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500A - Sensor-type water-saving toilet with removable rechargeable battery - Google Patents
Sensor-type water-saving toilet with removable rechargeable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7500A KR20100127500A KR1020090045973A KR20090045973A KR20100127500A KR 20100127500 A KR20100127500 A KR 20100127500A KR 1020090045973 A KR1020090045973 A KR 1020090045973A KR 20090045973 A KR20090045973 A KR 20090045973A KR 20100127500 A KR20100127500 A KR 201001275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toilet
- water
- rechargeable battery
- stopp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4 water-saving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2—Twin or multiple flushing cister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2001/147—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having provisions for active interruption of flush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센서에 대한 전원 공급을 탈부착이 가능한 충전지 및 상기 충전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광판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made to the power supply to the sensor via a removable rechargeable battery and a light collecting plate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우선 집광판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센서에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지가 양변기 또는 벽면 또는 센서 등의 대상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단자 접속 불량과 같은 문제 발생시 간편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탈부착식 충전지가 구비된 센서식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First of all,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by using a light collecting plate, and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 sensor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an object such as a toilet, a wall, or a sensor, so that easy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in case of problems such as poor terminal connection. The sensor type water-saving toilet with a rechargeable battery,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수구와,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안착부와, 상기 출수구를 개폐시키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포함한 저수조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In a toilet comprising a water outlet including a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a seating part on which the user is seated, a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outlet, and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topper,
대소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와,A sensor for judging urine
상기 센서 감지에 의한 전자적 신호를 수령한 후 상기 이동수단에 전달하여 상기 출수구에 대한 마개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그리고A microcomputer that receives the electronic signal by the sensor detection and transfers the electronic signal to the moving unit to control whether the stopper is opened or closed to the outlet;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충전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battery is made of a rechargeable battery made to be detachable to the objec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센서 감지에 의해 대소변 여부가 판단되어 대변용 세척수 내지 소변용 세척수를 출수하게 되는 센서식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type water-saving toilet that is determined whether the feces by the sensor detection is to discharge the fecal washing water to the urine washing water,
상기 센서에 대한 전원 공급을 탈부착이 가능한 충전지 및 상기 충전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광판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The power supply to the sensor is made through a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and a light collecting plate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우선 집광판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센서에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지가 양변기 또는 벽면 또는 센서 등의 대상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한 탈부착식 충전지가 구비된 센서식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First,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by using a light collecting plate, and a sensor-type water-saving toilet equipped with a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by allowing a rechargeable battery for power supply to a sensor to be detachable to an object such as a toilet or a wall or a sensor. It is about.
현대 문명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과 가깝게 위치한 화장실 문화도 향상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화장실의 시설 또한 위생적이면서 실용적으로 개량되고 있다. As modern civilization develops, the toilet culture located close to our life is also improving, and the facilities of the toilet are being improved as well as sanitary and practical.
특히 공기와 더불어 인간 생활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물을 다루는 기술은 그 중요성이 어떤 산업분야에 뒤지지 않는다. 20세기의 석유 쟁탈전보다 더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21세기 수자원 확보 전쟁 가능성까지 예견되는 상황에서 절수 기술 의 개발과 보급은 시급한 국가 정책과제라고 할 것이다.In particular, the technology of handling water,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human life together with air, is indispensable to any industrial field. In the foreseeable future of the 21st century water resources war, which is expected to be more intense than the oil war in the 20th century,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water-saving technology is an urgent national policy task.
이에 맞추어 다양한 방식으로 절수형 양변기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고, Accordingly, water-saving toilet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좌변기는 배관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조(1)와, 배설물을 배출하는 배출부(2)와, 배출부의 개방부를 덮는 덮개부(3)와, 그리고 덮개부와 배출부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착부(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조의 정면이나 측면에는 레버가 형성되고, 레버의 회전에 의해 배출부에 수용되어 있는 배설물, 즉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은 배출부의 하부에 연결된 배수구(미도시)로 배출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left toilet includes a
또한 상기 저수조(1)의 구성을 살펴보면, Also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reservoir (1),
상기 저수조 내부에는 상기 배출부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수구(O)와,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출수구를 개폐시키는 마개(P)와, 상기 마개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 즉 레버와, 그리고 상기 마개의 작동 여부와 세척수의 배출 등에 따라 저수조 내부로 새로운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부구가 부착되어 있는 필밸브(B)로 이루어진다.Inside the reservoir is a water outlet (O)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to the discharge portion, a stopper (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outlet by moving up and down,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topper, the lever, and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It is composed of a fill valve (B) attached to the mouth to supply a new wash water into the reservoir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nd the discharge of the wash water.
다음으로 안착부(4)는 배출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안착부의 일부분에는 배출부의 일측 단부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안착부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하게 된다.Next, the
그리고 덮개부(3)는 안착부의 상면 즉 배출구의 개방부를 덮는 것으로 안착 부와 함께 배출부의 일측 단부와 힌지로 결합되어 있어 안착부와 마찬가지로 힌지에 형성된 회전핀을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한다.In addition, the
남성이든 여성이든 대소변을 본 후 레버를 조작하여 배출물을 배출시키게되는데 최근 선보이고 있는 절수형 양변기에서는 저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쉬밸브부의 구성이나 프레쉬밸브부와 레버를 연계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공기투입 내지 저수조 내부로의 압력을 변화시켜 대소변에 따라 배출되는 세척수 량을 조절하는 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는데, Whether it is a man or a woman, after watching the urine, the lever is operated to discharge the discharge. In the recently introduced water-saving toilet, the composition of the fresh valve unit installed in the reservoir or the fresh valve unit and the lever are connected or separate air input or The technology to control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by urine by changing the pressure inside the reservoir,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11536호(2000.11.13)『양변기 절수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71552호(2002.03.29)『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 장치』, 공개특허 제2001-18931호(2001.03.15)『전자식 자동출수조절 시스템을 구비한 좌변기』, 등록특허 제809036호(2008.02.25)『대소변 구별이 가능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등이 개시되어 있다.Related arts related thereto includ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11536 (Nov. 13, 2000), `` Toilet toilet water saving device '',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71552 (2002.03.29), `` Toilet toilet, urine classification water saving device '', Patent Application No. 2001- Patent No. 18931 (2001.03.15) "Left toilet equipped with an automatic automatic discharge control system", Patent No. 809036 (2008.02.25) "Drainage control device for toilets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oilets,"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현재 개발되고 있는 양변기용 절수 시스템 내지 절수 장치들은 모두 구성 자체가 복잡하고,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구성을 별도 구입하여 새로운 양변기를 제조해야하는 것이고 기존 양변기에서의 적용 자체는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는 것들이다.However, as can be seen in the prior art, all of the water-saving systems or water-saving devices for the toilets currently being developed are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for this purpose, a new toilet should be manufactured by separately purchasing a new configuration, and the application itself in the existing toilet is There are limitations that are impossible.
특히, 등록특허 제809036호는 출수구에 대한 프레쉬밸브부의 개폐시 저수조에 있는 세척수 모두가 출수되는 것이 아니라 소변에 의한 프레쉬밸브부의 개폐시 에는 일정 부분만 출수되고 일정부는 저수조에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여서 이후 작동되는 필밸브부와의 정교한 연계 작업이 필요하고 상기 작업이 정확히 진행되지 않는 경우 필요한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거나 필요한 세척수 이상이 공급되어 물넘침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어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Particularly, Patent No. 809036 discloses that not al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reservoir is discharg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fresh valve portion to the outlet, but only a portion is discharged when the fresh valve portion is opened and closed by urine, and a certain portion remains in the reservoir. If there is a need for elaborate linkage work with the operated fill valve unit and the work is not carried out correctly, the necessary washing water may not be supplied or more than the required washing water may be supplied, resulting in a water overflow phenomenon.
다음으로, 기존 개발되고 있는 양변기는 대소변 구별에 의한 절수 작동을 레버방식인 수동방식만이 아니라 자동 방식으로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는데, 자동 방식은 센서에 의한 감지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센서를 어떻게 작동시켜 대소변을 구별할 것인가가 관건이 되는 것이다.Next, the existing toilet is disclosed a technique for making the water-saving operation by distinguishing between small and urine toilet is not only the manual method of the lever method but also the automatic method, the automatic method is made by the detection of the sensor and the sensor The key is how to work and distinguish between urine and urine.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언급된 공개특허 제2001-18931호(2001.03.15)『전자식 자동출수조절 시스템을 구비한 좌변기』가 있으며,In this regard, there is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18931 (2001.03.15) `` Left toilet equipped with an automatic automatic water discharge control system, ''
공개특허 제2001-17700호(2001.06.15)『좌변기의 자동배수장치 및 그 방법』는 대소변에 의한 자동 선별은 아니나 센서에 의한 감지로 자동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2001-17700 (June 15, 2001) "Automatic drainage device and method thereof"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utomatic drainage is made by sensing by a sensor, but not by automatic urine.
그러나 상기한 구성들 모두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자동감지 방식과는 상이하고, 무엇보다 본 발명과 같은 방식의 세척수 출수 제어 구성은 전혀 개시 내지 시사하고 있지 못한 구성들이다.However,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different from the automatic detection method to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bove all, the washing water output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same method a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that has not been disclosed or suggested at all.
더욱이 센서에 대한 전원 공급 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된 바 없으나 통 상적으로는 센서 등과 같은 대상체에 일체로 장착되는 내장형 충전지 또는 전지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충전지 또는 전지에 대한 문제 발생 또는 수명이 다해 교체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충전지가 내장된 대상체 자체를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비용이 많이 만만치 않다는 등 유지·보수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고려될 수 있다.Moreover, there is no mention of power supply to the sensor, but in general, there are many cases of using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or a battery that is integrally mounted on an object such as a sensor. In case of need,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or repair the battery, such as the trouble of replacing the object itself with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cost thereof.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의 절수형 양변기의 문제점이나 한계점을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water-saving toilets,
첫째,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지를 장착함에 있어 내장형이 아닌 대상체에 탈부착식으로 장착되도록 하여 사용에 따른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irst, in order to install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it is to be attached to a non-built-in object detachably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and repair according to the use to obtain an economic effect.
뿐만 아니라, 상기 충전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한 집광판을 더 구비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더욱 부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In addition, by providing a light collecting plate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to further add an economic effect,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대소변 구별에 따른 세척수의 출수 제어 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기존 양변기에서도 저수조의 부품 일부만을 교체하는 작업으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 water-saving toilet that can provide economical effects in that it can be provided with a water discharge contro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toilets with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applied by replacing only a part of the water tank in the existing toilet. The purpose is to provide.
다음으로, 대변과 소변 여부를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고려한 센서로 감지하여 대변과 소변의 분리 출수가 이루어지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Nex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feces and urine with a sensor in consideration of a user's behavioral pattern, and to provide a water-saving toilet that separates feces and urin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수구와,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안착부와, 상기 출수구를 개폐시키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포함한 저수조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In a toilet comprising a water outlet including a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a seating part on which the user is seated, a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outlet, and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topper,
대소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와,A sensor for judging urine
상기 센서 감지에 의한 전자적 신호를 수령한 후 상기 이동수단에 전달하여 상기 출수구에 대한 마개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그리고A microcomputer that receives the electronic signal by the sensor detection and transfers the electronic signal to the moving unit to control whether the stopper is opened or closed to the outlet;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충전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battery is made of a rechargeable battery made to be detachable to the objec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양변기에는 상기 충전지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집광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collecting plate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is further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양변기에서 Also in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저수조의 내부 공간은 소변용 세척수 저장 공간과 대변용 세척수 저장을 위한 추가공간으로 분리구획시키기 위한 구획판이 구비되고,The inner space of the reservoir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plate for separating and partitioning into an additional space for the wash water storage space and urine wash water storage space,
상기 구획판에는 소변용 세척수 저장 공간과 대변용 세척수 저장을 위한 추가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홀이 더 구비되어 있어,The partition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urine washing water storage space and the additional space for the feces washing water storage,
상기 마개의 상하 이동 높낮이에 따른 상기 연통홀의 개폐여부에 의해 대소변용 세척수 출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urine wash water output is made by opening or closing the communication hol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height of the stopper.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양변기에 비해 세척수 사용에 따른 비용 절감 또는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과 같은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conomic effect such as a cost reduction due to the use of washing water or a cost reduction due to maintenance and repair compared to the existing toilet bowl.
보다 구체적으로는 More specifically
센서에 전원공급을 위한 충전지를 탈부착식 구조로 구비하고, 또한 상기한 충전지에는 집광판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였으며, The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is provided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is also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light collecting plate, thereby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대소변 구별에 따른 세척수의 출수 제어 구성을 기존의 정교하고도 복잡한 구성에서 탈피하여 간단하게 완성시킬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어 경제성을 높였으며, It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y completing the outflow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wash water according to the urine separation from the existing sophisticated and complicated configuration.
또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고려한 센서에 의한 제어로 대변과 소변 여부를 보다 정교하게 판단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절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의 경제성을 높였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control by the sensor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behavior pattern can be judged more accurately whether the stool and urin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conomic efficiency, such as can expect a water saving effec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흔히 볼 수 있는 양변기의 구성에 본 발명의 센서식 절수형 양변기의 구성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type water-saving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oilet commonly seen.
다만 기존의 양변기에 구비된 레버는 수동식으로 마개를 이동시키는 경우 필요한 구성인 것으로, 마개(P)가 센서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한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한 레버 구성은 마이컴(M)으로부터 작동 명령을 받아 마개를 이동시 키는 이동수단(T)으로 대체되게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수단은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레버와 솔레노이드밸브 구성을 모두 구비하여 수동 및 자동 조작이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lever provided in the existing toilet bowl is a configuration required when moving the stopper manu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stopper (P) is automatically moved by the sensor detection, the above-described lever configuration is operated command from the microcomputer (M) The receiving means is to be replaced by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topper (T), more preferably the moving means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olenoid valve. Of course, both the lever and the solenoid valve configuration can be provided to enable both manual and automatic operation.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양변기의 저수조(1) 내부는 도 1을 참조하면,As mentioned above, the inside of the
상기 배출부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수구(O)와, 상기 출수구를 개폐시키는 마개(P)와. 상기 마개(P)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한 이동수단(P)이 구비된다.An outlet (O)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to the discharge unit, and a stopper (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Moving means (P) including a solenoid valve is provided for moving the stopper (P).
그리고 양변기의 상부에는 센서(S1)가 구비되어 양변기 전방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되고, 양변기 안착부에 또 다른 센서(S2)가 구비되어 안착부에 대한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And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is equipped with a sensor (S1)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toilet, another sensor (S2) is provided in the toilet seat seating portion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
본 발명에 사용된 센서(S1, S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충전식 충전지에 의해 센서(S1. S2)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충전지는 탈부착식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Looking at the way to supply power to the sensor (S1, S2)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upply power to the sensor (S1. S2) by a rechargeable rechargeable battery, the rechargeable battery is composed of a removable structure It is preferable.
즉 양변기 상부에 위치된 센서(S1)를 살펴보면, 센서(S1)의 외장 측면에 충전지(5)가 센서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탈부착식 충전지가 장착되는 센서 자체가 주요 특징인 것으로 충전지가 센서에 탈부착되는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핸드폰 등의 다른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조가 많으므로 이를 손쉽게 채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at is, when looking at the sensor (S1) located on the toilet bowl, the rechargeable battery (5) is mounted on the exterior side of the sensor (S1) to be detachable to the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itself equipped with a removable rechargeable battery is a main feature of the specific structure in which the rechargeable batter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nsor, because there are many structures known in other technical fields, such as a mobile phone, so that it can be easily adopted,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Omit.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전지는 공지된 핸드폰 충전기와 같은 방식으로 충전하여 이후 충전지만 상기 센서(S1)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chargeable batter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ged in the same manner as a known cell phone charger, but then used to be mounted on the sensor S1.
또한 양변기 상부에 위치한 센서(S1)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의 경우에는 센서(S1) 외장에 탈부착으로 장착되는 구성일 수도 있으나, 벽면이나 저수조 외부 등에 탈부착식으로 장착되어 무선 내지 유선으로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센서의 외장, 벽면, 또는 저수조 외부 등 센서가 부착되는 대상을 대상체라 통칭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S1) located on the toilet bowl,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is attached to the sensor (S1) exterior detachable, bu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wall or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to power the sensor wirelessly or wired.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which the sensor is attached, such as the exterior of the sensor, the wall, or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n object.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집광판(6)을 더 구비하여, 상기 집광판으로부터 형성된 에너지로 충전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집광판(6)은 화장실 내 조명으로부터 빛을 모아야하기에 센서(S1)의 외장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충전지(5)와 이동수단(T) 사이에 전압을 이동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한 승압회로부(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즉, 통상적인 충전지의 전압은 3V이고, 이동수단의 작동 전압으로는 6V가 요구되는데, 3V에서 6V로 승압시키는 승압회로부가 더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한 승압회로부의 승압회로는 공지의 회로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oosting circuit unit (not shown) for boosting the voltage between the
다시 본 발명의 저수조(1) 내부를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Referring again to the inside of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저수조 내부 공간을 소변 세척시 필요한 용량과 그 이외의 용량으로 분리 구획하는 구획판(10)이 도입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즉 통상적으로 대변시에는 세척수의 총 사용량이 9L 이하이고 소변시에는 5L 이하가 되는데, That is, in general, the total amount of washing water used for stool is 9L or less and when urine is 5L or less,
본 발명에 사용된 저수조는 9L 용량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수조 내부를 5L와 4L로 분리 구획하기 위해 구획판(10)이 설치된다.The reservoi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ized to accommodate a 9L capacity, and
따라서 상기 구획판은 9L 이상의 용량을 가지는 저수조(1) 내부를 소변용 세척수 저장공간(A1)과 대변용 세척수 저장을 위한 추가공간(A2)으로 분리 구획시키는 기능을 가지고,Therefore, the partition plate has a function of separating and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이하에서는 소변용 세척수 저장공간(A1)을 5L공간으로, 대변용 세척수 저장을 위한 추가공간(A2)을 4L공간으로 칭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rine washing water storage space (A1) will be described as 5L space, the additional space (A2) for storing fecal wash water is referred to as 4L space.
다음으로 상기 구획판(10)의 내부에는 5L공간(소변용 세척수 저장공간(A1))과 4L공간(대변용 세척수 저장을 위한 추가공간(A2))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홀(20)이 형성되어 있고,Next, a
상기 연통홀(20)의 형상은 마개(P)의 측면에 의해 연통홀(20)이 폐쇄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한다. 이는 마개(P)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연통홀(20)이 개폐되어야 하기 때문이다.The shape of the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P)는 출수구(O)에 삽입되어 출수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출수구폐쇄부(P1)와, 상기 구획판의 연통홀(20)에 밀착되어 연통홀을 개폐시키기 위한 연통홀폐쇄부(P2)로 이루어져,Therefore, preferably, the stopper (P) is inserted into the outlet (O) and the outlet outlet for closing the outlet (P1), and close to the
마개의 상하 이동 높낮이에 따라 소변 세척시 필요한 용량인 5L만이 출수구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구획판(10) 너머로 있는 4L의 세척수가 연통홀(20)을 통해 4L공간으로 넘어와 9L 세척수 모두가 출수구로 배출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Depending on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topper, only 5L, the capacity required for urine washing, is discharged to the outlet, or 4L of washing water over the
결국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Finally, referring to FIGS. 1 and 2,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마개(P)가 출수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 있다가, 소변에 의한 이동수단의 작동시 마개(P)는 상기 구획판(10)의 연통홀(20)을 폐쇄시킬 수 있는 높이(t1)까지만 이동되어 연통홀을 폐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5L의 공간에 있는 세척수만이 출수구를 통해 배출된다.In the standby state, the plug P is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outlet is closed, and when the moving means is operated by urine, the plug P is a height capable of closing the
다음으로 대변에 의한 이동수단의 작동시 마개(P)는 상기 구획판에 형성된 연통홀 높이(t2) 이상으로 이동되어 4L 공간에 있던 세척수가 연통홀을 통하여 5L의 세척수와 함께 배출구를 빠져나가게 된다.Next, during operation of the movement means by the stool, the stopper (P) is moved above the communication hole height (t2)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so that the wash water in the 4L space exits the outlet along with the 5L wash w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저수조(1)내에는 상기 마개의 상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가이드판(30)이 별도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in the
즉 마개의 상하 이동이 정확히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소변에 의한 세척수 출수시 마개(P)가 연통홀(20)을 정확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other word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topper to be ma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nsure that the stopper (P) to close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저수조 내부에 설치된 구획판(10)은 상기 저수조 내부의 상부 공간까지 모두 구획시키는 것이 아니라 저수조 내부의 상부는 개방된 형태(C)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즉, 이는 간혹 필밸브에 의한 저수조로의 세척수 유입시 필밸브에 문제가 생겨 필요 이상의 세척수가 저수조내로 유입되는 경우, 5L와 4L 공간간의 세척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일측 공간에만 세척수가 만수되었다는 이유로 저수조에서 물넘침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In other words, this sometimes causes a problem in the fill valve when the wash water flows into the reservoir by the fill valve, and when more than the required wash water flows into the reservoir, the wash water can be moved between the 5L and 4L spaces so that the wash water is filled only in one space. This is to prevent water overflow from occurring.
물론, 대기상태에서는 구획판의 연통홀을 통해 세척수가 5L와 4L의 공간을 이동할 수 있을 것이나 저수조 내부의 상부는 5L와 4L 사이를 완전히 개방된 형태(C)로 하여 문제 발생시 세척수 이동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Of course, in the standby state, the washing water can move the space of 5L and 4L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partition plate, but the upper part inside the reservoir is completely open form (C) between 5L and 4L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moved more easily in case of problems. It could be done.
본 발명과 같이 감지 센서로 대소변 여부를 판단하여 마개(P)를 자동 제어시킬 경우, 상기한 마개(P)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수단(T)은 기존 레버에 의한 수동이 아니라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opper P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oilet has a small urine, the moving means T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opper P is not a manual sole by a conventional lever but a known solenoid. It is mentioned above that it is preferable to employ the configuration of the valve.
이하 본 발명의 양변기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자동으로 작동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cted by the sensor and automatically operated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남성이 대변을 볼 경우와 여성이 대소변을 볼 경우에는 배출부의 상부에 위치한 안착부(4)의 상면에 착석을 하게 되고,In general, when men see feces and women see feces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4)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남성이 소변을 볼 경우에는 안착부에 대한 착석없이 양변기 전방에 두 발을 위치시키게 되는바, 위치한 사용자는 저수조(1)를 항상 마주보게 되어 있다.When a man urinates, the two feet are placed in front of the toilet seat without sitting on the seating area, the user located is always facing the reservoir (1).
특히 여성의 경우 대소변시 안착부에 착석을 하게 되는 공통점이 있으나, 대변과 소변에 따라 안착부에 착석하는 시간 정도가 달라지는 행동패턴을 보이게 된다.In particular, women have a common point of being seated in the seating area during the stool, but the behavior pattern that changes the time to sit on the seating part depends on the stool and urine.
본 발명의 사용자들의 이러한 행동 패턴에 착안을 하여,With this behavioral pattern in mind of the us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센서(S)는 양변기의 안착부(4) 상부와 양변기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수조(1) 상단의 면에 장착되고, 장착된 센서(S1, S2)로 사용자의 위치 여부 및 사용시간을 감지하여 대변에 의한 세척수 출수이냐 소변에 의한 세척수 출수이냐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Sensor (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4) and the toilet bowl of the toilet bowl, more specifically,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top of the reservoir (1), whether the position of the user with the mounted sensors (S1, S2) and The use time is sens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flushed with feces or urine.
즉, 양변기 안착부에 설치된 센서(S2)가 감지되지 않고 양변기 상부에 배열된 전방 센서(S1)만이 감지되는 경우라면 이는 남성이 양변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소변에 의한 세척수 출수가 필요한 상황으로 마이컴(M)이 인지를 하고 상기 마이컴은 이후 바닥에서 사용자 이탈이 감지되면 이후 5L만을 배출하기 위한 높이로 이동수단(T) 즉 솔레노이느밸브와 이에 의한 마개(P)를 작동시키게 된다.That is, if the sensor (S2) installed in the toilet seat is not detected, only the front sensor (S1) arranged on the toilet seat is detected, this is the situation where the male is using the toilet and urine wash water is required to micom (M) When the user's departure is detected on the floor afterwards, the microcomputer operates the moving means (T), that is, the solenoid valve and the stopper (P), to a height for discharging only 5L.
다음으로 양변기 상부에 설치된 센서(S1)와 함께 안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S2)가 감지되되 감지된 시간이 소변을 배출하는 정도의 시간으로 측정이 된다면, 이 또한 소변에 의한 세척수 출수가 필요한 상황으로 마이컴(M)이 인지를 하고 이후 저수조의 5L의 세척수만을 배출하기 위한 높이로 솔레노이느밸브와 이에 의한 마개(P)를 작동시키게 된다.Next, if the sensor (S2) attached to the seating part is detected with the sensor (S1) installed on the toilet bowl, and the detected time is measured as the time to discharge the urine, this also requires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by the urine The microcomputer (M) recognizes the situation and then operates the solenoid valve and the stopper (P) to a height for discharging only 5L of washing water in the reservoir.
반면, 안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S1)가 감지되고 감지된 시간이 대변을 배출하는 정도의 시간으로 측정이 된다면 이는 대변에 의한 세척수 출수가 필요한 상황으로 마이컴(M)이 인지를 하게 되며,On the other hand, if the sensor (S1) mounted on the seating part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time is measured as the time to discharge the feces, this is a situation that the microcomputer (M) is recognized as a situation that the water discharged by the feces,
양변기 전방과 안착부 모두에서 사용자 이탈이 감지되면 이후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마개(P)를 연통홀(20)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시켜 9L의 세척수를 배출시키도록 한다.When the user's departure is detected in both the front and seat of the toilet after the stopper (P) by the solenoid valve to move above the height of th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센서(S)가 양변기 상부와 안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에 의한 전자적 신호가 발생되어 이를 분류하여 출수 명령을 수행하는 마이컴(M)은 양변기 뚜껑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마이컴의 설치 위치는 어디든 문제되지 않는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S) is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and the seating portion, the electronic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is generated and the microcomputer (M) to perform the discharge command by classifying it is shown that the toilet seat is installed in the lid portion The location of the microcomputer installation does not matter.
또한 소변 배출에 필요한 시간 및 대변 배출에 필요한 시간이 어느 정도이냐의 여부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통상적인 소요시간을 수회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 을 평균화시켜 이를 데이터화시킴으로서 이에 대한 정보는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ime required for urine discharge and the time required for stool discharge are measured by measuring several times the typical time required by the user's behavior and averaging the measured time to obtain the information.
다시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식 출수 방식의 흐름도를 참조하면, Referring back to the flow chart of the automatic water extraction system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3,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 자동 작동은 감지대기 상태에서, Automatic toilet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nsing standby state,
사용자가 양변기 전방에 위치하였느냐 또는 안착부에 앉았느냐의 여부로 사용감지가 이루어지며,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toilet or sitting in the seating area, the detection is made,
사용이 감지된 상태에서는 안착부에서의 감지된 시간과 이후 안착부에서 이탈된 시간을 측정하여 대변상태인지 소변상태인지를 결정하게 되고(대변감지상태),In the detected state of us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ool or urine state by measuring the time detected in the seating area and the time later released from the seating (stool detection state),
이후 사용자에 의한 이탈이 감지되면 미리 감지된 상태(대변이냐 소변이냐)에 따라 이에 맞는 대변 또는 소변을 위한 세척수가 출수되게 된다.After the departure by the user is det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cted state (stool or urine) according to the wash water for feces or urine according to this will be withdrawn.
물론, 사용감지상태에서 안착부에 의한 센서(S2)가 아니고 양변기 상부에 위치된 센서(S1)만이 감지되는 경우라면 도 3의 흐름도의 "대변감지"에서 "NO" 방향으로 진행되게 된다.Of course, if only the sensor (S1) located on the toilet bowl, not the sensor (S2) by the seat in the use detection state is detected in the "stool detection" of the flow chart of FIG.
특히, 레버에 의한 수동 조작과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한 자동 조작을 함께 구비한 양변기에 있어서는, 도 3의 흐름도에서와 같이 안착부 또는 양변기 전방에서의 이탈이 감지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레버조작이 있는지 여부 판단을 한번 더 거치게 되고, 수동으로의 레버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도 3의 흐름도에서와 같은 감지대 기상태로 돌아간다.In particular, in a toilet having both a manual operation by a lever and an automatic operation by a solenoid val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lever operation manually in a state in which a departure from the seat or the front of the toilet is detected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3. Once again, if there is a manual lever operation, it returns to the sensing standby state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3.
이는 사용자가 용변 후 무의식적으로 레버를 작동시켜 세척수를 출수시키게 되는 경우 이후 자동으로 세척수가 중복으로 출수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washing water is automatically drained out in duplicate when the user unconsciously operates the lever after the toilet and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또한 수동으로의 레버조작 여부는 레버에 별도의 레버센서를 부착시켜 레버선세에 의한 감지 신호는 마이컴(M)으로 보내지고 마이컴(M)에서 상기 신호 감지시 이로 인한 제어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ther or not the manual lever operation is attached to a separate lever sensor on the lever so that the detection signal by the lever predecessor is sent to the microcomputer (M) and the control is caused when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microcomputer (M).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절수형 양변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water-saving toilet with a specific structur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과 다른 본 발명의 핵심적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에 의한 저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한 솔레노이드밸브 등에 대한 통상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이는 당업자의 통상적인 기준에 의한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ior art, and thus, description of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solenoid valve including a stopper installed in the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omitted. By standard
도 1은 본 발명의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와 저수조 내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1 is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side of the reservoi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변 및 대변 구별에 따른 세척수 출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2a는 대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2b는 소변시, 그리고 2c는 대변시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view showing a washing water discharg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between urine and fe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ndby state, 2b is a urine, and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during fece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식 출수 방식의 흐름도.3 is a flow chart of the automatic water extraction system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저수조 2: 배출부 3: 덮개부 4: 안착부 1: reservoir 2: outlet 3: cover 4: seat
5;충전지충전지 집광판5; rechargeable battery collector plate
O: 출수구 T: 이동수단 P: 마개 B: 필밸브O: outlet T: vehicle P: plug B: fill valve
P1: 출수구폐쇄부 P2: 연통홀폐쇄부P1: Water outlet closing part P2: Communication hole closing part
10:구획판 20: 연통홀 30: 가이드판10: compartment 20: communication hole 30: guide plate
A1; 소변용 세척수 저장공간 A2; 대변용 세척수 저장을 위한 추가공간A1; Urine wash water storage A2; Extra space for fecal wash water storage
S: 센서 M; 마이컴 S: sensor M; Micom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5973A KR20100127500A (en) | 2009-05-26 | 2009-05-26 | Sensor-type water-saving toilet with removable rechargeable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5973A KR20100127500A (en) | 2009-05-26 | 2009-05-26 | Sensor-type water-saving toilet with removable rechargeable batte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7500A true KR20100127500A (en) | 2010-12-06 |
Family
ID=4350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5973A KR20100127500A (en) | 2009-05-26 | 2009-05-26 | Sensor-type water-saving toilet with removable rechargeable batt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27500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73794A2 (en) * | 2011-06-17 | 2012-12-20 | B. O & M. M. Enterprises, Llc | Retrofit automatic toilet flush apparatus |
CN108301475A (en) * | 2018-02-11 | 2018-07-20 | 西安科技大学 | A kind of improved excrement source separator and method |
-
2009
- 2009-05-26 KR KR1020090045973A patent/KR20100127500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73794A2 (en) * | 2011-06-17 | 2012-12-20 | B. O & M. M. Enterprises, Llc | Retrofit automatic toilet flush apparatus |
WO2012173794A3 (en) * | 2011-06-17 | 2013-02-21 | B. O & M. M. Enterprises, Llc | Retrofit automatic toilet flush apparatus |
CN108301475A (en) * | 2018-02-11 | 2018-07-20 | 西安科技大学 | A kind of improved excrement source separator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21624B2 (en) | Lavatory pan device and non-water lavatory flushing system with the device | |
CN101553631B (en) | Direct water typed auto flushing devices of toilet bowls | |
JP6396282B2 (en) | Urinal sanitary device | |
CN109278781A (en) | A kind of water supply hygiene system, control method and vehicles for the vehicles | |
CN104168762A (en) | Modularly connected device for cleaning a pet toilet | |
US20050022292A1 (en) | Toilet water saving apparatus linkable with bidet, and water saving method thereof | |
CN101939496A (en) | Be used to have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by the toilet seat of hydraulic pressure and the automatic non-electricity consumption urinal that washes of body weight | |
CN209336644U (en) | Buck dirt collecting system and the vehicles for the vehicles | |
WO1997028320A1 (en) | A system for use of waste water for toilet flushing and the method for use of the system | |
US20080245713A1 (en) | System for the recovery of washing liquids used in showers, wash basins and/or baths | |
KR20100127500A (en) | Sensor-type water-saving toilet with removable rechargeable battery | |
CN213836912U (en) | Pre-wetting squatting toilet | |
CN102400487B (en) | Sequential control water saving toilet stool | |
JP2010511810A (en) | Direct water type automatic flushing device for toilet | |
KR20100095110A (en) | Water-saving toilet | |
KR101427304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 water drop and of toilet bowls of air pressure type | |
CN210658574U (en) | Siphoning type human body infrared automatic induction flushing system for toilet | |
KR101478111B1 (en) | Electronic toilet stool | |
KR101221835B1 (en) | Toilet bowl capable of water saving | |
CN109372070B (en) | Automatic pressure water tank of toilet of response | |
CN112343143A (en) | Squatting pan capable of discharging odor | |
KR200354382Y1 (en) | An automatic washing equipment of a water saving seat chamber pot | |
KR20010018931A (en) | A toilet bowl with electornical auto-flower control system | |
KR20130064524A (en) | Urinal | |
CN220928101U (en) | Toilet bow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6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5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8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