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461A -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461A
KR20100122461A KR1020100044300A KR20100044300A KR20100122461A KR 20100122461 A KR20100122461 A KR 20100122461A KR 1020100044300 A KR1020100044300 A KR 1020100044300A KR 20100044300 A KR20100044300 A KR 20100044300A KR 20100122461 A KR20100122461 A KR 2010012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hedron
content
frame
user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3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ublication of KR2010012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4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PURPOSE: A GUI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onfirm a plurality of contents menus at a time by arranging the contents to each side of the polyhedron. CONSTITUTION: The contents menu executes the designated contents. A mother polyhedral frame is composed of child polyhedral frames where the contents menu is positioned in the divided block. If one is selected among the contents menu, a folder user interface of the next step including the contents menus of the low rank is marked, or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as described above is processed.

Description

다면체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Graphic user interface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device implementing the same}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수의 콘텐츠 메뉴들을 한꺼번에 사용자에게 표시해 줄 수 있으면서 조작성과 사용자 경험감이 우수한 다면체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3차원 또는 2차원 기하 형상의 다면체로 구현되고 다면체의 각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메뉴가 배치되며 이 배치된 콘텐츠 메뉴들은 다면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의도대로 재구성이 가능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polyhedron that can display a plurality of content menus at once, and has excellent operability and user experience, and is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geometric polyhedron and at least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One or more content menus are arranged, and the arranged content menus relate to a graphic user interface that can be reconfigur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n a polyhedron and a user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데이터 통신의 발달과 저렴한 망 서비스의 보급으로 인해 인터넷 사용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사람들은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접하고 업무에 필요한 지식을 획득하며 전자메일을 통해 업무를 수행하고 사이버 쇼핑몰을 통해 물건을 구입하는 등 인터넷을 떠나서는 한 시도 살아갈 수 없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data communication and the spread of cheap network services, the Internet population is exploding. People are living in an age where people can't live outside the Internet, such as accessing news on the Internet, acquiring knowledge for work, working through e-mail, and buying things through cyber shopping malls.

인터넷을 매개로 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원하는 정보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 기반의 웹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를 클릭해 가면서 원하는 정보를 단계적으로 찾아가는(tracking) 방법으로 인터넷을 서핑한다.In the flood of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hyperlink-based web interfaces are used to quickly access desired information. A user surfs the Internet by clicking on a hyperlink included in a web page, stepping through the desired information.

그러나, 종래의 웹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웹 페이지에 하이퍼링크가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마우스 등의 극히 제한된 입력 수단을 통해서만 원활하게 웹 서핑을 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다. 만약 키보드를 이용하여 웹 서핑을 하려는 경우, 탭(Tab) 키를 여러 번 반복적으로 입력하여 활성 포커스를 자신이 원하는 하이퍼링크로 이동시키고 엔터(Enter)를 입력함으로써 다음 단계의 웹 페이지를 하나 열어볼 수 있을 뿐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매우 번거로운 절차를 반복해야 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web interface, since the hyperlinks are irregularly distributed on the web page, the user can smoothly surf the web only through extremely limited input means such as a mouse. If you want to surf the web using the keyboard, try pressing the Tab key repeatedly several times to move the active focus to the hyperlink you want and press Enter to open the next web page. It can only be very cumbersome until the user reaches the desired final destination.

한편, 근자에는 통신 속도의 증가와 고성능 단말기의 등장으로 인터넷 접속과 멀티미디어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가 속속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의 휴대성은 무선 인터넷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에 제약을 가하고 있다. 즉, 근래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스크탑 PC 수준으로 점차 고성능화되고 있는 반면에 제한된 화면 크기와 낮은 해상도 및 입력 방식의 제약으로 인해 인터넷 웹 페이지의 원활한 풀 브라우징(full browsing)이나 자유로운 서핑 등은 아직 힘든 상황이며, 여기에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의 제한된 키패드는 키보드를 이용한 웹 서핑의 경우와 같은 원활한 웹 서핑을 수행하기에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점이 많다. 또한, 데스크탑 PC나 노트북 PC 등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폴더 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폴더 편집 조작으로 콘텐츠 메뉴나 아이콘, 전자파일들 또는 또다른 하위 폴더를 사용자 기호에 따라 카테고리나 그룹별로 저장 또는 편집해 둘 수 있다. 예컨대, 웹 브라우저 등에서는 즐겨찾기 폴더에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들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편집하여 정리해둠으로써 해당 콘텐츠 메뉴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있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portable user terminals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Internet and playing multimedia have emerged one after another due to the increase in communication speed and the appearance of high performance terminals. However, the portability of the user terminal imposes restrictions on the use of various contents utilizing the wireless Internet. In other words,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getting higher performance than desktop PCs. However, due to limited screen size, low resolution, and limitation of input method, smooth full browsing or free surfing of Internet web pages is still difficult. In this case, the limited keypad of the portable user terminal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to perform a smooth web surfing as in the case of surfing the web using the keyboard. In addition, i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uch as desktop PCs and notebook PCs, the folder method is adopted to store or edit content menus, icons, electronic files or other subfolders by category or group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by a simple folder editing operation of the user. You can do it. For example, in a web browser or the like, a user may freely edit and organize websites frequently visited in a bookmark folder so that a user can quickly access a corresponding content menu.

하지만, 기존 방식의 폴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평면적이어서 사용자가 폴더를 열어보는 조작을 수행하기 전에는 어떤 콘텐츠 메뉴들이 들어 있는지 알 수 없고, 폴더 안에는 콘텐츠 메뉴뿐만 아니라 또다른 폴더가 연속해서 저장 또는 보관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메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사용자의 명령 입력 조작 횟수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입력 수단의 조작 자유도가 극히 제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메뉴에 접근하는데 그만큼 한계가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However, the traditional folder user interface is flat, so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at content menus are contained before the user opens the folder, and in addition to the content menu, another folder may be stored or stored in succession. Therefore, in order to access a content menu desired by a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times a user inputs a command is increased.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ortable user terminal, since the degree of freedom of operation of the input means is extremely limited, and thus the user's satisfaction is limi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키보드의 자판을 소형화하거나 풀터치식 입력 방식을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에 적용하는 기술이 제안되기는 했으나, 여전히 조작이나 입력 방식이 복잡하면서도 빈번한 오입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고, 제한된 크기의 화면에서 데스크 탑 PC 수준의 자유로운 웹 서핑 및 브라우징에 적절치 못하다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of miniaturizing the keyboard of the keyboard or applying a full touch input method to a portable user terminal has been proposed, but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r input method is complicated and frequently causes incorrect input, and has a limited size. The problem of not being suitable for free web surfing and browsing at the desktop PC level is still unresolv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한된 크기의 화면에서도 다수의 콘텐츠 메뉴들을 한꺼번에 최대한 많이 확인해 볼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조작 용이성과 사용자 경험감이 우수한 다면체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polyhedron that can check a large number of content menus at the same time on a limited size screen and has excellent user convenience and user experience, and to implement the same. To provide a user terminal.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지정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콘텐츠 메뉴와; 각 면의 구획된 블록에 상기 콘텐츠 메뉴가 각각 배치된 복수의 자(子)다면체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모다면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lurality of content menu for executing the specified content; A graphical user interface is provided that includes a polyhedron fr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lyhedron frames each having the content menu disposed in a partitioned block on each side.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지정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콘텐츠 메뉴와; 각 면의 구획된 블록에 상기 콘텐츠 메뉴가 각각 배치된 복수의 자(子)다면체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모다면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부;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수행하는 입력부;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다면체 프레임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 메뉴를 출력하는 GUI 운용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lurality of content menu for executing the specified content;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a polyhedron fr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lyhedron frames each having the content menu disposed in a partitioned block of each si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user's input command; And a GUI operating unit configured to configure the graphic user interface and output a desired content menu through the polyhedron fram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조작 용이성을 향상시킨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한된 크기의 화면에서도 다면체의 각 면에 다수의 콘텐츠 메뉴들이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콘텐츠 메뉴에 대한 별도의 액세스 조작을 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또는 소정의 콘텐츠 메뉴를 선택하여 다음 단계의 화면으로 전환하지 않고도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각 블록면에 배치된 콘텐츠 메뉴나 그 하위 메뉴들을 마치 미리보기 기능이나 사이트맵을 보는 것과 같이 한꺼번에 최대한 많이 출력시켜 미리 확인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 뷰잉 각의 조정, 다양한 재구성 등이 사용자의 간편한 입력 조작에 의해서 달성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용이성, 직관성, 신뢰성 및 경험감이 우수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content menus are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on a screen of limited size through a polyhedron user interface for improved user operation ease, even when the user does not take a separate access operation to the content menu or Without selecting a certain content menu and switching to the next screen, the content menu or its submenus placed on each block surface of the polyhedron user interface are output as many times as possible before previewing or viewing a site map. Not only can it be seen, but also the user's ease of operation, intuition, reliability and experience are excellent because the rotation in various directions, adjustment of the viewing angle, various reconstructions, etc. are achieved by the user's simple input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화면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육면체 프레임으로 도시한 화면예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을 위한 입력 수단의 예를 종류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운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운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운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운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사용자가 콘텐츠들을 결합시켜 폴더화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사용자가 콘텐츠들을 결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다면체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3면이 보이는 다면체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12a 및 도12b는 다면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자다면체의 행과 열이 독립적으로 상,하,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a~도 13f는 다면체 프레임에 콘텐츠 메뉴에 배치된 상품을 선택하면 1면이 확대상품의 상세정보가 보여지고 다시 터치하면 원위치로 돌아가며 모서리의 터치에 의해 상하, 좌우로 회전하는 다면체가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3면으로 이루어진 27개의 콘텐츠 메뉴들이 노출되어 조회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a는 하나의 자(子)다면체 프레임이 모다면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b는 자(子)다면체 프레임 분리로 노출된 각 면이 하위 콘텐츠 메뉴로 활성화 된 것을 도시한다.
도 15c는 분리되어진 하나의 자(子)다면체 프레임이 각 면에 보다 하위의 콘텐츠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a와 16b는 분리된 자(子)다면체 프레임이 객체 콘텐츠 계산에 의해 새로운 모다면체로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c는 분리된 자(子)다면체 프레임에서 또 하나의 블록이 떨어져 나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d는 떨어져 나온 자(子)다면체 프레임이 새로운 콘텐츠의 메뉴로 셋팅 되는 것이다.
도 16e는 떨어져 나오는 여러 개의 자(子)다면체 프레임들이 객체 콘텐츠 계산되어 생성된 새로운 모다면체 프레임들이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배열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f는 새로이 생성된 모다면체 프레임들을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선택해서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상위 메뉴로 구성되는 새로운 모다면체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g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콘텐츠 메뉴들의 자(子)다면체 프레임이 모다면체 프레임으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7은 터치 방식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용하는 예에서 보조 입력 표시부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screen example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 user interface in a cub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illustrate examples of input means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type.
4 illustrates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illustrate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user combining and foldering contents.
10 illustrates a polyhedron frame generated by a user combining contents.
11 shows a polyhedral frame with three faces visible.
12A and 12B illustrate that the rows and columns of the polyhedron constituting the polyhedron frame rotate independently up, down, left, and right.
13A to 13F show that when a product placed in a content menu is selected in a polyhedron fram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nlarged product is shown on one side, and when touched again, the polyhedron rotates up, down, left and right by touching the corner. It is shown.
FIG. 1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27 content menus having three sides are exposed and viewable.
15A shows that one polyhedron frame is separated from the parent polyhedron frame.
15B illustrates that each surface exposed by the polyhedron frame separation is activated as a lower content menu.
FIG. 15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lower content menu is activated on each side of one separated polyhedron frame.
16A and 16B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 separate polyhedron frame is generated as a new polyhedron by object content calculation.
16C shows another block falling out of the separated polyhedron frame.
FIG. 16D shows that the separated polyhedron frame is set as a menu of new content.
FIG. 16E illustrates that new polygonal polyhedral frames generated by calculating object contents are arranged by sorting by categories.
FIG. 16F illustrates the creation of a new polyhedron frame composed of a higher menu by selecting newly generated polyhedron frames by a user's input operation and combining them.
FIG. 16G shows that the polyhedron frame of the content menus is combined into a polyhedron frame by a user's input manipulation.
1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input is made through an auxiliary input display unit in an example of operating a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a user terminal employing a touch method.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graphic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본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예이다.1 is an example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asic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 메뉴(contents menu)(10)들과, 콘텐츠 메뉴(10)를 다면체의 지정된 면 또는 해당 면의 지정된 블록에 배치하기 위한 틀인 다면체 프레임(polyhedron frame)(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소정의 콘텐츠 메뉴(10)를 실행하면 최종 콘텐츠(destination contents)(30)가 표시되게 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블록"이라 함은 하나의 콘텐츠 메뉴가 점유하는 해당 면의 공간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어떤 콘텐츠 메뉴를 그와 인접한 다른 콘텐츠 메뉴들과 구분하기 위해 블록 간에 명시적인 경계를 표시할 수도 있다.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content menus 10 selectable by a user, and for placing the content menu 10 on a specified face of a polyhedron or on a designated block of that face. It consists of a polyhedron frame 20 which is a frame. When the predetermined content menu 10 is executed, the final contents 30 are displayed. Here, the term "block" refers to a space of a corresponding surface occupied by one content menu, and may indicate an explicit boundary between blocks to distinguish a content menu from other content menus adjacent thereto.

콘텐츠 메뉴(10)는 다음 단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하거나 해당 콘텐츠 메뉴에 상응하는 최종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링크(link) 또는 하이퍼텍스트(hypertext)가 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메뉴(10)는 단순한 텍스트, 조각 이미지(thumbnail image or icon image) 및 조각 동영상(thumbnail movie) 중 어느 하나에 링크 정보를 결합(combine)한 것일 수도 있고, 텍스트와 조각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조각 동영상의 합성물에 링크 정보를 결합한 것일 수도 있고, TV 영상물이나 각종 동영상 또는 이들의 플레이어 자체일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표현 '콘텐츠 메뉴'(10)는 콘텐츠 자체일 수도 있지만 그에 국한되지 않고 메인 메뉴, 서브 메뉴, 애플리케이션이나 데이터 파일 등의 아이콘, 웹페이지, 폴더, 디렉토리 등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다 상위의 표현으로 일반화한 것임을 유의한다.The content menu 10 may be a link or hypertext for switching to the next user interface or outputting the fi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enu. In addition, the content menu 10 may be a combination of link information into any one of a simple text, a thumbnail image or an icon image, and a thumbnail movie, or a text and a fragment image or a text and a fragment. Link information may be combined with a composite of a moving picture, or may be a TV picture, various moving pictures, or a player itself.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content menu' 1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the content itself,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meanings of icons such as main menus, sub-menus, applications or data files, web pages, folders, directories, and the like. Note that it is generalized to a higher expression.

다면체 프레임(20)은 복수의 콘텐츠 메뉴(10)를 다면체의 각 면에 배치하기 위한 틀이다. 다면체 프레임(20)은 Autodesk사의 AUTOCAD, Maya, 3D MAX나 Adobe사의 3D Illustrator 등의 소프트웨어 툴을 이용하여 모델링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소프트웨어 툴 이외에도 다른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표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면체는 도 1과 같이 하나의 면에 단지 하나의 콘텐츠 메뉴(10)를 배치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면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마다 서로 다른 콘텐츠 메뉴(10)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블록의 형상이나 다면체의 각 면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정사각형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이 가능하고 그 형상에 따라 다면체도 육면체에 국한되지 않고 기하학적으로 가능한 n면체(n은 3이상의 자연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면체 프레임(20)은 예컨대 기존 웹브라우저의 평면적인 트리(tree)식 메뉴 폴더를 3D화 한 입체 폴더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으며, 파일들인 경우에는 폴더, 폴더가 아니고 메뉴로 하는 경우에는 3차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는 것이고, 또한 웹 사이트 메뉴인 경우에는 웹브라우저 일 수도 있으며, 툴바일 수도 있고, TV 영상물이나 동영상물에 대해서는 이들의 플레이어 일 수도 있고 다면체이므로 각 면에 서로 다른 동영상들이 동시 재생이 가능한 플레이어 일 수 있다. 이 경우엔 각 면이 예컨대 TV 채널 창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polyhedron frame 20 is a frame for disposing a plurality of content menus 10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The polyhedral frame 20 can be modeled using software tools such as Autodesk's AUTOCAD, Maya, 3D MAX or Adobe's 3D Illustrator.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xpress through other applications in addition to the software tool. The polyhedron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rrange only one content menu 10 on one side as shown in FIG. 1, but divides one side into at least two blocks for each block.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different content menus 10.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block or the shape of each surface of the polyhedron is not limited to the square shown in FIG. 1, and various geometric shape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ccording to the shape, the polyhedron is not limited to a cube but geometrically possible n-sided.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As described above, the polyhedral fra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 three-dimensional folder user interface in which a flat tree-type menu folder of an existing web browser is 3D. In the case of a 3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in the case of a website menu, it may be a web browser, a toolbar, or a TV player or a video player. May be a player capable of simultaneous playback. In this case, each side acts as a TV channel window, for example.

최종 콘텐츠(30)는 본 발명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또는 찾고자 하는 최종 목적물로서 뉴스 기사, 상품 광고, 쇼핑 정보, 엔터테인먼트 정보, 오디오/비디오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종 콘텐츠(30)는 문서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음원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둘 이상을 결합한 것이거나, 이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응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문서 데이터의 일례로, 최종 콘텐츠(30)는 html, xml, sgml 등의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중 적어도 둘 이상을 결합하여 제공하는 문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최종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해 선택했던 콘텐츠 메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로컬 저장 경로를 가리키는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al content 30 provides the user with news articles, product advertisements, shopping information, entertainment information, audio / video multimedia services, etc. as the final object to be accessed or found through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content 30 may be any one of document data, image data, sound source data, video data,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r more, or an application application program for reproducing these data. As an example of the document data, the final content 30 may be a document that combines and provides at least two or more of the data using a markup language such as html, xml, sgml, etc., in this case, the final content The content menu selected for executing may include a link information indicating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or a local storage path.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다면체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육면체 이외에도 사면체, 팔면체, 십이면체, 이십면체 등의 기하학적으로 가능한 다면체들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는 그 형상만 상이할 뿐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것임을 적어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various types of polyhedron frames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the graphic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ubes of FIGS. 1 and 2, geometrically possible polyhedrons such as tetrahedron, octahedron, dodecahedron, and icosahedron may be employed, which may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t least that the basic configuration is the same.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수 있는 다면체의 한 예로 정육면체 프레임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의 육면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그 운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2 illustrat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 cube frame as an example of a polyhedron that can be used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aking the user interface using the hexahedron of FIG. 2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 프레임의 한 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 메뉴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육면체 프레임의 한 면이 9개의 균등한 사각형 블록으로 구분되고 각 블록마다 서로 다른 콘텐츠 메뉴가 배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메뉴들을 메인 메뉴라 할 때, 메인 콘텐츠 메뉴 각각은 보다 하위의 서브 콘텐츠 메뉴를 포함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면체 프레임의 각 면은 소정의 카테고리별로 콘텐츠 메뉴들을 분류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1면에는 뉴스 메뉴들이 분야별(경제, 스포츠, 정치, 사회, 세계, 날씨, 연예, 과학, 칼럼 등)로 각 블록에 배열되거나, 제2면에는 쇼핑 메뉴들이 소분류되어 종합쇼핑몰, 가격비교, 오픈쇼핑몰, 도서쇼핑몰, 중고품쇼핑몰, 해외쇼핑몰, IT쇼핑몰, 자동차부품쇼핑몰, 의류쇼핑몰 등으로 제2면에 구분된 각 블록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뉴스 카테고리의 제1면의 경제분야 블록을 실행시키면 보다 하위의 서브메뉴들, 즉 증권, 부동산, 금융, 외환, 원유, 원자재, 기업, 재테크 등의 콘텐츠 메뉴들이 각 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육면체 프레임은 예컨대 근래의 PC 운영 체제인 윈도우 탐색기의 트리식 폴더를 3D 입체화한 폴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소정의 콘텐츠 메뉴가 TV 영상물이나 각종 동영상일 경우에는 상기 다면체의 각 면 또는 한 다면체면을 이루는 각 블록면은 동영상 플레이어 역할을 하게 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여러 개의 동영상들을 동시에 여러 면에서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멀티비젼 플레이어로서도 기능하며, 다면체의 각 면들은 여러개의 TV 채널들이 배치된 채널창이 될 수 있다. At least two content menu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exahedr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one side of a hexahedral frame is divided into nine equal rectangular blocks, and different content menus are arranged in each block.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menus are called main menus, each of the main content menus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lower sub content menu. In addition, each surface of the hexahedral frame may be arranged by dividing the content menu by a predetermined category. For example, on the first page, news menus are arranged in each block by sector (economy, sports, politics, society, world, weather, entertainment, science, columns, etc.), or on the second page, shopping menus are divided into general shopping malls and price comparisons. , An open shopping mall, a book shopping mall, a second-hand shopping mall, an overseas shopping mall, an IT shopping mall, an auto parts shopping mall, a clothing shopping mall, and the like may be arranged in each block separated on the second side. In addition, for example, if the economic sector block of the first page of the news category is executed, the lower sub-menus such as securities, real estate, finance, foreign exchange, crude oil, raw materials, companies, finance, etc. may be displayed on each side. have. As described above, the hexahedral frame illustrated in FIG. 2 may be, for example, a folder user interface in which a tree folder of a Windows Explorer, which is a recent PC operating system, is 3D-dimensionalized.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content menu belonging to a predetermined category is a TV image or various moving images, each surface of the polyhedron or each block surface constituting one polyhedron may serve as a video player.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xecute several videos at the same time in several aspects at the same time, also functions as a multi-vision player, each side of the polyhedron can be a channel window arranged with multiple TV channel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선택하고자 하는 콘텐츠 메뉴가 포함된 면을 쉽게 조회하기 위해 상하좌우 또는 대각 방향으로 다면체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다면체 회전 모드(이하 '회전 모드')와, 커서를 원하는 콘텐츠 메뉴 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 모드(이하 '이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서"라 함은 현재 어떤 콘텐츠 메뉴가 선택 대기 상태에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포인팅 수단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그 표현 방식에는 선택 대기 상태임을 사용자가 구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선택 대기중인 콘텐츠 메뉴에 특정 색상의 테두리를 표시하거나(도 1의 콘텐츠 메뉴(10), 도 6 참조), 선택 대기중인 콘텐츠 메뉴의 크기를 다른 메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대하거나, 선택 대기중인 콘텐츠 메뉴를 입체감 있게 표시하거나, 주변의 다른 메뉴들보다 강조색으로 표시하는 하이라이트 방식으로 커서를 표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es: a polyhedral rotation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otation mode') for rotating a polyhedron frame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asily view a surface including a content menu to be selected; It may include a cursor movement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ve mode') for moving the cursor over a desired content menu. Here, the "cursor" refers to a pointing means for indicating which content menu is currently in the waiting for selec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expression method as long as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waiting for selection. For example, a specific color border is displayed on the content menu that is waiting to be selected (see the content menu 10 of FIG. 1 and FIG. 6), or the size of the content menu that is waiting to be selected is enlarged relative to other menus. The cursor may be expressed in a highlighting manner in which a content menu waiting to be selected is displayed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or highlighted in other colors than surrounding men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예컨대 회전 모드 및 이동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최초로 구동될 때 본격적인 운용에 앞서 먼저 동작 모드를 결정하여야 한다. 통상, 콘텐츠 메뉴의 선택을 위해 다면체를 회전시키는 과정이 선행되므로 디폴트 동작 모드는 회전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by being divided into, for example, a rotation mode and a movement mode, the operation mode should be determined first before full operation when the user interface is first driven. In general, the process of rotating the polyhedron for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menu is preceded, so the default operation mode is preferably set to the rotation mode.

한편, 동작 모드의 전환, 육면체의 회전, 커서의 이동 및 콘텐츠 메뉴의 선택 등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위해 다양한 입력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을 위한 입력 수단들을 종류별로 예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various input means may be used for the user's input operati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rotating the cube, moving the cursor, selecting the content menu, and the like. 3A to 3C illustrate types of input means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입력 수단의 일례로 방향성 키를 생각해볼 수 있다. 도 3a에서 보듯, 방향성 키는 육면체를 회전시키거나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키와, 커서가 위치한 지점의 콘텐츠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변경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rst, a directional key can be considered as an example of the input means. As shown in FIG. 3A, the directional key includes a direction key for rotating a cube or moving a cursor, and a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ontent menu at a point where the cursor is positioned,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mode for switching an operation mode. It may further include a change key.

방향키는 각 방향에 상응하는 복수의 키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도 있고, 하나의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키로 복수의 방향을 선택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선택키는 방향키의 중심 부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방향키와 상관없이 사용자 단말기의 별도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보다 고도의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하기 위해 각 방향키를 통한 입력과 동시 또는 연속으로 방향키 유닛 자체를 이동시키며 입력을 실행하게 할 수도 있다.The direction key may be a struc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keys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or may be a structure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directions with one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key. The selection key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irection key, but may be provided at a separat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regardless of the direction key.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lement a higher level of functionality in various ways, the input may be performed by moving the direction key unit itself simultaneously or continuously with the input through each direction key.

모드변경키는 방향키 및 선택키와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선택키와 모드변경키를 하나의 키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일례로 해당 키를 일정 시간 이하로 짧게 누르면 선택키로 동작하고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길게 누르면 모드변환키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소정의 카운팅 수단을 더 구비해야 한다. 방향성 키의 방향키 및/또는 선택키 및/또는 모드변경키는 터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ode change key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irection key and the selection key,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election key and the mode change key may be used as one key.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corresponding key is shortly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ess, the selection key may be operated.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should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counting means. The direction key and / or the selection key and / or the mode change key of the directional key may be implemented by a touch method.

방향성 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운용 예는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directional key is as follows.

최초의 화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육면체는 미리 정해진 면(들)을 미리 정해진 3차원 각도로 화면에 출력된다. 사용자 단말기가 넓은 화면을 가지거나 높은 화면 해상도를 가진다면, 사용자에게 최대한 많은 콘텐츠 메뉴를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기 위해 회전 조작을 통해 육면체의 3개 면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예로서, 도 2에서처럼 육면체의 한 면에 9개의 콘텐츠 메뉴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화면으로 27개의 콘텐츠 메뉴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종래의 평면적 폴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각 해당 폴더를 오픈하는 액세스 또는 선택 입력 조작을 여러 번 반복 수행해야 가능한 일이다,.In the first screen, the hexahedron of the user interface is output to the screen with the predetermined face (s) at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angle. If the user terminal has a wide screen or has a high screen resolution, it is preferable to output three sides of the cube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in order to show the user as many content menus as possible on one screen. As an example, when nine content menus are arranged on one side of a cube as shown in FIG. 2, the user may check 27 content menus at once on one screen. This is possible, for example, by repeatedly performing an access or selection input operation for opening each corresponding folder in a conventional flat folder user interface.

최초의 화면에서 동작 모드는 회전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방향키가 입력될 때마다 육면체는 해당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한다. 방향키의 입력이 계속된다면 해당 입력이 해제될 때까지 육면체는 회전을 계속한다.In the first screen, the operation mode may be set to the rotation mode. In this case, each time the direction key is input, the cube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f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continues, the cube continues to rotate until the corresponding input is released.

육면체의 회전 결과, 선택하고자 하는 콘텐츠 메뉴가 화면의 전면에 출력되면 모드변경키를 이용하여 회전 모드를 선택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선택 모드에서, 육면체의 미리 정해진 블록(예를 들어 화면의 전면에 배치된 블록들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블록)에 커서가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방향키가 입력되면 육면체는 고정된 상태로 있고 방향키의 입력 방향으로 커서가 이동한다. 만약 화면에 노출된 육면체의 모든 면들을 통틀어 하나의 면으로 생각할 때 통합 면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블록에 커서가 위치할 경우, 방향키로 커서를 화면에 보이지 않는 면의 블록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예외적으로 동작 모드를 회전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도 육면체의 보이지 않는 면이 화면의 전면에 보여지도록 육면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외적인 육면체의 회전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형태의 입력 수단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 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rotation of the cube, the content menu to be selected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and the rotation mode can be switched to the selection mode using the mode change key. In the selection mode, the cursor may be set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block of the hexahedron (eg, the block having the largest area among the blocks arranged in front of the screen). When the direction key is input in this state, the cube is fixed and the cursor moves in the direction of input of the direction key. If the cursor is located in the block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integrated surface when all faces of the cube exposed on the screen are considered as one face, an exception is to move the cursor to the block of the face that is not visible on the screen with the direction keys. Therefore, the cube can be rotated so that the invisible surface of the cube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without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rotation mode. Such exceptional hexahedral rotation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an example of operating a user interface by another type of input means described below.

한편, 방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 메뉴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선택키를 입력하면, 해당 콘텐츠 메뉴의 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메뉴들로 이루어진 다음 단계의 육면체가 출력되거나, 해당 콘텐츠 메뉴에 상응하는 최종 콘텐츠가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by moving the cursor to the desired content menu using the arrow keys and entering the selection key, a six-dimensional cube consisting of the menus corresponding to the sub-category of the content menu is output, or the fi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enu. Is output.

또한, 입력 수단의 다른 일례로 회전형 키를 생각해볼 수 있다. 도 3b에서 보듯, 회전형 키는 360°로 회전하는 휠 키와, 커서가 위치한 지점의 콘텐츠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변경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input means, a rotary key can be considered. As shown in FIG. 3B, the rotatable key includes a wheel key rotating at 360 ° and a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content menu at the point where the cursor is positioned, and a mode change key for switching an operation mod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may further include.

휠 키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휠 키에서 각 방향에 상응하는 부분이 입력되면 그 회전 방향 또는 입력 방향에 따라 육면체가 회전한다. 선택키는 휠 키의 중심 부위에 구비되거나 그 외의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선택키가 입력되면 커서가 위치하는 지점의 콘텐츠 메뉴가 선택된다. 모드변경키는 휠 키 및 선택키와는 별도의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선택키와 모드변경키를 하나의 키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는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회전형 키의 휠 키 및/또는 선택키 및/또는 모드변경키는 또한 당업자의 실시 환경 및 선택에 따라 터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When the wheel key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is input in the wheel key, the cube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r the input direction. The selection key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heel key or at another position. When the selection key is input, the content menu at the point where the cursor is positioned is selected. The mode change key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separate from the wheel key and the selection key,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election key and the mode change key may be used as one key, and a specific example thereof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The wheel key and / or selection key and / or mode change key of the rotatable key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touch manner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and selec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회전형 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운용 예는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rotary key is as follows.

최초의 화면에서 육면체의 화면 배치는 도 3a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고, 최초의 동작 모드는 회전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회전 모드에서, 휠 키가 회전될 때마다 육면체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휠 키가 입력된 시간만큼 회전하며, 휠 키의 방향 부분이 입력될 때마다 육면체는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해당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screen layout of the cube on the first screen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and the first operation mode may be set to the rotation mode. In the rotation mode, each time the wheel key is rotated, the cube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the time the wheel key is entered, and each time the direction portion of the wheel key is entered, the cube rotates in that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do.

육면체의 회전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콘텐츠 메뉴가 화면의 전면에 출력되면 모드변경키를 이용하여 회전 모드를 선택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선택 모드에서 육면체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휠 키의 각 방향에 상응하는 부분이 입력되면 해당 입력 방향으로 커서가 이동한다. 휠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 메뉴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선택키를 입력하면, 해당 콘텐츠 메뉴의 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메뉴들로 이루어진 다음 단계의 육면체가 출력되거나, 해당 콘텐츠 메뉴에 상응하는 최종 콘텐츠가 출력된다.When the content menu to be selected by the rotation of the cube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the rotation mode can be switched to the selection mode by using the mode change key. In the selection mode, the cube is no longer rotated and is fixed. Whe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of the wheel key is input, the cursor moves in the corresponding input direction. Move the cursor to the desired content menu using the wheel key and input the selection key. The next level cube consisting of the menus corresponding to the sub-category of the content menu is output or the fi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enu is displayed. Is output.

입력 수단의 또 다른 일례로 키보드(또는 키패드)를 생각해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input means, a keyboard (or keypad) can be considered.

도 3c에서 보듯, 키보드의 숫자 기판부(numeric key part)는 "1", "2", "3", "4", "5", "6", "7", "8", "9"의 숫자키와 "Enter"키를 포함한다. 키보드의 "1", "2", "3", "4", "6", "7", "8", "9"는 각각 "SW", "S", "SE", "W", "E", "NW", "N", "NE"의 방향에 매칭되는 방향키 역할을 담당하고, "5" 또는 "Enter"는 콘텐츠 메뉴 선택을 위한 선택키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다만, 키보드의 숫자 기판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의 문자 기판부(character key part)의 4개 또는 6개의 인접한 키를 조합하여 방향키를 설정하고, 그 외의 특정 키(이를테면 "Enter"키)를 선택키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 "J", "M", "K" 키를 각각 "N", "W", "S", "E" 방향에 매칭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3C, the numeric key parts of the keyboard are "1", "2", "3", "4", "5", "6", "7", "8", and "9". It includes numeric keys of "and" Enter "key. "1", "2", "3", "4", "6", "7", "8", and "9" on the keyboard are "SW", "S", "SE" and "W" respectively. , “E”, “NW”, “N”, and “NE” may serve as direction keys, and “5” or “Enter” may serve as selection keys for selecting a content menu. However, the keyboard is not limited to the numeric board portion, and four or six adjacent keys of the character key portion of the keyboard are combined to set direction keys, and other specific keys (such as the "Enter" key). You can also set as the select key. For example, the "I", "J", "M", and "K" keys may be matched to the "N", "W", "S", and "E" directions, respectively.

키보드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변경키가 더 할당될 수 있다. 이는 육면체 회전 및 커서의 이동을 마우스의 보조 없이 키보드만으로 운용하는 경우에 더욱 유용하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보편화되어 있는 3 X 4 배열의 키패드에 적용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keyboard may further be assigned a mode change key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user interface. This is more useful when the cube rotation and cursor movement are operated by the keyboard only without the aid of a mouse.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by applying to a keypad of a 3 × 4 arrangement that is common to portable terminals.

키보드(또는 키패드)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운용 예는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keyboard (or keypad) is as follows.

최초의 화면에서 육면체의 화면 배치는 도 3a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고, 최초의 동작 모드 역시 회전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회전 모드에서, 키보드의 "1", "2", "3", "4", "6", "7", "8", "9" 키 중 하나가 입력될 때마다 육면체는 각 키에 미리 매칭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한다.The screen layout of the cube on the first screen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and the initial operation mode may also be set to the rotation mode. In rotation mode, the cube is placed on each key whenever one of the "1", "2", "3", "4", "6", "7", "8", or "9" keys on the keyboard is entered.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in a pre-matched direction.

육면체의 회전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콘텐츠 메뉴가 화면의 전면에 출력되면 모드변경키를 이용하여 회전 모드를 선택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선택 모드에서, 육면체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키보드의 각 방향에 상응하는 키가 입력되면 해당 입력 방향으로 커서가 이동한다.When the content menu to be selected by the rotation of the cube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the rotation mode can be switched to the selection mode by using the mode change key. In the selection mode, the cube is no longer rotated and fixed, and when a key corresponding to each direction of the keyboard is input, the cursor moves in the corresponding input direction.

키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 메뉴 위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선택키를 입력하면, 해당 콘텐츠 메뉴의 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메뉴들로 이루어진 다음 단계의 육면체가 출력되거나, 해당 콘텐츠 메뉴에 상응하는 최종 콘텐츠가 출력된다.Move the cursor onto the desired content menu by using the keyboard and then press the Select key. The next level cube consisting of the menus that correspond to the subcategory of the content menu will be displayed, or the fi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enu will be displayed. do.

입력 수단의 또 다른 일례로 마우스를 생각해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우스의 클릭 수단과 좌표 이동 인식 수단을 조합하여 육면체를 회전시키거나 콘텐츠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마우스는 볼의 회전 또는 광원의 조사(照査)면 변화 등을 이용하여 상기 좌표 이동 인식 수단을 구현한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input means, a mouse can be consider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mbination of a mouse click means and coordinate movement recognition means may rotate the cube or select a content menu. As is widely known, the mouse implements the coordinate movement recognition means by using a rotation of a ball or a change in irradiation surface of a light source.

마우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 예에서는 회전 모드나 선택 모드 등을 별도로 구분할 필요는 없다. 즉, 마우스 포인터를 육면체의 일부에 위치시키고 클릭 수단을 입력한 채 마우스를 이동시키면, 마우스의 이동 방향에 따라 육면체가 회전된다. 그리고, 마우스 포인터를 특정 콘텐츠 메뉴 위에 위치시키고 클릭 수단을 입력(원 클릭 또는 더블 클릭)하면 해당 콘텐츠 메뉴가 선택된다.In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mous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distinguish between the rotation mode and the selection mode. That is, when the mouse pointer is positioned on a part of the cube and the mouse is moved while the click means is input, the cube is rotat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use. Then, when the mouse pointer is placed on the specific content menu and the click means is input (one click or double click), the corresponding content menu is selected.

한편, 키보드와 마우스를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키보드의 "1", "2", "3", "4", "6", "7", "8", "9" 키는 육면체의 회전에 사용하고, 마우스는 콘텐츠 메뉴의 선택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운용 예는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모드변경키가 별도로 할당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유용하다.Meanwhile, the user interface may be operated by using a keyboard and a mouse together. As a specific example, the "1", "2", "3", "4", "6", "7", "8", and "9" keys of the keyboard are used to rotate the cube, and the mouse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menu. Can be used for selection. This operation example is useful in that the mode change key for changing the operation mode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assigned.

이상에서는 여러 가지 방식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입력 수단의 형태가 상술한 방식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 궤도상의 메뉴 이동, 서로 다른 궤도간의 이동, 커서 지점의 콘텐츠 메뉴 선택을 위해 입력 수단의 조작 방법이 구분될 수 있다면 어떤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스크린 터치 방식의 입력 방식을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발명자가 선출원한 특허출원번호 10-2007-0075344호 등에 기재된 입력 장치(이하, 오모스 인터페이스라 한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오모스 인터페이스를 통한 운용예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설정해 놓은 키 맵핑에 따라 또는 별도의 추가 키 설치 등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한다.In the above, an example of operat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various input means has been described, but the form of the input mean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s. Any type of input means may be used as long a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nput means can be distinguished for menu movement on the same trajectory, movement between different trajectories, and selection of a content menu at the cursor point. For example, it will be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apply the screen touch metho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n inpu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MOS interface) describ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75344 fil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also be used. The operation example through the OMOS interface may also be easily implemen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key mapping set in advance as described above or by installing an additional key,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운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모(母)다면체가 복수의 자(子)다면체들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한다. 4 illustrates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focuses on the fact that one parent polyhedron consists of a plurality of polyhedrons.

도 4의 육면체의 경우도 위의 도 2에 관한 설명 내용을 포함하는 한편, 한 면이 9개의 블록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해당 모(母)육면체는 상기 블록을 하나의 면으로 하는 24개의 자(子)육면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입력 방식들에 의한 입력 조작에 따라 화면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모(母)육면체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블록을 한 면으로 하는 자(子)육면체(들)를 모(母)육면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다면체의 구조와 형상이 육면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이와 관련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예의 이해를 위해 마우스를 입력 수단으로 하는 일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case of the hexahedron of FIG. 4, the above description of FIG. 2 is included, and since one side is divided into nine blocks, the parent cube has 24 children having the block as one side. It consists of a cube. Accordingly, the user selects at least one of the blocks of the parent cube that is expos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by the above-described input methods, and makes the selected block one face. (S) can be separated from the parent cube. Here, it is obvious that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polyhedron are not limited to hexahedrons. In this regard, an example in which a mouse is used as an input means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마우스 포인터를 육면체의 일 지점에 위치시키고 마우스 왼쪽의 클릭 수단을 입력한 채 마우스를 이동시키면 해당 이동 방향으로 육면체가 회전한다. 화면의 전방에 사용자가 원하는 면(들)이 노출되면 회전을 멈추고 선택하고자 하는 콘텐츠 메뉴 위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의 콘텐츠 메뉴를 한 면으로 포함하는 자(子)육면체를 모(母)육면체로부터 분리한다. 자(子)육면체의 분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마우스 조작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If the mouse pointer is positioned at one point of the cube and the mouse is moved while the click means on the left side of the mouse is input, the cube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When the user's desired face (s) is exposed in front of the screen, stop the rotation and place the mouse pointer over the content menu to select. Subsequently, a cubic hexahedron containing the content menu at the point where the mouse pointer is located is separated from the parent hexahedron. The following mouse manipulation methods can be used for the separation of the child cube.

일례로, 마우스 포인터가 선택하고자 하는 콘텐츠 메뉴 위에 위치할 때,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 수단이 입력되면 소정의 메뉴 리스트가 출력되고, 출력된 메뉴 리스트 중에서 자(子)육면체 분리를 지시하는 메뉴(이를테면 "블록 분리")가 선택되면 해당 콘텐츠 메뉴를 한 면으로 하는 자(子)육면체의 테두리가 굵은 선으로 표시되면서 분리 가능한 상태임을 알린다. 이어서, 마우스의 커서를 상기 굵은 선으로 표시된 자(子)육면체의 일 지점에 위치시키고 마우스 왼쪽의 클릭 수단을 입력한 채 마우스를 이동시키면 해당 이동 방향으로 상기 자(子)육면체가 분리되어 이동한다. For example, when the mouse pointer is positioned on a content menu to be selected, a predetermined menu list is output when a right-clicking means of the mouse is input, and a menu for instructing separation of a child cube from the output menu list (for example, " When the "Block Separation") is selected, the border of the child cube hav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menu on one side is displayed as a thick line, indicating that it is in a detachable state. Subsequently, when the mouse cursor is positioned at a point of the child cube shown by the thick line, and the mouse is moved while clicking the left mouse button, the child cube is separated and moved in the corresponding moving direction. .

다른 일례로, 마우스 포인터가 선택하고자 하는 콘텐츠 메뉴 위에 위치할 때,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 수단이 입력되면 별도의 메뉴 리스트가 출력되지 않고 곧바로 해당 자(子)육면체의 테두리가 굵은 선으로 표시되면서 분리 가능한 상태임을 알린다. 이어서, 마우스의 커서를 상기 굵은 선으로 표시된 자(子)육면체의 일 지점에 위치시키고 마우스 왼쪽의 클릭 수단을 입력한 채 마우스를 이동시키면 해당 이동 방향으로 상기 자(子)육면체가 분리되어 이동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mous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content menu to be selected, if a right-click means of the mouse is input, a separate menu list is not output and the border of the child cube is displayed as a thick line and can be separated. Announce the status. Subsequently, when the mouse cursor is positioned at a point of the child cube shown by the thick line, and the mouse is moved while clicking the left mouse button, the child cube is separated and moved in the corresponding moving direction. .

한편, 분리된 자(子)육면체에서, 분리 전에 모(母)육면체와 겹쳐 있었으나 분리 후에 화면의 전면에 노출되는 면에는 새로운 콘텐츠 메뉴나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관련 콘텐츠 메뉴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母)육면체에서, 분리 전에 자(子)육면체와 겹쳐 있었으나 분리 후에 화면의 전면에 노출되는 면에도 새로운 콘텐츠 메뉴 또는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관련 콘텐츠 메뉴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子)육면체를 분리하기 전에는 하나의 화면에 27개의 콘텐츠 메뉴가 노출되지만, 하나의 자(子)육면체를 분리한 후에는 30(=27+3)개의 콘텐츠 메뉴가 노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parated cubic hexahedron, a new content menu or a related content menu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may be disposed on a surface overlapping with the parent hexahedron before separation but exposed to the front of the screen after separation. In addition, in the parent cube, a new content menu or a related content menu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may be disposed on a surface overlapping with the child cube before separation but exposed to the front of the screen after separa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27 content menus are exposed on one screen before the child cube is separated, but after the separation of one child cube, 30 (= 27 + 3) pieces are displayed. You can see that the content menu is exposed.

입력 수단이 마우스가 아닌 방향성 키, 오모스 인터페이스, 회전형 키, 키보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로 회전 모드, 선택 모드 외에 자(子)육면체를 모(母)육면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 모드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성 키, 오모스 인터페이스, 회전형 키, 키보드(키패드)와는 별도로 구비된 제2 모드변경키를 이용하거나 기존의 모드변경키를 그대로 활용하여 분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기존의 모드변경키를 활용하는 일 예로는, 해당 모드변경키를 한 번 씩 누를 때마다 동작 모드들이 번갈아 가며 전환(예컨대, 선택 모드->회전 모드->분리 모드)하거나, 누르고 있는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모드 전환이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외에도 근래에 상용화되어 있는 터치키나 스크린 터치 방식의 입력 수단을 이용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조작을 할 수 있으며, 터치 방식에서는 손가락의 터치 면적, 가압차, 멀티터치, 터치 상태에서의 손가락 이동 등의 기능으로 보다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는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If the input means is one of a directional key, an MOS interface, a rotary key, and a keyboard other than a mouse, the child cube is separated from the parent cube in addition to the rotation mode and the selection mode. Separation mode, etc. may be further added. In addition, the second mode change ke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irectional key, the OMOS interface, the rotary key, and the keyboard (keypad) may be used, or the existing mode change key may be used as it is to switch to the separate mode. For example, using the existing mode change key, each time the mode change key is pressed once, the operation modes are alternately switched (for example, selection mode-> rotation mode-> separation mode) or depending on the time pressed. You can think of a way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mode switch sequentially so that you can select it.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touch key or a screen touch input means. In the touch method, the touch area of a finger, a pressure difference, a multi-touch, a finger movement in a touch state,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The function can be applied more conveniently.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is beyo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운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콘텐츠 메뉴가 다면체의 면들 중에서 화면의 전면에 노출된 것들에 한정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면체를 2차원의 평면으로 펼쳐 놓으면 다면체의 모든 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다. 5 illustrates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has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content menu that the user can check is limited to those expos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among the faces of the polyhedron. When the polyhedron is spread out in a two-dimensional plane, all faces of the polyhedron Note that you can see it on the screen.

도 5의 육면체의 경우, 한 면에 하나의 콘텐츠 메뉴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해당 육면체를 3차원으로 표현한다 해도 하나의 화면으로 최대 3개의 콘텐츠 메뉴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육면체를 평면으로 펼친다면 6개의 콘텐츠 메뉴 모두를 한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 예를 도 5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case of the hexahedron of FIG. 5, since one content menu is disposed on one surface, even if the hexahedron is expressed in three dimensions, up to three content menus can be checked on one screen. Therefore, if the cube is unfolded in a plane by using a specific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all six content menus can be checked on one screen.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본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을 위해 앞에서 예시한 입력 수단들에는 육면체를 평면으로 펼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키가 할당되거나 미리 설정해 놓은 키 입력이 있어야 한다. 즉, 본 실시예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에는 전술한 회전 모드, 선택 모드 등 이외에 육면체를 평면으로 펼치기 위한 펼침 모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방향성 키, 회전형 키, 키보드 등은 별도로 구비된 제3 모드변경키를 이용하거나 기존의 모드변경키를 그대로 활용하여 펼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기존의 모드변경키를 활용하는 일 예로서, 해당 모드변경키를 한 번 씩 누를 때마다 선택 모드->회전 모드->펼침 모드를 번갈아 가며 전환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ut means exemplified above should have a key input that is assigned or pre-set additional keys for instructing the cube to be flat. That i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rotation mode, selection mode, and the like,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user terminal for the present embodiment, an unfolding mode for unfolding the cube in a plane may be further added. To this end, the above-described directional key, rotary key, keyboard, etc. can be switched to the unfolding mode by using a third mode change key provided separately or by using an existing mode change key as it is. As an example of using an existing mode change key, a method of alternately selecting mode-> rotation mode-> unfold mode can be considered each time the mode change key is pressed once.

모드변경키에 의해 펼침 모드로 전환되면 곧바로 화면에 육면체의 펼친 모습이 출력되고 동작 모드는 자동으로 선택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콘텐츠 메뉴에 커서가 위치해 있으며 사용자는 커서를 이동시켜 원하는 콘텐츠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펼침 모드에서 어떠한 키라도 한 번 입력되어야 펼친 모습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펼침 모드에서 어떠한 키라도 한 번씩 입력될 때마다 육면체 모습<->펼친 모습을 번갈아 가며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터치 키나 스크린 터치 방식으로도 미리 설정해 놓은 펼침 모드의 입력 조작에 의해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예컨대 도 17의 중앙 하부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보조 입력 표시부를 스크린상의 소정 영역에 메뉴 아이콘 방식으로 별도로 활성화되게 하여 간단한 터치 조작으로 구현할 수 있고, 상술한 입력 수단들을 통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당업자가 가능한 입력 수단을 새로이 채용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oon as the mode change key is switched to the unfold mode, the unfolded image of the cub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operation mod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elect mode. In this case, the cursor is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content menu, and the user can move the cursor to select a desired content menu.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set so that an expanded view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ly when any key is input once in the unfolding mode. In this case, it can also be set to alternately output the hexahedron shape <-> each time any key is input once in the unfolding mode. 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by the input operation of the spread mode set in advance, but also by the touch key or the screen touch method. For example, the auxiliary input display unit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of FIG. It can be implemented by a simple touch operation by the activation, the same also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put means,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by adopting a new input means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펼침 모드의 결과처럼 전개도 형태가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개개의 콘텐츠 메뉴들로 매트릭스 형태로 펼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콘텐츠 메뉴들로된 각각의 모육면체들로 분류해서 카테고리별로 여러 모육면체들을 펼쳐 놓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content can be unfolded in a matrix form as individual content menus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several cubes into categories by 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cubes of content menu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운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6 illustrates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하나의 화면에 노출되는 콘텐츠 메뉴가 많아 원하는 콘텐츠 메뉴를 작은 크기로밖에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육면체를 확대하여 출력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 메뉴를 보다 더 큰 크기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is embodiment considers that a large number of content menus are exposed on one screen, so that the desired content menu can only be checked in a small size, and the enlarged hexahedron is output so that the desired content menu can be confirmed in a larger size.

도 6의 육면체의 경우, 한 면이 9개의 블록으로 구분되어 있고 화면의 전면으로 3개의 면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결국 사용자는 하나의 화면으로 27개의 콘텐츠 메뉴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27개의 콘텐츠 메뉴를 한꺼번에 자세히 확인하는 것이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의 소정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육면체를 화면상에 확대하여 출력한다면 원하는 특정 콘텐츠 메뉴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콘텐츠 메뉴가 단순히 링크 정보만을 포함하지 않고 최종 콘텐츠 자체인 경우라면 육면체를 확대하여 해당 블럭 안의 최종 콘텐츠를 확인하는 모습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 예를 도 6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case of the hexahedron of FIG. 6, one side is divided into nine blocks, and three sides ar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screen. In the end, the user must check 27 content menus on one screen.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limited, it may be difficult to check the 27 content menus at once. Therefore, if the hexahedron is enlarged and output on the screen using a predetermined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the desired specific content menu can be confirmed more clearly. In particular, if the content menu does not simply include the link information but the final content itself, the cube may be enlarged to check the final content in the block.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as follows.

본 실시예를 위해 앞에서 예시한 입력 수단들에는 육면체의 확대/축소(또는 줌(zooming))를 지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키가 할당되거나 미리 설정해 놓은 키 값이 있어야 한다. 즉, 본 실시예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모드에는 전술한 모드들 이외에 육면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줌 모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방향성 키, 오모스 인터페이스, 회전형 키, 키보드, 터치키 등은 별도로 구비된 모드변경키를 이용하거나 기존의 모드변경키를 그대로 활용하여 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기존의 모드변경키를 활용하는 일 예로서, 해당 모드변경키를 한번씩 누를 때마다 선택 모드->회전 모드->줌 모드를 번갈아 가며 전환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The input means exemplified above for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have an additional key or a preset key value for indicating the zoom (or zooming) of the cube. That is, a zoom mode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hexahedron may be further added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user terminal for the present embodiment. To this end, the above-mentioned directional key, OMOS interface, rotary key, keyboard, touch key, etc. can be switched to the zoom mode by using a mode change key provided separately or by using an existing mode change key. As an example of using an existing mode change key,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selection mode-> rotation mode-> zoom mode can be considered each time the mode change key is pressed once.

모드변경키나 해당 키 입력값에 의해 줌 모드로 전환된 후 미리 정해진 키(예를 들어 선택키)가 입력되면 육면체가 미리 정해진 배율로 확대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줌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키(예를 들어 선택키)가 한 번씩 눌릴 때마다 육면체가 미리 정해진 배율 단위로 점점 확대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줌 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별도의 키 입력이 없어도 육면체가 미리 정해진 배율로 확대되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When a predetermined key (for example, a selection key) is input after being switched to the zoom mode by a mode change key or a corresponding key input value, the hexahedron may be enlarged and output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lternatively, each time a predetermined key (for example, a selection key) is pressed in the zoom mode, the hexahedron may be gradually enlarged and output in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unit.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set so that the cube is enlarged and output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even when the display is switched to the zoom mode and there is no separate key input.

한편, 확대된 육면체에서 원하는 콘텐츠 메뉴가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다른 키(예를 들어 방향키)를 이용하여 육면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화면상에서 육면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콘텐츠 메뉴가 화면에 충분히 노출되도록 조정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sired content menu is no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in the enlarged cube, the cube may be moved using another predetermined key (for example, a direction key). That is, by moving the cube on the screen, the desired content menu is adjusted to be sufficiently exposed on the screen.

이상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그 운용을 위한 입력 수단의 형태가 위의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육면체의 회전, 커서의 이동, 동작 모드의 전환, 자(子)육면체의 분리, 육면체의 생성, 육면체끼리의 결합, 육면체의 펼침, 육면체의 확대/축소 등을 위해 입력 수단의 조작 방법이 구분될 수 있다면 어떤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In the above, an example of operating the user interface using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has been described, but the form of the input means for the oper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In other words, the method of operating the input means for rotating the cube, moving the curs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separating the cube, generating the cube, combining the cubes, unfolding the cube, and expanding / reducing the cube. As long as it can be distinguished, any type of input means may be used.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다른 운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7A and 7B illustrate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 사양(spec)의 제약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책 등에 의해 다면체의 노출면을 한 화면당 2개 이하로 제한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is related to the case where the exposed surface of a polyhedron is limited to two or less per screen due to constraints of a user terminal specification, a user interface policy, or the like.

도 7a의 육면체를 참고하면, 육면체의 한 면에는 9개의 콘텐츠 메뉴가 배치되므로 육면체를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에는 한 화면에서 9개의 콘텐츠 메뉴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육면체를 좌/우로 일부 회전시키면 두 개의 면이 한 화면에 노출되므로 18개의 콘텐츠 메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7A, since nine content menus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ube, when viewing the cube in front, only nine content menus may be checked on one screen. However, if the cube is partially rotated to the left / right side, two surfaces are exposed on one screen, and thus 18 content menus can be checked.

육면체의 회전은 반드시 좌/우 방향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7b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북서쪽, 북동쪽, 남서쪽, 남동쪽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Rotation of the cub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left / right direction and may be rot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as shown in FIG. 7B, and may be rotated in the northwest, northeast, southwest, and southeas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본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을 위한 동작 모드의 변경, 회전 모드, 커서의 이동, 메뉴 콘텐츠의 선택 및 최종 콘텐츠의 출력 과정은, 육면체의 초기 배치가 최대 2개의 면이 전방에 배치되도록 설정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a 내지 도 3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에서 육면체의 회전을 동(E)/서(W)로 한정하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Changing the operation mode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mode, the movement of the cursor, the selection of the menu content and the output of the final content, the initial layout of the cube is set so that up to two faces are placed in front Except for the same as the case of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cube to the east (E) / west (W) in the user interface operation of FIGS. 3A to 3C,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의 회전은 방향키가 눌릴 때마다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함으로써 한 화면에 두 개의 면이 노출되도록 중간 단계를 둘 수도 있으나, 방향키가 한 번 눌리면 곧바로 해당 방향으로 육면체가 회전하여 화면에 다음 면만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노출면을 2개 이하로 제한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본 예의 회전 모드는 상하좌우 및 대각방향으로도 2회 이상 다수 회 회전하는 동작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of the cub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 intermediate step so that two surfaces are exposed on one screen by rot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every time the direction key is pressed, the cube is rotated immediately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when the direction key is pressed once You can also set the screen to display only the next screen.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an example in which the exposure surface is limited to two or less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otation mode of the present example may also rotate twice or more times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본 발명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a user terminal implementing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통신인터페이스(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및 GUI 운용부(160)를 포함한다.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m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an output unit 120, a communication interface 130, a storage unit 140, a controller 150, and a GUI operating unit 160. .

입력부(110)는 동일 궤도상의 메뉴 간에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서로 다른 궤도상의 콘텐츠 메뉴 간에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지시 및 커서가 위치한 지점의 콘텐츠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또한 입력부(110)는 본 발명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예컨대 동일 궤도상의 콘텐츠 메뉴들을 회전시키거나 회전 대상의 궤도를 전환하기 위한 지시 및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한 콘텐츠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지시 등의 다양한 모드들(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각종 모드들을 포함한다)의 실행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참고로, 이전의 설명에서 언급한 입력 수단은 입력부(110)와 동일한 개념이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from the user an instruction for moving the cursor between menus on the same trajectory or between the content menus on different trajectories, and an instruction for selecting the content menu at the point where the cursor is located. 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may use various modes such as an instruction to rotate the content menus on the same track or to change the trajectory of the rotation target and an instruction to select a content menu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cuted from the user (including various mode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reference, the input means mention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the same concept as the input unit 110.

커서의 이동, 콘텐츠 메뉴의 회전 및 메뉴 선택을 위해 방향성 키, 오모스 인터페이스, 회전형 키, 터치 키, 키보드, 터치 스크린, 마우스,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 조그 다이얼 등이 입력부(110)로 사용될 수 있다.Directional keys, OMOS interfaces, rotary keys, touch keys, keyboards, touch screens, mice, keypads of mobile terminals, jog dials, etc. may be used as the input unit 110 for moving the cursor, rotating the content menu, and selecting a menu. have.

출력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일반적인 정보들을 화면에 출력하고, 특히 GUI 운용부(150)에 의해 구성되는 단계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의 출력을 위해 브라운관, 엘시디, 엘이디, 플라즈마 방식의 모니터나 티브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출력부(120)로 사용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0 outputs general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user terminal 100 on the screen, and in particular, outputs the user interface selected by the GUI operating unit 150 and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n the screen. For output of the user interface and content, a CRT, LCD, LED, plasma type monitor, TV, liquid crystal display, etc. may be used as the output unit 120.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운용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메뉴 및 최종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140)로 전송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130 is a passage for downloading an operation application, a content menu, and final content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wnloading the final content to the storage 140 through the Int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Play a role.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운영체제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장소이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콘텐츠 메뉴, 최종 콘텐츠를 각각 메뉴 DB(141) 및 콘텐츠 DB(142)에 저장한다.Storage unit 140 is a place for storing the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applications required for driving the user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content menu and final content constituting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nu DB 141, respectively And store in the content DB 142.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원활한 구동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GUI 운용부(160)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원활하게 제공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150 performs overall control for smoothly driving the user terminal 100, and in particular, controls the GUI operation unit 160 to smoothly provide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UI 운용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다면체의 여러 모드들의 동작(상술한 자 다면체의 분리, 다면체의 펼침, 다면체의 확대/축소 등은 물론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각종 모드들을 포함), 커서의 이동, 콘텐츠 메뉴의 선택에 따른 최종 콘텐츠 출력 등에 따라 그에 상응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거나 다음 단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최종 콘텐츠를 출력한다. GUI 운용부(160)는 전술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3D 엔진으로 지칭되는)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GUI operation unit 160 configures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and operates various modes of the polyhedron (separation of the aforementioned polyhedron, expansion of the polyhedron, expansion of the polyhedron / And other mode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re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ursor, outputting the final conten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menu, 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f the next level or Output The GUI operator 160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application (eg, referred to as a 3D engine) that provides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로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or Notebook PC), 팜탑(Palmtop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 자동차 네비게이션(Car Navigation),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like Blackberry), 게임 단말(Game terminal like X-Box, PlayStation, Nintendo DS), 각종 이동 통신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As a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ktop PC, a laptop PC, a palmtop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ersonal multimedia player (PMP) are used. , Telematics Terminal, Car Navigation, Mobile Phone, Smart Phone like Blackberry, Game Terminal like X-Box, PlayStation, Nintendo DS,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A portable terminal or the like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부(110)에 대한 예로 기계적 접촉 여부의 감지를 이용한 키 입력식 입력 수단 또는 회전식 휠 입력 수단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촉각 센서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입력 수단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부(11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경우, 별도로 모드변경용 키를 설치하거나 커서를 구현할 필요 없이 각 콘텐츠 메뉴에 대해 사용자의 직관적인 선택 및 입력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key input means or rotary wheel input means using the detection of the mechanical contact, but electronic input means using a tactile sensor or a touch sensor Again,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In addition, when the input unit 110 of the user terminal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tuitively select and input each content menu without installing a mode change key or implementing a cursor.

한편, 이상에서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곡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에 대하여도 인터페이스의 구성 및 운용은 동일하게 적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nterface of the planar polyhedron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nterface is equally applied to the curved polyhedron.

도 9는 모바일 단말기나 정보 통신 기기 등의 화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 메뉴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원하는 콘텐츠 메뉴를 하나 이상을 손가락으로 터치 방식에 의해 선택하는 경우 그 터치 동작에 의해 콘텐츠 메뉴들을 결합하는 결합 모드의 한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도 상술한 예들에서와 같이 콘텐츠 메뉴들의 결합 동작 모드를 터치 방식이 아닌 다양한 입력 방식에 의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능함은 물론이다. FIG. 9 illustrate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content menus selectable by a user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user selects one or more desired content menus by a touch method with a finger. An example of the combined mode of combining the content menus by the touch operation is shown. Here too,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e combined operation mode of the content menus is possible by a user operation by various input methods rather than a touch method.

도 10은 결합된 콘텐츠 메뉴들이 하나 이상의 다면체 프레임(여기서는 정육면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을 생성하여 다면체 프레임의 각 면에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선택 결합시키는 콘텐츠 메뉴들의 수 만큼 다면체 프레임의 각 면에 배치되거나, 그 콘텐츠 메뉴들의 수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반복하여 다른 콘텐츠 메뉴들을 예컨대 일정한 유형별로 결합시키는 등의 조작에 의해 다면체 프레임을 복수 개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개의 다면체 프레임의 형성으로 다양한 콘텐츠 메뉴로 구성된 다면체 프레임들을 다시 결합시켜 도 11과 같은 다면체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예로 다면체 프레임의 각 면에 3x3 블록 어레이 구조를 갖는 큐브형 다면체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선택하여 결합시키는 콘텐츠 메뉴들의 수나 속성에 따라 그 규모가 결정된다. 그래서 3X3 뿐만 아니라 2X2, 4X4, 5X5, 6X6, ...., nXn의 블록 어레이 구조를 갖는 다면체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FIG. 10 shows an example where the combined content menus are generated on one side of a polyhedron frame by generating one or more polyhedral frames (which will be described here with a cube as an example). The polyhedron frame is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frame by the number of content menus that the user selects and combines on the screen, or the polyhedron fram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ontent menus or by the user repeatedly combining other content menus, for example, by a certain type.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 plurality of. In addition, a polyhedron frame as shown in FIG. 11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polyhedron frames composed of various content menus by forming a plurality of polyhedron frames. For example, a cube-like polyhedron frame having a 3 × 3 block array structure may be formed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frame. Its siz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r properties of the content menus to be selected and combined. Thus, a polyhedral frame having a block array structure of 2X2, 4X4, 5X5, 6X6, ..., nXn as well as 3X3 can be formed.

도 11에서는 한 면에 9개의 콘텐츠 메뉴들을 갖는 다면체 프레임으로 구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27개의 콘텐츠 메뉴를 3개의 면에 결합시킨 다면체 프레임에서 사용자는 터치 방식이나 입력키 등 상술한 각종 여러 입력 수단을 통해 콘텐츠 메뉴의 선택이나 실행이 가능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큐브 형태의 다면체 프레임의 보이지 않은 면을 포함하면 본 예의 경우 54개의 콘텐츠 메뉴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큐브형 다면체 프레임에 배치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술한 예에서처럼 예컨대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모드의 실행으로 각 면에서의 콘텐츠 메뉴 선택이나 검색이 가능하다. 11 shows an example of a polyhedron frame having nine content menus on one side. That is, in the polyhedron frame in which 27 content menus are combined on three surfaces as shown in FIG. 11, the user can select or execute the content menu through various input means described above such as a touch method or an input key. In addition, if the invisible surface of the cube-type polyhedron frame shown in FIG. 11 is included, in the present example, 54 content menus may be combined and arranged in one cube-type polyhedron frame, and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By executing the rotation mod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ntent menu can be selected or searched on each side.

즉, 일례를 들면, 기존의 일반 웹 브라우저에서 평면적으로 구성되어 보여주는 메뉴 폴더 방식의 개념을 3D 방식의 메뉴 폴더 트리(tree) 구조로 한층 발전시킨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입력 조작 한계 및 디스플레이 한계를 보다 확장시킨 방식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콘텐츠 메뉴의 속성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은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예컨대 웹 사이트를 보여줄 때는 웹브라우저가 되기도 하며, 동영상을 보여줄 때는 동영상 플레이어(더 나아가 멀티비전 플레이어)가 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for example, the concept of a menu folder method which is flatly configured in a conventional general web browser is further developed into a 3D menu folder tree structure. An extended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ddition, it may have various meaning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content menu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showing a website, it can be a web browser, and when it shows a video, it can be a video player (or even a multi-vision player).

도 12a 및 도 12b은 다면체 프레임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다면체 프레임의 각 블록면에 배열된 콘텐츠 메뉴들의 행과 열을 부분적으로 재조립 조작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대로 재배치 또는 재구성 등이 가능한 재구성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면에 하나의 콘텐츠 메뉴를 갖는 복수개의 자(子)다면체 프레임(도시된 대로 정육면체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형성된 모(母)다면체 프레임에는 각 면마다 3 X 3 배열 구조의 자(子)다면체 프레임들이 결합된 큐브 형태의 모(母)다면체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이 큐브 형태의 모(母)다면체 프레임은 3X3 배열 이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4 X 4, 5 X 5, ...... n X n 배열을 가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연하다. 12A and 12B illustrate a reconstruction mode that can be rearranged or reconstruct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by partially reassembling a row and a column of content menus arranged on each block surface of a polyhedron frame in a user interface using a polyhedron frame. It is show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a parent polyhedron fram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olyhedron frames (cuboid frames as shown) with one content menu on each side may be included in each parent polyhedron frame. A cube-shaped polyhedron frame is shown, in which a polyhedron frame having a 3 × 3 array structure per surface is combined. As described above, the cube-shaped polyhedron frame may have 4 X 4, 5 X 5, ... n X n arrays,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in addition to the 3X3 array.

여기서는 3 X 3 배열을 갖는 큐브 형태의 모(母)다면체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조작, 예컨대 화면상에서의 방향성 터치에 의해 각 행과 열이 독립적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방향성 터치 조작은 다단화 하는 경우 1회전 이상 회전시킬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당연하다.Here, an example in which each row and column can be independently rota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user's manipulation, for example, a directional touch on the screen, in a cube-shaped tetrahedral frame having a 3 X 3 array is shown. It is show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irectional touch manipulation of the user may be rotated more than one rotation in the case of multistage.

이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 행과 열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뉴스기사, 상품광고, 쇼핑정보, 음악, 동영상 등 원하는 콘텐츠 메뉴들의 집합으로 재조립하여 콘텐츠 메뉴 재구성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주제 또는 검색어에 대해 사용 빈도수에 따라 구성하거나 또는 특정 프레임을 맞춤식 화면으로 구성하여 화면상의 프레임을 변화시키기도 하며 시스템 자체가 연관된 콘텐츠를 스스로 재배치 재구성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자유로운 재조립에 의한 재구성이 가능하다.In this way, by rotating each row and colum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ntent menu can be reconfigured by reassembling into a set of desired content menus such as news articles, product advertisements, shopping information, music, and videos. It can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for a desired topic or search word, or a specific frame can be customized to change the frame on the screen, and the system itself can be reconfigured by free reassembly with a user interface that can rearrange and reconfigure related contents. .

또한, 이 재구성 모드는 다면체를 이루는 각 블록들의 행과 열을 독립적으로 재조립이나 회전 등이 가능하므로, 상용화되어 있는 게임기구인 큐브를 화면상에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게임 모드를 별도로 추가하여 재구성 모드에서 또는 다른 동작 모드에서 게임 모드로 전환(모드 전환과 관련해서는 상술한 예들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다면체의 각 면에는 콘텐츠 메뉴들이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큐브 게임 기구처럼 각 면마다 특정 색으로 표시되게 하거나 특정의 무늬로 구분되게 하여, 터치 방식을 비롯한 각종 입력 방식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큐브 게임처럼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 사용자의 게임 히스토리나 게임 방식 등을 저장하는 게임 DB부를 저장부(140)에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150)를 통해 제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is reconstruction mode can independently reassemble or rotate the rows and columns of each block forming the polyhedron, thereby realizing a commercial game cube on the screen. In other words, if the game mode is added separately to switch from the reconfiguration mode or the other operation mode to the game mode (assuming the implementa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xamples with regard to mode switching), the content menus are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Rather than being a cube game device, each surface is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or distinguished by a specific pattern, and according to a user's input operation using various input methods including a touch method, the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cube game.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is case, the game DB unit for storing the user's game history or game metho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ler 150.

또 도 13a~13f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한 면의 콘텐츠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도 13b와 같이 그에 상응하는 하위 콘텐츠 메뉴로의 액세스가 가능한 선택 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13a에 도시된 대로 쇼핑몰 콘텐츠 메뉴들이 배치된 다면체의 한 면의 블록들중 한 블록면에 배치된 운동화 메뉴를 선택하면, 도 13b에서와 같이 그 운동화 메뉴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상세정보를 하위 메뉴로서 조회 및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3c에서와 같이 확인 후 다시 상품 선택한 콘텐츠 메뉴를 터치하면 상세정보가 원위치로 다시 복귀하고 다른 콘텐츠 메뉴 또는 그 하위 메뉴로의 검색 및 조회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콘텐츠 메뉴를 선택하고 그 하위 메뉴를 조회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하는 콘텐츠 메뉴가 TV 영상물이거나 각종 동영상인 경우에는 선택 모드 실행시 해당 영상물 또는 그 하위의 영상물이 재생되는 플레이어가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3A to 13F, when one of the content menus of one side of the hexahedron is selected, a selection mode in which a corresponding lower content menu is accessible as shown in FIG. 13B is illustrated. For example, if the sneaker menu is arranged on one of the blocks of one side of the polyhedron on which the shopping mall content menus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13A, product detail information on th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sneaker menu as shown in FIG. 13B. Can be inquired and confirmed as a submenu, and after confirming again as shown in FIG. 13C, when the product-selected content menu is touched, the detailed informati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search and inquiry to another content menu or its submenu are made possible. . In this example, the content menu is selected and the submenu is queri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lected content menu is a TV video or various videos, the video or a video below it is played when the selection mode is executed. No wonder you can be a player.

또한, 도 13d에 도시된 예는 육면체의 한 면의 콘텐츠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할 때 하위 메뉴로의 이동 전에 메뉴내에 있는 하위 메뉴에 해당되는 콘텐츠들에 대한 검색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문자로 입력하여 원하는 콘텐츠 메뉴를 조회시 보다 신속하게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입력창이 활성화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입력창의 활성화는 예컨대 마우스를 이용한 입력 방식에서는 해당 마우스 커서를 해당 블록면에 가져다 놓을 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입력창 활성화 메뉴의 클릭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입력창 활성화 메뉴를 구분해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입력 수단이라면 어떠한 입력 수단이라도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또한, 도 13d에는 간단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검색창 또는 입력창이 활성화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보다 확장해서 콘텐츠 메뉴를 검색 또는 조회하면서 원하는 정보를 간단히 메모할 수 있는 입력 기능을 갖는 입력창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D, when selecting one of the content menus on one side of the cube, a search fo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ubmenus in the menu or a text input by the user is desired before moving to the submenu.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an input window having a function of immediately checking a desired content menu is activated. In the input method using a mouse, for example, the input window can be activated by clicking the input window activation menu by pressing the right mouse button when the mouse cursor is placed on the block surface. In addition, any input means can be modified or improved as necessar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long as the input means has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and selecting an input window activation menu. In addition, although FIG. 13D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earch box or an input window that enables simple character input is activated, an input window having an input function capable of simply memorizing desired information while searching or inquiring a content menu is further expanded.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도 13e 및 도 13f는 큐브 형태의 모(母)다면체 프레임의 모서리부를 화면상에서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모다면체의 프레임 자체를 움직여 보다 다양한 콘텐츠 메뉴들에 대해 보다 편리한 검색이 작은 화면 안에서 가능한 뷰잉 각 조정 모드의 예를 도시한다. 예컨대 도 1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 터치 방식을 한 예로 들면, 화면상에서 다면체 프레임을 왼쪽으로 터치하면 도 13f 처럼 두 개의 면이 노출되게 표시되고 이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터치하면 3개의 면이 노출되어 육면체의 경우 최대 27개의 콘텐츠 메뉴들에 대한 조회가 가능함을 도시한 예이다. 본 예의 스크린 터치 방식 이외에도 이러한 뷰잉 각 조정이 구분될 수 있는 입력 방식이라면 상술한 입력 수단에 의한 예들 이외의 어떠한 입력 방식도 채용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당연하다.13E and 13F are more convenient for various content menus by moving the frame itself of the polyhedr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ouching a corner of the cube-shaped polyhedron frame with a finger on the screen. An example of the viewing angle adjustment mode where a search is possible within a small screen is show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F, when the screen touch method is taken as an example, when the polyhedral frame is touched on the screen to the left, two faces are exposed as shown in FIG. 13F, and when the touch is downward in this state, three faces are exposed. In the case of the hexahedron, it is an example that up to 27 contents menus can be search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ny input method other than the examples by the above-described input means can be employed as long as the viewing angle adjustment can be distinguished in addition to the screen touch method of the present example.

본 실시예는 도 14와 같이 하나의 모(母)다면체가 복수의 자(子)다면체들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사용자는 화면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모(母)육면체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도 15a와 같이 하나의 객체 이동으로 그 선택된 블록을 한 면으로 하는 자(子)육면체(들)를 모(母)육면체로부터 분리해내고, 분리된 자(子)육면체에서 분리 전에 모(母)육면체와 겹쳐 있었으나 분리 후 화면의 전면에 노출되는 면에도 새로운 콘텐츠 메뉴나 관련 콘텐츠 메뉴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母)육면체에서, 분리 전에 자(子)육면체와 겹쳐 있었으나 분리 후에 화면의 전면에 노출되는 면에도 도 15b와 도 15c와 같이 새로운 콘텐츠 메뉴나 관련 콘텐츠 메뉴가 배치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새로이 노출되는 블록면에 대한 회전이나 선택, 확대, 상세 조회 모드 등이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분리된 모다면체의 노출면은 도 15b를 한 예로 설명하면 총 5개의 면이 노출되게 되는데 전면 중앙면은 해당 메뉴와 관련된 이미지, 혹은 광고나 관련 동영상을 재생하는 플레이어가 될 수도 있다. This embodiment focuses on the fact that one parent polyhedr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lyhedrons as shown in FIG. 14,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t least one of the parent cubes expos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Select one, and separate the child cube (s) from the parent cube and separate the child cube from the parent cube. A new content menu or a related content menu may also be arranged on a surface previously overlapped with a parent cube but expos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after separation. In addition, in the parent cube, a new content menu or a related content menu is disposed on the surface that overlaps the child cube before separation but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screen after separation, thereb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In addition, the rotation, selection, enlargement, and detailed search modes of the newly exposed block surface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Here, whe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eparated polyhedron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FIG. 15B, a total of five surfaces are exposed, and the front center surface may be a player that plays an image related to the menu or an advertisement or a related video.

예컨대, 영화 관련 메뉴들로 구성된 모다면체 프레임의 한 면에서 특정한 한 유명 극장을 보여주는 하나의 자다면체 프레임을 분리해낸 경우 분리 후 노출되는 그 안쪽의 각각의 면에는 그 극장에서 상영하고 있는 영화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보다 상세한 검색 및 조회가 가능한 것이다. 즉, 화면상에서 관심있는 콘텐츠를 보여주는 면을 터치함으로써 보다 상세한 콘텐츠 내용이나 보다 하위의 콘텐츠 메뉴로 이동하게 되고, 또 예컨대 방향성 터치를 통해 윗면이나 밑면이나 좌우면의 콘텐츠를 돌려가면서 화면상의 전면에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중앙면과 같은 특정 면에는 광고와 같은 부가 콘텐츠 메뉴가 표시되거나 동영상물 일 때는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For example, if one side of a polyhedron frame composed of movie-related menus is separated from a single polyhedron frame showing a particular famous theater, each side of the inner surface that is exposed after separation is displayed with the movies being shown in that theater. Therefore, more detailed search and inquiry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peration. In other words, by touching the surface showing the content of interest on the screen, the user moves to the more detailed content or the lower content menu, and for example, the directional touch rotates the top, bottom or left and right content, and displays it on the front of the screen. It can be done. On a specific surface, such as a central surface, a menu of additional content such as an advertisement may be displayed or a video may be played when the video is a video.

또한, 조회 및 검색을 마친 경우 사용자의 의도하는 입력 조작에 의해 상기 분리해낸 자다면체 프레임을 모다면체 프레임의 원래 위치에 복귀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when the inquiry and search is completed, it is natural that the separated polyhedron frame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polyhedron frame by the user's intended input operation.

또한, 도 15c에서 같이 분리된 다면체 프레임 중 하나의 다면체 프레임이 활성화되어 자체적인 객체 콘텐츠 계산에 의해 계산된 자(子)육면체가 새로운 모다면체 프레임으로 생성되는 예가 도 16a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객체 콘텐츠 계산은 별도의 입력키를 설치하여 실행하거나 미리 정해놓은 기능키 동작 방식 또는 미리 설정해 놓은 자동 계산 방식 또는 도 17의 도시된 것처럼 스크린 일부 영역에 별도의 보조 입력 표시부를 제공하는 방식 등에 의거해서 실행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6a의 경우, 분리된 하나의 자육면체는 각 면에 하나의 블록면을 갖고 있는 입체 폴더이고, 각 블록면은 상위 폴더로서 그 내부에 다수의 하위 메뉴에 속하는 콘텐츠 메뉴들이 있을 때 그 콘텐츠 메뉴들의 양이나 수가 미리 설정된 계산 방식에 의해 계산되거나 별도의 입력키를 통한 입력 조작에 따라 계산되어 해당 콘텐츠 메뉴의 수나 양에 따라 n X n 모육면체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콘텐츠 메뉴들의 수나 속성에 따라 도 16a에서는 자육면체들이 3 X 3 행렬로 구성된 새로운 모육면체 프레임, 그리고 도 16b에서는 자육면체들이 4 X 4 행렬로 구성된 새로운 모육면체 프레임을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In addition, an example in which a polyhedron frame of one of the polyhedron frames separated as shown in FIG. 15C is activated to generate an icosahedron calculated by its own object content calculation as a new polyhedron frame is illustrated in FIG. 16A. The object content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by installing a separate input key or execu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key operation method, a preset automatic calculation method, or a method of providing a separate auxiliary input display unit on a part of the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17. Can be run.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16A, a single icosahedron is a three-dimensional folder having one block face on each face, and each block face is a parent folder when there are content menu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submenus therein. The amount or number of content menus may be calculated by a preset calculation method or calculated according to an input operation through a separate input key, thereby generating n X n cubes according to the number or amou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menu. That is, an example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a new cube frame consisting of 3 × 3 matrices in a cube, and a new cube frame consisting of 4 × 4 matrices in FIG. 16B according to the number or attributes of content menus. Is showing them.

그리고 도 16c 및 도 16d에서는 새로이 생성된 4 X 4 모육면체 프레임에서 또다른 자(子)육면체가 분리되어, 내부의 하위 콘텐츠 메뉴들의 수 또는 양에 따라 소정의 미리 설정해 놓은 객체 콘텐츠 계산 프로세스에 의해 또다른 4 X 4 모육면체 및 3 X 3 모육면체를 생성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객체 콘텐츠 계산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상에 별도의 보조 입력 표시부가 활성화되어 이의 조작을 통해, 분리된 자육면체의 새로운 모육면체화 또는 새로 생성된 모육체의 자육면체로의 복귀 등의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다. 도 17은 이러한 변환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나타낸 것이다. In FIG. 16C and FIG. 16D, another child cube is separated from the newly generated 4 × 4 cuboid frame, and a predetermined object content calculation process is se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number or amount of lower content menus therein. An example of generating another 4 × 4 cube and 3 × 3 cube is shown. And, as shown in FIG. 17, the object content calculation is performed by a separate auxiliary input display unit on the screen, and through the manipulation thereof, the separated cuboid or the newly generated cuboid into the cuboid. Input operations such as return can be performed. Figure 17 illustrates this conversion process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사용자의 의도한 바에 따라 이러한 조작을 반복하면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다면체에서 새로운 여러 개의 다면체 프레임이 만들어지고 이렇게 여러 개로 만들어진 다면체 프레임들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화면상에 배열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카테고리별로 배열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사전의 옵션 설정이나 미리 정해 놓은 출력 방식에 따라 조회수순, 기호도순 등 여러 방식으로 분류 배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카테고리별로 배열된 각각의 다면체들은 특정한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위 콘텐츠 메뉴들을 각 면의 블록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입체화된 폴더로서 마치 즐겨찾기 폴더를 열지 않고서도 화면상에서 그 폴더내의 콘텐츠 메뉴는 물론 하위 메뉴들까지 한꺼번에 파악하거나 조회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Repeat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s shown in Fig. 16E, several new polyhedron frames are created from one polyhedron, and these multiple polyhedral frames may be arranged on the screen regularly or irregularly. In this figure, a case in which the arrangement is made for each category is shown. It is natural that sorting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such as search order and preference order according to user's dictionary option setting or predetermined output method. At this time, each of the polyhedrons arranged by category can arrange sub-content menus belonging to a specific category in each block, so that the content menu in the fold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without opening a favorite folder. Sub menus can be identified or searched at once.

또한, 도 16f 및 도 1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별로 화면상에 배열된 다면체 프레임들을 사용자가 예컨대 화면상에서 손으로 터치하는 등의 적절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원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 메뉴들을 선택해 결합하면 선택된 다면체의 콘텐츠 메뉴들이 모여 또다른 하나의 다면체 프레임으로 다시 생성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검색 및 수집이나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의 평면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에서 마우스 클릭에 의해 상위 또는 하위 폴더로 이동해야 액세스해 볼 수 있는 것을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래픽화 함으로써 제한된 화면에서도 보다 상위 폴더나 보다 하위 폴더의 메뉴로 이동해가는 입력 조작 없이도 한꺼번에 최대한 많은 수의 콘텐츠 메뉴들이나 폴더들을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는 3D 입체 폴더와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Also, as shown in Figs. 16F and 16G, the polyhedral frames arranged on the screen for each category are combined by using an appropriate input means such as a user's hand touching on the screen, thereby selecting content menus of a desired category. When combined, the content menus of the selected polyhedrons are gathered and recreated into another polyhedron frame, which enables searching, collection or storag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at is, in the conventional planar user interface method,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upper or lower folder by mouse click to graphic the sam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by moving to a menu of a higher folder or a lower folder even in a limited screen. An example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is shown, such as a 3D stereoscopic folder, that allows you to view and view as many content menus or folders as possible without input manipulation.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스크린 터치식과 같은 입력 수단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운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그 운용을 위한 입력 수단의 형태가 위의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다면체의 동작 모드들을 위해 입력 수단의 조작 방법이 구분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동작 모드 전환을 위해서는 위의 예들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공지된 기술 등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당업자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선택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 example of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example of an input means such as a screen touch type has been described, but the form of the input means for the oper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That is, as long a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nput means can be distinguished for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modes of the polyhedron, any type of input means may be used, and to change the operation mod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s it can be utiliz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select arbitrarily as need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쉽게 구현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device and the user interface,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which realiz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ations can be readily implemen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provided. Forms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4)

지정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콘텐츠 메뉴와;
각 면의 구획된 블록에 상기 콘텐츠 메뉴가 각각 배치된 복수의 자(子)다면체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모(母)다면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A plurality of content menus for executing designated content;
And a polyhedron fr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lyhedron frames each having the content menu disposed in a partitioned block on each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프레임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 수단의 조작에 따라 뷰잉 각 조정, 회전, 커서 이동, 분리, 결합, 재구성, 게임 또는 펼침 모드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rein the polyhedron frame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of viewing angle adjustment, rotation, cursor movement, separation, combining, reconstruction, game, or unfolding modes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input means by a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메뉴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하위의 콘텐츠 메뉴들을 포함하는 다음 단계의 폴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거나, 상기 선택된 메뉴에 상응하는 콘텐츠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one of the content menus is selected, a folder user interface of a next step including lower content menus is displayed, or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s execu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메뉴들중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메뉴들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결합시키는 입력 조작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선택된 메뉴들이 상기 다면체 프레임의 각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yhedron frame is generated by an input operation in which a user selects and combines content menus desir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menus, and the selected menus are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fram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다면체 프레임은 각 면에 상기 자다면체의 블록들이 n X n(n은 자연수) 행열 구조로 배치되는 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lyhedron frame has a hexahedron shape in which blocks of the polyhedron on each side are arranged in an n × n (n is a natural number) matrix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프레임은 기하학적으로 가능한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자다면체 블록들의 기하 모양에 따라 구조 및 형상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yhedron frame may be formed in a geometrically possible structure and shape, or the structure and shap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eometric shape of the polyhedron block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각 조정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상하좌우 및 대각 방향으로 뷰잉 각을 조정하여 상기 다면체 프레임의 각 면에 배치된 콘텐츠 메뉴들의 노출되는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viewing angle adjustment mode adjusts the viewing angle of the content menus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frame by adjusting the viewing angl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user's input oper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상하좌우 및 대각 방향으로 상기 다면체 프레임 자체 또는 상기 다면체 프레임내의 소정 블록면을 1회 또는 복수 회 회전시켜 원하는 콘텐츠 메뉴들을 조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on mode is a graphical 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sired content menus can be inquired by rotating the polyhedron frame itself or a predetermined block surface in the polyhedron frame once or plural times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user's input operation. interf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서 원하는 콘텐츠 메뉴를 갖는 자(子)다면체 프레임을 상기 모다면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separation mode is a graphical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o separate from the polyhedron frame having a desired content menu by a user input oper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모드는 상기 다면체 프레임의 면들을 평면적으로 펼치거나, 상기 모다면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자다면체 프레임들로 분해하여 화면상에 흩트려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unfolding mode is a graphic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polyhedron frame is spread out flat o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 polyhedron frames constituting the polyhedron to be scattered on the scree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프레임 자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보여주거나, 상기 다면체 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들 중 원하는 블록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보여주는 줌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And a zoom mode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polyhedron frame itself, or for enlarging or reducing a desired block surface of blocks forming the polyhedron fram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모드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메뉴들중 원하는 콘텐츠 메뉴들을 사용자의 선택 입력 조작에 따라 하나의 다면체 프레임으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콘텐츠 메뉴들 또는 복수의 상기 다면체 프레임들을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결합시켜 모다면체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combining mode combines desired content menus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menus into one polyhedron fram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operation, or combines the plurality of content menus or the plurality of polyhedral frames by a user input ope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o combine to form a polyhedron fram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모드는 상기 모다면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자다면체 프레임들의 소정의 행이나 열을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하좌우 또는 대각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콘텐츠 메뉴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재구성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onstruction mode is a graphic user capable of reconfiguring the content menus as desired by the user by rotating a predetermined row or column of the polyhedron frames constituting the polyhedron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diagonal direction according to a user's input operation. interf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모드는 서로 연관된 콘텐츠 메뉴들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reconfiguration mode reconfigures content menus associat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프레임은 모서리부를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조작할 때, 상,하,좌,우로 상기 다면체 프레임 자체 또는 해당 노출 면의 이동 또는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yhedron frame is a graphical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lower, left, right to move or rotate the polyhedral frame itself or its exposed surface when operating the corner portion in the direction intended by the us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子)다면체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의 상기 모다면체 프레임에서 상기 분리된 공간에 노출된 프레임의 면은 상기 분리된 자다면체 프레임의 하위 콘텐츠 메뉴 또는 관련 메뉴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하위 콘텐츠 메뉴 또는 관련 메뉴에 대한 상세 조회나 실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9,
The surface of the frame exposed to the separated space in the polyhedron frame in which the polyhedron frame is separated is composed of a lower content menu or a related menu of the separated polyhedron frame, According to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iled search or the execution of the lower content menu or related menu.
제 9항, 제 12항 또는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다면체 프레임은 분리된 후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독립된 제2 모다면체 프레임으로 활성화되거나, 상기 제2 모다면체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제 2 자다면체 프레임이 분리되거나, 상기 제2 모다면체 프레임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복수의 개 수로 활성화되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12 or 13,
The polyhedron frame is separated and activated as an independent second polyhedron frame according to a user's input operation, or a second polyhedron frame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polyhedron frame by a user's input operation, or the second mother polyhedron frame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polyhedron frame. The polyhedron frame may be activated in a plurality of numbers and arranged regularly or irregularly according to a user's input operation.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는 상기 분리되어지는 자다면체 프레임에 저장된 콘텐츠 메뉴의 수나 양에 따라 계산되어져 또다른 모다면체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said activation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r amount of content menus stored in said separate polyhedron frame to produce another polyhedron frame.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조작은 방향성 키, 오모스 인터페이스, 회전형 키, 키보드, 터치 키, 스크린 터치 방식, 마우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And the user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a directional key, an MOS interface, a rotary key, a keyboard, a touch key, a screen touch method, and a mou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메뉴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콘텐츠 메뉴가 배치된 블록 주위의 소정 위치에 문자 입력 창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one of the content menus is selected, a text input window is activ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ound a block in which the selected content menu is arranged.
제 1항 내지 제 16항 또는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프레임은 상기 콘텐츠 메뉴의 속성에 따라 웹브라우저, 폴더, 툴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or 20,
And wherein the polyhedron frame functions as a web browser, a folder, a toolbar, a user interface, or a video player,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the content menu.
지정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콘텐츠 메뉴와; 각 면의 구획된 블록에 상기 콘텐츠 메뉴가 각각 배치된 복수의 자(子)다면체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모다면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부;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수행하는 입력부;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다면체 프레임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 메뉴를 출력하는 GUI 운용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A plurality of content menus for executing designated content;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a polyhedron fr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lyhedron frames each having the content menu disposed in a partitioned block of each si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user's input command; And
And a GUI operating unit configured to configure the graphic user interface and output a desired content menu through the polyhedron fram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제 22항에 있어서,
전기 전자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콘텐츠 메뉴에 접근하거나 상기 콘텐츠 메뉴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2,
Access the content menu or download the content menu via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 A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receiving.
제 1항 내지 제 16항 또는 제 20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기능시키기 위해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21.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aus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ny one of claims 1 to 16 or 20 to function in a given user terminal.
KR1020100044300A 2009-05-12 2010-05-12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0012246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1323 2009-05-12
KR1020090041323 2009-05-12
KR1020090095385 2009-10-08
KR1020090095385A KR20100122432A (en) 2009-05-12 2009-10-08 3d folder user interface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461A true KR20100122461A (en) 2010-11-22

Family

ID=434073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385A KR20100122432A (en) 2009-05-12 2009-10-08 3d folder user interface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20100044300A KR20100122461A (en) 2009-05-12 2010-05-12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385A KR20100122432A (en) 2009-05-12 2009-10-08 3d folder user interface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12243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85B1 (en) * 2011-11-22 2014-01-15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 polyhedron user interface
KR20180000667A (en) * 2015-05-22 2018-01-03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ttributes of plane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357A (en)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799294B1 (en) 2013-05-10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85B1 (en) * 2011-11-22 2014-01-15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 polyhedron user interface
US9256289B2 (en) 2011-11-22 2016-02-09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olyhedral user interface
KR20180000667A (en) * 2015-05-22 2018-01-03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ttributes of plan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432A (en)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4517B2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environment
US7917868B2 (en) Three-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Karlson et al. AppLens and launchTile: two designs for one-handed thumb use on small devices
US7761813B2 (en) Three-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KR100883641B1 (en) Radial Menu Interface for Handheld Computing Device
JP37622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9910584B2 (en) Method for manipulating folders and apparatus thereof
US20080016471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3D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a 3D user interface
JP2003518681A (en) Navigation method in 3D image synthesis by operation of 3D image &#34;navigation 3D&#34;
KR20100122433A (en) Direction selecting type graphic user interface and user terminal adopting the same
US20130147849A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method thereof
KR20170083622A (en) Tab sweeping and grouping
JP2007122496A (en) Display information selecting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604580B2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KR20050094865A (en) A programmable virtual book system
JP2013521547A (en) Multi-screen hold and page flip gestures
JP2006338599A (en) Three-dimensional object display device, three-dimensional object switching display method, three-dimensional object display progra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0131902A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having same
KR20100122461A (en)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polyhedron and user terminal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201502482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Keyboard Input
Vartiainen et al. Graphical history list with multi-window support on a mobile web browser
WO2010131900A2 (en) Direction-selecting user interface and user terminal having same
KR20060014874A (en) Three 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utus for providing this user interface
Peuhkurinen et al. Using RDF data as basis for 3D Window management in mobile devices
Reiterer et al. Zooming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