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229A -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 - Google Patents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229A
KR20100123229A KR1020090042335A KR20090042335A KR20100123229A KR 20100123229 A KR20100123229 A KR 20100123229A KR 1020090042335 A KR1020090042335 A KR 1020090042335A KR 20090042335 A KR20090042335 A KR 20090042335A KR 20100123229 A KR20100123229 A KR 20100123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sterilization
humidifier
humidify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현
정영철
유영종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엠파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워(주) filed Critical 엠파워(주)
Priority to KR102009004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3229A/ko
Publication of KR2010012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수단 측으로 오존을 공급하여 가습수단에 담수된 물을 살균함으로써 담수된 물의 오염을 사전에 차단시켜 가습된 수증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멸균장치는 피처리물을 수납하는 멸균챔버와, 상기 멸균챔버를 가습하는 가습수단과, 상기 멸균챔버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수단과 상기 멸균챔버를 배기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멸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단과 오존발생수단 사이에는 오존가스를 공급하여 가습수단 내에 의 물을 살균하게 하는 오존가스공급라인을 구비하게 한다.
멸균, 오존, 가습

Description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device for sterilization having the sterilization function of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수단 측으로 오존을 공급하여 가습수단에 담수된 물을 살균함으로써 담수된 물의 오염을 사전에 차단시켜 가습된 수증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 등의 의료 기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일회용 의료도구 또는 재사용 의료도구는 그 사용 전에 완전한 멸균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의료도구를 멸균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멸균 방법으로는 고온 고압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방법과, 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이용하는 방법, 최근 각광받고 있는 과산화수소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고온 고압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피멸균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완전하게 멸균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캐리어 가스로 지구환경오염의 주범인 CFC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야기될 수 있고, 살균 처리 후 잔존하는 에틸렌 옥사이드를 제거하는 장 시간의 통기시간이 추가로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과산화수소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방법은 반응용기 내부를 대기압보다 매우 낮은 압력으로 유지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멸균시키는 방법이므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장치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멸균 과정에서 반응 용기 내부의 온도가 50℃ 이상의 고온으로 상승하므로 플라스틱 재질의 용구의 멸균에 부적합한 문제점도 있다.
이에 오존을 이용한 멸균장치가 개시되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멸균장치는 피처리물을 수납하는 멸균함(10)과,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발생부(20) 및 상기 오존발생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30)가 구비된다.
또한 멸균함(10)의 내부 공간과 오존 발생부(20)를 연결시키는 순환연결로(40)와, 상기 순환 연결로(40)를 통과하는 기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50)와, 상기 순환 연결로(40)를 통과하는 기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부(60)가 더 마련된다.
또한 상기 멸균함(1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70)과 배기 펌프(80)가 더 마련되며, 배기된 오존을 분해하는 오존분해수단(90)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멸균장치는 오존에 전적으로 의존하는데, 이러한 오존의 농도 및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 균일한 멸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8-0044309호에서 멸균챔버를 가습하는 멸균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개량된 멸균장치(100)는 멸균챔버(110)와, 가습수단(131)과, 오존발생수단(141)과, 배기수단(121)을 포함한다.
상기 멸균챔버(110)와 상기 오존발생수단(141)은 공지의 요소이다.
또한 상기 오존발생수단(141)에서 생성된 오존은 오존공급라인(L3)을 따라 멸균챔버(110)로 공급되는데, 상기 오존공급라인(L3)상에는 압력밸브(142)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존공급라인(L3)상에는 압력밸브(142)를 통해 공급된 오존을 멸균챔버(110)에 투입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오존리저버(Ozone Reserver)(143)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존공급라인(L3)상에는 상기 오존리저버(143) 내부에 오존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개방되고, 이하이면 폐쇄되는 개폐밸브(145)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오존리저버(143)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144)가 더 구비된다.
특히, 상기 멸균챔버(110)를 가습하는 가습수단(131)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멸균챔버(110)를 가습함으로써, 오존에 의한 멸균 효과가 상승된다.
상기 가습수단(131)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는 가습라인(L5)을 통해 멸균챔버(1100에 공급되는데, 상기 가습라인(L5)상에는 수증기리저버(탱크)(1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개선된 멸균장치는 멸균챔버를 가습한 상태에서 오존을 투입함으로써, 멸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 구비된 가습수단은 담수된 물을 초음파 진동을 통해 수증기화시켜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나 가습수단에 담된 물이 외부로터 오염된 상태로 공급되어 오염된 물을 기화시켜 공급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수증기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습수단 측으로 오존을 공급하여 가습수단에 담수된 물을 살균함으로써 담수된 물의 오염을 사전에 차단시켜 가습된 수증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멸균장치는 피처리물을 수납하는 멸균챔버와, 상기 멸균챔버를 가습하는 가습수단과, 상기 멸균챔버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수단과 상기 멸균챔버를 배기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멸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단과 오존발생수단 사이에는 오존가스를 공급하여 가습수단 내에 의 물을 살균하게 하는 오존가스공급라인을 구비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습수단 측으로 오존을 공급하여 가습수단에 담수된 물을 살균함으로써 담수된 물의 오염을 사전에 차단시켜 가습된 수증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멸균장치(100)의 구성이 앞서 설명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내용과 동일하다.
여기서 오존발생수단(141)과 가습수단(131) 사이에는 오존가스공급라인(L6);을 더 구비하게 하고 있다. 이는 상기 오존발생수단(141)으로부터 발생된 오존을 가습수단 측으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가습수단 내에의 물(W)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을 오존가스를 이용해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물은 외부로부터 가습수단 측으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 공급된 물이 멸균상태로 공급되더라도 가습수단 내에서 오염되어 가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염된 상태의 수증기가 공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토록 하기 위해 오존공급수단에서 가습수단 측으로 오존 가스를 항시 공급하여 균일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멸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종래의 멸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습수단에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을 나타내는 확대 개략도.

Claims (1)

  1. 피처리물을 수납하는 멸균챔버와, 상기 멸균챔버를 가습하는 가습수단과, 상기 멸균챔버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수단과 상기 멸균챔버를 배기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멸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단과 오존발생수단 사이에는 오존가스를 공급하여 가습수단 내에 의 물을 살균하게 하는 오존가스공급라인을 구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장치.
KR1020090042335A 2009-05-15 2009-05-15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 KR20100123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335A KR20100123229A (ko) 2009-05-15 2009-05-15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335A KR20100123229A (ko) 2009-05-15 2009-05-15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229A true KR20100123229A (ko) 2010-11-24

Family

ID=4340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335A KR20100123229A (ko) 2009-05-15 2009-05-15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32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2025B2 (ja) アイソレータおよび細胞自動培養装置、ならびにアイソレータの滅菌処理方法
JP4416794B2 (ja) 改良されたオゾン滅菌方法
KR100966933B1 (ko) 오존소독방법 및 오존소독장치
CA2802765C (en) Method for sterilizing at least one object, sterilization apparatus and use herefor
KR101250748B1 (ko)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료용 소형 멸균장치
EP1558295B1 (en) Plasma treatment module-equipped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terilization method
JP2007259715A (ja) 培養装置
KR20120028413A (ko) 과산화수소, 오존 및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20100128676A (ko) 연속동작이 가능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저온 멸균소독기
JP2018531701A (ja) 殺菌装置
KR20160083501A (ko) 과산화수소 증기 멸균 시스템
US10039849B2 (en) Plasma-generated gas sterilization method and device
CN111467539B (zh) 一种适用于医用口罩消毒的过氧化氢气体消毒系统及方法
KR20120020215A (ko) 오존을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20120060094A (ko) 일체형 멸균 장치 및 방법
KR101068629B1 (ko) 멸균장치 및 방법
JP2004267524A (ja) プラズマ滅菌処理方法
JPH07136236A (ja) オゾン混合蒸気滅菌方法及び装置
KR20100123229A (ko) 가습기의 멸균 기능을 갖는 멸균장치
US20110076191A1 (en) Ozone Based Method and System for Tool Sterilization
KR20000008420A (ko) 저온플라즈마 소독시스템
JP2013094468A (ja) 大気圧プラズマによる微生物の殺滅装置及び方法
JP6454616B2 (ja) オゾン処理装置
Tamazawa et al. Sterilization effect of wet oxygen plasma in the bubbling method
KR20090118491A (ko) 멸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