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388A -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388A
KR20100129388A KR20090047923A KR20090047923A KR20100129388A KR 20100129388 A KR20100129388 A KR 20100129388A KR 20090047923 A KR20090047923 A KR 20090047923A KR 20090047923 A KR20090047923 A KR 20090047923A KR 20100129388 A KR20100129388 A KR 20100129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t
sludge
dam
manufacturing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4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상
Original Assignee
박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상 filed Critical 박우상
Priority to KR2009004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9388A/ko
Publication of KR2010012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Abstract

본 발명은 댐슬러지(수저퇴적물)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조달이 용이한 천연 유기물원인 동시에 각종 미네랄과 자연발효 미생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댐슬러지를 이용하여 그린 1급의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은 댐슬러지 60~65%, 탈지강 20~25%, 부숙겨 5~10%, 미생물제 5%를 성분비율로 하는 원료를 원료배합공정(1)에서 투입하여 배합한 후, 직선교반식 퇴비발효공정(2)에서 각 15~21일간 원료를 1일 1~2회씩 동력으로 뒤집어 주면서 발효(부숙) 및 건조를(수분 40%이하) 시킨 후 대립자 혹은 불순물 등을 선별하는 선별공정(3)과 선별된 대립자를 분쇄시켜 주는 분쇄공정(4)을 거쳐 그린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은 댐슬러지를 주원료로 하고 동시에 타 유기물원을 혼합하여 비료성분도 높이기 때문에, 슬러지의 특성상 난분해성 물질이 적으므로 부숙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유기물 함량이 높은 그린 퇴비를 제조함으로써, 저가이면서도 우수한 품질의 퇴비를 농가에 공급할 수 있다.
댐슬러지 , 퇴비 , 비료 , 제조방법

Description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MANURE MAKE USE OF FIRST CLASS SLUDGE IN DAM}
본 발명은 댐의 수저에 퇴적되어 있는 댐슬러지를 이용하여 그린1급의 퇴비를 생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댐은 주지된 바와 같이 물의 흐름을 제한하고 관리하기 위해 시내·강, 혹은 강 하구를 가로질러 건설한 방벽을 말하며, 식수원·관개·홍수조절·전력생산 등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의 연간 강수량은 세계 평균(973㎜) 보다 많은 1,283㎜이다. 그러나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1인당 강수량은 세계 평균의 12%에 불과한 2,705㎥이다. 특히 연도별, 지역별, 계절별 차이가 심해 물 관리가 매우 어려운 형편이다.
연간 내리는 비 1,276억㎥ 중 증발되는 양(548억㎥)을 제외하고 하천으로 흘러가는 물의 양은 728억㎥. 이 중 31%인 395억㎥는 그대로 바다로 유출된다.
그래서 수자원의 안정적 확보와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계속해서 댐이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댐은 상수원지역의 광활한 면적을 가로막아 방대한 양의 물을 담기 때문에, 댐이 위치한 지역적·계절적 특성과 주변 삼림의 수종·소밀정도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상류로부터 토양이나 나무 등 각종 침전물이 대량으로 유입되어 댐의 수저에 퇴적됨으로써 슬러지(수저퇴적물,이하 '댐슬러지'라 칭함)를 형성한다.
댐에 담수된 물은 4℃에서 가장 무겁기 때문에 성층현상이 뚜렷이 나타나 수저에 퇴적되어 있는 댐슬러지가 담수와 섞이지 않고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 있게 되지만, 봄과 가을이 되면 수온이 올라가 성층현상이 깨지면서 저층에 있는 슬러지 등이 부상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수원인 댐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댐슬러지로 인하여 악화된 수질은 함수율이 높은 댐슬러지로 인하여 정수장에서 처리하기 어려워 해당 지방자치단체는 많은 예산을 들여 댐슬러지를 수거·매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댐슬러지의 재이용에 관한 연구가 각처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도 댐슬러지의 재이용에 관한 연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정지역 상수원 댐의 바닥에 적체된 슬러지는 침적된 적토와 미생물군등을 함유한 점질성의 물질로 쌓여 있으며 이에는 천연 미네랄을 비롯하여 다량의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수거 건조 후 가축이나 동물의 발효사료 혹은 토양과 작물의 유기물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료관리법에서 퇴비라 함은 비료생산업 시설기타 등록기준의 발효시설 또는 분쇄장치 등 생산시설을 갖추고 공정규격에서 정하는 사용가능한 원료 및 사전분석검토후 사용가능한 원료를 이용하여 비료공정규격에 부합되도록 제품화한 것을 말한다.
통념상 퇴비라 함은 재래식 두엄 또는 초목회를 근간으로 하여 짚, 풀, 낙엽, 톱밥, 가축분, 양질의 유기물과 같은 신선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증식과 활동에 좋은 조건을 만들어 퇴적하여 부숙시킨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는 기존의 퇴비에 비해 유기물함량이 높은 그린1급의 퇴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중금속 함량이 낮은 퇴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번째 과제는 퇴비 생산 공정시의 부숙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네번째 과제는 저가이면서도 우수한 품질의 퇴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은,
댐슬러지 60~65%, 탈지강 20~25%, 부숙겨 5~10%, 미생물제 5%를 성분비율로 하는 원료를 원료배합공정(1)에서 투입하여 배합한 후, 직선교반식 퇴비발효공정(2)에서 각 15~21일간 원료를 1일 1~2회씩 동력으로 뒤집어 주면서 발효(부숙) 및 건조를(수분 40%이하) 시킨 후 대립자 혹은 불순물 등을 선별하는 선별공정(3)과 선별된 대립자를 분쇄시켜 주는 분쇄공정(4)을 거쳐 그린1급 퇴비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은 댐의 수저에 대량으로 적체된 댐슬러지를 주원료로 하고 동시에 타 유기물원을 혼합하여 비료성분도 높이기 때문에, 슬러지의 특성상 난분해성 물질이 적으므로 부숙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중금속 함량이 낮고 유기물 함량이 높은 그린1급 퇴비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가이면서도 우수한 품질의 퇴비를 농가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을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은 댐슬러지 60~65%, 탈지강 20~25%, 부숙겨 5~10%, 미생물제 5%를 성분비율로 하는 원료를 원료배합공정(1)에서 투입하여 배합한 후, 직선교반식 퇴비발효공정(2)에서 각 15~21일간 원료를 1일 1~2회씩 동력으로 뒤집어 주면서 발효(부숙) 및 건조를(수분 40%이하) 시킨 후 대립자 혹은 불순물 등을 선별하는 선별공정(3)과 선별된 대립자를 분쇄시켜 주는 분쇄공정(4)을 거쳐 그린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비료관리법에서 퇴비라 함은 비료생산업 시설기타 등록기준의 발효시설 또는 분쇄장치 등 생산시설을 갖추고 공정규격에서 정하는 사용가능한 원료 및 사전분석검토후 사용가능한 원료를 이용하여 비료공정규격에 부합되도록 제품화한 것을 말한다.
통념상 퇴비라 함은 재래식 두엄 또는 초목회를 근간으로 하여 짚, 풀, 낙엽, 톱밥, 가축분, 양질의 유기물과 같은 신선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증식 과 활동에 좋은 조건을 만들어 퇴적하여 부숙시킨 것을 말한다.
비료공정규격상 퇴비는 일반퇴비와 2002년 신설된 그린1급퇴비 2가지 종류가 있다. 이중에서 그린1급 퇴비의 공정규격은 표1과 같다.
함유하여야할 주성분의 최소량(%) 함유할 수 있는 유해성분의 최대량(%)
기타규격

비 고



유기물 40


비소 25 mg/kg
카드뮴 2.5 mg/kg
수은 1 mg/kg
납 75 mg/kg
크롬 150 mg/kg
구리 200 mg/kg
니켈 25 mg/kg
아연 500 mg/kg


*유기물대질소의 비 40이하인 것
*염분(NaCl)1.0%이하
*수분 (H2O) 45%이하

* 별표1의 사용가능한 원료
* 부숙도 측정을 위하여 자가발열온도측정법 또는 유식물검정법을 병행하여 검토할 수 있다.
[ #. 별표 1.
비료관리법상에서 정한 원료 사용에 대한 구분을 보면, 퇴비 원료로 사용 가능한 물질과 사용 불가능한 물질로 나누고 있고 (1)사용 가능한 원료로는 ①농림부산물인 짚류, 왕겨, 미강, 녹비, 농작물잔사, 낙엽, 수피, 톱밥, 목편, 부엽토, 야생초, 폐사료, 한약찌꺼기, 이탄, 토탄, 갈탄, 깻묵류 및 기타 유사 물질 포함(도료에 처리되었거나 합판공장의 MDF 등 화학물질에 처리된 폐목재는 제외) ②수산부산물인 어분, 어묵찌꺼기, 해초찌꺼기, 게껍질, 해산물 도매 및 소매장 부산물포함(폐수처리오니 제외) ③인,축분뇨 등 동물의 분뇨(인분뇨처리잔사,구비,우분뇨,돈분뇨,계분,기타동물의 분뇨) ④음식물류 폐기물 ⑤식료품제조업, 유통업,또는 판매업에서 발생하는 동?식물성잔재물(도축, 고기가공 및 저장, 낙농업, 과실 및 야채, 통조림 및 저장가공, 동식물 유지류 빵 제품 및 국수, 설탕 및 과자, 배합사료, 조미료, 두부 및 기타)(폐수처리오니 제외) ⑥음료품 및 담배 제조업에서 발생하는 동식물성잔재물(주정, 소주, 인삼주, 증류주, 약주 및 탁주, 청주, 포도주, 맥주, 청량음료, 담배제조업 및 기타)-(폐수처리오니 제외)로 되어있다.(2)사전 분석 검토 후 사용 가능한 원료로는 ①식료품제조 및 판매업(수산포함)에서 발생하는 폐수처리오니 ②음료품 및 담배제조업에서 발생하는 폐수처리오니 ③종이 제조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 ④읍, 면단위 농어촌지역 생활하수오니 ⑤제약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로 물리적 추출, 발효 단순 혼합, 무균 조작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한함 ⑥화장품 제조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 ⑦기타 비료 원료로 활용가치가 있는 물질로 되어 있는데 이를 퇴비의 원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자는 폐수처리공정에 첨가되는 물질의 종류 특성과 오니 중 이화학적 성분, 재료의 토양 오염 및 분해성의 자료를 농업과학기술원장이 검토한 후 지정 고시토록 되어 있다. 합성 및 특수의약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처리오니는 제외토록 되어있다.(3)사용이 불가능한 원료로는 ①산업용 화합물 제조업 및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 ②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조업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 ③제1차 금속제조업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 ④조립 금속 제품, 기계 및 장비 제조업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 ⑤석유 제조 및 정제업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 ⑥가죽 및 모피제품 제조업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 ⑦비금속 광물 제품 제조업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 ⑧육상 운수 및 자동차 부산물과 폐수처리오니 ⑨수선업 및 세탁업 부산물과 폐수처리오니 ⑩인쇄, 출판 및 사진처리업 부산물과 폐수처리오니 ⑪전기업 부산물 및 폐수처리오니 ⑫도시 및 공단지역 폐수처리오니 ⑬기타사용 불가로 명시된 폐기물과 유사한 물질도 포함이라고 되어있다. ]
그린 1급퇴비는 기존 퇴비보다 유기물함량이 높고(기존 25%) 또한 유해성분위 허용치도 절반으로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린1급 퇴비는 유기물원이 충분하고 중금속 함량도 낮은 우수한 원료를 사용하여야 생산이 가능한 퇴비이다.
댐슬러지는 수분이 1%가 되도록 건조 시,
60%이상이 유기물이고, 20% 정도는 미생물群으로 유기질/질소비가 50%이하이고, 비소, 카드뮴, 수은, 납, 크롬, 구리 등의 함량은 각각 퇴비 공정규격이내이다.
(댐슬러지 중 미생물군은 토양개량과 관련된 Bacillus속과 유기물 분해촉진에 관여하는 Pseudomonas속과 Azotobacter속 광합성세균, Aspergillus속 등이 있으며 이들 미생물은 퇴적되는 유기물원의 분해에 관여해 퇴적물질의 부식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 )
* 댐슬러지의 성분 (성분은 dry base) 단위 : mg/kg
유기물/질소 비소 카드뮴 수은 크롬 구리 니켈 아연
6.3~22.5 0.6~5.1 불검출 불검출 0.5~19.6 불검출 0.3~13.6 0.4~35 36~114
퇴비는 다량의 유기물과 소량의 각종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어 작물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및 미생물성을 개량하므로 매우 유용한 비료로 알려져 있다. 그와 더불어 최근에는 3요소(질소, 인산, 가리)에 대해서도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 질소는 대부분이 지효성이나 잘 부숙된 퇴비는 속효성이다. 인산은 작물에 매우 이용되기 쉬우며 가리의 대부분은 야간이나 물에 잘 녹는 형태로서 그 효과도 속효성이다.
유기질원 중에도 식물성粕을 비롯한 동물성粕류가 다량 있으나 이들은 퇴비와 다른 유기질비료로 구분이 되어 있어 퇴비의 원료로는 사용량이 많지 않다. 따라서 3요소의 중요성이 퇴비에서도 중요시 되고 있는 추세에 맞춰 본 그린퇴비 제조에도 유기질비료 원료인 미강유박(탈지강)을 혼합사용한다.
미강유박(탈지강)은 정미공장에서 나오는 쌀겨에 포함된 약 15-20%의 OIL성분을 압착법 혹은 추출법에 의해 채유하여(현미유)난 순수한 찌꺼기(粕)을 말한다. 주요 특성은 일반화학비료보다 완효성. 지효성이며 밑거름으로 적합하여 질소, 인산, 가리 성분이 다량 들어있어 혼합유기질비료의 원료로 사용된다.
* 미강유박의 공정 규격.
질소 전량 인산 전량 가리 전량 비 고
2%이상 4%이상 1 이상
* 실제 미강유박의 분석결과.
질소전량 인산전량 가리전량 유기물 수 분 염 분 C/N
2.57% 4.96% 2.17% 76.58% 11.71% 0.10% 22
비소 카드뮴 수은 크롬 구리 니켈 아연
- - - 7 4 8 7 64
mg/kg...........................................................
부숙겨는 도정과정에서 생산된 겨를 70%이상 사용하여 부숙한 것으로 유기물 25%이상 유기물대 질소의 비 50이하 기타 유해성분 8성분의 공정규격을 갖춰야 한다.
* 부숙겨의 공정규격.
유기물 C/N율
25%이상 50이하
유기물 C/N율 수분
25% 12.8 10%
비소 카드뮴 수은 크롬 구리 니켈 아연
- - - 8 5 9 7 66
퇴비화 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크게 세균(Bacteria)와 사상균(Fungi)와 Actinomycetes균이 관여한다. 퇴비의 초기화 단계에서는 중온성인 세균과 사상균이 유기물 분해에 관여하며 유기물이 분해하면서 퇴비온도가 40℃이상 상승하면 중온성균은 고온성균으로 대체된다. 고온단계에서 50-60℃이상 지속이 되면서 당, 단백질, 전분, 헤미셀룰로스, 셀룰로스, 리그닌 등이 차례로 분해되며 C/N율도 안정된 상태로 낮아지게 된다. 고온성 퇴비화 전반기에는 Bacteria계통이, 후반기에는 Themoacetomyces 와 같은 방선균이 주로 역할을 하게 된다.
시판되는 미생물제는 주로 용도에 따라 구분이 되는데 토양개량을 위한 미생물은 주로 표 2와 같이 구분된다.
용 도 관련미생물
토 양 개 량 Bacillus속, Clostridium속, Azotobacter속, Rhizobium속
병 해 방 제 Pseudomonas속, Bacillus속 등
유기물분해촉진 Pseudomonas속, Streptomycetes속, Bacillus속, Clostridium속
생 육 촉 진 광합성세균, 내열성방선균, Pseudomonas속 등
병해충방제 Bacillus속, Pasteuria속
제 초 Epicoccosorus 속
본 발명에 사용하고자 하는 미생물제의 미생물 종류는 Bacillus속 4종, Azotobacter, Rhizobium, Clostridium속 2종, Pseudomonas속 2종을 함유하는 토양미생물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조달이 용이한 천연 유기물원인 동시에 각종 미네랄과 자연발효 미생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댐슬러지를 주원료로 하고 동시에 타 유기물원을 혼합하여 비료성분도 높이고, 슬러지의 특성상 난분해성 물질이 적으므로 부숙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유기물 함량이 높은 그린 퇴비를 제조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저가이며 우수한 품질의 퇴비를 농가에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천연자원의 발굴과 그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퇴비 원료의 선택은 제조된 퇴비의 품질에 직접 영향을 끼치므로 많은 주의가 요구되었다. 과거에는 녹비, 구비 혹은 재래식 두엄 등 자가 퇴비를 사용하였으나 퇴비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농립부산물류, 수산부산물, 인.축분뇨, 음식물폐기물, 식료품제조업.유통업 또는 판매업에서 발생하는 동식물의 잔재물 및 담배 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잔재물 등 다양한 원료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원료를 사용시 비료성분 함량이 높고 염분과 중금속 등 유해성분이 함유될 가능성이 높아 염류집적과 비해가 제기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정지역인 상수원 공급댐(임하댐, 안동댐)에서 나오는 풍부하고 깨끗한 천연원료를 사용하여 그린퇴비의 공정규격을 부합시키고 슬러지 자체에 포함된 유익한 미생물들의 활동으로 탄질율을 높여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및 미생물성을 개량할 수 있는 양질의 퇴비생산과 더불어 저가의 공급성, 물량공급의 원활화 등을 위해 댐슬러지를 그린퇴비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퇴비의 개발 및 생산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원료배합공정은(1) 각 원부재료의 배합비율을 정확히 계량하여 공정규격에 적합한 그린퇴비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으로 각 원료별로 비율별 량을 계량하여 혼합된 원료를 배합기내에서 배합하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수분이 60-70% 정도의 댐슬러지는 탈지강과 부숙겨 등과 혼합되면서 수분을 조절되어 퇴비발효공정(2)으로 옮겨진다. 탈지강은 N,P,K함량이 7% 이상인 유기질원이며 부숙겨는 1차 부숙 과정을 거친 재료를 사용한다. 미생물제는 토양미생물제제로 유기물의 부식을 돕고 토양에 이로운 균주와 유해병원균 등을 박멸할 수 있는 혐기성 및 호기성균이 10종 이상 함유된 미생물 집합체이다.
퇴비발효공정(2)은 직선교반식 퇴비발효장치로 일정크기(길이38-90M, 폭 8-10M, 높이 1M)의 퇴비발효장치로 매일 원료가 투입되면 퇴비더미를 교반기에 의해 직선으로 교반시키면서 발효가 되도록 한 장치로 일 1-2회 왕복 교반에 의해 투입구의 원료들이 약 15-21일정도 발효장치 출구로 이동을 하면서 부숙과정을 거치게 된다.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발효장치 하단에 설치된 통풍장치로 온도 조절을 하게 되어 발효시 고온으로 인한 미생물의 활동을 조절해주어 정상적인 발효과정을 거치게 한다.
퇴비화 방법에는 주로 퇴적방식과 교반방식으로 구분된다. 퇴적식은 퇴비원료를 충진하고 인위적으로 뒤집기를 할 수 있는 기계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방식으로 바닥에 공기공급을 위한 통기장치를 설치한 형태로 시설규모의 확장이 가능하고 별도의 교반시설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으나 퇴비더미를 교반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와 외부의 부숙도의 차이가 생기며 특히 공기와 직접 접촉된 하부는 부숙이 완료되기 전에 건조되어 부숙이 일정하지 못하다.
반면 본 발명에 사용할 교반방식인 직선교반식 퇴비화 장치는 대규모 퇴비시설에 적합하며 생산규모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퇴비발효조 길이는 38-90m폭 2m, 높이 1m범위로 설치하고 바닥은 통기구를 설치한다. 퇴비더미는 교반기를 설치하여 퇴비단 뒤집기와 매일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퇴비원료는 매일 투입구에 투입하면 교반기에 의해 이동되어 15-20일 정도에 1차 부숙이 완료되도록 고안되었다. 이 장치는 대규모 퇴비생산이 가능하고 퇴비의 부숙이 고르다.
상기 발효공정(2)을 거친 후에는 좌우 회전형 선별기로 이송되어 대립자를 선별하는 선별공정(3)을 거친다. 선별기 내부에는 직경 5mm의 망(screen)이 설치되어 있어 대립자는 별도로 대립자 분쇄기를 거쳐 다시 선별기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는 원료의 고른 분포를 위해 한 곳으로 뭉쳐진 대립자를 파쇄시킴으로서 미생물의 고른 활동과 성분의 치우침 현상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별공정을(3) 거친 다음에는 후숙을 위해 일정기간 적치하여 마지막 후숙공정을(4)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퇴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유기물원으로 비료성분이 다량 함유되고 유기물함량이 높은 탈지강을 사용하여 비료성분이 함유된 그린퇴비를 제조하는 것이다. 탈지강에는 n,p,k함량이 7%이상이고 유기물함량이 75%이상으로 쌀겨에서 분리된 미강에서 자체 함유된 유분을(유지성분) 제거한 순수한 박으로 혼합유기질비료의 원료로 사용되어지며 유분을 15-20% 함유한 미강 자체로는 유기물원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탈지강의 자체 수분함량은 10-13%로 수분이 많은 댐슬러지의 수분 조절 역할도 할 수 있다. 그린 퇴비는 일반퇴비와 구분되게 탄질율 및 유해성분, 수분함량의 기준을 낮게 정하여 품질을 일반퇴비보다 강화한 것으로 청정 수저퇴적물인 댐슬러지에 탈지강을 부원료로 사용하여 격상된 그린 퇴비를 제조함을 기준으로 한다.
*그린퇴비의 공정규격.
항 목 유기물 비소 카드뮴 수은 크롬 구리 니켈 아연 C/N 염분 수분
성 분 40 ↑ 25 ↓ 2.5 ↓ 1 ↓ 75 ↓ 150 ↓ 200 ↓ 25 ↓ 500 ↓ 40 ↓ 1% 45%
mg/kg...............................................................
* 댐슬러지의 성분분석표.
항 목 유기물 비소 카드뮴 수은 크롬 구리 니켈 아연 C/N 염분 수분
성 분 60% 2.8 - - 10 - 7 18 75 14 0.1% 60%
* 실시예 1. 댐슬러지만을 사용하여 그린퇴비 제조시.
항 목 유기물 비소 카드뮴 수은 크롬 구리 니켈 아연 C/N 염분 수분
성 분 60% 2.8 - - 10 - 7 17 75 14 0.1% 60%
* 실시예 2. 댐슬러지와 미강유박+부숙겨를 사용하여 그린퇴비 제조시.
항 목 유기물 비소 카드뮴 수은 크롬 구리 니켈 아연 C/N 염분 수분
성 분 57% 1.6 - - 3.2 1.5 7.1 12.7 67.6 15.2 0.1% 40%
도 1 은 본 발명인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원료 배합공정.
2 : 퇴비 발효공정.
3 : 선별공정.
4 : 후숙공정.

Claims (3)

  1. 퇴비 제조방법에 있어서,
    댐슬러지 60~65%, 탈지강 20~25%, 부숙겨 5~10%, 미생물제 5%를 성분비율로 하는 원료를 원료배합공정(1)에서 투입하여 배합한 후, 직선교반식 퇴비발효공정(2)에서 각 15~21일간 원료를 1일 1~2회씩 동력으로 뒤집어 주면서 발효(부숙) 및 건조를(수분 40%이하) 시킨 후 대립자 혹은 불순물 등을 선별하는 선별공정(3)과 선별된 대립자를 분쇄시켜 주는 분쇄공정(4)을 거쳐 그린퇴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
  2. 청구 1항에 있어서,
    퇴비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는 댐슬러지 60~65%, 탈지강 20~25%, 부숙겨 5~10%, 미생물제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
  3. 청구 1항에 있어서,
    퇴비제조에 사용되는 미생물제는 Bacillus속 4종, Azotobacter, Rhizobium, Clostridium속 2종, Pseudomonas속 2종을 함유하는 토양미생물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
KR20090047923A 2009-06-01 2009-06-01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 KR20100129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7923A KR20100129388A (ko) 2009-06-01 2009-06-01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7923A KR20100129388A (ko) 2009-06-01 2009-06-01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388A true KR20100129388A (ko) 2010-12-09

Family

ID=4350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47923A KR20100129388A (ko) 2009-06-01 2009-06-01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93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1505A (zh) * 2014-08-27 2014-12-17 武汉瑞泽园生物环保科技有限公司 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5057342A (zh) * 2015-09-01 2015-11-18 钱作虎 一种金属铁酸化处理后残留污泥制备植被用土的方法
CN107641049A (zh) * 2017-09-22 2018-01-30 济南润丰伟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修复土壤重金属污染的微生物发酵有机肥
CN108947164A (zh) * 2016-01-22 2018-12-07 浙江佳净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微生物制剂的应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1505A (zh) * 2014-08-27 2014-12-17 武汉瑞泽园生物环保科技有限公司 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5057342A (zh) * 2015-09-01 2015-11-18 钱作虎 一种金属铁酸化处理后残留污泥制备植被用土的方法
CN108947164A (zh) * 2016-01-22 2018-12-07 浙江佳净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微生物制剂的应用方法
CN107641049A (zh) * 2017-09-22 2018-01-30 济南润丰伟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修复土壤重金属污染的微生物发酵有机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Corato Agricultural waste recycling in horticultural intensive farming systems by on-farm composting and compost-based tea application improves soil quality and plant health: A review under the perspective of a circular economy
Wang et al. Maturity indices for composted dairy and pig manures
Hashemimajd et al. Comparison of vermicompost and composts as potting media for growth of tomatoes
CN103626610B (zh) 一种竹炭生物有机肥及其生产方法
O'Brien et al. Integrating anaerobic co-digestion of dairy manure and food waste with cultivation of edible mushrooms for nutrient recovery
Arvanitoyannis et al. Current and potential uses of composted olive oil waste
Parthasarathi et al. Potential of Perionyx excavatus (Perrier) in lignocellulosic solid waste management and quality vermifertilizer production for soil health
Michailides et al. Composting of olive leaves and pomace from a three-phase olive mill plant
Chang et al.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organic fertilizers on the chemical properties and enzymatic activities of an Oxisol under intensive cultivation of vegetables for 4 years
Abul-Soud et al. The potential use of vermicompost in soilless culture for producing strawberry
Águila Juárez et al. Vermicomposting as a process to stabilize organic waste and sewage sludge as an apllication for soil
CN105198566A (zh) 一种功能型生态肥料及其制备方法
Urra et al. Impact of the application of commercial and farm-made fermented liquid organic amendments on corn yield and soil quality
Christel The use of bokashi as a soil fertility amendment in organic spinach cultivation
CN105565959A (zh) 修复土壤生态系统有机肥
Brtnicky et al. Effect of digestates derived from the fermentation of maize-legume intercropped culture and maize monoculture application on soil properties and plant biomass production
Shaaban et al. Toward three R’s agricultural waste in MENA: Reduce, reuse, and recycle
Begum et al. Potential of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as compost and its effect on soil and plant properties: A review
Ciavatta et al. Compost production, analysis and applications in agriculture
KR20100129388A (ko) 댐슬러지를 이용한 그린1급 퇴비의 제조방법
da Silva et al. Potential of vermicomposting with mixtures of animal manure and vegetable leaves in the development of Eisenia foetida, microbial biomass, and enzymatic activity under semi-arid conditions
Arancon et al. Vermiculture in greenhouse plants, field crop production, and hydroponics
CN110015916A (zh) 免脱油、免脱盐、免干燥的餐厨垃圾蚯蚓堆肥处理方法
Elnasikh et al. Potentiality of organic manures in supporting sustainable agriculture in Sudan
Hassen et al. Processes of Valorization and Management of Olive By-Products: The Pomace and Olive Mill Waste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