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479A - File holder - Google Patents

File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479A
KR20100119479A KR1020090112385A KR20090112385A KR20100119479A KR 20100119479 A KR20100119479 A KR 20100119479A KR 1020090112385 A KR1020090112385 A KR 1020090112385A KR 20090112385 A KR20090112385 A KR 20090112385A KR 20100119479 A KR20100119479 A KR 20100119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aper
lower fixing
binder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영찬
Original Assignee
전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찬 filed Critical 전영찬
Publication of KR2010011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4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03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42F3/006Perforated or punched sheets with edge reinfor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4Attachment means of ring, finger or claw form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PURPOSE: A file holder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write a memo on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CONSTITUTION: A file holder comprises: a cover(100); an inner binder(200); a binding unit(B) which is formed in a double band shape through which both end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 upper fixing band(301)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inder; and a lower fixing band(302)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inder.

Description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File holder}File holder which can write the front and back side of paper {File holder}

본 발명은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겉표지 내측에 수용되도록 바인더에 밴드 형태의 상, 하부 고정밴드가 각각 연결 구비되는 구조를 이루어, 문서나 악보 등의 서류용지가 끼워져 보관되는 상태에서도 상, 하부 고정밴드가 끼워진 부분을 제외한 서류의 전,후 양면 모두 필기나 메모가 가능하면서, 서류 표면이 빛에 반사되어 식별이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끼워진 서류에 추가적인 내용을 첨가하기 위해 구비되는 메모지의 위치이동을 용이하도록 하는 서류를 보관 및 휴대하기 위한 파일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file capable of writ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paper, and more particularly,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are connected to the binder so as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Even when paper sheets are inserted and stored, both the front and the rear sides of the documents can be written or memo except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and the surface of the documents can be reflected by light to prevent ident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for storing and carrying a document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a memo pad provided to add additional contents to the document.

일반적으로 파일철은 각종 서류 등을 철하여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겉표지와 표지 안쪽에 투명지로 여러 장의 속지를 끼우고, 이 속지에 기록을 남기거나 또는 상기 속지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한 후, 각각의 속지에 각종 서류나 스크랩된 자료를 보관하도록 구성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the file iron is used for storing various documents, such as inserting a plurality of inlays in the inner cover and the inside of the cover, and leave a record on these inlays or after forming the inlays made of transparent synthetic resin For example, a variety of papers or scrapped materials are kept in each inla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일철 내부에 수용되는 속지(1)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상단이 개방되어 삽입구가 형성된 봉투형으로 제조되는데, 속지(1)의 내측에는 바인딩부(10)가 세로로 형성되고, 바인딩부(10)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공(11)이 형성되어 파일철의 내측에 구비되는 바인더(미도시)에 의해 다수의 봉투형 속지(1)가 고정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inlay (1) accommodated in the conventional pile iron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the top of which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envelope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the inside of the inlay (1) binding portion 10 is It is formed vertically, and the perforations 1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binding portion 10 so that a plurality of envelope-shaped inlays 1 are fixed by a binder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pile.

이러한 종래의 봉투형 속지(1)는 서류보관부(a1)가 상단의 개구부에 형성된다. 상기 서류보관부(a1)로 보관을 원하는 서류 또는 페이퍼(P)를 삽입하여 보관하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envelope-shaped inlay 1, the document storage portion (a1)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upper end. The document storage unit (a1) is to be stored by inserting the document or paper (P) that you want to keep.

상술한 종래의 봉투형 속지(1)에는 서류(P)를 보관한 후, 메모를 할 수 없고, 메모를 하기 위해서는 다시 서류(P)를 꺼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이와 같이 종래의 봉투형 속지(1)에서는 악보 등의 서류(P)가 끼워진 상태에서 추가로 간단한 메모나 필기를 하고자 하면 속지(1) 내에서 서류(P)를 꺼내어 메모를 하고 다시 끼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매끄럽고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속지(1)가 표면을 형성하므로 빛 반사가 심하여 끼워진 서류(P)가 반사광으로 인하여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envelope-shaped inlay 1 described above, a memo cannot be stored after storing the document P,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take out the document P again in order to take a memo. That is, in the conventional envelope-type inlay 1, if a simple memo or writing is required while the document P, such as a score, is inserted, the document P is taken out from the inlay 1, and the memo is inserted again. There is a hassle to put, smooth and transparent inlay (1)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s a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 (P) is inserted due to the reflected light is hard to see well due to the reflected ligh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 제10-2004-116198호에서는 "밴드형 파일용 속지"가 안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지(1)의 전후면에 상부가로밴드(20)와 하부가로밴드(30)가 구비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Application No. 10-2004-116198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devised "inlay for the band-type file". As shown in FIG. 2, the front and rear side bands 20 and 30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lay 1.

이러한 밴드형 파일용 속지(1)는 상,하부가로밴드(20,30)과 속지(1) 사이(a2)에 서류를 보관하여, 상부가로밴드(20)와 하부가로밴드(30) 이외의 전면부분이 노출되어 필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속지(1)의 공간부(a2)에 서류(P) 를 보관하는 경우, 속지(1)가 서류(P)의 후면을 막고 있으므로, 서류(P)의 후면은 필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The inlay 1 for the band-shaped pile is to store the docume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 bands (20, 30) and the inlay (a2), other than the upper side band 20 and the lower side band 30 The front part is exposed so that writing is possible. However, when the document P is stored in the space a2 of the inlay 1, since the inlay 1 blocks the back of the document P, the back of the document P cannot be written. .

그에 따라, 서류(P)의 전면만이 노출되어 필기가 가능하고, 빛이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서류(P)의 양면을 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장의 용지를 각각 전, 후 단면만 프린트하거나 복사하여, 속지(1)의 전,후 공간부(a2)에 각각 끼워넣어 사용하여야 되므로, 용지가 두 배로 들어 경제적 손실 및 서류(P)의 단면을 각각 두 번 프린트 또는 복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since only the front side of the document P is exposed and writing is possible, and light is not reflected, in order to use both sides of the document P, two sheets of paper are printed or copi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nly. , Because it must be inserted into the space (a2) before and after the inlay (1), respectively, because the paper is doub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 loss and hassle to print or copy the cross section of the document (P) twice respectively There is this.

그리고, 종래의 봉투형 속지 및 밴드형 파일용 속지(1)에 끼워진 서류(P)에 추가적인 내용을 필기하여 첨부하기 위한 메모지를 바인더에 연결 구비하는 경우, 상기 서류(P)에 관련된 내용이 필기 된 각각의 메모지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 위해, 메모지를 상기 속지(1)에 끼워진 서류(P)와 인접되도록 위치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 memo pad for writing and attaching additional contents to the document P inserted in the conventional envelope-shaped inlay and the band-shaped inlay 1 is attached to the binder,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ocument P are written. In order to arrange each memo sheet at a gla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move the memo shee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document P inserted in the inlay 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철에 서류 용지를 보관한 상태에서도, 용지의 전후 양면이 노출되어 필기나 메모가 가능하고, 투명 비닐지에 의해 빛이 반사되지 않도록 하는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하며, 보관된 서류에 추가적인 내용을 첨가하기 위해 구비되는 메모지가 선택적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파일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even before and after the paper is stored in the file, both sides of the paper are exposed so that writing or memo is possible, and before and after the paper so that light is not reflected by the transparent plastic pap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le that can be written side-by-side, and that the memo paper provided to add additional content to the archived documents can be selectively mo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겉표지와 내측의 바인더로 이루어져 서류를 보관 및 휴대하기 위한 파일철에 있어서, 상기 서류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2겹의 띠로 이루어져 양측단 및 상단이 연결형성되는 밴드 형태로, 내측부에 구비되는 바인딩부에 의해 상기 바인더의 상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상부 고정밴드; 및 상기 서류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2겹의 띠로 이루어져 양측단 및 하단이 연결형성되는 밴드 형태로, 내측부에 구비되는 바인딩부에 의해 상기 바인더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하부 고정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pile file for storing and carrying the document consisting of a cover and the inner binder, consisting of two layers of strip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document both ends and the top A plurality of upper fixing band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inder by a binding portion provided at an inner portion in a band form to be connected; And a plurality of lower fixing band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binder by a binding part provided at an inner side, in the form of a band having two layers of band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document and having both ends and bottoms connected thereto. Characterized in that made.

또한, 상기 상부 고정밴드를 이루는 2겹의 띠 중 어느 하나의 하단이 다른 하나의 하단 보다 일정길이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밴드를 이루는 2겹의 띠 중 어느 하나의 상단이 다른 하나의 상단 보다 일정길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any one of the two-ply band forming the upper fixing band is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one, the longer end, the upper end of any one of the two-ply band forming the lower fixing band is the other to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longer than.

또한, 상기 상부 고정밴드의 상단 및 상기 하부 고정밴드의 하단 중앙 일부분이 개방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band and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lower fixing b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또한, 상기 바인딩부는 상기 바인더에 대응되는 다수의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ind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corresponding to the binder.

또한,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의 가로길이 및 높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들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도록 내측부가 상기 바인더에 연결되는 용지부와, 상기 용지부의 외측 상, 하부에는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의 외측부가 각각 내삽되어 고정되는 포켓형태의 삽입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밴드 고정용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and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is formed, and a paper portion having an inner portion connected to the binder so as to be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and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paper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nd fixing paper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of the pocket shape is inserted into the outer portion of the upper, lower fixing band,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들의 외측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겉표지의 내 표면상에서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의 외측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되, 소정길이의 띠 형태로,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와 교차되도록 각각의 그 상,하단부가 상기 겉표지 표면에 부착형성되는 밴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ar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so as to be fitted and fixed, respectively, in the form of a band of a predetermined length, the upper and lower fixing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nd fixing member is formed to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ver so as to intersect with the band.

또한, 상기 상부 고정밴드의 하단과 상기 하부 고정밴드의 상단 사이 간격으로 통과 가능한 소정의 높이와 면적을 갖으며, 내측부에 형성되는 바인딩부에 의해 상기 바인더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 하부 고정밴드들 사이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메모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area that can pass through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band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fixing band,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inder by a bind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a plurality of upper, 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can be selectively moved between the fixed band;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메모지의 바인딩부는 상기 바인더에 대응되는 다수의 통공 형태 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inding portion of the memo pap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corresponding to the binder.

본 발명은 겉표지 내측에 수용되도록 바인더의 상,하부에 서류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2겹의 띠로 이루어진 밴드 형태의 상, 하부 고정밴드가 각각 연결 구비됨으로써, 문서나 악보 등의 서류 용지가 상, 하부 고정밴드에 끼워져 보관된 상태에서도 서류의 전,후 양면이 모두 노출되어 필기나 메모가 가능하고, 비닐재질에 의해 서류 표면이 빛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서류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inder and the lower fixing band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inder so as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Both sides of the document are exposed both before and after the document is inserted into the lower fixing band, so that writing or memo is possible, and the document surface is prevented from being reflected by the light by vinyl material so that the document can be easily identified. Has

또한, 보관된 서류에 추가적인 내용을 첨가하기 위한 메모지가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들의 사이사이로 통과 가능함으로써, 보관된 서류들 중 원하는 서류와 인접되게 선택적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a memo sheet for adding additional contents to the stored document can be pas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so that the position can be selectively moved adjacent to the desired document among the stored docu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속지파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상, 하부 고정밴드에 서류가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상, 하부 고정밴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inlay file capable of writ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document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The figure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fixed band of this invention.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은 겉표지(100), 바인더(200) 및 다수의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pile file capable of writ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00, a binder 200, and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겉표지(100)의 내측 중앙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스프링 형태의 바인더(200)가 구비되어,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가 연결된다.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100 is provided with a binder 200 of the spring form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 upper, lower fixing bands (301, 302) are connected.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는 보관 및 휴대하고자 하는 서류(P)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2겹의 띠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로 양측단이 상호 연결형성되는 밴드 형태를 이룬다.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form a band in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wo layers of band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document P to be stored and carried are mutually overlapped.

이때, 상기 상부 고정밴드(301)를 이루는 2겹의 띠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로 양측단 및 상단이 상호 연결되어, 하단이 개방형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밴드(302)를 이루는 2겹의 띠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로 양측단 및 하단이 상호 연결되어, 상단이 개방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two layers of the band forming the upper fixing band 301 are mutually superimposed, the both ends and the upper end are interconnected, the lower end is open, the two-layer band forming the lower fixing band 302 is Both sides and the lower end are interconnected in a state where they overlap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is formed to be open.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가 상기 바인더(200)에 연결되도록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 각각의 내측부에는 바인딩부(B)가 구비된다. 상기 바인딩부(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인더(200)에 대응되는 다수의 통공이 일정간격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are connected to the binder 200, and binding portions B are provided on inn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inding portion B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binder 200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그러나, 상기 바인더(200) 및 바인딩부(B)의 형태는 통상적으로 쓰이는 다양 한 종류의 바인더 및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바인딩부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the shape of the binder 200 and the binding portion (B)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binders commonly used and the binding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shape.

상기 바인딩부(B)를 통해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는 상기 바인더(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을 이루며, 개방형성된 상기 상부 고정밴드(301)의 하단과 상기 하부 고정밴드(302)의 상단으로 서류(P)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inder 200 through the binding part B, respectively, and are formed in the low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fixing band 301 which are op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ocument P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nd 302.

이때, 상기 상부 고정밴드(301)의 앞면과 뒷면을 이루는 2겹의 띠 중 어느 하나의 띠 하단이 다른 하나의 띠 하단 보다 일정길이(d)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밴드(302)의 앞면과 뒷면을 이루는 2겹의 띠 중 어느 하나의 띠 상단이 다른 하나의 띠 상단 보다 일정길이(d)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의 개방형성된 상, 하단으로 상기 서류(P)의 상, 하부가 각각 끼워지기 수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ny one of the bottom of one of the two layers of the strip form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upper fixing band 301 is formed a predetermined length (d) longer than the other one of the lower band, the lower fixing band 302 of The upper part of one of the two-ply bands forming the front and the back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d) long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on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302) of the open upper and lower documents It is preferable to make it easy to fi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P),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밴드(301)를 이루는 2겹의 띠 상단이 상호 연결되되, 중앙 일부분을 개방형성하고, 상기 하부 고정밴드(302)를 이루는 2겹 띠 하단이 상호 연결되되, 중앙 일부분을 소정의 길이로 개방형성함으로써,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에 서류(P)를 끼우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를 이루는 2겹의 띠를 쉽게 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upper part of the two-ply band forming the upper fixing band 301 are interconnected,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open, the lower part of the two-ply band forming the lower fixing band 302 is interconnected,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enter By opening the length of the, it is easy for the user to open the two-layer band forming the upper, lower fixing bands (301, 302) by hand to fit the document (P) on the upper, lower fixing bands (301, 302). desirable.

이에 따라, 상기 서류(P)는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가 끼워진 상,하 부분을 제외한 전, 후면이 노출되므로, 서류(P)의 양면 모두 필기나 메모가 가능하고, 악보 등을 끼운 상태로 세워서 사용할 경우, 표면이 빛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가 눈이 부셔 식별이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Accordingly, since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document P, except fo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are exposed, both sides of the document P can be written or memo, When used in a stand up state, the surface is reflected by the light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blinding and difficult identifica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밴드 고정용지에 의해 상, 하부 고정밴드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are fixed by the band fixing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일철에는 밴드 고정용지(400)가 구비되어,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에 서류(P)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겉표지(100) 내부에서 너덜거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file ir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and fixing paper 400, the top cover 100 in the state that the document (P) is not inserted into the upper, lower fixing bands (301, 302) It is desirable to fix it so as not to tatter from the inside.

상기 밴드 고정용지(400)는 크게 용지부(410)와 삽입부(4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용지부(410)는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의 가로길이 및 높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들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The band fixing paper 400 comprises a paper part 410 and an insertion part 420. The paper part 410 ha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and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Is formed, is provided to be located in front or rear of the upper, lower fixing bands (301,302).

이때, 상기 용지부(410)는 내측부에 통공이 구비되어 상기 바인더(200)에 연결되거나 상기 겉표지(100)의 내면에 부착형성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paper portion 410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in the inner side is connected to the binder 200 or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100.

상기 용지부(410)의 외측 상, 하부 표면상에는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의 외측부가 각각 내삽되는 포켓형태의 삽입부(420)가 구비되어,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On the outer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aper portion 410 is provided with a pocket-shaped inserting portion 420 in which the out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are inserted,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are provided. It serves to fix.

도 7은 본 발명의 밴드 고정부재에 의해 상, 하부 고정밴드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 is fixed by the band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일철에는 밴드 고정부재(401)가 구비되어,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에 서류(P)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겉표지(100) 내부에서 너덜거리지 않도록 상기 밴드 고정용지(400)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file ir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and fixing member 401, and the cover 100 in a state in which the documents P are not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It plays the same role as the band fixing paper 400 so as not to be tattered from the inside.

상기 밴드 고정부재(401)는 소정길이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의 외측부와 교차되도록 위치되어, 그 상,하단부가 상기 겉표지(100)의 표면에 부착형성되고, 상기 밴드 고정부재(401)의 안으로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가 끼워진다. The band fixing member 401 is formed in a ban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ositioned to intersect the out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uter cover 100.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are inserted into the band fixing member 401.

도 8은 본 발명의 상, 하부 고정밴드 사이에 메모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바인더(200)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메모지(500)가 추가로 구비된다. 8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memo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lower fixing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memo papers 500 are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inder 200.

상기 메모지(500)는 내측부에 상기 바인더(200)에 대응되는 바인딩부가 구비되어 상기 바인더(200)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바인딩부는 상기 메모지(500)의 내측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이루는 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인더(20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메모지(500)는 상기 상부 고정밴드(301)의 하단과 상기 하부 고정밴드(302)의 상단 사이 간격으로 통과 가능한 소정의 높이와 면적으로 형성된다. The memo paper 500 has a bin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inder 200 at an inner side thereof and is connect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binder 200. The binding portion is formed in a through shape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 the inner portion of the memo 500,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inder (200). In this case, the memo 50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area that can pas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band 301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fixing band 302.

이러한 각각의 메모지(500)는 다수의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들의 사이사이로 페이지에 상관없이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301,302)에 끼워진 서류(P)와 인접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이동시켜, 서류(P)와 관련된 추가적인 내용이 필기된 메모지(500)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Since each memo 500 is movable between a plurality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regardless of the page, it is optional to be adjacent to the document P inserted in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301 and 302. By moving the position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ocument (P) has a merit that can be summarized at a gla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such,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ordinary technical ideas and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도 1은 종래의 파일철에 구비되는 봉투형 속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nvelope-shaped inlay provided in a conventional pile.

도 2는 종래의 파일철에 구비되는 밴드형 속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band-shaped inlay provided in a conventional pile.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속지파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inlay file capable of writ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상, 하부 고정밴드에 서류가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cument is inserted into the upper, lower fixing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상, 하부 고정밴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밴드 고정용지에 의해 상, 하부 고정밴드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are fixed by the band fixing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밴드 고정부재에 의해 상, 하부 고정밴드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 is fixed by the band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상, 하부 고정밴드 사이에 메모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memo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lower fixing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속지 10: 바인딩부1: inlay 10: binding portion

11: 천공 20: 상부가로밴드11: drilling 20: upper horizontal band

30: 하부가로밴드 100: 겉표지30: lower horizontal band 100: cover

200: 바인더 301: 상부 고정밴드200: binder 301: upper fixing band

302: 하부 고정밴드 400: 밴드 고정용지302: lower fixing band 400: band fixing paper

401: 밴드 고정부재 410: 용지부401: band fixing member 410: paper portion

420: 삽입부 600: 메모지420: inserting portion 600: note paper

Claims (8)

겉표지와 내측의 바인더로 이루어져 서류를 보관 및 휴대하기 위한 파일철에 있어서, In the pile file for storing and carrying documents consisting of a cover and an inner binder, 상기 서류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2겹의 띠로 이루어져 양측단 및 상단이 연결형성되는 밴드 형태로, 내측부에 구비되는 바인딩부에 의해 상기 바인더의 상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상부 고정밴드; 및 A plurality of upper fixing band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inder by a binding part provided on an inner side in a band form formed by two layers of band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document and having both ends and an upper end connected thereto; And 상기 서류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2겹의 띠로 이루어져 양측단 및 하단이 연결형성되는 밴드 형태로, 내측부에 구비되는 바인딩부에 의해 상기 바인더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하부 고정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It comprises a plurality of lower fixing band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inder by a bind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ide in the form of a band formed of two layers of band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document is connected to both ends and the bottom; The file iron which is available for front and back side writing of the pap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고정밴드를 이루는 2겹의 띠 중 어느 하나의 하단이 다른 하나의 하단 보다 일정길이 더 길게 형성되고, The lower end of any one of the two folds of the band forming the upper fixing band is formed a longer length than the other one, 상기 하부 고정밴드를 이루는 2겹의 띠 중 어느 하나의 상단이 다른 하나의 상단 보다 일정길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aper file can be writte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any one of the two layers of the band forming the lower fixing band is formed a predetermined length longer than the other 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고정밴드의 상단 및 상기 하부 고정밴드의 하단 중앙 일부분이 개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 The upper and upper portions of the upper fixing band and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fixing band of the file can be written front and back side of the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인딩부는,The binding unit, 상기 바인더에 대응되는 다수의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 The file iron capable of writ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pap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corresponding to the bind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의 가로길이 및 높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들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도록 내측부가 상기 바인더에 연결되는 용지부와, 상기 용지부의 외측 상, 하부에는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의 외측부가 각각 내삽되어 고정되는 포켓형태의 삽입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밴드 고정용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 A paper part formed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and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the inner part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inder so as to be located at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And a band fixing paper provided with a pocket-shaped insertion portion in which the outer and upp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ixing band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들의 외측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겉표지의 내 표면상에서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의 외측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되,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portion of the upper, lower fixing b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the outer portion of the upper, lower fixing bands are fitted into each other, 소정길이의 띠 형태로, 상기 상, 하부 고정밴드와 교차되도록 각각의 그 상,하단부가 상기 겉표지 표면에 부착형성되는 밴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 The front and back side writing of the pap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band fixing member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to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ver cover in the form of a band of a predetermined length; File availab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고정밴드의 하단과 상기 하부 고정밴드의 상단 사이 간격으로 통과 가능한 소정의 높이와 면적을 갖으며, 내측부에 형성되는 바인딩부에 의해 상기 바인더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 하부 고정밴드들 사이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메모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It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area that can pass through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xing band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fixing band,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inder by a bind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a plurality of upper, lower fixing bands Memo paper that can be selectively moved between the position; The file can be written front and back of the pap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메모지의 바인딩부는, The binding portion of the note paper, 상기 바인더에 대응되는 다수의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의 전후면 필기가 가능한 파일철. The file iron capable of writ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pap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corresponding to the binder.
KR1020090112385A 2009-04-30 2009-11-20 File holder KR2010011947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186 2009-04-30
KR20090038186 2009-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479A true KR20100119479A (en) 2010-11-09

Family

ID=4340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385A KR20100119479A (en) 2009-04-30 2009-11-20 File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947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612A (en) 2018-04-16 2019-10-24 안정관 Documents or music files
KR20220055638A (en) * 2020-10-27 2022-05-04 안정관 The file possession for bin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612A (en) 2018-04-16 2019-10-24 안정관 Documents or music files
KR20220055638A (en) * 2020-10-27 2022-05-04 안정관 The file possession for bin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8366A (en) Holders for computer disks and the like
JP4656532B2 (en) Band type file sheet envelope
KR20100119479A (en) File holder
JP6770352B2 (en) Document holders and files
US7591093B2 (en) Pull-out index for file folders and the like
KR100891749B1 (en) Jacket for spring binder
US9221294B2 (en) Sheet with integral tab
JP5461067B2 (en) File
JP3180843U (en) Paper business card file with memo field
KR102410741B1 (en) Notebook with post-it
CA2567717A1 (en) Bound component with adjustable elastic device
CN213228077U (en) Reading position recorder
KR200494801Y1 (en) Bookshelf with writing utensils
JP6984078B2 (en) Sheet music storage leaf
JP7079990B2 (en) booklet
KR200349197Y1 (en) File
JP2011031602A (en) Booklet cover
JPS6114450Y2 (en)
KR200468442Y1 (en) Notepaper and hold file with note
KR200405774Y1 (en) spring notebook having multi-function
KR200326658Y1 (en) Table calendar equipping transparent pocket
KR101424893B1 (en) File folder
KR200186780Y1 (en) Sticker type transparent pocket and file box with sticker type transparent pocket
KR101420824B1 (en) Book including pen holder
JPH081901Y2 (en) 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