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152A - 다중 하향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하향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152A
KR20100130152A KR1020100050220A KR20100050220A KR20100130152A KR 20100130152 A KR20100130152 A KR 20100130152A KR 1020100050220 A KR1020100050220 A KR 1020100050220A KR 20100050220 A KR20100050220 A KR 20100050220A KR 20100130152 A KR20100130152 A KR 20100130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component
component carrier
state
measurabl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811B1 (ko
Inventor
안준기
이정훈
양석철
서동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146,845 priority Critical patent/US9253627B2/en
Priority to PCT/KR2010/003566 priority patent/WO2010140846A2/en
Priority to EP10783595.1A priority patent/EP2399349B1/en
Publication of KR2010013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채널 측정 결과를 상향링크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이고,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불연속적이다

Description

다중 하향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OF MEASUREMENT OVER MULTIPLE DOWNLINK CARRIERS AND APPARATUS THEREFOR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110) 및 복수의 단말(120)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동종 네트워크(homogeneous network) 또는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종 네트워크는 매크로 셀, 펨토 셀, 피코 셀, 중계기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호 공존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국이며, 각 기지국(110a, 110b 및 110c)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102a, 102b 및 102c)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특정 영역은 복수의 더 작은 영역들(104a, 104b 및 104c)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더 작은 영역은 통신 시스템에 따라 셀, 섹터 또는 세그멘트라고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하며, 각각의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120)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분포되며 고정되거나 이동할 수 있다. 각 단말은 임의의 순간에 상향링크(Uplink: UL) 및 하향링크(Downlink: DL)를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은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MC-FDMA(Multi Carrier-FDMA),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에 대한 측정을 배터리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채널 측정 결과를 상향링크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이고,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불연속적인 채널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모듈; 및 상기 RF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채널 측정 결과를 상향링크로 보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이고,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불연속적인, 단말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제1 상태는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수신이 제한되지 않는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상태는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수신이 제한되는 상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측정 가능 구간을 주기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주기 정보 및 오프셋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2 상태인 경우, 측정 가능 구간은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주기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가능 구간을 주기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주기 정보 및 오프셋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각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 불연속적으로 설정되는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겹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 불연속적으로 설정되는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설정되거나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이 속한 셀 내에 미할당된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있는 경우,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무선 신호의 수신을 소정의 시간 동안 중지한 뒤, 미할당된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측정을 배터리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은 단일 컴포넌트 반송파 상황 하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하향링크 반송파에 대해 채널 측정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 및 6은 단말이 채널 측정 보고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다중 컴포넌트 반송파 상황 하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8~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측정 예를 나타낸다.
도 13~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측정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을 예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CDMA, FDMA, TDMA, OFDMA, SC-FDMA, MC-FDMA와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3GPP LTE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의 수, 슬롯의 수, OFDM 심볼의 수 또는 이들의 길이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단일 컴포넌트 반송파 상황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LTE 시스템에서의 통신 예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FDD 방식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하향링크 대역과 이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향링크 대역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 및 부 동기 채널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식별자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제어 영역 내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단말이 하향링크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예를 나타낸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부하 제어 등의 이유로 하향링크에 대한 측정 결과가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의 3GPP LTE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임의의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 해당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하항링크 채널(DL channel)에 대한 상태를 측정한다(S410).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120)이 하향링크 채널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다. 즉, 하향링크 반송파 상에는 측정 가능 영역만이 존재하며. 단말(120)은 측정 가능 영역 내에서 임의의 시간에 측정을 수행한다. 도 3과 같은 단일 반송파 시스템의 경우, 측정 가능 구간은 하향링크 반송파 상의 전 영역(음영 부분)에 해당한다.
그 후, 단말(120)은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측정 결과(다른 말로, 채널 정보,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110)으로 보고한다. 측정 결과는 주기적으로 혹은 이벤트-기반(예, 기지국의 측정 보고 요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측정 결과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경우를 주기적 보고(periodic reporting)라고 하며, 측정 결과가 기지국의 요청에 의해서 전송되는 경우를 비주기적 보고(aperiodic reporting)라고 한다. 비주기적 보고의 경우, 예를 들어 기지국이 내려주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요청 비트(request bit)가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측정 결과는 측정 방식/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얻어진다. 예를 들어, 측정 결과는 SNR(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IR(Carrier to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QI(Channel Quality Indication),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CP(Reference Signal Code Power),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포함한다.
도 5 및 6은 단말이 측정 보고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편의상, 도 5 및 6에서는 측정 결과(다른 말로, 채널 정보)로서 CQI, PMI 및/또는 RI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주기적 보고의 경우, 각 단말 별로 상위계층 신호를 통해 반-정적(semi-static) 방식으로 주기와 해당 주기에서의 오프셋 등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도 5는 단말이 {주기 '5', 오프셋 '1'}을 시그널링 받은 경우에 채널 정보(예, CQI)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다. 주기, 오프셋에 관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각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0번째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서브프레임 인덱스의 증가 방향으로 한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두고 5개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채널 정보를 전송한다. 채널 정보는 기본적으로 PUCCH를 통해 전송되지만, 동일한 시점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PUSCH가 존재하면 채널 정보는 PUSCH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다. LTE 시스템의 경우 4가지 CQI 보고 모드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QI 보고 모드는 측정 대역의 폭에 따라 광대역(WideBand: WB) CQI와 서브밴드(SubBand: SB)(또는 UE selected) CQI로 나눠지고, PMI 전송 여부에 따라 PMI 부재(No PMI)와 단일(single) PMI로 나눠진다.
최근 보다 큰 상/하향링크 대역폭과 다양한 상/하향링크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하여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들을 모아서 더 큰 상/하향링크 대역폭을 구성하는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LTE-A 시스템은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상/하향링크 주파수 블록을 모다 더 큰 상/하향링크 대역폭을 사용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또는 bandwidth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한다. 각각의 주파수 블록은 컴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본 명세서에서, 컴포넌트 반송파는 문맥에 따라 반송파 집성을 위한 주파수 블록 또는 주파수 블록의 중심 반송파를 의미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혼용된다.
도 7은 다중 컴포넌트 반송파 상황 하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하향링크에 각각 5개의 20MHz CC들이 모여서 100MHz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CC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거나 비-인접할 수 있다. 도 7은 편의상 상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과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이 모두 동일하고 대칭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각 컴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은 독립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은 5MHz (AUL) + 20MHz (BUL) + 20MHz (CUL) + 20MHz (DUL) + 5MHz (EUL)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의 개수와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의 개수가 다른 비대칭적 반송파 집성도 가능하다. 비대칭적 반송파 집성은 가용한 주파수 대역의 제한으로 인해 발생되거나 네트워크 설정에 의해 인위적으로 조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시스템 전체 대역이 N개의 CC로 구성되더라도 특정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M(<N)개의 CC로 한정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는 셀 특정(cell-specific), 단말 그룹 특정(UE group-specific) 또는 단말 특정(UE-specific)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LTE-A 시스템에서와 같이 복수의 DL CC로 구성된 셀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은 그 단말의 배터리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시스템의 전체 DL CC가 아닌 하나 혹은 일부 DL CC(들)에 대해서만 일반적인 제어 정보/데이터 수신을 하도록 제한하거나, 그 외의 DL CC(들)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수신만 하도록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 MAC 메시징)을 통하여 할당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말에 대하여 일반적인 제어 정보/데이터 수신을 하도록 할당된 DL CC(들)을 앵커(anchor) CC라고 정의하고 그 외의 DL CC(들)을 논-앵커(non-anchor) CC라고 정의한다. 즉, 앵커 CC 상에서는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수신이 제한되지 않고, 논-앵커 CC 상에서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수신이 제한된다. 앵커 CC와 논-앵커 CC는 각각 활성화된(activated) CC와 비활성화된(deactivated) CC와 같은 등가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앵커/논-앵커 CC는 반-정적 또는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고, 이를 위해 RRC 시그널링, L1/L2 제어 시그널링(예, PDCCH, MAC 메시징) 또는 별도로 정의된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앵커/논-앵커 CC는 채널 상황, 하향링크 트래픽 요구량, 부하(load)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고려하여 할당될 수 있다. DL CC는 시그널링에 의해 반-정적 또는 동적으로 앵커/논-앵커 CC로의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DL CC는 시간 축 상에서 임의의 시점에 활성화된(앵커) 상태(제1 상태) 또는 비활성화된(논-앵커) 상태(제2 상태)에 있다고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5개의 DL CC로 구성된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에서 임의의 단말에게 1개의 DL CC만 앵커 CC로 할당하고 나머지 4개의 DL CC는 논-앵커 CC로 할당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기지국이 논-앵커 CC에 대해서도 해당 단말에 대한 RSRP, RSRQ 등의 측정 정보를 안다면 셀 내의 복수의 DL CC들에 대한 부하 제어(load control)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이 논-앵커 CC로 할당된 DL CC에 대한 측정 보고를 위해 임의의 시간에 DL 무선 채널에 대한 측정을 빈번히 수행해야 한다면 실제로 논-앵커 CC 설정을 통한 배터리 소비 절약을 크게 얻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DL CC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L CC에 대한 측정 수행을 DL CC의 상태/타입에 따라 다르게 할 것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DL CC가 앵커(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측정 가능 구간을 해당 DL CC 상에서 연속적으로 설정/정의하고, DL CC가 논-앵커(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측정 가능 구간을 해당 DL CC 상에서 불연속적으로 설정/정의할 것을 제안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논-앵커 CC로 할당한 DL CC에 대해서는 측정을 수행할 시간 구간을 주기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DL CC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복수의 DL CC에 접속한다(S810). 접속 과정 중에서 또는 그 이후에, 단말은 복수의 DL CC에 대한 구성(configuration)을 확인한다(S820). 본 실시예에서 DL CC에 대한 구성은 DL CC의 상태(예, 활성화된 상태, 비활성화된 상태)를 포함하며, RRC 시그널링 또는 MAC 메시징 등을 통해 반-정적으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DL CC의 측정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830).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논-앵커 CC를 할당받은 단말은 각각의 논-앵커 CC 또는 할당받은 전체 논-앵커 CC에 대하여 RSRP, RSRQ 등의 측정을 위해 DL 채널 모니터링을 수행할 불연속 시간 구간(예, 시간 구간의 주기/길이/시간 오프셋 중 적어도 일부)을 할당받고 이를 설정할 수 있다. 불연속 시간 구간에 관한 정보는 RRC 시그널링, 혹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을 통해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L CC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고할 시점(예, 주기 및/또는 오프셋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측정 결과의 보고 시점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도 4 내지 6의 예시를 참조할 수 있다.
논-앵커 CC가 복수인 경우, 측정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는 각각의 논-앵커 CC마다 시그널링 되거나, 하나의 논-앵커 DL CC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기준 파라미터 정보)만을 주고 나머지 논-앵커 DL CC에 대한 파라미터는 기준 파라미터로부터 직접적/간접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예, 오프셋 또는 CC 인덱스를 이용하여 기준 파라미터를 변형).
그 후, 단말은 복수의 DL CC에 대해 측정을 수행한다(S840). 이 경우, 해당 DL CC가 특정 상태(즉, 앵커 상태 또는 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은 해당 DL CC 상에서 연속적으로 설정된 측정 가능 구간에서 임의의 시점에 측정을 수행한다. 반면, 해당 DL CC가 그 외의 상태(즉, 논-앵커 상태 또는 비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은 해당 DL CC 상에서 불연속적으로 설정된 측정 가능 구간 내에서 임의의 시점에 측정을 수행한다. 일 예로, 측정 가능 구간은 단계 S830에서 확인한 주기/길이/시간 오프셋을 이용하여 논-앵커 CC 상에 불연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정 가능 구간은 단말의 측정 보고 시점과 연계되어 불연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가능 구간은 측정 보고 시점 이전의 일정 영역(예, 측정 보고 시점 이전의 일정 시간 오프셋부터 일정 서브프레임 동안 등)에 설정될 수 있다. 즉, 측정 가능 구간은 측정 보고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영역에 설정되며, 이러한 특정 영역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소정 횟수 동안 반복될 수 있다.
한편, 논-앵커 CC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논-앵커 CC에 설정되는 측정 가능 구간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서로 다른 시간대에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논-앵커 DL CC 상에 설정되는 측정 가능 구간의 주기는 DL CC간에 배수 관계에 있도록 설정되고, 오프셋은 DL CC간에 서로 어긋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논-앵커 CC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에 측정 가능 구간은 DL CC간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거나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논-앵커 DL CC 상에 설정되는 측정 가능 구간의 주기는 DL CC간에 배수 관계에 있도록 설정되고, 오프셋은 절대/상대적으로 동일한 값을 갖거나 일정 관계(예, 배수)에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반송파에 대해 동일 시점에 측정하는 것이 각 반송파에 대한 측정 시점을 달리 해서 여러 번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보다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채널 측정 이후, 단말은 해당 DL CC에 대한 측정 결과를 주기적/비주기적으로 기지국에게 보고한다(S850). 측정 결과는 SNR, SINR, CIR, CINR, CQI, PMI, RI, RSRQ, RSRP, RSCP 또는 RSSI를 포함한다. 측정 결과는 상향링크 공유 채널(예, PUSCH) 또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 PU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DL CC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면, 활성화된 DL CC에 대하여 단말은 임의의 시점에서 측정을 수행할 수 있지만 비활성화된 DL CC에 대해서는 일부 시간 구간에서만 측정을 수행한다. 즉, 활성화된 DL CC의 경우 측정 가능 구간은 DL CC 상에서 연속적으로 설정/정의되지만, 비활성화된 DL CC의 경우 측정 가능 구간은 DL CC 상에서 불연속적으로 설정/정의된다. 도 9 내지 12의 예에서 시간 구간의 기본 단위는 DL 서브프레임으로 가정하였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활성화된 DL CC에 대하여 측정 구간이 아닌 시간 구간에서 단말은 해당 DL CC에 대한 FFT(Fast Fourier Transform), AGC(Automatic Gain Control), ADC(Ananlog to Digital Converter) 등의 소자 동작을 정지시켜 배터리 소비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DL CC로 구성된 셀에서 단말이 활성화된 DL CC와 비활성화된 DL CC로 각각 하나의 DL CC를 할당받은 예를 보인다. 도 9에서와 같이 활성화된 DL CC에 대하여 단말은 임의의 시점에서 측정을 수행할 수 있지만 비활성화된 DL CC에 대해서는 일부 시간 구간에서만 측정을 수행한다. 비활성화된 DL CC 상에 설정/정의되는 측정 가능 구간은 주기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측정 가능 구간(duration available for measurement)(910)과 측정 불가 구간(duration not available for measurement)(920)이 반복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가능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는 도 8의 단계 S830과 관련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측정 가능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는 주기(예, 910+920), 길이(예, 910 또는 920) 및/또는 시간 오프셋(예, 서브프레임 인덱스에 기반한 절대 오프셋, 특정 시점으로부터의 상대 오프셋)을 포함한다.
도 10은 복수의 DL CC로 구성된 셀에서 단말이 하나의 활성화된 DL CC와 두 개의 비활성화된 DL CC를 할당받은 예를 보인다. 도 10에서와 같이 비활성화된 DL CC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비활성화된 DL CC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서로 다른 시간 영역(1010 및 1020)에 설정/정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비활성화된 DL CC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비활성화된 DL CC간에 TDM 방식으로 배타적이게 설정/정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비활성화된 DL CC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들은 주기가 서로 배수 관계이고 오프셋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복수의 DL CC로 구성된 셀에서 단말이 하나의 활성화된 DL CC와 두 개의 비활성화된 DL CC를 할당받은 예를 보인다. 도 11에서와 같이 측정 가능 구간에 관한 설정은 반-정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비활성화된 DL CC#1를 보면, 측정 가능 구간의 길이는 4개의 서브프레임(1110)으로 일정하지만, 측정 불가 구간의 길이는 4개의 서브프레임(1112a)에서 12개의 서브프레임(1112b)으로 변경된다. 또한, 비활성화된 DL CC#2를 보면, 측정 가능 구간의 길이는 2개의 서브프레임(1120a)에서 3개의 서브프레임(1120b)으로 변경되지만, 측정 불가 구간의 길이는 6개의 서브프레임(1122)으로 일정하다. 측정 가능/불가 구간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정적으로 변경되거나, L1/L2 제어 시그널링(예, PDCCH, MAC 메시징)을 통해 동적, 반-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편의상, 비활성화된 DL CC에서 측정 가능 구간 또는 측정 불가 구간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시로서 측정 가능 구간 또는 측정 불가 구간이 동시에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비활성화된 CC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에 측정 가능 구간은 DL CC간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거나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활성화된 DL CC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주기, 구간,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측정 가능 구간 + 측정 불가 구간)이 DL CC별로 배수 관계에 있도록 측정 가능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측정 가능 구간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는 DL CC별로 기지국에서 단말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또한, 특정 DL CC에 관한 정보가 기지국에서 단말로 시그널링 되고, 나머지 DL CC에 관한 정보는 특정 DL CC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도 12는 복수의 DL CC로 구성된 셀에서 단말이 하나의 활성화된 DL CC와 두 개의 비활성화된 DL CC를 할당받은 예를 보인다. DL CC의 상태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정적으로 변경되거나, L1/L2 제어 시그널링(예, PDCCH, MAC 메시징)을 통해 동적, 반-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활성화된 DL CC가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측정 가능 구간이 시그널링된 값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설정/정의된다. 구체적으로, 활성화된 DL CC가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시간 오프셋(1234), 측정 가능 구간의 길이(1230) 및/또는 측정 불가 구간의 길이(1232)에 따라 측정 가능 구간이 불연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비활성화된 DL CC#2가 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측정 가능 구간은 연속적으로 설정된다(1220).
한편, 기지국은 임의의 단말에게 셀이 지원하는 복수의 DL CC들 중 하나 혹은 일부를 활성화된 DL CC로 할당하고, 그 외의 하나 혹은 일부를 비활성화된 DL CC로 할당하며, 나머지 DL CC들은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 측정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기지국이 5개의 DL CC를 지원할 때에 3개의 DL CC만큼의 밴드폭만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 접속한다면 기지국은 5개의 DL CC 중 1개의 DL CC를 활성화된 DL CC로 할당하고 다른 2개의 DL CC를 비활성화된 DL CC로 할당하며 남은 2개의 DL CC를 인트라-주파수 측정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편의상, (비)활성화된 DL CC를 할당 DL CC(allocated DL CC)라고 지칭하고, 그 외의 인트라-주파수 측정에서 제외된 DL CC를 미할당 DL CC(unallocated DL CC)라고 지칭한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부하 제어 등의 이유로 미할당 DL CC에 대한 측정 결과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동일 셀 내에서의 미할당 DL CC에 대해서 측정 갭(measurement gap)을 통한 측정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미할당 DL CC에 대하여 측정 갭을 통한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는 단말은 자신의 수신 주파수를 측정 갭 구간 동안 잠시 측정하는 미할당 DL CC에 맞춰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구간에서는 전체 또는 할당 DL CC들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수신을 중단할 수 있으며, 나머지 할당 DL CC들을 통해서는 정상적으로 수신이 이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미할당 DL CC를 위한 측정 갭의 길이/주기/시간 오프셋을 RRC 시그널링이나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할당받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할당 DL CC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은 복수의 DL CC를 지원하는 셀에 진입한다(S1310). 셀 진입 시 또는 그 이후에, 단말은 동일 셀 내에 있는 복수의 DL CC들 중에서 할당/미할당 DL CC(들)를 확인한다(S1320). 할당/미할당 DL CC는 RRC 시그널링 또는 L1/L2 시그널링(예, PDCCH, MAC 메시징)을 통해 확인될 수 있으며 반-정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DL CC의 측정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1330). DL CC의 측정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도 8의 단계 S830을 참조하여 설명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DL CC의 측정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측정 갭(measurement gap)의 길이/주기/시간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이러한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이나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할당받을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미할당 DL CC에 대한 측정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1340). 미할당 DL CC에 대한 측정이 필요한지 여부는 단계 S1330의 파라미터에 기초하거나 기지국의 요청이 있는지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미할당 DL CC에 대한 측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할당 DL CC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S1370). 할당 DL CC가 활성화된 DL CC 및 비활성화된 DL CC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도 8의 단계 S840에 예시한 방법에 따라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미할당 DL CC에 대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 단말은 측정 갭을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할당 DL CC(들)의 전체 또는 일부로부터의 신호 수신을 측정 갭 동안 중지한다(S1350). 그 후, 단말은 자신의 수신 주파수를 미할당 DL CC(들)의 중심 주파수로 옮겨 측정 갭 동안 측정을 수행한다(S1360). 채널 측정 이후, 단말은 해당 DL CC에 대한 측정 결과를 주기적/비주기적으로 기지국에게 보고한다(S1380). 측정 결과는 SNR, SINR, CIR, CINR, CQI, PMI, RI, RSRQ, RSRP, RSCP 또는 RSSI를 포함한다. 측정 결과는 상향링크 공유 채널(예, PUSCH) 또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 PU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할당 DL CC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세 개의 DL CC(DL CC#1, DL CC#2 및 DL CC#3)로 구성된 셀에서 단말(UE)이 두 개의 DL CC만을 할당받은 경우를 나타낸다. 즉, 상기 단말(UE)과 관련하여, 셀 내에는 두 개의 할당 DL CC(allocated DL CC)(DL CC#1:1410 및 DL CC#3:1412)와 하나의 미할당 DL CC(unallocated DL CC)(DL CC#2:1420)가 존재한다. 할당 DL CC는 활성화된 DL CC 또는 비활성화된 DL CC를 포함한다. 활성화된 DL CC 또는 비활성화된 DL CC에 대한 동작은 도 8~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정의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단말(UE)은 자신의 수신 주파수를 할당 DL CC의 중심 주파수(fc_DL#1 및 fc_DL#3)에 맞추어 무선 신호(예, 기준 신호, 제어 정보, 데이터 등)를 수신한다(1450a 및 1452a). 이 경우, 단말(UE)은 DL CC#1 및 DL CC#3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반면, 단말(UE)은 DL CC#2에 대해서는 인트라-주파수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설정 또는 시그널링(예, 요청)에 따라 미할당 DL CC에 대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 단말(UE)은 할당 DL CC(들)의 전체 또는 일부로부터의 수신을 소정의 시간(즉, 측정 갭(measurement gap)) 동안 중지하고, 자신의 수신 주파수를 동일 셀에 있는 미할당 DL CC의 중심 주파수(fc_DL#2)에 맞춰 인트라-주파수 측정을 수행한다(1450b). 그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단말(UE)은 미할당 DL CC의 중심 주파수(fc_DL#2)에 맞췄던 수신 주파수를 원래의 할당 DL CC의 중심 주파수(fc_DL#1)로 옮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을 예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 110) 및 단말(UE, 120)을 포함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20)의 일부이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110)의 일부이다. 기지국(110)은 프로세서(112), 메모리(1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1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2)는 다중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정보, 반송파 측정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정보, 측정 결과를 보고 방식/시기 등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정보를 단말(120)에게 시그널링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4)는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16)은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120)은 프로세서(122), 메모리(124) 및 RF 유닛(12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채널 측정 결과를 상향링크로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이고,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불연속적일 수 있다. 메모리(124)는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6)은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기지국(110) 및/또는 단말(12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채널 측정 결과를 상향링크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이고,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불연속적인, 채널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수신이 제한되지 않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수신이 제한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측정 가능 구간은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주기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가능 구간을 주기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주기 정보 및 오프셋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각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 불연속적으로 설정되는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속한 셀 내에 미할당된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무선 신호의 수신을 소정의 시간 동안 중지한 뒤, 상기 미할당된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8.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모듈; 및
    상기 RF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채널 측정 결과를 상향링크로 보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이고,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불연속적인,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수신이 제한되지 않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수신이 제한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측정 가능 구간은 상기 해당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주기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 가능 구간을 주기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주기 정보 및 오프셋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각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 불연속적으로 설정되는 측정 가능 구간은 시간 영역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속한 셀 내에 미할당된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가 있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무선 신호의 수신을 소정의 시간 동안 중지한 뒤, 상기 미할당된 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00050220A 2009-06-02 2010-05-28 다중 하향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95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46,845 US9253627B2 (en) 2009-06-02 2010-06-03 Method of measurement over multiple downlink carriers and apparatus therefor
PCT/KR2010/003566 WO2010140846A2 (en) 2009-06-02 2010-06-03 Method of measurement over multiple downlink carriers and apparatus therefor
EP10783595.1A EP2399349B1 (en) 2009-06-02 2010-06-03 Method of measurement over multiple downlink carriers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352409P 2009-06-02 2009-06-02
US61/183,524 2009-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152A true KR20100130152A (ko) 2010-12-10
KR101695811B1 KR101695811B1 (ko) 2017-01-23

Family

ID=4350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220A KR101695811B1 (ko) 2009-06-02 2010-05-28 다중 하향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3627B2 (ko)
EP (1) EP2399349B1 (ko)
KR (1) KR101695811B1 (ko)
WO (1) WO20101408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1981B (zh) * 2009-06-18 2013-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最小化路测日志测量方法及装置
KR20110040672A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WO2011078582A2 (ko) * 2009-12-22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채널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688263B1 (ko) 2010-01-08 2016-12-2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수의 업링크 캐리어와의 시간 정렬 유지
KR101376997B1 (ko) * 2010-01-08 2014-03-25 알까뗄 루슨트 비활성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들을 측정하도록 사용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646789B1 (ko) * 2010-01-19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활성화 방법 및 장치
ES2897486T3 (es) * 2010-04-29 2022-03-01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 Inst Método de traspaso basado en agregación de portadoras
CN103155672A (zh) * 2010-10-05 2013-06-12 诺基亚西门子网络公司 信道状态信息测量和报告
US9215698B2 (en) * 2010-12-03 2015-12-15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terminal,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JP5732936B2 (ja) * 2011-03-15 2015-06-10 富士通株式会社 送信局、受信局、通信システムおよびギャップ割当方法
WO2012134120A2 (ko) * 2011-03-25 201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의 cc에 대한 tdd 구성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EP3094126B1 (en) 2012-04-27 2019-09-11 NEC Corporation Radio terminal, radio station and methods
CN103581869B (zh) 2012-08-03 2018-1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9503216B2 (en) * 2012-11-02 2016-11-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o effective measurements
US9398480B2 (en) 2012-11-02 2016-07-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of obtaining measurements in the presence of strong and/or highly varying interference
CN109150486B (zh) * 2014-03-20 2021-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方法和用户设备
US10075864B2 (en) * 2014-07-02 2018-09-11 Intel I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reporting in an unlicensed spectrum
CN107113644B (zh) * 2015-08-14 2020-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方法及相关设备
US10299228B1 (en) * 2016-09-27 2019-05-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radio frequency system to dynamically modify automatic gain control thresholds
US11388617B2 (en) * 2017-05-16 2022-07-12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197210B2 (en) * 2018-07-19 2021-12-07 Qualcomm Incorporated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paging in a non-anchor carri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8276A1 (en) * 2004-07-10 200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downlink transmission in a multicarrier-based CDMA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87887A1 (en) * 2005-02-18 2006-08-2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multiple access system for suppressing inter-cell interference
WO2006109134A1 (en) * 2005-04-15 2006-10-19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synchronisation in a multi-carrier system using variable guard interva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844A (ko) * 2005-08-2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품질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US8121552B2 (en) * 2006-09-05 2012-02-2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quality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247171A (zh) * 2007-02-16 2008-08-2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使用约定资源发送控制信道的设备和方法
US8514793B2 (en) * 2008-10-31 2013-08-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processing component carri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8276A1 (en) * 2004-07-10 200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downlink transmission in a multicarrier-based CDMA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87887A1 (en) * 2005-02-18 2006-08-2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multiple access system for suppressing inter-cell interference
WO2006109134A1 (en) * 2005-04-15 2006-10-19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synchronisation in a multi-carrier system using variable guard interva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0931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0846A3 (en) 2011-03-03
EP2399349A2 (en) 2011-12-28
EP2399349B1 (en) 2019-11-20
US20110281601A1 (en) 2011-11-17
US9253627B2 (en) 2016-02-02
WO2010140846A2 (en) 2010-12-09
KR101695811B1 (ko) 2017-01-23
EP2399349A4 (en)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811B1 (ko) 다중 하향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102742B2 (en) Using a cell as a pathloss or timing reference
TWI753247B (zh) 使用者設備之無線通訊方法及装置、電腦可讀介質
US11438045B2 (en)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US11172391B2 (en) Methods of multiple SS block transmissions and RRM measurement in a wideband carrier
RU2741519C2 (ru) Управление полосой пропускания конкретного для соты опорного сигнала (crs) на бережливой несущей (lean carrier) на основе полосы пропускания других опорных сигналов
KR102387851B1 (ko) 비허가 스펙트럼을 통한 lte 에서 신호 강도 측정들에 기초한 rrm
CN111742596B (zh) 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的测量定时配置方法及用户设备
US20170347270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WO2021244561A1 (en) Mechanism to avoid lte crs from neighboring cell in dss
EP27340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n increased coverage area to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O2016117643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0581506B2 (en) Method whereby terminal measures RR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s for supporting same
WO2020089880A1 (en) Adaption of reference signal muting configuration
KR20170042318A (ko) D2d를 위한 블랭크 서브프레임 사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