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38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383A
KR20100131383A KR1020100052788A KR20100052788A KR20100131383A KR 20100131383 A KR20100131383 A KR 20100131383A KR 1020100052788 A KR1020100052788 A KR 1020100052788A KR 20100052788 A KR20100052788 A KR 20100052788A KR 20100131383 A KR20100131383 A KR 20100131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zone
reference signal
lte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진
정재훈
한승희
권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0/0036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40871A2/ko
Publication of KR2010013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중계기 및/LTE-A 단말은 기지국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을 이용하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특히, 중계기 존 내의 시간 순서대로 13번째 심볼을 통하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계기 및/또는 LTE-A 단말의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을 위해 필요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할당하는 방법, 할당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 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120)과 기지국(eNode B; eNB)(110a 및 110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최근 3GPP는 LTE에 대한 후속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기술을 "LTE-Advanced" 또는 "LTE-A"라고 지칭한다.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시스템 대역폭의 차이다. LTE-A 시스템은 최대 100 MHs의 광대역을 지원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복수의 주파수 블록을 사용하여 광대역을 달성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또는 대역폭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또는 bandwidth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반송파 집성은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주파수 블록을 하나의 커다란 논리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각 주파수 블록의 대역폭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블록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주파수 블록은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무선 통신 환경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의 채널 상태가 열악한 경우에는 기지국 및 단말 간에 중계기(RN: Relay Node)를 설치하여 채널 상태가 보다 우수한 무선 채널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가 열악한 셀 경계 지역에서 중계기를 도입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고,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해 도입된 기술로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거의 중계 방식이 단순히 신호를 증폭해서 전송하는 리피터(Repeater)의 기능에 국한된 것에 비해 최근에는 보다 지능화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더 나아가 중계기 기술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증설 비용과 백홀망의 유지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와 데이터 처리율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에 해당한다. 중계기 기술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중계기를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다.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중계기에 기지국과 단말 간의 링크 연결을 포워딩하는 역할을 도입하면서 각각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캐리어 주파수 대역에 속성이 다른 두 가지 종류의 링크가 적용되게 된다. 기지국과 중계기 간의 링크 간에 설정되는 연결 링크 부분을 백홀 링크(backhaul link)라고 정의하여 표현한다. 하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혹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백홀 하향링크(backhaul downlink)라고 하며,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FDD 또는 TDD 방식으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백홀 상향링크라고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링크 및 릴레이 액세스 링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기는 릴레이 백홀 하향링크(relay backhaul downlink)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릴레이 백홀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는 릴레이 액세스 하향링크를 통해 단말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릴레이 액세스 상향링크를 통해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LTE-A 시스템에서 중계기가 도입됨에 따라 기지국과 중계기 간의 채널 상태의 측정이 필요하고 중요해졌다. 그러나, 아직까지 LTE-A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위한 영역을 할당하는 방법 및 이를 시그널링 해주는 방법, 그리고 중계기(혹은 LTE-A 단말)가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심볼을 통해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심볼은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에서 시간 순서로 13번째 심볼일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축으로 복수의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각각 상기 파티션 별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파티션 각각은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자원블록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상기 각 파티션에서 동일한 인덱스의 자원블록그룹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존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한 중계기 존 구성 정보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검출하여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 존 구성 정보는 상기 중계기 존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최초로 할당되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까지의 옵셋값, 상기 기지국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는 주기,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의 파티션의 개수, 상기 파티션 각각의 자원블록그룹의 개수, 상기 파티션이 시작되는 시작점, 상기 파티션에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인덱스 중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자원블록그룹의 호핑 패턴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이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기 존이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파수 영역 시작점,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가 할당된 심볼 인덱스,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 생성에 사용될 순환 천이(cyclic shift) 인덱스와 기본 시퀀스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사운딩 참조신호의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전송하는 장치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심볼을 통해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RF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심볼은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에서 시간 순서로 13번째 심볼일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축으로 복수의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각각 상기 파티션 별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파티션 각각은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자원블록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상기 각 파티션에서 동일한 인덱스의 자원블록그룹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존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RF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중계기 존 구성 정보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검출하여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 존 구성 정보는 상기 중계기 존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최초로 할당되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까지의 옵셋값, 상기 기지국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는 주기,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의 파티션의 개수, 상기 파티션 각각의 자원블록그룹의 개수, 상기 파티션이 시작되는 시작점, 상기 파티션에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인덱스 중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자원블록그룹의 호핑 패턴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이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RF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기 존이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파수 영역 시작점,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가 할당된 심볼 인덱스,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 생성에 사용될 순환 천이(cyclic shift) 인덱스와 기본 시퀀스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RF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사운딩 참조신호의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할당 방법, 중계기 존(LTE-A 존) 구성 정보, SRS 자원 할당 정보 등은 LTE-A 시스템에서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이 LTE-A 시스템에서 SRS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할당 방법, 중계기 존(LTE-A 존) 구성 정보, SRS 자원 할당 정보 등을 이용하여 LTE-A 시스템에서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은 효율적으로 SRS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링크 및 릴레이 액세스 링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기지국 및 중계기에서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의 서브프레임 타이밍을 일직선으로 맞추어(align) 설정한 경우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기지국 및 중계기에서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A 시스템에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포함하는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A 시스템에서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통한 SRS 전송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50)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 LTE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110)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 1 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 2 계층의 매체접속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 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eNB)(120)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4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410).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30 내지 단계 S460).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S430 및 S450),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440 및 S460).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470)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480)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상향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 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 혹은 SC-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 심볼 혹은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 혹은 SC-FDMA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LTE 상향링크 전송의 기본 단위인 1ms 길이의 서브프레임(600)은 두 개의 0.5ms 길이를 갖는 슬롯(601)으로 구성된다. 일반(Normal)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의 길이를 가정할 때, 각 슬롯은 7개의 심볼(602)로 구성되며 하나의 심볼은 하나의 SC-FDMA 심볼에 대응된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603)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 그리고 시간영역에서 한 슬롯에 해당되는 자원 할당 단위이다. LTE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크게 데이터 영역(604)과 제어 영역(605)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데이터 영역은 각 단말로 전송되는 음성, 패킷 등의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 사용되는 일련의 통신 자원을 의미하며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 해당된다. 제어 영역은 각 단말로부터의 하향링크 채널품질보고,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수신 ACK/NACK 신호,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 등을 송신함에 있어 사용되는 일련의 통신 자원을 의미한다.
도 6에 보인 예와 같이 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사운딩 참조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영역(606)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시간 축 상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SC-FDMA 심볼이 있는 구간이며, 주파수 상으로는 데이터 전송 대역을 통하여 전송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로 전송되는 여러 단말의 사운딩 참조신호들은 주파수 위치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사운딩 참조신호는 카작(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CAZAC) 시퀀스 등으로 구성되며, 여러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운딩 참조신호들은 아래 수학식 1에 따른 서로 다른 순환 천이(cyclic shift) 값( α )을 갖는 CAZAC 시퀀스(
Figure pat00031
)이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32
는 상위 계층에 의하여 각 단말에 설정되는 값으로, 0 내지 7 사이의 정수 값을 갖는다.
하나의 CAZAC 시퀀스로부터 순환 천이를 통하여 발생된 CAZAC 시퀀스들은 각자 자신과 다른 순환 천이 값을 갖는 시퀀스들과 영의 상관 값(zero-correlation)을 갖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동일한 주파수 영역의 사운딩 참조신호들은 CAZAC 시퀀스 순환 천이 값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각 단말의 사운딩 참조신호는 기지국에서 설정하는 파라미터에 따라 주파수 상에 할당된다.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대역폭 전체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파수 호핑(hopping)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LTE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물리 자원을 맵핑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하여 살펴본다.
사운딩 참조신호 시퀀스 r SRS(n)는 우선 송신 전력 P SRS 를 만족하기 위하여 진폭 스케일링 인자 β SRS 가 곱해진 후, 인덱스가
Figure pat00033
인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에
Figure pat00034
부터 아래 수학식 2에 의하여 맵핑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k 0 는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파수 영역 시작 지점을 지칭하며,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단, n b 는 주파수 위치 인덱스를 지시한다. 또한, 일반적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위한 k'0 는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되며, 상향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UpPTS)를 위한 k'0 는 아래 수학식 5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수학식 4 및 수학식 5에서 k TC 는 상위 계층을 통하여 단말로 시그널링되는 전송 콤(transmissionComb) 파라미터로서, 0 또는 1의 값을 갖는다. 또한, n hf 는 제 1 하프프레임(half frame)의 상향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에서는 0이고, 제 2 하프프레임의 상향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에서는 0이다.
Figure pat00035
는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정의된 부반송파 단위로 표현된 사운딩 참조신호 시퀀스의 길이, 즉 대역폭이다.
Figure pat00006
수학식 6에서 m SRS, b 는 아래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향링크 대역폭
Figure pat00036
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 되는 값이다.
m SRS, b 을 획득하기 위하여 0 내지 7의 정수 값인 셀 특정 파라미터 C SRS 와 0 내지 3의 정수 값인 단말 특정 파라미터 B SRS 가 필요하다. 이러한 C SRSB SRS 의 값은 상위 계층에 의하여 주어진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대역폭 전체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단말은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파수 호핑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주어진 0 내지 3의 값을 갖는 파라미터 b hop 에 의하여 설정된다.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파수 호핑이 비활성화된 경우, 즉 b hop B SRS 인 경우, 주파수 위치 인덱스 n b 는 아래 수학식 7와 같이 일정한 값을 갖는다. 여기서 n RRC 상위 계층에서 주어지는 파라미터이다.
Figure pat00011
한편,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파수 호핑이 활성화된 경우, 즉 b hop B SRS 인 경우, 주파수 위치 인덱스 n b 는 아래 수학식 8 및 수학식 9에 의하여 정의된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여기서 n SRS 는 사운딩 참조신호를 송신한 횟수를 계산하는 파라미터이며 아래 수학식 10에 의한다.
Figure pat00014
수학식 10에서 T SRS 는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기이며, T offset 은 사운딩 참조신호의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지칭한다. 또한, n s 는 슬롯 번호, n f 는 프레임 번호를 지칭한다.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을 위한 셀-특정 서브프레임 구성 주기 T SFC 와 셀-특정 서브프레임 옵셋 Δ SFC 은 FDD, TDD에 따라 다음 표 5 및 표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상기 표 5는 FDD 사운딩 참조신호 서브프레임 구성에 관한 것이며, 상기 표 6은 TDD 사운딩 참조신호 서브프레임 구성에 관한 것이다.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기 T SRS 와 서브프레임 오프셋 T offset 를 설정하기 위한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신호 설정 인덱스( I SRS )는 FDD와 TDD에 따라 각각 아래 표 7와 표 8와 같이 나타난다.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37
이하에서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LTE-advanced(이하, 'LTE-A' 라 약칭함) 시스템에서 중계기가(Relay Node, RN) 또는 LTE-A 단말이 사운딩 참조신호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전송하는 방법 및 기지국이 SRS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LTE-A 시스템에서는 매크로 셀(Macro cell)의 커버리지 확장 및 처리율 향상(throughput enhancement) 등을 목적으로 중계기의 배치(deployement)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LTE-A 시스템에서 매크로 셀 내에 중계기 도입될 경우, 기지국 및 중계기 간의 릴레이 백홀 링크를 지원을 위한 일정량의 하향링크/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 및 중계기간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와 중계기 및 단말 간의 액세스 링크(access link)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in-band relaying의 경우에, 중계기와 단말 간의 액세스 링크와 매크로 기지국과 중계기 간의 백홀 링크가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액세스 링크와 백홀 링크의 프레임을 TDM 방식으로 다중화함에 따라, 중계기의 특정 하향링크/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중계기와 기지국 간의 백홀 링크의 송수신을 위한 백홀 서브프레임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향링크의 경우 중계기 에서 특정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수신 모드가 아니라, 중계기의 매크로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백홀 전송을 위한 전송 모드로 이용하게 된다.
도 7은 기지국 및 중계기에서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의 서브프레임 타이밍을 일직선으로 맞추어(align) 설정한 경우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수신 타이밍이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보다 (NTAoffset)×Ts 시간만큼 앞설 수 있다. 즉,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i의 시작점은 상기 단말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i의 시작점보다 (NTAoffset)×Ts 시간만큼 앞설 수 있다. 여기서 NTAoffset는 고정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옵셋을 나타내며 Ts 단위로 표현된다. 여기서 Ts는 기본 시간 단위이다. 또한 여기서 0≤NTA≤20512일 수 있고, 프레임 구조 타입 1에 대해서는 NTAoffset=0일 수 있고, 프레임 구조 타입 2에 대해서는 NTAoffset=624일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단말 또는 중계기의 전송에 따른 전파 지연을 고려하여 기지국에서의 상향링크 수신 타이밍을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보다 앞서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중계기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링크/액세스 링크를 통해 각각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이 중계기의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보다 (NTAoffset)×Ts 시간만큼 앞서게 된다. 또한, 중계기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은 도 27의 (a)에 도시된 기지국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타이밍보다 (NTAoffset)×Ts 시간만큼 앞설 수 있다. 단말의 전송에 따른 전파 지연으로 인해 중계기에서의 상향링크 수신 타이밍을 중계기의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보다 앞서게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기지국 및 중계기에서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통해 중계기 및/또는 단말로부터 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 백홀 채널에 대한 채널품질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중계기는 상향링크 백홀 전송을 위한 이용가능한 구간에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중계기는 SRS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마지막 심볼을 통해 SRS를 중계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중계기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마지막 심볼을 전이 갭(Transition Gap)으로 할당하는 경우, 중계기는 SRS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과 중계기간에 서브프레임 타이밍(subframe timing)이 일치하는 경우, 중계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백홀 전송 시, 스위칭 갭(switching gap)으로 인해 SRS를 전송할 수 없는 것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중계기에서 인덱스 N인 특정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백홀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이어지는 인덱스 N+1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액세스 링크 수신을 위해 이용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이 전송/수신 스위칭 갭으로 활용되게 된다.
도 8은 기지국 및 중계기에서의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인덱스 N-1인 상향링크 액세스 서브프레임에 이어서 서브프레임 인덱스 N인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이 위치하고 이어서 서브프레임 인덱스 N+1인 상향링크 액세스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중계기는 상향링크 액세스 서브프레임에서는 수신 모드로 동작하고,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중계기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SC-FDMA 심볼(820)은 수신/전송 스위칭 갭으로 사용될 수 도 있고, 마지막 SC-FDMA 심볼(810)은 전송/수신 스위칭 갭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중계기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 심볼(810)이 스위칭 갭으로 사용되면 중계기는 매크로 기지국으로 이 마지막 심볼(810)을 통하여 SRS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계기에서 상향링크 SRS 전송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 및/또는 단말에서 SRS 전송을 위한 방안으로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주파수 축에서 특정 주파수 영역을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으로 할당하고, 해당 존의 특정 SC-FDMA 심볼을 이용하여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이 SRS를 전송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중계기 존 기반 SRS 전송 방법의 실시예>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의 추가적인 SRS 전송 혹은 기타 advanced 상향링크 전송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한 LTE-A 존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LTE-A Zone configured UL subframe)을 정의한다.
도 9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A 시스템에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포함하는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900)은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PUCCH 영역(910), PUSCH(930), 중계기 존(혹은 LTE-A 단말 존)(9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은 중계기(혹은 LTE-A 단말)를 위한 SRS 전송 영역(925)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혹은 type-1 중계기)은 중계기(혹은 LTE-A 단말)를 위한 SRS 전송 영역(925)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900)에서 전체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을 N(N=1,2,3,…)개의 파티션(partition)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입-1 중계기(type-1 중계기)라 함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단말로 신호를 전송할 수는 없는 중계기를 말한다. 그리고, 이때 기지국은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900)에서 PUCCH 영역(9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하나 이상의 파티션으로 분할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PUCCH 영역(910)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파티션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각각의 파티션은 M개(M=1,2,3,…)개의 자원 블록 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로 구성이 되며, 각각의 RBG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으로 구성이 된다. 기지국은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을 하나 이상의 파티션으로 분할한 뒤, 각각의 파티션에 속한 RBG들을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시차를 두는 스테거링(staggered) 방식으로 중계기 존(또는 LTE-A 존)(920)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매크로 셀에 속한 LTE-A 단말이나 중계기에게만 중계기 존(혹은 LTE-A 존)(920)은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리고, 따라서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은 상기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900)에서 중계기 존(920) 내 13 번째 SC-FDMA 심볼(혹은 확장형 CP(extended CP)를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의 경우에는 11번째 SC-FDMA 심볼)(925)을 통하여 SRS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900)에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920)을 통하여 중계기(혹은 LTE-A 단말)가 SRS를 전송할 경우, 기지국은 중계기(혹은 LTE-A 단말)가 SRS를 전송할 수 있도록 별도로 임의의 k번째 (k=1,2,3,…,13 for normal CP and k=1,2,3,…,11 for extended CP) SC-FDMA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그리고, 중계기(또는 LTE-A 단말)의 SRS 전송을 위해 하나 이상의 SC-FDMA 심볼이 할당될 수도 있다. 중계기는 기지국이 별도로 할당해준 임의의 k번째 심볼을 통해서 SRS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A 시스템에서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통한 SRS 전송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4개의 파티션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각 파티션은 4개의 RBG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마다 다른 인덱스를 갖는 RBG에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인덱스 i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는 인덱스 0인 RBG에만 중계기 존(혹은 LTE-A 존)(1010)을 할당하고, 기지국은 인덱스 i+j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는 인덱스 1인 RBG에만 중계기 존(혹은 LTE-A 존)(1020)을 할당하고, 인덱스 i+2j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는 인덱스 2인 RBG(1030)에만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할당할 수 있다.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마다 다른 RBG에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되면 충분하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내에 할당한 중계기 존(LTE-A)존에 대한 정보를 중계기(혹은 LTE-A 단말)에게 시그널링해 줄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이 중계기 존(LTE-A)존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해주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기지국이 중계기 존(혹은 LTE-A)존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안>
1.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시그널링을 위한 제 1 실시예
LTE-A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전체 대역은 하나 이상의 파티션으로 분할될 수 있는데, 이때 모든 파티션에 항상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존재하며, 각각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은 동일한 RBG 위치(position)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즉, 상기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LTE-A 시스템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전 대역의 모든 파티션에서 동일한 RBG 인덱스가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으로 설정될 수 있다.
파티션 내에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으로 이용되는 RBG 할당이 스테거링(staggered)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시차를 두고, 인덱스 i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는 인덱스 0인 RBG에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할당하나, 인덱스 i+j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인덱스 1인 RBG에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를 자신에게 속한 중계기에게 셀-공통(cell-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주거나 LTE-A 단말에게는 단말-특정(UE-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중계기가 자신에게 속한 LTE-A 단말에게 LTE-A 존 구성 정보를 단말-특정(UE-specific)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이때, 기지국(혹은 중계기)이 자신에게 속한 중계기(혹은 LTE-A 단말)에게 시그널링해 주는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다음과 같다.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현재의 중계기 존(LTE-A 존) 구성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최초로 할당되는 LTE-A 시스템의 첫 번째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까지의 서브프레임 옵셋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옵셋은 서브프레임 단위, 슬롯 단위, 심볼 단위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LTE-A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는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분할되는 파티션의 개수 정보, 한 파티션 내에 할당된 RBG 개수, 그리고 한 RBG 내에 할당된 RB의 개수, 그리고, 파티셔닝(partitioning)의 시작점 정보로서 인덱스 0인 파티션의 시작점을 PRB 인덱스 등으로 표시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각 파티션에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으로 이용되는 RBG의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중계기 존(LTE-A 존)이 할당되는 사전에 정의된 호핑 패턴(hopping patter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에 정의된 호핑 패턴이라 함은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시차를 두고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할당하는 RBG를 호핑하는 패턴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각각의 LTE-A 시스템에서 인덱스 0인 RBG에서 인덱스 3인 RBG까지 차례대로 각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중계기 존으로 할당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예와 달리, 호핑 패턴의 정의에 따라 RBG 인덱스를 0->2->1->3의 순서로 변경해 하며 각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호핑 패턴은 일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2.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시그널링을 위한 제 2 실시예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시그널링을 위한 제 1 실시예에서 가정한 것과 달리,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전 대역의 걸친 파티션 중 일부 파티션에서만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존재하며,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된 파티션이 호핑하여 할당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또는 중계기)이 중계기에게 셀-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LTE-A 단말에게는 단말-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한편, 중계기가 단말-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를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때, 기지국 및/또는 중계기가 전송하는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시그널링을 위한 제 1 실시예에서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와 마찬가지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시그널링을 위한 제 2 실시예에서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도 현재의 중계기 존(LTE-A 존) 구성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최초로 할당되는 LTE-A 시스템의 첫 번째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까지의 서브프레임 옵셋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옵셋은 서브프레임 단위, 슬롯 단위, 심볼 단위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LTE-A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는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분할되는 파티션의 개수 정보, 한 파티션 내에 할당된 RBG 개수, 그리고 한 RBG 내에 할당된 RB의 개수, 그리고, 파티셔닝(partitioning)의 시작점 정보로서 인덱스 0인 파티션의 시작점을 PRB 인덱스 등으로 표시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시그널링을 위한 제 2 실시예에서는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전 대역의 걸친 파티션 중 일부 파티션에서만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됨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기지국이 전송하는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된 파티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된 파티션에 대한 정보를 비트맵 형식 등으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이 전체 4개의 파티션으로 분할되고, 그 중에서 인덱스 0, 인덱스 1인 파티션에만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된 경우에는, 기지국은 중계기(혹은 LTE-A 단말)에게 '1100' 을 시그널링 해줌으로써,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된 파티션에 대해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중계기(혹은 LTE-A 단말)에게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되는 파티션의 인덱스를 직접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일 예에 불과하며 다른 방식으로 기지국이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된 파티션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가 시그널링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된 파티션에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으로 이용되는 RBG의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중계기 존(LTE-A 존)이 할당되는 사전에 정의된 호핑 패턴(hopping patter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에 정의된 호핑 패턴이라 함은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시차를 두고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할당하는 RBG를 호핑하는 패턴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각각의 LTE-A 시스템에서 인덱스 0인 RBG에서 인덱스 3인 RBG까지 차례대로 각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중계기 존으로 할당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예와 달리, 호핑 패턴의 정의에 따라 RBG 인덱스를 0->2->1->3의 순서로 변경해 하며 각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호핑 패턴은 일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는 파티셔닝 호핑(partitioning hopping) 패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셔닝 호핑 패턴은 상술한 RBG 호핑 패턴과 동일한 형태로 정의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파티셔닝 호핑 패턴 정보에는 파티셔닝 호핑 주기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파티셔닝 호핑 주기 지시는 1 비트 지시 메시지로서 파티셔닝 호핑이 이루어지는 주기를 나타낸다.
파티셔닝 호핑 주기는 1) LTE-A 시스템에서 할당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주기와 동일한 주기일 수 있으며, 또는 2) LTE-A 시스템에서 할당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주기*한 파티션에 속한 RBG 인덱스의 개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파티션 수 및 한 파티션 내의 RBG는 4개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1)의 경우, LTE-A 시스템에서 할당된 매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호핑이 이루어지며, 파티션 호핑 패턴에 따라 모든 파티션이 동일한 RBG 인덱스가 한번씩 중계기 존(LTE-A 존)으로 설정된 후, 다음 RBG 인덱스가 다시 호핑 패턴에 따라 중계기 존(LTE-A 존)으로 설정되는 방식이 된다. 예를 들어, 인덱스 0인 파티션에서 인덱스 3인 파티션까지 차례대로 매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마다 하나의 파티션에서만 중계기 존(LTE-A 존)으로 할당되고, 그 순서가 0->1->2->3이 될 경우, 차례로 인덱스 0인 파티션의 RBG 0이 중계기 존(LTE-A 존)이 되고, 후속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는 인덱스 1인 파티션의 RBG 0이 중계기 존(LTE-A 존)으로 할당되고, 이어서 각각 인덱스 2와 3인 파티션의 RBG 0이 중계기 존(LTE-A 존)으로 할당될 수 있다. 그 후, 인덱스 0인 파티션에서 인덱스 3인 파티션까지 차례대로 인덱스 1인 RBG가 중계기 존(LTE-A 존)으로 할당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2)의 경우에서는, 파티션 호핑이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주기*한 파티션 내 RBG 개수의 주기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로서, 각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차례대로 인덱스 0인 파티션의 인덱스 0 RBG 부터 인덱스 3 RBG까지 차례대로 중계기 존(LTE-A 존)으로 할당된 후, 파티셔닝 호핑이 이루어져 인덱스 1인 파티션의 인덱스 0 RBG에서 인덱스 3 RBG까지 순서대로 중계기 존(LTE-A 존)으로 할당되는 방식이 된다. 즉, 제 1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는 인덱스 0인 파티션의 인덱스 0인 RBG에 중계기 존(LTE-A 존)이 할당되고, 제 1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후속하는 제 2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는 인덱스 0인 파티션의 인덱스 1인 RBG에, 제 2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후속하는 제 3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는 인덱스 0인 파티션의 인덱스 2인 RBG에, 제 3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후속하는 제 4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는 인덱스 0인 파티션의 인덱스 3인 RBG에 중계기 존(LTE-A 존)가 각각 할당될 수 있다. 그 후, 제 4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후속하는 제 5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는 인덱스 0인 파티션의 인덱스 1인 RBG에 중계기 존(LTE-A 존)가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계기 존(LTE-A 존)가 할당됨에 따라, 파티션 호핑 주기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주기*한 파티션 내 RBG 개수가 된다.
상술한 내용과 같은 중계기(혹은 LTE-A 단말)는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 받은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이 할당되는 영역, SRS가 할당되는 해당 영역을 통해서 S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이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한 중계기 존(LTE-A 존)을 통해 중계기(혹은 LTE-A 단말)가 SRS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SRS 자원 할당 정보에 대해 살펴본다.
<SRS 자원 할당 정보의 시그널링을 위한 방안>
1. SRS 자원 할당 정보의 시그널링을 위한 제 1 실시예
중계기(혹은 LTE-A 단말)는 주파수 축에서 전 대역에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에 속한 SRS 영역을 이용하여 S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각 중계기(혹은 LTE-A 단말)를 위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하는 SRS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1) 전송 콤(Transmission comb) k TC
상기 수학식 5 및 수학식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k TC 는 주파수 도메인 시작점을 도출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로서 상위 계층을 통하여 단말로 시그널링되며, 0 또는 1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LTE-A 단말 및 중계기의 안테나 구성 및 새롭게 정의될 수 있는 SRS 전송 방식에 따라 0, 1 이외의 다른 값이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은 LTE 시스템에서 단말-특정(UE-specific) RRC 파라미터는 특정 단말 별로(UE-specific) RRC 시그널링으로 지시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중계기 별로 중계기-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 콤 k TC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2) 순환 천이(Cyclic shift)
Figure pat00038
LTE 시스템에서 순환 천이(Cyclic shift)
Figure pat00039
는 단말-특정(UE-specific) RRC 파라미터로 정의되며, 특정 단말 별로(UE-specific) RRC 시그널링으로 전송되는 정보이다. S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순환 천이(cyclic shift)의 인덱스 정보로서, 순환 천이는 여러 단말들에 대한 SRS의 코드 다중화(code multiplexing) 상에서 직교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순환 천이(Cyclic shift)
Figure pat00040
는 SRS 코드 시퀀스 생성에 활용되는 정보가 해당한다. 기지국은 중계기에게 중계기-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순환 천이
Figure pat00041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3) 기본 시퀀스 인덱스(base sequence index)
기본 시퀀스 인덱스 정보는 SRS 시퀀스 생성에 있어서의 순환 천이와 함께 SRS 시퀀스를 특징화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기본 시퀀스 인덱스는 PUCCH의 기본 시퀀스 인덱스로부터 유도되는 정보이다.
(4) SC-FDMA 심볼 인덱스
중계기 존(LTE-A 존)에서 LTE-A SRS 영역이 복수개의 SC-FDMA 심볼에 걸쳐 할당될 경우, 해당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이 SRS 전송을 위해 사용하게 될 SC-FDMA 심볼의 인덱스를 말한다.
또한 SRS 자원 할당 정보는 추가적으로 중계기 혹은 단말의 안테나 구성에 따라 전송 안테나 포트에 관한 정보 및 전송 모드(프리코딩 적용 여부 및 적용 시 PMI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2. SRS 자원 할당 정보의 시그널링을 위한 제 2 실시예
LTE-A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의 중계기 존(relay zone)에 속한 LTE-A SRS 영역을 이용하여 SRS를 전송하는 중계기 및 단말들은 주파수 축에서 전 대역에 걸친 LTE-A SRS 영역 중 일부(즉, 주파수 축에서 모든 중계기 존(LTE-A 존)의 LTE-A SRS 영역 중 일부)를 이용하여 SRS 전송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각 중계기(혹은 각 LTE-A 단말)에 SRS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으로 알려 줄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되는 SRS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1) 순환 천이(Cyclic shift)
Figure pat00042
LTE 시스템에서 순환 천이(Cyclic shift)
Figure pat00043
는 단말-특정(UE-specific) RRC 파라미터로 정의되며, 특정 단말 별로(UE-specific) RRS 시그널링으로 전송되는 정보이다. S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순환 천이(cyclic shift)의 인덱스 정보로서, 순환 천이는 여러 단말들에 대한 SRS의 코드 다중화(code multiplexing) 상에서 직교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순환 천이(Cyclic shift)
Figure pat00044
는 SRS 코드 시퀀스 생성에 활용되는 정보가 해당한다.
(2) 기본 시퀀스 인덱스(base sequence index)
기본 시퀀스 인덱스 정보는 SRS 시퀀스 생성에 있어서의 순환 천이와 함께 SRS 시퀀스를 특징화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기본 시퀀스 인덱스는 PUCCH의 기본 시퀀스 인덱스로부터 유도되는 정보이다.
(3) SC-FDMA 심볼 인덱스
중계기 존(LTE-A 존)에서 LTE-A SRS 영역이 복수개의 SC-FDMA 심볼에 걸쳐 할당될 경우, 해당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이 SRS 전송을 위해 사용하게 될 SC-FDMA 심볼의 인덱스를 말한다.
또한 SRS 자원 할당 정보는 추가적으로 중계기 혹은 단말의 안테나 구성에 따라 전송 안테나 포트에 관한 정보 및 전송 모드(프리코딩 적용 여부 및 적용 시 PMI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4) 시작 파티션 할당(Starting partition assignment) 정보
LTE 시스템에서 시작 파티션 할당 정보는 SRS의 주파수-영역 위치(예를 들어, 시작 파티션 인덱스)를 나타내는 단말-특정(UE-specific) RRC 파라미터 값이다. 기지국은 특정 단말 별로(UE-specific) RRC 시그널링으로 알려준다. 따라서, LTE-A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중계기-특정(RN-specific)하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특정 중계기 별로 시작 파티션 할당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5) SRS 대역폭(bandwidth) 정보
LTE 시스템에서 SRS 대역폭은 단말-특정(UE-specific) RRC 파라미터로 정의되며, 기지국은 단말-특정(UE-specific)하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특정 단말 별로 RRC 시그널링을 통해 SRS 대역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중계기-특정(RN-specific)하게 중계기 별로 RRC 시그널링을 통해 SRS 대역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RS 대역폭 정보는 SRS 대역폭을 정의하는데 사용하는 인덱스 정보이며, SRS 대역폭은 하나의 파티션을 기본 단위로 한 번의 SRS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파티션의 개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 인 경우 2개의 파티션에 걸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의 LTE-A SRS 영역을 통하여 SRS를 전송함을 의미한다.
(6) SC-FDMA 심볼 인덱스
중계기 존(LTE-A 존)에서 LTE-A SRS 영역이 복수개의 SC-FDMA 심볼에 걸쳐 할당될 경우, 해당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이 SRS 전송을 위해 사용하게 될 SC-FDMA 심볼의 인덱스를 말한다.
SRS 자원 할당 정보의 시그널링을 위한 제 2 실시예의 경우, 중계기(혹은 LTE-A 단말)는 주파수 축에서 시작 파티션(starting partition)으로부터 SRS 대역폭의 구간에 걸쳐 SRS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혹은 LTE-A 단말)가 주어진 파티션들 내에서 RBG 단위로 스테거링(staggered) 형태로 할당되는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에 대해 모든 RBG에 대한 사운딩을 수행한 후, 다음 파티션으로 호핑하는 것을 기본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매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할당 주기 단위로 파티션 호핑을 하는 것을 기본 동작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가지 실시예에 대해 중계기(혹은 LTE-A 단말) 단위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중계기(혹은 LTE-A 단말)에게 SRS 구성 정보와 함께 이를 시그널링 해줄 수 있다.
상술한 바 있는, 기지국이 중계기 존(혹은 LTE-A)존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안과 SRS 자원 할당 정보의 시그널링을 위한 방안에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존의 주파수 대역폭(frequency bandwidth) 측면에서 LTE 시스템의 SRS 자원 맵핑(mapping) 구조를 재사용하도록 할 수 있도록 SRS 전송이 이루어지는 단위인 RBG 크기를 기존의 SRS 전송 대역폭과 동일한 구조로 제한하여 설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파티션에 속한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의 LTE-A SRS 영역을 통하여 특정 중계기 혹은 특정 LTE-A 단말이 SRS를 전송할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의 주파수 대역폭을 기반으로 SRS 시퀀스를 생성하고 이를 모든 파티션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통해 반복(repetition)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9에서 하나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구성하는 RBG의 주파수 크기는 기존 LTE 시스템의 SRS 전송 부대역 크기(subband size)에 맞추어 설정하도록 하고, 중계기가 인덱스 0 파티션에서 인덱스 3인 파티션까지 복수의 파티션에 속한 각각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통하여 SRS를 전송할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기준으로 하여 SRS 자원(예를 들어, 기본 시퀀스 인덱스(base sequence index), 순환 천이(cyclic shift) 등)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중계기는 인덱스 0인 파티션 내지 인덱스 3인 파티션에 할당된 4개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에 속한 LTE-A SRS 영역을 통하여 LTE-A SRS를 동일한 시퀀스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해당 중계기 혹은 LTE-A 단말이 SRS를 전송하는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합하여(aggregate) 이를 기준으로 SRS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즉, 중계기가 인덱스 0인 파티션 내지 인덱스 3인 파티션에 할당된 4개의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의 LTE-A SRS 영역을 통하여 SRS를 전송할 경우, 기지국은 4 RBG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하여 LTE-A SRS 자원(예를 들어, 기본 시퀀스 인덱스(base sequence index), 순환 천이(cyclic shift) 등)을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통해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이 PUSCH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을 통한 PUSCH 전송 방안>
특정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에 속한 PUSCH 자원을 할당 받은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의 경우에는, 중계기 존(혹은 LTE-A 존) 내에서 13번째 SC-FDMA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시 해당 SC-FDMA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12개(혹은 중계기의 경우 첫 번째 SC-FDMA 심볼이 스위칭 갭으로 이용될 경우 11개)의 심볼 자원에 대해서만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의 PUSCH 자원은 중계기 존(혹은 LTE-A 존)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중계기 혹은 LTE-A 단말에게만 그 자원을 할당해줄 수 있다.
이하에서 중계기(혹은 LTE-A 단말)가 주기적인 것이 아니라 이벤트-트리거링(event-triggering) 방식으로 SRS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벤트-트리거링(event-triggering)에 따른 SRS 전송 방법>
기지국은 상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SRS를 전송하도록 설정하지 않고 필요한 시점에만 SRS 자원을 할당하고 중계기 혹은 단말이 SRS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SRS 전송에 대한 요청은 기지국에 의해 개시(initiation)되거나 중계기(혹은 단말)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기지국이 개시할 경우, 기지국은 SRS 전송에 대한 요청을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예를 들어, 단말의 경우 PDCCH를 통해 전송, 중계기의 경우 R-PD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이 중계기 혹은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USCH 자원 할당을 할 경우, 이를 위한 UL grant(DCI 포맷 0)에 상향링크 PUSCH 할당에 대한 정보와 부가적으로 SRS 전송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이 중계기(혹은 LTE-A 단말)로 전송하는 UL grant에는 DCI 포맷 0에 대한 이벤트-트리거링(event-triggering) SRS 전송에 대한 할당 포함 유무를 알려주는 1 비트 지시 정보와 SRS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에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PUSCH 전송을 위한 UL grant의 유무와 관계없이 이벤트-트리거링된(event-triggering) SRS 전송을 위한 SRS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DCI 포맷 SRS' 을 정의할 수 있다. 새로운 DCI 포맷 SRS에 포함해야 할 정보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될 수 있다.
(1) 전송 콤(Transmission comb) k TC
상기 수학식 5 및 수학식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k TC 는 주파수 도메인 시작점을 도출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로서 상위 계층을 통하여 단말로 시그널링되며, 0 또는 1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LTE-A 단말 및 중계기의 안테나 구성 및 새롭게 정의될 수 있는 SRS 전송 방식에 따라 0, 1 이외의 다른 값이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특정(UE-specific) RRC 파라미터는 특정 단말 별로(UE-specific) RRC 시그널링으로 지시할 수 있다.
(2) 시작 물리자원블록 할당( n RRC ) 정보
LTE 시스템에서 n RRC 는 SRS의 주파수 영역 위치(frequency-domain position)을 나타내는 단말-특정(UE-specific) RRC 파라미터 값으로서, 기지국은 단말 별로 단말-특정(UE-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 n RRC 를 알려줄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중계기 별로 중계기-특정(RN-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 n RRC 를 알려줄 수 있다.
(3) SRS 대역폭 정보( B SRS )
LTE 시스템에서 SRS 대역폭은 단말-특정(UE-specific) RRC 파라미터로 정의되며, 기지국은 단말-특정(UE-specific)하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특정 단말 별로 RRC 시그널링을 통해 SRS 대역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중계기-특정(RN-specific)하게 중계기 별로 RRC 시그널링을 통해 SRS 대역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RS 대역폭 정보는 SRS 대역폭을 정의하는데 사용하는 인덱스 정보로서 0, 1, 2, 3 중 하나의 값으로 지정될 수 있다. SRS 대역폭 정보( B SRS ) 파라미터는 LTE-A에서 정의될 수 있는 SRS 전송 방식에 따라 새로운 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4) 순환 천이 인덱스 정보
Figure pat00045
LTE 시스템에서 순환 천이(Cyclic shift) 인덱스 정보
Figure pat00046
는 단말-특정(UE-specific) RRC 파라미터로 정의되며, 특정 단말 별로(UE-specific) RRC 시그널링으로 전송되는 정보이다. S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시퀀스의 순환 천이(cyclic shift)의 인덱스 정보로서, 순환 천이는 여러 단말들에 대한 SRS의 코드 다중화(code multiplexing) 상에서 직교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순환 천이(Cyclic shift)
Figure pat00047
는 SRS 코드 시퀀스 생성에 활용되는 정보가 해당한다. LTE-A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중계기에게 중계기-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순환 천이
Figure pat00048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5) 기본 시퀀스 인덱스(base sequence index)
기본 시퀀스 인덱스 정보는 SRS 시퀀스 생성에 있어서의 순환 천이와 함께 SRS 시퀀스를 특징화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기본 시퀀스 인덱스는 PUCCH의 기본 시퀀스 인덱스로부터 유도되는 정보이다. LTE-A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중계기 별로 중계기-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각 중계기에 기본 시퀀스 인덱스(base sequence index)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DCI 포맷 SRS에 포함해야 할 정보는 LTE-A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PDSCH를 통해 중계기-특정(혹은 단말-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중계기(혹은 LTE-A 단말)에게 전송해 줄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이벤트-트리거링된(event triggered) SRS 전송이 단말에 의해 개시된 경우, 중계기(혹은 LTE-A 단말)는 SRS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정의된 SC-FDMA 심볼(예를 들어, normal CP가 적용된 경우에는 13번째 SC-FDMA 심볼, 확장형 CP가 적용된 경우에는 11번째 SC-FDMA 심볼)을 통해 SRS를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이 SRS를 전송할 PUSCH의 PRB를 중계기(혹은 LTE-A 단말)에게 PUSCH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UL grant를 통해 PUSCH 할당할 때에 해당 PRB에 새로운 SRS 영역의 존재를 중계기(혹은 LTE-A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전송하는 상기 UL grant는 PUSCH 자원 할당 정보에 새로운 SRS 영역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1 비트 지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중계기(혹은 LTE-A 단말)은 UL grant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 해당 새로운 SRS 영역에 해당하는 SC-FDMA 심볼은 펑처링을 해주거나, 레이트 매칭을 통해 해당 SC-FDMA 심볼은 사용하지 않고 전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단말, 중계기)에서 상향링크 채널에 대한 SRS 전송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레거시 단말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기존 LTE 시스템에서의 SRS 영역에 부가하여 새로운 SRS 영역을 할당하는 방법 및 이에 부가하여 복수개의 RF 파워 앰프 체인(RF power amp chain)을 가지고 동시에 복수개의 안테나로 전송하는 상황에서 상향링크 채널에 대한 SRS를 전송하는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50)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장치(50)는 단말, 기지국, 또는 중계기일 수 있다. 장치(50)는 프로세서(51), 메모리(52), RF 모듈(53), 디스플레이 모듈(5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5)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레이어(layers)들은 프로세서(51) 내에서 구현된다. 프로세서(51)는 제어 플랜과 사용자 플랜을 제공한다. 각 레이어의 기능은 프로세서(51)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한다. RF 모듈(53)은 프로세서(51)에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4)은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과 같은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5)은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레이어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잘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레이어를 기초로 제 1 레이어(L1), 제 2 레이어(L2), 및 제 3 레이어(L3)로 분류될 수 있다. 물리 레이어는 제 1 레이어에 속하며 물리 채널을 통해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는 제 3 레이어에 속하며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 무선 자원들을 제공한다. 단말과 네트워크는 RRC 레이어를 통해 RRC 메시지들을 교환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 3GPP LTE-A, IEEE 802.16 시스템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심볼을 통해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심볼은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에서 시간 순서로 13번째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축으로 복수의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각각 상기 파티션 별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티션 각각은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자원블록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상기 각 파티션에서 동일한 인덱스의 자원블록그룹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존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중계기 존 구성 정보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검출하여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존 구성 정보는 상기 중계기 존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최초로 할당되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까지의 옵셋값, 상기 기지국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는 주기,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의 파티션의 개수, 상기 파티션 각각의 자원블록그룹의 개수, 상기 파티션이 시작되는 시작점, 상기 파티션에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인덱스 중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자원블록그룹의 호핑 패턴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이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기 존이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파수 영역 시작점,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가 할당된 심볼 인덱스,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 생성에 사용될 순환 천이(cyclic shift) 인덱스와 기본 시퀀스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사운딩 참조신호의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마다 할당된 중계기 존의 자원블록그룹의 인덱스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존은 소정 개수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단위의 주기로 동일한 자원블록그룹 인덱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심볼을 통해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RF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심볼은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에서 시간 순서로 13번째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축으로 복수의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각각 상기 파티션 별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티션 각각은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자원블록그룹(Resource Block Group, RBG)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기 존은 상기 각 파티션에서 동일한 인덱스의 자원블록그룹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기 존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RF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중계기 존 구성 정보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검출하여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존 구성 정보는 상기 중계기 존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최초로 할당되는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까지의 옵셋값, 상기 기지국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는 주기,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서의 파티션의 개수, 상기 파티션 각각의 자원블록그룹의 개수, 상기 파티션이 시작되는 시작점, 상기 파티션에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인덱스 중 상기 중계기 존이 할당된 자원블록그룹의 호핑 패턴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기 존이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RF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기 존이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의 주파수 영역 시작점,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가 할당된 심볼 인덱스,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 생성에 사용될 순환 천이(cyclic shift) 인덱스와 기본 시퀀스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RF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한 사운딩 참조신호의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마다 할당된 중계기 존의 자원블록그룹의 인덱스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존은 소정 개수의 상향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단위의 주기로 동일한 자원블록그룹 인덱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
KR1020100052788A 2009-06-05 2010-06-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31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3640 WO2010140871A2 (ko) 2009-06-05 2010-06-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431709P 2009-06-05 2009-06-05
US61/184,317 2009-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383A true KR20100131383A (ko) 2010-12-15

Family

ID=4350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788A KR20100131383A (ko) 2009-06-05 2010-06-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13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297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14358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1288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630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잡 제어에 기반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21273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data using contention based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9211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 설정 시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9819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접속 절차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2948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925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를 위한 검색 영역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31990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4044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로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413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303361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for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34730A (ko)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가 마크로 기지국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071291A2 (ko) 상향링크 CoMP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126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10737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2430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3920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백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1312987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검색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2348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신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12365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2033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38896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2D(Device−to−Device)信号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1090259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