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012A -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012A
KR20100117012A KR1020090104065A KR20090104065A KR20100117012A KR 20100117012 A KR20100117012 A KR 20100117012A KR 1020090104065 A KR1020090104065 A KR 1020090104065A KR 20090104065 A KR20090104065 A KR 20090104065A KR 20100117012 A KR20100117012 A KR 20100117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antenna pattern
frame
electronic devic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재석
장기원
홍하룡
한창목
안찬광
이득우
남현길
이대규
배상우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7012A/ko
Publication of KR20100117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0Radiating elements coated with or embedded in prote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56Antennas, e.g. radom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는 안테나 패턴부, 연결단자부 및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방사체;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방사체가 몰드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는 방사체 프레임; 상기 방사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몰드 사출 성형시 상기 방사체 프레임에 매립되는 접촉면 확장부; 및 상기 접촉면 확장부가 매립된 방사체 프레임을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의 내부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수지재를 주입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어 제조되는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pattern part embeded therein}
본 발명은 안테나 방사체를 표면에 형성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 방사체가 전자장치 케이스 내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사체를 표면에 형성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핸드폰, PDA, 네비게이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장치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무선랜, GSM, DMB 등의 기능이 부가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들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가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로드 안테나나 헬리컬 안테나와 같은 외장형 타입에서 단말기 내부에 배치하는 내장형 타입으로 발전되는 경항이다.
외장형 타입은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내장형 타입은 단말 기 자체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체화 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안테나를 기구물에 일체화 시키는 방법으로, 단말기 몸체 자체에 플렉스블한 안테나를 접착제로 붙이거나, 최근 안테나 필름에 몰딩을 하는 방법까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플렉스블한 안테나를 단순히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는 경우는 접착력이 약해지는 경우 안테나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외관이 불량하여 소비자에게 좋지 않은 감성품질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는 제품의 안정성은 확보되지만, 필름에 안테나를 붙이는 공정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너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방사체를 프레임의 표면에 밀착 고정하여 상기 안테나 방사체가 상기 프레임 표면 상에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는 안테나 패턴부, 연결단자부 및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방사체;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방사체가 몰드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는 방사체 프레임; 상기 방사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몰드 사출 성형시 상기 방사체 프레임에 매립되는 접촉면 확장부; 및 상기 접촉면 확장부가 매립된 방사체 프레임을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의 내부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수지재를 주입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어 제조되는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에 의하면,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되는 방사체를 전자장치의 케이스에 매립할 수 있 으므로, 종래의 외장형 타입 안테나가 가지는 외부충격에 대한 취약성 문제점 및 내장형 타입 안테나가 가지는 부피 증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의 케이스에 플렉스블 재질의 안테나가 매립될 수 있으므로, 접착제를 붙이는 것에 비해 안테나의 성능이 향상되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안테나를 보호필름 없이 전자장치 케이스에 매립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 자체를 곡면과 같은 3차원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외관의 형상등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필름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제조공정이 용이해지며,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사체와 연결 단자부를 안테나 패턴 프레임에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패턴부가 프레임 상에서 들뜸현상이 없어지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견고히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테나가 필요한 모든 전자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 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 1 실시예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방사체(22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케이스(120)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방사체(220)를 상기 케이스(120)의 내측에 형성시키기 위해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방사체(220)를 방사체 프레임(210) 상에 형성시킨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케이스의 내측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은 안테나 패턴부(222)와 연결 단자부(224)가 형성되는 방사체(220) 및 방사체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체(220)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재로 이루어져 외부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같은 전자장치의 신호처리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체(220)는 다양한 대역의 외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미앤더 라인(Meander line)을 이루는 안테나 패턴부(222)를 가진다.
상기 연결 단자부(224)는 수신된 외부신호를 전자장치에 전송하며, 방사체(220)의 일부를 절곡, 포밍(forming), 드로잉(drawing)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단자부(224)는 방사체(220)와 별도로 제조된 후 상기 방사체(220)에 연결되어 제조될 수 있다(도 7 참조).
한편, 방사체 프레임(210)은 편평한 평면부(260)와 곡률을 가지는 커브부(240)로 이루어 지는 입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방사체(220)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의 커브부(240)에 배치되도록 플렉스블 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은 사출 구조물로, 상기 안테나 패턴부(222)는 방사체 프레임(210)의 일면(210a)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단자부(224)는 상기 일면(210a)의 반대면(210b)에 형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 케이스(120)의 내부에 매립되는 방사체(220)의 구조는 외부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222)와 외부신호를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연결 단자부(224)가 다른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은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120) 내부에 안테나 패턴부(222)가 형성된 일면(210a)을 접착하여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120) 내부에 안테나 패턴을 매립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을 금형에 넣고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120) 내부에 안테나 패턴을 매립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은 안테나 패턴부(222)가 형성된 방사체(220)를 전자장치 케이스(120) 내부에 매립하기 위한 1차 사출물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방사체(220)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 경계면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1차 사출 이후,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을 금형에 넣고 2차 인서트 사출할 때, 레진과 같은 사출물의 흐름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방사체(220)에는 몰드 성형시 제조금형(300)의 가이드핀(328, 도 9 참조)이 위치되어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 상에서 상기 방사체(22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가이드핀 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체(220)에는 몰드 성형시 제조금형(300)의 접촉핀(326, 도 9 참조)이 위치되어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 상에서 상기 방사체(22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접촉핀 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핀(326)과 가이드핀(328)은 방사체(22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몰드 성형 후 접촉핀(326) 아래의 방사체 프레임(210)은 충진되어 있으나, 가이드핀(328) 아래의 방사체 프레임(210)은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사체(220) 상에 형성되는 접촉핀 홀(223)에 끼워지는 접촉핀(326)은 1차 사출시 제조금형(300) 내에서 방사체(220)의 수평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방사체(220)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핀 홀(225)에 끼워지는 가이드핀(328)은 1차 사출시 제조금형(300) 내에서 방사체(220)의 수직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4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방사체(220)는 상기 연결 단자부(224)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222)와 각각 절곡되어 연결되는 절곡 연결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 연결부(226)는 안테나 패턴부(222)와 연결 단자부(224)를 다른 평면 상에 구성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의 케이스에 매립되지 않는 연결 단자부(224)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반대면(210b)에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 연결부(226)를 기준으로 안테나 패턴부(222)와 연결 단자부(224)가 절곡되어, 방사체(220)가 3차원 곡면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3차원 곡면 형상의 방사체(22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의 반대면(210b)에는 방사체 지지부(250)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방사체 지지부(250)는 상기 반대면(210b)으로 노출되는 연결 단자 부(224)와 절곡 연결부(226)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2실시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2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방사체(220)는 상기 연결 단자부(224)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222)와 각각 절곡되어 연결되는 절곡 연결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2실시예의 상기 절곡 연결부(226)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의 반대면에서 돌출되는 방사체 지지부(250)를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3실시예]
도 6은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유사하게,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방사체(220)가 상기 연결 단자부(224)와 안테나 패턴부(222)와 각각 절곡되어 연결되는 절곡 연결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방사체 프레임(210)은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반대면(210a)에서 돌출되는 구조의 방사체 지지부(250)를 가지지 못한다. 다만, 방사체 지지부(250)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 동일 높이와 두께를 가져서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 경계 구분이 없다. 또한, 제3실시예의 상기 절곡 연결부(226)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 또는 방사체 지지부(250)를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4실시예]
도 7은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의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연결 단자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222)와 분리되어 있는 연결단자(27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270)는 안테나 패턴부(222)와 회로기판(140)을 연결하는 탄성체일 수 있다.
특히, 연결단자(270)는 안테나 패턴부(222)와 회로기판(140)이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C-클립이나 포고 핀(pogo-pin) 등일 수 있으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에 구멍을 형성하여 연결단자(270)를 끼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제조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제조하는 방법과 제조금형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사체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금형의 제1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222)와 상기 외부 신호를 전자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컨택되는 연결 단자부(224)가 다른 평면에 배치되는 방사체(22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사체(220)에는 가이드핀 홀(225)이나 접촉핀 홀(223)들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체(220)는 안테나 패턴부(222)와 연결 단자부(226)을 각각 절곡하여 3차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222)와 연결 단자부(226)는 절곡 연결부(226)에 의해 절곡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사체(220)를 제공한 후, 상기 방사체(220)를 제조금형(300)의 내부공간(350)에 배치한다.
상기 내부공간(350)은 상부금형(320) 및 하부금형(340)이 합형된 경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금형(320) 또는 하부금형(340)에 형성된 홈이 상부금형(320) 및 하부금형(340)의 합형으로 내부공간(350)이 된다.
상기 상부금형(320) 및 하부금형(340)이 합형되면, 상기 안테나 패턴부(222)에 형성된 가이드핀 홀(225), 접촉핀 홀(223) 또는 가이드핀 홀(225) 및 접촉핀 홀(223)에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320, 340)에 형성되는 가이드핀(328), 접촉핀(326) 또는 가이드핀(328) 및 접촉핀(326)이 통과 또는 접촉하여 상기 내부공간(350)에 방사체(22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350)은 안테나 패턴부(222)가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120)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사체 프레임(210)이 되도록 수지재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320, 340)의 내부공간(350)은 커브부가 형성되어 방사체 프레임(210)이 커브부(240)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재는 상기 방사체(220)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 경계면이 동일하게 충진되어,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을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120) 제조를 위해 금형에 넣고 사출할 때 수지재의 흐름을 좋게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금형의 제1실시예]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제조금형(300)을 상세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부(222)가 전자장치의 케이스(120)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220)은 상부 및 하부 금형(320, 340) 및 수지재 주입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320, 340)에는 외부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 패턴부(222)와 전자장치의 회로 기판(140)에 컨택되는 연결 단자부(224)가 다른 평면에 배치되는 방사체(22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재 주입부(370)는 수지재가 유입되도록 하는 이동통로이며,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320) 어디라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 부 및 하부 금형(320, 340)이 합형된 경우, 상기 금형의 내부 공간(350)이 상기 안테나 패턴부(222)가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120)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사체 프레임(210)이 되도록 상기 내부공간(350)으로 수지재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320, 34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방사체(220)에 형성된 가이드핀 홀(225), 접촉핀 홀(223) 또는 가이드핀 홀(225) 및 접촉핀 홀(223)을 관통 또는 접촉하도록 가이드핀(328), 접촉핀(326) 또는 가이드핀(328) 및 접촉핀(3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320, 340)의 내부 공간(350)은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이 커브부(240)를 구비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320, 340)의 내부 공간(350)은 연결 단자부(224)를 수용하며, 상기 연결 단자부(224)를 지지하는 방사체 지지부(250)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사체 지지부 형성홈(346)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및 하부 금형(320, 340)에는 상기 방사체 지지부 형성홈(346)에 배치되는 연결 단자부(224)를 압착하여 상기 연결 단자부(224)를 상기 방사체 지지부 형성홈(346)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압착핀(3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착핀(324)은 수지재 유입시 상기 연결 단자부(224) 아래로 수지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 단자부(224)의 일부 부분에 사출물이 덮여지게 되는 경우 전기적인 접속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는데, 상기 압착핀(324)은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금형의 제2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금형의 제2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금형(300)의 제2실시예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금형의 제1실시예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점이외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실시예는 상기 방사체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가이드핀 또는 접촉핀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지재의 유입으로 상기 금형(3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핀 또는 접촉핀을 유동핀(345)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동핀(345)은 수지재 유입 전에 방사체(220)를 제조금형(300)의 내부공간(350)에서 지지하고 있으며, 사출액이 차오르는 시점에서 내부공간(350)에서 제조금형(3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유동핀(345)을 사용함으로써, 제조금형(300)에 고정된 핀들과는 달리 핀 자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금형의 제3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금형의 제3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금형(300)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금형의 제1실시예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점이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3실시예는 상기 방사체 지지부 형성홈(346)에서 상기 연결 단자부(224)가 안착되는 부분은 마그넷(3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380)은 제1실시예의 압착핀(324)와 유사하게, 상기 연결 단자부(224) 아래부분으로 수지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단자부(244)의 일부에 사출물이 덮여져서 전기적인 접속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사체의 들뜸 현상 방지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이하에서는, 안테나 패턴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방사체 프레임을 구비하는 안테나 프레임과, 상기 방사체 프레임에 안테나 패턴부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들뜸현상을 없앨 수 있는 안테나 프레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방사체를 안테나 패턴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안테나 방사체의 형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의 (a) 내지 (d)는 접촉면 확장부(227)가 형성되는 방사체(220)를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에 고정하기 위한 방사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의 (a) 내지 (d)의 방사체(220)가 적용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은 도 15의 (a)에 도시된 접촉면 확장부(227)가 형성되는 방사체(220)를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방사체(220)와 대체하여 설명할 수 있다.
즉, 도 15의 (a) 내지 (d)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은 방사체(220), 방사체 프레임(210) 및 접촉면 확장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체(220)와 방사체 프레임(21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을 그대로 원용할 수 있다.
다만, 접촉면 확장부(227)가 형성되는 방사체(220)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의 몰드 사출 성형 시, 상기 방사체(220)의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 상에서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몰드 성형을 위해 상기 방사체(220)를 금형에 넣고 수지재를 충진시키면, 상기 접촉면 확장부(227)가 상기 수지재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상기 방사체(220)를 사출물 내에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접촉면 확장부(227)는 도 15의 (a)와 같이 상기 방사체(220)의 측면에지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에 삽입되는 블레이드(227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 확장부(227)는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방사체(220)에서 홀(227b)을 형성하여 사출물이 들어가게 함으로써 접촉면을 확장하고, 위치를 정확 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 확장부(227)는 도 15의 (c)와 같이 상기 방사체(220)에서 엠보를 형성하여 방사체(220)를 사출물과 접촉면적을 확장하고, 위치를 정확히 알려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 확장부(227)는 도 15의 (d)와 같이 상기 방사체(220)의 안테나 패턴부(222)의 일부를 비스듬하게 접혀져,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사체(22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은 도 2 내지 도 7의 안테나 패턴 프레임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에 안테나 패턴부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들뜸현상을 없앨 수 있는 안테나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몰드 사출시 몰드 수지재와 접촉면적을 확장하는 접촉면 확장부(227)가 형성되는 방사체(220)를 금형(300)에 넣는 점 외에는 도 8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사출 방법 모두를 그대로 원용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된 전자장치 케이스,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방 법, 이동통신 단말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된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방사체(220)가 매립된 전자장치의 케이스(120)는 방사체(220), 방사체 프레임(210) 및 케이스 프레임(210)을 포함한다.
상기 방사체(220)와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은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프레임(130)은 안테나 패턴부(222)가 형성된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의 일면을 덮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222)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 사이에서 매립되도록 한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130)은 경계의 구분이 없이 일체화 된다.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120)를 배면에서 보면, 안테나 패턴부(222)는 보이지 않고 연결 단자부(224)만 보일 수 있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 케이스 프레임(130), 또는 방사체 프레임(210) 및 케이스 프레임(130)은 사출 몰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방사체 프레임(210)과 케이스 프레임(130)이 별개의 사출 기구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방사체(220)가 형성되는 방사체 프레임(210)을 상기 케이스 프레임(130)에 접착하여 제조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 프레임(130)이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에 사출 몰드 성형되어 2중 사출몰딩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을 금형에 넣고,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 케이스 프레임(130)을 일체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핀 홀(225)이나 접촉핀 홀(223)은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금형(500)에 넣는 경우 상기 제조금형(500)에서 형성되는 가이드핀이나 접촉핀(미도시)과 결합하여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이 상기 제조금형(500)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을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은 우선,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222)와 전자장치의 회로기판(140)의 연결단자(144)에 컨택되는 연결 단자부(224)가 다른 평면에 배치되는 방사체(220)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방사체(220)를 방사체 프레임(210) 제조를 위한 상부 또는 하부 금형(300)의 내부공간(350)에 배치하고 수지재를 유입시켜 방사체(220)가 일면에 형성되는 방사체 프레임(210)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방사체(220)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의 사이에서 매립되도록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을 케이스 프레임(130)과 일체화 하여 안테나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120)를 제조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된 전자장치의 케이스의 제조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프레임(130)은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 대응되는 형상의 방사체 수용홈(122)을 가지는 별도의 사출물이며, 상기 방사체 수용홈(122)에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을 접착시켜서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된 전자장치의 케이스(12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의 방사체(220) 표면에는 접착제 층(4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된 전자장치의 케이스의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제조금형의 개략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안테나 패턴 방사체(220)가 매립된 전자장치의 케이스(120)의 제조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을 수용하는 내부공간(550)이 형성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500)에 배치하고 수지재를 유입시켜서 방사체 프레임(210)을 전자장치 케이스(120)로 일체화한다.
한편,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130)은 경계의 구분이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 사출을 1차 사출, 전자장치 케이스(120) 사출을 2차 사출이라고 할 때, 2차 사출 또한 1차 사출과 같이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이 2차 사출 제조금형(50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조금형(500)의 내부공간(550)은 전자장치 케이스(120)가 커브부를 가지도록 하는 커브 형성부(52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2차 사출로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120)를 제조하기 위한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은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222)와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에 컨택되는 연결 단자부(224)를 다른 평면에 형성되는 방사체(220)가 구비되는 방사체 프레임(210)이 수용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 상부 또는 하부 금형(520, 540) 및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기 상부 및 또는 하부 금형(520, 54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520, 540)이 합형된 경우 상기 금형 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550)이 전자장치 케이스(120)가 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지재가 유입되도록 하는 수지재 주입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체 프레임(210) 또한, 방사체(220)와 마찬가지로, 가이드핀 홀이나 접촉핀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핀 홀이나 접촉핀 홀이 제조금형(500)에 형성되는 가이드핀이나 접촉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제조금형(500)에서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이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안테나 패턴이 매립된 전자장치 케이스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응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이 매립된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방사체 프레임(210), 케이스 프레임(130) 및 회로기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210)과 케이스 프레임(130)은 지금까지 설명한 모든 실시예가 다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 또한 그러하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적용되는 전자장치]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방사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600)은 안테나 패턴을 케이스에 매립할 수 있는 전자장치 중 노이즈 부분의 개선이 필요한 노트북 등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600)은 방사체(620), 그라운드 접지부(626) 및 방사체 프레임(6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안테나 패턴 프레임(600)이 도 2 내지 도 7의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과 다른점은 방사체(620)에서 그라운드 접지부(626)가 연장되어 형성된다는 점이며, 그라운드 접지부(626)를 구성하기 위해 방사체 프레임(61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접지부(626)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610)에서 단차져서 형성되 는 그라운드 접지부 지지부(612)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610)의 일면(610a)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6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610)의 일면(610a)의 반대면(610b)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사체 프레임(610)은 상기 안테나 패턴부(622)가 전자장치의 케이스 내에 매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600)의 상기 방사체(620) 또한, 도 2 내지 도 7의 안테나 패턴 프레임(200)과 마찬가지로, 상기 방사체 프레임(610)의 반대면(610b)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신호를 회로 기판으로 전달하는 연결 단자부(6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체 프레임(610)에는 상기 방사체(620)와 그라운드 접지부(626)를 절곡 연결하는 절곡 연결부(628)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절곡 연결부(628)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610)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방사체(620)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610) 상에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사체(620)에는 몰드 성형시 제조금형(700)의 접촉핀(728)이 위치되어 상기 제조금형(700) 상기 방사체(62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접촉핀 홀(623)이 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체(620)에는 몰드 성형시 제조금형(700)의 가이드핀(726)이 위치되어 상기 제조금형(700) 내에서 상기 방사체(62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접촉핀 홀(62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금형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우선,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622)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622)와 다른 평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접지부(626)가 형성되는 방사체(620)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사체(610)를 수용하는 내부공간(750)이 형성되는 제조금형(700)에 상기 방사체(62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조금형(700)에 상기 방사체(620)를 배치한 후, 상기 내부공간(750)에 상기 제조금형(700)에 형성되는 수지재 주입부(770)를 통해 수지재를 충진하여 상기 내부공간(750)이 상기 방사체(620)가 전자장치 케이스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사체 프레임(610)이 되도록 한다.
상기 방사체(610)를 상기 제조금형(700)에 배치할 때, 상기 방사체(620)에 형성된 가이드핀 홀(625), 접촉핀 홀(623) 또는 가이드핀 홀(625) 및 접촉핀 홀(623)에 상기 제조금형(700)에 형성되는 가이드핀(726), 접촉핀(728) 또는 가이드핀(726) 및 접촉핀(728)을 통과 또는 접촉시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750)에는 상기 연결 단자부(624)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홈에 상기 연결 단자부(624)를 배치하여 몰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금형(700)은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622)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622)와 다른 평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접지부(626)가 형성되는 방사체(620)가 수용되는 상부 또는 하부 금형(720, 740) 및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720, 740)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720, 740)이 합형된 경우 상기 금형 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750)이 상기 방사체(620)가 전자장치 케이스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600)이 되도록 상기 내부공간(750)으로 수지재가 유입되도록 하는 수지재 주입부(7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720, 740)에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610)에 형성되는 가이드핀 홀(625), 접촉핀 홀(623) 또는 가이드핀 홀(625) 및 접촉핀 홀(623)을 관통 또는 접촉하는 가이드핀(726), 접촉핀(728) 또는 접촉핀(728) 및 가이드핀(7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부 또는 상부 또는 하부 금형(720, 740)에는 상기 연결 단자부(624)를 수용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적용되는 전자장치인 노트북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안테나 패턴부(622), 연결 단자부(624), 그라운드 접지부(626)가 형성되는 방사체 프레임(610)은 전자장치(800)인 노트북의 케이스에 안테나 패턴부(622)가 매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800)는 방사체 프레임(610), 케이스(820) 및 회로기판(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610)은 지금까지 설명한 모든 실시예가 다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 또한 그러하다.
따라서, 전자장치(80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에 의하면,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되는 방사체를 전자장치의 케이스에 매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외장형 타입 안테나가 가지는 외부충격에 대한 취약성 문제점 및 내장형 타입 안테나가 가지는 부피 증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의 케이스에 플렉스블 재질의 안테나가 매립될 수 있으므로, 접착제를 붙이는 것에 비해 안테나의 성능이 향상되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안테나를 보호필름 없이 전자장치 케이스에 매립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 자체를 곡면과 같은 3차원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외관의 형상등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필름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제조공정이 용이해지며,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사체와 연결 단자부를 안테나 패턴 프레임에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패턴부가 프레임 상에서 들뜸현상이 없어지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과 견고히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테나가 필요한 모든 전자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 1 실시예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A-A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2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3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4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사체의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금형의 제1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금형의 제2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금형의 제3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1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방사체를 안테나 패턴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안테나 방사체의 형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된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된 전자장치의 케이스의 제조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된 전자장치의 케이스의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제조금형의 개략도.
도 19는 도 18의 제조금형에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방사체의 개략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금형의 개략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그라운드 접지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적용되는 전자장치인 노트북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 단말기 120: 케이스
200: 안테나 패턴 프레임 220: 방사체
250: 방사체 지지부 300, 500, 700: 제조금형
626: 그라운드 접지부 800: 노트북

Claims (1)

  1. 안테나 패턴부, 연결단자부 및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방사체;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부는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방사체가 몰드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는 방사체 프레임;
    상기 방사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몰드 사출 성형시 상기 방사체 프레임에 매립되는 접촉면 확장부; 및
    상기 접촉면 확장부가 매립된 방사체 프레임을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의 내부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수지재를 주입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어 제조되는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KR1020090104065A 2009-10-30 2009-10-30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KR20100117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65A KR20100117012A (ko) 2009-10-30 2009-10-30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65A KR20100117012A (ko) 2009-10-30 2009-10-30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637A Division KR100945123B1 (ko) 2009-04-23 2009-04-23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012A true KR20100117012A (ko) 2010-11-02

Family

ID=4340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065A KR20100117012A (ko) 2009-10-30 2009-10-30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70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747B1 (ko) * 2012-12-14 2014-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US9370886B2 (en) 2012-12-14 2016-06-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adiator frame having antenna pattern embedded therei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531066B2 (en) 2014-09-11 2016-12-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pattern fr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747B1 (ko) * 2012-12-14 2014-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US9370886B2 (en) 2012-12-14 2016-06-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adiator frame having antenna pattern embedded therei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531066B2 (en) 2014-09-11 2016-12-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pattern fr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510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100935954B1 (ko) 전자장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45123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전자장치
KR100945117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491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KR101101622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
KR101090026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전자장치
KR101079496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그리고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매립된 전자장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53336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KR101133325B1 (ko) 안테나 방사체, 다수의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제조방법 및 전자장치 케이스
JP5951540B2 (ja) アンテナパターンフレームを備える電子装置ケースの製造方法、及び電子装置ケースを含む電子装置の製造方法
KR101339565B1 (ko)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KR20100117009A (ko) 전자장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117012A (ko)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KR20100117010A (ko)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KR101025941B1 (ko)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113346B1 (ko) 안테나 방사체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