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670A - Proof panel - Google Patents
Proof pa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2670A KR20100132670A KR1020090051388A KR20090051388A KR20100132670A KR 20100132670 A KR20100132670 A KR 20100132670A KR 1020090051388 A KR1020090051388 A KR 1020090051388A KR 20090051388 A KR20090051388 A KR 20090051388A KR 20100132670 A KR20100132670 A KR 201001326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body
- panel
- sound absorbing
- coupling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3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undulated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이면서 그 조립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구성요소 간의 견고한 조립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흡음, 차음 및 순환상쇄 등으로 인한 방음효과가 매우 우수한 방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 panel, and more particularly, a lightweight and simple assembly structure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can implement a solid assembly structure between components, soundproofing effect due to sound absorption, sound insulation and circulation offset A very good soundproof panel.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 공항, 공장등과 같이 소음이 발생되는 장소에 소음의 감소 또는 소멸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바, 도로 또는 공항의 활주로에서는 방음벽에 소음원의 이동로와 평행하게 병렬 설치하거나 공장 등과 같이 폐쇄된 장소에서는 소음원을 밀폐 또는 감싸도록 설치하여 외부의 소음 유출을 방지하도륵 되어 있다.In general, sound barriers are installed in places where noise is generated, such as roads, airports, and factorie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or eliminating noise.In runways of roads or airports, noise barriers are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noise source's movement path or In a closed place, such as a noise source is installed to seal or wrap the noise source to prevent outside noise leakage.
이러한 방음벽은 주로 소음의 차단이 목적이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그 소음을 듣는 사람이 있는 장소 사이에 설치하며, 도로 옆에 설치하는 대형 방음벽 등이 대표적이다. 소리는 파동의 형태로 전달되기 때문에 파동의 운동 법칙을 고려해서 방음벽을 제작하게 되며, 때문에 높이를 높게 만들거나 두께를 두껍게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음파를 흡수할 수 있는 특수한 방음재료를 사용해서 제작하기도 한다. Such soundproof walls are mainly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blocking noise, and are installed between the place where the noise is heard from the place where the noise occurs, and a large soundproof wall installed beside the road is typical. Since the sound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waves, the soundproof wall i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law of motion of the wave. Therefore, it is common to make the height high or make the thickness thick. It is also manufactured using special sound-proof materials that can absorb sound waves.
이러한 방음벽은 소음을 가장 많이 받는 위치인 '수음점(受音点)'을 고려해서 제작하게 되며, 제작시에는 음을 얼마나 흡수할 수 있느냐 하는 흡음률, 벽을 통과한 소음이 얼마나 줄어드느냐 하는 투과손실, 방음벽 설치 이후에 데시벨 수치가 얼마나 줄어드느냐 하는 삽입손실 등을 고려해서 제작한다. 국내에서는 환경부에서 고시한 기준에 따라 방음벽을 제작 내지 설치하고, 최근에는 위와 같은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미관 내지 안전 측면도 고려되고 있다.These soundproof walls are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the 'sound point', which is the location that receives the most noise.At the time of manufacture, the sound absorption rate is how much sound can be absorbed, and how much the noise passing through the wall is reduced. Loss, and the insertion loss, such as how much the decibel valu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oundproof wall is considered. In Korea, the soundproof wall is manufactured or install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cently, not only the functional aspect but also the aesthetic or safety aspect are considered.
이러한 방음벽은 굳이 소음의 차단만이 아니라 차량의 배기가스등도 차단시켜주며, 인근 건물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져와 개인 사생활 보호의 역할도 담당한다. 또한 이와 함께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여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안정성 도모의 일익을 담당할 수도 있다. These sound barriers not only block noise, but also block the exhaust gases of vehicles. They also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side of nearby buildings from being exposed. 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to remove the elements that can lead to large accidents can also play a role in the promotion of stability.
현재 시공되는 방음벽들은 주로 복수의 방음패널들이 지지프레임 상에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방음패널들은 그 상하 방향으로 높은 지지강성이 요구되고, 이에 방음패널의 재료 선택 내지 방음패널의 자체의 지지구조 등에 대한 설계상의 제한이 뒤따르므로 각 방음패널 자체의 지지강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The soundproof walls currently constructed are mainly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oundproof panels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support frame, so that each soundproof panel is required to have high supporting rigid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us, the material selection of the soundproof panel or the soundproof panel itself is performed. Since the design limitations on the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like follow,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upporting rigidity of each soundproof panel itself.
또한, 방음패널은 소음 차단의 효과를 증진시키도록 그 내부에 보다 효과적인 소음 방지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insulation panel is required a more effective noise prevention structure therein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noise blocking.
또한, 방음패널은 그 내부에 흡음성을 높이기 위한 흡음재가 내장되고, 그 일측에는 흡음재를 커버하는 덮개 등이 설치된다. 이에, 방음패널은 각 구성요소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조립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insulation panel has a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enhancing sound absorption inside thereof,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Therefore, the soundproof panel is required to be easy to assemble between each component as well as a solid assembly structure is requir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경량이면서 그 조립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구성요소 간의 견고한 조립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흡음, 차음 및 순환상쇄 등으로 인한 방음효과가 매우 우수한 방음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it is lightweight and the assembly structure is simple,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a solid assembly structure between the components can be implemented, due to sound absorption, sound insulation and circulation offse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proofing panel having a very good soundproofing effe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Soundproof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일측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내부에 2 이상의 수용공간을 가진 패널몸체;A panel body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and having at least two receiving spaces therein;
상기 패널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음재; 및 Sound absorbing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anel body; And
상기 패널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흡음공을 가진 덮개;를 포함하고,And a cover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panel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holes.
상기 패널몸체는 그 상단에 수평하게 연장된 상부연장부, 그 하단에 수평하게 연장된 하부연장부, 상기 2 이상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된 구획연장부를 가지며, The panel body has an upper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at its upper end, a lower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at its lower end, and a partition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to partition the two or more receiving spaces.
상기 흡음재는 상기 패널몸체의 내벽면과 이격됨으로써 소음의 순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순환공간은 패널몸체의 내벽면 및 흡음재에 의해 한정되며,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nel body to form a circulation space of noise, the circulation space is defined by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of the panel body,
상기 덮개는 복수의 흡음공이 형성된 폐쇄부 및 상기 폐쇄부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losed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holes and a protru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losed portion.
상기 패널몸체는 그 내부에 수용공간 및 순환공간을 한정하는 복수의 내벽면을 가지고, 복수의 내벽면은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여 수평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내벽면, 상기 개구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3내벽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내벽면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제3내벽면과 제1 및 제2 내벽면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복수의 지지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턱은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흡음재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턱과 제3내벽면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곡면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anel body has a plurality of inner wall surfaces defining a receiving space and a circulation space therein, the plurality of inner wall surfaces are first and second inner wall surfaces formed horizontally adjacent to the opening, opposite the opening It consists of a third inner wall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inner wall surface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supporting jaw is a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third inner wall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inner wall surface.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jaws supports a sound absorb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urved surface reflection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support jaw and the third inner wall surf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돌출부는 반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표면에는 복수의 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otruding portion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a plurality of reflective groove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상기 각 개구부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각 결합홈의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리텐션플랜지가 돌출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결합돌기를 가지고, 상기 각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 내에 수용되는 결합후크 및 상기 한 쌍의 리텐션플랜지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수용홈을 가진다.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openings, respectively, and a pair of retention flanges facing each other protrude from the ends of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cover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s. Each coupling protrusion has a coupling hook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a pair of receiving grooves to which the pair of retention flanges are fitted.
상기 패널몸체는 그 상단 및 하단에 안착턱을 가지고, 상기 안착턱은 상기 개구부의 결합홈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폐쇄부는 상기 패널몸체의 구획연장부에 대응하는 내측면에 안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anel body has a seating jaw at its upper and lower ends, the seating jaw is formed adjacent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opening, the closing portion of the cover has a seat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 extension of the panel body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방음패널 내부에 흡음재를 설치할 뿐만 아니라 소음 의 순환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소음의 감쇄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덮개 및 흡음재 등과 같은 구성요소의 조립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간의 견고한 조립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in the soundproof panel as well as by forming a circulation space of the noise can further enhance the noise attenuation effect, it is also very easy to assemble and install components such as cover and sound absorbing material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implement a solid assembly structure between the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음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1 to 3 is a view showing a soundproofing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음패널(10)은 흡음재(15)가 내장된 패널몸체(11)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패널몸체(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흡음재(15)가 수용되는 2 이상의 수용공간(12)을 가진다. 이러한 2 이상의 수용공간(12)에 의해 패널몸체(11)는 그 상단에 상부연장부(11a)가 연장되며, 그 하단에 하부연장부(11b)가 수평하게 연장되고, 또한 패널몸체(11)는 2 이상의 수용공간(12)을 구획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구획연장부(11c)를 가진다. 이러한 상부연장부(11a), 하부연장부(11b), 구획연장부(11c)에 의해 각 수용공간(12)은 사각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수용공간(12)에 수용되는 흡음재(15)는 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흡음재(15)를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가공 내지 제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각 수용공간(12)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덮개(20)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부(13) 가 형성되며, 각 수용공간(12)의 타측에는 순환공간(14)이 형성된다. 이 순환공간(14)은 흡음재(15)를 통과한 소음이 순환하면서 상쇄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으로, 이 순환공간(14)의 순환 상쇄 작용에 의해 소음의 차음 내지 방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One side of each
패널몸체(11)는 그 내부에 수용공간(12) 및 순환공간(14)을 한정하기 위한 복수의 내벽면(12a, 12b, 12c)을 가진다. 복수의 내벽면(12a, 12b, 12c, 12d)은 개구부(13)에 인접하여 수평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내벽면(12a, 12b), 개구부(13)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3내벽면(12c)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내벽면(12a, 12b)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The
제3내벽면(12c)과 제1 및 제2 내벽면(12a, 12b)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복수의 지지턱(12d)이 각각 형성되고, 이 복수의 지지턱(12d)은 수용공간(12) 내에 수용되는 흡음재(15)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지지턱(12d)에 의해 수용공간(12)과 순환공간(14)은 도 2의 점선 C선을 따라 서로 구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지지턱(12d)과 제3내벽면(12c)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곡면반사부(12e)가 형성되고, 이 곡면반사부(12e)에 의해 순환공간(14) 내에서 순환하는 소음은 반사되어 그 순환 상쇄 작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A curved
수용공간(12) 내에 설치된 흡음재(15)는 그 상면은 제1내벽면(12a)과 접촉하고, 그 하면은 제2내벽면(12b)과 접촉하며, 그 좌측면은 순환공간(14)에 인접하고, 그 우측면은 개구부(13)에 인접한다. The
순환공간(14)은 패널몸체(11)의 수용공간(12)에 설치되는 흡음재(15)가 복수 의 지지턱(12d)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흡음재(15)의 좌측면이 제3내벽면(12c)과 일정간격(h)으로 이격됨으로써 형성된다. 이 순환공간(14)은 수용공간(12)을 기준으로 개구부(13)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순환공간(14)은 곡면반사부(12e), 제3내벽면(12c) 및 흡음재(15)에 의해 한정된다. 흡음재(15)를 통과한 소음의 일부가 순환공간(14) 내에서 반사 내지 순환됨으로써 상쇄될 수 있고, 이에 흡음재(15)에서 흡음되지 않은 일부의 소음은 순환공간(14) 내에서 순환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그 소음의 차음 내지 방음효과를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개구부(13)에는 덮개(20)가 결합되고, 덮개(20)는 폐쇄부(21) 및 하나 이상의 돌출부(25)를 포함한다. A
폐쇄부(21)는 그 전면에 걸쳐 복수의 흡음공(22)을 가지고, 이 흡음공(22)을 통해 소음이 흡음재(15)로 전달될 수 있다. The
돌출부(25)는 폐쇄부(21)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됨으로써 비틀림 또는 휨 등에 대한 저항을 높여 덮개(2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otruding
돌출부(25)는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표면에는 복수의 반사홈(2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5)는 반원형 구조로 인해 소음의 반사감쇄 내지 소멸 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반사홈(25a)을 통해 그 소음감쇄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The
또한, 본 발명의 돌출부(25)는 반원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그 외관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덮개(20)는 그 보관 내지 운반 도중에 패널몸체(11)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 기 위하여,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견고한 결합구조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revent the
이를 위해, 각 개구부(13)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결합홈(13a)이 각각 형성되고, 각 결합홈(13a)의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리텐션플랜지(13b)가 돌출한다. 덮개(20)는 상기 결합홈(13a)에 대응하는 내측면에 복수의 결합돌기(23)를 가지고, 복수의 결합돌기(23)는 개구부(13)의 결합홈(13a)들 내에 개별적으로 끼움결합된다. 각 결합돌기(23)는 결합홈(13a) 내에 수용되는 결합후크(23a) 및 한 쌍의 리텐션플랜지(13b)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수용홈(23b)을 가진다. 이에, 덮개(20)의 결합돌기(23)가 개구부(13)의 결합홈(13a)에 삽입된 후에 결합돌기(23)의 수용홈(23b) 및 결합홈(13a)의 리텐션플랜지(13b)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덮개(20)는 개구부(13)측에 매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o this end,
패널몸체(11)는 상단 및 하단에는 안착턱(11d)이 형성되고, 이 안착턱(11d)은 개구부(13)의 결합홈(13a)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안착턱(11d)의 깊이는 덮개(20)의 폐쇄부(2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20)의 폐쇄부(21)는 그 내측면에 안착홈(24)을 가지고, 이 안착홈(24)은 패널몸체(11)의 구획연장부(11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에 패널몸체(11)의 구획연장부(11c)의 단부가 안착홈(24) 내에 안착된다. 또한, 안착홈(24)은 패널몸체(11)의 안착턱(11d)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덮개(20)의 폐쇄부(21)는 그 상단 및 하단 각각이 패널몸체(11)의 안착턱(11d)에 안착됨으로써 덮개(20)는 패널몸체(1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그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각 수용공간(12)의 주변에 복수의 차음공동(16)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복수의 차음공동(16)에 의해 패널몸체(11)는 그 재료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복수의 차음공동(16)은 복수의 구획벽(16a)들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구획벽(16a)들은 사선방향, 수평방향, 수직방향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패널몸체(11)의 지지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 또한, 덮개(20)의 돌출부(25) 내에도 복수의 차음공동(17)이 복수의 구획벽(17a)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그리고, 패널몸체(11)는 그 상단 및 하단 각각에 하나 이상의 조립돌기(18) 및 하나 이상의 조립홈(19)을 가지고, 이러한 조립돌기(18) 및 조립홈(19)에 의해 본 발명의 방음벽(10)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적층시 그 조립 내지 시공이 매우 용이해지고, 이에 그 시공의 간편성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The
한편, 패널몸체(11) 및 덮개(20)는 수지재질로 구성됨으로써 경량화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보관 내지 운반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패널몸체(11) 및 덮개(20)에 40% 이상의 재활용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성 제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und insula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방음패널을 구성하는 패널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nel body constituting the soundproof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방음패널 내에 흡음재 및 덮개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 cover are assembled in the sound insulatio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방음패널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방음패널 11: 패널몸체10: soundproof panel 11: panel body
12: 수용공간 13: 개구부12: receiving space 13: opening
14: 순환공간 15: 흡음재14: circulation space 15: sound absorbing material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1388A KR101128390B1 (en) | 2009-06-10 | 2009-06-10 | Proof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1388A KR101128390B1 (en) | 2009-06-10 | 2009-06-10 | Proof pan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2670A true KR20100132670A (en) | 2010-12-20 |
KR101128390B1 KR101128390B1 (en) | 2012-03-23 |
Family
ID=4350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1388A KR101128390B1 (en) | 2009-06-10 | 2009-06-10 | Proof pa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839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7568B1 (en) | 2021-05-04 | 2021-09-02 | 강민재 | Assembly-type Soundproof Pane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3885B1 (en) | 2012-12-20 | 2013-06-17 | 주식회사 현대표지 | Removable diffractive transparent soundproof fram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2606Y1 (en) * | 2005-12-30 | 2006-03-29 | 주식회사 은강건설산업 | soundproof pannel assembly |
KR100741737B1 (en) * | 2006-12-26 | 2007-07-23 | 세원에스에스 주식회사 | Soundproof wall |
-
2009
- 2009-06-10 KR KR1020090051388A patent/KR101128390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7568B1 (en) | 2021-05-04 | 2021-09-02 | 강민재 | Assembly-type Soundproof Pa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8390B1 (en) | 2012-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9854B1 (en) | The soundproofing booth | |
KR101218343B1 (en) | Soundproof wall for possible preventing leakage and vibration absorption | |
KR101038276B1 (en) | Panel for sound proof wall | |
KR101128390B1 (en) | Proof panel | |
KR101044027B1 (en) | Proof panel | |
KR100645234B1 (en) | Soundproofing wall for a tunnel of assembling-type | |
KR101051038B1 (en) | Transparent soundproof panal | |
KR200423185Y1 (en) | Soundproofing panel to establish soundproofing walls | |
JP2011111820A (en) | Sound insulating wall for tunnel, and sound insulating system for tunnel using the same | |
KR101104997B1 (en) | A soundproof plate assembly | |
KR101246781B1 (en) | Soundproof panel structure | |
KR101542547B1 (en) | A soundproof panel assembly | |
KR101608441B1 (en) | Frame for Soundproof Wall | |
KR101197719B1 (en) | Back the sound proofing wall which uses the sound proofing wall sound-absorbing panel and that sound-absorbing panel | |
KR100550107B1 (en) | Soundproof structure | |
KR20120067970A (en) | Complex type soundproofing pannel assembly | |
KR101042326B1 (en) | Soundproof panel | |
KR200434734Y1 (en) | soundproof wall | |
KR100552993B1 (en) | Diffraction prevent cover for noise wall vertical cap | |
KR100673623B1 (en) | Soundproof unit, soundproof wall and soundproof tunnel | |
KR101139926B1 (en) | Assembly type sound absorb and proof walll moudle | |
KR101118621B1 (en) | Temporary sound proof wall | |
KR102193992B1 (en) | Fabrication rooftop exhaust facilities soundproofing walls | |
KR100505844B1 (en) | Soundproof panel | |
KR100401016B1 (en) | Soundproofing wall having improved soundproofing structure and thereof establishmen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