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828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828A
KR20100131828A KR1020090050625A KR20090050625A KR20100131828A KR 20100131828 A KR20100131828 A KR 20100131828A KR 1020090050625 A KR1020090050625 A KR 1020090050625A KR 20090050625 A KR20090050625 A KR 20090050625A KR 20100131828 A KR20100131828 A KR 20100131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unit
wireless communication
main body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언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1828A/ko
Publication of KR2010013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능을 구현하는 무선통신모듈와,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프레임은, 금속 재질의 모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상에 일체로 결합 되도록 상기 제1 부재와 다른 소재의 금속을 주조하여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부품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복합형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프레임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프레임이 복합적인 가공에 의해 부분별로 상이한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통신모듈와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전자기파를 송수신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구현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프레임은, 금속 재질의 모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상에 일체로 결합 되도록 상기 제1 부재와 다른 소재의 금속을 주조하여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는 스테인레스 스틸이고, 상기 제2 부재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조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에 상기 제2 부재의 일 부분이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기 이격에 의해 일 면이 개구된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에는 상기 일 면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 키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본체의 윤곽을 따라 연장하는 고리 형태의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 수지가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3 부재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는 아노다이징 처리가 되거나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통신모듈을 수용하는 본체의 프레임이 이종의 금속 재질로서 프레스 가공된 후에 주조되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구조적 강성이 필요한 부분에는 그에 요구되는 수준의 강성을 부여하고 복잡한 구조의 형성에도 제약이 최소화되게 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제2 바디(120)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제1 바디(110)와 달리 광이 투과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 도 3 참조)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음향 입력부(125)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조작부(124)와 인터페이스(126)는 제2 바디(120)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제2 바디(120)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본 도면과 같이 제1 바디(1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123,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3 조작부(116 및 124)는 푸시 방식에 의해 명령을 입력받도록 돔 스위치를 채용할 때, 제2 조작부(123)는 터치 입력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2 조작부(123)는 터치 입력 유닛이라 칭해질 수도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7)는 리어 케이스(122)를 프론트 케이스(121)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제2 바디(120)의 단순화를 위하여, 제2 바디(120)가 아닌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 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1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 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의 일부는 제1 바디(110)의 내부의 공간(S1)에 수용된다.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의 일부 역시 제2 바디(120)의 내부 공간(S2)에 수용된 상태이다. 이러한 수용 구조에 의해 휴대 단말기는 전체적으로 바(bar) 타입과 같은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2 바디(120)는 광 투과성 부재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121) 및 리어 케이스(122)가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 사이에는 불투명한 구성이 배치되지 않는다.
빛이 가해지면, 일부는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 및 프론트 케이스(121)를 관통하여 진행하게 된다. 제1 바디(110)를 향해 진행한 빛은 그에 의해 차단되거나 반사되고, 제1 바디(110)를 관통하지 못한다. 이와 달리, 제1 바디(110)도 광 투과성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 케이스(121)와 제2 조작부(123) 그리고 슬라이드 모듈(133)이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프론트 케이스(121)만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21)는 본체의 일 부분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프레임이라고도 칭해진다. 프론트 케이스(121)의 하부에는 제2 조작부(123)가 결합되고, 상부에는 슬라이드 모듈(133)이 결합 된다.
슬라이드 모듈(133)은 제1 바디(110)의 프론트 케이스(111)와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 각각 서로 협동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모듈(133)은 케이스들(111 및 12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133-1)와,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133-2)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부재들(133-1 및 133-2)에는 그들의 상대 위치를 특정한 상태로 탄성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유닛(133-3)이 형성된다. 편향 유닛(133-3)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는 제1 부재(210)와 제2 부재(2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물이다. 제1 부재(210)와 제2 부재(220)는 각기 다른 성질을 가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제1 부재(210)가 강도가 큰 금속인 스테인레스 스틸이라면, 제2 부재(220)는 제1 부재(210)보다는 강도가 작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210)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단순한 형태로 제작된다면, 제2 부재(220)는 주조(casting)에 의해 보다 복잡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제1 부재(210)는 본체의 외곽을 따라 연장하는 고리 형태의 테두리부(211)를 포함한다. 테두리부(211)가 한정하는 공간 내에는 중앙부(212)가 배치될 수 있다. 중앙부(212)에 의해, 테두리부(211)가 한정하는 공간에는 제1 및 제2 공간들(215 및 216)이 개구된 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215)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되고, 제2 공간에는 슬라이드 모듈(133)이 배치된다. 제2 조작부(123)와 슬라이드 모듈(133)의 적어도 일부는 중앙부(2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부재(210)는 프론트 케이스(121)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담보하는 부분으로서, 강도가 큰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형성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2 부재(220)는 제1 부재(210)를 프레스 가공한 후에 그와 일체화되도록 주조에 의해 형성된다. 그에 의해, 제1 및 제2 부재들(210 및 220)은 단일 체(single body)로서 기능할 수 있는 복합형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도 6은 도 5의 일 부분(A)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부재(210)와 제2 부재(220) 사이에는 일 부분이 이격됨에 따른 수용 공간(230)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230)은 제1 부재(210)에 대하여 제2 부재(220)를 주조할 때, 수용 공간(230)에 대응하는 부피를 가진 보조 부재를 배치하고 주조가 행하여 짐에 따라 형성된다. 프레스 가공 만에 의해서는 이러한 수용 공간(230)은 형성되기 어렵고, 주조 공정에 따라 제2 부재(220)가 제1 부재(210)와 일체로서 복합체를 형성함에 의해 형성 가능하다.
수용 공간(230)은 일 면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수용 공간(230)에는 조작 키(240)와 같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조작 키(240)는 본체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사이드 키로도 불려 질 수 있다. 구체적인 배치와 관련하여, 조작 키(240)는 도 1의 제3 조작부(124)와 같이 본체의 측면을 통해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의 제1 부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재가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된다. 제2 부재는 제1 부재에 주조되어, 제1 및 제2 부재들이 일체로서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게 한다. 제1 부재는 큰 강성에 의해 전체 복합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담보하게 되고, 제2 부재는 제1 부재가 구현하지 못한 복잡한 형상을 구현하게 된다.
위 복합체의 형성 후에는, 필요에 따라 수지를 사출할 수 있다. 수지는 금속 재질의 제1 및 제2 부재와 달리, 비 금속성으로 인하여 전자기파의 수신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제3 부재는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재에는 금속의 특성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행하여질 수 있다. 표면 처리의 일 형태로서, 제1 및 제2 부재의 표면에는 미세한 그루브(groove) 형태의 헤러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아노다이징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노다이징은 금속(부품) 부재를 양극에 걸고 희석-산의 액에서 전해하면,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서 소지금속과 대단한 밀착력을 갖인 산화피막(산화 알미늄: Al₂O₃)이 형성된다. 양극 산화(아노다이징)란 즉 양극 (Anode)과 산화 (Oxidizing)의 합성어(Ano-dizing) 이다. 알미늄을 양극에서 전해하면 알미늄 표면이 반은 침식되고, 반은 산화알미늄 피막이 형성된다. 알미늄 양극산화는 다양한 처리액 조성과 농도, 첨가제. 처리액의 온도, 전압. 전류등에 따라 피막의 성질이 다르게 생산할 수 있다. 피막은 치밀한 산화물로 내식성이 우수하며, 장식성 외관을 개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에는 금속성 부재(250)와 수지 재질의 부재(260)에 의해 형성된다.
금속성 부재(250)는 앞선 실시예의 제1 및 제2 부재들(210 및 220)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형태적인 면에서, 금속성 부재(250)의 일 부분은 격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금속성 부재(250)에 의해 형성된 격자 형태의 공간에는 수지 재질의 부재(260)가 채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본체의 외관은 금속에 의한 느낌과 수지에 의한 느낌이 혼용된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6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6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65), 메모리(16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16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3)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6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6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166)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6)는 휴대용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6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6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6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 (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6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6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측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프론트 케이스와 제2 조작부 그리고 슬라이드 모듈이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프론트 케이스만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7)

  1. 무선통신 기능을 구현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프레임은,
    금속 재질의 모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상에 일체로 결합 되도록 상기 제1 부재와 다른 소재의 금속을 주조하여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스테인레스 스틸이고,
    상기 제2 부재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에 상기 제2 부재의 일 부분이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기 이격에 의해 일 면이 개구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는 상기 일 면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 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본체의 윤곽을 따라 연장하는 고리 형태의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수지가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3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는 아노다이징 처리가 되거나 헤어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90050625A 2009-06-08 2009-06-08 휴대용 단말기 KR20100131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25A KR20100131828A (ko) 2009-06-08 2009-06-08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25A KR20100131828A (ko) 2009-06-08 2009-06-08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828A true KR20100131828A (ko) 2010-12-16

Family

ID=4350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625A KR20100131828A (ko) 2009-06-08 2009-06-08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18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443A (ko) * 2012-04-20 201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시디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5916A (ko) * 2012-08-23 2014-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CN103716429A (zh) * 2013-12-31 2014-04-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金属件装配结构及其制作方法
CN105049554A (zh) * 2015-06-01 2015-11-11 薛春贵 手机壳或平板电脑壳的制造方法及手机壳或平板电脑壳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443A (ko) * 2012-04-20 201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시디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5916A (ko) * 2012-08-23 2014-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CN103716429A (zh) * 2013-12-31 2014-04-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金属件装配结构及其制作方法
WO2015100831A1 (zh) * 2013-12-31 2015-07-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金属件装配结构及其制作方法
CN105049554A (zh) * 2015-06-01 2015-11-11 薛春贵 手机壳或平板电脑壳的制造方法及手机壳或平板电脑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3761A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KR20090118765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25417A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제조 방법
KR20100131828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00030166A (ko) 휴대 단말기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098372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80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82B1 (ko) 휴대 단말기
KR101570378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1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45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36021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전력 제어방법
KR20110032335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9216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6319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95180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55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4155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87349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39741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