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787A - Terminal scre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Terminal scre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787A
KR20100121787A KR1020090040652A KR20090040652A KR20100121787A KR 20100121787 A KR20100121787 A KR 20100121787A KR 1020090040652 A KR1020090040652 A KR 1020090040652A KR 20090040652 A KR20090040652 A KR 20090040652A KR 20100121787 A KR20100121787 A KR 20100121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creen
terminal
areas
ic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40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1787A/en
Publication of KR2010012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7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screen are provided to diversify a terminal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nto a plurality of UI area, thereby displaying varying information 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UI area. CONSTITUTION: A screen dividing unit(310) divides a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User Interface) areas. According to the push input of the set key button, an area identification unit(320) indentifies a first UI area among a plurality of divided UI area as a focus area. A area display unit(330) displays the first UI area on a display screen through a extended screen. The database stores ic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a terminal.

Description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 및 방법{TERMINAL SCRE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nd method {TERMINAL SCRE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의 UI(User interface) 화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user interface (UI) screen of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nd method.

통신기술의 발달로 휴대폰,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와 같은 이동단말이 널리 보급되면서, 사용자는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음성 통화 외에도 영상 통화, 이미지 촬영, 음악 파일 재생, 위성/지상파 DMB방송 시청, 또는 게임 플레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ve become widespread, and users can send and receive messages using mobile terminals, or make video calls, imag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satellite / Various functions such as watching terrestrial DMB broadcasting or game play have been made convenient.

또한, 와이브로(WiBro), WCDMA, HSDPA 등의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단말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이와 함께 이동단말을 통한 유무선 간의 연동을 위한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In addition, as 3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WiBro, WCDMA, and HSDPA become commercially available,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s is activated,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r interwork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through mobile terminals is actively developed. have.

한편, 이동단말에서는 단말화면을 통해 단말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이 가능해지면서, 이에 따라, 이동단말에서는 보다 다양한 정보가 단말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screen.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multitasking (multitasking) of simultaneously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possible, and accordingly, it is required for mobile terminals to provide mor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a terminal screen.

그러나, 종래의 이동단말에서는 단말화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isplay a variety of information because the size of the terminal screen is small.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 to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rminal scree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말화면(100)은 이동단말의 각종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Annunciator 영역(110),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 화면(120), 및 소프트키(Soft Key) 영역(130)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terminal screen 100 includes an annunciator region 110 displaying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 execution screen 120 of an application in operation, and a soft key. ) May be implemented as the region 130.

그런데, 상기 Annunciator 영역(110)에서는 이동단말의 기능이 점점 많아 짐에 따라, 각 기능에 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Annunciator 영역(110)의 공간이 부족하여 이동단말의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creases in the annunciator region 110, there is not enough space in the annunciator region 110 to displa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function, and thus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not be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또한, 종래의 이동단말에서는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멀티태스킹이 이루어지는 동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화면(210)의 'Application 1'에서 단말화면(220)의 'Application 2'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환 시, Annunciator 영역(110)과 소프트키 영역(130)을 제외한 단말화면(210,220)의 전체, 즉, 실행 화면(120)이 모두 변경되므로,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또는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2, while the multitasking is executed,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Application 1' on the terminal screen 210 is executed as 'Application 2' on the terminal screen 220. When the application is switched, all of the terminal screens 210 and 220 except for the annunciator area 110 and the softkey area 130, that is, the execution screen 120 are all changed, so that the list of applications running by multitasking, or multi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displa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list of applications executable by the task.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동단말의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어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by dividing and controlling a terminal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동단말의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어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at can display a variety of information by dividing and controlling the terminal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다양한 아이콘정보를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함으로써, UI 영역이 부족한 경우 UI 영역을 확대하여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laying a variety of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tate of the terminal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open (open) screen, the terminal screen control that can be widely used by expanding the UI area when the UI area is insufficient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확대화면에 대한 드래그(drag) 입력이나, 단말에 구비된 방향키 조작이 발생하는 경우, 확대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UI 영역의 아이콘정보를 이동시켜 표시 함으로써, 확대화면에서 보이지 않는 아이콘정보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ag input for an enlarged screen or a direction key manipulation provided to the terminal occurs, the icon information of the UI area displayed on the enlarged screen is moved and displayed. Provides a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asily searching for invisible ic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은,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는 화면 분할부와, 설정된 키버튼의 푸쉬(push) 입력에 따라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UI 영역 중에서 제1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영역 식별부, 및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제1 UI 영역을,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영역 표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includes a screen division unit for dividing a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and a first division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UI areas according to a push input of a set key button. An area identifying unit identifying the UI area as the focus area, and an are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first UI area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an enlarged open scree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방법은, 단말화면을 복수개 의 UI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설정된 키버튼의 푸쉬(push) 입력에 따라,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UI 영역 중에서 제1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와, 및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제1 UI 영역을,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viding the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and according to a push input of a set key button, selecting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UI areas. And identifying the first UI area as the focus area, and displaying the first UI area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an enlarged open scree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어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to control various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다양한 아이콘정보를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함으로써, UI 영역이 부족한 경우 UI 영역을 확대하여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laying a variety of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tate of the terminal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open (open) screen, when the UI area is insufficient,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UI area widely used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확대화면에 대한 드래그(drag) 입력이나, 단말에 구비된 방향키 조작이 발생하는 경우, 확대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UI 영역의 아이콘정보를 이동시켜 표시 함으로써, 확대화면에서 보이지 않는 아이콘정보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ag input to an enlarged screen or a direction key manipulation provided to the terminal occurs, the icon information of the UI area displayed on the enlarged screen is moved and displayed. You can easily search for icon information that is not visible on the enlarged screen.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300)은 화면 분할부(310), 영역 식별부(320), 영역 표시부(330), 키 설정부(340), 및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 divider 310, an area identifier 320, an area display 330, a key setting unit 340, and a database 350. Can be configured.

화면 분할부(310)는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한다.The screen divider 310 divides the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일례로, 화면 분할부(310)는 상기 단말화면을, 단말의 상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또는 소프트키 중 어느 하나의 정보와 연관된 아이콘정보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reen divider 310 divides the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that display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y one of a terminal state, an executable application list, a running application list, or a softkey. can do.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화면 분할부(310)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creen divider 3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에서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plitting a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in the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분할부(310)는 상기 단말화면을,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아이콘정보를 표시하는 UI 영역(410),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UI 영역(420),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통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는 UI 영역(430), 현재 멀티태스킹을 통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는 UI 영역(440), 및 소프트키(soft key)를 표시하는 UI 영역(450)으로 분할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screen divider 310 may display the terminal screen as a UI area 410 displaying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ate of the terminal, and a UI area 420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in operation. , A UI area 430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executable through multitasking, a UI area 440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currently running through multitasking, and a UI for displaying soft keys It may be divided into an area 450.

상기 UI 영역(410)에서는 단말의 배터리 용량, 단말의 전파 상태, 진동 설정, 벨소리 설정, 알람 설정, 메신저 구동, 무선인터넷 접속 등의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아이콘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 영역(410)은 Annunciator 영역이 될 수 있다.In the UI area 410,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terminal's battery capacity, a propagation state of the terminal, a vibration setting, a ringtone setting, an alarm setting, a messenger driving, and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UI area 410 may be an annunciator area.

또한, 상기 UI 영역(420)에서는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멀티태스킹을 통해 제1, 제2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경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상기 UI 영역(42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전환이 요청될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상기 UI 영역(420)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I area 420 may display an execution screen of a running applica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applications are operating through multitasking, an execution screen of the first application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UI area 420, and when the application switch is requested, execu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is performed. Th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UI area 420.

또한, 상기 UI 영역(430)에서는 멀티태스킹을 통해 제1, 제2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단말에서 추가로 실행 가능한 제3, 제4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아이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I area 430 may display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ird and fourth applications that may be additionally executed in a terminal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applications are operated through multitasking.

또한, 상기 UI 영역(440)에서는 멀티태스킹을 통해 제1, 제2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경우, 동작 중인 제1, 제2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아이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I area 440 may display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applications in opera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applications are in operation through multitasking.

또한, 상기 UI 영역(450)에서는 단말에 구비된 키버튼과 매칭되는 '메뉴, 확인, OK, 검색, 취소' 등의 좌측 소프트키/중앙 소프트키/우측 소프트키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I area 450 may display a left softkey, a center softkey, and a right softkey, such as 'menu, confirmation, OK, search, and cancel', which match the key buttons provided in the terminal.

이때, 각 UI 영역(410, 430, 440, 450)에서는 표시할 아이콘정보의 개수가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여 전부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설정된 개수만큼의 아이콘정보를 표시하고, 나머지 초과한 아이콘정보는 숨김으로써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UI areas 410, 430, 440, and 450, if the number of ic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exceeds the set number and cannot be displayed at all, the set number of icon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remaining icon information is displayed. You can hide it to hide it.

영역 식별부(320)는 설정된 키버튼의 푸쉬(push) 입력에 따라,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 어느 하나를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 하고,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UI 영역을 설정된 범위만큼 확장시켜 확대화면을 오픈하고, 상기 식별된 UI 영역과 연관된 아이콘정보를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area identifying unit 320 identifies any one of the divided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as a focus area according to a push input of a set key button. 330 may open the enlarged screen by extending the UI area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by a set range, and display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d UI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일례로, 영역 식별부(320)는 도 4에서 상기 각 UI 영역(410, 420, 430, 440, 450)의 배치 순서를 고려하여, 상기 키버튼이 푸쉬 입력 될 때마다 위에서 아래 또는 좌측에서 우측의 순서대로, 상기 각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에서 제1 UI 영역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in FIG. 4,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may be pushed up, down, left, or right every time the key button is pushed. In order of, a first UI area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among the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영역 식별부(320)와 영역 표시부(330)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gion identification unit 320 and the region display unit 3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에서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제1 UI 영역을,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5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displaying a first UI area identified as a focus area on a display screen through an open enlarged screen in a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5를 참조하면, 영역 식별부(320)는 단말에 구비된 탭 키(TAP key)가 푸쉬 입력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Annunciator 영역(410)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s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is push-input of a TAP key provided in the terminal,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shown in FIG. 4. The annunciator region 410 located at the top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region.

이에 따라, 영역 표시부(330)는 확대화면(500)을 오픈하여,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상기 Annunciator 영역(410)을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확대화면(500)을 통해 Annunciator 영역(410)을 확대하여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open the enlarged screen 500 and display the announcer area 41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That is, the announcer region 410 can be enlarged and widely used through the enlarged screen 500.

또한,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Annunciator 영역(410)과 연관되는 아이콘정 보(520)를 데이터베이스(350)에서 추출하여, 상기 Annunciator 영역(410)에 상주하는 아이콘정보(510)와 함께, 상기 확대화면(500) 상에 배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display unit 330 extracts the icon information 520 associated with the Annunciator area 410 from the database 350 and, together with the icon information 510 residing in the Annunciator area 410, It may be arranged on the enlarged screen 500.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350)는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아이콘정보(510, 520)가 상기 Annunciator 영역(410)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영역 표시부(330)는 Annunciator 영역(410)이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 됨에 따라, 상기 Annunciator 영역(410)과 연관되는 숨김 속성의 아이콘정보(520)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50)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아이콘정보(520)를 상기 Annunciator 영역(410)에 상주하는 아이콘정보(510)와 함께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을 통해 배열할 수 있다.Here, the database 350 may store icon information 510 and 520 associated with the state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annunciator area 410, and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have an annunciator area 410 as the focus area. As identified, the icon information 520 of the hidden attribute associated with the Annunciator region 410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350 and the extracted icon information 520 resides in the Annunciator region 410. Along with the open screen 500 may be arranged along with 510.

이때,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포커스 영역과 연관되는 아이콘정보에 대해 속성을 인지하고, 상기 인식된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아이콘정보를 상기 확대화면(500) 상에 배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recognize a property of the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ocus area, and arrange the icon information on the enlarged screen 500 in consideration of the recognized property.

즉,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Annunciator 영역(410)과 연관되어 데이터베이스(350)에 유지되는 아이콘정보(510,520) 대해, 상주 속성 또는 숨김 속성의 속성인지를 확인하고, 상주 속성의 아이콘 정보(510)와 숨김 속성의 아이콘정보(520)를, 행 구분, 영역 구분, 또는 색 구분 등을 통해 상기 확대화면(500) 상에서 배열할 수 있다.That is, the area display unit 330 checks whether the icon information 510 or 520 maintained in the database 350 in association with the annunciator area 410 is an attribute of a resident attribute or a hidden attribute, and the icon information 510 of the resident attribute. ) And the icon information 520 of the hidden attribute may be arranged on the enlarged screen 500 through line division, area division, or color separation.

다시 말해, 영역 표시부(330)는 Annunciator 영역(410)이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 됨에 따라, 기존에 한 개의 행을 포함하는 Annunciator 영역(410) 위에, 세 개의 행을 포함하는 확대화면(500)을 오픈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the annunciator area 410 is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enlarge the enlarged screen 500 including three rows on the annunciator area 410 including one row. Can open

그리고, 영역 표시부(330)는 기존에 한 개의 행을 포함하는 Annunciator 영역(410)에서 표시 가능한 상주 속성의 아이콘정보(510)를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 상의 제1 행에 배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arrange icon information 510 of the resident property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annunciator area 410 including one row in a first row on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

또한, 영역 표시부(330)는 공간 부족으로 Annunciator 영역(410)에서 숨겨져 표시되지 않는 숨김 속성의 아이콘정보(520)를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 상의 제2행과 제3행에 배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arrange the icon information 520 of the hidden attribute that is not hidden and displayed in the Annunciator area 410 due to lack of space in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row on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have.

따라서,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Annunciator 영역(410)을, 도 5에 도시된 확대화면(500)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the annunciator area 41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enlarged screen 500 illustrated in FIG. 5.

일례로,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확대화면(500)이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키버튼이 푸쉬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 상기 제1 UI 영역과 인접하는 제2 UI 영역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즉,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설정된 키버튼을 통해 활성화되는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et key button is pushed in the state in which the enlarged screen 500 is opened,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of the plurality of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The second UI area adjacent to the first UI area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That is,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may identify the UI area activated through the set key button as the focus area.

도 4에 도시된 단말화면에서,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키버튼이 푸쉬 입력 될 때마다 상기 각 UI 영역(410, 420, 430, 440, 450)을 순서대로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screen illustrated in FIG. 4,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may identify each of the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as the focus area each time the key button is pushed. have.

예컨대, 단말에 구비된 탭 키(TAP key)가 푸쉬 입력 됨에 연동하여,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Annunciator 영역(41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을 통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탭 키가 다시 푸쉬 입력되는 경 우,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 상기 Annunciator 영역(410)의 아래 화살표(401) 방향으로 최근접하는 UI 영역(420)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UI 영역(420)을,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nunciator area 41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is displayed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as shown in FIG. 5 in conjunction with a push key input of a terminal. When the tab key is pushed again,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may move the down arrow 401 of the annunciator area 410 among the plurality of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The UI area 420 nearest to the direction ())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the UI area 42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enlarged screen.

또한,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UI 영역(420)이,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탭 키가 다시 푸쉬 입력되는 경우,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 상기 UI 영역(420)의 아래 화살표(402) 방향으로 최근접하는 UI 영역(430)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ab key is pushed again while the UI area 42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is displayed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the area identifier 320 may display the plurality of UI areas 410. The UI area 430 nearest to the down arrow 402 of the UI area 420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among the 420, 430, 440, and 45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UI 영역(430)이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 됨에 따라,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상기 UI 영역(430)을, 오픈된 확대화면(600)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UI 영역(430)과 연관된 아이콘정보(610,620)를 상기 확대화면(600) 상에 배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s the UI area 430 is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the area display unit 330 displays the UI area 43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600.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arrange icon information 610 and 620 associated with the UI area 430 on the enlarged screen 600.

이때,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UI 영역(430)과 연관되어 데이터베이스(350)에 유지되는 아이콘정보(610,620) 대해, 상주 속성 또는 숨김 속성의 속성인지를 확인하고, 상주 속성의 아이콘 정보(610)와 숨김 속성의 아이콘정보(620)를, 행 구분하여 상기 확대화면(500) 상에서 배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rea display unit 330 checks whether the icon information 610 or 620 maintained in the database 350 in association with the UI area 430 is an attribute of a resident attribute or a hidden attribute, and the icon information 610 of the resident attribute. ) And the icon information 620 of the hidden attribute may be arranged on the enlarged screen 500 by separating the rows.

또한,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UI 영역(430)이,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600)을 통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탭 키가 다시 푸쉬 입력되는 경우, 영역 식별 부(320)는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 상기 UI 영역(420)의 우측 화살표(403) 방향으로 최근접하는 UI 영역(440)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ab key is pushed again while the UI area 43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is displayed through the open enlarged screen 600,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plurality of UIs. Among the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the UI area 440 nearest to the right arrow 403 of the UI area 420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또한,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UI 영역(440)이,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탭 키가 다시 푸쉬 입력되는 경우,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 상기 UI 영역(440)의 아래 화살표(404) 방향으로 최근접하는 UI 영역(450)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ab key is pushed again while the UI area 44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is displayed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the area identifier 320 may display the plurality of UI areas 410. Among the, 420, 430, 440, and 450, the UI area 450 closest to the direction of the down arrow 404 of the UI area 440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또한,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UI 영역(450)이,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탭 키가 다시 푸쉬 입력되는 경우,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확대화면을 클로징(closing)할 수 있으며, 또한,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을 상기 단말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ab key is pushed again while the UI area 45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is displayed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the area display unit 330 closes the enlarged screen. In addition,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the plurality of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terminal screen.

즉, 상기 확대화면이 클로징(closing) 됨에 따라, 영역 표시부(330)는 도 4에 도시된 단말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That is, as the enlarged screen is closed,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return to the terminal screen shown in FIG. 4.

다른 일례로, 키 설정부(340)는 단말에 구비된 상이한 숫자키 '1'부터 '5'를 각각, 도 4에 도시된 분할된 UI 영역(410, 420, 430, 440, 450)에 대응시켜 설정할 수 있으며,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확대화면(도 5의 500)이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숫자키 '3'이 푸쉬 입력되는 경우, 상기 숫자키 '3'에 대응하여 설정된 UI 영역(430)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key setting unit 340 corresponds to the different numeric keys '1' to '5' provided in the terminal, respectively, to the divided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illustrated in FIG. 4. When the set numeric key '3' is pushed in the state in which the enlarged screen (500 of FIG. 5) is opened,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is set to correspond to the numeric key '3'. The UI area 430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즉, 영역 식별부(320)는 지정된 숫자키를 통해 활성화되는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may identify the UI area activated through the designated numeric key as the focus area.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UI 영역(430)이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됨에 따라,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UI 영역(430)을, 확대화면(600)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UI 영역(430)과 연관된 아이콘정보(610,620)를 상기 확대화면(600) 상에 배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s the UI area 430 is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the UI area 430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enlarged screen 600. In addition,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arrange icon information 610 and 620 associated with the UI area 430 on the enlarged screen 600.

다른 일례로, 상기 확대화면에 대한 드래그(drag) 입력, 또는 단말에 구비된 키버튼 입력이 상기 확대화면과 연관하여 발생하는 경우,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확대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제1 UI 영역과 연관되는 아이콘정보를, 상기 드래그(drag) 입력 또는 상기 키버튼 입력에 의해 지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drag input for the enlarged screen or a key button input provided in the terminal occurs in association with the enlarged screen, the area display unit 330 displays the first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enlarged screen. The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I area may be displayed by moving in the direction designated by the drag input or the key button input.

도 5를 참조하면, 오픈된 확대화면(500)에 대한 터치(touch)를 통해 우측으로 드래그 입력을 하거나, 또는 오픈된 확대화면(500)과 연관하여 방향키(530) 중 우측 키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영역 표시부(330)는 오픈된 확대화면(500)을 통해 표시되는 Annunciator 영역(410)과 연관된 아이콘정보(510, 52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에서도 표시되지 않는 아이콘정보를 드래그 입력 또는 키버튼 입력을 통해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a drag input is performed to the right through a touch on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or a right key button of the direction keys 530 is input in association with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In this case,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move and display the icon information 510 and 520 associated with the annunciator area 410 displayed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in the right direction. 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can easily search for icon information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through drag input or key button input.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어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and controlling the terminal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it is possible to display a variety of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7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도 7을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The 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the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FIG. 7, FIG.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단계 710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은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한다.In step 710, the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분할부(310)는 상기 단말화면을,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아이콘정보를 표시하는 UI 영역(410),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UI 영역(420),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통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는 UI 영역(430), 현재 멀티태스킹을 통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는 UI 영역(440), 및 소프트키(soft key)를 표시하는 UI 영역(450)으로 분할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screen divider 310 may display the terminal screen as a UI area 410 displaying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ate of the terminal, and a UI area 420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in operation. , A UI area 430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executable through multitasking, a UI area 440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currently running through multitasking, and a UI for displaying soft keys It may be divided into an area 450.

이때, 각 UI 영역(410, 430, 440, 450)에서는 표시할 아이콘정보의 개수가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여 전부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설정된 개수만큼의 아이콘정보를 표시하고, 나머지 초과한 아이콘정보는 숨김으로써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UI areas 410, 430, 440, and 450, if the number of ic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exceeds the set number and cannot be displayed at all, the set number of icon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remaining icon information is displayed. You can hide it to hide it.

단계 720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은 설정된 키버튼의 푸쉬(push) 입력에 따라,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에서 제1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한다.In operation 720, the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ush input of the set key button, a first UI from the plurality of divided UI areas (410, 420, 430, 440, 450) Identifies the area as the focus area.

도 5를 참조하면, 영역 식별부(320)는 단말에 구비된 탭 키(TAP key)가 푸쉬 입력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Annunciator 영역(410)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s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is push-input of a TAP key provided in the terminal,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shown in FIG. 4. The annunciator region 410 located at the top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region.

단계 730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은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제1 UI 영역을,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In operation 730, in the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rea display unit 330 displays the first UI area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n enlarged open screen. do.

도 5를 참조하면, 영역 표시부(330)는 확대화면(500)을 오픈하여,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상기 Annunciator 영역(410)을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확대화면(500)을 통해 Annunciator 영역(410)을 확대하여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area display unit 330 opens the enlarged screen 500 to display the announcer area 41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Can be. That is, the announcer region 410 can be enlarged and widely used through the enlarged screen 500.

단계 740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은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상기 제1 UI 영역과 연관되는 아이콘정보를 상기 확대화면(500) 상에 배열한다.In operation 740, the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rranges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UI area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the enlarged screen 500.

도 5를 참조하면,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Annunciator 영역(410)과 연관되는 아이콘정보(520)를 데이터베이스(350)에서 추출하여, 상기 Annunciator 영역(410)에 상주하는 아이콘정보(510)와 함께, 상기 확대화면(500) 상에 배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rea display unit 330 extracts icon information 520 associated with the annunciator area 410 from the database 350, and displays icon information 510 residing in the annunciator area 410. Together, they can be arranged on the enlarged screen 500.

즉, 영역 표시부(330)는 Annunciator 영역(410)이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 됨에 따라, 기존에 한 개의 행을 포함하는 Annunciator 영역(410) 위에, 세 개의 행을 포함하는 확대화면(500)을 오픈할 수 있다.That is, the area display unit 330 opens the enlarged screen 500 including three rows on the annunciator area 410 including one row as the annunciator area 410 is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can do.

그리고, 영역 표시부(330)는 기존에 한 개의 행을 포함하는 Annunciator 영 역(410)에서 표시 가능한 상주 속성의 아이콘정보(510)를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 상의 제1 행에 배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arrange icon information 510 of the resident property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annunciator area 410 including one row in a first row on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have.

또한, 영역 표시부(330)는 공간 부족으로 Annunciator 영역(410)에서 숨겨져 표시되지 않는 숨김 속성의 아이콘정보(520)를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 상의 제2행과 제3행에 배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arrange the icon information 520 of the hidden attribute that is not hidden and displayed in the Annunciator area 410 due to lack of space in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row on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have.

따라서,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Annunciator 영역(410)을, 도 5에 도시된 확대화면(500)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the annunciator area 41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enlarged screen 500 illustrated in FIG. 5.

단계 750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은 드래그 입력 또는 키버튼 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확대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제1 UI 영역과 연관되는 아이콘정보를 드래그 입력 또는 키버튼 입력에 의해 지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In step 750, the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rag input or key button input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UI area displayed on the enlarged screen as a drag input or key button input occurs Display it by moving in the designated direction.

도 5를 참조하면, 오픈된 확대화면(500)에 대한 터치(touch)를 통해 우측으로 드래그 입력을 하거나, 또는 오픈된 확대화면(500)과 연관하여 방향키(530) 중 우측 키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영역 표시부(330)는 오픈된 확대화면(500)을 통해 표시되는 Annunciator 영역(410)과 연관된 아이콘정보(510, 52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에서도 표시되지 않는 아이콘정보를 드래그 입력 또는 키버튼 입력을 통해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a drag input is performed to the right through a touch on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or a right key button of the direction keys 530 is input in association with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In this case,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move and display the icon information 510 and 520 associated with the annunciator area 410 displayed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in the right direction. 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can easily search for icon information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through drag input or key button input.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단말화면에서,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키버튼이 푸 쉬 입력 될 때마다 상기 각 UI 영역(410, 420, 430, 440, 450)을 순서대로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즉,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키버튼을 통해 활성화되는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terminal screen illustrated in FIG. 4,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sequentially shifts the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in the focus area whenever the key button is pushed. Can be identified. That is,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may identify the UI area activated through the key button as the focus area.

예컨대, 단말에 구비된 탭 키(TAP key)가 푸쉬 입력 됨에 연동하여,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Annunciator 영역(41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500)을 통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탭 키가 다시 푸쉬 입력되는 경우,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 상기 Annunciator 영역(410)의 아래 화살표(401) 방향으로 최근접하는 UI 영역(420)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UI 영역(420)을,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nunciator area 41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is displayed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500 as shown in FIG. 5 in conjunction with a push key input of a terminal. When the tab key is pushed again, the area identifier 320 may move the down arrow 401 of the annunciator area 410 among the plurality of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The UI area 420 nearest to the direction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The area identifying unit 320 may display the UI area 42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enlarged screen.

이때, 상기 탭 키가 다시 푸쉬 입력되는 경우,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410, 420, 430, 440, 450) 중, 상기 UI 영역(420)의 아래 화살표(402) 방향으로 최근접하는 UI 영역(430)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ab key is pushed again, the area identifier 320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down arrow 402 of the UI area 420 among the plurality of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As such, the nearest UI area 430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또는, 키 설정부(340)는 단말에 구비된 상이한 숫자키 '1'부터 '5'를 각각, 도 4에 도시된 분할된 UI 영역(410, 420, 430, 440, 450)에 대응시켜 설정할 수 있으며, 영역 식별부(320)는 상기 확대화면(도 5의 500)이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숫자키 '3'이 푸쉬 입력되는 경우, 상기 숫자키 '3'에 대응하여 설정된 UI 영역(430)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key setting unit 340 may set different numeric keys '1' through '5' provided in the terminal to correspond to the divided UI areas 410, 420, 430, 440, and 450 illustrated in FIG. 4, respectively. If the set number key '3' is pushed in the state where the enlarged screen (500 of FIG. 5) is opened, the area identifier 320 may set a UI are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key '3'. 430 may be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즉, 영역 식별부(320)는 지정된 숫자키를 통해 활성화되는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area identification unit 320 may identify the UI area activated through the designated numeric key as the focus area.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UI 영역(430)이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 됨에 따라,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상기 UI 영역(430)을, 오픈된 확대화면(600)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UI 영역(430)과 연관된 아이콘정보(610,620)를 상기 확대화면(600) 상에 배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s the UI area 430 is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the area display unit 330 displays the UI area 430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600.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area display unit 330 may arrange icon information 610 and 620 associated with the UI area 430 on the enlarged screen 600.

이때, 영역 표시부(330)는 상기 UI 영역(430)과 연관되어 데이터베이스(350)에 유지되는 아이콘정보(610,620) 대해, 상주 속성 또는 숨김 속성의 속성인지를 확인하고, 상주 속성의 아이콘 정보(610)와 숨김 속성의 아이콘정보(620)를, 행 구분하여 상기 확대화면(500) 상에서 배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rea display unit 330 checks whether the icon information 610 or 620 maintained in the database 350 in association with the UI area 430 is an attribute of a resident attribute or a hidden attribute, and the icon information 610 of the resident attribute. ) And the icon information 620 of the hidden attribute may be arranged on the enlarged screen 500 by separating the rows.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어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and controlling the terminal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it is possible to display a variety of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 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 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 to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rminal scree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에서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plitting a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in the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에서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제1 UI 영역을,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5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displaying a first UI area identified as a focus area on a display screen through an open enlarged screen in a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화면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0: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300: 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310: 화면 분할부310: screen division

320: 영역 식별부320: region identification unit

330: 영역 표시부330: region display unit

340: 키 설정부340: key setting unit

350: 데이터베이스350: database

Claims (15)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는 화면 분할부;A screen divider dividing the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설정된 키버튼의 푸쉬(push) 입력에 따라,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UI 영역 중에서 제1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영역 식별부; 및An area identifier which identifies a first UI area as a focus area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UI areas according to a push input of a set key button; And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제1 UI 영역을,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영역 표시부An are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irst UI area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a display screen through an open enlarged screen. 를 포함하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Terminal screen control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확대화면이 클로징(closing)하는 경우,If the enlarged screen is closing (closing), 상기 영역 표시부는,The area display unit,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을 상기 단말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And displaying the plurality of UI areas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terminal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정된 키버튼이 푸쉬 입력되는 경우,When the set key button is pushed in, 상기 영역 식별부는,The area identification unit,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 중, 상기 제1 UI 영역과 인접하는 제2 UI 영역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And a second UI area adjacent to the first UI area as the focus area among the plurality of UI area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할된 UI 영역 각각으로 상이한 키버튼을 설정하는 키 설정부A key setting unit for setting a different key button in each of the divided UI areas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영역 식별부는,The area identification unit, 상기 설정된 키버튼이 푸쉬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 중, 상기 푸쉬 입력된 키버튼에 의해 지정되는 제2 UI 영역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And when the set key button is push-in, identifying the second UI area designated by the push-input key button as the focus area among the plurality of UI area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역 표시부는,The area display unit, 상기 제1 UI 영역과 연관되는 아이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제1 UI 영역에 상주하는 아이콘정보와 함께, 상기 확대화면 상에 배열하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And extracts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UI area from a database and arranges the icon information on the enlarged screen together with the icon information residing in the first UI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역 표시부는,The area display unit, 상기 포커스 영역과 연관되는 아이콘정보에 대해 속성을 인지하고, 상기 인식된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아이콘정보를 상기 확대화면 상에 배열하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And recognizes an attribute with respect to the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ocus area, and arranges the icon information on the enlarged screen in consideration of the recognized attribu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면 분할부는,The screen divider, 상기 단말화면을, 단말의 상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또는 소프트키 중 어느 하나의 정보와 연관된 아이콘정보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And dividing the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that display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y one of a terminal state, an executable application list, a running application list, or a softke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확대화면에 대한 드래그(drag) 입력, 또는 단말에 구비된 키버튼 입력이 상기 확대화면과 연관하여 발생하는 경우,When a drag input for the enlarged screen or a key button input provided in the terminal occurs in association with the enlarged screen, 상기 영역 표시부는,The area display unit, 상기 확대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제1 UI 영역과 연관되는 아이콘정보를, 상기 드래그(drag) 입력 또는 상기 키버튼 입력에 의해 지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And displaying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UI area displayed through the enlarged screen by moving the icon information in a direction designated by the drag input or the key button inpu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포커스 영역이,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식별되는 경우,When the focus area is identified a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I areas, 상기 영역 표시부는,The area display unit, 상기 식별된 UI 영역을 설정된 범위만큼 확장시킨 확대화면을 오픈하고, 상기 식별된 UI 영역과 연관된 아이콘정보를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 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화면 제어 시스템.And opening an enlarged screen in which the identified UI area is extended by a set range, and displaying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d UI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단말화면을 복수개의 UI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Dividing the terminal screen into a plurality of UI areas; 설정된 키버튼의 푸쉬(push) 입력에 따라,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UI 영역 중에서 제1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Identifying a first UI area as a focus area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UI areas according to a push input of a set key button; And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된 제1 UI 영역을,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first UI area identified as the focus area on a display screen through an open enlarged screen; 를 포함하는, 단말화면 제어 방법.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설정된 키버튼이 푸쉬 입력되는 경우,When the set key button is pushed in,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UI 영역 중에서 제1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는,Identifying a first UI area as a focus area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UI areas,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 중, 상기 제1 UI 영역과 인접하는 제2 UI 영역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Identifying a second UI area adjacent to the first UI area as the focus area among the plurality of UI areas; 를 포함하는, 단말화면 제어 방법.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분할된 UI 영역 각각으로 상이한 키버튼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different key button to each of the divided UI areas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설정된 키버튼이 푸쉬 입력되는 경우,When the set key button is pushed in,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UI 영역 중에서 제1 UI 영역을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는,Identifying a first UI area as a focus area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UI areas, 상기 복수개의 UI 영역 중, 상기 푸쉬 입력된 키버튼에 의해 지정되는 제2 UI 영역을 상기 포커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Identifying a second UI area designated by the push-input key button among the plurality of UI areas as the focus area; 를 포함하는, 단말화면 제어 방법.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The displaying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enlarged open screen, 상기 제1 UI 영역과 연관되는 아이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UI area from a database; And 상기 추출된 아이콘정보를, 상기 제1 UI 영역에 상주하는 아이콘정보와 함께, 상기 확대화면 상에 배열하는 단계Arranging the extracted icon information on the enlarged screen together with icon information resident in the first UI area; 를 포함하는, 단말화면 제어 방법.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확대화면에 대한 드래그(drag) 입력, 또는 단말에 구비된 키버튼 입력이 상기 확대화면과 연관하여 발생하는 경우,When a drag input for the enlarged screen or a key button input provided in the terminal occurs in association with the enlarged screen, 상기 확대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제1 UI 영역과 연관되는 아이콘정보를, 상기 드래그(drag) 입력 또는 상기 키버튼 입력에 의해 지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켜 표시하는 단계Moving and displaying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UI area displayed through the enlarged screen in a direction designated by the drag input or the key button input; 를 더 포함하는, 단말화면 제어 방법.The 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포커스 영역이, 단말의 상태와 연관된 아이콘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제1 UI 영역으로 식별되는 경우,When the focus area is identified as the first UI area displaying ic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tate of the terminal, 상기 오픈(open)되는 확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The displaying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enlarged open screen, 상기 제1 UI 영역을 설정된 범위만큼 확장시킨 확대화면을 오픈하는 단계; 및Opening an enlarged screen in which the first UI area is extended by a set range; And 상기 아이콘정보를 상기 오픈된 확대화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the ic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opened enlarged screen; 를 포함하는, 단말화면 제어 방법.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KR1020090040652A 2009-05-11 2009-05-11 Terminal scre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KR201001217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652A KR20100121787A (en) 2009-05-11 2009-05-11 Terminal scre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652A KR20100121787A (en) 2009-05-11 2009-05-11 Terminal scre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787A true KR20100121787A (en) 2010-11-19

Family

ID=4340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652A KR20100121787A (en) 2009-05-11 2009-05-11 Terminal scre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178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5647A (en) * 2011-08-22 2013-03-06 联想(北京)有限公司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04679391A (en) * 2015-03-23 2015-06-03 深圳市欧珀通信软件有限公司 Icon display method and device of smart watch
US9658762B2 (en) 2013-02-22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object on touch scre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5647A (en) * 2011-08-22 2013-03-06 联想(北京)有限公司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02955647B (en) * 2011-08-22 2015-06-03 联想(北京)有限公司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US9658762B2 (en) 2013-02-22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object on touch screen
CN104679391A (en) * 2015-03-23 2015-06-03 深圳市欧珀通信软件有限公司 Icon display method and device of smart wa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97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asks
US11093106B2 (en) Method of dividing screen areas and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AU20103351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pplication of a touch device with touch-based input interface
US20210209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function in touch-sensitive device
US953550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taneous multi-touch input
KR101514460B1 (en) Method For Coupling Applications In Portable Terminal
KR1017844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uat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JP5129755B2 (en) Command functio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4135684B (en) A kind of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based on Firefox OS
KR201200125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older in a touch device
CN10116093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display of the menu and submenu structure
KR1020395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using inputted character in a user device
CN1030344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KR1010621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wallpaper on touch screen mobile terminal
WO2009106917A1 (en) Adaptive thumbnail scrollbar
WO200908129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JP2008217640A (en) Item selection device by tree menu, and computer program
CN102890672A (en) Method and device for finding application program of mobile terminal
US201300122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CN103218128A (en)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ime differen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3309606A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emo function cooperating with audio recording function
US20130185674A1 (en) Data processing terminal, data search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US201301549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hortcut number in a user device
KR1017378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call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KR20100121787A (en) Terminal scre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