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094A -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094A
KR20100119094A KR1020090038035A KR20090038035A KR20100119094A KR 20100119094 A KR20100119094 A KR 20100119094A KR 1020090038035 A KR1020090038035 A KR 1020090038035A KR 20090038035 A KR20090038035 A KR 20090038035A KR 20100119094 A KR20100119094 A KR 20100119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terminal
service
providing
ipt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656B1 (ko
Inventor
이재한
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3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65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8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for seamlessly watching content streams when changing device, e.g. when watching the same program sequentially on a TV and then on a tabl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3Acknowled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재생 중인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재생 중인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한 IPTV 콘텐츠를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고, TV 시청자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요청을 접수받는 셋탑 박스; 상기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 이어보기가 실행되는 휴대단말의 전화번호, 이어보기할 콘텐츠의 제목 및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제공 모듈; 및 상기 재생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해당하는 콘텐츠를 전송 받아 상기 휴대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스트리밍 모듈;을 포함한다.
IPTV, 콘텐츠, 휴대단말, 셋탑 박스, 이어보기

Description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PTV contents for mobile terminal continuously}
본 발명은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재생 중인 IPTV 콘텐츠에 대하여 TV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를 통해 공급되는 콘텐츠의 수가 급격하게 많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사용자 수요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IPTV는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로서, 시청자는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IPTV는 인터넷과 텔레비전이 융합된 디지털 컨버전스의 한 유형으로서, 텔레비전 수상기, 셋탑 박스(set-top box), 인터넷 회선을 필요로 한다. 즉, IPTV는 인터넷 회선에 접속된 셋탑 박스가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TV 시청자는 리모콘을 통해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홈쇼핑, 음악 등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IPTV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기존의 케이블 TV나 지상파 TV와는 달리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인터넷 TV와 달리 텔레비전 수상기와 리모콘만 있으면 원하는 콘텐츠를 간편하게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IPTV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강자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IPTV는 이동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에서 약점을 갖는다. 즉, TV 시청자가 집에서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IPTV 콘텐츠인 영화나 드라마 등을 시청하다가, 외출을 하는 경우 더 이상 영화나 드라마를 시청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영화나 드라마 등을 보던 흐름이 끊겨 시청하던 영화나 드라마에 대한 흥미와 재미가 반감되고, 이를 다시 시청하기 위해서는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또한, 집에 돌아와서도 텔레비전 수상기 및 셋탑 박스를 켜고 해당 영화나 드라마 등을 다시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그리고, 재생을 중지한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를 탐색해야 하므로 사용자는 매우 번거롭게 된다.
최근에는 이동성이 뛰어난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손쉽게 멀티미디어를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휴대단말에서 영화 등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영화 등의 파일을 컴퓨터 등으로 다운로드 받은 후, 인코딩 등의 변환 과정을 거치고, 이 를 휴대단말로 전송해야 한다. 또는, 휴대단말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한 후 해당 파일을 제공하는 사이트를 탐색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IPTV 콘텐츠가 인터넷 상에 다운로드 가능한 상태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사용자가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재생 중인 IPTV 콘텐츠에 대하여 휴대단말로 이어보기를 할 수 없는 것은 물론, IPTV 콘텐츠 자체를 휴대단말로 전송받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재생 중인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간편하게 이어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재생 중인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한 IPTV 콘텐츠를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고, TV 시청자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요청을 접수받는 셋탑 박스; 상기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 이어보기가 실행되는 휴대단말의 전화번호, 이어보기할 콘텐츠의 제목 및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제공 모듈; 및 상기 재생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해당하는 콘텐츠를 전송 받아 상기 휴대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스트리밍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셋탑 박스를 통해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재생 중인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TV 시청자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요청을 접수받는 단계; (b) 상기 이어보기할 콘텐츠의 제목 및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재생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해당하는 콘텐츠를 전송 받아 상기 휴대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재생 중인 영화나 드라마 등의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계속해서 이어볼 수 있다. 따라서, TV 시청자가 집에서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영화나 드라마 등의 IPTV 콘텐츠를 시청하다가 외출해야 하는 경우에도, 영화나 드라마 등을 끊김 없이 볼 수 있어 영화나 드라마 등에 대한 재미와 흥미를 감소시키지 않고 지속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TV 시청자는 셋탑 박스를 통해 이어보기 요청을 한 후, 전송된 SMS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는 등의 방식으로 손쉽게 이어보기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후 여러 인터넷 경로를 거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휴대폰으로 다운로드 받을 필요가 없으며, 간편하게 IPTV 콘텐츠에 대한 이어보기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텔레비전 수상기(600) 및 휴대단말(800)과 연결되는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유선으로 텔레비전 수상기(600)에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망(700)을 통해 휴대단말(8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텔레비전 수상기(600)를 통해 TV 시청자에게 IPTV 콘텐츠를 제공하다가 TV 시청자로부터 휴대단말(800)로 이어보기 요청을 받으면, 이동통신망(700)을 통해 휴대단말(800)로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 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셋탑 박스(110), 정보제공 모듈(120), SMS송수신 모듈(130), 콘텐츠 변환모듈(140), 스트리밍 모듈(150), 데이터베이스(160) 및 인증모듈(170)을 포함한다.
상기 셋탑 박스(110)는, IPTV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데이터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한 IPTV 콘텐츠를 텔레비전 수상기(600)로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900)는 영화, 드라마, 음악 등의 각종 IPTV 콘텐츠를 보유하고 이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상기 셋탑 박스(110)는, 디지털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전송된 압축신호를 원래의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복원해 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셋탑 박스(110)의 구성 및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 이러한 셋탑 박스(110)의 구성 및 기능 이외에 본 발명의 셋탑 박스(110)가 갖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셋탑 박스(110)는, TV 시청자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600)에서 재생 중인 IPTV 콘텐츠에 대하여 휴대단말(800)로 이어보기 요청을 접수받는다. 다시 말해, TV 시청자는 텔레비전 수상기(600)를 통해 영화나 드라마 등의 콘텐츠를 시청하다가 셋탑 박스(110)를 통해 콘텐츠의 일정 재생 시점부터 휴대단말(800)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 이때, TV 시청자는 셋탑 박스(110)의 리모컨이나 셋탑 박스(110) 본체의 버튼을 이용하여 이어보기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 명이 이러한 이어보기 요청 방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TV 시청자로부터 이어보기 요청을 접수받을 때, 상기 셋탑 박스(110)는 이어보기가 실행될 휴대단말(800)의 전화번호를 TV 시청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이 좋다.
이때, 전화번호의 입력은 TV 시청자로부터 휴대단말(800)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 받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V 시청자로부터 콘텐츠 이어보기를 수행할 휴대단말(800)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TV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TV 시청자는 셋탑 박스(110) 리모컨의 숫자 버튼이나 셋탑 박스(110) 본체에 마련된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이어보기를 수행할 휴대단말(8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도 3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숫자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셋탑 박스(110)의 리모컨이나 셋탑 박스(110) 본체의 방향키를 통해 TV 시청자로부터 숫자를 선택 받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의 입력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 리스트를 TV 시청자에게 제공하고, TV 시청자로부터 그 중 하나를 선택 받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TV 시청자가 이어보기를 요청하기 이전에, 예를 들어 IPTV 서비스 등록시, TV 시청자로부터 이어보기를 수행할 휴대단말(800)의 전화번호를 미리 입력 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입력된 전화번호는 셋탑 박스(110) 내의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160)와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이 후, TV 시청자가 셋탑 박스(110)를 통해 이어보기를 요청할 경우, 미리 입력되어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 리스트를 텔레비전 수상기(600)에 표시하여 TV 시청자가 그 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어보기를 수행할 휴대단말(800)의 전화번호를 TV 시청자로부터 입력받는 TV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텔레비전 수상기(600)를 통해 TV 시청자에게 복수의 전화번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TV 시청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전화번호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전화번호는 이어보기를 수행할 휴대단말(800)의 전화번호로 지정된다.
일반적으로, IPTV 제공 서비스는 가구당 계약이 이루어지며, 한 가구는 보통 여러 구성원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셋탑 박스에는 여러 TV 시청자가 존재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므로, 여러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TV 시청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면 TV 시청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IPTV 서비스를 제공 받는 가구 구성원이 한 명이거나, 이어보기를 수행할 휴대단말(800)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휴대단말(800)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160), 또는 셋탑박스(110) 내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 경우, 셋탑 박스(110)는 TV 시청자로부터 휴대단말(800) 전화번호를 일일이 입력 받을 필요가 없으며, 이어보기 요청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휴대단말(800)로 이어보기 서비스가 자동으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셋탑 박스(110)를 통해 TV 시청자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정보제공 모듈(120)로 전달된다.
상기 정보제공 모듈(120)은, 셋탑 박스(110)를 통한 TV 시청자의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 이어보기가 실행되는 휴대단말(800)의 전화번호, 이어보기할 콘텐츠의 제목 및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정보제공 모듈(120)은, 이어보기 요청된 콘텐츠의 제목,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를 SMS송수신 모듈(130), 콘텐츠 변환모듈(140) 및 스트리밍 모듈(150)로 전송한다. 상기 재생시점은 휴대단말(800)에서 이어보기가 수행될 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총 60분의 재생 시간을 갖는 콘텐츠에 대해, 재생 시점이 30분 33초로 설정되면, 상기 콘텐츠는 휴대단말에서 처음부터 재생되는 것이 아니라 30분 33초 이후의 콘텐츠만이 이어보기로 재생된다.
상기 재생시점은 TV 시청자로부터 이어보기 요청을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상기 셋탑 박스(110)로부터 제공받거나, 상기 정보제공 모듈(120)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상기 정보제공 모듈(120)은, 휴대단말(800) 전화번호, 이어보기할 콘텐츠의 제목 및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SMS 송수신 모듈(130)은, 정보제공 모듈(120)에 의해 제공된 휴대단말(800) 전화번호로 콘텐츠의 이어보기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SMS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휴대단말(800) 전화번호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MS 송수신 모듈(13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이어보기 수행 여부를 확인하 는 SMS의 휴대단말(800)상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MS송수신 모듈(130)이 전송한 SMS에는 이어보기가 수행될 콘텐츠의 제목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이라3'이라는 콘텐츠 제목을 포함하는 SMS를 전송 받은 휴대단말 사용자는 이어보기가 수행될 콘텐츠가 영화 '미이라3'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SMS에는 콘텐츠 이어보기를 수행할 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도 5에서 사용자는 '미이라3'이라는 제목의 콘텐츠에 대하여 이어보기를 원하는 경우 '확인'을 선택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미이라3'이라는 콘텐츠에 대하여 이어보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취소'를 선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이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MS송수신 모듈(130)은 SMS에 콘텐츠 재생시점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33분 10초'라는 재생시점이 SMS 내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미이라3'이라는 영화가 처음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고 영화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33분 10초'가 경과된 시점부터 영화가 재생될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SMS에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경우,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은 SMS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 재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의 데이터베이스(160)는 재생시점에 관한 재생정보를 더이상 저장하지 않 아도 되므로, 데이터베이스(160)의 용량 및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SMS 송수신 모듈(130)은 상기 전송된 SMS에 대하여 휴대단말(800) 사용자로부터 응답(확인 또는 취소)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SMS 송수신 모듈(130)에 의해 휴대단말(800)로부터 '확인' 또는 '취소'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의사를 응답 메시지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SMS 송수신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이 이어보기 서비스에 대한 승인(확인)인 경우에만, 상기 스트리밍 모듈(150)에 콘텐츠의 전송을 지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단말(800)로 전송된 SMS에 대하여 '확인' 또는 '취소'의 선택과 같은 간단한 절차만으로 IPTV 콘텐츠 이어보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단말(800)로 IPTV 콘텐츠를 이어보기 위하여 휴대단말(800)을 통해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해당 콘텐츠가 존재하는 인터넷 경로를 탐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휴대단말(800)로 다운로드 받는 등의 복잡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IPTV 콘텐츠의 이어보기가 매우 간편해진다.
상기 콘텐츠 변환모듈(140)은, 상기 정보제공 모듈(120)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콘텐츠 제목 및 재생시점에 관한 정보를 전송 받는다. 그리고, 이어보기할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전송 받고, 이를 상기 휴대단말(800)에서 재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800)의 제원 은 데이터베이스(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콘텐츠 변환모듈(140)은 데이터베이스(160)를 조회하는 것에 의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변환모듈(140)은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변환할 때 상기 재생시점 이후 부분에 해당하는 콘텐츠만을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TV 시청자의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 휴대단말(800)로 전송되는 콘텐츠는 재생시점 이후의 콘텐츠 부분이다. 따라서, 콘텐츠 변환모듈(140)은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모든 콘텐츠를 전송 받을 필요가 없으며, 재생시점 이후 부분만 부분적으로 전송 받아 변환하면 된다. 이에 따라, 콘텐츠 변환모듈(140)은 불필요한 콘텐츠 부분까지 전송받거나 변환하지 않기 때문에 이어보기에 따른 소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시스템의 용량 및 부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콘텐츠 변환모듈(1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콘텐츠 변환모듈(140)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휴대단말(800)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의 콘텐츠를 전송받는 경우, 별도의 콘텐츠 변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콘텐츠 변환모듈(140)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스트리밍 모듈(150)은, 재생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해당하는 콘텐츠를 전송 받아 휴대단말(800)로 스트리밍 전송한다. 만일,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가 휴대단말(800)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가 아니라 면, 콘텐츠 변환모듈(140)에 의해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800)로 스트리밍 전송한다. 그러나,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가 휴대단말(800)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인 경우, 콘텐츠 변환모듈(140)을 거치지 않고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곧바로 휴대단말(8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모듈(150)은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휴대단말(800)에 다운로드시키지 않고, 스트리밍 형태로 휴대단말(800)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160) 등에 따로 저장해둘 필요가 없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60)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베이스(160)에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휴대단말(800)의 전화번호, 이어보기할 콘텐츠의 제목 및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정보제공 모듈(12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상기 재생정보를 독출하여 다른 모듈들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모듈(1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 모듈(170)은, 상기 SMS송수신 모듈(130)이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이어보기를 요청 받은 경우, 휴대단말(800)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셋탑 박스(110)를 통한 전화번호 입력시 착오로 다른 휴대단말 전화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도, 정당 사용자가 아닌 사용자의 콘텐츠 이어보기 접속을 차단할 수 있 다. 또한, 미성년자인 자녀가 성인 콘텐츠를 자신의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요청하여 시청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모듈(170)에 의한 사용자의 인증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800) 사용자로부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정당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60)는 사용자 인증 정보(즉,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증 모듈(170)은 휴대단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와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은 주민등록 번호를 입력 받는 등과 같이 성인인증 형태이어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가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셋탑 박스(110)가 TV 시청자로부터 이어보기 요청을 수신하면, 이 요청을 정보제공 모듈(120)로 전달한다(S110). 이때, 정보제공 모듈(120)은 이어보기 서비스를 실행할 휴대단말(800)의 전화번호와, 재생시점 및 콘텐츠 제목과 같은 재생정보를 TV 시청자, 셋탑박스(110) 또는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수집한다. 재생정보의 수집이 완료되면, 상기 정보제공 모듈(120)은 SMS송수신 모듈(130)에 상기 휴대단말(800) 전화번호, 콘텐츠의 제목 및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를 제공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SMS송수신 모듈(130)은, 상기 재생정보에 근거하여 도 5와 같은 형태의 SMS를 생성하고, 이를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휴대단말(800)로 전송한다(S130). 도 5의 SMS를 수신한 사용자는 "확인" 또는 "취소" 메뉴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이어보기 서비스의 실행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의사를 상기 SMS 송수신 모듈(130)로 응답한다(S140). 사용자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SMS송수신 모듈(130)은 이 사용자의 응답을 상기 정보제공 모듈(120)로 전달한다(S150).
상기 사용자의 응답이 이어보기 요청에 대한 승인인 경우, 상기 정보제공 모듈(120)은 콘텐츠 변환모듈(140)로 상기 재생정보를 제공한다(S160). 콘텐츠 변환모듈(140)은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해당하는 이어보기 콘텐츠를 요청하고(S170), 해당 콘텐츠를 전송받는다(S180).
콘텐츠 변환모듈(140)은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를 이어보기 서비스를 실행할 휴대단말(800)이 재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S190), 스트리밍 모듈(150)은 이렇게 변환된 콘텐츠를 재생시점부터 스트리밍 처리하여 휴대단말(800)로 실시간 전송한다(S200).
한편, 콘텐츠 제공자(9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가 휴대단말(800)이 재생할 수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콘텐츠 변환모듈(140)의 변환과정을 거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함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재생 중인 IPTV 콘텐츠에 대하여 TV 시청자가 셋탑 박스를 통해 이어보기 요청을 하면(S310), 상기 요청된 콘텐츠의 제 목 및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를 수집한다(S330). 다음으로, 이어보기할 휴대단말로 콘텐츠 이어보기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SMS를 전송하여(S340),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의 승인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350). 이때, 상기 사용자의 응답이 이어보기 서비스에 대한 승인인 경우에만,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답에서 사용자가 콘텐츠 이어보기를 수행할 것을 요청한 경우, 상기 재생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제목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전송 받고, 이를 상기 휴대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S370). 그리고, 변환된 콘텐츠는 재생시점 이후 부분부터 상기 휴대단말로 스트리밍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한다(S380). 이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전송된 콘텐츠가 휴대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인 경우, 상기 변환 단계(S370)를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바람직하게, 상기 S310 단계와 상기 S330 단계 사이에, 콘텐츠 이어보기를 수행할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TV 시청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S3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S320 단계는, TV 시청자로부터 휴대단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즉, TV 시청자는 셋탑 박스의 리모컨이나 셋탑 박스 본체의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전송받을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는, 상기 S320 단계는, TV 시청자로부터 복수의 휴대단말 전화번호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 받아 수행될 수도 있다. 즉,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TV 시청자에게 복수의 휴대단말 전화번호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TV 시청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S340 단계에서, SMS 내에 콘텐츠 제목 및 재생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60) 내에 존재하는 상기 콘텐츠 제목 및 재생시점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용량 및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이미 상술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370 단계는, 재생시점 이후 부분에 해당하는 콘텐츠만을 전송 받아 변환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35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이어보기를 수행할 것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S350 단계와 상기 S370 단계 사이에 휴대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S3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텔레비전 수상기 및 휴대단말과 연결되는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이어보기를 수행할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TV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어보기를 수행할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TV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MS 송수신 모듈이 콘텐츠 이어보기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SMS를 전송한 휴대단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가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8)

  1.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재생 중인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한 IPTV 콘텐츠를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고, TV 시청자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요청을 접수받는 셋탑 박스;
    상기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 이어보기가 실행되는 휴대단말의 전화번호, 이어보기할 콘텐츠의 제목 및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제공 모듈; 및
    상기 재생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해당하는 콘텐츠를 전송 받아 상기 휴대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스트리밍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SMS를 전송하고, 이 SMS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의 승인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SMS 송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MS 송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이 이어보기 서비스에 대한 승인인 경우에만, 상기 스트리밍 모듈에 콘텐츠의 전송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MS 내에는 상기 콘텐츠 제목 및 재생 시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콘텐츠 변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변환모듈은, 상기 재생시점 이후 부분에 해당하는 콘텐츠만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보기가 실행되는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는 상기 TV 시청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보기가 실행되는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셋탑 박스를 통해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재생 중인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TV 시청자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요청을 접수받는 단계;
    (b) 상기 이어보기할 콘텐츠의 제목 및 재생시점을 포함하는 재생정보를 수 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재생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해당하는 콘텐츠를 전송 받아 상기 휴대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상기 재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SMS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SMS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의 승인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이 이어보기 서비스에 대한 승인인 경우에만, 콘텐츠를 스트리밍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MS 내에는 상기 콘텐츠 제목 및 재생 시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변환 단계는, 상기 재생시점 이후 부분에 해당하는 콘텐츠만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보기가 실행되는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는 상기 TV 시청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보기가 실행되는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 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콘텐츠에 대한 휴대단말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90038035A 2009-04-30 2009-04-30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05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035A KR101050656B1 (ko) 2009-04-30 2009-04-30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035A KR101050656B1 (ko) 2009-04-30 2009-04-30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094A true KR20100119094A (ko) 2010-11-09
KR101050656B1 KR101050656B1 (ko) 2011-07-19

Family

ID=4340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035A KR101050656B1 (ko) 2009-04-30 2009-04-30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6547B2 (en) 2011-10-17 2015-02-24 Kt Corporation Seamless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cheme
KR102400733B1 (ko) * 2021-01-27 2022-05-23 김성중 이미지에 내재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확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31B1 (ko) 2011-10-25 2014-07-2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관련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및 부가 정보 제공 방법
KR101472010B1 (ko) * 2012-11-01 2014-12-12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어보기를 제공하는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153B1 (ko) * 2007-08-16 2008-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6547B2 (en) 2011-10-17 2015-02-24 Kt Corporation Seamless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cheme
KR102400733B1 (ko) * 2021-01-27 2022-05-23 김성중 이미지에 내재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확장 장치
WO2022163949A1 (ko) * 2021-01-27 2022-08-04 김성중 이미지에 내재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확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656B1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6394T3 (es) Generación de información de control multimedia en un sistema de suministro de contenido multimedia interactivo
US94141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media content and media guidance information
KR100862153B1 (ko) 모바일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54737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to enhance broadcast entertainment
US8150387B2 (en) Smart phone as remote control device
US201200305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media using social media guidance applications
US201200305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media using social media guidance applications
US20120233651A1 (en) Iptv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20080013555A1 (en) Receiving system or terminal for contents via ip network
US20100325652A1 (en) Method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erminal and receiver using the same
JP2015513844A (ja)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の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関連する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とシステム
US20090113502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lue-added service in internet protocol tv system
KR101050656B1 (ko)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8601A (ko) 인터넷전화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아이피티브이 셋톱박스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6814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텔레비젼 포털 서비스시스템
WO20120156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media using social media guidance applications
US201301115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interface
KR101009544B1 (ko) Iptv 서비스에서의 콘텐츠 상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81035B1 (ko) Iptv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115837A (ko) 전자프로그램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00027720A (ko) 사용자 의견 전송 방법
KR20090127562A (ko) Iptv에서의 시청 예약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90039242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시 시청 기능을 구비한 셋톱박스 및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