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531A - Method of releasing an access restriction at high interference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of releasing an access restriction at high interference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531A
KR20100116531A KR1020100030123A KR20100030123A KR20100116531A KR 20100116531 A KR20100116531 A KR 20100116531A KR 1020100030123 A KR1020100030123 A KR 1020100030123A KR 20100030123 A KR20100030123 A KR 20100030123A KR 20100116531 A KR20100116531 A KR 2010011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interference
access
termi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1101B1 (en
Inventor
정성훈
천성덕
이승준
이영대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64,668 priority Critical patent/US8335181B2/en
Publication of KR2010011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5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1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enabling a terminal to cancel the access limit about a cell which has large interfere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o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n case of the terminal is in area of an access-limited base station. CONSTITUTION: Whether access about the cell based on a first parameter included inside the received connection information is limited or not is determined. If the access about the cell is limited, whether the access about the cell is accepted in high interference base on a second parameter included in the receive access information. If the access about the cell is accepted in high interference, interference is estimated. According to the estimated interference, the limited access about the cell is selectively cancelled.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상에서 단말이 간섭이 큰 셀에 대한 접속 제한을 해지하는 방법 {METHOD OF RELEASING AN ACCESS RESTRICTION AT HIGH INTERFERENCE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Method of relieving access restriction for cell with high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RELEASING AN ACCESS RESTRICTION AT HIGH INTERFERENCE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과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에서 진화된 E-UMTS (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또는 LTE 시스템 (Long Term Evolution System)에서 단말이 현재 접속이 제한되어 있는 셀로 큰 간섭을 주고 있을 경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고도 간섭 상황에 한해 접속을 허락하는 한, 해당 셀에 대한 접속 제한을 스스로 제거하고 해당 셀에 접속하여 간섭 상황을 해당 셀로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terminal for provi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in an 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MTS) or a Long Term Evolution System (LTE), which has been evolved from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If there is a large interference to the cell where the current access is limited, as long as the base station allows access to the terminal only in a high interference situation, the access restriction on the cell is removed by itself, and the interference is connected to the cell. It is about how to deliver.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망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E-UTRAN시스템은 기존 UTRAN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E-UTRAN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도 불린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of an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he E-UTRAN system is an evolution from the existing UTRAN system and is currently undergoing basic standardization work in 3GPP. The E-UTRAN system is also called a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E-UTRAN은 eNB(e-NodeB; 이하 기지국으로 약칭)들로 구성되며, eNB들간에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eNB는 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User Equipment; 이하 단말로 약칭)과 연결되며,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 (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The E-UTRAN is composed of eNBs (e-NodeB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se stations), and are connected between eNBs through an X2 interface. The eNB is connected to a user equipment (hereinafter abbreviated terminal)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and is connected to an Evolved Packet Core (EPC) through an S1 interface.

EPC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및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 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gateway이며, PDN-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gateway이다.The EPC includes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a serving-gateway (S-GW), and a packet data network-gateway (PDN-GW). The MME has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r the capability of the terminal, and this information is mainly used for mobility management of the terminal. S-GW is a gateway having an E-UTRAN as an endpoint, and PDN-GW is a gateway having a PDN as an endpoint.

단말과 망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중에서 제 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계층에 위치하는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계층은 단말과 망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기지국간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Layers of the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are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reference model, which is widely known in communication systems. (Second layer) and L3 (third layer), wherein a physical layer belonging to the first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using a physical channel, and a third layer. The radio resource control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RC) layer located in the layer plays a role of controlling radio resource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To this end, the RRC layer exchanges an RRC messag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도 2와 도3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다.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 (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계층 (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 (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 (User Plane, U-plane)과 제어신호 (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평면 (Control Plane, C-plane)으로 구분된다. 도 2와 도3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시스템간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 (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프로토콜 계층들은 단말과 E-UTRAN에 쌍(pair)으로 존재하여, 무선 구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2 and 3 illustrate a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UE and an E-UTRAN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The wireless interface protocol consists of a physical layer, a data link layer, and a network laye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 user plane for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user plane, u-plane). ) And control plane (C-plane) for transmitting signaling. The protocol layers of FIGS. 2 and 3 are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reference model, which are well known in communication systems, and include L1 (first layer), L2 (second layer), L3 (third layer) can be divided. These radio protocol layers exist in pairs in the UE and the E-UTRAN, and are responsible for data transmission in the radio section.

이하에서 상기 도 2의 무선프로토콜 제어평면과 도3의 무선프로토콜 사용자평면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layer of the wireless protocol control plane of FIG. 2 and the wireless protocol user plane of FIG. 3 will be described.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 측과 수시 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되며,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자원으로 활용한다.The physical layer, which is the first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to an upper layer by using a physical channel. The physical layer is connected to the upper medium access control layer through a transport channel, and data betwee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moves through the transport channel. Then, data moves between physical layers, that is, between physical layers o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occasional side. The physical channel is modulated by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cheme and utilizes time and frequency as radio resources.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로 약칭)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로 약칭)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이 MAC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RLC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시에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압축 (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Medium access contr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C) of the second layer provides a service to a radio link control layer, which is a higher layer, through a logical channel.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LC) layer of the second layer supports reliable data transmission. The functionality of the RLC layer may be implemented as a functional block inside the MAC. In this case, the RLC layer may not exist. The PDCP layer of the second layer is a header compression that reduces the IP packet header size, which is relatively large and contains unnecessary control information, for efficient transmission in a low bandwidth wireless section when transmitting an IP packet such as IPv4 or IPv6. Compression) function.

제3계층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베어러 (Radio Bearer; RB라 약칭함)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단말의 RRC와 무선망의 RRC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연결상태(RRC_CONNECTED)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휴지상태(RRC_IDLE)에 있게 된다.The radio resource control lay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RRC) layer located at the top of the third layer is defined only in the control plane, and the configuration and reset of the radio bearer (abbreviated as RB) are performed. It is responsible for the control of logical channels, transport channels and physical channels in relation to configuration and release. In this case, RB means a service provided by the second layer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TRAN. When there is an RRC connection (RRC Connection) between the RRC of the terminal and the RRC layer of the radio network, the terminal is in the RRC_CONNECTED state, otherwise it is in the RRC idle state (RRC_IDLE).

망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전송채널로는 시스템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과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A downlink transmission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from a network to a UE includes a broadcast channel (BCH)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and a downlink shared channel (SCH)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control messages. Traffic or control messages of a downlink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downlink SCH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separate downlink multicast channel (MCH). Meanwhile, the uplink transmission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terminal to the network includes a random access channel (RAC) for transmitting an initial control message and an uplink shared channel (SCH)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control messages.

전송채널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It is located above the transport channel, and the logical channel mapped to the transport channel is a 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 a paging control channel (PCCH), a common control channel (CCCH), a multicast control channel (MCCH), and a multicast traffic (MTCH). Channel).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은 시간축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축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축상에 복수의 심볼(Symbol)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들로 구성되며, 하나의 자원블록은 복수의 심볼들과 복수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즉, L1/L2 제어채널을 위해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심볼들(가령, 첫 번째 심볼)의 특정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0.5 ms이며,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2개의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1ms이다.The physical channel is composed of several subframes on the time axis and several subcarriers on the frequency axis. Here, one sub-frame consists of a plurality of symbols on the time axis. One subframe consists of a plurality of resource blocks, and one resource block consists of a plurality of symbols and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 addition, each subframe may use specific subcarriers of specific symbols (eg, the first symbol) of the corresponding subframe for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that is, an L1 / L2 control channel. One subframe is 0.5 ms, and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which is a unit time for transmitting data, is 1 ms corresponding to two subframes.

이하 단말의 RRC 상태 (RRC state)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RRC 상태란 단말의 RRC가 E-UTRAN의 RRC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 연결 상태(RRC_CONNECTED state),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RRC 휴지 상태(RRC_IDLE state)라고 부른다. RRC_CONNECTED state의 단말은 RRC 연결이 존재하기 때문에 E-UTRAN은 해당 단말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RRC_IDLE state의 단말은 E-UTRAN이 파악할 수는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트랙킹 구역(Tracking Area) 단위로 핵심 망이 관리한다. 즉, RRC_IDLE state 단말은 큰 지역 단위로 존재여부만 파악되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통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RRC_CONNECTED state로 이동해야 한다.Hereinafter, the RRC state and the RRC connection method of the U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RRC state refers to whether or not the RRC of the UE is in a logical connection with the RRC of the E-UTRAN. If connected, the RRC connected state (RRC_CONNECTED state), and if not connected, the RRC idle state (RRC_IDLE). state). Since the UE of the RRC_CONNECTED state has an RRC connection, the E-UTRAN can grasp the existence of the UE in units of cells, and thus can effectively control the UE. On the other hand, the UE of the RRC_IDLE state cannot be understood by the E-UTRAN, and the core network manages the tracking area unit, which is a larger area unit than the cell. That is, the RRC_IDLE state terminal is identified only in a large area unit, and must move to the RRC_CONNECTED state in order to receive a norm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ch as voice or data.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 Idle state 에 머무른다. RRC_IDLE state에 머물러 있던 단말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때 비로소 RRC 연결 과정 (RRC connection procedure)을 통해 E-UTRAN의 RRC와 RRC 연결을 맺고 RRC_CONNECTED state로 천이한다. Idle state에 있던 단말이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 시도 등의 이유로 상향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거나, 아니면 E-UTRAN으로부터 호출(paging)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등을 들 수 있다.When the user first powers on the terminal, the terminal first searches for an appropriate cell and then stays in the RRC Idle state in the cell. When the UE staying in the RRC_IDLE state needs to establish an RRC connection, the UE establishes an RRC connection with the RRC of the E-UTRAN through an RRC connection procedure and transitions to the RRC_CONNECTED state. There are several cases in which the UE in the idle state needs to establish an RRC connection. For example, an uplink data transmission is necessary due to a user's call attempt, or a paging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E-UTRAN. In one case, the response message may be transmitted.

RRC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NAS (Non-Access Stratum) layer located above the RRC layer performs functions such as session management and mobility management.

NAS 계층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하여 EMM-REGISTERED (EPS Mobility Management-REGISTERED) 및 EMM-DEREGISTERED 두 가지 상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과 MME에게 적용된다. 초기 단말은 EMM-DEREGISTERED 상태이며, 이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초기 접착(Initial Attach) 절차를 통해서 해당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접착(Attach)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단말 및 MME는 EMM- REGISTERED 상태가 된다.In order to manage mobility of the UE in the NAS layer, two states of EMM-REGISTERED (EPS Mobility Management-REGISTERED) and EMM-DEREGISTERED are defined, and these two states are applied to the UE and the MME. The initial terminal is in the EMM-DEREGISTERED state, and the terminal performs a process of registering in the network through an initial attach procedure to access the network. If the attach procedure is successfully performed, the UE and the MME are in an EMM REGISTERED state.

단말과 EPC간 시그널링 연결(signaling connection)을 관리하기 위하여 ECM-IDLE (EPS Connection Management) 및 ECM_CONNECTED두 가지 상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 및 MME에게 적용된다. ECM-IDLE 상태의 단말이 E-UTRAN과 RRC 연결(RRC connection)을 맺으면 해당 단말은 ECM-CONNECTED상태가 된다. ECM-IDLE의 상태에 있는 MME 는 E-UTRAN과 S1 연결(S1 connection)을 맺으면 ECM-CONNECTED 상태가 된다. 단말이 ECM-IDLE 상태에 있을 때에는 E-UTRAN은 단말의 배경(context)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ECM-IDLE 상태의 단말은 네트워크의 명령을 받을 필요 없이 셀 선택(cell selection) 또는 재 선택(reselection)과 같은 단말 기반의 이동성 관련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단말이 ECM-CONNECTED에 있을 때에는 단말의 이동성은 네트워크의 명령에 의해서 관리된다. ECM-IDLE 상태에서 단말의 위치가 네트워크가 알고 있는 위치와 달라질 경우 단말은 트랙킹 구역 갱신(Tracking Area Update) 절차를 통해 네트워크에 단말의 해당 위치를 알린다.In order to manage a signaling connection between the UE and the EPC, two states are defined, ECM-IDLE (EPS Connection Management) and ECM_CONNECTED, and these two states are applied to the UE and the MME. When the UE in the ECM-IDLE state establishes the RRC connection with the E-UTRAN, the UE enters the ECM-CONNECTED state. The MME in the ECM-IDLE state becomes the ECM-CONNECTED state when it establishes an S1 connection with the E-UTRAN. When the terminal is in the ECM-IDLE state, the E-UTRAN does not have contex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UE in the ECM-IDLE state performs a UE-based mobility related procedure such as cell selection or reselection without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network.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is in ECM-CONNECTED,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is managed by the command of the network. In the ECM-IDLE state, if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position known by the network, the terminal informs the network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terminal through a tracking area update procedure.

다음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에 관한 설명이다. 상기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는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필수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기 전에 시스템 정보를 모두 수신하고 있어야 하고, 또한 항상 최신의 시스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정보는 한 셀 내의 모든 단말이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이므로,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상기 시스템 정보를 전송한다.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system information. The system information includes essential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needs to know in order to access the base station. Therefore, the terminal must receive all system information before accessing the base station, and must always have the latest system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system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all terminals in a cell should know, the base station periodically transmits the system information.

상기 시스템 정보는 MIB, SB, SIB등으로 나뉜다.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단말이 해당 셀의 물리적 구성, 예를 들어 대역(Bandwidth)같은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SB(Scheduling Block)은 SIB들의 전송정보, 예를 들어, 전송 주기 등을 알려준다.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은 서로 관련 있는 시스템 정보의 집합체이다. 예를 들어, 어떤 SIB는 주변의 셀의 정보만을 포함하고, 어떤 SIB는 단말이 사용하는 상향 무선 채널의 정보만을 포함한다.The system information is divided into MIB, SB, and SIB. The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allows the terminal to know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cell, for example, bandwidth. SB (Scheduling Block) informs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SIBs,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period.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is a collection of system information rela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some SIBs contain only information of neighboring cells, and some SIBs contain only information of uplink radio channels used by the terminal.

종래 기술에 있어서, 만약 단말이 선택한 셀에 대해 해당 단말의 접속이 제한되거나, 상기 단말이 접속이 제한된 기지국의 영역에 있으면 단말은 이 기지국으로부터 큰 간섭을 받는다. 기지국 역시 이 단말로부터 큰 간섭을 겪는다. 이와 같은 간섭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간의 통신 신호 품질을 저하 시키며, 많은 통신 장애를 초래하는 큰 문제가 있다.In the related art, if a terminal is limited in access to a cell selected by a terminal, or if the terminal is in an area of a base station with limited access, the terminal receives a large interference from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also suffers greatly from this terminal. Such interference lowers the communication signal qualit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causes a large problem in commun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보다 효과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간섭을 줄이고자 한다. 특히, 상기 단말이 접속이 제한된 기지국의 영역에 있는 경우에 단말과 기지국간의 간섭을 줄이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ore effectively than the prior ar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when the terminal is in the region of the restricted access base sta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access)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 안에 포함된 제 1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제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제한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 안에 포함된 제 2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고도 간섭(high interference)에서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허용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상기 고도 간섭에서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간섭을 추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추정된 간섭에 따라서 상기 셀에 대한 제한된 접속을 선택적으로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ccessing a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from a network; Determining whether access to the cell is restricted based on a first parameter included in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ccess to the cell is restricted, determining whether access to the cell is allowed in high interference based on a second parameter included in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ccess to the cell is allowed in the high interference, estimating interference; And selectively terminating the restricted connection to the cell in accordance with the estimated interferen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정보는 간섭에 관련된 접속 제어 정보(access control inform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ccess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control information (access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terferen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정보의 제 1 파라미터는 간섭 접속 지시자(interference access indicator)이고 상기 접속 정보의 제 2 파라미터는 간섭 임계 값(interference threshol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parameter of the access information is an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 and the second parameter of the access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terference threshold.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는 HNB(Home NodeB) 또는 Macro Node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networ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e NodeB (HNB) or Macro NodeB.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정보의 상기 제1 및 제 2 파라미터들은 셀 특정 시그널링(cell specific signaling) 또는 UE 특정 시그널링(UE specific signaling)을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parameters of the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cell specific signaling or UE specific signal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은 하향링크 방향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사용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rference is estimated using a reference signal in the downlink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의 양은 상기 기준 신호의 품질과 관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mount of interference is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reference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은 상향링크 방향에 마지막으로 전송된 RACH(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preamble)의 전력을 사용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rference is estimated using the power of a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eamble transmitted last in the uplink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의 양은 상기 마지막으로 전송된 RACH 프리앰블의 전력과 역(inverse)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vantageously, the amount of interference has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a power of the last transmitted RACH preamble.

바람직하게는, 만약 상기 추정된 간섭이 상기 접속 정보 안에 포함된 상기 간섭 임계 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셀에 제한된 접속이 해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vantageously, if the estimated inter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terference threshold included in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e restricted connection to the cell is terminated.

바람직하게는, 만약 상기 추정된 간섭이 상기 접속 정보 안에 포함된 상기 간섭 임계 값 보다 작으면 상기 셀에 제한된 접속이 해지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f the estimated interference is less than the interference threshold included in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e restricted connection to the cell is not terminated.

만약 단말이 선택한 셀에 대해 해당 단말의 접속이 제한되거나, 상기 단말이 접속이 제한된 기지국의 영역에 있을 때, 본 발명을 적용하면 기지국과 단말 양측 모두 간섭 영향으로부터 완화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지국은 간섭을 크게 미치는 단말의 접속을 수락한 후 이후 언제든지 이동성(mobility) 절차를 통해 해당 단말을 다른 주파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접속 제한된 단말을 한시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간섭 회피를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다.If the access of the terminal is limited to the cell selected by the terminal, or when the terminal is in the region of the access-limited base sta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oth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an be alleviated from interference effects. That is, the base station may move the terminal to another frequency through a mobility procedure at any time after accepting the access of the terminal that greatly affects the interference, so that temporarily accepting the access-limited terminal is effective for avoiding interference. It is a way.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E-UTRAN의 망 구조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제어평면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사용자평면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4는 H(e)NB 게이트웨이 (gateway; GW)를 이용하여 H(e)NB를 운용하는 E-UTRAN 의 망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의 접속 모드 (access mode)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6은 단말과 기지국간의 간섭 신호의 영향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7은 단말이 접속 제한된 셀로부터 겪는 하향 링크 간섭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8은 접속이 제한된 셀의 서비스 영역에 있는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로부터 접속을 제한하는 셀이 엮는 상향 링크 간섭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9는 단말이 접속 제한된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에서 단말과 CSG 셀이 겪는 간섭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접속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어떻게 간섭을 추정하는지를 나타내는 첫 번째 예시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어떻게 간섭을 추정하는지를 나타내는 두 번째 예시도 이다.
1 is a network structure of E-UTRAN,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rol plane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UTRAN in the prior art.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user plane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terminal and an E-UTRAN in the prior art.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of an E-UTRAN operating an H (e) NB using an H (e) NB gateway (GW).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rming an access mode of a base station by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influence of an interference signal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downlink interference experienced by a terminal from a cell of limited access.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uplink interference interlinked by a cell restricting access from a signal transmitted by a terminal in a service area of a cell where access is restricted.
FIG. 9 illustrates an example of interference between a UE and a CSG cell in a CSG cell to which the UE is restricted.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operation proced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showing how a terminal estimates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terminal estimates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3GPP 통신기술, 특히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 또는 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유무선 통신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3GPP communication technology, in particular,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system or a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ll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o whic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access)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 안에 포함된 제 1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제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제한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 안에 포함된 제 2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고도 간섭(high interference)에서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허용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상기 고도 간섭에서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간섭을 추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추정된 간섭에 따라서 상기 셀에 대한 제한된 접속을 선택적으로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를 제안한다.A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ccessing a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from a network; Determining whether access to the cell is restricted based on a first parameter included in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ccess to the cell is restricted, determining whether access to the cell is allowed in high interference based on a second parameter included in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ccess to the cell is allowed in the high interference, estimating interference; And selectively terminating the restricted connection to the cell according to the estimated interference, and propose a method of accessing a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erform the method. Propose a communication terminal or network.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일반적으로, 네트워크가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아래와 같이 세가지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에 따라 단말은 셀의 타입 역시 다르게 인식한다. 아래에서 먼저 서비스 타입을 서술하고, 이어 셀의 타입을 서술한다.In general, services provided by a network to a terminal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s follows. In addition, the terminal also recognizes the cell type differently according to which service can be provided. The following describes the service type first, followed by the cell type.

1) Limited service 이 서비스는 응급 호(Emergency call) 및 재해경보시스템(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ETWS)를 제공하며, 수용가능 셀(acceptable cell)에서 제공할 수 있다.1) Limited service This service provides Emergency Call and Tsunami Warning System (ETWS), which can be provided by an acceptable cell.

2) Normal service 이 서비스는 일반적 용도의 범용 서비스(public use)를 의미하여, 일반적 셀(suitable or normal cell)에서 제공할 수 있다.2) Normal service This service is a general purpose public service, and can be provided in a normal cell.

3) Operator service 이 서비스는 통신망 사업자를 위한 서비스를 의미하며, 이 셀은 통신망 사업자만 사용할 수 있고 일반 사용자는 사용할 수 없다.3) Operator service This service means service for network operator. This cell can be used only by network operator and not by general users.

셀이 제공하는 서비스 타입과 관련하여, 셀의 타입은 아래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service type provided by the cell, the cell type may be classified as follows.

1) Acceptable cell 단말이 제한된(Limited)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셀. 이 셀은 해당 단말 입장에서, 금지(barred)되어 있지 않고, 단말의 셀 선택 기준을 만족시키는 셀이다.1) Acceptable cell A cell in which the terminal can receive limited service. This cell is a cell that is not barr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erminal and satisfies the cell selection criteria of the terminal.

2) Suitable cell 단말이 일반(Normal)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셀. 이 셀은 acceptable 셀의 조건을 만족시키며, 동시에 추가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추가적인 조건으로는, 이 셀이 해당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PLMN 소속이어야 하고, 단말의 트랙킹 구역(Tracking Area) 갱신 절차의 수행이 금지되지 않은 셀이어야 한다. 해당 셀이 CSG 셀이라고 하면, 단말이 이 셀에 CSG 멤버로서 접속이 가능한 셀이어야 한다.2) Suitable cell A cell where the terminal can receive normal service. This cell satisfies the conditions of an acceptable cell and at the same time satisfies additional conditions. As an additional condition, this cell must belong to a PLMN to which the terminal can access and must be a cell which is not prohibited from performing a tracking area update procedure of the terminal. If the cell is a CSG cell, the terminal should be a cel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ell as a CSG member.

3) Barred cell 셀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금지된 셀(Barred cell)이라는 정보를 방송을 하는 셀이다.3) Barred cell A cell that broadcas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ell is a barred cell through system information.

4) Reserved cell 셀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지정된 셀(Reserved cell)이라는 정보를 방송을 하는 셀이다.4) Reserved cell A cell that broadcas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ell is a reserved cell through system information.

도 4는 H(e)NB 게이트웨이 (gateway; GW)를 이용하여 H(e)NB를 운용하는 E-UTRAN 의 망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of an E-UTRAN operating an H (e) NB using an H (e) NB gateway (GW).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HeNB들은 HeNB GW를 통해 EPC에 연결되거나 직접 EPC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HeNB GW는 MME에게는 일반적인 eNB처럼 보인다. 또한, 상기 HeNB GW는 상기 HeNB에게는 상기 MME처럼 보인다. 따라서, HeNB와 HeNB GW 사이에는 S1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상기 HeNB GW와 상기 EPC 역시 S1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또한, HeNB와 EPC가 직접 연결될 경우에도 S1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HeNB의 기능은 일반적인 eNB의 기능과 대부분 같다.As shown in FIG. 4, the HeNBs are connected to the EPC or directly to the EPC via the HeNB GW. Here, the HeNB GW looks like a normal eNB to the MME. The HeNB GW also looks like the MME to the HeNB. Therefore, the HeNB GW and the EPC are connected through the S1 interface between the HeNB and the HeNB GW. In addition, when the HeNB and the EPC are directly connected, they are connected to the S1 interface. The function of HeNB is mostly the same as that of general eNB.

일반적으로 H(e)NB는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소유한 (e)NB와 비교하여 무선 전송 출력이 낮다. 따라서 H(e)NB가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coverage)는 (e)NB가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에 비하여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서비스 영역 관점에서 종종 H(e)NB가 제공하는 셀은 (e)NB가 제공하는 macro 셀과 대비하여 femto 셀로 분류된다. 한편 제공하는 서비스 관점에서, H(e)NB가 CSG 그룹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이 H(e)NB가 제공하는 셀은 CSG 셀이라고 일컫는다.In general, the H (e) NB has a lower radio transmission power than the (e) NB owned by the mobile network operator. Therefore, the coverage provided by the H (e) NB is generally smaller than the coverage provided by the (e) NB. Due to this characteristic, a cell provided by an H (e) NB is often classified as a femto cell in comparison with a macro cell provided by (e) NB from a service area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service provided, when the H (e) NB provides a service only to the CSG group, the cell provided by the H (e) NB is called a CSG cell.

각 CSG는 각기 고유의 식별 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식별 번호를 CSG ID(CSG identity)라고 부른다. 단말은 자신이 멤버로 속한 CSG의 목록을 가질 수 있고, 이 CSG 목록은 단말의 요청 또는 네트워크의 명령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H(e)NB는 한 개의 CSG를 지원할 수 있다.Each CSG has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which is called a CSG identity (CSG identity). The terminal may have a list of CSGs belonging to the member, and the CSG list may be changed by a request of the terminal or a command of the network. In general, one H (e) NB may support one CSG.

H(e)NB는 자신이 지원하는 CSG의 CSG ID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전달하여, 해당 CSG의 멤버 단말만이 접속하도록 한다. 단말은 CSG 셀을 발견하였을 때, 이 CSG 셀이 어떤 CSG를 지원하는지를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CSG ID를 읽어서 확인할 수 있다. CSG ID를 읽은 단말은 자신이 해당 CSG 셀의 멤버일 경우에만 해당 셀을 접속할 수 있는 셀로 간주한다.H (e) The NB transmits the CSG ID of the CSG supported by itself to the member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CSG through the system information. When the UE finds a CSG cell, it can check which CSG the CSG cell supports by reading the CSG ID included in the system information. The terminal reading the CSG ID is regarded as a cell to which the cell can be accessed only when the UE is a member of the CSG cell.

H(e)NB라고 해서 항상 CSG 단말에게만 접속을 허용할 필요는 없다. H(e)NB의 구성 설정에 따라 CSG 멤버가 아닌 단말의 접속도 허용할 수가 있다. 어떤 단말에게 접속을 허용할지는 H(e)NB의 구성 설정에 따라 바뀌는데, 여기서 구성 설정은 H(e)NB의 동작 모드의 설정을 의미한다. H(e)NB의 동작 모드는 어떤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따라 아래의 3가지로 구분된다.H (e) NB does not always need to allow access to the CSG terminal.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H (e) NB,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connection of a terminal other than the CSG member. Which terminal is allowed to acces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H (e) NB, where the configuration setting means the setting of the operation mode of H (e) NB. The operation mode of the H (e) NB i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which UE provides a service.

1) Closed access mode 특정 CSG 멤버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 H(e)NB는 CSG 셀을 제공한다.1) Closed access mode A mode that provides services only to specific CSG members. H (e) NB provides the CSG cell.

2) Open access mode 일반 (e)NB처럼 특정 CSG 멤버라는 제약이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 H(e)NB은 CSG 셀이 아닌 일반적 셀을 제공한다.2) Open access mode General (e) Mode that provides service without restriction of specific CSG member like NB. H (e) NB provides a general cell that is not a CSG cell.

3) Hybrid access mode 특정 CSG 멤버에게는 CS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비 CSG 멤버에게도 일반 셀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 CSG 멤버 UE에게는 CSG 셀로 인식이 되고, 비 CSG 멤버 UE에게는 일반 셀처럼 인식이 된다. 이러한 셀을 Hybrid cell이라고 부른다.3) Hybrid access mode It is possible to provide CSG service to specific CSG members and to provide services like non-CSG members to non-CSG members. CSG member UEs are recognized as CSG cells, and non-CSG member UEs are recognized as normal cells. These cells are called hybrid cells.

H(e)NB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셀이 CSG 셀인 일반적인 셀인지를 단말에게 알려서, 단말이 해당 셀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알게 한다. Closed access mode로 운영되는 H(e)NB는 자신이 CSG 셀이라는 것을 시스템 정보를 통해 방송한다. Open access mode로 운영되는 H(e)NB는 자신이 CSG 셀이 아니라는 것을 시스템 정보를 통해 방송한다. 이와 같이 H(e)NB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셀이 CSG 셀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1비트의 CSG 지시자(CSG indicator)를 시스템 정보 속에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CSG셀은 CSG 지시자를 TRUE로 설정해서 방송한다. 만약 서비스하는 셀이 CSG 셀이 아닌 경우에 CSG 지시자를 FALSE로 설정하거나 또는 CSG 지시자 전송을 생략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말은 (e)NB가 제공하는 일반적 셀을 CSG 셀과 구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 (e)NB 역시 CSG 지시자 (예, FALSE)를 전송하여 단말이 자신이 제공하는 셀 타입이 일반적 셀임을 알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 (e)NB는 CSG 지시자를 전송하지 않음으로 단말이 자신이 제공하는 셀 타입이 일반적 셀임을 알게 할 수도 있다. 표 1은 셀 타입 별로 해당 셀에서 전송하는 CSG 관련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이어 표 2는 셀 타입 별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낸다.The H (e) NB informs the UE whether the cell it serves is a general cell, which is a CSG cell, so as to know whether the UE can access the cell. The H (e) NB operating in the closed access mode broadcasts that it is a CSG cell through system information. The H (e) NB operating in the open access mode broadcasts that it is not a CSG cell through the system information. As such, the H (e) NB includes a 1-bit CSG indicator in the system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cell it serves is a CSG cell. For example, the CSG cell broadcasts by setting the CSG indicator to TRUE. If the serving cell is not a CSG cell, the CSG indicator may be set to FALSE or a method of omitting CSG indicator transmission may be used. Since the UE should be able to distinguish the general cell provided by the (e) NB from the CSG cell, the general (e) NB also sends a CSG indicator (eg, FALSE) so that the UE knows that the cell type provided by the UE is the general cell. can do. In addition, the general (e) NB may not let the UE know that the cell type provided by the UE is a general cell by not transmitting the CSG indicator. Table 1 shows CSG related parameters transmitted by a corresponding cell for each cell type. Table 2 shows the types of terminals that allow connection by cell typ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의 접속 모드 (access mode)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rming an access mode of a base station by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 번째 단계로, 단말은 대상 셀이 어떤 타입의 셀인지 확인하기 위해 먼저 대상 셀의 시스템 정보에 있는 CSG 지시자를 확인한다. 상기 CSG 지시자를 확인한 후에, 두 번째 단계로, 만약 상기 CSG 지시자가 대상 셀이 CSG 셀이라고 지시하고 있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해당 셀을 CSG 셀로 인식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자신이 대상 셀의 CSG 멤버인지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 정보에 있는 CSG 식별자 (CSG identity 또는 CSG identifier)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이 상기 CSG 식별자로부터 자신이 대상 셀의 CSG 멤버임을 확인하면, 해당 셀을 접속 가능한 CSG 셀로 인식한다.In a first step, the terminal first checks the CSG indicator in the system information of the target cell to determine what type of cell the target cell is. After confirming the CSG indicator, in a second step, if the CSG indicator indicates that the target cell is a CSG cell, the UE recognizes the cell as a CSG cell. Thereafter, the terminal checks the CSG identity (CSG identity or CSG identifier) in the system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UE is a CSG member of the target cell. When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UE is a CSG member of the target cell from the CSG identifier, the terminal recognizes the cell as an accessible CSG cell.

만약, 상기 단말이 상기 CSG 식별자로부터 자신이 대상 셀의 CSG 멤버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면, 해당 셀을 접속 가능하지 않는 셀로 간주한다. 상기 첫 번째 단계에서 만약 상기 CSG 지시자가 대상 셀이 CSG 셀이 아니라고 지시하고 있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대상 셀을 일반적 셀로 인식한다. 또한, 상기 첫 번째 단계에서 CSG지시자가 전송되고 있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대상 셀을 일반적 셀로 인식한다.If the terminal confirms that it is not a CSG member of the target cell from the CSG identifier, the terminal regards the cell as a cell that is not accessible. In the first step, if the CSG indicator indicates that the target cell is not a CSG cell, the terminal recognizes the target cell as a general cell. In addition, if the CSG indicator is not transmitted in the first step, the terminal recognizes the target cell as a general cell.

일반적으로, 특정 주파수에서 CSG셀과 macro셀이 동시에 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를 혼합 캐리어 주파수(mixed carrier frequency)라고 부른다. 네트워크는 혼합 캐리어 주파수에서 특정 물리계층 셀 식별자들을 CSG 셀 용으로 따로 예약해둘 수 있다. 물리계층 셀 식별자는 E-UTRAN 시스템에서는 PCI (Physical Cell Identity)라고 불리고, UTRAN에서는 PSC (Physical scrambling code)라고 불린다. 서술의 편의를 위해 물리계층 식별자를 PCI로 표현한다. 혼합 캐리어 주파수에서 CSG 셀은 현재 주파수에서 CSG용으로 예약된 PCI들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알려준다. 이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해당 주파수에서 어떤 셀을 발견하였을 때 이 셀의 PCI로부터 이 셀이 CSG 셀인지 또는 CSG 셀이 아닐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정보를 단말이 어떻게 활용하는지 아래에서 두 가지 단말의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In general, a CSG cell and a macro cell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at a specific frequency. This frequency is called the mixed carrier frequency. The network may reserve specific physical layer cell identifiers for the CSG cell separately at the mixed carrier frequency. The physical layer cell identifier is called PCI (Physical Cell Identity) in the E-UTRAN system, and PSC (Physical Scrambling Code) in the UTRA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hysical layer identifier is expressed in PCI. At the mixed carrier frequency, the CSG cell informs the system information about the PCIs reserved for CSG at the current frequency. Upon receiving this information, the UE can determine whether a cell is a CSG cell or not a CSG cell from PCI of this cell when it discovers a cell at a corresponding frequency. The following describes how two terminals use this information.

첫 번째로, CSG 관련 기능을 지원하지 않거나 자신이 멤버로 속한 CSG 목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단말의 경우, 이 단말은 셀 선택/재선택 과정에서 CSG 셀을 선택 가능한 셀로 간주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단말은 셀의 PCI만 확인하고, 만약 PCI가 CSG로 예약된 PCI라면 해당 셀을 셀선택/재선택 과정에서 바로 제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셀의 PCI는 단말이 물리계층이 해당 셀의 존재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바로 알 수 있다.First, in case of a UE that does not support CSG-related functions or does not have a CSG list as a member thereof, the UE does not need to consider the CSG cell as a selectable cell during cell selection / reselec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checks only the PCI of the cell, and if the PCI is a PCI reserved by the CSG, the cell can be immediately excluded from the cell selection / reselection process. In general, the PCI of a cell can be known immediately at the terminal when the physical layer confirms the existence of the cell.

두 번째로, 자신이 멤버로 속한 CSG 목록을 가진 단말의 경우, 상기 단말이 혼합 캐리어 주파수에서 주변의 CSG 셀들에 대한 목록을 알고 싶을 때에는, 전체 PCI 범위에서 발견되는 모든 셀의 시스템 정보의 CSG 식별자를 일일이 확인하는 대신, CSG 용으로 예약된 PCI를 가진 셀만 발견하면 해당 셀이CSG 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Second, in case of a UE having a CSG list of which the UE is a member, when the UE wants to know a list of neighboring CSG cells at the mixed carrier frequency, the CSG identifier of the system information of all cells found in the entire PCI range. Instead of verifying, we only find a cell with a PCI reserved for CSG and we know that the cell is a CSG cell.

일반적으로, 단말은 무선 품질이 변동되는 환경에서 가장 좋은 품질의 셀을 선택하여 가장 안정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한다. 하지만, 만약 상기 단말이 선택한 셀에 대해 해당 단말의 접속이 제한되거나, 상기 단말이 접속이 제한된 기지국의 영역에 있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큰 간섭을 받는다. 상기 기지국 역시 상기 단말로부터 큰 간섭을 겪는다. 도 6은 이러한 단말과 기지국간의 간섭 신호의 영향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상기 도 6에서 단말과 셀 A상의 기지국간에는 정상 신호가 소통되는 반면, 상기 단말과 셀 B 상의 기지국간에는 원치 않는 간섭 신호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셀 B상의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접속이 제한된 셀의 기지국일 수 있다.In general, the terminal selects a cell of the highest quality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adio quality changes, and tries to receive the most stable quality service. However, if the terminal has limited access to a cell selected by the terminal, or if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region of a base station to which access is restricted, the terminal receives large interference from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also suffers from large interference from the terminal.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signa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n FIG. 6, while a normal signal is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on cell A, an unwanted interference signal is genera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on cell B. Here, the base station on the cell B may be a base station of a cell in which the access of the terminal is limited.

상기 간섭 상황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단말이 접속 제한된 셀로부터 겪는 하향 링크 간섭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고, 도 8은 접속이 제한된 셀의 서비스 영역에 있는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로부터 접속을 제한하는 셀이 엮는 상향 링크 간섭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The interference situ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downlink interference experienced by a terminal from a cell with limited access,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uplink interference bound by a cell restricting access from a signal transmitted by a terminal in a service area of a cell with limited access. to be.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셀의 기지국 거리보다 단말과 접속을 제한하는 기지국의 거리가 훨씬 더 가깝기 때문에, 두 셀이 상호간 주고받는 간섭보다는 단말과 접속을 제한하는 셀이 주고받는 간섭이 더 심각하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restricting access to the terminal is much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s of the two cells, the cell restricting access to the terminal is more tha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two cells. The interference received is more severe.

이와 같은 간섭 상황은 상기 단말이 비 멤버 CSG 셀의 영역에 있을 때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도 9는 단말이 접속 제한된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에서 단말과 CSG 셀이 겪는 간섭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This interference situation can be a big problem when the UE is in the region of a non-member CSG cell.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terference between a UE and a CSG cell in a closed subscriber group (CSG) cell in which a UE is restricted from access.

상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비 멤버 CSG 셀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멀리 떨어져 있는 셀(cell) A에 접속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셀(Cell) A와 상기 단말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상기 단말은 높은 파워로 신호를 전송하는데, 상기 신호는 상기 비 멤버 CSG 셀에 그대로 간섭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단말 역시 상기 비 멤버 CSG 셀의 영역 안에서 이 셀로부터 지속적인 간섭을 겪는다.As shown in FIG. 9, since the UE cannot access a non-member CSG cell, the UE accesses a cell A far away. In this case, since the cell A is far from the terminal, the terminal transmits a signal with high power, and the signal acts as interference to the non-member CSG cell. In addition, the terminal also suffers from persistent interference from this cell within the region of the non-member CSG cell.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이 현재 접속이 제한되어 있는 셀로 큰 간섭을 주고 있을 경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고도 간섭 상황에 한해 접속을 허락하는 한, 해당 셀에 대한 접속 제한을 스스로 제거하고 해당 셀에 접속하여 간섭 상황을 해당 셀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is giving a large interference to the cell where the current access is limited, as long as the base station permits the access to the terminal only in a high interference situation, the access restriction for the cell is removed by itself and the corresponding cell is removed. And transmits the interference condition to the corresponding cell.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접속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말은 접속관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기지국이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접속 제한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이 간섭이 높은 단말에 대해 접속을 허용하는지를 확인한다. 이후, 만약 상기 기지국이 간섭이 높은 단말에 대해 접속 제한을 풀고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단말은 간섭을 추정한다. 여기서, 만약 상기 추정된 간섭이 크다고 판단이 되면, 상기 단말은 접속 제한 해지를 시도하고, 만약 상기 추정된 간섭이 크지 않다고 판단을 하면, 상기 단말은 접속을 시도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 과정을 재 반복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주파수로 이동을 위해 주파수의 우선순위를 임의로 변경(다른 주파수의 우선순위를 현재 주파수 우선순위보다 같거나 높게 설정하거나, 또는 현재 주파수의 우선순위를 다른 주파수의 우선순위보다 낮게 설정)하여 다른 주파수로 한정적(일시적) 이동하여 갑섭을 줄일 수도 있다. 상기 과정에서, 만약 상기 단말이 접속 제한을 풀고 접속을 시도하면, 상기 접속 절차 과정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게 간섭이 높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간섭이 높다는 사실을 상기 단말로부터 인지하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일단 상기 단말의 접속을 허락할 수 있다.10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operation process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first, when a terminal obtains access pipe related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and confirms that access is restricted through information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accesses a terminal having high interference with the base station. Make sure you allow it. Thereafter, if the base station confirms that the access restriction is removed and the access is allowed for the terminal with high interference, the terminal estimates the interference. 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stimated interference is large, the terminal attempts to cancel the access restric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stimated interference is not large, the terminal does not attempt to connect. Then, the process may be repeated again, or the frequency priority is arbitrarily changed to move to another frequency (the priority of another frequency is se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current frequency priority, or the priority of the current frequency is changed. It may be set lower than the priority of other frequencies so that the interference is limited (temporary) to other frequencies to reduce interference. In the above process, if the terminal removes the access restriction and attempts to access, the terminal may inform the base station that the interference is high in the access procedure. In addition, if the base station recognizes from the terminal that the interference is high, it may allow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once to avoid the interference.

이하, 상기 단말이 어떻게 간섭을 추정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tw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y depending on how the terminal estimates interference will be described.

첫 번째 실시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하향 링크 품질을 바탕으로 상향 링크 간섭의 양을 추정하고, 상향 링크 간섭이 클 때 접속 제한된 셀에 접속하여 간섭의 크다는 사실을 알리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1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단말이 어떻게 간섭을 추정하는지를 나타내는 첫 번째 예시도 이다.As a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estimating the amount of uplink interference based on the downlink quality of the terminal and notifying that the interference is large by accessing a restricted cell when the uplink interference is large. 11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showing how a terminal estimates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proposal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기지국은 액세스 관련 정보를 방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게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 레벨에 따라 접속 제한을 해제해도 좋다는 간섭 접속 지시자(Interference Access Indicator)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접속 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사용할 간섭양의 기준 값(Interference Threshold)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 및 Interference Threshold 는 일반적으로 셀 특정 시그널링(cell specific signalling)으로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단말 특정 시그널링(UE specific signalling)(예, 셀 재 선택 파라미터(cell re-selection parameter))을 통해 전달하는 방법이 배제되지 않는다.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상기 기지국이 접속 제한된 기지국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기지국이 접속이 제한된 기지국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이 간섭이 클 때에 한해 접속 제한을 풀 수 있는 셀(또는 기지국)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를 수신하였거나, 상기 Interference Threshold를 수신하였을 경우, 해당 기지국은 간섭이 큰 상황에서 접속 제한을 풀 수 있는 기지국(또는 셀)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기지국이 간섭이 클 때에 한해 접속 제한을 풀 수 있는 기지국으로 확인 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신호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간섭의 양을 추정한다. 상기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측정하여 상기 기지국의 하향 링크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이 하향 링크의 품질을 바탕으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미치는 하향 링크 간섭을 추정한다. 여기서, 상기 하향 링크 간섭과 하향 링크 품질은 정 관계에 있다. 즉, 해당 기지국에 대해 측정한 하향 링크 품질이 높으면(좋으면), 해당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미치는 간섭 역시 크다. 또한, 상기 단말은 측정된 하향 링크의 품질을 바탕으로 적절하게 상향 링크의 품질을 추정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기지국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채널 품질 차이를 방송 정보를 통해 알려주면, 상기 단말은 측정된 하향 링크의 품질에 이 차이 값을 보정 인자로 사용하여 상향 링크 품질을 추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기지국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채널 품질 차이를 상기 단말에게 알려주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향 링크의 품질이 하향 링크의 품질과 같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 링크 간섭은 상기 상향 링크 품질과 정 관계에 있다. 즉, 해당 기지국에 대해 측정한 하향 링크 품질이 높으면(좋으면), 해당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미치는 간섭 역시 크다. 상기 단말은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간섭의 양을 평가할 때, 하향 링크의 간섭 양만을 고려하거나, 상향 링크로의 간섭 양만을 고려하거나, 두 간섭 양 모두를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로부터의 향 링크 간섭이 기지국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상향 링크만을 고려하는 것이 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base station broadcasts access related information. Her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n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 to the terminal to release the access restriction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level of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reference threshold (interference threshold) of the amount of interference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terminal to release the access restriction. The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 and the Interference Threshold may generally be delivered to the UE through cell specific signaling, and may perform UE specific signaling (eg, cell re-selection parameter). It does not exclude the way of passing through. The terminal receives the access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checks whether or not the base station is an access restricted base st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ess point is a restricted access point, the access point confirms whether the access point is a cell (or a base station) that can release access restriction only when the interference is large. 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Interference Threshold, the base station may be regarded as a base station (or cell) that can solve the access restric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interference is large. If the base station is identified as a base station that can solve the access restriction only when the interference is large, the terminal estimates the amount of interferenc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may measure downlink quality of the base station by measuring a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estimates the downlink interference that the base station exerts on the terminal based on the quality of the downlink. Here, the downlink interference and downlink quality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That is, if the downlink quality measured for the base station is high (if good), the interference of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s also large.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properly estimate the uplink quality based on the measured downlink quality. If the base station notifies the channel quality difference betwee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through the broadcast information, the terminal may estimate the uplink quality by using the difference value as a correction factor in the measured downlink quality. If the base station does not inform the terminal of the difference in channel quality between uplink and downlink, the terminal may assume that the quality of the uplink is equal to the quality of the downlink. Here, the uplink interferen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uplink quality. That is, if the downlink quality measured for the base station is high (if good), the interference of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s also large. When evaluating the amount of interfere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he terminal may consider only the amount of interference in the downlink, only the amount of interference in the uplink, or both.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o consider only the uplink because the influence of the directional link interference from the terminal is large.

만약 추정된 간섭의 양이 기지국이 전송한 Interference Threshold보다 크면, 상기 단말은 접속 제한을 풀고 상기 기지국에 접속 요청을 시도한다. 만약 추정된 상향 링크의 간섭의 양이 기지국이 전송한 Interference Threshold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은 접속 제한을 그대로 유지한 채 접속 요청을 시도하지 않는다.If the estimated amount of interference is greater than the interference threshold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removes the access restriction and attempts to access the base station. If the estimated amount of interference of the uplink is smaller than the interference threshold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does not attempt the access request while maintaining the access restriction.

상기 단말이 접속 요청을 하면, 상기 접속 요청 과정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자신이 기지국에 상향 링크 간섭이 크기 때문에 접속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접속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Setup request) 또는 접속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Setup Complete)에 전송할 때 1비트(bit)의 지시자(Interference Indicator)를 포함하거나 또는 연결 접속 요청 메시지의 cause 필드를 고도 간섭(high interference)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도 간섭(high interference)은 종래기술에 비해 새롭게 도입되는 cause 필드 이다.When the terminal makes an access request, in the access request process, the terminal informs the base station that it is accessing because the uplink interference to the base station is large. To this end, the terminal includes a 1-bit (Interference Indicator) when transmitting to the access request message (RRC Connection Setup request) or access completion message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to the base station or the connection connection request message The cause field may be set to high interference. Here, the high interference is a cause field newly intro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접속 과정에서 간섭 지시자(Interference Indicator)를 통해 접속이 거부될 경우 간섭을 많이 일으키는 단말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였을 경우, 해당 단말의 접속을 수용한다. 상기 해당 단말의 접속을 수용한 이후에, 상기 기지국은 추가적으로 핸드 오버 등 이동성 절차(Mobility procedure)를 통해 상기 해당 단말이 다른 주파수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해당 단말로부터 간섭을 피할 수 있다.When the base station recognizes that the terminal is a terminal causing a lot of interference when the connection is rejected through the interference indicator during the access process, the base station accepts the access of the terminal. After accommodating the acc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additionally avoid the interference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by moving the corresponding terminal to a different frequency through a mobility procedure (Mobility procedure).

두 번째 실시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접속 과정에서 사용한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 전송 전력을 바탕으로 상향 링크 간섭을 추정하고, 상향 링크 간섭이 클 때 접속 제한된 셀에 접속하여 간섭의 크다는 사실을 알리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어떻게 간섭을 추정하는지를 나타내는 두 번째 예시도 이다.In a secon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uplink interference based on the random access preamble transmission power used by the UE in the access procedure, and when the uplink interference is large, the interference is large by accessing a restricted cell. Suggest ways to communicate the facts. 12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terminal estimates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기지국은 액세스 관련 정보를 방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게 상기 단말이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 레벨에 따라 접속 제한을 해제해도 좋다는 간섭 접속 지시자(Interference Access Indicator)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접속 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사용할 상향 링크 간섭양의 기준 값(Uplink Interference Threshold)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 및 Uplink Interference Threshold 는 일반적으로 셀 특정 시그널링(cell specific signalling)으로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단말 특정 시그널링(UE specific signalling)을 통해 전달하는 방법이 배제되지 않는다.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액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기지국이 접속 제한된 기지국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기지국이 접속이 제한된 기지국으로 확인 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이 간섭이 클 때에 한해 접속 제한을 풀 수 있는 셀(또는 기지국)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를 수신하였거나, 상기 Uplink Interference Threshold를 수신하였을 경우, 해당 기지국은 간섭이 큰 상황에서 접속 제한을 풀 수 있는 기지국(또는 셀)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기지국이 간섭이 큰 상황에서 접속 제한을 풀 수 있는 기지국으로 확인 되면, 상기 단말은 접속 연결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랜덤 접속(Random Access) 절차를 시작한다. 이 때 상기 단말은 RACH 응답(response)를 수신하기 전까지 최종적으로 전송한 RACH 프리앰블(preamble) 전력(power)을 바탕으로 상향 링크의 품질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 링크 간섭은 상향 링크 품질과 역(reverse) 관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First, the base station broadcasts access related information. Her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n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 to the terminal to release the access restriction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level of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n uplink interference threshold value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terminal to release the access restriction. The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 and the Uplink Interference Threshold may be generally transmitted to the UE through cell specific signaling,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UE through the UE specific signaling is not excluded. The terminal receives the access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confirms whether or not the base station is a restricted access base station. If the base station is identified as a base station with limited access, th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base station is a cell (or base station) that can solve the access restriction only when the interference is large. 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Uplink Interference Threshold, the base station may be regarded as a base station (or cell) capable of solving the access restric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interference is large. If the base station is identified as a base station capable of solving the access restric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interference is large, the terminal starts a random access procedure to start the access connection procedure. In this case, the UE may estimate the quality of the uplink based on the RACH preamble power finally transmitted until the RACH response is received. Here, the uplink interference may be regarded as being in a reverse relationship with the uplink quality.

만약 상기 RACH 응답(response)을 수신하기 전 최종 전송한 RACH preamble의 전력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Interference Threshold 값보다 크면, 상기 단말은 해당 상향 링크로의 간섭이 큰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기지국으로의 접속 제한을 풀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접속 요청을 계속 시도한다. 만약 상기 RACH 응답(response)을 수신하기 전 최종 전송한 RACH preamble의 전력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Interference Threshold 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은 해당 상향 링크로의 간섭이 작은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기지국으로의 접속 제한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 요청을 하지 않는다.If the power of the last transmitted RACH preamble before receiving the RACH response is greater than the Interference Threshold valu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considers the interference to the corresponding uplink is large and restricts access to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ontinuously tries to request a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If the power of the last transmitted RACH preamble before receiving the RACH response is less than the Interference Threshold valu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considers that the interference to the corresponding uplink is small, and to the base station Maintain access restriction and the terminal does not request access to the base station.

상기 단말이 접속 요청을 하면, 상기 접속 요청 과정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자신이 기지국에 상향 링크 간섭이 크기 때문에 접속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접속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Setup request) 또는 접속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Setup Complete)에 전송할 때 1비트(bit)의 지시자(Interference Indicator)를 포함하거나 또는 연결 접속 요청 메시지의 cause 필드를 고도 간섭(high interference)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도 간섭(high interference)은 종래기술에 비해 새롭게 도입되는 cause 필드 이다.When the terminal makes an access request, in the access request process, the terminal informs the base station that it is accessing because the uplink interference to the base station is large. To this end, the terminal includes a 1-bit (Interference Indicator) when transmitting to the access request message (RRC Connection Setup request) or access completion message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to the base station or the connection connection request message The cause field may be set to high interference. Here, the high interference is a cause field newly intro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접속 과정에서 간섭 지시자(Interference Indicator)를 통해 접속이 거부될 경우 간섭을 많이 일으키는 단말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였을 경우, 해당 단말의 접속을 수용한다. 상기 해당 단말의 접속을 수용한 이후에, 상기 기지국은 추가적으로 핸드 오버 등 이동성 절차(Mobility procedure)를 통해 상기 해당 단말이 다른 주파수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해당 단말로부터 간섭을 피할 수 있다.When the base station recognizes that the terminal is a terminal causing a lot of interference when the connection is rejected through the interference indicator during the access process, the base station accepts the access of the terminal. After accommodating the acc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additionally avoid the interference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by moving the corresponding terminal to a different frequency through a mobility procedure (Mobility procedure).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RRC 연결 설정 절차뿐만 아니라, RRC 연결 재 연결 절차(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은 기지국이 HNB(home NB)인 경우 이외에 상기 단말이 해당 기지국으로의 접속이 특정한 이유로 제한되는 다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릴레이에 접속하려고 하는 경우, 또는 릴레이가 기지국에 접속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급상황에서, 비 멤버 CSG 단말이 접속이 제한된 셀에서의 접속 제한을 해지하는데도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above-described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but also for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except when the base station is HNB It may be used in other cases where it is limited for some reason.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terminal tries to access a relay or a relay attempts to access a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non-member CSG terminal to terminate the access restriction in the cell restricted access in an emergenc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무선상에서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단말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UE), 휴대폰, 셀룰라폰, DMB폰, DVB-H폰, PDA 폰, 그리고 PTT폰 등등)와, 노트북, 랩탑 컴퓨터, 디지털 TV와, GPS 네비게이션와, 휴대용 게임기와, MP3와 그 외 가전 제품 등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이다.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ypes of terminals that can use a service that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over the air. That is,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for example, user equipment (UE), mobile phone, cellular phone, DMB phone, DVB-H phone, PDA phone, and PTT phone, etc.) It is a comprehensive meaning including laptops, laptops, laptops, digital TVs, GPS navigation, handheld game consoles, MP3s, and other consumer electronics.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본 발명이 예시하고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 정보 수신을 위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송수신부, 처리부 또는 제어부, 저장부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ic hardware configuration (transmitter / receiver, processor or controller, storage, etc.) required to perform functions and operations for efficient system information reception illus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또는 기지국의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또는 기지국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thus far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internal memory of a mobile terminal or base station, flash memory, hard disk, etc.), and may be stored in a processor (eg, mobile terminal or base station). Code or instructions within a software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an internal microprocessor).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access)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 안에 포함된 제 1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제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제한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 안에 포함된 제 2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고도 간섭(high interference)에서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허용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셀에 대한 접속이 상기 고도 간섭에서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간섭을 추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추정된 간섭에 따라서 상기 셀에 대한 제한된 접속을 선택적으로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accessing a cell 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connection information from a network;
Determining whether access to the cell is restricted based on a first parameter included in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ccess to the cell is restricted, determining whether access to the cell is allowed in high interference based on a second parameter included in the received access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ccess to the cell is allowed in the high interference, estimating interference; And
Selectively terminating the restricted connection to the cell in accordance with the estimated interfere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간섭에 관련된 접속 제어 정보(access control inform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is access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interfere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의 제 1 파라미터는 간섭 접속 지시자(interference access indicator)이고 상기 접속 정보의 제 2 파라미터는 간섭 임계 값(interference threshol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The cell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arameter of the access information is an interference access indicator and the second parameter of the access information is an interference threshold. How to acc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HNB(Home NodeB) 또는 Macro Node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etwork is a Home NodeB (HNB) or a Macro NodeB.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의 상기 제1 및 제 2 파라미터들은 셀 특정 시그널링(cell specific signaling) 또는 UE 특정 시그널링(UE specific signaling)을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4. The cell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arameters of the access information are received through cell specific signaling or UE specific signaling. How to acc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은 하향링크 방향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사용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erence is estimated using a reference signal in the downlink direc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의 양은 상기 기준 신호의 품질과 관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mount of interference is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reference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은 상향링크 방향에 마지막으로 전송된 RACH(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preamble)의 전력을 사용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erence is estimated using the power of a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eamble transmitted last in the uplink direction.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의 양은 상기 마지막으로 전송된 RACH 프리앰블의 전력과 역(inverse)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mount of interference has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power of the last transmitted RACH preamble. 제 3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추정된 간섭이 상기 접속 정보 안에 포함된 상기 간섭 임계 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셀에 제한된 접속이 해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f the estimated inter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terference threshold contained in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en a restricted connection to the cell is terminated. . 제 3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추정된 간섭이 상기 접속 정보 안에 포함된 상기 간섭 임계 값 보다 작으면 상기 셀에 제한된 접속이 해지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셀(cell)에 접속하는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f the estimated interference is less than the interference threshold contained in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en no restricted connection to the cell is terminated. .
KR1020100030123A 2009-04-22 2010-04-01 Method of releasing an access restriction at high interference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211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64,668 US8335181B2 (en) 2009-04-22 2010-04-21 Method of releasing an access restriction at high interference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81809P 2009-04-22 2009-04-22
US61/171,818 2009-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531A true KR20100116531A (en) 2010-11-01
KR101621101B1 KR101621101B1 (en) 2016-05-13

Family

ID=4340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123A KR101621101B1 (en) 2009-04-22 2010-04-01 Method of releasing an access restriction at high interference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1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9406A4 (en) * 2011-05-10 2016-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6684B2 (en) 2003-12-01 2006-03-2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ccess point startup and initial channel selection processes
US8711786B2 (en) 2008-05-13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downlink code selection for femto cel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9406A4 (en) * 2011-05-10 2016-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72220B2 (en) 2011-05-10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101B1 (en)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6481B2 (en) Method of determining an access mode of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35181B2 (en) Method of releasing an access restriction at high interference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80350B2 (en) Method of mitigating interference in mixed frequency
KR101607331B1 (en) A radio resource group selection method for a radio resource management
KR10160334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upporting cs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09129A2 (en) Method of reporting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KR101619527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upporting cs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103352A (en) Method of handling an uplink synchronization timer during a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233807B (en) D2D operation method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11129050B2 (en) Method and device by which terminal performs frequency measurement
EP33004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calculating redistribution r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68022B1 (en) Method of determining an access mode of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21101B1 (en) Method of releasing an access restriction at high interference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89026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cell 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01731B1 (en) Method for camping to closed subscriber group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