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954A - 듀얼 모드 진동기 - Google Patents

듀얼 모드 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954A
KR20100129954A KR1020090048576A KR20090048576A KR20100129954A KR 20100129954 A KR20100129954 A KR 20100129954A KR 1020090048576 A KR1020090048576 A KR 1020090048576A KR 20090048576 A KR20090048576 A KR 20090048576A KR 20100129954 A KR20100129954 A KR 2010012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vibrator
vibrating
hous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498B1 (ko
Inventor
안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498B1/ko
Priority to US12/792,425 priority patent/US8461969B2/en
Priority to CN201010189896.4A priority patent/CN101908815B/zh
Publication of KR2010012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01H2001/545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having permanent magnet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contacts

Abstract

듀얼 모드 진동기가 개시된다. 상기 듀얼 모드 진동기는 제 1 및 제 2 진동부의 일측은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에 각각 지지되고, 타측 부위는 스토퍼에 의하여 소정 이상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부는 소정 거리 이상 이동하지 못하므로, 제 1 및 제 2 진동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의 소성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부는 항상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듀얼 모드 진동기 {DUAL MODE VIBRATOR}
본 발명은 듀얼 모드 진동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기기에는 착신 신호를 알려주는 음향발생장치 또는 진동발생장치 등과 같은 신호발생장치가 내장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동발생장치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가 하나만 설치된다. 따라서, 진동신호가 단조로운 느낌이 있다.
다채로운 진동 및 차별화된 진동신호를 얻기 위하여, 진동부가 2개 마련된 듀얼 모드 진동기가 개발되었다.
듀얼 모드 진동기는 주파수 형태로 전류를 코일에 인가하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코일과 2개의 상기 진동부가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2개의 상기 진동부가 선택적으로 진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코일과 어느 하나의 상기 진동부가 작용하는 도중에도, 다른 하나의 상기 진동부는 진동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진동부는 스프링에 지지되어 진동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듀얼 모드 진동기는 상기 스프링만에 의하여 상기 진동 부가 지지되므로, 충격 등에 의하여 상기 진동부가 설정 위치에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탈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진동부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이 소성 변형되고, 이로인해 상기 진동부가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러면, 전류의 주파수 변화나 진동력 감소 등이 초래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모드 진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진동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전류가 상기 코일에 인가되면 상기 코일과 작용하여 진동하는 제 1 진동부; 상기 코일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진동부와 대향하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전류가 상기 코일에 인가되면 상기 코일과 작용하여 진동하는 제 2 진동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진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진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 상기 제 1 진동부의 타측 부위와 상기 제 2 진동부의 타측 부위 사이의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부의 타측 부위가 소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가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진동기는 제 1 및 제 2 진동부의 일측은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에 각각 지지되고, 타측 부위는 스토퍼에 의하여 소정 이상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부는 소정 거리 이상 이동하지 못하므로, 제 1 및 제 2 진동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의 소성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부는 항상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진동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진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기기 등과 같은 제품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10)이 마련된다. 하우징(110)은 상호 결합된 베이스(111)와 케이스(115)를 가진다.
이하, 하우징(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베이스(111)의 수직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베이스(111)의 수직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베이스(111)의 중앙부에는 홀더(120)가 결합되고, 홀더(120) 외측의 베이스(111)의 부위에는 PCB(Printed Circuit Board)(130)가 설치된다. 홀더(120)의 내 부에는 코일(140)이 지지 설치되는데, 코일(140)은 PCB(130)와 접속된다. 외부의 전원은 PCB(130)를 통하여 코일(140)로 전달되며, 코일(140)에는 주파수 형태로 전류가 인가된다.
코일(140)의 외측에는 코일(140)과 작용하여 진동하는 진동부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진동부는 코일(14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형태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를 가진다.
제 1 진동부(150)는 코일(140)의 일측에 배치된 제 1 웨이트(151), 제 1 웨이트(151)의 내부에 결합되며 코일(140)과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제 1 웨이트(151)를 진동시키는 제 1 마그네트(153), 제 1 웨이트(151)의 측면에 결합되며 제 1 마그네트(153)에 발생되는 자속의 자로를 형성하는 제 1 요크(155)를 가진다.
제 2 진동부(160)는 코일(140)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 1 웨이트(151) 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며 코일(140)을 사이에 두고 제 1 웨이트(151)와 대향하는 제 2 웨이트(161), 제 2 웨이트(161)의 내부에 결합되며 코일(140)과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제 2 웨이트(161)를 진동시키는 제 2 마그네트(163), 제 2 웨이트(161)의 측면에 결합되며 제 2 마그네트(163)에 발생되는 자속의 자로를 형성하는 제 2 요크(165)를 가진다.
PCB(130)가 설치된 베이스(111)의 부위 또는 PCB(130)와 대향하는 케이스(115)의 상면에는 지지브라켓(170)이 결합되고, 지지브라켓(17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스프링 등과 같은 제 1 및 제 2 탄성부재(171,175)가 각각 결합된다.
제 1 및 제 2 탄성부재(171,175)는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를 각각 지지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탄성부재(171)의 일측면은 지지브라켓(17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제 1 웨이트(151)의 일측은 제 1 탄성부재(171)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 1 탄성부재(171)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탄성부재(175)의 일측면은 지지브라켓(17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제 2 웨이트(161)의 일측은 제 2 탄성부재(175)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 2 탄성부재(175)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주파수 형태로 코일(140)에 전류가 인가될 때, 코일(140)에 저주파수인 140∼160㎐의 제 1 주파수 대역의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40)과 제 1 마그네트(153)의 작용에 의하여 제 1 마그네트(153)가 진동한다. 그러면, 제 1 웨이트(151)를 포함한 제 1 진동부(150)가 진동하고, 제 1 진동부(150)의 진동은 제 1 탄성부재(171)를 통하여 하우징(110)으로 전달되므로, 하우징(110)이 설치된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진동신호가 발생한다.
그리고, 코일(140)에 고주파수인 240∼260㎐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40)과 제 2 마그네트(163)의 작용에 의하여 제 2 마그네트(163)가 진동한다. 그러면, 제 2 웨이트(161)를 포함한 제 2 진동부(160)가 진동하고, 제 2 진동부(160)의 진동은 제 2 탄성부재(175)를 통하여 하우징(110)으로 전달되므로, 하우징(110)이 설치된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진동신호가 발생한다.
그런데, 전류는 주파수 형태로 연속적으로 코일(140)에 인가되므로, 코일(140)과 제 1 마그네트(153)가 상호 작용하는 도중에도 제 2 진동부(160)는 진동하고, 코일(140)과 제 2 마그네트(163)가 상호 작용하는 도중에도 제 1 진동 부(150)는 진동한다. 이때, 제 1 진동부(150)는 낮은 진동수를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무겁게 진동하고, 제 2 진동부(160)는 높은 진동수를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가볍게 진동한다. 따라서, 제 1 진동부(150)와 제 2 진동부(160)의 조화에 의하여 다채롭고 차별화된 진동신호가 발생하는 것이다.
충격 등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소정 거리 이상 이탈하면, 제 1 및 제 2 스프링(171,175)의 벤딩된 부위가 소성 변형된다. 그러면,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진동기에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171,175)에 각각 지지되지 않은 제 1 진동부(150)의 제 1 웨이트(151)의 타측 부위 및 제 2 진동부(160)의 제 2 웨이트(161)의 타측 부위가 각각 소정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및 제 2 탄성부재(171,175)가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단은 제 1 웨이트(151)의 타측 부위와 제 2 웨이트(161)의 타측 부위 사이의 하우징(110)의 베이스(111)에 결합된 스토퍼(180)로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가 진동할 때에는,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는 스토퍼(180)에 부딪히지 않는다. 그러나, 충격 등에 의하여 제 1 진동부(150)의 타측이 제 2 진동부(160)측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하려 하면 스토퍼(180)에 부딪혀 이동이 제한된고, 제 2 진동부(160)의 타측이 제 1 진동부(150)측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하려 하면 스토퍼(180)에 부딪혀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면,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의 타측이 각각 소정 거리 이상 이동 하지 못하므로,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의 일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171,175)의 변형이 방지된다.
스토퍼(180)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각각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웨이트(151,161)의 부위는 제 1 및 제 2 웨이트(151,161)의 내측으로 각각 함몰(151a,161a) 형성된다.
함몰부(151a,161a)는 스토퍼(180)로 인하여 설치 공간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가 진동하면, 제 1 및 제 2 웨이트(151,161)의 함몰부(151a,161a) 속으로 스토퍼(180)가 각각 삽입된다.
제 1 및 제 2 웨이트(151,161)가 부딪히는 스토퍼(180)는 완충제로 마련된다. 또는 제 1 및 제 2 웨이트(151,161)의 타측 부위와 각각 대향하는 스토퍼(18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별도의 완충제(181)가 각각 결합될 수 도 있다.
제 1 및 제 2 웨이트(151,161)의 타측 부위 내부에는,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가 정지할 때,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가 신속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의 잔진동을 잡아주는 보조마그네트(191)가 각각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143은 코어이고, 193은 제 1 및 제 2 진동부(150,160)가 외측의 부품들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진동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하우징 120 : 홀더
130 : PCB 140 : 코일
150, 160 : 제 1,2 진동부 171,175 : 제 1,2 탄성부재
180 : 스토퍼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전류가 상기 코일에 인가되면 상기 코일과 작용하여 진동하는 제 1 진동부;
    상기 코일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진동부와 대향하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전류가 상기 코일에 인가되면 상기 코일과 작용하여 진동하는 제 2 진동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진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진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
    상기 제 1 진동부의 타측 부위와 상기 제 2 진동부의 타측 부위 사이의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부의 타측 부위가 소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가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 진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스토퍼인 듀얼 모드 진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대향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부의 타측 부위는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부의 내측으로 각각 함몰된 듀얼 모드 진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부가 진동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부의 함몰부 속으로 상기 스토퍼가 각각 삽입되는 듀얼 모드 진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완충제로 마련된 듀얼 모드 진동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부와 각각 대향하는 상기 스토퍼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완충제가 각각 결합된 듀얼 모드 진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부는 상호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며 일측이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에 각각 지지된 제 1 및 제 2 웨이트, 제 1 및 제 2 웨이트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코일과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트를 각각 진동시키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트에 각각 결합된 제 1 및 제 2 요크를 각각 포함하는 듀얼 모드 진동기.
KR1020090048576A 2009-06-02 2009-06-02 듀얼 모드 진동기 KR10102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576A KR101028498B1 (ko) 2009-06-02 2009-06-02 듀얼 모드 진동기
US12/792,425 US8461969B2 (en) 2009-06-02 2010-06-02 Dual mode vibrator
CN201010189896.4A CN101908815B (zh) 2009-06-02 2010-06-02 双模振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576A KR101028498B1 (ko) 2009-06-02 2009-06-02 듀얼 모드 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954A true KR20100129954A (ko) 2010-12-10
KR101028498B1 KR101028498B1 (ko) 2011-04-11

Family

ID=4350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576A KR101028498B1 (ko) 2009-06-02 2009-06-02 듀얼 모드 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093B1 (ko) * 2011-07-27 2018-06-07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KR102049343B1 (ko) * 2019-06-07 2019-11-27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79B1 (ko) * 2013-02-14 2014-08-20 주식회사 예일전자 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95A (ja) * 1996-06-28 1998-01-16 Sanyo Electric Co Ltd 報知用振動発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093B1 (ko) * 2011-07-27 2018-06-07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KR102049343B1 (ko) * 2019-06-07 2019-11-27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498B1 (ko) 201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8827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10596595B2 (en) Vibration motor
US10158277B2 (en) Haptic actuator
US9614425B2 (en) Fast-response horizontal vibration micro motor
KR101803809B1 (ko) 선형 진동자
US9815085B2 (en) Haptic actuator
US10447129B2 (en) Vibration motor
KR101188055B1 (ko) 진동발생장치
US20180297078A1 (en) Vibration motor
US8492938B2 (en) Linear vibration device
US8461969B2 (en) Dual mode vibrator
CN103056096A (zh) 直线振动器
US20110260560A1 (en) Linear vibrator having broadband
JP6010080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20130042757A (ko) 선형 진동자
KR101478992B1 (ko) 수평 진동 모터
CN111082630B (zh) 一种振动装置
US10257614B2 (en)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KR101434264B1 (ko) 햅틱 엑추에이터
US20130033126A1 (en) Linear vibration device
CN105245080A (zh) 振动电机
KR20210032776A (ko) 수평형 리니어 진동발생장치
KR20210088041A (ko) 수평형 리니어 진동발생장치
KR101028498B1 (ko) 듀얼 모드 진동기
KR20120121284A (ko) 수직 진동형 사각 리니어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