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938A -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 - Google Patents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938A
KR20100123938A KR1020090042913A KR20090042913A KR20100123938A KR 20100123938 A KR20100123938 A KR 20100123938A KR 1020090042913 A KR1020090042913 A KR 1020090042913A KR 20090042913 A KR20090042913 A KR 20090042913A KR 20100123938 A KR20100123938 A KR 20100123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ropeller
power
pants
b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3938A/ko
Publication of KR20100123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Abstract

본 발명은 조파에 의해 발생하는 거대 부유물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 반 영구적으로 발전을 할 수 있는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풍력 또는 조류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의 조파력을 활용하여 이를 특정 부유물 설비의 횡/종동요 운동을 유발하게 하고, 이를 다시 설비 내부의 유체를 이동하게 하여 그를 활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설비를 제공할 수 있는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고, 유량의 흐름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프로펠러 또는 터빈 장치,
상기 프로펠러 또는 터빈 장치에 연결되어 발전하며, 제어 장치로부터 정보들 받아 프로펠러의 저항도를 제어하며, 상기 프로펠러와 마찬가지로 양방향 회전에 대해 발전이 가능한 발전 유닛;
덕트의 형태를 가지며, 설치 공간과 선박의 크기, 복원성 등을 고려하여 크기를 정하는 유량 덕트 또는 도관;
주로 발라스트 수가 되며, 선체의 양측에 설치된 유량을 저장하는 탱크;
바지(barge)가 최종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유체;
바지에 결박되며, 발전된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라인; 및
바지 전체의 복원력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하는 중량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전 바지, 발전 유닛, 프로펠러, 탱크, 중량물

Description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Power Generating Barge Using Kinetic Energy of Floating Matters Due to Wave}
본 발명은 해양에 특정 발전 장치를 가지는 부유물 설비에 관한 기술 및 그 관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파에 의해 발생하는 거대 부유물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 반 영구적으로 발전을 할 수 있는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전기를 생산할 목적으로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하는 조력 발전 방법 등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수 간만의 차가 큰 장소를 찾기가 쉽지 않으며, 또한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은 오랜 건설시간과 건설비용이 수반되며, 시스템의 가동시간의 제약 등으로 비효율적인 전력 생산의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항시 생성 소멸되는 파도의 상하 운동에너지를 회전운동 에너지로 간단히 변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파력 발전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파도에 의한 선박 내의 부유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 구현한 예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풍력 또는 조류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의 조파력을 활용하여 이를 특정 부유물 설비의 횡/종동요 운동을 유발하게 하고, 이를 다시 설비 내부의 유체를 이동하게 하여 그를 활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설비를 제공할 수 있는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고, 유량의 흐름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프로펠러 또는 터빈 장치,
상기 프로펠러 또는 터빈 장치에 연결되어 발전하며, 제어 장치로부터 정보들 받아 프로펠러의 저항도를 제어하며, 상기 프로펠러와 마찬가지로 양방향 회전에 대해 발전이 가능한 발전 유닛;
덕트의 형태를 가지며, 설치 공간과 선박의 크기, 복원성 등을 고려하여 크기를 정하는 유량 덕트 또는 도관;
주로 발라스트 수가 되며, 선체의 양측에 설치된 유량을 저장하는 탱크;
바지(barge)가 최종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유체;
바지에 결박되며, 발전된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라인; 및
바지 전체의 복원력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하는 중량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체가 모션을 함에 따라 양 탱크 내의 유체는 유관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마치 자유 표면수 효과(Free surface moment effect)를 일으켜 선박의 동요 주기를 늘이게 된다. 동시에 유량이 흐르는 것을 프로펠러 장비를 이용해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충분한 발전 효율을 내기 위해서 바지 선체에는 최대한 긴 동요 주기를 가져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높은 VCG를 설정하여야 하고, 가급적 파고가 높고 큰 해상에 설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지선은 한번 해상에 설치되면 파도에 따라 반 영구적으로 운동을 하게 되며, 이를 발전하여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이론적인 배경이 되는 횡동요에 대해 설명한다.
즉, 선박의 복원 모멘트 = Displ × GZ
여기서 Displ: 선박의 변위, GZ : 선박의 복원 암(arm)
여기서 선박의 복원 암 GZ는 근사적으로 GZ = GM T × sinθ
θ : 선박의 횡경사각
GM : 선박의 무게중심으로부터 Metacentricheight(배의 중력 중심과 배의 경심(傾心) 사이의 거리)까지의 수직 거리
선체 내 유체의 자유 이동으로 인한 자유표면효과의 복원력 감소 효과는
Figure 112009029425702-PAT00001
상기 식을 종합해볼 때에 선박의 횡경사시 유체의 이동은 GG'값을 증가시키고, 이는 곧 선박의 복원 암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달리 말하면 GM값의 감소)
선박의 롤링 주기 T는
Figure 112009029425702-PAT00002
로 된다.
유체의 폭방향 자유이동은 복원력을 감소시키고, 횡동요 주기를 길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전 바지의 발전 개념을 설명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전 유닛(2)에 연결되어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고, 유량의 흐름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프로펠러 또는 터빈 장치(1), 상기 프로펠러 또는 터빈 장치(1)에 연결되어 발전하며,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 정보들 받아 프로펠러의 저항도(뻑뻑함)를 제어하며, 상기 프로펠러와 마찬가지로 양방향 회전에 대해 발전이 가능한 발전 유닛(2), 덕트의 형태를 가지며, 설치 공간과 선박의 크기, 복원성 등을 고려하여 크기를 정하는 유량 덕트 또는 도관(3), 주로 발라스트 수가 되며, 선체의 양측에 설치된 유량을 저장하는 탱크(4), 선폭이 최대에 이르는 중앙부에서 선체의 롤 운 동에 의한 영향도가 가장 큰 선체 중앙부(5)로 구성된다.
도 1은 또한 탱크(4)를 잇는 유관인 파이프라인 모식도로서, 여러 개의 파이프 라인이나 직육면체 형태의 덕트 등 양 탱크 사이에 유량이 소통하게 하는 모든 방법이 가능하다.
고안된 장치의 탱크(4)의 양방향 유체는 얼마나 자유롭게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 한가에 따라 자유 표면 효과가 변한다. 이는 즉, 횡동요 주기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프로펠러(1) 또는 터빈은 유관(3)을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프로펠러의 저항도(damping)를 제어하는 것이 발전 유닛이다. 프로펠러 축에 연결된 기어를 변경시킴으로써 프로펠러의 회전을 고속 회전 또는 저속회전으로 변환시키는데, 이 회전력이 발전에 사용되므로 고속회전 변환시에는 프로펠러(1)가 더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프로펠러의 저항(damping)이 클 때에는 자유수 이동에 의한 GM저감 효과(이하 자유표면효과)가 적어지고, 저항이 작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빠르고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므로 자유표면효과가 커질 것이다. 선박의 화물 적재 상태에 따라 지나치게 높은 복원력을 갖고 있으면 선박의 횡동요 주기도 짧아져 선원에게 승선시 불쾌감을 주고, 데크 상부에 있는 화물이 심한 가속력을 받아 떨어지기도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러한 선박복원 특성을 발전장치의 제어 유닛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자유표면 효과로 지나치게 짧은 횡동요 주기를 늘이고, 파도 에너지에서 기인하는 유체의 이동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선체의 횡동요 운동 자 체를 저감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처음에 S10 단계에서 선박 LCS(Loading Computer System) 선박 초기 GM 및 화물 적재 상태 정보인 계측장비로부터의 정보를 입수한다. 이어서 S20 단계에서 선박의 GM을 계측한다. 선박의 GM이 임계적으로 낮은 경우 유관 밸브를 닫음으로써(S30) GM 감소 효과가 없어진다(S40). 상기 단계 S20에서의 계측결과 GM이 높은 경우, 로우 댐핑(즉, 저속 기어)을 하고, 그러면 유관의 유량 이동이 증가(S60)하고, GM이 대량 감소하여(자유표면효과가 나타나고)(S70), 선박의 횡동요 주기가 증가하고(S80), 또한, 상기 단계 S20에서 GM이 낮은 경우, 하이 댐핑(즉, 고속 기어)을 하면(S90), GM이 소량 감소(S100)하게 되는데, 이러한 절차를 거쳐서 선박의 힐 앵글(Heel angle)을 계측하고, 횡동요 주기를 계측한다(S110). 그런데 상기 단계S50, S60, S70, S80, S90, 및 S100의 단계에서 발전 유닛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선박의 롤링을 저감하여, 선박의 횡동요 운동이 감소하게 된다(S120). 상기 단계S110에서의 선박의 힐 앵글을 계측하고, 횡동요 주기를 계측하고 다시 단계S10으로 복귀하여 순환적인 동작을 지속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발전 유닛에 의해 회전 저항력이 발생되는 기어 구조를 도시한다.
발전 유닛 기어(10)가 큰 기어로 프로펠러 기어(30)에 물리면 로우 댐핑 모드로서 유량의 흐름에 의해 발생한 프로펠러 축(40)의 회전 운동이 무리없이 전달된다.
이와는 달리 발전 유닛(2; 도1)의 기어(10)가 작은 기어가 프로펠러 기어(30)에 물리면 하이 댐핑 모드로서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발전기를 구동해야 하기 때문에 축(10')에 큰 힘이 걸리게 된다. 이렇게 발전 유닛(2)은 기본적으로 발전 유닛의 박스안에 설비된 기어축을 변경함으로써 유량에 대응하는 회전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기어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발전기 축(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궁극적으로는 이에 연결된 터빈 장치 또는 프로펠러의 뻑뻑함을 조절하며, 발전 장치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도면에서 20'는 터빈 장치 또는 프로펠러에 연결된 축으로서 유량의 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도 5는 도 2의 발전 유닛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발전 유닛(2)은 터빈 또는 프로펠러 등이 장착되어 유량이 지나갈 시에 이를 회전운동으로 바꾸고 다시 이를 전기 에너지로 바꾼다. 6은 리버서블 펌프로서 선박의 평형 유지시에 사용한다. 7은 잠금 밸브로서 필요시 유량의 흐름을 제어한다. 3은 유관 즉, 파이프라인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이프 라인 또는 유량이 지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통로가 가능하다.
도 5a는 롤링의 처음 발생시 본 발명의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롤링의 발생시 선박의 기울어짐에 따라 압력차가 발생하고 이것이 유관을 통해 유량의 흐름을 발생시키게 되며, 발전 유닛(2)을 작동시켜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기울어진 쪽의 유량은 적절한 양으로 흐르도록 제어되며, 발전유닛(2)의 댐핑 효과 에 의해 천천히 증가한다.
도 5b는 선박의 횡방향 복원력에 따른 반대쪽의 롤링 시의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의 횡방향 복원력에 의해 반대쪽 롤링 운동이 시작된다. 이번에는 반대 방향으로의 유량이 발생하고, 이것 또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유량 불균형은 발전 유닛의 댐핑 효과에 의한 롤 주기와 시간차를 가지게 되는데 이것이 롤 모션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발전 바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 있어서, 프로펠러 또는 터빈 장치(1)는 발전 유닛(2)에 연결되어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고, 유량의 흐름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펠러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발전 유닛(2)은 프로펠러 또는 터빈 장치에 연결하며, 도시치 않은 제어장치로부터 정보를 받아 프로펠러의 저항도를 제어한다. 프로펠러와 마찬가지로 양방향 회전에 대해 발전이 가능하다. 유관(3)은 덕트의 형태를 가지며, 설치공간과 선박의 크기 복원성 등을 고려하여 크기를 정한다. 탱크(4)는 유체를 담고 있으며, 유관 또는 덕트의 형태를 가지며, 설치 공간과 선박의 크기, 복원성 등을 고려하여 크기를 정한다. 결박 장치 및 송전 라인(8)은 바지 선체에 결박되어 이동을 방지하고, 발전된 전력을 송전한다. 송전 라인은 여러 가닥의 알루미늄선으로 이루어진다. 부유체(9)는 바지가 최종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중량물(11)은 바지 전체의 복원력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한다.
도 7은 도 6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유관 및 발전 유닛(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 설치된다. 바지 선체 형상 및 탱크(4) 개수는 여러 형태가 될 수 있 다. 9는 복원력을 위한 부유체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체가 모션을 함에 따라 양 탱크 내의 유체는 유관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마치 자유 표면수 효과(Free surface moment effect)를 일으켜 선박의 동요 주기를 늘이게 된다. 동시에 유량이 흐르는 것을 프로펠러 장비를 이용해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충분한 발전 효율을 내기 위해서 바지 선체에는 최대한 긴 동요 주기를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높은 VCG를 설정하여야 하고, 가급적 파고가 높고 큰 해상에 설치해야 한다. 본 바지선은 한번 해상에 설치되면 파도에 따라 반 영구적으로 운동을 하게 되며, 이를 발전하여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일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횡동요 저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발전 유닛에 의해 회전 저항력이 발생되는 기어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기어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발전 유닛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롤링의 처음 발생시 본 발명의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선박의 횡방향 복원력에 따른 반대쪽의 롤링 시의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발전 바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로펠러 2: 발전 유닛
3: 유량 덕트 4: 탱크
5: 선체 중앙부 6: 리버서블 펌프
7: 잠금 밸브 8: 결박 장치 및 송전 라인
9: 부유체 10: 발전 유닛 기어
11:중량물 20: 발전기 축
30: 프로펠러 기어 40:프로펠러 축

Claims (2)

  1.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고, 유량의 흐름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프로펠러 또는 터빈 장치,
    상기 프로펠러 또는 터빈 장치에 연결되어 발전하며, 제어 장치로부터 정보들 받아 프로펠러의 저항도를 제어하며, 상기 프로펠러와 마찬가지로 양방향 회전에 대해 발전이 가능한 발전 유닛;
    덕트의 형태를 가지며, 설치 공간과 선박의 크기, 복원성 등을 고려하여 크기를 정하는 유량 덕트 또는 도관;
    주로 발라스트 수가 되며, 선체의 양측에 설치된 유량을 저장하는 탱크;
    바지(barge)가 최종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유체;
    바지에 결박되며, 발전된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 라인; 및
    바지 전체의 복원력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하는 중량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의 선체 형상 및 상기 탱크의 개수는 여러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
KR1020090042913A 2009-05-18 2009-05-18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 KR20100123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913A KR20100123938A (ko) 2009-05-18 2009-05-18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913A KR20100123938A (ko) 2009-05-18 2009-05-18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938A true KR20100123938A (ko) 2010-11-26

Family

ID=4340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913A KR20100123938A (ko) 2009-05-18 2009-05-18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39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94B1 (ko) * 2010-10-29 2011-09-30 한국전력공사 파력 발전 장치
KR200476237Y1 (ko) * 2014-11-07 2015-02-11 임채규 발전 설비를 구비한 바지선
KR20150055256A (ko) * 2013-11-13 2015-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능동형 횡 동요 저감장치
NO339797B1 (no) * 2015-03-30 2017-01-30 Eidesvik As Arrangement for energigjenvinning fra en væskefylt tan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94B1 (ko) * 2010-10-29 2011-09-30 한국전력공사 파력 발전 장치
KR20150055256A (ko) * 2013-11-13 2015-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능동형 횡 동요 저감장치
KR200476237Y1 (ko) * 2014-11-07 2015-02-11 임채규 발전 설비를 구비한 바지선
NO339797B1 (no) * 2015-03-30 2017-01-30 Eidesvik As Arrangement for energigjenvinning fra en væskefylt ta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4283B2 (ja) 多メガワット海流エネルギー抽出装置
US9885336B2 (en) Wave power generation system
EP2467594B1 (en) Tuned rolling wave energy extractor
US20080012345A1 (en) Tethered propgen
JP7039159B2 (ja) 波エネルギー変換装置
AU2010315193A1 (en) Wave energy conversion device
NO326269B1 (no) Innretning for utnyttelse av havbolgeenergi.
KR20110015261A (ko) 가동물체형 파력발전장치
US20140042749A1 (en) Ocean floor mounting of wave energy converters
CN111094739B (zh) 波浪动力产能器
KR20100113202A (ko) 선박용 횡동요 저감장치
KR20100123938A (ko) 조파에 의한 부유물 운동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바지
EP2432985A1 (en) Water wave energy converter
WO2010109233A2 (en) Horizontal axis turbine assembly and hydro-power generation apparatus
US20130038064A1 (en) System for generation energy from ocean wave movement
GB2556971A (en) Orca wave energy inversion system
GB2460832A (en) Rocking buoy wave energy converter with submerged turbines
RU2554431C2 (ru) Гид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Boo et al. Preliminary design and analysis of mooring buoy for an arrayed WEC platform
KR20220024182A (ko) 부유성 회전 가능한 해양 변환기
CN101988462B (zh) 水能接收装置
AU2016204694A1 (en) A floating wave energy conversion system
US20230383721A1 (en) Wave Energy Converter Using Bucket Turbine and Hydraulic System
Dehlsen et al. Submerged electricity generation plane with marine current-driven mo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