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518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518A
KR20100116518A KR1020090098410A KR20090098410A KR20100116518A KR 20100116518 A KR20100116518 A KR 20100116518A KR 1020090098410 A KR1020090098410 A KR 1020090098410A KR 20090098410 A KR20090098410 A KR 20090098410A KR 20100116518 A KR20100116518 A KR 20100116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image
image signal
correction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4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준타 아사노
마사히코 요시야마
타카시 나카노
요시아키 오쿠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13,826 priority Critical patent/US8358334B2/en
Publication of KR2010011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5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2

Abstract

PURPOSE: A devic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is provided to supply a new or improved image processing device,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 program. CONSTITUTION: A differential signal deriving unit derives a differential signal which subtracts an input image signal of one side of a processing target from an input image signal of the other side of the processing target. A first weight applying unit(114) multiplies a first compensation coefficient with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A first determining unit(112)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The second determining unit(122)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method and a program.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우안(右眼)용 화상 신호 및 좌안(左眼)용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입체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크로스 토크(crosstalk)라고 불리는 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크로스 토크란, 예를 들면 좌안용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에 우안용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이 혼입되는 것 및/또는 우안용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에 좌안용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이 혼입되는 것을 말한다. 크로스 토크가 생긴 경우, 혼입된 화상은 일종의 노이즈가 된다. 따라서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방지하는(또는 크로스 토크의 영향을 줄이는) 것은 고화질화를 위해 중요하다.When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on the display screen based on the right eye image signal and left eye image signal constituting the stereoscopic image, a phenomenon called crosstalk occurs, for example. There is. Here, the crosstalk is a phenomenon in which, for example, an image represented by the right eye image signal is incorporated in the image represented by the left eye image signal and / or an image represented by the left eye image signal is mixed into the image represented by the right eye image signal Say. When crosstalk occurs, the mixed image becomes a kind of noise. Therefore,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rosstalk (or reducing the influence of crosstalk) is important for high image quality.

이러한 가운데 크로스 토크를 줄이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 신호를 보정함으로써 크로스 토크를 줄이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를 들 수 있다.Among these, techniques for reducing crosstalk have been developed. As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crosstalk by correcting an image signal constituting a stereoscopic image, there ar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선행 기술 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 1: 일본특표2009-507401호 공보*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Specification No. 2009-507401

*특허문헌 2: 일본특개평08-331600호 공보* Patent Document 2: JP-A-08-331600

크로스 토크를 줄이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하, 「종래의 기술」이라고 한다.)은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한쪽 화상 신호(예를 들면, 우안용 화상 신호)와 다른 쪽 화상 신호(예를 들면, 좌안용 화상 신호) 각각에 대해, 예를 들면 이하의 수식 1, 수식 2에 나타내는 보정을 한다. 여기에서 수식 1, 수식 2에서는 상기 한쪽 화상 신호를 "Rin", 보정 후의 한쪽 화상 신호를 "Rout", 상기 다른 쪽 화상 신호를 "Lin", 그리고 보정 후의 다른 쪽 화상 신호를 "Lout"으로 표시하였다. 또 수식 1, 수식 2에서는 크로스 토크량에 관한 보정 계수를 "α"로 표시하였다.Conventional techniques for reducing cross tal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are one image signal constituting a stereoscopic image (e.g., right eye image signal) and the other image signal (e.g., left eye). Image signal), for example, correction shown by the following expressions (1) and (2). In Equation 1 and Equation 2, the one image signal is " Rin ", the corrected one image signal is " Rout ", the other image signal is " Lin ", and the other image signal after correction is " Lout " It was. In addition, in Formula 1 and Formula 2, the correction coefficient regarding the crosstalk amount was represented by "(alpha)".

Rout=(Rin-Lin×α)/(1-α)2 Rout = (Rin-Lin × α) / (1-α) 2

Lout=(Lin-Rin×α)/(1-α)2 Lout = (Lin-Rin × α) / (1-α) 2

종래의 기술은 측정(예를 들면, 단안(單眼)의 광학 측정, 단안의 패턴 평가, 양안(兩眼)의 패턴 평가 등)에 기초한 크로스 토크량에 관한 보정 계수 "α"를 사용하여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각 화상 신호를 보정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화상 처리 장치(이하, 「종래의 화상 처리 장치」라고 부르기도 한다.)는 상 기 수식 1, 수식 2에 기초하여 입력된 각 화상 신호를 각각 보정함으로써 크로스 토크의 저감을 어느 정도는 꾀할 수 있다.Conventional techniques use a correction coefficient "?" Relating to the amount of crosstalk based on measurement (e.g., single-eye optical measurement, monocular pattern evaluation, binocular eye pattern evaluation, Each image signal constituting the image is corrected.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onventio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reduces the crosstalk by correcting each image signal input based on Equations 1 and 2, respectively. To some extent it can be planned.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수식 1, 수식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신호의 보정시에 누락되는 화상 신호(예를 들면, Rin에 대한 Lin(수식 1의 경우), 또는 Lin에 대한 Rin(수식 2의 경우)) 외에는 고려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기술은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 신호(Rin,Lin)가 어떠한 화상을 가리키는 화상 신호이든 "Lin×α"(수식 1의 경우) 또는 "Rin×α"(수식 2의 경우)에 의해 보정한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밤하늘에 휘도가 높은 보름달이 표시되는 입체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가 입력된 경우와, 낮하늘에 휘도가 높은 보름달이 표시되는 입체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가 입력된 경우 등과 같이 다른 입체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도 같은 보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크로스 토크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 입체 화상의 표시에서 한층 더 화질 향상이 요구되어 왔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shown in Equations 1 and 2, an image signal (e.g., Lin for Rin (in the case of Formula 1)) or Rin for Lin (Equation 2) that is missing when the image signal is corrected is shown. In the case of More specifically, in the conventional art, "Lin x alpha" (for Equation 1) or "Rin x alpha" (for Equation 2), regardless of whether an image signal (Rin, Lin) constitu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is an image signal indicating any image. ).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ample, when an image signal re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a full moon having a high luminance is displayed in the night sky is input and when an image signal representing a stereoscopic image in which a full- The same correction is made even when an image signal representing another stereoscopic image is input, such as in the case of the above. Therefore, even if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used, crosstalk may occur, and further improvement in image quality is required in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부분은 크로스 토크를 줄여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는 신규 또한 개량된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and improv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 program which can achieve high image quality by reducing cross tal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에서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감산한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Deriving a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one input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from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상기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에 소정의 보정 계수를 적용하는 단계,Applying a predetermined correction factor to the derived difference signal,

화소마다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signal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보정 계수가 적용된 차분 신호를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Selectively outputting the difference signal to which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is applied for each pixe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s a correction signal,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And correcting the one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the one input image signal and the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in the outputting step.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 토크를 줄여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high image quality by reducing cross tal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하는 제1 화상 처리부와,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하는 제2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처리부는,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에서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를 감산한 제1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제1 차분 신호 도출부와, 화소별로 상기 제1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제1 차분 신호에 제1 보정 계수를 곱하는 제1 가중치 매김부와, 상기 제1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정 계수가 곱해진 제1 차분 신호를 제1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 보정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와,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1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제1 신호 보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화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에서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 호를 감산한 제2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제2 차분 신호 도출부와, 화소마다 상기 제2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와, 상기 제2 차분 신호에 제2 보정 계수를 곱하는 제2 가중치 매김부와, 상기 제2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보정 계수가 곱해진 제2 차분 신호를 제2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보정 신호 출력부와,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와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2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제2 신호 보정부를 가진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image for selectively correcting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a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a second input image signal constituting a stereoscopic image And a second image processing section for selectively correcting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on a pixel-by-pixel basis based on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wherein the first image processing section includes: A first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first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from an input image signal, a first judgment unit for judging whether the first difference signal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A first weighting unit multiplying the first difference signal by a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and a first difference signal multiplied by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as a first correction signal; A first signal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a first correction signal output unit selectively outputting each pixel,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first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ted A second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second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from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a second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the second difference signal A second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alue is negative, a second weighting unit that multiplies the second difference signal by a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and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A second correction signal output section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multiplied second difference signal for each pixel as a second correction signal; and a second correction signal output section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th a second correction signal for correcting an out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is provided.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 토크를 줄여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high image quality by reducing cross talk.

또 상기 제1 가중치 매김부는 소정의 제1 보정 계수 또는 상기 제1 차분 신호에 따른 제1 보정 계수를 상기 제1 차분 신호에 곱하고, 상기 제2 가중치 매김부는 소정의 제2 보정 계수 또는 상기 제2 차분 신호에 따른 제2 보정 계수를 상기 제2 차분 신호에 곱해도 좋다.The first weighting unit may multiply a predetermined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or a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by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and the second weighting unit may include a predetermined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or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You may multiply the said 2nd correction signal by the 2nd correction coefficient based on a difference signal.

상기 구성에 의해 입력된 입력 화상 신호에 맞는 플렉서블한 보정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lexible correc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put image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의하면,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 각각을, 처리 대상의 입력 화상 신호로서 각각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에서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감산한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에 보정 계수를 곱하는 단계 와, 화소마다 상기 도출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input image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first input image signal, An image processing method which can be used for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processes as an input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respectively, comprising: deriving a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one input image signal of a processing target from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Multiplying the difference signal derived in step by a correction coeffici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signal derived in the deriving step for each pixel is a negative value;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곱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정 계수가 곱해진 차분 신호를 보정 신호로 하여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단계를 가진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Selectively outputting, as a correction signal, a differential signal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by the correction coefficient in each of the pixel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determining step;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method having the step of correcting the one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on the basis of the correction signal outputted by the.

상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크로스 토크를 줄여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By us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rosstalk and to achieve high image qua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의하면,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 각각을, 처리 대상의 입력 화상 신호로서 각각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에서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감산한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에 보정 계수를 곱하는 단계, 화소마다 상기 도출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곱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정 계수가 곱해진 차분 신호를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input image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first input image signal, A program applicable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processes as an input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respectively, comprising the steps of: deriving a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one input image signal of a processing target from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Multiplying the difference signal by a correction coefficient;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signal derived in the derivation step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determining step, the correction coefficient is Selectively outputting a multiplied difference signal for each pixel as a correction signal, A program is provided for causing a computer to perform the step of correcting the one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the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in the outputting step.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크로스 토크를 줄여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By using the above progra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rosstalk and to achieve high image quality.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al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어프로치)(Approach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이하, 「화상 처리 장치(100)」라고 한다.)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Before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henceforth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concerning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이하에서는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와 제2 입력 화상 신호가 화상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고, 화상 처리 장치(100)가 해당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것으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입력 화상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우안용 화상을 나타내는 우안용 화상 신호(또는 사용자의 좌안용 화상을 나타내는 좌안용 화상 신호)를 들 수 있고, 또 제2 입력 화상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좌안용 화상 신호(또는 우안용 화상 신호)를 들 수 있다. 또 이하에서는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와 제2 입력 화상 신호를 총칭하여 「입력 화상 신호」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Hereinafter,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constituting the stereoscopic image are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outputs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respectively It will be described as processing. Here, as a 1st input image signal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right-eye image signal (or the left-eye image signal which shows the user's left-eye image) is mentioned, for example. As a 2nd input image signal, a left eye image signal (or a right eye image signal) is mentioned, for example. In addition, below, the 1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2nd input image signal which comprise a stereoscopic image may be collectively called "input image signal."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100)는,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이하의 수식 3, 수식 4에 의해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 각각을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한다. 이하에서는 선택적으로 보정된 제1 입력 화상 신호를 「제1 출력 화상 신호」라고 부르기도 하고, 또 선택적으로 보정된 제2 입력 화상 신호를 「제2 출력 화상 신호」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이하에서는 제1 출력 화상 신호와 제2 출력 화상 신호를 총칭하여 「출력 화상 신호」라고 부르기도 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s 3 and 4 based on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constituting the stereoscopic image, And selectively corrects each of the two input image signals for each pixel. Hereinafter, the selectively corrected first input image signal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output image signal", and the selectively corrected second input image signal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output image signa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output image signal".

여기에서 수식 3, 수식 4에서는 제1 입력 화상 신호를 "Rin", 제1 출력 화상 신호를 "Rout", 제2 입력 화상 신호를 "Lin", 그리고 제2 출력 화상 신호를 "Lout"으로 표시하였다. 또 수식 3에서는 크로스 토크량에 관한 보정 계수를 "α"로 표시하고, 또 수식 4에서는 크로스 토크량에 관한 보정 계수를 "β"로 표시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정 계수α 및 보정 계수β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Equations 3 and 4,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is represented by "Rin",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is represented by "Rout",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is represented by "Lin",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is represented by "Lout". It was. In Equation 3, the correction coefficient related to the crosstalk amount was expressed as "α", and in Equation 4, the correction coefficient related to the crosstalk amount was expressed as "β". In addition, correction coefficient (alpha) and correction coefficient (beta) which concern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re mentioned later.

Figure 112009063314268-PAT00001
Figure 112009063314268-PAT00001

Figure 112009063314268-PAT00002
Figure 112009063314268-PAT00002

화상 처리 장치(100)는 수식 3, 수식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 화상을 구 성하는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Rin 또는 Lin)와, 누락되는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예를 들면, Rin에 대한 Lin(수식 3의 경우), 또는 Lin에 대한 Rin(수식 4의 경우))의 차분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보정한다. 즉, 화상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밤하늘에 휘도가 높은 보름달이 표시되는 입체 화상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 신호가 입력된 경우와, 낮 하늘에 휘도가 높은 보름달이 표시되는 입체 화상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 신호가 입력된 경우 등과 같이 다른 입체 화상을 나타내는 입력 화상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입력 화상 신호에 따른 보정을 입력 화상 신호 각각에 대해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input image signal (Rin or Lin) to be processed, which constitutes a stereoscopic image, and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for example, Rin One input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is selectively correc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Lin (for Equation 3) or Rin (for Equation 4) for Lin. In other word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s capable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for example, an input image signal re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a full moon having a high luminance is displayed in the night sky is input, When an input image signal representing another stereoscopic image is input, such as when an image signal is input, correction according to the input image signal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for each input image signal.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100)는 입력된 입력 화상 신호 각각에 대해 수식 3, 수식 4에 나타내는 보정을 함으로써 입력된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에 맞는 플렉서블한 보정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100)는 크로스 토크를 줄일 수 있어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realize flexible correction for the input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by correcting each input input signal in Equations 3 and 4.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reduce the cross talk and can achieve high image quality.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의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에 관한 처리][Process of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in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이하,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의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에 관한 처리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ing related to the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의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에 관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에서 도 1은, 화상 처리 장치(100)에 입력된 제1 입력 화상 신호, 제2 입력 화상 신호 중 하나를 처리 대상의 입력 화상 신호로 하고, 다른 입력 화상 신호를 사용하여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아울러 화상 처리 장 치(100)는 수식 3, 수식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 각각을 처리 대상의 입력 화상 신호로서 도 1에 도시한 처리를 한다. 도 1에서는 처리 대상의 입력 화상 신호, 즉 보정 대상의 입력 화상 신호를 「한쪽 입력 화상 신호」로 하고,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를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에 관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FIG. 1: is explanatory drawing for demonstrating an example of the process which concerns on the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Here,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of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s used as an input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and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is used to selectively correct Is shown as an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performs the processing shown in FIG. 1 as the input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with each of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as shown in Equations 3 and 4. 1, an input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that is, an input image signal to be corrected is referred to as " one input image signal ", and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is referred to as " The processing relating to the torque reduction approach will be described.

화상 처리 장치(100)는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에서 처리 대상의 한쪽 화상 신호를 감산한다(S100). 이하에서는,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에서 처리 대상의 한쪽 화상 신호를 감산한 결과의 신호를 「차분 신호」라고 한다. 즉,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의 단계S100의 처리는 차분 신호의 도출 처리에 해당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subtracts one image signal of the processing target from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S100). Hereinafter, the signal of the result which subtracted one image signal of a process target from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is called "differential signal." That is, the processing of step S100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orresponds to the derivation processing of the differential signal.

화상 처리 장치(100)는 단계S100에서 도출된 차분 신호에 보정 계수를 곱한다(S102). 여기에서 단계S102에서 곱해지는 보정 계수는, 예를 들면 누락되는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의 비율을 나타낸다. 단계S102에서 곱해지는 보정 계수로서는,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00)의 구성에 대응하는 소정 값(예를 들면, 「0<보정 계수<1.0」의 값)을 들 수 있는데,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00)는 차분 신호에 따른 값(예를 들면, 「0<보정 계수<1.0」의 값)을 보정 계수로 할 수도 있다. 화상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차분 신호의 신호 레벨과 보정 계수가 대응되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를 사용함으로써 차분 신호에 따른 보정 계수를 일의적으로 출력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ultiplies the difference signal derived in step S100 by the correction coefficient (S102). The correction coefficient multiplied in step S102 here represents,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that is missing. As the correction coefficient multiplied in step S102, for example,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a value of "0 <correction coefficient <1.0")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mentioned. It does not.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set the valu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signal (for example, the value of "0 <correction coefficient <1.0") as a correction coefficien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uniquely output the correc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signals, for example, by using a look up table in which the signal level of the difference signal and the correction coefficients correspond. It does not.

또 화상 처리 장치(100)는 단계S100에서 도출된 차분 신호에 기초하여 화소 마다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4).Further,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ifference signal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based on the difference signal derived in step S100 (S104).

단계S104에서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화상 처리 장치(100)는 해당 판정에 관한 화소에 대응하는 보정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S106).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04 that the difference signal is a negative valu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does not output a corr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ixel concerning the determination (S106).

또 단계S104에서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이라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상 처리 장치(100)는 해당 판정에 관한 화소에 대응하는 단계S102에서 보정 계수가 곱해진 차분 신호를, 해당 판정에 관한 화소에 대응하는 보정 신호로서 출력한다(S108).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4 that the difference signal is not a negative valu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outputs the difference signal multiplied by the correction coefficient in step S102 corresponding to the pixel for the determination to the pixel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And outputs it as a corresponding correction signal (S108).

화상 처리 장치(100)는 단계S104∼S108의 처리를 함으로써 화소마다 선택적인 보정을 실현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realizes selective correction for each pixel by performing the processing of steps S104 to S108.

아울러 도 1에서는, 단계S102의 처리 후에 단계S104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화상 처리 장치(100)는 단계S102의 처리와 단계S104의 처리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100)는 단계S102의 처리와 단계S104의 처리를 동기하여 수행할 수 있고, 또 단계S104의 처리 후에 단계S102의 처리를 할 수도 있다.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ocess of step S104 is performed after the process of step S102,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independently perform the process of step S102 and the process of step S104, respectively.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perform the processing of step S102 and the processing of step S104 in synchronization, or may perform the processing of step S102 after the processing of step S104.

화상 처리 장치(100)는 단계S104∼S108의 처리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한다(S110). 화상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한쪽 입력 화상 신호에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보정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화소마다 보정을 한다. 또 단계S110의 처리에서 보정된 입력 화상 신호는 출력 화상 신호(제1 출력 화상 신호/제2 출력 화상 신호)에 해당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orrects one input image signal based on the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by the processing of steps S104 to S108 (S110).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orrects for each pixel by subtracting, for example, a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for each pixel from one input image signal. The input image signal corrected in the process of step S110 corresponds to an output image signal (first output image signal / second output image signal).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처리를 함으로써, 수식 3에 나타내는 보정(한쪽 입력 화상 신호가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인 경우), 또는 수식 4에 나타내는 보정(한쪽 입력 화상 신호가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인 경우)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처리를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의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에 관한 처리가 도 1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performs, for example, the processing shown in FIG. 1 to perform the correction shown in Equation 3 (when one input image signal is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or the correction shown in Equation 4 (one input). And the image signal is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Therefore,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implement the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by performing the process shown in FIG. 1, for example.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ocess regarding the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화상 처리 장치(100))(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를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100)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realize the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1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여기에서 도 2는, 화상 처리 장치(100)가, 입력된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Rin과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을 각각 처리하고,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에 대응하는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과,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 대응하는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을 각각 출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100)가, 예를 들면 제1 입력 화상 신호Lin과 제2 입력 화상 신호Rin을 각각 처리하고, 제1 입력 화상 신호Lin에 대응하는 제1 출력 화상 신호Lout과 제2 입력 화상 신호Rin에 대응하는 제2 출력 화상 신호 Rout을 각각 출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2 shows tha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processes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constituting the input stereoscopic image, respectively,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 example of outputting the output image signal Rout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is shown.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L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Rin, for example, and outputs the first output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Li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figuration may output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Rout corresponding to the signal Lout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Rin, respectively.

여기에서 화상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입력 화상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등에 사용되는 디지털 신호를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입력 화상 신호는 아날로그 방송 등에 사용되는 아날로그 신호여도 좋다. 입력 화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화상 처리 장치(100)는 아날로그 신호로서의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00)는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도 2에 도시한 구성의 앞단에 구비함으로써 디지털 신호로서의 입력 화상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The input image signal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for example, a digital signal used for digital broadcasting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nput image signal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an analog signal used for analog broadcasting or the like. When the input image signal is an analog signal,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adopt an arrangement for processing an input image signal as an analog sig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process an input image signal as a digital signal by providing an A / D converter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t the front end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또 화상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입력 화상 신호는, 예를 들면 방송국에서 송신되어 화상 처리 장치(100)가 수신한 것으로 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입력 화상 신호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서 송신되어 화상 처리 장치(100)가 수신한 것이어도 좋고, 또는 화상 처리 장치(100)가 구비한 기억부(미도시)에 저장된 영상 파일이나 화상 파일을 화상 처리 장치(100)가 독출한 것이어도 좋다.The input image signal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transmitted by a broadcasting station and received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For example, the input image signal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via a network and received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or may be a storage unit included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read out an image file or an image file stored in (not shown).

여기에서 네트워크로서는,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유선 네트워크, 기지국을 사이에 둔 무선WAN(WWAN; Wireless Wide Area Network) 등의 무선 네트워크, 혹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인터넷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may be a wired network such as a LAN (Local Area Network),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with a base station therebetween, a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Internet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처리 장치(100)는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을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하는 제1 화상 처리부(102)와,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을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하는 제2 화상 처리부(104)를 구비한다. 아울러 이하에 도시한 제1 화상 처리부(102) 및 제2 화상 처리부(104)에서의 신호 처리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예를 들면, 신호 처리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신호 처리 소프트웨어)로 실현된다.2,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02 for selectively correcting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for each pixel, a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02 for selectively correcting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for each pixel, An image processing unit 104 is provided.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in the 1st image processing part 102 and the 2nd image processing part 104 shown below is implement | achieved by hardware (for example, a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 or software (signal processing software), for example. do.

또 화상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나, ROM(Read Only Memory. 미도시), RAM(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방송국 등에서 송신되는 입력 화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 영상 파일이나 화상 파일을 기억할 수 있는 기억부(미도시),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미도시), 외부 장치(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해도 좋다. 화상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bus)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 사이를 접속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lso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entir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 ROM (Read Only Memory (not shown), a RAM (Random Access Memory Communicating with a receiving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n input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etc., a storage unit (not shown) capable of storing an image file or an image file, an operation unit (not shown) operable by a user,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Not shown) may be provide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onnects between the above components by, for example, a bus as a data transmission path.

여기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예를 들면 MPU(Micro Processing Unit)나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개의 회로가 집적된 집적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또 제어부(미도시)는, 제1 화상 처리부(102) 및/또는 제2 화상 처리부(104)의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 ROM(미도시)은, 제어부(미도시)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미도시)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1차 기억한다.Here,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composed of, for example, an MPU (Micro Processing Unit) or an integrated circuit in which several circuits for realizing a control function are integrat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play a role of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02 and / or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04. The ROM (not shown) stores control data such as a program and an operation parameter used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RAM (not shown) primarily stores a program or the lik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또 기억부(미도시)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의 자기 기록매체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 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광자기 디스크(Magneto Optical Disk)를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조작부(미도시)로서는, 예를 들면 키보드(keyboard)나 마우스(mouse) 등의 조작 입력 디바이스나 버튼, 방향 키 혹은 이들 조합을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s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exampl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hard disk, an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a flash memory, a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MRAM), and the like.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eRAM) or a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and a magnetooptical disk.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oreover, as an operation part (not shown), for example, operation input devices, buttons, a direction key, or a combination thereof,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are mention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또 화상 처리 장치(100)와 외부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단자나 IEEE 1394규격의 단자 등을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어도 좋고 W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나 IEEE 802.11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 화상 처리 장치(100)와 외부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따라서 통신부(미도시)는 외부 장치(미도시)와의 접속 형태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가진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hrough, for example, a USB (Universal Serial Bus) terminal, an IEEE 1394 standard terminal, or the like, or may be a W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or IEEE 802.11. Or the like.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can also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has an interface according to a connection type wit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제1 화상 처리부(102)는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 기초하여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을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한다.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02 selectively corrects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for each pixel based on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제1 화상 처리부(102)의 구성예][Configuration example of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02]

제1 화상 처리부(102)는 제1 차분 신호 도출부(110)와, 제1 판정부(112)와, 제1 가중치 매김부(114)와, 제1 보정 신호 출력부(116)와 제1 신호 보정부(118)를 가진다.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02 includes a first differential signal derivation unit 110, a first determination unit 112, a first weighting unit 114, a first correction signal output unit 116, It has a signal corrector 118.

제1 차분 신호 도출부(110)는,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서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을 감산하여 연산 결과를 제1 차분 신호DiLR로서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1 차 분 신호 도출부(110)는, 예를 들면 가산기나 감산기 등으로 구성되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irst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110 subtracts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from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and outputs the calculation result as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DiLR. Here, although the 1st differential signal derivation part 110 is comprised, for example with an adder, a subtractor, etc.,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제1 판정부(112)는, 제1 차분 신호 도출부(110)에서 출력되는 제1 차분 신호DiLR에 기초하여 화소마다 제1 차분 신호DiLR이 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1 판정부(112)는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DoLR을 출력한다.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12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ifference signal DiLR is negative for each pixel based on the first difference signal DiLR output from the first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110.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12 outputs a signal DoL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여기에서 제1 판정부(112)는, 예를 들면 비교 측정기 등으로 구성되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제1 판정부(112)에서 출력되는 신호DoLR로서는, 예를 들면 판정 결과에 따른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신호를 들 수 있다. 제1 판정부(112)는, 예를 들면 제1 차분 신호DiLR이 음인 경우에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차분 신호DiLR이 음이 아닌 경우에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although the 1st determination part 112 is comprised, for example with a comparato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s the signal DoLR output from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12, for example, a high level signal and a low leve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an be given. For example,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12 outputs a low level signal when the first difference signal DiLR is negative, and outputs a high level signal when the first difference signal DiLR is not negative. But is not limited to.

제1 가중치 매김부(114)는, 차분 신호에 보정 계수를 적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1 차분 신호 도출부(110)에서 출력되는 제1 차분 신호DiLR에 제1 보정 계수α를 곱한다. 제1 가중치 매김부(114)는, 예를 들면 곱셈기 등으로 구성되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irst weighting unit 114 multiplies the first difference signal DiLR output from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derivation unit 110 by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By applying a correction coefficient to the difference signal. Although the 1st weighting part 114 is comprised by the multiplier etc., for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여기에서 제1 보정 계수α는, 예를 들면 측정(예를 들면, 단안의 광학 측정, 단안의 패턴 평가, 양안의 패턴 평가 등)에 기초한 화상 처리 장치(100)의 구성에 따른 소정 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는 제1 가중치 매김부(114)는, 예를 들면 제1 가중치 매김부(114)가 구비하는 ROM 등 기록매체나 기억부(미도시)에 기억된 보정 계수 정보(데이터)를 적절히 독출하여 처리한다.Here,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α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based, for example, on measurement (for example, monocular optical measurement, monocular pattern evaluation, binocular pattern evaluation, and the like). Can be. In this case, the first weighting unit 114 suitably reads out the correction coefficient information (data)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ROM or a storage unit (not shown) included in the first weighting unit 114 .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1 가중치 매김부(114)는, 소정 값의 제1 보정 계수α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가중치 매김부(114)는 차분 신호의 신호 레벨과 보정 계수가 대응된 룩업테이블과, 제1 차분 신호DiLR에 기초하여 제1 차분 신호DiLR에 따른 제1 보정 계수α를 사용하여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룩업테이블은, 예를 들면 제1 가중치 매김부(114)가 구비하는 ROM 등 기록매체나 기억부(미도시)에 기억되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상기 룩업테이블에 기록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측정(예를 들면, 단안의 광학 측정, 단안의 패턴 평가, 양안의 패턴 평가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룩업테이블에는 차분 신호가 클수록 값이 큰 보정 계수α가 대응되는 경향을 가진 정보가 기록되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1st weighting part 114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processed using the 1st correction coefficient (alpha) of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the first weighting unit 114 uses a lookup table to which the signal level of the differential signal and the correction coefficient correspond, and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α according to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DiLR based on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DiLR. May be processed. Here, the lookup table is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ROM included in the first weighting unit 114 or a storage unit (not shown),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look-up table is determined based on, for example, measurement (for example, optical measurement of monocularity, monocular pattern evaluation, binocular pattern evaluation, etc.). For example, information having a tendency to correspond to a correction coefficient? Having a larger value as a difference signal is recorded in the lookup tab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제1보정 신호 출력부(116)는 제1 판정부(112)에서 화소마다 출력되는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DoLR에 기초하여 제1 가중치 매김부(114)에서 보정 계수가 곱해진 제1 차분 신호를 제1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제1 보정 신호 출력부(116)는, 예를 들면 신호DoLR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스위칭하는 스위칭 회로 등으로 구성되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보정 신호 출력부(116)는 신호DoLR에 기초하여 보정 계수가 곱해진 제1 차분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1 보정 신호로서 출력 가능한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The first correction signal output section 116 outputs a first difference signal multiplied by a correction coefficient in the first weighting section 114 on the basis of the signal DoLR indica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utput for each pixel in the first decision section 112 And selectively outputs it as a first correction signal for each pixel. Although the 1st correction signal output part 116 is comprised by the switching circuit etc. which switch based on the signal level of the signal DoLR, for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For example, the first correction signal output section 116 may adopt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multiplied by the correc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signal DoLR as the first correction signal.

제1 신호 보정부(118)는 제1 입력 화상 신호Rin과, 제1 보정 신호 출력부(116)에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제1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을 화소마다 보정한다. 제1 신호 보정부(118)는, 예를 들면 제1 입력 화 상 신호Rin에서 제1 보정 신호를 화소마다 감산함으로써 보정을 한다. 여기에서 제1 신호 보정부(118)는, 예를 들면 가산기나 감산기 등으로 구성되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irst signal correction unit 118 corrects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for each pixel based on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first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for each pixel from the first correction signal output unit 116. do. The first signal correction unit 118 corrects by subtracting the first correction signal for each pixel from, for example,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Here, although the 1st signal correction part 118 is comprised with an adder, a subtractor, etc.,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그리고 제1 신호 보정부(118)는, 선택적으로 보정된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을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으로서 출력한다.The first signal correction unit 118 then outputs the selectively corrected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s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Rout.

제1 화상 처리부(102)는,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식 3에 나타내는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상 처리부(102)는,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를 실현하기 위한 제1 화상 처리부의 구성(수식 3을 만족하는 구성)이,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The 1st image processing part 102 can output the 1st output image signal Rout shown by Formula 3, for example by the above structure. Therefore, the 1st image processing part 102 can implement the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by the above structures, for example.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tructure (a structure which satisfy | fills Formula 3) of the 1st image processing part for implementing the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제2 화상 처리부(104)는,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 기초하여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을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한다.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04 selectively corrects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for each pixel based on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제2 화상 처리부(104)의 구성예][Configuration example of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04]

제2 화상 처리부(104)는, 제2 차분 신호 도출부(120)와, 제2 판정부(122)와, 제2 가중치 매김부(124)와, 제2 보정 신호 출력부(126)와, 제2 신호 보정부(128)를 갖는다. 여기에서 제2 화상 처리부(104)는, 제1 화상 처리부(10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제2 화상 처리부(104)를 구성하는 각 부는 각각 제1 화상 처리부(102)가 대응하는 각 부와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04 includes a second differential signal derivation unit 120, a second determination unit 122, a second weighting unit 124, a second correction signal output unit 126, And a second signal correction section 128. [ Here,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04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02, and each unit constituting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04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orresponding units of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02 It can have the same function and configur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차분 신호 도출부(120)는 제1 입력 화상 신 호Rin에서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을 감산하고 연산 결과를 제2 차분 신호DiRL로서 출력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deriving unit 120 subtracts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from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outputs the calculation result as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DiRL.

제2 판정부(122)는, 제2 차분 신호 도출부(120)에서 출력되는 제2 차분 신호DiRL에 기초하여 화소마다 제2 차분 신호DiRL이 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2 판정부(122)는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DoRL을 출력한다.The second determining unit 122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DiRL is negative for each pixel based on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DiRL output from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deriving unit 120. [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122 outputs a signal DoR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2 가중치 매김부(124)는, 제2 차분 신호 도출부(120)에서 출력되는 제2 차분 신호DiRL에 제2 보정 계수β를 곱한다.The second weighting unit 124 multiplies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DiRL output from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derivation unit 120 by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β.

여기에서 제2 보정 계수β는 제1 보정 계수α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측정에 기초한 화상 처리 장치(100)의 구성에 따른 소정 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는 제2 가중치 매김부(124)는, 예를 들면 제2 가중치 매김부(124)가 구비한 ROM 등 기록매체나 기억부(미도시)에 기억된 보정 계수 정보(데이터)를 적절히 독출하여 처리한다.Here, like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α,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β can be, for example,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based on the measurement. In this case, the second weighting unit 124 properly reads correction coefficient information (data)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ROM included in the second weighting unit 124 or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example. .

또 제2 가중치 매김부(124)는, 제1 가중치 매김부(114)와 마찬가지로 소정 값의 제2 보정 계수β, 또는 제2 차분 신호에 따른 제2 보정 계수β를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 제1 가중치 매김부(114)가 처리에 사용하는 제1 보정 계수α와 제2 가중치 매김부(124)가 처리에 사용하는 제2 보정 계수β는 동일 값(소정 값인 경우), 또는 동일한 룩업테이블에 기초한 값(차분 신호에 따른 값인 경우)으로 할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Similarly to the first weighting unit 114, the second weighting unit 124 can process using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β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or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β according to the second difference signal. Further,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α used by the first weighting unit 114 for processing and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β used by the second weighting unit 124 for processing are the same value (if a predetermined value), or the same lookup. The value based on the table (when the value depends on the differential signal) can be set,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제2 보정 신호 출력부(126)는, 제2 판정부(122)에서 화소마다 출력되는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DoRL에 기초하여, 제2 가중치 매김부(124)에서 보정 계수가 곱해진 제2 차분 신호를 제2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한다.The second correction signal output unit 126 is a second differenc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by the second weighting unit 124 based on the signal DoRL indica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utput for each pixel by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122. The signal is selectively output for each pixel as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제2 신호 보정부(128)는, 제2 입력 화상 신호Lin과, 제2 보정 신호 출력부(126)에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제2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을 화소마다 보정한다. 제2 신호 보정부(128)는, 예를 들면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서 제2 보정 신호를 화소마다 감산함으로써 보정한다. 그리고 제2 신호 보정부(128)는 선택적으로 보정된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을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으로서 출력한다.The second signal correction section 128 corrects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based on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and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for each pixel in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output section 126, . The second signal correction unit 128 corrects, for example, by subtracting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for each pixel from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The second signal correction unit 128 then outputs the selectively corrected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as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제2 화상 처리부(104)는,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식 4에 나타내는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화상 처리부(104)는,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를 실현하기 위한 제2 화상 처리부의 구성(수식 4를 만족하는 구성)이,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104 can output, for example,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shown in Equation 4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fore, the 2nd image processing part 104 can implement the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by the above structure, for example.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tructure (structure satisfying Formula 4) of the 2nd image processing part for implementing the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화상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 기초하여 수식 3에 나타내는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 및 수식 4에 나타내는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100)는 크로스 토크를 줄여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generates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Rout (Expression 3) shown in Expression 3 on the basis of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constituting the stereoscopic image by, for example,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shown in Expression (4).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achieve high image quality by reducing cross talk.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100)는, 수식 3에 관한 보정을 실현하는 제1 화상 처리부(102)와, 수식 4에 관한 보정을 실현하는 제 2 화상 처리부(10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화상 처리 장치(100)는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제1 입력 화상 신호Rin 또는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와, 누락되는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예를 들면,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에 대한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수식 3의 경우), 또는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 대한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수식 4의 경우))의 차분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보정한다.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100)는, 입력된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제2 입력 화상 신호Lin 각각에 대해 수식 3, 수식 4에 나타내는 보정을 함으로써 입력된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 맞는 플렉시블한 보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화상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실제 눈으로 접하는 화상(동화상/정지화상)을 고려한 거의 동일한 내용의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제2 입력 화상 신호Lin끼리의 휘도의 차분량을 기준으로 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화상 처리 장치와 같이 전휘도 및 0(제로)휘도의 차분량을 기준으로 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경우보다도 더욱 최적의 크로스 토크 보상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100)는 크로스 토크를 줄일 수 있어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the 1st image processing part 102 which implements the correction concerning Equation 3, and the 2nd image processing part 104 which implements the correction concerning Equation 4. . Her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one input image signal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or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of the processing target constituting the stereoscopic image, and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for example,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in the case of Equation 3) for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or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in the case of Equation 4) for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Is selectively corrected.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orrects each of the input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by the equations 3 and 4, thereby inputting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Flexible correction for the signal Lin can be realized.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s configured to set, based on the difference in luminance between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having almost the same contents considering the image (moving image / still image) touched by the user, Since the input image signal is corrected, more optimal crosstalk compensation can be realized than in the case of correcting the input image signal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amount between the full luminance and the zero (zero) luminance as in the conventio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reduce the cross talk and can achieve high image quality.

또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화상 처리 장치(100)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유기EL 디스플레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나 PC(Personal Computer), 서버(Server) 등의 컴퓨터, 휴대전화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의 휴대형 통신장치 등 여러가지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 화상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2의 각 부가 집적된 IC(Integrated Circuit)칩으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아울러 화상 처리 장치(100)의 표시장치에 대한 적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was mentioned and demonstrated a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the abov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form.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display device such as an organic EL displa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personal computer (PC), a server,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uch as computers, mobile phones,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also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each integrated IC (Integrated Circuit) chip of FIG. 2.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to the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프로그램)(Program about image processing apparatus)

컴퓨터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크로스 토크를 줄여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By us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function a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osstalk can be reduced to achieve high image quality.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표시장치(이하, 「표시장치(200)」라고 한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displa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play device 200") to which the image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2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표시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의 일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의 구성이 도 3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200 shown in FIG. 3 is one embodiment of the display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Not to m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200)는 화상 처리부(202)와 화상 표시부(204)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202 and an image display unit 204.

또 표시장치(200)는, 예를 들면 표시장치(200)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표시장치 제어부(미도시)나 ROM(미도시), RAM(미도시), 표시장치 기억부(미도시),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표시장치 조작부(미도시), 방송국 등에서 송신되는 입력 화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 외부 장치(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미도 시)를 구비해도 좋다. 표시장치(200)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전송로인 버스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 사이를 접속한다.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control unit (not shown), a ROM (not shown), a RAM (not shown), a display device storage unit (not shown) that can control the entire display device 200. (Not shown) for receiving an input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or the like, and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he display device 200 connects the above components by, for example, a bus that is a data transmission path.

여기에서 표시장치 제어부(미도시)는, 예를 들면 MPU나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개의 회로가 집적된 집적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또 표시장치 제어부(미도시)는, 화상 처리부(202)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ROM(미도시)은, 표시장치 제어부(미도시)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미도시)은, 표시장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1차 기억한다.Here,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not shown) is composed of, for example, an integrated circuit in which several circuits for realizing an MPU or a control function are integrated.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control unit (not shown) may serve as the image processing unit 202. The ROM (not shown) stores control data such as a program and an operation parameter used by the display device control unit (not shown). The RAM (not shown) primarily stores a program or the like executed by the display device control unit (not shown).

또 표시장치 기억부(미도시)는, 예를 들면 상기 보정 계수 정보나 상기 룩업테이블 등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입력 화상 신호를 각각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나 어플리케이션 등 여러가지 데이터를 기억한다. 표시장치 기억부(미도시)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매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표시장치 조작부(미도시)로서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조작 입력 디바이스나 버튼, 방향 키 혹은 이들 조합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urther, the display device storage unit (not shown) stores various data such as data and applications for correcting the correction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nput image signals constituting the stereoscopic image such as the lookup table, respectively. Examples of the display device storage unit (not shown)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hard disk and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oreover, as a display apparatus operation part (not shown), operation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buttons, a direction key, these combinations,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또 표시장치(200)와 외부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면 USB단자 등을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어도 좋고, 또 WUSB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 표시장치(200)와 외부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200)가 구비하는 통신부(미도시)는 외부 장치(미도시)와의 접속 형태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가진다.The display device 200 and the external device (not shown) may be physically connected via, for example, a USB terminal or wirelessly using WUSB or the like. The display device 200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may be connected via a network, for exampl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200 has an interface according to a connection type wit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화상 처리부(202)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처리부(202)는 입력된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 기초하여 제1 입력 화상 신호Rin과 제2 입력 화상 신호Lin 각각을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202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2, for example. Accordingly, the image processing unit 202 selectively corrects each of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on a pixel basis based on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constituting the input stereoscopic image. can do.

화상 표시부(204)는, 화상 처리부(202)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과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에 기초하여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이 나타내는 화상과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이 나타내는 화상을 각각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The image display unit 204 includes an image indicated by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Rout and an image indicated by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based on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Rout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202.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respectively.

[화상 표시부(204)의 구성예][Configuratio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 unit 204]

화상 표시부(204)는 표시부(206)와, 행구동부(208)와, 열구동부(210)와, 전원 공급부(212)와, 표시 제어부(214)를 구비한다.The image display unit 204 includes a display unit 206, a row drive unit 208, a column drive unit 210, a power supply unit 212, and a display control unit 214.

표시부(206)는 매트릭스 형태(행렬 형태)로 배치된 여러 개의 화소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SD(Standard Definition)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는, 적어도 640×480=307200(데이터선×주사선)의 화소를 가지고, 컬러 표시를 위해 해당 화소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서브 픽셀(sub pixel)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640×480×3=921600(데이터선×주사선×서브 픽셀의 수)의 서브 픽셀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HD(High Definition)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는 1920×1080의 화소를 가지고 컬러 표시인 경우에는 1920×1080×3의 서브 픽셀을 가진다.The display unit 206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matrix form).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of SD (Standard Definition) resolution has at least 640 × 480 = 307200 (data line × scanning line) pixels, and the pixels are red or green for color display. ), A sub pixel of 640 x 480 x 3 = 921600 (data line x scan line x number of sub pixels). Similarly, for exampl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n image having a high definition (HD) resolution has 1920 × 1080 pixels and, in the case of color display, has a 1920 × 1080 × 3 subpixel.

표시부(206)는, 예를 들면 화소마다 인가되는 전압량/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화소 회로는, 예를 들면 인가되는 주사 신호 및 전압 신호에 의해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 및 드라이브 소자와, 전압 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캐패시터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소자 및 상기 드라이브 소자는,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로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206 may be provided with a pixel circu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voltage / current applied to each pixel, for example. The pixel circuit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switch element and a drive elemen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by an applied scan signal and a voltage signal, and a capacitor for holding the voltage signal. The switch element and the drive element are composed of, for example, a thin film transistor.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는, 예를 들면 표시부(206)가 가진 여러 개의 화소에 전압 신호를 인가하여 각 화소를 발광시킨다. 여기에서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는 한쪽이 화소의 ON/OFF를 결정하는 전압 신호(주사 신호)를 인가하고, 다른 쪽이 표시시키는 화상에 따른 전압 신호(화상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The row driver 208 and the column driver 210 apply voltage signals to the pixels of the display unit 206 to emit light of each pixel. Here, the row drive unit 208 and the heat drive unit 210 apply a voltage signal (a scanning signal) for determining ON / OFF of a pixel and a voltage signal (image signal) according to an image to be displayed by the other It can play a role.

또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의 구동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행렬상에 배치된 화소마다 발광시키는 점순차 구동 주사 방식, 상기 행렬상에 배치된 화소를 1열마다 발광시키는 선순차 구동 주사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서는 표시장치(200)가 행구동부(208)와 열구동부(210) 2개의 구동부를 갖는 화상 표시부(204)를 구비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가 구비한 영상 표시부는 하나의 구동부를 가진 구성이어도 좋다.As the driving method of the row driver 208 and the column driver 210, for example, a dot sequential drive scanning method that emits light for each pixel disposed on the matrix, and a line that emits light for each column arranged in the matrix. A sequential drive scanning method,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although FIG. 3 shows the structure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is equipped with the image display part 204 which has two drive parts of the row drive part 208 and the column drive part 210,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For example, the video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drive section.

전원 공급부(212)는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에 전원을 공급하고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에는 전압이 인가된다. 또 전원 공급부(212)가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는, 예를 들면 화상 처리부(202)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에 따라 가 변된다.The power supply unit 212 supplies power to the row driver 208 and the column driver 210,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row driver 208 and the column driver 210.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212 to the row driver 208 and the column driver 210 is, for example,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Rout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202. Depends on.

표시 제어부(214)는, 예를 들면 MPU 등으로 구성되고 화상 처리부(202)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과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에 기초하여 행구동부(208) 또는 열구동부(210) 중 한쪽에 화소의 ON/OFF를 결정하는 전압을 화소에 인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또 다른 쪽에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 및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을 입력한다. 또 표시 제어부(214)는 화상 처리부(202)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 및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12)에 의한 행구동부(208) 및 열구동부(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214 is configured as, for example, an MPU or the like and is based on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Rout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202 and the row driver 208 or the column driver 210. A control signal for applying a voltage for determining ON / OFF of a pixel to a pixel is input to one of the pixels, and a first output image signal Rout and a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are input to the other pixel. The display control unit 214 also controls the row drive unit 208 and the heat drive unit 210 by the power supply unit 212 based on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Rout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202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화상 표시부(204)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화상 처리부(202)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 및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에 기초하여 제1 출력 화상 신호Rout에 따른 화상 및 제2 출력 화상 신호Lout에 따른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다.The image display unit 204 displays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Rout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based on the first output image signal Rout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202,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and the second output image signal Lou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표시장치(200)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입력되는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을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하고, 보정된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에 따른 화상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 따른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장치(200)가 구비하는 화상 처리부(202)는, 도 2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표시장치(200)는 화상 처리부(202)를 구비함으로써 크로스 토크가 줄어든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200 selectively corrects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constituting the stereoscopic image input by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Imag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 image processing unit 202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2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00 shown in FIG. 2.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n image processing unit 202 to display an image on which the crosstalk is reduced on the display screen.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가 편광 안경이나 액정 셔터 안경 등 외부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입체 화상을 시인(視認)하게 하는 구성이 아닌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시차 장벽에 관한 기구를 화상 표시부에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the structure which makes a user visually recognize a stereoscopic image using external devices, such as polarizing glasses and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concerning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a mechanism relating to parallax barriers in the image display uni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200)는, 상술한 화상 처리 장치(100)와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화상 처리부(202)를 구비한다. 따라서 표시장치(200)는 입력된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Lin 각각에 대해 수식 3, 수식 4에 나타내는 보정을 함으로써, 입력된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 맞는 플렉시블한 보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표시장치(200)는 화상 처리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실제 눈으로 접하는 화상(동화상/정지화상)을 고려한 거의 동일한 내용의 제1 입력 화상 신호Rin, 제2 입력 화상 신호Lin끼리의 휘도 차분량을 기준으로 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화상 처리 장치보다도 더욱 최적의 크로스 토크 보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표시장치(200)는, 화상 처리부(202)에서 보정된 제1 입력 화상 신호Rin에 따른 화상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Lin에 따른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따라서 표시장치(200)는 크로스 토크가 줄어든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고화질화를 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202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configuration a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200 corrects each of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constituting the input stereoscopic image by Equation 3 and Equation 4, thereby inputting the input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Flexible correction for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can be realized. Further, similarly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display apparatus 200 includes a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and a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of substantially the same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an image (moving image / still image) Since the input image signal is corrected on the basis of the luminance difference amount, more optimal crosstalk compensation can be realized than the conventio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display device 200 also displays on the display screen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Rin correc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202 and an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Lin. Therefore, since the display device 200 can display an image with reduced crosstalk on the display screen, the display device 200 can achieve higher image quality.

또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표시장치(200)를 전부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유기EL 디스플레이, LCD, PDP 등 각종 표시장치나 디지털 방송/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 등 여러가지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all the display apparatus 200 was demonstrated a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bov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form. For examp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n organic EL display, an LCD, a PDP, and a television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 analog broadcasting.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y are obviously also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컴퓨터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나아가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기억매체도 아울러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bove shows that a program (computer program) for functioning a computer a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 a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

상술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hows an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aturally belongs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의 크로스 토크 저감 어프로치에 관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1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rocessing relating to a crosstalk reduction approach i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ign *

100 화상 처리 장치100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2 제1 화상 처리부102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04 제2 화상 처리부104 Second image processing section

110 제1 차분 신호 도출부110 first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112 제1 판정부112 First judgment section

114 제1 가중치 매김부114 first weighting unit

116 제1 보정 신호 출력부116 first correction signal output unit

118 제1 신호 보정부118 first signal correction unit

120 제2 차분 신호 도출부120 second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122 제2 판정부122 second judgment unit

124 제2 가중치 매김부124 second weighting unit

126 제2 보정 신호 출력부126 Second correction signal output section

128 제2 신호 보정부128 second signal correction unit

200 표시장치200 display

202 화상 처리부202 Image Processing Unit

204 화상 표시부204 image display unit

Claims (13)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I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에서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감산한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Deriving a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one input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from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상기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에 소정의 보정 계수를 적용하는 단계,Applying a predetermined correction factor to the derived difference signal, 화소마다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signal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보정 계수가 적용된 차분 신호를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Selectively outputting the difference signal to which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is applied for each pixe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s a correction signal,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And correcting the one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the one input image signal and the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in the outputting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신호에 소정의 보정 계수를 적용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pplying a predetermined correction factor to the difference signal, 상기 차분 신호에 소정 값을 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And multiplying the difference signal by a predetermine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신호에 소정의 보정 계수를 적용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pplying a predetermined correction factor to the difference signal, 소정의 보정 계수 또는 상기 제1 차분 신호에 따른 보정 계수를 상기 차분 신호에 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multiplied by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or a correc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fferenc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ectively outputting the correction signal,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이라고 판정된 경우 화소에 대응하는 보정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When the difference signal is determined to be a negative value, does not output the corr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ixel,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이라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소정의 보정 계수가 곱해진 차분 신호를 화소에 대응하는 보정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And when the difference signal is not determined to be a negative value, output the difference signal multiplied by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s a corr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ix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와 다른쪽 입력 화상 신호는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우안용 화상 신호와 좌안용 화상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The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input image signal and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are a right eye image signal and a left eye image signal constituting a stereoscopic image.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 각각을, 처리 대상의 입력 화상 신호로서 각각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are respectively used as an input image signal for processing based on a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a second input image signal constituting a stereoscopic image. As an image processing method which can be,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에서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감산한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Deriving a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one input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from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상기 도출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에 보정 계수를 곱하는 단계,Multiplying the difference signal derived in the deriving step by a correction factor; 화소마다 상기 도출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signal derived in the deriving step for each pixel is a negative value;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곱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정 계수가 곱해진 차분 신호를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Selectively outputting the difference signal multiplied by the correction coefficients for each pixel as the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determining step,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And correcting the one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the one input image signal and the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in the outputting step.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에서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감산한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차분 신호 도출부;A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one input image signal of a processing target from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상기 차분 신호 도출부에서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에 소정의 보정 계수를 곱하는 가중치 매김부;A weighting unit to multiply the difference signal derived from the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with a predetermined correction factor; 화소마다 상기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A judging unit for judging whether the derived differential signal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중치 매김부에서 소정의 보정 계수가 곱해진 차분 신호를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보정 신호 출력부;A correction signal output section for selectively outputting, as a correction signal, a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multiplying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by the weighting section for each pixe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ection;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보정 신호 출력부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신호 보정부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And a signal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one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the one input image signal and the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from the correction signal output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매김부는 소정의 보정 계수 또는 상기 차분 신호에 따른 보정 계수를 상기 차분 신호에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8.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weighting unit multiplies the difference signal by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or a corre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신호 출력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rrection signal output unit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이라고 판정된 경우 화소에 대응하는 보정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When the difference signal is determined to be a negative value, does not output the corr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ixel,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이라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소정의 보정 계수가 곱해진 차분 신호를 화소에 대응하는 보정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And when the difference signal is not determined to be a negative value, output the difference signal multiplied by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s a corr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ixel. 제7에 있어서,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와 다른쪽 입력 화상 신호는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우안용 화상 신호와 좌안용 화상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one input image signal and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are a right eye image signal and a left eye image signal constituting a stereoscopic image.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하는 제1 화상 처리부, A first image processing section for selectively correcting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a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a second input image signal constituting a stereoscopic image,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보정하는 제2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고,And a second image processing section for selectively correcting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상기 제1 화상 처리부는,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에서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를 감산한 제1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제1 차분 신호 도출부,A first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first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from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화소별로 상기 제1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A first judging unit for judging whether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상기 제1 차분 신호에 제1 보정 계수를 곱하는 제1 가중치 매김부,A first weighting unit multiplying the first difference signal by a first correction factor, 상기 제1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정 계수가 곱해진 제1 차분 신호를 제1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 보정 신호 출력부,A first correction signal output unit selectively outputting a first difference signal multiplied by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on a pixel-by-pixel basis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와,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1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제1 신호 보정부를 가지고,And a first signal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first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상기 제2 화상 처리부는,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에서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를 감산한 제2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제2 차분 신호 도출부,A second difference signal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second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from the first input image signal, 화소마다 상기 제2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A second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상기 제2 차분 신호에 제2 보정 계수를 곱하는 제2 가중치 매김부,A second weighting unit multiplying the second difference signal by a second correction factor; 상기 제2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보정 계수가 곱해진 제2 차분 신호를 제2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보정 신호 출력부,A second correction signal output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second difference signal multiplied by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on a pixel-by-pixel basis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와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2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제2 신호 보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And a second signal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the second inpu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 매김부는 소정의 제1 보정 계수 또는 상기 제1 차분 신호에 따른 제1 보정 계수를 상기 제1 차분 신호에 곱하고,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weighting unit multiplies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by a predetermined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or a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first differential signal, 상기 제2 가중치 매김부는 소정의 제2 보정 계수 또는 상기 제2 차분 신호에 따른 제2 보정 계수를 상기 제2 차분 신호에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Wherein the second weighting unit multiplies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by a predetermined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or a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second differential signal. 입체 화상을 구성하는 제1 입력 화상 신호 및 제2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화상 신호 각각을, 처리 대상의 입력 화상 신호로서 각각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Applied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processes each of the said 1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said 2nd input image signal based on the 1st input image signal and the 2nd input image signal which comprise a stereoscopic image as an input image signal of a process target, respectively. As a possible program, 다른 쪽 입력 화상 신호에서 처리 대상의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감산한 차분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Deriving a differenc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one input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from the other input image signal, 상기 도출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에 보정 계수를 곱하는 단계,Multiplying the difference signal derived in the deriving step by a correction coefficient, 화소마다 상기 도출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차분 신호가 음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signal derived in the derivation step is a negative value for each pixel;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곱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정 계수가 곱해진 차분 신호를 보정 신호로서 화소마다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Selectively outputting the difference signal multiplied by the correction coefficients for each pixel as the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determining step,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와,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입력 화상 신호를 화소마다 보정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And correcting the one input image signal for each pixel based on the one input image signal and the correction signal selectively output in the outputting step.
KR1020090098410A 2009-04-22 2009-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KR201001165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13,826 US8358334B2 (en) 2009-04-22 2010-02-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3794A JP5356104B2 (en) 2009-04-22 2009-04-22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JP-P-2009-103794 2009-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518A true KR20100116518A (en) 2010-11-01

Family

ID=4331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410A KR20100116518A (en) 2009-04-22 2009-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56104B2 (en)
KR (1) KR20100116518A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614B2 (en) * 1995-05-30 2000-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stereoscopic video display device
JP2001258052A (en) * 2000-03-14 2001-09-21 Nippon Hoso Kyokai <Nhk>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56104B2 (en) 2013-12-04
JP2010258557A (en)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8586B (en) System for producing a color image, method for estimating and achievable gamut in a color electro-optic display, method of rendering a set of color image data on a color display device, image rendering system and docking station
US9368088B2 (en) Display, image processing unit,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83583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KR10092531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JP50636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ixel signals for driving a display, and display using the signals
US1059327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sharpness of an edge area
KR20110036670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image display device
KR20190052195A (en) Method of compensating for non-uniformity of luminance of a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JP201003904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signal, program,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signal
US20140176620A1 (en) Display unit,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EP2299725A2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e signal processing system
US960104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000048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progra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signal
JP4453754B2 (en) Display device, video signal correction device, and video signal correction method
JP498689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N110718178B (en)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30097507A (en) Color calibrator for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thereof
JP2010109794A (en) Video signal processor,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display device
US20120050263A1 (en) 3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3d images
KR201001165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KR20110128018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4003604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0105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progra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8067343A (en) Color correction circuit, driv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40307169A1 (en) Noise reduc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noise reduction method, and noise reduc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