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565A -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565A
KR20100116565A KR1020100037623A KR20100037623A KR20100116565A KR 20100116565 A KR20100116565 A KR 20100116565A KR 1020100037623 A KR1020100037623 A KR 1020100037623A KR 20100037623 A KR20100037623 A KR 20100037623A KR 20100116565 A KR20100116565 A KR 20100116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remote control
control devi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ublication of KR2010011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에 대한 촬상을 행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고 카메라의 몸체를 자유롭게 이동시키고, 카메라의 헤드를 상하 승강 좌우 회전시키며, 카메라의 렌즈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되는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과 통신하여 카메라의 촬상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촬상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에 대한 각도 및 위치 조정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음으로써, 피사체의 순간적인 변화에 대해서도 카메라가 신속하게 대응하면서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구동에 따른 사용자의 피로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3-DIMENSIONA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IMAGING DIRECTIONS OF 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격으로 카메라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 대한 각도 및 위치 조정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를 원격으로 구동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종래에도 개발된 바가 있다. 예를 들면, 감시카메라와 같은 경우, 건물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카메라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카메라의 시야각을 확장하는 방식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구동방식은 카메라 전체의 이동은 수반되지 않고, 설치된 상태에서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만으로 시야각을 확장하였으므로, 피사체를 3차원적으로 촬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 구동방식은 카메라를 회전시킬 때 일방향으로 구동한 후에 타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신속한 각도 조정이 어려웠다. 즉, 상하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만 순차적으로 구동될 뿐,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구동되면서 대각선방향으로 신속하게 구동되기는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01577호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제어 무인 감시카메라'가 출원되었으나, 이 기술은 카메라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카메라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는 있으나, 상하방향으로 카메라를 회전할 수 없어 시야각이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으로 카메라를 다방향 다각도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에 대한 각도 및 위치 조정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에 대한 촬상을 행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고 카메라의 몸체를 2 방향 이상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의 헤드를 상하 승강 좌우로 회전시키며, 카메라의 렌즈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되는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과 통신하여 카메라의 촬상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촬상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러 장치에 의하면, 원격으로 카메라를 다방향 다각도로 위치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피사체를 다양한 위치 및 각도로 포착하여 원하는 화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에 대한 각도 및 위치 조정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피사체의 순간적인 변화에 대해서도 카메라가 신속하게 대응하면서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구동에 따른 사용자의 피로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 유닛에서의 조작부의 조작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동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의 카메라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을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로 이루어진다.', '~를 갖는다.', '~를 구비한다.'의 의미는 열거한 요소 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더 존재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는, 피사체에 대한 촬상을 행하는 카메라(20), 카메라(20)가 설치된 카메라 몸체(20a)를 2 방향 이상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 헤드(20b)를 상하 승강 좌우 회전시키며, 카메라 렌즈(21)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40)로 구성되는 카메라 유닛(10)과, 이용자가 휴대하고 카메라(20)의 이동, 카메라(20)의 촬상 방향의 설정과 촬상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카메라(20)는 디지털 카메라와 아날로그 방식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20)는 위에서 설명한 디지털 카메라와 아날로그 방식 카메라 외에도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는 촬상 기기라면 무엇이든 사용가능하다.
카메라 유닛(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0)은 크게 카메라(20)와 구동부(40)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카메라(20)는 렌즈(21), CCD(22), 마이크(24), 촬상신호 처리회로(23), 음성신호 처리회로(25), 메모리부(26), 제어회로(29), 모니터(27), 스피커(28) 등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50)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변복조 회로(30) 및 안테나(31)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각 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CCD(22)는 렌즈(21)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를 촬상하고 광전 변환하여 촬상 신호를 촬상신호 처리회로(23)로 출력한다. 그리고 촬상신호 처리회로(23)는 CCD(22)에 연결되어 상기 CCD(22)로부터 입력된 촬상 신호의 신호처리를 행한다. 또한, 촬상신호 처리회로(23)에서 신호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부(26)에 저장된다.
한편, 마이크(24)는 CCD(22)에 의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면서 피사체와 그 주변환경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24)에서 수집된 음성은 음성신호 처리회로(25)에서 신호처리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도 메모리부(26)에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서 음성신호의 입력 및 처리가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마이크(24), 음성신호 처리회로(25)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26)에는 촬상 신호의 영상 표시를 행하는 모니터(27)와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29)는 피사체의 촬상 방향의 검출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촬상신호 처리회로(23)와 음성신호 처리회로(2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제어회로(29)는 변복조 회로(30)에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그 출력이 변복조 동작을 행하는 변복조 회로(30)에 출력되고 모터 컨트롤을 위해 드라이버(32)와도 접속된다. 또한, 변복조 회로(30)에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50)과의 사이에서 송수신 동작을 행하는 안테나(31)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구동부(40)의 제어는 드라이버(32)에 의해 수행되고, 구동부(40)는 카메라의 몸체(20a)를 구동하는 몸체구동모터(41)와 카메라의 헤드(20b)를 구동하는 헤드구동모터(43)와 카메라의 렌즈(21)를 구동하기 위한 렌즈구동모터(45)로 구성된다.
이때 몸체구동모터(41)는 카메라의 몸체(20a)를 카메라 유닛(10)의 횡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직선형태로 이동될 수도 있지만 렌즈(21)가 보다 넓은 시야각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홈에 따라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몸체(20a)를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홈의 형태는 위에서 설명한 직선 형태, 곡선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카레라 몸체(20a)를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몸체(20a)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헤드구동모터(43)는 다시 헤드(20b)의 승강을 위한 제1모터(미도시)와 헤드(20b)의 회전을 위한 제2모터(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모터에 의해 카메라 헤드(20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에서 승강 될 수 있고, 제2모터에 의해 카메라 헤드(20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구동모터(4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21)의 상하방향 회전을 위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카메라 렌즈(21)는 도 1에 도시된 렌즈(21)와 동일한 것이지만, 구동의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별도로 카메라 렌즈(21)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부(40)가 마련되어 카메라(20)와 렌즈(21)가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다양한 각도 및 방위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51)가 설치되고, 안테나(51)에는 변복조를 행하는 변복조 회로(52)가 접속되고, 변복조 회로(52)에는 리모트 컨트롤 동작의 전체 제어를 행하는 제어회로(53)가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53)에는, 카메라(20)에서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이 표시되는 모니터(54), 카메라의 마이크(24)가 수집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55), 또 카메라를 원격으로 촬상 개시,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 이동 및 정지, 줌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56)가 연결된다.
조작부(56)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통상의 리모컨과 같은 버튼 형태, 접촉 또는 접촉이동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는 형태, 음성을 수신하여 해당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7-0045255호(입력조작부1(56a)) 및 특허출원 제2008-0038457호(입력조작부2(56b))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56)는 위에서 설명한 형태 외에도 카메라를 조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나, 조작부(56)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7-0045255호(입력조작부1(56a)) 및 특허출원 제2008-0038457호(입력조작부2(56b))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입력조작부1(56a)은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배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시위치로 이동 및 가압하는 것을 통해 4개의 모터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구동모터(41)는 2개의 이동(M3, M7)에 의해 구동되고, 렌즈구동모터(45)는 다른 2개의 이동(M1, M5)에 의해 구동되며 헤드구동모터(43)의 제1모터는 2개의 가압(P3, P7)에 의해 구동되며 헤드구동모터(43)의 제2모터는 다른 2개의 가압(P1, P5)에 의해 구동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대각방향의 각 이동이나 가압은 구동부(40)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으므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또는 입력조작부1(56a)에서 이동이나 가압 중 어느 하나만 수행되도록 마련되어 8개의 지시위치를 적절히 할당하여 4개의 모터를 각각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는 입력조작부1(56a)을 양벌로 마련하여 입력조작부1(56a)에서는 2개의 모터만을 구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모터를 구동하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모터도 실질적으로 동시에 구동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입력조작부1(56a)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예를 들어 입력조작부1(56a)은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틱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스틱 형태의 입력조작부1(56a)은 필요시에만 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입력조작부2(56b)는 모니터(54)가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는 경우에,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기준위치(S)와 복수의 지시위치(D1, D2, D3, ...)를 토대로 접촉이동과 접촉(또는 가압)을 수행하여 입력조작부1과 같이 구동부(40)를 구동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위치(S)와 복수의 지시위치(D1, D2, D3, ...)는 그 위치가 터치스크린 상에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손가락을 접촉한 지점의 면적을 계산하여 그 중심점을 기준위치(S)로 하고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복수의 지시위치(D1, D2, D3, ...)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조작부(56b)는 조작의 필요가 없을 때에는 모니터(54)의 구석으로 이동되거나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조작부1(56a)와 입력조작부(56b)에서는, 카메라의 작동 개시와 정지 등의 명령은, 구동부(40)의 모터를 구동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이나 가압을 활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에 수신된 음성은 음성신호 처리회로(24)에서 신호처리되어 제어회로(28)로 입력된다.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에 형성되는 조작부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1~2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카메라의 촬상 방향의 위치 결정에 안테나(30)를 통한 무선을 사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카메라 유닛(10)과 리모트 컨트롤 유닛(50)간의 통신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초음파, 적외선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는 이동이 가능한 카메라를 리모트 컨트롤 유닛으로 조작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와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를 비교하여 동일한 부분은 편의상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는 카메라 유닛(10), 리모트 컨트롤 유닛(50) 및 이동 수단(60)으로 구성된다.
카메라 유닛(10)과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및 기능은 제1실시예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0)은 이동 수단(60)과 결합되어 이동 동작이 수행된다.
카메라 유닛(10)과 이동 수단(6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동 수단(60)에 카메라 유닛(10)이 탑재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카메라 유닛(10)의 이동 동작을 도와주는 이동 수단(60)은 다양한 이동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또는 로봇청소기와 같이 땅으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60)을 통해 카메라 유닛(10)이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하늘을 나는 이동 수단을 통해 카메라 유닛(10)이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물에서 이동하는 배, 보트, 잠수함 등의 이동 수단을 통해 카메라 유닛(10)이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카메라 유닛(10)의 이동 동작을 도와주는 이동 수단(60)은 위에서 설명한 일례 외에도 다양한 이동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물에서 이동하는 이동 수단(60)과 카메라 유닛(10)이 결합되는 경우 카메라 유닛(10)은 방수 기능을 갖는다.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은 이동 수단(60)과 카메라 유닛(10)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으로 이동 수단(60)의 이동 속도와 이동 방향을 조작하면서, 실질적으로 동시에 카메라 몸체(20a)의 자유로운 이동, 카메라 헤드(20b)의 좌우 회전, 카메라 헤드(20b)의 상하 승강 및 카메라 렌즈(21)의 상하 회전 등을 조작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유닛(50)과 카메라 유닛(10)의 통신 방법과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을 통해 카메라 유닛(10)을 조작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은 카메라 유닛(10)과의 통신 방법, 카메라 유닛(10)을 조작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 수단(60)과 통신 및 조작할 수 있고, 다른 방법은 통해 통신 및 조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은 리모트 컨트롤 전용일 수도 있으나 상술한 본원 발명자가 기출원한 출원서에 기재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카메라 유닛(10)의 렌즈(21)와 CCD(22)에서 촬상된 영상 데이터 및 카메라 유닛(10)의 마이크(24)에서 수집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부(26)에 저장된다. 마이크(24)는 설계환경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의도적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위에서는 카메라 유닛(10)이 이동 수단(6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동 수단(60)에 탑재되어 이동 동작이 수행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10)의 구성 요소 중 일부 구성 요소가 카메라 유닛(10)에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에서 분리되는 일부 구성 요소는 특정 구성 요소로 한정되지 않고, 설계환경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에서 분리되는 일부 구성 요소는 이동 수단(6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동 수단(60)에 탑재되어 이동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카메라 유닛(10) 또는 카메라 유닛(10)에서 분리된 일부 구성요소는 이동 수단(6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동 수단(60)에 탑재되어 자유로운 이동 동작이 수행된다. 카메라 유닛(10) 또는 카메라 유닛(10)에서 분리된 일부 구성요소는 자유로운 방향으로 이동 동작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렌즈(21)와 복수개의 CCD(22)로 이루어진 카메라(20)를 갖는 카메라 유닛(10)을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으로 조작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20)는 복수개의 렌즈(21)와 복수개의 CCD(22)로 이루어진다.
렌즈(21)와 CCD(22)가 복수개로 이루어짐으로써,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의 특별한 조작 없이도 다방향 다각도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을 이루는 렌즈(21)와 CCD(22)의 개수와 렌즈(21)와 CCD(22)가 배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렌즈(21)와 CCD(22)의 개수는 렌즈(21)와 CCD(22)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된다.
구동부(40)에는 제1실시예와 달리 복수개의 렌즈(21)와 복수개의 CCD(22)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동 모터가 더 포함된다.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은 복수개의 렌즈(21)와 CCD(22)의 위치와 각도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한다.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으로 복수개의 렌즈(21)와 CCD(22)의 각도와 위치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하므로 큰 조작 없이도 다방향 다각도로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렌즈(21)와 복수개의 CCD(22)에서 촬상된 영상 데이터와 마이크(24)에서 수집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부(26)에 저장된다.
복수개의 렌즈(21)와 복수개의 CCD(22)로 이루어지는 카메라(20)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렌즈(21)와 복수개의 CCD(22)로 이루어지는 카메라(20)가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을 조작하여 이동 수단(60)과 복수개의 렌즈(21) 및 복수개의 CCD(22)로 이루어지는 카메라(20)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렌즈(21) 및 CCD(22)가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2~5개 정도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이동 수단(60)을 조작하면서 카메라 유닛(10)을 조작하는 어려움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에서 얻어지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부(26)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외부 기기에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26)에 저장하는 동작과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10)의 렌즈(21)와 CCD(22)에서 촬상된 영상 데이터와 마이크(24)에서 수집된 음성 데이터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메모리부(26)에 저장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카메라 유닛(10)의 위치 및 각도를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에 전송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유닛(10)에서 얻어진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카메라 유닛(10)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므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카메라 유닛(10)을 보다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0)에서 얻어진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에 전송되므로 사용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카메라 유닛(10)을 조작하여 얻어진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는 카메라 유닛(10)에서 얻어진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에 전송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리모트 컨트롤 유닛(50) 외에도 메일 서버, 인터넷 서버, 핸드폰, 컴퓨터 등 카메라 유닛(10)과 통신이 가능하고 카메라 유닛(10)에서 얻어진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수단을 구비한 다양한 외부 기기에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에서 얻어진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부(26)에 저장하거나, 외부 기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메모리부(26)에 저장하는 동시에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것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된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카메라 유닛(10)에서 얻어진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외부 기기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를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을 이용해 감시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으로 카메라 유닛(10)의 위치와 각도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으므로 빠르고 정확하게 감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유닛(10)의 렌즈(21)와 CCD(22)에서 촬상된 영상 데이터와 마이크(24)에서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으로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을 조작하여 감시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거나 경찰서 또는 소방서와 같은 기관에 신고할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탐사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 또는 카메라 유닛(10)을 이루는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이동 수단(6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므로 사람이 진입할 수 없는 곳을 탐사할 수 있다. 이때 이동 수단(60)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과 카메라 유닛(10)의 각도 및 위치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으므로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탐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으로 이동 수단(60)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과 카메라 유닛(10)의 각도 및 위치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하므로 카메라 유닛(10)과 이동 수단(60)을 따로 조정하는 경우보다 시간이 단축되고,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으로 이동 수단(60)과 카메라 유닛(10)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 가능하여 사용자가 이동 수단(60)과 카메라 유닛(10)을 조작하는데 따른 피로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본 발명의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는 일상 생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을 이용하여 화상 채팅, 영상 통화, 화상 회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을 조작하여 카메라 유닛(10)의 위치 및 각도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일례 외에도 본 발명의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는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일례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고, 리모트 컨트롤 유닛(50)을 통해 다양한 동작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어서 더욱 빠르고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11)

  1. 피사체에 대한 촬상을 행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고 카메라의 몸체를 2 방향 이상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의 헤드를 상하 승강 좌우 회전시키며, 카메라의 렌즈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되는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과 통신하며 카메라의 촬상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원격으로 다방향 다각도로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모터를 개별적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기 위한 명령 및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복수개의 지시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 또는 가압에 의해 각각 서로 다른 명령을 생성 가능하고, 상기 각 지시위치에 대한 이동과 가압에는 상기 각 모터의 작동이나 정지, 또는 카메라의 작동에 대한 명령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에 한 개 이상으로 마련되고 하나의 모터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다른 모터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각 조작부에서는 서로 다른 모터의 구동을 위한 명령이 할당되어 각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이동을 도와주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카메라 유닛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따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카메라 유닛과 이동 수단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하나 이상의 렌즈와 하나 이상의 CC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카메라 유닛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렌즈와 하나 이상의 CCD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과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무선, 적외선, 초음파 중 하나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KR1020100037623A 2009-04-22 2010-04-22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KR201001165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255 2009-04-22
KR20090035255 2009-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565A true KR20100116565A (ko) 2010-11-01

Family

ID=4340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623A KR20100116565A (ko) 2009-04-22 2010-04-22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5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22B1 (ko) 2018-04-10 2018-08-06 유한회사 한국케이비에프 흡연 감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22B1 (ko) 2018-04-10 2018-08-06 유한회사 한국케이비에프 흡연 감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1446A1 (en) Terminal equipped with removable robotic module
US10021286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US11962896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JP6205070B2 (ja) カメラの初期位置設定方法、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US20140135062A1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same
US20040179100A1 (en) Imaging device and a monitoring system
WO2003102706A1 (fr) Robot telecommande et procede d&#39;identification automatique de la position de robot.
JP6380787B2 (ja) 撮像装置、カメラ、表示装置、撮像方法、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426282A (zh) 遥控方法及终端
WO2020181494A1 (zh) 参数同步方法、拍摄装置和可移动平台
KR20150070199A (ko) 로봇 스탠드와, 화상 회의 동안 스탠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200122323A (ko) 멀티 센서를 사용하여 옴니 스테레오 비디오를 캡처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06736A1 (en) Automatic angle adjusting system
JP7400882B2 (ja) 情報処理装置、移動体、遠隔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223424A1 (zh) 一种基于三轴云台稳定摄像装置系统
US20110084915A1 (en)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lens
KR101230546B1 (ko) 영상 촬영 단말기 및 그 촬영 방법
US201702016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692879B2 (en)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captur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WO2013161250A1 (ja) ストロ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撮像装置
KR20100116565A (ko) 카메라 촬상 방향에 대한 3차원 컨트롤 장치
JPWO2020162264A1 (ja) 撮影システム、撮影箇所設定装置、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WO2012008553A1 (ja) ロボットシステム
KR10139314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
JP2010004480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