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959A -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959A
KR20100118959A KR1020100040148A KR20100040148A KR20100118959A KR 20100118959 A KR20100118959 A KR 20100118959A KR 1020100040148 A KR1020100040148 A KR 1020100040148A KR 20100040148 A KR20100040148 A KR 20100040148A KR 20100118959 A KR20100118959 A KR 20100118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list
station
neighbor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331B1 (ko
Inventor
김원익
장성철
김현재
김성경
차재선
윤철식
안지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11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국은 복수 개의 기지국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증설된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기지국들 중 증설된 기지국과 인접하다고 예측되는 기지국을 결정하여 증설된 기지국과 인접하다고 예측한 기지국에 대한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고,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증설된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을 결정하여 증설된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METHOD FOR ORGANIZING LIST OF ADJACENT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율구성망이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율구성망(Self-Organization Network, 이하에서는 'SON'이라고도 함)이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규 기지국은 신규 기지국의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을 스캐닝(scanning)하는 무선 수신(Over The Air Receive, 이하에서는 'OTAR'이라고도 함) 모드를 통해 신규 기지국에 대한 초기 운용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OTAR 모드는 전체 스캐닝(full scanning) 모드와 부분 스캐닝(partial scanning) 모드로 구분된다.
신규 기지국은 전체 스캐닝 모드에 따라 인접한 기지국들을 스캐닝하여 인접한 기지국들에 대한 스캐닝 정보를 획득하고, 자율구성망 제어국(SON controller)으로 획득한 정보를 전송하여 자율구성망 제어국으로부터 인접 셀 리스트를 수신하며, 수신된 인접 셀 리스트를 바탕으로 초기 운용 정보를 구성한다.
또한, 신규 기지국은 부분 스캐닝 모드에 따라 주기적으로 인접 셀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들을 스캐닝하여 인접 셀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들에 대한 스캐닝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인접 셀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보다 작은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제2 기지국이 인접한 경우, 제1 기지국은 부분 스캐닝 모드에 따라 제2 기지국을 스캐닝하더라도 제2 기지국을 스캐닝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신규 기지국이 최초에 전체 스캐닝 모드를 수행한 후, 주기적으로 부분 스캐닝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신규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작은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기지국을 스캐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신규 기지국이 주기적으로 전체 스캐닝 모드를 수행하면, 전체 스캐닝 모드의 수행에 따른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율구성망이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영역이 다른 기지국간에 스캐닝을 통한 상호 비탐지 가능성을 줄이고, 주기적인 스캐닝에 다른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국이 특정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를 구성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으로써, 제어국이 복수 개의 기지국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증설된 제1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기지국들 중 제1 기지국과 인접하다고 예측되는 기지국을 결정하여 제1 기지국과 인접하다고 예측한 기지국에 대한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제어국이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제1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제1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을 결정하여 제1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증설된 기지국이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를 구성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으로써, 증설된 기지국이 증설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증설된 기지국이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된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scanning)을 수행하여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제1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증설된 기지국이 제1 스캐닝 정보를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증설된 기지국이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된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증설된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특정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을 재설정하여 특정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기지국들간의 상호 비탐지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증설된 기지국에 대해서만 스캐닝을 수행함으로써 주기적인 스캐닝에 다른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구성망(Self-Organization Network, 이하에서는 'SON'이라고도 함)이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자율구성망 제어국(SON controller)(100), 제1 기지국(110), 제2 기지국(120) 및 제3 기지국(130)을 포함한다.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기지국들의 위치 정보와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각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list)(이하에서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라고도 함) 및 각 기지국의 운용 파라미터(operation parameter)를 결정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시스템에 증설 또는 감설된 기지국이 있는 경우,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기지국들에게 증설 또는 감설에 대한 공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백본망(backbone network)를 통해 주기적으로 기지국들의 상태 정보를 보고 받고, 감설 요청을 하지 않고 전력이 끊어지거나 비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인지하여 해당 내용을 공지할 수도 있다.
제1 기지국(110), 제2 기지국(120) 및 제3 기지국(130)의 각각은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무선 수신(Over The Air Receive, 이하에서는 'OTAR'라고도 함) 모드에 따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scanning)을 수행하여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 정보를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 정보는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프리앰블 인덱스(preamble index),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이하에서는 'RSSI'라고도 함) 또는 반송파 대 간섭 및 잡음비(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이하에서는 'CINR'이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TAR 모드는 전체 스캐닝(full scanning) 모드와 부분 스캐닝(partial scanning) 모드로 구분된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구성망이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규 기지국에 대한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 기지국(110)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을 통해 제1 기지국(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101). 여기서, 제1 기지국(110)은 새로 증설된 신규 기지국에 해당한다.
다음, 제1 기지국(110)은 획득한 제1 기지국(1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으로 전송한다(S103).
이후,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제1 기지국(11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110)과 인접하다고 예측되는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이하에서는 '인접 기지국 후보 리스트'라고도 함)를 생성한다(S105). 여기서,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제1 기지국(110)의 최대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 후보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인접 기지국 후보 리스트를 제1 기지국(110)으로 전송한다(S107).
이후, 제1 기지국(110)은 OTAR 모드의 부분 스캐닝 모드에 따라 인접 기지국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scanning)을 수행하여, 인접 기지국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 정보(이하에서는 '제1 스캐닝 정보'라고도 함)를 생성한다(S109). 여기서, 제1 스캐닝 정보는 인접 기지국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프리앰블 인덱스, RSSI 또는 CINR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1 기지국(110)은 제1 스캐닝 정보를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으로 전송한다(S111).
이후,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제1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된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제1 기지국(110)과 인접한 기지국을 결정하여 제1 기지국(110)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이하에서는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라고도 함)를 생성한다(S113).
다음,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바탕으로 제1 기지국(110)의 운용 파라미터를 결정한다(S115).
이후,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제1 기지국(110)의 운용 파라미터(operation parameter) 및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포함하는 기지국 운용 정보를 제1 기지국(110)으로 전송한다(S117).
다음, 제1 기지국(110)은 OTAR 모드의 부분 스캐닝 모드에 따라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하여,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 정보(이하에서는 '제2 스캐닝 정보'라고도 함)를 생성한다(S119). 여기서, 제2 스캐닝 정보는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프리앰블 인덱스, RSSI 또는 CINR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기지국(110)은 제2 스캐닝 정보를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으로 전송한다(S121).
한편,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제2 기지국(120)에게 제1 기지국(110)에 대한 스캐닝을 요청한다(S123).
다음, 제2 기지국(120)은 OTAR 모드의 부분 스캐닝 모드에 따라 제1 기지국(110)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하여, 제1 기지국(110)에 대한 스캐닝 정보(이하에서는 '제3 스캐닝 정보'라고도 함)를 생성한다(S125). 여기서, 제3 스캐닝 정보는 제1 기지국(110)에 대한 프리앰블 인덱스, RSSI 또는 CINR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2 기지국(120)은 제3 스캐닝 정보를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으로 전송한다(S127).
한편,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제3 기지국(130)에게 제1 기지국(110)에 대한 스캐닝을 요청한다(S129).
다음, 제3 기지국(130)은 OTAR 모드의 부분 스캐닝 모드에 따라 제1 기지국(110)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하여, 제1 기지국(110)에 대한 스캐닝 정보(이하에서는 '제4 스캐닝 정보'라고도 함)를 생성한다(S131). 여기서, 제4 스캐닝 정보는 제1 기지국(110)에 대한 프리앰블 인덱스, RSSI 또는 CINR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3 기지국(130)은 제4 스캐닝 정보를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으로 전송한다(S133).
다음,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제2 스캐닝 정보, 제3 스캐닝 정보 및 제4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제1 기지국(110)과 인접한 기지국을 재설정하여 제1 기지국(110)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갱신된 리스트(이하에서는 '제2 인접 기지국 리스트'라고도 함)를 생성한다(S135).
이후,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제2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제1 기지국(110)으로 전송한다(S137). 여기서, 제1 기지국(110)은 제1 기지국(11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에게 제2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제2 인접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제2 기지국(120)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에 제1 기지국(110)이 포함되도록 제2 기지국(120)에게 리스트의 갱신을 요청한다(S139).
다음, 제2 기지국(120)은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의 갱신 요청에 따라 제2 기지국(120)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를 갱신하여 제2 기지국(120)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갱신된 리스트를 생성한다(S141). 여기서, 갱신된 리스트에 따르면 제1 기지국(110)은 제2 기지국(120)과 인접한 기지국에 해당한다. 또한, 제2 기지국(120)은 갱신된 리스트를 제2 기지국(12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은 제2 인접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제3 기지국(130)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에 제1 기지국(110)이 포함되도록 제3 기지국(130)에게 리스트의 갱신을 요청한다(S143).
다음, 제3 기지국(130)은 자율구성망 제어국(100)의 갱신 요청에 따라 제3 기지국(130)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를 갱신하여 제3 기지국(130)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갱신된 리스트를 생성한다(S145). 여기서, 갱신된 리스트에 따르면 제1 기지국(110)은 제3 기지국(130)과 인접한 기지국에 해당한다. 또한, 제3 기지국(130)은 갱신된 리스트를 제3 기지국(13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국이 특정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를 구성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이 복수 개의 기지국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증설된 제1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기지국들 중 상기 제1 기지국과 인접하다고 예측되는 기지국을 결정하여 상기 제1 기지국과 인접하다고 예측한 기지국에 대한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국이 상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제1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1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을 결정하여 상기 제1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이 상기 인접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제2 스캐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국이 상기 제2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이 갱신된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제2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제2 인접 기지국 리스트의 갱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국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후보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국이 상기 지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스캐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이 상기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1 기지국의 운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국이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제1 인접 기지국 리스트 및 상기 운용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국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증설된 기지국이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를 구성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설된 기지국이 상기 증설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증설된 기지국이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된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scanning)을 수행하여 상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제1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증설된 기지국이 상기 제1 스캐닝 정보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증설된 기지국이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된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상기 증설된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증설된 기지국이 상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프리앰블 인덱스(preamble index), 수신 신호 강도(RSSI) 또는 반송파 대 간섭 및 잡음비(CINR)을 포함하는 제1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설된 기지국이 상기 인접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scanning)을 수행하여 상기 인접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제2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증설된 기지국이 상기 제2 스캐닝 정보를 상기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증설된 기지국이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갱신된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증설된 기지국이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을 통해 상기 증설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캐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증설된 기지국이 무선 수신(over the air receive) 모드의 부분 스캐닝(partial scanning) 모드에 따라 상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한 스캐닝(scanning)을 수행하는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KR1020100040148A 2009-04-29 2010-04-29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KR101624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7713 2009-04-29
KR1020090037713 2009-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959A true KR20100118959A (ko) 2010-11-08
KR101624331B1 KR101624331B1 (ko) 2016-06-08

Family

ID=4340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148A KR101624331B1 (ko) 2009-04-29 2010-04-29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3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999A (ko) * 1999-12-24 2001-07-09 박종섭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웃 기지국 리스트 작성 방법
KR20090000856A (ko) * 2007-06-28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가 구성 가능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캐닝 방법및 장치
KR20090013272A (ko) * 2007-06-28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리스트 관리 방법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999A (ko) * 1999-12-24 2001-07-09 박종섭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웃 기지국 리스트 작성 방법
KR20090000856A (ko) * 2007-06-28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가 구성 가능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캐닝 방법및 장치
KR20090013272A (ko) * 2007-06-28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리스트 관리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331B1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7753B2 (en) Method for managing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thereof
KR101642046B1 (ko) 분산 무선 애드 혹 망에서 인접 기지국 목록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7466090B (zh) 利用指针信号在可用信道中进行通信的接入点、无线终端、存储介质和方法
KR101451860B1 (ko)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5211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femto base station to efficiently perform beaco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64745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中継局、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EP3220688A1 (en) Conditional transmission of wlan probe response
TW201714419A (zh) 使用無線電存取網路來對wi-fi和未授權頻帶進行通道可用性協調
JP201253255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マクロ基地局によって行われる周辺基地局情報の伝送方法および装置
EP3679744B1 (en) Method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mputer program, computer-readable data carrier and network node.
EP2173130A1 (e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relay nod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twork neighbourhood
CN114554520A (zh) 干扰测量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KR20140090030A (ko) 기준 신호 크기 변경 시스템 및 방법
Parodi et al. An automatic procedure for neighbor cell list definition in cellular networks
JP5141267B2 (ja) セルラー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EP2262316B1 (en) Handover control
CN102474791A (zh) 在蜂窝无线系统中管理切换的方法
WO2014188556A1 (ja) マクロセル基地局及び端末
KR101079889B1 (ko) 펨토셀에서의 신호 간섭 제거 방법
US20230019905A1 (en) Wireless route control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ode
KR20090000856A (ko) 자가 구성 가능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캐닝 방법및 장치
KR101624331B1 (ko) 인접 기지국 리스트 구성 방법
JP4865422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lanシステム
EP2846575B1 (en) Method for Installing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772101B (zh) 终端扫描仔基站的方法、无线通信系统、终端、及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