기 목적지노드의 복수의 이웃노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RREQ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노드가 복수의 상기 RREQ 패킷에 대한 복수의 RREP(route reply) 패킷을 상기 목적지노드의 복수의 이웃노드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노드가 상기 복수의 RREP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발신노드와 상기 목적지노드 사이에 다중경로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RREQ 패킷 및 상기 RREP 패킷에 포함된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을 이용하여 최적 경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노드는 상기 복수의 RREQ 패킷 중 첫번째로 수신한 제1 RREQ 패킷에 대한 제1 RREP 패킷을 상기 발신노드로 전송하여 상기 최적 경로가 설정되고, 두번째부터 수신한 나머지 RREQ 패킷에 대한 나머지 RREP 패킷을 상기 발신노드로 전송하여 나머지 경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설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REQ 패킷을 수신한 순간부터 미리 설정된 RREP 패킷의 응답시간 이내에 미리 설정된 개수 만큼의 수신된 상기 나머지 RREQ 패킷에 대한 상기 나머지 RREP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다중경로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은 이전 링크의 전송속도의 역수값을 누적 합산한 값이고, 상기 RREQ 패킷 및 상기 RREP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에 포함되어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노드와 상기 목적지노드 사이에 설정된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문제를 인지한 노드가 RERR 패킷을 이웃노드로 멀티캐드팅하여 발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경로가 분기되는 지점에 위치한 분기노드가 상기 RERR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다중 경로 중 나머지 유효한 경로의 전송 속도 메트릭 값 중 가장 낮은 값을 상기 RERR 패킷의 전송 속도 메트릭 필드에 포함시켜 상기 발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REP 패킷 또는 RERR 패킷을 수신한 임의의 노드는 상기 패킷에 포함된 전송 속도 메트릭 값을 이용하여 이웃노드로 계속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설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REQ 패킷, 상기 RREP 패킷, RERR 패킷을 포함하는 제어 패킷을 수신하는 임의의 노드는 상기 제어 패킷을 이용하여 라우팅 엔트리를 생성하거나 갱신하고, 같은 목적지로의 라우팅 엔트리가 생성되거나 갱신되는 경우, 상기 전송 속도 메트릭 값에 의해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라우팅 엔트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설정 방법.
  8.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로설정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노드.
KR1020090052402A 2009-06-12 2009-06-12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 KR10105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402A KR101057095B1 (ko) 2009-06-12 2009-06-12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402A KR101057095B1 (ko) 2009-06-12 2009-06-12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712A true KR20100133712A (ko) 2010-12-22
KR101057095B1 KR101057095B1 (ko) 2011-08-16

Family

ID=4350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402A KR101057095B1 (ko) 2009-06-12 2009-06-12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0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67B1 (ko) * 2010-04-29 2012-05-2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400868B1 (ko) * 2012-12-03 2014-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행재배치된 우선도 행렬을 이용한 다중 경로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1449637B1 (ko) * 2013-12-17 2014-10-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확장된 독립적인 비트변수를 사용하는 회전식 브리지 우선도 마스킹 방법
KR101452613B1 (ko) * 2013-01-14 2014-10-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에드혹 환경에서 p2p 라우팅 방법
WO2015152626A1 (en) * 2014-04-01 2015-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devices
KR101694329B1 (ko) * 2016-04-12 2017-01-10 주식회사 주빅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 확립 방법
KR20190103330A (ko) * 2017-02-10 2019-09-04 소니 주식회사 방향성 전송들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루트 발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67B1 (ko) * 2010-04-29 2012-05-2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400868B1 (ko) * 2012-12-03 2014-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행재배치된 우선도 행렬을 이용한 다중 경로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1452613B1 (ko) * 2013-01-14 2014-10-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에드혹 환경에서 p2p 라우팅 방법
KR101449637B1 (ko) * 2013-12-17 2014-10-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확장된 독립적인 비트변수를 사용하는 회전식 브리지 우선도 마스킹 방법
WO2015152626A1 (en) * 2014-04-01 2015-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devices
US9967171B2 (en) 2014-04-01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devices
KR101694329B1 (ko) * 2016-04-12 2017-01-10 주식회사 주빅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 확립 방법
KR20190103330A (ko) * 2017-02-10 2019-09-04 소니 주식회사 방향성 전송들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루트 발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095B1 (ko)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ppusamy et al. A study and comparison of OLSR, AODV and TORA routing protocols in ad hoc networks
KR101057095B1 (ko) 메쉬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방법
US8441958B2 (en) Directed acyclic graph discovery and network prefix information distribution relative to a clusterhead in an ad hoc mobile network
JP5087553B2 (ja) 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適応性無線ルーティングプロトコル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147467B1 (ko)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Li et al. Stable node-disjoint multipath routing with low overhead in mobile ad hoc networks
Adam et al. Delay aware reactive routing protocols for QoS in MANETs: A review
Jacob et al. Performance analysis and enhancement of routing protocol in MANET
Li et al. Node-disjointness-based multipath routing for mobile ad hoc networks
Kushwaha et al. AOMDV routing algorithm for Wireless Mesh Networks with local repair (AOMDV-LR)
Li et al. A reliable node-disjoint multipath routing with low overhead in wireless ad hoc networks
Gupta et al. Comparison of DYMO, AODV, DSR and DSDV MANET Routing protocols over varying traffic
KR100955246B1 (ko) 무선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동적 그룹 소스 라우팅방법
Bai-Long et al. An improvement for local route repair in mobile ad hoc networks
Khosroabadi et al. An overview of some of the QoS routing protocol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Bande et al. Node Disjoint Multipath Routing Approach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Manets‖
Tamilarasan et al. An Analysis and Comparison of Multi-Hop Ad-Hoc wireless Routing Protocols for Mobile Node
Khan et al. Enhancement of manet routing protocol
Oh A hybrid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Mesh Networks
Reddy et al. Temporary parallel route recovery for frequent link failure in VANET
WO2007080773A1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ノード装置
Wang et al. AODV compatible routing with extensive use of cache information in ad-hoc networks
Raut et al. Routing Protocols in Mobile Adhoc Network (MANET)
CN116828558A (zh) 一种基于改进oslr路由协议实现全网路由的计算方法
Dubois-Ferriere et al. Generalized route establishment protocol (grep): Proof of loop-free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