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666A - Offshore floating structure and its temporary buoyancy resto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Offshore floating structure and its temporary buoyancy restor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0666A KR20100130666A KR1020090049297A KR20090049297A KR20100130666A KR 20100130666 A KR20100130666 A KR 20100130666A KR 1020090049297 A KR1020090049297 A KR 1020090049297A KR 20090049297 A KR20090049297 A KR 20090049297A KR 20100130666 A KR20100130666 A KR 201001306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 floating structure
- mooring
- marine floating
- mar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45 stagnation point adsorption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여기에서는, 부력과 해저에 고정된 계류줄들에 의해, 해양에 뜬 상태로 계류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해양 부유 구조물은, 밸러스트 탱크와,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의한 부력이 손실된 때, 부력이 손실된 위치의 부력을 복원하는 임시 부력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밸러스트 탱크는 상기 해양 부유 구조물의 본체에 연결된 복수의 날개들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임시 부력 발생 장치는 상기 날개들 각각에 마련된다. 상기 임시 부력 발생 장치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가 침수된 때, 기체가 채워져서 팽창하는 기체 주머니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 marine floating structure is disclosed which is mooring in the ocean by buoyancy and mooring lines fixed to the seabed. The disclosed marine floating structure includes a ballast tank and a temporary buoyancy generating device for restoring the buoyancy at a location where the buoyancy is lost when the buoyancy by the ballast tank is lost. In this case, the ballast tank is installed on each of a plurality of wing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the temporary buoyancy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on each of the wings. The temporary buoyancy generating device is preferably a gas bag that is filled with gas and expands when the ballast tank is submerg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양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일부가 침수 등에 부력을 손실할 때, 해양 부유 구조물의 부력을 임시적으로 복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에 잘 부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temporarily restoring the buoyancy of a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when a part of it is lost buoyancy. 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well suited for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for wind power generation.
일반적으로, 해양 부유 구조물은, 해양에 떠 있는 상태로 계류될 수 있는 것으로, 계류된 상태에서, 발전, 화석 연료의 채취, 생산, 정제, 저장 및/또는 하역 등의 다양한 종류의 일을 하는 것들이 있다. 해양 부유 구조물은 기능, 구조, 계류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SEMI(Semi-submersible), TLP(Tensioned Leg Platform), SPAR,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SRU 또는 시추용 리그(Rig) 등으로 칭해지는 많은 종류의 해양 부유 구조물이 있다.In general, a marine floating structure can be moored while floating in the ocean, and in the moored state, various kinds of work such as power generation, fossil fuel extraction, production, refining, storage and / or unloading are performed. have. Marine floating structur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structures, and mooring methods. For example, SEMI (Semi-submersible), TLP (Tensioned Leg Platform), SPAR,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 There are many types of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called FSRUs or drilling rigs.
해양 부유 구조물은 그 종류에 따라 한 방식의 계류 시스템을 이용한다. 예컨대, FPOS 타입의 해양 부유 구조물과 SPAR 타입의 해양 부유 구조물은 터트 계 류(taut mooring) 또는 세미-터트 계류(semi-taut mooring) 방식을 취하며, TLP 타입의 해양 부유 구조물은 인장각(tensioned leg)들을 이용하는 TLP 계류 방식을 취한다.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use one type of mooring system, depending on their type. For example, FPOS type marine floating structures and SPAR type marine floating structures take a taut mooring or semi-taut mooring method, and TLP type marine floating structures are tensioned. Take a TLP mooring scheme using the legs).
TLP 계류 방식은 부력을 갖는 해양 부유 구조물을 해양에 계류시킴에 있어서,'텐덤'으로 칭해지는 수직의 계류줄들에 강한 인장력을 부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 터트 계류(taut mooring) 또는 세미-터트 계류(semi-taut mooring)에 비해 거친 해양 조건에서도 해양 부유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다. 그러나, TLP 계류 방식은 텐덤에 가해지는 큰 장력으로 인하여 파손의 위험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온화한 해양 조건에서는, 해상 부유 구조물을 단단하게 유지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TLP 계류 방식의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The TLP mooring method is a method of mooring a buoyant offshore floating structure to the ocean, by applying a strong tensile force to vertical mooring lines called 'tandems'. Compared to semi-taut mooring, it is possible to keep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stable even in rough marine conditions. However, the TLP mooring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a risk of breakage due to the large tension applied to the tandem. In particular, in mild marine conditions, the efficiency of the TLP mooring method is inevitably deteriorated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keep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firmly.
근래 들어, 부지 비용, 설치 규모의 제한, 인근 주민 동의의 어려움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풍력 발전 용도의 해양 부유 구조물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 또는 그것의 계류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41616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2897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은, 육지 지형에 의해 바람이 영향을 받지 않는 해양에서 풍력 발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꾸준한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육지 지형에 의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이, 해양에서의 풍력 발전에 더 적합하므로, 육지로부터 먼 해양에서의 풍력 발전이 더 유리하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est in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for wind power, for a number of reasons, including site costs, limited installation size, and difficulty in agreeing with nearby residents. And, it is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41616,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8972 and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offshore floating structure for wind power generation or its mooring technology. The offshore floating structure for wind power genera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wind power generation in the ocean where the wind is not affected by the land topography, so that stable and steady power generation is possible. Where wind is not affected by land topography, wind power generation at sea far from land is more advantageous, as it is more suitable for wind power generation at sea.
그러나,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은, 블레이드 및/또는 낫셀과 같은 풍 력 발전 설비의 구조적인 특성(또는, 취약점)으로 인해, 태풍, 악천후 등 해양의 거친 조건에서, 동적인 움직임이 극도로 제한적이어야 하며, 이는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의 계류 시스템 선정을 제한적이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텐덤'또는 '인장각'으로 불리우는 계류줄에 가해지는 강한 인장력으로 해양 부유 구조물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TLP 계류 방식이 터트 계류 또는 세미-터트 계류 방식에 비해 풍력 발전용 해양 구조물로의 적용에 더 유리할 것이다.However, wind power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have extremely limited dynamic movement under harsh marine conditions such as typhoons and bad weather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r weaknesses) of wind power installations such as blades and / or nacelles. This causes a limited selection of mooring systems for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for wind power generation. Therefore, the TLP mooring method, which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structure with strong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mooring line called 'tandem' or 'tensile angle', is applied to the marine structure for wind power generation as compared to the turret mooring or semi-turret mooring method. Will be more advantageous.
그러나, 해양 부유 구조물, 특히,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의 일부가 침수 등으로 손상되는 경우, 해양 부유 구조물은 부력을 일부 손실할 수 있는데, 이는 TLP 계류 방식에 이용된 계류줄에 큰 집중 하중을 야기하여, 계류줄의 절단, 더 나아가서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전복과 같은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종래에는 선박을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에 침수가 발생할 경우, 펌프를 이용하여 침수를 지연시키거나, 또는, 밸러스트 탱크에 여러개의 격벽을 미리 마련하여, 한 영역의 침수가 다른 영역의 침수로 전이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도에 그쳤다. However, if some of the offshore structures, in particular, some of the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for wind power generation, are damaged by flooding or the like, some of the offshore structures may lose some buoyancy, which creates a large concentrated load on the mooring lines used in the TLP mooring scheme. This can lead to serious accidents such as cutting of mooring lines and, moreover, overturning of marine floating structures. Conventionally, when flooding occurs in a marine floating structure including a vessel, a pump is used to delay the flooding, or a plurality of barrier ribs are provided in advance in the ballast tank, so that the flooding of one area is transferred to the flooding of another area. It was just to suppress things.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침수 등에 의해, 구조물의 일부, 특히, 밸러스트 탱크가 있는 날개 부분에 부력이 손실된 경우 그 부분에서의 부력을 임시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해양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on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temporarily restoring buoyancy in a part of a structure, in particular, when buoyancy is lost in a wing part with a ballast tank by flooding or the like. It i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침수 등에 의해 해양 부유 구조물의 일부분에서 부력의 손실이 있는 경우, 그 부분에서의 부력을 임시적으로 복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emporarily restoring the buoyancy in a portion of the buoyancy when there is a loss of buoyancy in a portion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by immer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부력을 임시 복원하는 장치 등을 갖추어, 풍력 발전용 해양 부유 구조물의 침수에 특히 잘 대처할 수 있는 해양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floating structure, which is equipped with a device for temporarily restoring buoyancy, and which can cope particularly well with flooding of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for wind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부력과 해저에 고정된 계류줄들에 의해, 해양에 뜬 상태로 계류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해양 부유 구조물은,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의한 부력이 손실된 때, 부력이 손실된 위치의 부력을 복원하는 임시 부력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buoyancy and mooring lines fixed to the seabed, there is disclosed a marine floating structure mooring floating in the ocean. The disclosed marine floating structure includes a ballast tank and a temporary buoyancy generating device for restoring the buoyancy at a location where the buoyancy is lost when the buoyancy by the ballast tank is lost.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는 상기 해양 부유 구조물의 본체에 연결된 복수의 날개들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임시 부력 발생 장치는 상기 날개들 각각에 마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시 부력 발생 장치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가 침수된 때, 기체가 채워져서 팽창하는 기체 주머니일 수 있다.Preferably, the ballast tank is installed on each of a plurality of wing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the temporary buoyancy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on each of the wings. More preferably, the temporary buoyancy generating device may be a gas bag that is filled with gas and expands when the ballast tank is submerg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계류줄들은 상기 복수의 날개들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날개들은 상기 본체의 측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계류줄들의 각도를 해양 환경 및 그에 따른 계류줄들의 장력 변화에 따라 바꾸어줄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oring line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ings, the wings can be installed foldable on the side of the body, in this case, the angle of the mooring lines in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us mooring lines You can change it according to their tension chang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부력과 해저에 고정된 계류줄들에 의해, 해양에 뜬 상태로 계류되는 해양 부유 구조물에 있어, 상기 해양 부유 구조물의 일부에 부력 손실이 있을 때, 그 부력이 손실된 부분의 부력을 기체 주머니를 이용하여 임시적으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임시 부력 복원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rine floating structure mooring floating in the ocean by buoyancy and mooring lines fixed to the seabed, the buoyancy is lost when there is a buoyancy loss in a portion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Provided is a temporary buoyancy restoration method of a marine floa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temporarily restore the buoyancy of the portion using a gas bag.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 부유 구조물의 일부가 침수에 의해 부력을 손실(또는, 상실)한 경우, 임시 부력 발생 장치, 특히, 기체 주머니가, 그 부력이 손실되어 아래로 가라 않는 해양 부유 구조물 일부에 부력을 임시적으로 제공하여, 다시 원래의 상태 또는 그에 가까운 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해양 부유 구조물 일부의 부력 손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계류줄의 절단, 더 나아가서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전복과 같은 큰 사고의 위험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기체 주머니를 이용하면, 종래 방식으로 침수를 지연하는 것에 비해, 효율적임은 물론이고, 비용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배관 시설의 단순화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ortion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loses (or loses) buoyancy due to flooding, a temporary buoyancy generating device, in particular, a gas bag,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cy is lost and does not go down. It provides temporary buoyancy, allowing it to be restored to or near its original state.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major accidents, such as the cutting of mooring lines and, moreover, the overturning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which may be caused by buoyancy loss of a portion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In addition, the use of a gas bag makes it possible not only to be efficient but also to significantly reduce costs, compared to delaying inundation in the conventional manner. It is also possible to simplify the plumbing facility.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ensure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convey.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양 부유 구조물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은 본 발명에 가장 잘 부합되는 풍력 발전용 해양 구조물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그 외 다른 종류의 해양 부유 구조물에 적용되는 자체를 배제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1 is a view showing a marine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major part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shown in FIG.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described below is a wind power offshore structure that best fits the present invention. Note,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itself from being applied to other types of marine floating structur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1)은, 본체(2)와 복수의 날개(4)들을 포함한다. 날개(4)들 각각에는 밸러스트 탱크(41; 도 2 참조)가 구획별로 또는 통합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해양 부유 구조물에 부력을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시하지는 않아지만, 상기 본체(2)의 일부에도 밸러스트 탱크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면에는 날개(4)가 두개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날개(4)의 개수는 3개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2)에는 풍력 발전 설비가 마련되며, 본 실시예의 풍력 발전 설비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21)와 상기 블레이드(21)의 회전력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낫셀(22)을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it may be contemplated to install a ballast tank on a part of the
상기 해양 부유 구조물(1)은, 부력에 의해 떠 있는 채로, 복수의 계류줄(또는, 계류삭, 또는 텐덤; 8)들에 의해 해양의 한 위치에 머물러 계류된다. 상기 계류줄(8)들 각각은 그 일단이 해저에 고정되는데, 그러한 고정을 위해, 해저에 무거운 중량 또는 앵커링에 의해 고정 배치된 복수의 베이스(9)들이 이용된다. 상기 계류줄(8)들 각각의 타단부는 날개(4)들 각각에 연결되어 고정된다.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1 remains moored at a position in the ocean by a plurality of mooring lines (or mooring lines, or tandems 8), floating by buoyancy. One end of each of the
한편, 상기 해양 부유 구조물(1)은 자신의 일부분, 특히, 날개(4)의 손상으 로 인한, 밸러스트 탱크(41)의 침수시, 그 손상된 부분의 부력을 임시적으로 복원하는 장치로서, 기체 주머니(10)를 포함한다. 상기 기체 주머니(10)는, 일반 계류 상태에서, 기체가 충전됨 없이, 접혀지거나 또는 뭉쳐진 채로, 상기 날개(4)의 임의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그에 반해, 밸러스트 탱크(41)에 침수가 생겨, 해양 부유 구조물(1)의 날개 부분에 부력 손실이 생긴 경우, 상기 기체 주머니(10)에는 공기 또는 임의의 다른 기체가 채워져서, 해양 부유 구조물(1)의 해당 부분에서의 부력을 복원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1) is a device for temporarily restoring the buoyancy of the damaged portion when the
기체 주머니(10)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에어백과 같이, 주위의 과다 압력, 또는, 충격에 의한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거나, 침수로 인해 야기되는 여러 종류의 현상을 감지하는 수단과, 기체 주머니(10)에 기체를 불어 넣을 수 있는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침수로 인해 야기되는 현상들로는 감지 위치에서의 물과 직접 접촉, 압력, 그 위치에서의 기울어진 각도 등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현상들을 감지하는 센서는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The means for operating th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날개(4)에는 밸러스트 탱크(41)와 기체 주머니(10)의 수납부(42)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42)에는 기체(특히, 공기)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의 기체 주머니(10)가 접히거나 뭉쳐진 상태로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기체 주머니(10)는, 수납되지 않고, 날개(4)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밸러스트 탱크(41)에 침수가 있는 경우, 상기 기체 주머니(10)는 기체가 채워져서 팽창하며, 그에 따라, 상기 날개(4)를 들어올리는 부력을 발생시키 게 된다. 2, the
상기 날개(4)들은 상기 본체(2)에 대해 위치가 변하지 않게 고정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날개(4)들은 상기 본체(2)에 대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는 이하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계류줄(8)들의 각도 변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해양 부유 구조물(1)은, 해양 환경의 변화에 따라, 즉, 해양 환경이 태풍 또는 악천후 등과 같은 거친 조건인지, 또는, 온화한 조건인지에 따라, 계류줄(8)들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해양 부유 구조물(1)은 계류줄(8)이 받는 장력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길이 조절부(6)를 날개(4)들 각각에 구비한다. 상기 길이 조절부(6)는, 예를 들면, 윈치와 같이, 계류줄(8)의 유효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 또는 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1 may be moor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that is, whether the marine environment is a harsh condition such as a typhoon or bad weather, or a mild con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ngle of the field. In addition,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1) is provided with each of the wings (4), the
도 3의 (a) 및 (b)는 해양 환경의 변화 및 계류줄(8)의 장력에 따라 계류줄(8)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작용을 잘 보여준다. 3 (a) and (b) show the action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to change the angle of the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양 부유 구조물은, 해양 환경이 거친 조건에서, 큰 장력이 계류줄(8)에 가해질 때에는, 계류줄(8)을 수직 또는 수직에 거의 가깝게 위시시킨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환경이 온화한 조건에서, 계류줄(8)에 가해진 장력이 저감된 때에는, 계류줄(8)을 경사지게 벌려 위치시킨다. 이때, 계류줄(8)들은 비교적 느슨한 상태로 해양 부유 구조물을 유지시킨다. 계류줄(8)들의 각도 가변을 위해, 상기 날개(4)들은 상기 본체(2) 에 대해 위치 가변적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날개(4)들 각각은 상기 본체(2)의 측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해저에서의 계류줄(8)의 위치가 고정적이다.As shown in (a) of FIG. 3,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wishes to mooring the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4)들 각각이 상기 본체(2)의 측부에 대면하도록 수직으로 접히면, 상기 계류줄(8)들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펼쳐진다. 이때, 상기 길이 조절부(6)가 계류줄(8)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되며, 따라서, 상기 계류줄(8)들은 느슨하면서도 경사지게 유지된다. 이때, 계류줄(8)이 느슨하므로, 계류줄(8)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계류 시스템에는 그것의 수명 저하 또는 손상을 유발하는 힘이 거의 가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계류줄(8)들이 경사지게 퍼져 있으므로, 일반 터트 계류 또는 세미-터트 계류 방식과 같은 양상으로 해양 부유 구조물을 유지시켜준다. 이때, 계류줄(8)들이 느슨하면서도 수직인 경우를 가정하여 본다면, 해양 부유 구조물(1)은 안정적으로 해양에 계류되어 있을 수 없을 것이다.As shown in FIG. 3 (b), when each of the
도 3의 (a)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4)들 각각이 수평으로 펼쳐지면, 상기 계류줄들(8)은 수직이거나 또는 거의 수직에 가깝게 된다. 이때, 상기 길이 조절부(6)가 계류줄(8)들의 길이를 줄이며, 따라서, 상기 계류줄(8)들에는 큰 장력이 가해져 팽팽한 상태가 된다. 수직의 계류줄(8)들은 TLP(Tensioned Leg Platform) 방식으로 해양 부유 구조물을 단단하고 강건하게 유지시켜준다. 도 3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해양 부유 구조물은 거친 해양 환경에 대하여서도 안정적으로 계류되어 있을 수 있다.As in FIG. 3 (a), when each of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부유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1 illustrates a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양 부유 구조물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FIG. 2 shows a major part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도 3의 (a) 및 (b)는 해양 환경의 변화 및 계류줄의 장력에 따라 계류줄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해양 부유 구조물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3 (a) and (b) is a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marine floating structure to change the angle of the mooring lin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9297A KR20100130666A (en) | 2009-06-04 | 2009-06-04 | Offshore floating structure and its temporary buoyancy restor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9297A KR20100130666A (en) | 2009-06-04 | 2009-06-04 | Offshore floating structure and its temporary buoyancy restora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0666A true KR20100130666A (en) | 2010-12-14 |
Family
ID=4350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9297A Withdrawn KR20100130666A (en) | 2009-06-04 | 2009-06-04 | Offshore floating structure and its temporary buoyancy restora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30666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43151A (en) * | 2015-04-06 | 2015-08-19 | 陈佳宇 | Offshore power generation platform formed by combining floating body units and installation method of offshore power generation platform |
KR101616427B1 (en) | 2014-11-24 | 2016-04-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
KR20160063637A (en) * | 2014-11-27 | 2016-06-07 | 오션어스(주) |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construction |
CN107539434A (en) * | 2017-09-07 | 2018-01-05 |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 Offshore wind turbine and its floatation type basis |
CN114033619A (en) * | 2021-10-31 | 2022-02-11 | 福建纳川管业科技有限责任公司 | Floating wind power device |
WO2022049263A1 (en) * | 2020-09-04 | 2022-03-10 | Riggmor As | Floating body and mooring system |
-
2009
- 2009-06-04 KR KR1020090049297A patent/KR20100130666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6427B1 (en) | 2014-11-24 | 2016-04-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
KR20160063637A (en) * | 2014-11-27 | 2016-06-07 | 오션어스(주) |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construction |
US9919770B2 (en) | 2014-11-27 | 2018-03-20 | Ocean Us Co., Ltd. |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construction |
CN104843151A (en) * | 2015-04-06 | 2015-08-19 | 陈佳宇 | Offshore power generation platform formed by combining floating body units and installation method of offshore power generation platform |
CN107539434A (en) * | 2017-09-07 | 2018-01-05 |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 Offshore wind turbine and its floatation type basis |
CN107539434B (en) * | 2017-09-07 | 2020-01-31 |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 Offshore wind turbines and their floating foundations |
WO2022049263A1 (en) * | 2020-09-04 | 2022-03-10 | Riggmor As | Floating body and mooring system |
CN114033619A (en) * | 2021-10-31 | 2022-02-11 | 福建纳川管业科技有限责任公司 | Floating wind power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41688B2 (en) | Floating apparatus for deploying in marine current for gaining energy | |
Muliawan et al. | STC (Spar-Torus Combination): a combined spar-type floating wind turbine and large point absorber floating wave energy converter—promising and challenging | |
US9233739B2 (en) | Mooring system for floating arctic vessel | |
EP2783975B1 (en) |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 |
US20060261597A1 (en) | Offshore power generator with current, wave or alternative generators | |
EP3954844A2 (en) | Turbine system and mooring systems | |
KR20100130666A (en) | Offshore floating structure and its temporary buoyancy restoration method | |
JP2011525877A (en) | A system for mooring floating plants that generate energy from water streams | |
JP2002285951A (en) | Floating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 |
KR20100130665A (en) | Offshore floating structure and its complex mooring method | |
US9499241B2 (en) |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 |
KR102144424B1 (en) | Tension-leg platform type wind power generator and its installation and decomission method | |
GB2587316A (en) | Floating apparatus for extracting energy from fluid currents | |
CN103224007A (en) | Multi-floating-body mooring device for floating ocean platform | |
NO20200826A1 (en) | A mooring system for a plurality of floating units | |
KR20180108195A (en) |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plant | |
CN107965422A (en) |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Bracing Systems on a kind of stretched wire line style combined type sea | |
WO2014167368A2 (en) | Unsinkable-stable unaffected from waves floating truss platforms | |
KR101254973B1 (en) | Floating Platform | |
KR102753932B1 (en) | Floating anchor structure for photovoltaic system and wind system | |
KR101431800B1 (en) | Mooring system of maring floating structures | |
WO2022049263A1 (en) | Floating body and mooring system | |
Mansour et al. | The Tension Leg Semisubmersible (TLS): The Hybrid TLP-Semisubmersible Floater With the Spar Response | |
WO2013068410A1 (en) | Installing underwater structures | |
KR20160070263A (en) | Mooring method of floating lng re-gasification power plant using suction f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