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735A -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735A
KR20100130735A KR1020090049405A KR20090049405A KR20100130735A KR 20100130735 A KR20100130735 A KR 20100130735A KR 1020090049405 A KR1020090049405 A KR 1020090049405A KR 20090049405 A KR20090049405 A KR 20090049405A KR 20100130735 A KR20100130735 A KR 2010013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om
indoor air
air quality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문
하형진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09004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0735A/ko
Publication of KR2010013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실내를 구성하는 각 실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따라 각 실의 크기 및 위치를 모델링하며, 모델링된 각 실의 건축에 사용된 재료 정보를 입력받고, 모델링된 각 실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모델링된 각 실에 구비된 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각 실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 각 실의 건축에 사용된 재료 정보, 각 실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의 오염 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건축자재가 사용되고 있는 다실의 거주환경에서의 공기질을 손쉽게 진단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실내공기 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된다.
실내 공기, 오염, 측정, 다실, 프로그램

Description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Media that Indoor Air Pollution Prediction Program is Stored and Indoor Air Pollution Prediction System}
본 발명은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건축자재가 사용되고 있는 다실의 거주환경에서의 공기질을 진단할 수 있는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이 고조되면서,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에 의한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건축자재에서의 포름 알데히드(HCHO),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의 방출속도에 대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에 기초하여 건축물의 실내공기 오염농도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건축자재가 사용되고 있는 다실의 거주환경에서의 공기질을 진단할 수 있는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실내를 구성하는 각 실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실의 크기 및 위치를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각 실의 건축에 사용된 재료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모델링된 각 실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상기 모델링된 각 실에 구비된 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상기 각 실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 상기 각 실의 건축에 사용된 재료 정보, 상기 각 실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상기 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의 오염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출된 실내의 오염 농도를 소정의 권고기준과 비교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각 실에 구비된 창문과 출입문의 크기 정보,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의 오염 농도는 포름 알데히드(HCHO) 농도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의 오염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의 전체 오염 농도 및 상기 각 실별 오염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은, 실내를 구성하는 각 실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실의 크기 및 위치를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각 실의 건축에 사용된 재료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모델링된 각 실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상기 모델링된 각 실에 구비된 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상기 각 실의 크기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의 오염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건축자재가 사용되고 있는 다실의 거주환경에서의 공기질을 손쉽게 진단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실내공기 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의 오염 농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시스템 상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에 도 1에서와 같이 실내를 구성하는 각 실의 크기 정보(10) 및 위치 정보(20)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은 입력된 위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따라 각 실의 크기 및 위치를 모델링하며, 모델링된 구조(30)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각 실의 크기 정보(10)를 입력함에 있어서, 각 실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지만, 아파트의 경우에 높이는 세대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미리 정해진 고정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각 실의 위치 정보(20)를 입력함에 있어선, X 좌표값과 Y좌표값을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작업자는 각 실별로 크기 정보(10) 및 위치 정보(20)를 입력하며 추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은 모델링된 구조(30)를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실내의 전체의 면적보다 크기 정보(10)가 입력된 각 실의 면적의 합이 큰 경우에는 "각 실의 면적의 합이 실내 전 체의 면적보다 큽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미리 정해진 실내의 전체의 면적보다 크기 정보(10)가 입력된 각 실의 면적의 합이 작은 경우에는 "각 실의 면적의 합이 실내 전체의 면적보다 작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다음, 작업자는 도 2에서와 같이 모델링된 구조(30)에서의 각 실의 건축에 사용된 재료 정보(40)를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각 실의 내벽에 사용된 건축자재의 재료 정보(40)를 입력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성 제품의 종류 중에서 작업자가 특정 재료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이외에도 건축에 사용되는 재료는 바닥재, 벽지, 판낼, 목재, 접착재, 페인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또한 각 재료별로 사용될 수 있는 기성 제품의 종류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이들 중에서 특정 재료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다음, 작업자는 도 3에서와 같이 모델링된 구조(30)에서의 각 실의 온도 정보(50), 습도 정보(60), 및 환기량 정보(70)를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각 실별로 온도 및 습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각 실별로 온도 정보(50), 및 습도 정보(60)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환기량 정보(70)는 작업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지만, 작업자가 기본정보로써 입력한 환기 회수와 작업자가 입력한 각 실의 크기를 이용하여 자동 계산되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다음, 작업자는 도 4에서와 같이 모델링된 구조(30)에서의 각 실에 구비된 창문과 출입문의 크기 정보(80), 개수 정보(90)를 입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한 입력과정이 완료되면,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은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각 실의 크기 정보(10), 위치 정보(20), 각 실의 건축에 사용된 재료 정보(40), 각 실의 온도 정보(50), 습도 정보(60), 및 각 실에 구비된 창문과 출입문의 크기 정보(80) 및 개수 정보(90)에 기초하여 실내의 오염 농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실내의 오염 농도를 계산함에 있어서는, 공지된 프로그램인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통합 IAQ 모델링 도구인 IAQ-X(Simulation Tool Kit for Indoor Air Quality & Inhalation Exposure) 프로그램 가운데 GPS 부프로그램에서의 소형챔버법에 의한 계산과정을 활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에서는 TVOC농도 예측식인 하기의 수학식 1 및 HCHO 농도 예측식인 하기의 수학식 2에서와 같은 널리 알려진 오염물질 농도 예측식을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Figure 112009033861419-PAT00001
* C : 공기 중 농도 [μg/㎥],
* EF : 방산속도[μg/㎡h]
* S : 건재표면적[㎡]
* Q : 환기량(㎥/h)
* N : 환기횟수(회/h)
* L : 시료부하율(㎥/㎥)
Figure 112009033861419-PAT00002
* EFth : t℃, h%RH 일 때 HCHO 방산량[mg/(㎡h)]
* EF25.50 : 25℃, 50%RH 일 때 HCHO 방산량[mg/(㎡h)
* t: 온도[℃]
* h :습도 [%RH]
* N : 환기횟수(회/h)
* L : 시료부하율(㎥/㎥)
한편, 작업자는 도 5에서와 같이 계산되는 오염 농도의 종류(100)를 포름알데히드(HCHO) 농도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농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오염 농도의 단위(110)를 ㎍/㎥, 또는 ppm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은 실내의 오염 농도를 산출함 에 있어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내의 전체 오염 농도를 산출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각 실별 전체 오염 농도(120)를 산출할 수도 있으며, 각 실에서의 벽체별 오염 농도(130)를 산출할 수도 있고, 각 자재별 오염 농도(140)를 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산출된 오염 농도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력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은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산출한 실내의 전체 오염 농도(150)를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권고기준 또는 포름알데히드(HCHO) 유지기준(160)과 비교하여 표시하며, 유행증상과 비교하여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6)

  1. 실내를 구성하는 각 실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실의 크기 및 위치를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각 실의 건축에 사용된 재료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모델링된 각 실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상기 모델링된 각 실에 구비된 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상기 각 실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 상기 각 실의 건축에 사용된 재료 정보, 상기 각 실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상기 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의 오염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실내의 오염 농도를 소정의 권고기준과 비교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각 실에 구비된 창문과 출입문의 크기 정보,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오염 농도는 포름 알데히드(HCHO) 농도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오염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의 전체 오염 농도 및 상기 각 실별 오염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6. 실내를 구성하는 각 실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실의 크기 및 위치를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모델링된 각 실의 건축에 사용된 재료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모델링된 각 실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상기 모델링된 각 실에 구비된 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상기 각 실의 크기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및 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의 오염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
KR1020090049405A 2009-06-04 2009-06-04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 KR20100130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05A KR20100130735A (ko) 2009-06-04 2009-06-04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05A KR20100130735A (ko) 2009-06-04 2009-06-04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735A true KR20100130735A (ko) 2010-12-14

Family

ID=4350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405A KR20100130735A (ko) 2009-06-04 2009-06-04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073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5304A1 (en) * 2014-05-11 2015-11-19 Breezometer Ltd. A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generation of an air quality score
CN111859595A (zh) * 2019-04-16 2020-10-30 左益玮 一种基于多组分多参数动态模型的室内装修甲醛浓度及其衰减的预测方法
CN114440411A (zh) * 2020-10-30 2022-05-06 庆东纳碧安株式会社 通风导向装置、应用和方法
CN114444162A (zh) * 2020-10-30 2022-05-06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空气质量模拟装置以及方法
KR20230059414A (ko) * 2021-10-26 2023-05-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학교 교실 개보수를 위한 실내공기품질 모델의 보정 방법
CN117422346A (zh) * 2023-12-18 2024-01-19 福建亿普特防水技术有限公司 基于bim技术的建筑信息管理系统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5304A1 (en) * 2014-05-11 2015-11-19 Breezometer Ltd. A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generation of an air quality score
US11182392B2 (en) 2014-05-11 2021-11-23 Breezometer Ltd.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generation of an air quality score
CN111859595A (zh) * 2019-04-16 2020-10-30 左益玮 一种基于多组分多参数动态模型的室内装修甲醛浓度及其衰减的预测方法
CN111859595B (zh) * 2019-04-16 2024-04-26 左益玮 一种基于多组分多参数动态模型的室内装修甲醛浓度及其衰减的预测方法
KR20220057953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질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220057954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 가이드 장치, 애플리케이션 및 방법
CN114444162A (zh) * 2020-10-30 2022-05-06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空气质量模拟装置以及方法
KR20230078970A (ko) * 2020-10-30 2023-06-0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 가이드 장치, 애플리케이션 및 방법
CN114440411B (zh) * 2020-10-30 2024-01-05 庆东纳碧安株式会社 通风导向装置、应用和方法
CN114440411A (zh) * 2020-10-30 2022-05-06 庆东纳碧安株式会社 通风导向装置、应用和方法
KR20230059414A (ko) * 2021-10-26 2023-05-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학교 교실 개보수를 위한 실내공기품질 모델의 보정 방법
CN117422346A (zh) * 2023-12-18 2024-01-19 福建亿普特防水技术有限公司 基于bim技术的建筑信息管理系统
CN117422346B (zh) * 2023-12-18 2024-03-19 福建亿普特防水技术有限公司 基于bim技术的建筑信息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Sampling and analysis of indoor microorganisms
Laussmann et al. Air change measurements using tracer gases: Methods and results. Significance of air change for indoor air quality
Wong et al. A statistical model for characterizing common air pollutants in air-conditioned offices
KR20100130735A (ko) 실내 공기질 진단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실내 공기질 진단 시스템
Park et al. Methodology for assessing human health impacts due to pollutant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Gonzalez-Caceres et al. Implementing post-occupancy evaluation in social housing complemented with BIM: A case study in Chile
Sekhar et al. Indoor air quality and energy performance of air-conditioned office buildings in Singapore.
Rim et al. Multi-zone modeling of size-resolved outdoor ultrafine particle entry into a test house
Alonso et al. A methodology for the selection of pollutants for ensuring good indoor air quality using the de-trended cross-correlation function
Barnes et al. Home assessment and remediation
Liu ASTM and ASHRAE standards for the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Zuraimi et al.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sources of VOCs in 5 air-conditioned Singapore office buildings
Liang et al. A pre-assessment and pollution prevention tool for indoor volatile organic compound simulations during the interior design stage
Xiong et al. An inquiry into the use of indoor CO2 and humidity ratio trend data with inverse modelling to estimate air infiltration
Shin et al.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s in newly built apartment buildings during pre-and post-occupancy stages
Djamil Indoor radon mitigation in South Korea
Hult et al. Blower-door techniques for measuring interzonal leakage
Domhagen et al. Modelling VOC levels in a new office building using passive sampling, humidity, temperature, and ventilation measurements
Arena Monitoring of internal moisture loads in residential buildings
Montoya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mathematical models for relating indoor and outdoor toxic gas concentrations in accidental releases
Holton Evaluation of vapor intrusion pathway assessment through long-term monitoring studies
KR20090001538A (ko) 실내오염도 산출방법
Guo Development of a model for controlling indoor air quality
Poirier et al. Development of Performance-Based Assessment Methods for Conventional and Smart Ventilation in Residential Buildings
DOMHAGEN Influence of building envelope on indoor air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