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376A -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376A
KR20100121376A KR1020090049119A KR20090049119A KR20100121376A KR 20100121376 A KR20100121376 A KR 20100121376A KR 1020090049119 A KR1020090049119 A KR 1020090049119A KR 20090049119 A KR20090049119 A KR 20090049119A KR 20100121376 A KR20100121376 A KR 20100121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server
terminal
group communication
server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063B1 (ko
Inventor
남궁환식
Original Assignee
(주)해든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든브릿지 filed Critical (주)해든브릿지
Publication of KR2010012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18Conference organisation arrangements, e.g. handling schedules, setting up parameters needed by nodes to attend a conference, booking network resources, notifying involved pa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8Un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역적으로 분산된 대규모 접속 단말들이 동일 세션 상에서 품질 손상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산된 미디어 서버들이 세션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대규모로 분산된 접속 단말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이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그룹통신 환경에 맞는 품질로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미디어 서버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그룹통신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및 동일 세션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간의 그룹통신을 처리하는 그룹통신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인터넷방송, 그룹통신 환경 정보, 듀얼 스트리밍, 클러스터링, 영상회의, 원격교육

Description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GROUP COMMUNICATION METHOD IN MEDIA SERVER SYSTEM WITH DISTRIBUTED STRUCTURE}
본 발명은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적으로 분산된 대규모 접속 단말들이 동일 세션 상에서 품질 손상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산된 미디어 서버들이 세션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대규모로 분산된 접속 단말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이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그룹통신 환경에 맞는 품질로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상에서 대역폭 및 성능의 차이가 큰 대규모 분산 단말들 간에, 각각의 리소스 조건에 부합되는 품질을 유지하면서 양방향 그룹통신 또는 양방향 방송이 동일 세션상에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미디어 서버들이 동일 세션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통신과 대규모 분산 단말들이 최적의 서비스를 받도록 임의의 미디어 서버에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관리 서버 운영 등이 필요하다.
또한, 분산 단말들이 각각의 리소스에 부합되는 품질을 유지하면서 네트워크상에서 상호 통신 및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전송 방식과 서버 클러스터링 구조가 필요하다.
종래의 영상회의 방법은, 동일한 세션상에서 통신하는 접속자들에게 양방향성을 유지하면서 고품질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MCU의 성능 또는 서버의 성능에 의지하여 구현했기 때문에, MCU의 성능이나 서버의 성능 한계로 인하여 대규모의 영상회의를 처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영상회의 방법은 넓은 대역폭과 고사양의 단말이 갖추어져 있는 그룹통신 환경과 그렇지 않은 그룹통신 환경에서, 각각의 환경에 맞는 품질을 유지하면서 동일 세션상에서 대규모로 상호간에 양방향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역적으로 분산된 대규모 접속 단말들이 동일 세션 상에서 품질 손상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산된 미디어 서버들 이 세션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대규모로 분산된 접속 단말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이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그룹통신 환경에 맞는 품질로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단말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웹 서버에 설정된 접속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최적의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및 동일 세션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과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그룹통신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미디어 서버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그룹통신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및 동일 세션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간의 그룹통신을 처리하는 그룹통신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단말에, 웹 서버에 설정된 접속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 기능;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최적의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기능; 및 동일 세션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과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그룹통신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및 동일 세션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간의 그룹통신을 처리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 클러스터링을 통해 대규모 접속자를 처리하고, 네트워크 분산과 듀얼 스트리밍 송수신을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절감하여 고품질의 대규모 양방향 그룹통신 및 고품질의 양방향 인터넷 방송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해상도와 프레임레이트(frame per second) 및 대역폭 값이 다른 실시간 영상 듀얼 인코딩 방식과 듀얼 스트리밍 송신을 통해, HD급의 고해상도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과 저해상도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 동일 세션상에서 양방향 통신 및 방송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네트워크 대역폭 및 단말의 C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송수신 단말들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증가시키지 않고, 지역적으로 분산된 다수의 단말들 간에 실시간으로 그룹통신 및 방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지역적으로 분산된 대규모 접속 단말들이 동일 세션상에서 품질 손상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산된 미디어 서버들이 세션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대규모로 분산된 접속 단말을 처리하되, 동일 세션상에서 네트워크 대역폭이 좋고 CPU 성능이 우수한 단말은 자신의 리소스에 맞는 고품질(HD급)의 멀티미디어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리소스가 부족하여 고품질은 아니지 만 자신의 성능에 맞는 품질로 끊김 없는 멀티미디어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대규모 그룹통신은, 원격 세미나, 원격회의, 원격교육 솔루션, 양방향 멀티미디어 방송, 패널 영상회의 중계, 대규모 실시간 양방향 교육, 홈쇼핑, 상거래(홈쇼핑, 경매), 엔터테인먼트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그룹은 지역적으로 서로 다르거나 서로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단말들이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상에서 실시간으로 상호간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지역적으로 분산된 대규모 접속 단말들이 동일 세션 상에서 품질 손상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산된 미디어 서버들이 세션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대규모로 분산된 접속 단말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이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그룹통신 환경에 맞는 품질로 그룹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네트워크에 분산된 미디어 서버의 클러스터링과 듀얼 스트리밍에 의한 고품질 대규모 그룹통신 또는 양방향 방송을 구현함으로써, 네트웍크상의 대역폭과 단말 성능이 좋은 그룹과 대역폭과 단말 성능이 낮은 그룹들이 상호간 자신들의 리소스에 적합한 품질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리소스 상황에 맞는 쌍방향 원격교육, 양방향 이벤트 행사 중계가 필요한 엔터테인먼트, 양방향 세미나 중계, 재해 재난 대응의 공공분야, 양방향 홈 쇼핑 등 에 응용되어 동일 세션상에서 대규모 접속자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의 일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은,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40),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에 상응하는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30),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관리하며, 각 미디어 서버의 세션 리스트, 각 미디어 서버의 각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 및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갱신하기 위한 접속관리 서버(Connection Management Server)(20),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제거하며, 각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 및 미 디어 서버 리스트를 갱신하고,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동일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로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Data Transferring Server)(11, 12, 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미디어 서버(11)는 세션1을 통해 듀얼 단말1(101) 및 듀얼 단말2(102)의 그룹통신을 처리하고, 세션2를 통해 듀얼 단말6(106) 및 싱글 단말7(107)의 그룹통신을 처리한다.
또한, 제 2 미디어 서버(12)는 세션1을 통해 싱글 단말3(103) 및 싱글 단말4(104)의 그룹통신을 처리한다.
또한, 제 3 미디어 서버(13)는 세션1을 통해 듀얼 단말5(105)의 그룹통신을 처리하고, 세션2를 통해 듀얼 단말8(108) 및 싱글 단말9(109)의 그룹통신을 처리한다.
이때, 듀얼 단말은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채널 환경에 위치한 고사양의 단말로,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듀얼 전송한다. 여기서,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는 타 듀얼 단말을 위한 데이터이고, 저품질 영상 데이터는 싱글 단말을 위한 데이터이며, 실질적으로 음성 데이터나 텍스트는 그 용량이 크지 않으므로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영상 데이터를 대표로 설명한다. 결국, 영상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나 텍스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싱글 단말은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채널 환경에 위치한 저사양의 단말로,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싱글 전송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웹 서버(30)는 단말들이 최초 접속하는 서버로서,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로그인 처리와 세션별 리소스(해상도, 초당프레임, 대역폭) 설정 및 사용자 계정과 각종 설정 데이터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40)와의 연결처리 역할을 담당한다.
접속관리 서버(20)는 세션에 접속되는 모든 단말의 접속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접속 형태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 여기서, 접속 형태는 사용자 등급에 따라 일반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이 접속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가 접속하는 경우 등이 있다.
접속관리 서버(20)의 주 역할은 대규모로 분산되어 있는 단말들에게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하는 역할과 접속 형태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유지 관리한다.
각 미디어 서버(11, 12, 13)는 세션 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를 해당 미디어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및 동일 세션에 연결되어 있는 타 미디어 서버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각 미디어 서버(11, 12, 13)는 접속한 단말의 성능 및 단말이 놓여 있는 채널 환경에 따라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 또는 저해상도 영상 데이터를 해당 단말로 중계하고, 동일 세션상에 연결되어 있는 타 미디어 서버들로는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저해상도 영상 데이터를 모두 중계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접속관리 서버와 미디어 서버에서 각각 관리하는 세션 리스트(21), 각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22) 및 단말 리스트(23) 내 정보들 간의 구조 관계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세션(세션 1, 세션 2)이 3 개의 미디어 서버(제 1 미디어 서버, 제 2 미디어 서버, 제 3 미디어 서버)에 의해 서비스되고 있고, 각 미디어 서버들에 직접 접속하여 서비스받고 있는 단말의 상태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9033652125-PAT00001
즉, 세션 1은 제 1 미디어 서버(11), 제 2 미디어 서버(12), 제 3 미디어 서버(13)에 의해 지원되고 있고, 제 1 미디어 서버(11)에는 듀얼 단말1(101) 및 듀얼 단말2(102)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 2 미디어 서버(12)에는 싱글 단말3(103) 및 싱글 단말4(104)가 접속되어 있고, 제 3 미디어 서버(13)에는 듀얼 단말5(105)가 접속되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세션 2는 제 1 미디어 서버(11), 제 3 미디어 서버(13)에 의해 지원되고 있고, 제 1 미디어 서버(11)에는 듀얼 단말6(106) 및 싱글 단말7(107)이 접속되어 있으며, 제 3 미디어 서버(13)에는 듀얼 단말8(108) 및 싱글 단말9(109)가 접속되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접속관리 서버(20)는 세션 1 오브젝트 및 세션 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세션 리스트(21), 제 1 미디어 서버, 제 2 미디어 서버 및 제 3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22), 및 듀얼 단말1(101), 듀얼 단말2(102), 싱글 단말3(103), 싱글 단말4(104), 듀얼 단말5(105), 듀얼 단말6(106), 싱글 단말7(107), 듀얼 단말8(108), 싱글 단말9(109)을 포함하는 단말 리스트(23)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세션 리스트(21), 미디어 서버 리스트(22) 및 단말 리스트(23) 내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션 오브젝트의 구조체로서 나타난다.
도 4 는 이런 상태에서 각 미디어 서버들 내 세션 오브젝트의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즉, 각 미디어 서버에 직접 연결된 단말 리스트, 동일 세션 오브젝트를 유지하고 있는 타 미디어 서버들에 대한 정보를 지니고 있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 그리고 각 미디어 서버들에 직접 연결된 단말 리스트 중 해당 네트워크의 정보(일예로, 네트워크 대역폭), 및 기타 부수적인 세션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미디어 서버(11)는 세션 1 오브젝트(41)와 세션 2 오브젝트(42)를 유지하고 있고, 제 2 미디어 서버(12)는 세션 1 오브젝트(41)을 유지하고 있으며, 제 3 미디어 서버(13)는 세션 1 오브젝트(41)와 세션 2 오브젝트(42)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제 1 미디어 서버(11)의 세션 1 오브젝트(41)는 단말 리스트(21)로 듀얼 단말1(101)과 듀얼 단말2(102)를 포함하고, 미디어 서버 리스트(22)로 제 2 미디어 서버(12) 및 제 3 미디어 서버(13)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미디어 서버(11)의 세션 2 오브젝트(42)는 단말 리스트(21)로 듀얼 단말6(106)과 싱글 단말7(107)을 포함하고, 미디어 서버 리스트(22)로 제 3 미디어 서버(13)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미디어 서버(12)의 세션 1 오브젝트(41)는 단말 리스트(21)로 싱글 단말3(103)과 싱글 단말4(104)를 포함하고, 미디어 서버 리스트(22)로 제 1 미디어 서버(11) 및 제 3 미디어 서버(13)를 포함한다.
또한, 제 3 미디어 서버(13)의 세션 1 오브젝트(41)는 단말 리스트(21)로 듀얼 단말5(105)를 포함하고, 미디어 서버 리스트(22)로 제 1 미디어 서버(11) 및 제 2 미디어 서버(12)를 포함한다.
또한, 제 3 미디어 서버(13)의 세션 2 오브젝트(42)는 단말 리스트(21)로 듀얼 단말8(108)과 싱글 단말9(109)를 포함하고, 미디어 서버 리스트(22)로 제 1 미디어 서버(11)를 포함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각 듀얼 단말과 싱글 단말이 각 미디어 서버의 클러스터링 구조를 통하여 세션별로 데이터를 상호간에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미디어 서버(11)는 세션 1 오브젝트(41)에서 듀얼 단말2(102)로부터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듀얼 단말1(101)로는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 2 미디어 서버(12)와 제 3 미디어 서버(13)로는 고품질(고해상도)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저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모두 전송한다.
그러면, 제 2 미디어 서버(12)는 제 1 미디어 서버(11)로부터 전송받은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싱글 단말4(104)와 싱글 단말3(103)으로 전송한다.
아울러, 제 3 미디어 서버(12)는 제 1 미디어 서버(11)로부터 전송받은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듀얼 단말5(105)로 전송한다.
한편, 제 3 미디어 서버(13)는 세션 2 오브젝트(42)에서 싱글 단말9(109)로부터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이를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듀얼 단말8(108)과 제 1 미디어 서버(11)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 1 미디어 서버(11)는 제 3 미디어 서버(13)로부터 전송받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듀얼 단말6(106)과 싱글 단말7(107)로 전송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대규모 그룹통신을 위한 접속관리 서버(20), 접속 단말(듀얼 단말, 싱글 단말)들에게 접속관리 서버(20)에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30) 및 상기 연결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40)를 구동시켜 준비 상태로 만든다.
또한,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고 채널 환경 및 사양이 다른 사용자 단말 그룹 간의 원활한 미디어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가 접속관리 서버(20)에 등록되어 서비스 준비 상태로 대기한다.
그리고, 그룹통신 또는 양방향 방송에 참여하기 위하여 단말이 웹 서버(30)에 로그인하면 웹 서버(30)가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이 웹 서버(30)에 설정된 접속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다(601).
이때, 미디어 서버 리스트는 최단 경로 상에 있는 미디어 서버 정보, 가장 큰 여유 대역폭을 가진 미디어 서버 정보, 접속 단말의 수가 가장 적은 미디어 서버 정보,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은 미디어 서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최적의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해당 미디어 서버에 접속한다(602).
이때, 최적의 미디어 서버 선택 방식은, 최단 경로 상에 있는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거나, 가장 큰 여유 대역폭을 가진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거나, 접속 단말의 수가 가장 적은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은 미디어 서버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미디어 서버는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에 대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603). 이때, 세션 오브젝트는 미디어 서버 내의 해당 세션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확인 결과(603), 해당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면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과 상기 단말의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함께 등록하고(604), 접속관리 서버(20)에 알린 후에 "609"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때, 단말 등록시 상기 단말로부터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제공받아 함께 저장한다. 여기서, 그룹통신 환경 정보는 전송 대역폭 및 단말의 성능에 따라 듀얼 단말인지 싱글 단말인지를 알리는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확인 결과(603), 해당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접속관리 서버(20)를 통해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605). 즉, 타 미디어 서버에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존재 여부를 문의한다.
상기 확인 결과(605), 타 미디어 서버에 해당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면 상기 미디어 서버는 접속관리 서버(20)로부터의 타 미디어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한다(606). 이때, 접속관리 서버(20)가 타 미디어 서버로 하여금 상기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이후, 미디어 서버는 타 미디어 서버 내 해당 세션 오브젝트와 동일한 아이디로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한 후, 생성한 세션 오브젝트 내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하고, 생성한 세션 오브젝트 내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상기 타 미디어 서버의 해당 세션 오브젝트 내 미디어 서버 리스트와 타 미디어 서버를 등록한다(607). 이때, 단말 등록시 상기 단말이 듀얼 단말인지 또는 싱글 단말인지를 나타내는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함께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20)에 알린다.
또한, 타 미디어 서버는 해당 세션 오브젝트 내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상기 미디어 서버를 추가하고, 접속관리 서버(20)에 알린다.
이후, "609" 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 결과(605), 타 미디어 서버에 해당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미디어 서버는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이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해당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20)에 알린다(608).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속처리 과정이 완료된다.
이후, 미디어 서버가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 간의 그룹통신을 처리한다(609).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동일 세션상에서 듀얼 단말이 영상/음성/데이터 전송시, 웹서버에서 설정된 또는 자신의 레지스트리에 설정된 듀얼 인코딩 조건(Resolution, Frame Rate, Bandwidth)에 따라 외부 입력으로 들어온 영상신호를 각각 인코딩하여 해당 미디어 서버로 듀얼 전송한다. 즉, 고품질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 영상 데이터를 듀얼 전송한다.
또한, 동일 세션상에서 싱글 단말이 영상/음성/데이터 전송시, 웹서버에서 설정된 또는 자신의 단말의 레지스트리에 설정된 인코딩 조건(Resolution, Frame Rate, Bandwidth)에 따라 외부 입력으로 들어온 영상신호를 인코딩하여 해당 미디어 서버로 전송한다. 즉, 저품질 영상 데이터를 싱글 전송한다.
따라서, 미디어 서버가 고품질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 영상 데이터를 모두 전송받은 경우, 자신의 단말 리스트 내 듀얼 단말로는 고품질 데이터를 전송하고, 싱글 단말로는 저품질 데이터를 전송하며, 미디어 서버 리스트 내 타 미디어 서버로는 고품질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 영상 데이터를 모두 전송한다.
또한, 미디어 서버가 저품질 영상 데이터만을 전송받은 경우, 자신의 단말 리스트 내 모든 단말과 미디어 서버 리스트 내 타 미디어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타 미디어 서버가 고품질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 영상 데이터를 모두 전송받은 경우, 자신의 단말 리스트 내 듀얼 단말로는 고품질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싱글 단말로는 저품질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타 미디어 서버가 저품질 영상 데이터만을 전송받은 경우, 단말 리스트 내 듀얼 및 싱글 구분 없이 모든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타 미이어 서버는 자신의 미디어 서버 리스트 내 미디어 서버로는 어떠한 영상 데이터도 전송하지 않는다. 이는 영상 데이터의 무한 순환 및 반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모든 단말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타 미디어 서버가 모두 연결을 해제하면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제거하고, 접속관리 서버(20)에 알린다(610). 그러면, 접속관리 서버(20)는 이 정보를 반영하여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에서 미디어 서버들이 가지고 있는 모든 정보를 통합적으로 접속관리 서버가 유지하는 이유는,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때 종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과 서비스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들 중 일부가 의도하지 않은 원인으로 해당 서비스를 중단하였을 때 접속관리 서버(20)가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들이 서비스 중단 없이 다른 적정한 미디어 서버로부터 계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데 필요한 정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고품질 대규모 그룹통신 시스템 인터넷 방송 시스템, 원격교육, 화상회의 시스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의 일예시도,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리 서버와 미디어 서버에서 각각 관리하는 세션 리스트, 각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 및 단말 리스트 내 정보들 간의 구조 관계성에 대한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미디어 서버들 내 세션 오브젝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 1 미디어 서버 12 : 제 2 미디어 서버
13 : 제 3 미디어 서버 20 : 접속관리 서버
30 : 웹 서버 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단말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웹 서버에 설정된 접속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최적의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및
    동일 세션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과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그룹통신 수행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은,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채널 환경에 위치한 고사양의 단말로,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듀얼 전송하는 듀얼 단말과,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채널 환경에 위치한 저사양의 단말로,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싱글 전송하는 싱글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통신 수행 단계는,
    상기 접속 단말이 듀얼 단말인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로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듀얼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 또는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통신 수행 단계는,
    상기 접속 단말이 싱글 단말인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싱글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미디어 서버 선택 과정은,
    최단 경로 상에 있는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미디어 서버 선택 과정은,
    가장 큰 여유 대역폭을 가진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미디어 서버 선택 과정은,
    접속 단말의 수가 가장 적은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8. 미디어 서버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그룹통신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및
    동일 세션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간의 그룹통신을 처리하는 그룹통신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들과,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타 미디어 서버들이 연결을 해제하면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제거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통신 전처리 과정은,
    상기 타 미디어 서버 내 해당 세션 오브젝트와 동일한 아이디로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한 세션 오브젝트 내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생성한 세션 오브젝트 내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상기 타 미디어 서버의 해당 세션 오브젝트 내 미디어 서버 리스트와 타 미디어 서버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채널 환경에 위치한 고사양의 단말로,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듀얼 전송하는 듀얼 단말과,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채널 환경에 위치한 저사양의 단말로,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싱글 전송하는 싱글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통신 처리 단계는,
    상기 듀얼 단말로부터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음에 따라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듀얼 단말로는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미디어 리스트상의 타 미디어 서버로는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 미디어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싱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 미디어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와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듀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미디어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만을 전송받은 경우,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듀얼 단말과 싱글 단말로 저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미디어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를 자신의 미디어 리스트상의 또 다른 타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5. 프로세서를 구비한 단말에,
    웹 서버에 설정된 접속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 기능;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최적의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기능; 및
    동일 세션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과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그룹통신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및 그룹통신 환경 정보를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및
    동일 세션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서로 다른 그룹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접속 단말들간의 그룹통신을 처리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49119A 2009-05-08 2009-06-03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 KR101085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296 2009-05-08
KR20090040296 2009-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376A true KR20100121376A (ko) 2010-11-17
KR101085063B1 KR101085063B1 (ko) 2011-11-18

Family

ID=4340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119A KR101085063B1 (ko) 2009-05-08 2009-06-03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0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139A1 (ko) * 2014-10-21 2016-04-28 (주)해든브릿지 대규모 그룹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7374A (ko) * 2014-10-21 2016-05-02 (주)해든브릿지 대규모 그룹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2283969B1 (ko) * 2020-11-24 2021-07-30 (주) 시스메이트 양 방향 패킷 처리 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패킷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319B1 (ko) 2016-05-24 2017-03-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오캐스팅 기반의 선박 간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139A1 (ko) * 2014-10-21 2016-04-28 (주)해든브릿지 대규모 그룹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7374A (ko) * 2014-10-21 2016-05-02 (주)해든브릿지 대규모 그룹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10212391B2 (en) 2014-10-21 2019-02-19 Haedenbridge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arge-scale group communications
KR102283969B1 (ko) * 2020-11-24 2021-07-30 (주) 시스메이트 양 방향 패킷 처리 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패킷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063B1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4899B (zh) 一种直播连麦的控制方法和系统
CN102377823B (zh) 一种通过滑屏实现多屏多用户之间互动分享的方法及系统
CN106331581B (zh) 一种移动终端与视联网终端通信的方法和装置
CN108289187B (zh) 网络直播接入视频会议方法及系统
CN104580991B (zh) 用于会议系统对会议会话的当前条件的实时适应的系统和方法
US8442062B2 (en) Group communication system using media server having distributed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US1027786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related devices
TWI513318B (zh) 資源共享方法
CN104079597B (zh) 媒体流的转移方法和用户设备
CN102571979A (zh) 多屏互动设备及其绑定方法
US9094527B2 (en) Seamlessly transferring a communication
US9172594B1 (en) IPv6 to web architecture
CN113489805B (zh) 一种云桌面系统的对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167327A (zh) 信息互动方法、装置及系统
CN103843323B (zh) 一种多媒体会议实现方法、相关设备及系统
KR101085063B1 (ko)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
CN105553978A (zh) 带式输送机可视化辅助维修系统及流媒体的交互过程
CN103945167A (zh) 一种基于p2p的数字家庭视频会议系统
KR100953507B1 (ko)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40140946A (ko) 다지점 제어 장치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CN102111673A (zh) 一种移动终端及多媒体远程交互的方法及系统
CN102244822A (zh) Iptv系统中的远程播控方法、装置及系统
CN113259690A (zh) 一种跨网系的音视频实时在线协同系统及方法
CN108616760A (zh) 一种基于浏览器的直播方法、服务器、主播端和用户端
CN102427518B (zh) 按需组网视频会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