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837A - 이동 시스템들에서 기준 신호 관리 - Google Patents

이동 시스템들에서 기준 신호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837A
KR20100126837A KR1020107023964A KR20107023964A KR20100126837A KR 20100126837 A KR20100126837 A KR 20100126837A KR 1020107023964 A KR1020107023964 A KR 1020107023964A KR 20107023964 A KR20107023964 A KR 20107023964A KR 20100126837 A KR20100126837 A KR 20100126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access terminal
group
reference signals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만쓰 삼파쓰
제레미 에이취. 린
커트 오트
라자트 프라카쉬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기준 신호 관리(RSM) 프로그램은 다수의 기준 신호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 신호들을 기준 신호들의 그룹들로 할당하고, 검출된 기준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신호 관리 기능들을 수행한다. RSM 프로그램은 광대역 및 협대역 기준 신호들을 검출하고, 독립적인 구성 또는 상이한 무선기술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된 기준 신호들 그룹들을 유지한다. 불필요한 핸드오프, 오버헤드 다운로드, 액세스 프로브 및 새로운 등록 등을 방지함으로써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준 신호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액세스 단말의 배터리 전력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기준 신호들은 동기 및 비동기 섹터들 모두로부터, 연결 상태 모드 및 유휴 모드 모두에서 관리된다. RSM 프로그램은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핸드오프 관리,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 관리, 검출된 기준 신호들의 활성 그룹 관리, 및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 수집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이동 시스템들에서 기준 신호 관리{REFERENCE SIGNAL MANAGEMENT IN MOBILE SYSTEMS}
본 출원은 2008년 3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040,617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기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서 기준 신호들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가입자들은 긴 배터리 수명을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이동 장치의 양호한 속성으로 간주한다. 배터리 수명은 통화 시간 및 대기 시간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이동 가입자가 통화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셀룰러 전화기는 여전히 전력을 소비한다. 대기 시간은 어떠한 통화도 이뤄지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가 셀룰러 전화기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간 길이이다. 셀룰러 전화가 턴 온되면, 셀룰러 전화기는 트래픽 채널을 통한 음성 트래픽을 전송 및 수신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먼저 기준 신호들(종종 파일럿 신호들로 지칭됨)을 포착한다. 예를 들어, 일부 무선 기술들에서, 파일럿 신호들은 파일럿, 동기 및 페이징 채널들을 통해 수신된다. 파일럿 신호들이 포착되면, 호가 수신되거나 통화가 이뤄지기 까지 셀룰러 전화기의 특정 회로를 셧-다운시킴으로써 전력이 보존된다. 그러나 셀룰러 전화기가 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 다른 회로에 전력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특정 회로는 파일럿, 동기 및 페이징 채널들을 통해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턴-온된다.
그러나 주기적으로 파일럿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조차도 전력을 소비한다. 다수의 무선 기술들을 구현하는 다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로부터 파일럿 신호들이 수신되는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장치가 동작되는 경우에 보다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들이 상이한 변조 기술들(예를 들면, CDMA, TDMA, FDMA, OFDMA 및 3GPP LTE에 의해 정의된 변조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셀룰러 전화기가 동작될 수 있다. CDMA 변조는 cdma2000 및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의 무선 기술들에 의해 채용된다. TDMA 변조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에 의해 사용된다. OFDMA는 이벌브드 UTRA (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및 플래쉬-OFDM과 같은 무선 기술들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무선 기술들을 구현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파일럿 신호들은 상당량의 전력을 소비한다.
파일럿 신호들이 보다 덜 빈번히 포착되고 포착되는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복잡한 계산들이 보다 덜 빈번히 수행되면, 보다 적은 전력이 소모된다. 보다 적은 파일럿 신호들이 포착될 때 그리고 이러한 포착된 파일럿 신호들에 대해 보다 적은 계산들이 수행될 때, 대기 시간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종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들을 우선순위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대기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액세스 단말에서 실행되는 기준 신호 관리(RSM) 프로그램은 다수의 기준 신호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 신호들을 기준 신호들의 그룹들로 할당하고, 검출된 기준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신호 관리 기능들을 수행한다. RSM 프로그램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을 구현하거나 또는 동일한 시스템 기술을 사용하지만 상이한 구성(configuration)을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전송되는 광대역 포착 기준 신호들 및 협대역 단일-톤 기준 신호들 모두를 검출한다. 불필요한 핸드오프, 오버헤드 다운로드, 액세스 프로브 및 새로운 등록 등을 방지함으로써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준 신호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액세스 단말의 배터리 전력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전력이 보존되는데, 왜냐하면 액세스 단말이 무분별하게 불필요한 신호들을 포착하지 않고, 사용되지 않는 결과들을 획득하기 위해서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에 대한 복잡한 계산들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준 신호들은 동기 및 비동기 섹터들 모두로부터, 그리고 유휴 모드(idle mode) 및 연결된 상태 모드(connected state mode) 모두에서 관리된다. RSM 프로그램은 후보 그룹, 나머지(remaining) 그룹, 활성 그룹,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 페이징 그룹, 액세스 그룹, 및 서빙 섹터 그룹을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기준 신호들 그룹들을 유지한다. RSM 프로그램은 업데이트된 기준 신호들 그룹들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핸드오프 관리,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 관리, 검출된 기준 신호들의 활성 그룹 관리, 및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 수집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한다. 액세스 단말의 연결된 상태 모드에서, RSM 프로그램은 광대역 TDM 포착 기준 신호들 및 협대역 단일-톤 기준 신호들 모두의 기준 신호 에너지들을 검출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RSM 프로그램은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 관리 기능들을 수행한다. RSM 프로그램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광대역 포착 파일럿 신호들 및 협대역 비컨 파일럿 신호들 모두를 검출한다. 무분별하게 불필요한 파일럿 신호들을 포착하지 않고, 사용되지 않는 결과들을 획득하기 위해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에 대해 복잡한 계산들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액세스 단말의 배터리 전력이 보존된다. RSM 프로그램은 후보 세트, 나머지 세트, 활성 세트, 선호 파일럿 리스트, 페이징 세트, 퀵 페이징 세트, 액세스 세트 및 서빙 섹터 세트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파일럿 신호들의 세트들을 유지한다. RSM 프로그램은 업데이트된 파일럿 신호들의 세트들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핸드오프 관리,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 관리,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의 활성 세트 관리, 및 액세스 단말에 대한 오버헤드 파라미터 수집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한다. 액세스 단말의 연결 상태 모드에서, RSM 프로그램은 광대역 TDM 포착 파일럿 신호들 및 협대역 비콘 파일럿 신호들 모두의 기준 신호 에너지들을 검출한다.
기준 신호들을 관리하는 방법은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할당하고, 복수의 기준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행되는 기준 신호 관리 기능들 중 일부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프 관리,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 관리, 액세스 단말에 대한 기준 신호들의 활성 그룹 관리 및 액세스 단말에 대한 오버헤드 파라미터 수집을 포함한다.
검출된 기준 신호들은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제1 기준 신호는 제1 구성을 갖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고, 제2 기준 신호는 제1 구성과는 다른 제2 구성을 갖는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다. 제1 및 제2 구성들은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및 PAN(personal area network)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기술들과 같이 상이한 시스템 기술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구성들은 동일한 시스템 기술을 사용하지만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deployment parameter)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구성들의 배치 파라미터들은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길이에서 다를 수 있다. 배치 파라미터들은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고속 퓨리어 변환(FFT) 톤들의 수에서 다를 수 있다.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은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가 GPS 동기화의 결여로 인해 제2 구성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와 다를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요약일 뿐이고 따라서 필요에 따라 간략화, 일반화 및 상세한 내용의 생략을 포함하며, 당업자는 상기 요약이 단지 예시일 뿐이고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할 의도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되는, 여기 제시된 장치 및 프로세스들의 다른 양상들, 독창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아래에 제시되는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들에서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는 액세스 단말을 일 예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2는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준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3은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여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 및 그룹들을 생성함으로써 연결 및 핸드오프 기능들을 수행하는 도3의 액세스 단말 상의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의 다이어그램이다.
도4는 다양한 기준 신호 관리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도3의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의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5는 도3의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이 검출된 기준 신호들을 그룹들 및 서브그룹들로 할당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6은 도3의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이 기준 신호들을 관리하고 연결 및 핸드오프 기능들을 수행하는 예시적인 이종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7은 기준 신호들을 관리하고 연결 및 핸드오프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도3의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흐름도이다.
여기 제시된 기술들은 다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이 상이한 무선 기술들을 구현하는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유리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다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시분할 다중접속(TDMA), 주파수분할 다중접속(FDMA),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OFDMA), 단일 캐리어 FDMA(SC-FDMA)와 같은 다양한 변조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들을 구현한다. UTRA는 와이드밴드-CDMA(WCDMA) 및 저속 칩 레이트(LCR)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OFDMA 네트워크는 이벌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쉬-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UTRA, E-UTRA, 및 GSM은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롱 텀 에에벌루션(LTE)은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차후 릴리스이다 ,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또한,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SC-FDMA)은 단일 캐리어 변조 및 주파수 영역 등화를 이용한다. SC-FDMA는 OFDMA와 유사한 성능 및 실제로 동일한 전체 복잡도를 갖는다. SC-FDMA 신호는 고유한 단일 캐리어 구조로 인해 OFDMA에 비해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비(PAPR)를 갖는다. SC-FDMA는 전력 효율성의 관점에서 이동 액세스 단말에서 낮은 PAPR이 매우 유익한 업링크 통신들에서 특히 관심을 끌었다. SC-FDMA는 현재 3GPP LTE 및 이벌브드 UTRA에서 업링크 다중접속 방식을 위한 인기있는 변조 기술이다.
이러한 무선 기술들은 시분할 듀플렉싱(TDD)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또는 이둘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DD는 3GPP LTE, Evolution-Data Optimized Revision C로 불려지는 UMB(Ultra-Mobile Broadband), 및 FDD WiMax (IEEE 802.16)에서 사용된다. W-CDMA의 FDD 및 TDD 버젼들 모두가 존재한다. 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전송들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이에 반해, FDD 트랜시버들은 전송 및 수신 주파수들을 독립적으로 생성한다. 이러한 무선 기술들 및 표준들은 공지되어 있다. 명확화를 위해서,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이 3GPP LTE에 대해 설명되고, 3GPP LTE 용어들이 아래 설명에서 많이 사용된다. 또한, 여기 제시된 양상들은 앞서 열거된 다른 무선 기술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보여준다. 액세스 포인트(11)는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12 및 13을 포함하고, 다른 안테나 그룹은 14 및 15를 포함하며, 추가적인 안테나 그룹은 16 및 17을 포함한다. 도1에서 각 안테나 그룹에 대해 비록 단지 2개의 안테나들만이 제시되지만, 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안테나들이 각 안테나 그룹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8)은 안테나(16 및 17)와 통신하고, 안테나(16 및 17)는 순방향 링크(19)를 통해 액세스 단말(18)로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20)를 통해 액세스 단말(18)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액세스 단말(18)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23)의 안테나(21 및 22)와 통신하고, 안테나(21 및 22)는 순방향 링크(24)를 통해 액세스 단말(18)로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25)를 통해 액세스 단말(18)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들(19,20,24,25)은 통신을 위해 상이한 주파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9)는 역방향 링크(20)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는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11 및 23)은 액세스 단말들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고정국들일 수 있고, 또한 기지국, 노드 B, 또는 다른 용어로 지칭된다. 액세스 단말(18)은 또한 사용자 장비(UE), 무선 통신 장치, 단말, 셀룰러 전화기, 이동 전화기 또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각 안테나 그룹 및 이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된 영역은 종종 액세스 포인트의 섹터로 지칭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 안테나 그룹은 액세스 포인트들(11 및 23)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 중 하나의 섹터 내의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도1은 액세스 포인트(11)가 3개의 섹터들을 가지고, 액세스 포인트(22)가 또한, 3개의 섹터들을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액세스 단말(18)은 액세스 포인트(11)의 섹터(26) 및 액세스 포인트(23)의 섹터(27)와 통신한다. 액세스 단말(18)의 사용자가 음성 또는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 또는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액세스 단말(18)은 유휴 모드로 존재한다. 달리, 음성 또는 데이터 트래픽이 액세스 단말(18)의 사용자로 전송되거나 액세스 단말(18)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액세스 단말(18)은 연결 상태 모드로 존재한다. 액세스 단말(18)이 연결 상태 모드에 존재하고 안테나들(16 및 17)과 통신하는 경우, 섹터(26)는 서빙 섹터로 불려진다. 섹터(27)는 비-서빙 섹터인데, 왜냐하면 비록 액세스 단말(18)이 섹터(27)와 통신하고 있지만, 액세스 단말(18)의 사용자가 섹터(27)로 또는 섹터(27)로부터 음성 또는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 또는 수신하지 않기 때문이다. 순방향 링크(19)를 통한 통신에서, 액세스 포인트(11)의 전송 안테나들은 순방향 링크(19)의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서 빔포밍을 이용한다.
도2는 액세스 단말(18)이 액세스 포인트(11)와 통신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무선 통신 시스템(28)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액세스 포인트(11)는 전송기 시스템(29)을 포함하고, 액세스 단말(18)은 수신기 시스템(30)을 포함한다.
전송기 시스템(29)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31)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32)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데이터 스트림이 상이한 전송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32)는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드 방식에 기반하여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술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기준 신호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고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서 수신기 시스템(30)에 의해 사용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다. 그리고 나서,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 데이터 및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면,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반하여 변조된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33)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벌들은 전송 MIMO 프로세서(34)로 제공되고, 전송 MIMO 프로세서(34)는 (예를 들면, OFDM에 대한) 변조 심벌들을 추가로 처리한다. 그리고 나서, 전송 MIMO 프로세서(34)는 NT개의 변조 심벌 스트림들을 NT개의 전송기(TMTR)(35A 내지 35N)로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전송 MIMO 프로세서(34)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벌들에 그리고 이러한 심벌을 전송하는 안테나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 전송기(1022)는 각 심벌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한다. 또한, 각 전송기(35)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컨디셔닝(예를 들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하여 MIMO 채널 상에서 전송하기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전송기(35A 내지 35N)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NT개의 안테나(36A 내지 36N)로부터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30)에서, 전송된 변조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37A 내지 37N)에 의해 수신된다. 각 안테나(37)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대응하는 수신기(RCVR)(38A 내지 38N)로 제공된다. 각 수신기(38)는 각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면,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팅)하고,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며, 샘플들을 추가로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39)는 NR개의 수신기들(39)로부터 NR개의 수신된 심벌 스트림들을 수신하여, 이들을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처리하여 NT개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39)는 검출된 심벌 스트림 각각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39)에 의한 처리는 전송기 시스템(29)의 전송 MIMO 프로세서(34) 및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32)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와 상보적이다.
그리고 나서, 기준 신호 데이터 및 트래픽 데이터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40)에 의해 처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40)는 메모리(41)에 저장된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기준 신호 데이터를 분석 및 관리하고, 검출된 기준 신호들을 그룹들로 할당한다. 기준 신호들의 그룹들뿐만 아니라, 기준 신호들로부터의 시스템 구성 정보(또한 오버헤드 파라미터로 지칭됨)의 데이터베이스가 메모리(41)에 저장된다. 또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4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형성한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42)에 의해 처리되고,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42)는 데이터 소스(43)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변조기(44)에 의해 변조되고, 전송기(38A 내지 38N)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전송기 시스템(29)으로 다시 전송된다.
전송기 시스템(29)에서, 수신기 시스템(3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36)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35)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45)에 의해 복조되고,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46)에 의해 처리되어 수신기 시스템(3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33)는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하고 빔포밍 가중치들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한다.
현대 통신 시스템들에서, 상이한 통신 플랫폼들 및 시스템들(예를 들면, 3GPP LTE, UMB, WiMax, WiFi 및 IEEE 802.20) 사이에 상호 호환성을 제공하는데 있어 관심이 존재하여 왔다. 그러나 상이한 무선 기술들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서로 동기가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 특정 경우들에서는, 동일한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조차도 공통 동기 소스의 결여로 인해 서로 동기가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들이 GPS 동기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들이 상이한 크기를 갖는 셀들 및 섹터들을 서비스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액세스 단말들로의 라운드-트립 전송 시간들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는 비동기화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일부 액세스 포인트들은 수십 미터의 셀 지름을 갖는 펨토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수 킬로미터의 셀 지름을 갖는 매크로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은 상이한 사이클릭 프리픽스 사이즈와 같은 상이한 시스템 구성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휴대용 장치 또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액세스 단말은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기준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각 장치가 하나의 무선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무선 기술 또는 다른 오버헤드 파라미터 또는 시스템 구성 정보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이동함에 따라, 기준 신호들의 그룹이 시간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i) 핸드오프할 기준 신호들에 대해 지능적으로 결정하고, (ii) 새로운 오버헤드 정보를 다운로드할지를 지능적으로 결정하고, (iii) 연결 상태 모드 및 유휴 모드 동안 액세스 프로브들을 언제 전송할지를 지능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 액세스 단말들이 효율적으로 이러한 기준 신호들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연결 상태 모드"는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활성적으로 통신하는 액세스 단말의 상태를 지칭한다. "유휴 모드"는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기 위해서 액세스 단말이 하나 이상의 자신의 서브시스템을 파워-다운하고 액세스 포인트와 활성 통신을 하지 않는 상태를 지칭한다. 그러나, 액세스 단말은 유휴 모드인 동안에도 기준 신호들을 수신한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네트워크들이 상이한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일한 무선 기술을 사용하지만 상이한 오버헤드 파라미터(예를 들면, 사이클릭 프리픽스 사이즈 또는 FFT 톤들의 수)를 사용하는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단말들에서 기준 신호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불필요한 핸드오프, 오버헤드 다운로드, 액세스 프로브 및 새로운 등록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준 신호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분류할 수 있는 기준 신호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준 신호 관리 시스템은 연결 상태 모드뿐만 아니라 유휴 모드에서 동기 및 비동기 시스템들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효율적인 기준 신호 관리 시스템에 대한 대안은 기준 신호들을 관리하는 무차별-기법(brute force method)을 사용하는 것이며, 이 경우 각 액세스 단말은 동기 및 비동기 섹터를 포함하여, 자신이 위치하는 섹터들의 모든 기준 신호들로부터의 정보를 포착한다. 그러나 기준 신호들을 관리하는 이러한 무차별-기법은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비하는데, 왜냐하면 액세스 단말이 무분별하게 불필요한 기준 신호들을 포착하고, 사용되지 않는 결과들을 획득하기 위해서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에 대한 복잡한 계산들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도3은 액세스 단말에서 구현되는 일반적인 기준 신호 관리 개념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액세스 단말(18)에 저장되는 기준 신호 관리(RSM) 프로그램(48)은 다양한 타입의 액세스 단말(18)의 연결, 핸드오프 및 관련된 이슈들에 대한 관리 제어 및 지원을 제공한다. RSM 프로그램(48)은 네트워크 구성들, 동기 섹터들, 비동기 섹터들, 및 유휴 및 연결 상태 동작 모드들에 대한 구체적인 상세 내역들을 관리한다. 중앙집중형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단말(18) 내의 하나의 엔진이 이종 이동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되는 구성 정보에 대한 축적, 보급, 및 제어를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3은 각각 광대역 기준 신호들 및 협대역 단일-톤 기준 신호들의 매트릭스를 사용하는 동기 및 비동기 섹터들의 연결 모드들을 구성하는 RSM 프로그램(48)을 보여준다. 매트릭스는 메모리(41)에 저장된다. 일부 무선 기술들에서, 광대역 기준 신호들은 포착 파일럿 신호들로 지칭되고, 협대역 기준 신호들은 비콘 파일럿 신호들로 지칭된다. 다른 무선 기술들에서, 협대역 기준 신호들은 전력-부스트된(power-boosted) 주파수 캐리어 또는 전력-부스트된 톤들로 지칭된다.
포착 파일럿 신호들은 액세스 단말이 동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시-분할 멀티플렉싱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이다. 포착 파일럿 신호들은 종종 TDM 파일럿 신호들로 지칭된다. 포착 파일럿 신호들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시간, 주파수, 및 전송 전력을 정확하게 동기화하기 위해서 액세스 단말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나 포착 파일럿 신호는 상이한 비동기 섹터들로부터의 포착 파일럿 신호들을 동시에 디코딩하기 위해서 액세스 단말에 높은 복잡도 요건을 부가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OFDMA 시스템에서, 액세스 단말은 비동기 시스템들로부터의 포착 파일럿 신호들을 디코딩하기 위해서 다수의 FFT 하드웨어 엔진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다수의 FFT 하드웨어 엔진들은 다수의 FFT 톤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매우 값 비싸다. 이러한 이유로, 액세스 단말들은 동기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출하기 위해서만 포착 파일럿 신호들을 사용할 수 있다고 일반적으로 가정된다.
비콘 파일럿 신호들은 액세스 단말이 동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부스트된 협대역 파일럿 신호들이다. 비콘 파일럿 신호들은 복잡도를 약간만 증가시키고 다수의 비동기 섹터들로부터의 비콘 파일럿 신호들을 액세스 단말이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불행하게도, 비콘 파일럿 신호들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매우 정확한 시간, 주파수 및 전력 동기화를 제공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시간, 주파수 및 전력을 동기화하기 위해서 비콘 파일럿 신호를 검출한 후에, 액세스 단말은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동기화 메커니즘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액세스 단말은 동기 액세스 포인트들만을 검출하기 위해서 비콘 파일럿 신호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설계 구현에 따라 다중 계층들을 포함하여 다른 배열들이 가능하지만, 도3은 이러한 예시적인 모드들에 대한 이동 장치 동작의 단순한 구분을 예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RSM 프로그램(48)은 이동 장치들 및 이들 각각의 기지국들을 관리하기 위한 태스크들을 디스패치하기 위한 알고리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전력 사용 및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오버헤드 정보를 축적 및 제공하고 핸드오프들을 관리하는데 지능형 스케줄러가 사용된다.
도4는 RSM 프로그램(48)의 일 실시예의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소프트웨어 블록들은 메모리(41)에 저장된 명령들이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40)에 의해 실행된다. 기준 신호 관리의 예시적인 태스크들은 주 검색 블록(49)에 의해 제어된다. 주 검색 블록(49)은 초기 포착 블록(50), 이웃 탐색 블록(51), 비콘 처리 블록(52), 오버헤드 파라미터 처리 블록(53), 및 다른 관리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54)과 같은 코드 서브 블록들을 개시, 제어 및 테이블화한다. 초기 포착 블록(50)은 포착 파일럿 신호들을 검출 및 분석하는 펌웨어 블록이다. 이웃 탐색 블록(51)은 포착 파일럿 신호들을 또한 검출 및 분석하는 펌웨어 블록이다. 비콘 처리 블록(52)은 비콘 파일럿 신호들을 검출 및 분석하는 펌웨어 블록이다. 오버헤드 파라미터 처리 블록(53)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처리하는 펌웨어 블록이다. 오버헤드 파라미터 처리 블록(53)은 퀵 채널 정보(QCI), 확장된 채널 정보(ECI), 퀵 페이징 채널(QPCH)로부터의 정보, 및 섹터 파라미터 정보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정보를 디코딩한다.
오버헤드 파라미터 처리 블록(53)은 새로운 섹터의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일 예에서, 오버헤드 파라미터 처리 블록(53)은 특정 조건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선호 파일럿 리스트 내의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섹터 파라미터 디코딩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획득한다. 상기 조건들은 (i) 섹터 파라미터가 미지임, (ii) 감시 타이머(종종 드롭 타이머로 지칭됨)가 0 임, 또는 (iii) 새로운 섹터의 상대적인 에너지(종종 지오메트리로 지칭됨)가 미리 결정된 섹터 파라미터 디코딩 임계치보다 큼을 포함한다. 오버헤드 파라미터 처리 블록(53)은 또한 특정 조건들이 존재하는 경우 선호 파일럿 리스트 내의 파일럿 신호들에 대해 ECI 디코딩 명령을 발행함으로써 새로운 섹터의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획득한다. 상기 조건들은 (i) 퀵 채널 정보 및 확장된 채널 정보가 미지임, (ii) 알려진 퀵 채널 정보 및 알려진 확장된 채널 정보의 유효기간이 종료하였음, 및 QPCH 디코딩이 한번 실패하였음, (iii) 감시 타이머가 0임, 또는 (iv) 새로운 섹터의 상대적인 에너지가 미리 결정된 ECI 디코딩 임계치보다 큼을 포함한다.
오버헤드 파라미터 처리 블록(53)은 또한 예를 들어 (i) 정규 액세스 단말의 알려진 오버헤드 파라미터(OVHD)의 유효기간이 종료하였음, (ii) 푸쉬-투-토크 액세스 단말의 알려진 OVHD 파라미터의 유효기간이 곧 종료함, 또는 (iii) 푸쉬-투-토크 액세스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가 액세스 그룹 내에 존재함과 같은 특정 조건하에서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QPCH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섹터의 OVHD를 검증한다.
설계 선호도에 따라서 다른 기준 신호 관리 태스크들이 블록(54)에 의해 구현된다. 주 검색 블록(49)은 또한 액세스 단말(18)의 연결 상태 모드 및 유휴 모드 모두의 기간 동안 다양한 파일럿 신호들을 그룹들에 할당한다.
주 검색 블록(49)은 또한 파일럿 신호들의 파일럿 에너지를 결정하고 섹터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지오메트리를 계산하는 태스크들을 관리한다. 동기 및 비동기 섹터들 및 액세스 포인트들 모두의 지오메트리가 계산된다. 파일럿 신호의 파일럿 에너지는 dBm 단위로 측정된다. 섹터 또는 액세스 포인트의 지오메트리는 섹터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파일럿 에너지 대 다른 섹터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다른 파일럿 신호들의 파일럿 에너지들의 비율이다. 섹터 또는 액세스 포인트 A의 지오메트리는 다음과 같이 유도될 수 있다: geometry (A) = (pilot energy (A)) / (pilot energy (A) + pilot energy (B) + pilot energy (C) + . . . pilot energy (N)), 여기서, B, C . . . N은 액세스 단말에서 파일럿 에너지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 섹터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이다.
주 검색 블록(49)은 매우 효율적인 방식으로 연관된 오버헤드 관리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순방향 링크에 대한 핸드오프 결정을 수행하고, 결과적으로 보다 적은 배터리를 사용하고 액세스 단말에 대한 보다 빠른 응답 시간들을 야기한다.
수개의 가능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서, 주 검색 블록(49)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탐색(SW SRCH) 명령들(55)은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섹터로부터 검출되는 파일럿 신호들로부터의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주 검색 블록(49)은 탐색 응답(SearchResponse 또는 SRCHRsp) 및 비콘 응답(BeaconResponse 또는 BeaconRsp) 기능들과 같은, 블록들(50-52)의 펌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의 데이터베이스는 메모리(41)에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의 오버헤드 파라미터들 중 일부는 PilotEnergyTDM, AvgPilotEnergyTDM, PilotEnergyBeacon, AvgPilotEnergyBeacon, CPLength, SyncToServingSectorBit, Geometry, DropTimer 및 TimingOffset을 포함한다.
PilotEnergyTDM은 포착 파일럿 신호들로부터 획득되고, SRCHRsp 기능의 알고리즘들에 의해 계산된다. AvgPilotEnergyTDM 역시 포착 파일럿 신호들에 관련되며, 예를 들어 100msec 평균화를 사용하여 PilotEnergyTDM 파라미터를 IIR 필터링함으로써 획득된다. PilotEnergyBeacon은 비콘 파일럿 신호들로부터 획득되며, BeaconRsp 기능의 알고리즘들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AvgPilotEnergyBeacon 역시 비콘 파일럿 신호들에 관련되며, 예를 들어 200msec 평균화를 사용하여 PilotEnergyBeacon을 IIR 필터링함으로써 획득된다. CPLength 파라미터는 연관된 섹터의 액세스 단말들이 용인할 수 있는 확산 지연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를 표시한다. SyncToServingSectorBit 파라미터는 서빙 섹터가 동기 섹터인지 비동기 섹터인지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비트를 1 또는 0으로 설정하는 것은 각각 서빙 섹터가 동기 섹터 또는 비동기 섹터라는 것을 표시한다. Geometry 파라미터는 하나의 파일럿 신호의 파일럿 에너지 대 검출된 모든 파일럿 신호들의 에너지들의 비율을 표시한다. DropTimer 파라미터는 PilotEnergy 파라미터가 특정 임계치 또는 듀레이션을 초과하는 경우에 인보크된다. 따라서, DropTimer 파라미터는 파일럿 에너지가 임계치 미만인 기간 또는 듀레이션을 추적하는데 사용된다. TimingOffset 파라미터는 서빙 섹터에 대한 오프셋을 표시한다. 데이터베이스 내의 다른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은 서빙 섹터의 안테나들의 수, 어떤 FFT 톤들이 퓨리어 변환 계산들에 사용되는지, 수퍼프레임 내의 프레임들 또는 시간 슬롯들의 수, 및 프레임 내의 OFDM 심벌들의 수를 포함한다.
연결 상태 모드에서, 자신의 파일럿 에너지가 서빙 섹터와 연관된 SRCHRsp 기능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파일럿은 서빙 섹터에 동기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일 구현에서, 주어진 섹터 A에 대한 지오메트리는 Geometry (A) = (pilot energy (A)) / (pilot energy (A) + pilot energy (B) + pilot energy (C) + . . . pilot energy (N)) 로 계산되며, 여기서 파일럿 에너지는 동기되는 SyncToServingSectorBit 파라미터를 갖는 섹터들에 대해서는 AvgPilotEnergyTDM 파라미터를 지칭하고, 파일럿 에너지는 비동기인 SyncToServingSectorBit 파라미터를 갖는 섹터들에 대해서는 AvgPilotEnergyBeacon 파라미터이다.
핸드오프 동안 현재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SyncToServingSectorBit 파라미터가 각 섹터에 대해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지오메트리 계산들을 사용하여, 액세스 단말의 범위 내에 있거나 거의 액세스 단말의 범위 내에 있는 상이한 섹터들로부터 비롯되는 에너지 레벨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 상태 모드에서, 주 탐색 블록(49)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탐색(SW SRCH) 명령(55)은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예를 들면, 후보 세트, 나머지 세트, 및 활성 세트(ASET))로 추가로 분류한다. 새롭게 검출된 파일럿 신호 각각은 파일럿 신호가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최소 에너지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먼저, 후보 세트에 추가된다. 후보 세트 내의 파일럿 신호들은 추가적인 기준에 따라 활성 세트로 승격될 수도 있고, 나머지 세트로 강등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오버헤드 수집 및 핸드오프 동작들은 모든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에 대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활성 세트 내의 파일럿 신호들로 제한된다. 활성 세트에 대해서만 동작들 수행하는 것은 액세스 단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계산들을 제한하고, 따라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한다. 새로이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을 3개의 그룹들(후보 세트, 나머지 세트, 및 활성 세트)로 분류하는 예시적인 기준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자신의 지오메트리 파라미터가 소위 AddThreshold로 지칭되는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파일럿 신호가 후보세트에 추가된다. 자신의 DropTimer 파라미터가 DropTimer 파라미터 아래로 떨어지면 파일럿 신호는 활성 세트에서 제거된다. 자신의 DropTimer 파라미터가 PilotDropTimer 파라미터 이상이면, 파일럿 신호는 후보 세트에서 제거된다. 파일럿 신호가 후보 세트에서 제거되는 경우, 파일럿 신호는 파일럿 신호에 대한 DropTimer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고 나머지 세트로 이동된다. 새로이 검출된 파일럿 신호를 후보 세트에 추가하는 것이 후보 세트의 최대 사이즈를 초과하게 만들면, 소프트웨어 탐색(SW SRCH) 명령들(55)은 후보 세트 중 가장 낮은 파일 신호를 제거한다.
파일럿 신호가 후보 세트 또는 활성 세트로부터 제거되면, 파일럿 신호는 나머지 세트에 추가된다. 주어진 파일럿 신호는 2가지 상황에서 나머지 세트로부터 제거된다. 첫 번째로, 주어진 파일럿 신호의 DropTimer 파라미터가 PilotDropTimerRemainingSet 파라미터 이상인 경우 파일럿 신호가 제거된다. 두 번째로, (i) 다른 파일럿 신호가 나머지 세트에 추가되고, (ii) 나머지 세트의 사이즈가 자신의 임계치(MaxRemainingSetSize)를 초과하고, (iii) 주어진 파일럿이 가장 약한 신호인 경우 파일럿 신호가 제거된다.
액세스 단말이 PilotReport 메시지를 구축하는 경우 활성 세트가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PilotReport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서빙 액세스 포인트는 각각의 새로운 섹터 및 액세스 포인트를 활성 세트에 추가하기 위해서 PilotReport 메시지를 사용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새로이 추가된 섹터의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액세스 단말로 "터널링" 한다. "터널링"은 액세스 포인트 A가 액세스 포인트 B의 모든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기 위해서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다른 액세스 포인트 B와 통신하고, 그리고 나서 이러한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서빙 섹터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액세스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스이다.
도5는 RSM 프로그램(48)이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을 그룹들 및 서브그룹들로 할당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유휴 모드(슬립 상태)에서, 주 검색 블록(49) 내의 소프트웨어 탐색 명령(55)은 새로이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을 다수의 그룹들(예를 들면, 선호 파일럿 리스트, 페이징 세트, 액세스 세트, 및 서빙 섹터)로 추가로 분류한다. 새로이 검출된 파일럿이 미리 결정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 최소 에너지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각각의 새로이 검출된 파일럿은 먼저 후보 세트에 추가된다. 그리고 나서, 아래에 제시되는 추가적인 기준에 기반하여 오직 후보 세트 내의 파일럿 신호들만이 선호 파일럿 리스트, 페이징 세트, 액세스 세트, 또는 서빙섹터 중 하나로 승격된다. 이를 통해, 전체 파일럿 신호들의 집합에 대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 및 전력 집약적인 동작들이 보다 작은 파일럿 신호들의 서브그룹으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8)은 액세스 세트 내의 파일럿 신호들과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만 액세스 프로브를 전송하는데, 왜냐하면 액세스 프로브를 전송하는 것은 유휴 모드의 액세스 단말에 있어서 매우 전력 집약적이기 때문이다. 다른 예에서, 액세스 단말(18)은 페이징 세트에 속하는 파일럿 신호들의 페이지만을 모니터링한다. 이는 페이지가 성공적으로 검출될 확률을 개선하고, 결과적으로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한다. 서빙섹터 내의 파일럿 신호들과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들로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이들로부터만 데이터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전력이 또한 절약된다.
검출된 파일 신호들은 다음과 같이 선호 파일럿 리스트(PPL)에 할당된다. 자신의 지오메트리 파라미터가 AddThreshold를 초과하는 경우, 새로이 검출된 파일럿 신호가 선호 파일럿 리스트에 추가된다. 파일럿 신호의 지오메트리 파라미터가 DropThreshold 아래로 떨어지면, DropTimer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타이머가 인보크된다. 그리고 나서, DropTimer 파라미터가 msec 단위의 최대치 {SleepPeriod*NumSleepCycles, DropTimerMin} 이상이 되면, 파일럿 신호가 선호 파일럿 리스트에서 제거된다. 또한, 파일럿 신호는 선호 파일럿 리스트의 사이즈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선호 파일럿 리스트에서 제거된다.
파일럿 신호 내의 섹터 파라미터 정보가 디코딩되고, 주 탐색 블록(49)이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액세스 단말로 페이지들을 전송한다고 결정하면, 선호 파일럿 리스트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들이 페이징 세트에 추가된다. 파일럿 신호가 선호 파일럿 리스트에서 제거되었다면, 페이징 세트의 파일럿 신호가 제거된다. 페이징 세트의 페이징 신호들은 등록 상태에 기반하여, 그리고 지오메트리에 의해 분류(sort)된다.
주어진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모든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고 검증되었다면, 선호 파일럿 리스트의 파일럿 신호들은 액세스 세트에 추가된다. 액세스 세트의 파일럿 신호들은 지오메트리에 기반하여 분류된다. 파일럿 신호가 선호 파일럿 리스트에서 제거되었다면, 액세스 세트의 파일럿 신호가 제거된다.
모든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이 디코딩된 선호 파일럿 리스트 내의 가장 강한 파일럿 신호는 서빙섹터이다.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기 위해서, 다른 등록 존의 새로이 검출된 파일럿 신호의 지오메트리가 현재 등록 존의 파일럿 신호들보다 현격히 양호하지 않는 한, 서빙섹터 파일럿 신호는 액세스 단말이 이미 등록 정보를 가지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들로 국한된다. 예를 들어, 상이한 등록 존의 새로운 파일럿 신호가 기존 서빙섹터 파일럿 신호를 대체하기 위해서, 새로운 파일럿 신호의 지오메트리는 서빙 섹터의 지오메트리에 IdleHandoffHysterisysMargin를 더한 합산치를 초과하여야 한다. 이러한 유휴 핸드-오프 히스테리시스 마진(IdleHandoffHysterisysMargin)은 매우 시간 및 전력 집약적인 불필요한 등록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더해진다.
상술한 파일럿 신호들의 서브그룹들은 선호되는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편리한 카테고리들 중 일부의 단지 일 리스트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서브그룹들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서브그룹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일럿 신호들의 다른 그룹들 또는 서브 그룹들이 설계 선호도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RSM 프로그램(48)은 수 개의 시나리오들에서 유휴-모드 호출을 수행한다. 하나의 시나리오는 액세스 단말이 페이징 사이클 동안 웨이크-업하는 경우에 기반한다. 액세스 단말은 매 페이징 사이클마다 페이징 세트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퀵 페이지 및/또는 페이지들을 모니터링한다. 액세스 단말은 일반적으로 낮은 단말 계산 복잡도로 인해 퀵 페이지들을 먼저 디코딩한다. 일부 무선 기술들은 대기 시간을 연장하기 위에서 페이징 채널뿐만 아니라 퀵 페이징 채널(QPCH)을 사용한다. 페이징 채널 및 퀵 페이징 채널은 별개의 코드 채널들이다. 퀵 페이지 파일럿 신호들은 QPCH를 통해 전송된다. 퀵 페이징 채널은 페이징 채널의 일반 페이징 메시지 내의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퀵 페이징 비트들을 포함한다. 퀵 페이징 채널의 퀵 페이징 비트들 모두가 설정되지 않으면, 액세스 단말은 일반 페이징 채널의 뒤이은 일반 페이징 메시지를 복조할 필요가 없다. 상대적으로 긴 일반 페이징 메시지를 복조하는 것에 비해 퀵 페이징 비트들을 복조하는 것이 보다 적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퀵 페이징 채널의 퀵 페이징 메시지를 복조함으로써, 페이징 채널 내의 일반 페이징 메시지는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복조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단말이 페이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QPCH를 정확하게 디코딩하여야 한다.
퀵 페이지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지만, 액세스 단말로의 유효한 페이지가 존재하는 않는 경우에, 액세스 단말은 다음 페이징 사이클까지 슬립한다. 이와 달리, 모든 QPCH 디코딩이 실패하거나 유효한 페이지를 가진다는 QPCH의 성공적인 디코딩의 경우, 액세스 단말은 페이징 세트의 제1 파일럿 신호 상의 풀 페이지를 디코딩한다. 비동기 섹터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갖는 배치에서, 매 페이징 사이클마다, 액세스 단말은 또한 다른 비동기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섹터들에 대응하는 비콘 파일럿 신호들을 디코딩한다. 비콘 처리 블록(52)의 펌웨어가 유효한 풀 페이지를 보고하면,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세트의 파일럿 신호들에 의해 표시되는 가장 강한 섹터로 액세스 프로브들을 전송한다. 유휴 모드에서, 액세스 단말은 (i) 오버헤드 정보가 미지임, (ii) DropTimer가 0임, 또는 (iii) 파일럿의 지오메트리가 OverheadDecodeThreshold보다 큼과 같은 미리 결정된 규칙들에 기반하여 선호 파일럿 리스트의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오버헤드 채널들을 모니터링 및 디코딩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이 퀵 페이지를 디코딩하기 위해서 페이징 사이클 동안 웨이크 업하는 경우, RSM 프로그램(48)은 선호 파일럿 리스트에 이미 할당된 파일럿 신호에 대한 포착 파일럿 신호 탐색(Start SRCH function)을 개시한다. RSM 프로그램(48)은 선호 파일럿 리스트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나서, 퀵 페이지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면, RSM 프로그램(48)은 추가적인 파일럿 신호 탐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음 수퍼프레임을 대기한다. 퀵 페이지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으면, 액세스 단말은 슬립상태로 복귀한다.
푸쉬-투-토크(PTT) 액세스 단말들은 매우 짧은 시간 기간에서 통화들을 개시한다. 따라서, PTT 액세스 단말들은 액세스 단말이 통화를 개시하는 경우에 스크래치로부터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수집하기 위한 시간을 연장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유휴 모드에서도, PTT 액세스 단말들은 오래된 오버헤드 정보를 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다 빈번히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 및 디코딩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세스 단말은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이 최신의 것임을 보장하기 위해서 QPCH 채널을 모니터링 및 디코딩한다. QPCH 채널을 디코딩하지 못한다는 것은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이 오래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QPCH 채널 디코딩이 실패하는 경우, PTT 액세스 단말은 오버헤드 채널들을 디코딩하여 자신의 오버헤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도6은 RSM 프로그램(48)이 동작하는 예시적인 이종 네트워크 토폴로지(56)를 보여준다. 액세스 단말(18)은 2개의 섹터들의 경계들에 위치한다. 제1 섹터(57)는 제1 액세스 단말(58)에 의해 커버된다. 제2 섹터(59)는 제2 액세스 포인트(60)에 의해 커버된다. 제1 섹터(57)는 서빙 섹터인데, 왜냐하면 액세스 단말(18)이 섹터(57)와 활성적으로 통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2 섹터(59)는 비-서빙 섹터인데, 왜냐하면 액세스 단말(18)의 사용자가 제2 섹터(59)로 또는 제2 섹터(59)로부터 음성 또는 데이터를 활성적으로 전송 또는 수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RSM 프로그램(48)은 액세스 단말(18)에 위치한다. 제1 액세스 포인트(58)는 백홀 연결(61)에 의해 제2 액세스 포인트(60)에 연결된다. 제1 액세스 포인트(58)는 또한 백홀 연결(62)에 의해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다.
일 예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58)는 3GPP LTE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따라서, 서빙 섹터(57)는 동기 섹터이다. 제2 액세스 포인트(60)는 IEEE 802.11 무선 기술을 구현하며, 비-서빙 섹터(58)는 비동기 섹터이다. RSM 프로그램(48)은 이종 네트워크들 사이에서의 핸드오프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제1 액세스 포인트(58)는 제1 파일럿 신호(63)를 전송하고, 제2 액세스 포인트(60)는 제2 파일럿 신호(64)를 전송한다. 이러한 이종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상이한 무선 기술들을 구현하는 다른 네트워크들이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다수의 무선 기술들을 구현하는 네트워크들로부터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액세스 단말(18)에 도달하는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한다. 또한, 액세스 단말(18)은 제1 액세스 포인트(58)와 동일한 무선 기술을 구현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하지만, 이러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은 이종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들이 사이클릭 프리픽스 사이즈 및 FFT 톤들과 같은 다른 동작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도7은 RSM 프로그램(48)이 파일럿 신호들을 사용하고 액세스 단말(18)에 대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러한 파일럿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는 일 방법의 단계들(65-72)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7의 단계들은 도6에 제시된 예시적인 이종 네트워크 토폴로지(56)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단계(65)에서, RSM 프로그램(48)은 제1 파일럿 신호(63), 제2 파일럿 신호(64), 및 다른 이종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검출한다. 제1 파일럿 신호(63)는 제1 무선 기술(즉, 3GPP LTE)을 구현하는 액세스 포인트(58)로부터 전송된다. 제2 파일럿 신호(64)는 제2 무선 기술(즉, IEEE 802.11)을 구현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60)로부터 전송된다. 이러한 예에서, 3GPP LTE 및IEEE 802.11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이다. 다른 예시적인 토폴로지들에서,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 모두가 하나의 무선 기술 타입을 구현하는 경우에도, 2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상이한 주파수, 타이밍 또는 다른 상이한 동작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2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구현되는 무선 기술들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66)에서, 주 검색 블록(49) 내의 소프트웨어 탐색 명령(55)은 다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예를 들면, 후보 그룹, 나머지 그룹, 활성 그룹, 선호 파일럿 리스트, 페이징 그룹, 퀵 페이징 세트, 액세스 그룹, 및 서빙섹터)로 할당한다.
단계(67)에서, RSM 프로그램(48)은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은 (i) 제1 액세스 포인트(58)로부터 제2 액세스 포인트(60)로의 핸드오프 관리, (ii) 액세스 단말(18)의 유휴 모드 관리, (iii) 액세스 단말(18)에 대한 파일럿 신호들의 활성 그룹 관리, 및 (iv) 액세스 단말(18)에 대한 오버헤드 파라미터 수집일 수 있다.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RSM 프로그램(48)은 어떤 파일럿 신호들이 각 그룹들에 존재하는지를 업데이트한다. 단계(68)에서,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 중 하나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오메트리를 가지는 경우, 소프트웨어 탐색 명령(55)은 상기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 하나를 선호 파일럿 리스트에 추가한다. 단계(69)에서, 섹터 파라미터 디코딩이 대응하는 섹터가 액세스 단말(18)로 페이지들을 전송할 것이라고 표시하면, 소프트웨어 탐색 명령(55)은 검출된 파일럿 신호들 중 하나를 페이징 그룹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비-서빙 섹터(59)에 대한 섹터 파라미터 디코딩이 섹터(59)가 액세스 단말(18)로 페이지를 전송할 것이라고 표시하면, 소프트웨어 탐색 명령(55)은 제2 파일럿 신호(64)를 페이지 그룹에 추가한다. 단계(70)에서, 파일럿 신호가 선호 파일럿 리스트에서 제거되면, 소프트웨어 탐색 명령(55)은 상기 파일럿 신호를 페이징 그룹에서 제거한다. 단계(71)에서, (i)퀵 채널 정보(QCI) 또는 확장된 채널 정보(ECI)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고, (ii) 섹터 파라미터 디코딩이 대응하는 섹터가 페이지들을 액세스 단말(18)로 전송할 것이라고 표시하면, 소프트웨어 탐색 명령(55)은 선호 파일럿 리스트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를 퀵 페이징 세트에 추가한다. 단계(72)에서, 파일럿 신호가 선호 파일럿 리스트에서 제거되면, 소프트웨어 탐색 명령(55)은 이러한 파일럿 신호를 퀵 페이징 세트에서 제거한다.
다른 단계에서, 소프트웨어 탐색 명령(55)은 활성 그룹을 구성한다. 액세스 단말(18)이 제1 액세스 포인트(58)로 PilotReport 메시지를 전송하면, 활성 그룹이 구성된다. 서빙 액세스 포인트(58)는 새로운 섹터들 및 액세스 포인트들을 활성 그룹에 추가하기 위해서 PilotReport 메시지를 사용한다. 비-서빙 섹터(59)가 활성 그룹에 추가된다. 새로이 추가된 섹터(59)의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제2 액세스 포인트(60)로부터 백홀 연결(61)을 통해 수신하고,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서빙 섹터(57)의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액세스 단말(18)로 전송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58)는 이러한 새로이 추가된 섹터(59)의 오버헤드 파라미터들을 액세스 단말(18)로 터널링한다.
도7의 방법에 제시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일 예일 뿐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계 선호도에 따라, 상기 방법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본 발명의 영역 내에서 재배열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 제시된 방법 청구항은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지만, 이러한 청구항이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러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블록, 모듈, 회로,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하여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소자들,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일반적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제시된 기능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이러한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18)의 메모리(410)는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일 예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ROM,EEPROM,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별한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되며, 이를 통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8)의 DSP(40)는 메모리(41)인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프로세서의 일 예이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DSP(40)와 같은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 또는 액세스 단말(18)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또는 액세스 단말에서 별개의 컴포넌트로 상주할 수 있다.
설명 목적으로 특정 실시예들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위에 제시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RSM 프로그램(48)은 위에서 액세스 단말(18)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RSM 프로그램(48)은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들이 동시에 실행되고, 주 검색 블록(49) 중 일부는 기지국에 존재하고, 일부는 액세스 단말(18)에 존재한다. 기준 신호 관리 시스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의 배치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제시된 특정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 변형, 및 조합들이 아래에 제시되는 청구범위의 영역에서 벗어남이 없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70)

  1. 방법으로서,
    제1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및 제2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검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제1 구성(configuration)을 갖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2 구성을 갖는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1 구성은 상기 제2 구성과는 상이함 -;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관리 기능(reference signal management func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액세스 단말의 핸드오프 관리, 상기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idle mode) 관리,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기준 신호들의 활성 그룹(active group) 관리, 및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 수집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상이한 시스템 기술들에 대응하며, 상기 상이한 시스템 기술들은 광역 네트워크(WAN) 기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기술, 및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기술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동일한 시스템 기술을 사용하며,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deployment parameters)을 사용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은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의 길이가 상이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은 사용되는 고속 퓨리어 변환(FFT) 톤들의 수가 상이한,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파라미터들은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들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의 상기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들은 공통 동기화 소스의 결여(lack)로 인해 상기 제2 구성의 상기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들과 상이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의 연결 상태 모드(connected state mode)에서,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기준 신호 에너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광대역 신호 및 협대역 신호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신호는 시분할 멀티플렉싱된(TDM) 포착 기준 신호(acquisition reference signal)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기준 신호는 전력-부스트된(power-boosted) 주파수 캐리어인,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은 서빙 섹터로 로킹(lock)되며,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전송한 새로운 섹터가 상기 서빙 섹터와 비동기화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각각의 검출된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신호 에너지 및 상대적인 에너지를 계산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서빙 섹터이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비-서빙 섹터이며, 상기 비-서빙 섹터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는 상기 서빙 섹터의 액세스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서 백홀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포워딩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서빙 섹터이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비-서빙 섹터이며, 상기 비-서빙 섹터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포워딩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페이징 사이클 동안 상기 액세스 단말이 웨이크-업(wake up)하는 경우 포착 기준 신호 탐색을 개시하는 단계;
    검출된 기준 신호들을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preferred reference signal list)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을 페이징 그룹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그룹 내의 기준 신호들의 페이징 채널들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채널들의 디코딩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표시하면, 슬립(sleep) 상태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한 그룹의 검출된 기준 신호들을 유지하고, 상기 그룹은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의 연결 상태 모드에서,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 내의 기준 신호들이 후보 그룹, 나머지 그룹, 및 활성 그룹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서브그룹들에 추가적으로 할당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기준 신호들 중 하나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대적인 에너지를 가지는 경우, 상기 검출된 기준 신호들 중 하나를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에서,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 내의 기준 신호들이 페이징 그룹, 퀵 페이징 세트, 액세스 그룹 및 서빙 섹터 그룹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서브 그룹에 추가로 할당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 내의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시스템 구성 정보의 디코딩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액세스 단말로 페이지들을 전송할 것이라고 표시하면,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 내의 기준 신호를 상기 페이징 그룹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그룹으로부터의 기준 신호가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페이징 그룹으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로부터의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시스템 구성 정보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다면,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로부터의 기준 신호를 액세스 그룹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로부터의 기준 신호가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에서 가장 강한 기준 신호이고, 상기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시스템 구성 정보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다면,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서빙 섹터 그룹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면, 새로운 섹터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새로운 섹터로부터의 시스템 구성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조건들을
    상기 새로운 섹터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가 미지임;
    알려진 시스템 구성 정보의 유효기간이 종료됨;
    알려진 시스템 구성 정보의 유효기간이 푸쉬-투-토크 단말에 대해 곧 종료함;
    감시 타이머(supervision timer)가 0 임; 및
    상기 새로운 섹터의 상대적인 에너지가 미리 결정된 오버헤드 디코딩 임계치를 초과함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1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6. 액세스 단말로서,
    프로세서;
    저장 매체; 및
    상기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액세스 단말로 하여금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할당하고, 그리고
    상기 검출된 기준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들은 제1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및 제2 기준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제1 구성(configuration)을 갖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2 구성을 갖는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1 구성은 상기 제2 구성과는 상이하며,
    상기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은 상기 액세스 단말의 핸드오프 관리, 상기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idle mode) 관리, 상기 검출된 기준 신호들의 활성 그룹(active group) 관리, 및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 수집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액세스 단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상이한 시스템 기술들에 대응하며, 상기 상이한 시스템 기술들은 광역 네트워크(WAN) 기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기술, 및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기술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액세스 단말.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동일한 시스템 기술을 사용하며,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deployment parameters)을 사용하는, 액세스 단말.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은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의 길이가 상이한, 액세스 단말.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은 사용되는 고속 퓨리어 변환(FFT) 톤들의 수가 상이한, 액세스 단말.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파라미터들은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들인, 액세스 단말.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의 상기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들은 GPS 동기화의 결여(lack)로 인해 상기 제2 구성의 상기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들과 상이한, 액세스 단말.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의 연결 상태 모드(connected state mode)에서,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기준 신호 에너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광대역 신호 및 협대역 신호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액세스 단말.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신호는 시분할 멀티플렉싱된(TDM) 포착 기준 신호(acquisition reference signal)인, 액세스 단말.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기준 신호는 전력-부스트된(power-boosted) 비컨 기준 신호인, 액세스 단말.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은 서빙 섹터로 로킹(lock)되며,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2 기준 신호를 전송한 새로운 섹터가 상기 서빙 섹터와 비동기화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액세스 단말.
  3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각각의 검출된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신호 에너지 및 상대적인 에너지를 계산하는, 액세스 단말.
  3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한 그룹의 검출된 기준 신호들을 유지하고, 상기 그룹은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인, 액세스 단말.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의 연결 상태 모드에서,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 내의 기준 신호들이 후보 그룹, 나머지 그룹, 및 활성 그룹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서브그룹들에 추가적으로 할당되는, 액세스 단말.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에서,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 내의 기준 신호들이 페이징 그룹, 퀵 페이징 세트, 액세스 그룹 및 서빙 섹터 그룹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서브 그룹에 추가로 할당되는, 액세스 단말.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로부터의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시스템 구성 정보의 디코딩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액세스 단말로 페이지들을 전송할 것이라고 표시하면,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로부터의 기준 신호를 상기 페이징 그룹에 추가하는, 액세스 단말.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그룹으로부터의 기준 신호가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페이징 그룹으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를 제거하는, 액세스 단말.
  43. 제26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면, 새로운 섹터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오버헤드 채널들을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새로운 섹터로부터의 시스템 구성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조건들을
    상기 새로운 섹터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가 미지임;
    알려진 시스템 구성 정보의 유효기간이 종료됨;
    알려진 시스템 구성 정보의 유효기간이 푸쉬-투-토크 단말에 대해 곧 종료함;
    감시 타이머(supervision timer)가 0 임; 및
    상기 새로운 섹터의 상대적인 에너지가 미리 결정된 오버헤드 디코딩 임계치를 초과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44. 프로세서-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로서,
    상기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실행은 기준 신호들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 하여금 다음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제1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및 제2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검출하는 동작 -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제1 구성(configuration)을 갖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2 구성을 갖는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1 구성은 상기 제2 구성과는 상이함 -;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할당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관리 기능(reference signal management function)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액세스 단말의 핸드오프 관리, 상기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idle mode) 관리,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기준 신호들의 활성 그룹(active group) 관리, 및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 수집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상이한 시스템 기술들에 대응하며, 상기 상이한 시스템 기술들은 광역 네트워크(WAN) 기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기술, 및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기술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동일한 시스템 기술을 사용하며,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deployment parameters)을 사용하는,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
  47.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은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의 길이가 상이한,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은 사용되는 고속 퓨리어 변환(FFT) 톤들의 수가 상이한,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파라미터들은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들인,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
  50.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의 연결 상태 모드(connected state mode)에서, 상기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실행은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기준 신호 에너지가 검출되게 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광대역 신호 및 협대역 신호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
  51.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실행은 기준 신호들을 관리하기 위한 상기 장치로 하여금 하기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페이징 사이클 동안 상기 액세스 단말이 웨이크-업(wake up)하는 경우 포착 기준 신호 탐색을 개시하는 동작;
    검출된 기준 신호들을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preferred reference signal list)에 추가하는 동작;
    상기 선호 기준 신호 리스트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을 페이징 그룹에 추가하는 동작;
    상기 페이징 그룹 내의 기준 신호들의 페이징 채널들을 디코딩하는 동작; 및
    상기 페이징 채널들의 디코딩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표시하면, 슬립(sleep) 상태로 진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한 세트의 프로세서-실행가능한 명령들.
  52. 장치로서,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는 액세스 단말 상의 수신기; 및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할당하고, 그리고 상기 검출된 기준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들은 제1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및 제2 기준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제1 구성(configuration)을 갖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2 구성을 갖는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1 구성은 상기 제2 구성과는 상이하며,
    상기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은 상기 액세스 단말의 핸드오프 관리, 상기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idle mode) 관리, 상기 검출된 기준 신호들의 활성 그룹(active group) 관리, 및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 수집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상이한 시스템 기술들에 대응하며, 상기 상이한 시스템 기술들은 광역 네트워크(WAN) 기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기술, 및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기술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장치.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동일한 시스템 기술을 사용하며,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은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deployment parameters)을 사용하는,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은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의 길이가 상이한, 장치.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배치 파라미터들은 사용되는 고속 퓨리어 변환(FFT) 톤들의 수가 상이한, 장치.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파라미터들은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파라미터들인, 장치.
  58.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의 연결 상태 모드(connected state mode)에서, 상기 수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기준 신호 에너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광대역 신호 및 협대역 신호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장치.
  59. 방법으로서,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검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제1 무선 기술을 구현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2 무선 기술을 구현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상기 제2 무선 기술과 동일하지 않음 -;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관리 기능(reference signal management func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액세스 단말의 핸드오프 관리, 상기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idle mode) 관리,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기준 신호들의 활성 그룹(active group) 관리, 및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 수집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광대역-CDMA(W-CDMA), LCR(Low Chip Rate) , IS-2000, IS-95, IS-856,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이벌브드-UTRA (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플래쉬-OFDM, UMB(Ultra-Mobile Wideband), 및 3GPP LTE(Long Term Evolution)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방법.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제1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3GPP LTE이며, 상기 제2 무선 기술은 제2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3GPP LTE인, 방법.
  62.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제1 개수의 고속 퓨리어 변환(FFT) 톤들을 사용하는 이벌브드 UTRA이며, 상기 제2 무선 기술은 제2 개수의 고속 퓨리어 변환(FFT) 톤들을 사용하는 이벌브드 UTRA인, 방법.
  63.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제1 전송 주파수를 사용하는 GSM이며, 상기 제2 무선 기술은 제2 전송 주파수를 사용하는 GSM이며, 방법.
  64. 액세스 단말로서,
    프로세서;
    저장 매체; 및
    상기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는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액세스 단말로 하여금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기준 신호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할당하고, 그리고
    상기 검출된 기준 신호들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들은 제1 기준 신호 및 제2 기준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준 신호는 제1 무선 기술을 구현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제2 무선 기술을 구현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상기 제2 무선 기술과 동일하지 않으며,
    상기 기준 신호 관리 기능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로의 상기 액세스 단말의 핸드오프 관리, 상기 액세스 단말의 유휴 모드(idle mode) 관리,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기준 신호들의 활성 그룹(active group) 관리, 및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 수집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액세스 단말.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광대역-CDMA(W-CDMA), LCR(Low Chip Rate) , IS-2000, IS-95, IS-856,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이벌브드-UTRA (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플래쉬-OFDM, UMB(Ultra-Mobile Wideband), 및 3GPP LTE(Long Term Evolution)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취해지는, 액세스 단말.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제1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3GPP LTE이며, 상기 제2 무선 기술은 제2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3GPP LTE인, 액세스 단말.
  67.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제1 개수의 고속 퓨리어 변환(FFT) 톤들을 사용하는 이벌브드 UTRA이며, 상기 제2 무선 기술은 제2 개수의 고속 퓨리어 변환(FFT) 톤들을 사용하는 이벌브드 UTRA인, 액세스 단말.
  68.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제1 전송 주파수를 사용하는 GSM이며, 상기 제2 무선 기술은 제2 전송 주파수를 사용하는 GSM이며, 액세스 단말.
  69.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 및 상기 제2 무선 기술은 모두 3GPP LTE이지만, 상기 제1 무선 기술은 제1 타이밍을 사용하며, 상기 제2 무선 기술은 제2 타이밍을 사용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서로에 대해 시간 동기화되지 않는, 액세스 단말.
  70. 제64항에 있어서,
    상가 액세스 단말의 연결 상태 모드에서, 상기 기준 신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기준 신호의 상대 신호 에너지를 검출하며,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광대역 신호 및 협대역 신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취해지는, 액세스 단말.
KR1020107023964A 2008-03-28 2009-03-10 이동 시스템들에서 기준 신호 관리 KR201001268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061708P 2008-03-28 2008-03-28
US61/040,617 2008-03-28
US12/349,399 US8208920B2 (en) 2008-03-28 2009-01-06 Reference signal management in mobile systems
US12/349,399 2009-0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837A true KR20100126837A (ko) 2010-12-02

Family

ID=4091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964A KR20100126837A (ko) 2008-03-28 2009-03-10 이동 시스템들에서 기준 신호 관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208920B2 (ko)
EP (1) EP2266347A1 (ko)
JP (1) JP5373049B2 (ko)
KR (1) KR20100126837A (ko)
CN (1) CN101981969A (ko)
AU (1) AU2009228915B2 (ko)
CA (1) CA2717645A1 (ko)
IL (1) IL207676A0 (ko)
MX (1) MX2010010611A (ko)
MY (1) MY152378A (ko)
RU (1) RU2010144074A (ko)
UA (1) UA101655C2 (ko)
WO (1) WO20091204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877A1 (en) * 2012-02-29 2013-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85925A (ko) * 2013-04-24 2020-07-15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광대역 측정 신호들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5092A1 (en) * 2008-03-28 2009-10-0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processe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fast fourier transformation and beacon searching
US8625572B2 (en) * 2008-12-19 2014-01-07 Nokia Corporation Synchronization indication in networks
KR20100080288A (ko) * 2008-12-31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갱신
US8542707B2 (en) * 2009-05-18 2013-09-24 Airvana Llc Multi-carrier system selection
CN102301804B (zh) * 2010-01-08 2014-01-08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上行链路同步方法、移动台及基站
US9136997B2 (en) 2010-05-04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US8995465B2 (en) * 2010-05-04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patterns
JP5243501B2 (ja) 2010-08-12 2013-07-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移動機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CN102098265B (zh) * 2011-03-08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参考信号接收功率的方法和装置
KR20130003104A (ko) * 2011-06-30 2013-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복조 방법 및 장치
US9036496B2 (en) * 2012-01-0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overhead message updat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GB2490985B (en) * 2012-01-30 2013-06-19 Renesas Mobil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a transmission mode
US20130194108A1 (en) * 2012-01-30 2013-08-01 Telcordia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Control Device and Program for Vehicle Collision Avoidance Using Cellular Communication
US9125154B2 (en) * 2012-08-14 2015-09-01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simultaneous receiv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9351184B2 (en) * 2012-11-02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medium access parameters
US9854459B2 (en) * 2013-03-12 2017-12-26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based alarming and network-based reconfiguration
EP3066878B1 (en) * 2013-11-10 2018-08-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ver-the-air frequency and time synchronization for small cells
JP6364834B2 (ja) * 2014-03-13 2018-08-01 アイコム株式会社 無線機および近距離無線通信方法
US10182417B2 (en) * 2015-08-19 2019-0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camping on sectors and terminal device
US9713038B2 (en) 2015-11-17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terminated call performance during single radio long term evolution (LTE) mode
KR101811221B1 (ko) * 2016-02-17 2017-12-21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신호 분석기의 wcdma 신호 타이밍 오프셋 처리 방법
CN108282861B (zh) 2017-01-05 2022-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寻呼信息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12438025A (zh) * 2018-07-13 2021-03-02 索尼公司 时间重叠的波束扫描传输
US10972950B2 (en) * 2018-07-20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over enhance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2346A (en) * 1987-03-24 1990-11-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igh-frequency signal booster
US5978679A (en) * 1996-02-23 1999-11-02 Qualcomm Inc. Coexisting GSM and CDM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6038448A (en) 1997-07-23 2000-03-1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hand-off based upon relative pilot signal strengths
CN1965513B (zh) * 2004-05-01 2014-11-26 桥扬科技有限公司 用于以时分双工进行通信的方法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877A1 (en) * 2012-02-29 2013-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55090B2 (en) 2012-02-29 201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85925A (ko) * 2013-04-24 2020-07-15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광대역 측정 신호들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2378A (en) 2014-09-15
JP5373049B2 (ja) 2013-12-18
RU2010144074A (ru) 2012-05-10
US20090247156A1 (en) 2009-10-01
UA101655C2 (uk) 2013-04-25
US8208920B2 (en) 2012-06-26
AU2009228915B2 (en) 2013-05-23
EP2266347A1 (en) 2010-12-29
CA2717645A1 (en) 2009-10-01
WO2009120491A1 (en) 2009-10-01
JP2011517540A (ja) 2011-06-09
CN101981969A (zh) 2011-02-23
AU2009228915A1 (en) 2009-10-01
IL207676A0 (en) 2010-12-30
MX2010010611A (es)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28915B2 (en) Reference signal management in mobile systems
EP29210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state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8022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discontinuous reception-adaptive neighbor cell search duration
US20090247164A1 (en) Handoff algorithm and architecture for mobile system
JP6848005B2 (ja) ワイヤレスモデムにおける動的電圧および周波数スケーリング
CN112187428B (zh) 无线电信网络中的网络节点和方法
EP3639573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US775654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uses a multi-mode base station
KR101631782B1 (ko) 불연속 수신 동안 무선 측정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8736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포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2586049A (zh) Nr空闲中的寻呼和测量
EP3381229B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establish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configuration
US20070066273A1 (en) Wireless termina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uses a multi-mode base station
CN113906792A (zh) 无线通信系统中的控制信道监视
KR102262125B1 (ko) 간섭 억제를 위한 적응형 공통 참조 신호(crs)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90125417A (ko) 제어 신호들을 위한 리소스들을 할당하여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노드, 네트워크 노드 및 방법들
KR102421507B1 (ko) 간섭 억제를 위한 적응형 공통 참조 신호(crs)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7136589A (zh) 用于在无线网络中唤醒突发的方法、设备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