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082A -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082A
KR20100120082A KR1020100034725A KR20100034725A KR20100120082A KR 20100120082 A KR20100120082 A KR 20100120082A KR 1020100034725 A KR1020100034725 A KR 1020100034725A KR 20100034725 A KR20100034725 A KR 20100034725A KR 20100120082 A KR20100120082 A KR 2010012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aicin
obesity
composition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섭
유리나
박진희
이공락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0/0028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28788A2/ko
Publication of KR2010012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몸의 대사기능을 촉진시켜 지방세포의 피하지방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고, 체내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여 지방조직의 비대를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체중을 감소시켜 비만을 효율적으로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단지 피부에 바르기만 하여도 우수한 비만 억제 효과가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capsaicin or capsaicin similar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한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에는 약 200억 개나 되는 지방세포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방세포는 포유류의 생체 내에서 에너지를 축적하거나 방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세포 내에서는 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에 대한 복잡한 조절 원리가 존재하는데, 에너지의 수요보다 공급이 월등히 많을 경우, 지방은 세포 내에서 중성지방으로 저장되었다가 에너지가 고갈되었을 때 다시 유리 지방산과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사용된다.
한편, 비만은 생체 내에서 에너지 대사 과정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과도한 에너지의 축적이 일어났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거나 그 수가 증가하는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비만은 동맥 경화 등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어 건강상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외견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최근 들어 영양 과잉 및 불균형으로 인한 식생활의 변화는 고열량 지방산의 섭취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으며, 이러한 고열량 지방산의 섭취 증가는 비만으로 이어져, 심혈관 질환을 비롯한 암, 당뇨, 치매 등 각종 질병의 발병률을 현저하게 상승시키고 있다. 따라서 피하 지방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문제가 연령을 불문하고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또한, 아름다운 몸매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도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경제적 독립 및 질적인 삶의 욕구 등에 따라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고, 따라서 과도한 피하 지방의 제거 및 피부 탄력의 증진에 효과적인 슬리밍(slimming) 및 안티 셀룰라이트(anti-celullite) 제품에 대한 관심도 계속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체지방 증가에 의한 비만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들로서, 식사 제한, 운동 및 마사지 등과 같은 외적 자극방법이 시도되고 있고, 항비만 식품 및 비만 분해 약제들을 섭취하는 방법 등 각종 방법에 의해 비만을 개선하려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근육 단백질의 소실로 인한 요요현상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미비할 뿐만 아니라 구토 및 복통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식품 또는 약품의 섭취로 인한 체내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체지방의 감소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제형의 항비만 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캡사이신(capsaicin)은 C18H27NO3의 분자식을 가지는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서,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고추씨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캡사이신은 1940년대 후반, 처음으로 진통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후 캡사이신 유도체를 합성하여 새로운 진통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또한, 캡사이신은 몸의 대사 기능을 촉진시키고, 인체에서 땀을 내는 등 기운을 발산하고 확산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러한 확산작용은 위액 분비를 촉진시키고 식욕부진을 해소하며,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우울하고 침체된 기분을 없애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한국영양학회지, 1999년, 7월호). 나아가 최근에는 캡사이신이 체내의 지방세포에 작용하여 지방 분해를 촉진시킨다는 내용이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캡사이신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효능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캡사이신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건강 식품 및 다이어트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비만을 억제 또는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서 피부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캡사이신을 함유한 외용제에 대한 개발은 아직 시도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를 개발하던 중,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의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피부에 도포하였을 경우, 지방세포 내에서 중성지방을 분해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복부 또는 장내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지방조직의 비대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우수하여 궁극적으로 체중을 감소시켜 비만을 효율적으로 예방 및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사이신,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체중 감량용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캡사이신(capsaicin); 디하이드로캡사이신(dihydrocapsaicin),노르디하이드로캡사이신(nordihydrocapsaicin),노니바마이드(nonivamide),캡시에이트(capsiate),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dihydrocapsiate) 및 노르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nordihydrocapsia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은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0.5 중량%가 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은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0 중량%가 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연고제, 겔제, 액 제, 크림, 첩부제 및 페이스트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분해 촉진 및 체지방 축적 억제로 체중을 감소시키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사이신,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체중 감량용 피부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상기 캡사이신의 유사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몸의 대사기능을 촉진시켜 지방세포의 피하지방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고, 체내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여 지방조직의 비대를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체중을 감소시켜 비만을 효율적으로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의 유사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단지 피부에 바르기만 하여도 우수한 비만 억제 효과가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정상지방식이 및 고지방식이를 각각 섭취하게 한 마우스 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캡사이신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바셀린)을 각각 마우스의 복부에 24시간마다 도포한 후, 사육 시간에 따른 각 마우스 군의 체중을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정상지방식이 및 고지방식이를 각각 섭취하게 한 마우스 군에 대하여 캡사이신이 각각 0.1 중량% 및 0.3 중량%로 함유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각각의 마우스의 복부에 24시간마다 도포한 다음, 5주 후, 각 마우스의 군으로부터 장간막 지방조직, 정소 지방조직, 신장주위 지방조직 및 간 지방조직을 추출한 다음, 각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캡사이신을 농도별(0.01%, 0.05% 및 0.075%)로 함유한 연고를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한 마우스의 복부에 도포한 다음, 시간별로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0.075%의 캡사이신을 함유한 연고 및 0.075%의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함유한 연고를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한 마우스의 복부에 도포한 다음, 시간별로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0.075%의 캡사이신을 함유한 연고 및 대조군으로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바셀린을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한 마우스의 복부에 도포한 다음, 각 마우스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에 존재하는 글루코스의 함량,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캡사이신 또는 상기 캡사이신의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캡사이신(capsaicin, trans-8-methyl-N-vanillyl-6-nonenamide)은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주된 성분으로서 오랫동안 식품첨가물로 이용되어 왔으며(Suzuki, T. and Iwai, K., Academic Press , New York, 227-299, 1994, Cordell, G. A. and Araujo, O. E., Ann . Pharmacother., 27:330-336, 1993), 최근에는 비마약성 진통제로서의 효능이 보고된 바 있고, 체내 지방의 연소를 통해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는 내용이 밝혀지면서 다이어트 식품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식품으로 가공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비만 억제를 위한 용도로서 캡사이신을 피부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발된 바가 없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비만을 억제 및 예방하기 위한 용도로서 피부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의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최초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사이신의 유사 화합물로는 캡사이신노이드(capsaicinoid) 화합물 및 캡시노이드(capsinoid) 화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캡사이신노이드 화합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디하이드로캡사이신(dihydrocapsaicin) 및 노르디하이드로캡사이신(nordihydrocapsaicin)일 수 있고, 상기 캡시노이드(capsinoid) 화합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노니바마이드(nonivamide), 캡시에이트(capsiate),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dihydrocapsiate) 및 노르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nordihydrocapsiat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은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은 천연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으로부터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분리할 경우에는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사 화합물을 함유하는 천연재료를 당업계에 공지된 물질 추출 방법 및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추를 적절한 용매로 추출하고, 목적하는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을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사 화합물을 함유한 추출물로부터 본 발명의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사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은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활성 알루미나(alumina)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olumn chromatography)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 등을 단독 또는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분의 추출 및 분리정제 방법은 반드시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은 순수하게 분리 및 정제된 화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상기 기술한 방법들에 의해 수득한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10 중량%로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 성분 이외에도 통상적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정제된 캡사이신 분말을 100%의 에탄올에 녹인 후, 벤질알콜, 세틸알콜, 글리세릴 스테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myristate), PEG-40 스테르산, 페트로레이텀(petrolatum) 및 소비톨로 구성된 국소 진통제용 연고 조성물과 혼합하여 캡사이신 성분을 함유한 본 발명의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전신 또는 국소 지방 조직의 감소를 촉진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체지방 증가에 의한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 및 비만 체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체지방 증가에 의한 비만 억제 효과를 통해 비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들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신체 부위 중 지방이 쉽게 축적되는 곳은 복부로서, 상기 복부는 피하지방과 복강 내의 장 사이에 존재하는 장간막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고, 장간막 지방이 증가한 비만을 복부 비만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복부 비만은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통풍 등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며, 동맥경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지방간은 영양과다나 알콜류의 과잉 섭취 등에 의해 간장 내에 지질, 특히 중성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비만에 의한 과영양성의 지방간은 과잉 칼로리 섭취에 의해 말초 지방 조직으로부터 지방산 동원이 증가하게 되고, 간에서의 지방산 합성 및 중성 지방 합성이 촉진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체내의 지방 조직, 예컨대, 장간막 지방조직, 간 지방조직, 정소 지방조직 및 신장주위 지방조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고 제형으로 제조된 캡사이신을 함유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하여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의 복부에 도포한 결과,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도포한 대조군에 비해 체중의 증가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도 1 참조), 체내 각 지방조직인 장간막 지방조직, 간 지방조직, 정소 지방조직 및 신장주위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지방조직의 무게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함유된 캡사이신의 농도별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캡사이신이 0.01%, 0.05% 및 0.075%로 함유된 연고를 비만 마우스를 대상으로 복부에 도포한 후, 시간에 따른 체중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연고에 의한 체중 감소효과는 캡사이신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도 3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의 항비만 효과를 보다 생화학적인 분석으로 규명하기 위해, 캡사이신을 함유한 연고 및 대조군으로서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바셀린 연고를 비만 마우스의 복부에 도포한 후, 상기 마우스들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에 존재하는 글루코스의 함량,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캡사이신을 함유하는 연고를 도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비만의 지표가 되는 성분들인 글루코스,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혈중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단지 피부에 도포하기만 하여도 체내의 지방축적을 감소시키고 체중을 감소시킴으로써 비만을 예방 및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인 디하이드로캡사이신(dihydrocapsaicin)을 함유한 연고를 캡사이신을 함유한 연고와 함께 각각 비만 마우스에 도포한 후, 시간별로 체중을 측정한 결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함유한 연고의 경우, 본 발명의 캡사이신을 함유한 연고와 같이 대조군(캡사이신 또는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연고를 도포한 군)에 비해 체중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사이신의 유사 화합물들도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및 억제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비만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및 멸균 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경피, 피하 및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피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비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비만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함유한 항비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1일당 0.1~10.0 ml의 양, 바람직하게는 0.5~5.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비만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여성들은 외관상 슬림하고 단단한 몸을 갈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식생활의 변화로 인한 과잉 섭취 및 운동 부족은 과체중을 초래하게 되었고 과다한 체지방의 축적으로 외관상 비만 현상도 종종 발생하게 되었으며, 복강내 내장 지방의 축적은 비만인 사람뿐만 아니라 정상 체중인 사람에게 있어서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체지방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피부에 직접 적용하는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한다면 비만인 사람뿐만 아니라 정상인 사람 모두에게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비만을 예방 및 억제할 수 있으며, 비만에 의한 외관상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및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의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이라면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을 함유한 항비만용 연고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연고의 형태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된 캡사이신 분말 50mg(시그마 알드리치사)을 200ul의 100% 에탄올에 녹인 다음, 0.1%의 캡사이신이 함유된 연고 조성물(즉, 벤질알콜, 세틸알콜, 글리세릴 스테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myristate), PEG-40 스테르산, 페트로레이텀(petrolatum), 소비톨 및 캡사이신의 혼합물) 24.925g과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0.3%의 캡사이신이 함유된 항비만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에서 수행되는 항비만 효과 측정 실험에서는 0.1% 및 0.3%의 캡사이신이 함유된 상기 연고 조성물들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 연고로는 상기 캡사이신 함유 연고 조성물의 제조과정에서 캡사이신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연고의 비만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항비만용 연고가 실제적으로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다음과 같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2-1> 동물모델의 사육 및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연고의 처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항비만용 연고를 적용할 수 있는 실험 동물 모델로 다음과 같이 사육한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수컷 마우스인 C57BL/6(5 주령, Samtako Ltd., Osan, Korea) 20마리를 2주 동안 일반식으로 섭취하게 한 후, 안정화시킨 다음, 이중 10 마리는 지방함량이 11.5%인 진코드사(Genecode Ltd)(한국)의 정상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하였고, 다른 10 마리에는 지방함량이 45%인 진코드사(Genecode Ltd)(한국)의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하였다. 이후 상기 20 마리의 마우스를 각각의 실험군으로 나눈 다음, 각 실험군에 대하여 본 발명의 항비만용 연고를 다음과 같이 도포하였다. 즉, 10 마리의 정상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 중, 3 마리는 복부에 0.1%의 캡사이신 연고를 발라주었고, 5 마리의 복부에는 0.3%의 캡사이신 연고를 발라주었으며, 대조군으로는 복부에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바셀린(그린제약)을 발라준 2 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또한,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다른 10 마리의 마우스 중, 3 마리는 복부에 0.1%의 캡사이신 연고를, 5 마리의 복부에는 0.3%의 캡사이신 연고를 발라주었으며, 대조군으로는 복부에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바셀린(그린제약)을 발라준 2 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이때, 각 마우스들의 복부는 털을 모두 제거한 후 연고를 발랐으며, 모두 200ul의 일정한 양을 24시간 간격으로 발라주었고, 24시간 마다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관찰하면서 5주간 사육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은 3회 반복 수행하였다.
<2-2>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연고에 의한 체중 감소 효과 및 지방조직 감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2-1>의 마우스를 동물 모델로 하여 실험한 각 실험군들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항비만용 연고를 24시간 마다 발라준 후,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1일 간격으로 15일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2-1>의 실험군 및 대조군 마우스들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을 함유한 항비만 연고가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켜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군 및 대조군의 마우스들을 경추 탈골에 의한 살처분법을 이용하여 복부를 절개하고 내장지방 조직들인 정소의 지방조직, 소장주위의 장간막 지방조직, 신장주변부의 지방조직 및 간지방 조직을 적출하였다. 이후, 적출한 지방조직들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지방식이 및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군에 캡사이신을 함유한 연고를 발라준 경우,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바셀린을 발라준 군에 비해 시간에 따른 체중의 증가 정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하고 캡사이신을 함유한 본 발명의 연고를 발라준 마우스 군의 경우, 15일 후의 체중은 정상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 군의 체중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실험군의 마우스로부터 적출한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대체적으로 정상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한 마우스 군에 비해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한 마우스의 군들의 지방조직 무게가 더 많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상지방식이 및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하고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연고를 발라준 마우스 군의 경우,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연고를 발라준 군에 비해 지방조직의 무게가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3> 캡사이신 농도에 따른 체중 감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항비만용 연고에 대해 캡사이신 함유 농도에 따른 항비만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캡사이신의 함유량을 0.01%, 0.05% 및 0.075%로 조절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2-2>에서 사용한 고지방식이 마우스를 대상으로 캡사이신이 0.01%, 0.05% 및 0.075% 함유된 항비만용 연고를 복부에 발라준 후, 시간별로 마우스들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연고만을 바른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연고를 바른 마우스들의 경우,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연고만을 바른 마우스에 비해 전체적으로 체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체중 감소 정도는 캡사이신의 함유 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캡사이신에 의한 체중 감소 효과는 30일 이상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함유하는 연고의 제조 및 체중 감소 효과 측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결과로 본 발명의 캡사이신이 항비만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규명함에 따라 캡사이신의 유사 화합물인 디하이드로캡사이신(dihydrocapsaicin)도 항비만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2-3>에서 캡사이신 대신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함유하는 연고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2-3>에서 제조한 0.075% 캡사이신 함유 항비만 연고와 0.075% 디하이드로캡사이신 함유 연고를 상기 실시예 <2-2>에서 사용한 고지방식이 마우스의 복부에 각각 바른 후, 시간별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디하이드로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을 함유하지 않은 연고를 바른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및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함유하는 연고를 도포한 마우스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고를 도포한 후, 30일 이상 경과된 경우에는 캡사이신 또는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함유한 연고 모두가 거의 비슷한 정도의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 캡사이신에 의한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캡사이신 성분이 실제적으로 혈액 내에서 비만의 지표가 되는 물질인 글루코스,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triglyceride)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캡사이신이 0.075%로 함유된 연고를 마우스(8마리)의 복부에 도포한 후, 10일 후, 상기 마우스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다음, 혈액에 함유된 글루코스의 함량,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이때 대조군으로는 캡사이신이 함유되지 않은 바셀린만을 도포한 마우스(10마리)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마우스에서 측정된 값은 모두 합산한 후, 평균값을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글루코스,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측정하기 위해 각 마우스에서 채취한 혈액 중 혈청(또는 표준액) 0.02 ml를 희석된 효소시액(아산제약주식회사) 3 ml와 잘 혼합한 후, 37℃에서 10분간 방치하고, 시약 블랭크를 대조로 하여 55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수식에 따라 각 함량을 계산하였다.
글루코스 양(mg/dl)=(검체흡광도/표준액흡광도) X 표준액 농도(200mg/dl)
중성지방 양(mg/dl)=(검체흡광도/표준액흡광도) X 표준액 농도(300mg/dl)
총콜레스테롤양(mg/dl)=(검체흡광도/표준액흡광도) X 표준액 농도(300mg/dl)
그 결과, 본 발명의 캡사이신을 함유한 연고를 도포한 마우스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혈액 내의 글루코스 함량,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중성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결과를 통해,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의 유사 화합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간단히 피부에 바르기만 하여도 다른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고 지방조직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혈액 내 글루코스 함량,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만의 예방, 개선 및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들의 예방을 위해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캡사이신(capsaicin); 디하이드로캡사이신(dihydrocapsaicin), 노르디하이드로캡사이신(nordihydrocapsaicin), 노니바마이드(nonivamide), 캡시에이트(capsiate), 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dihydrocapsiate) 및 노르디하이드로캡시에이트(nordihydrocapsia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은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0.5 중량%가 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은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0 중량%가 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연고제, 겔제, 액제, 크림, 첩부제 및 페이스트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분해 촉진 및 체지방 축적 억제로 체중을 감소시키는 약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체중 감량용 피부 화장료.
KR1020100034725A 2009-05-04 2010-04-15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120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2823 WO2010128788A2 (ko) 2009-05-04 2010-05-04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05 2009-05-04
KR20090039005 2009-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82A true KR20100120082A (ko) 2010-11-12

Family

ID=4340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725A KR20100120082A (ko) 2009-05-04 2010-04-15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00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3215A (zh) * 2021-12-31 2022-02-18 浙江理工大学绍兴生物医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缓解非酒精性脂肪肝的外用水溶性软膏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3215A (zh) * 2021-12-31 2022-02-18 浙江理工大学绍兴生物医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缓解非酒精性脂肪肝的外用水溶性软膏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51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6343000B2 (ja) オイゲノー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アトピー性皮膚炎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US8455023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melanogenesis and use thereof
JP4002654B2 (ja) 血中脂質改善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肥満の予防・解消剤、並びに飲食品及び皮膚外用剤
JP2006298802A (ja) 血管弛緩作用を呈するクロロゲン酸誘導体とアルギニンとのエステル結合体、それを含有する食品製剤及び化粧品
WO2017111069A1 (ja) 止痒剤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6484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EP1629837A1 (en) Antistress agent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4325908B2 (ja) 脂肪分解促進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および飲食物
WO2010128788A2 (ko)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120082A (ko)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90209B1 (ko) 벤조산 메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907280B2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2157247B1 (ko)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809611B2 (ja) 脂肪細胞の脂肪蓄積阻害剤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2248513B1 (ko) 무좀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07716B1 (ko) 개똥쑥 추출물 또는 아르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일주기 리듬 장애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JPH09187248A (ja) 抗アレルギー食品
WO2008075649A1 (ja) 発毛促進用飲食物、医薬部外品、医薬組成物ならびに発毛促進方法
KR20100117294A (ko) 페닐프로판노이드 아마이드 유래 세토토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비만, 항지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