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310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310A
KR20100116310A KR1020090034947A KR20090034947A KR20100116310A KR 20100116310 A KR20100116310 A KR 20100116310A KR 1020090034947 A KR1020090034947 A KR 1020090034947A KR 20090034947 A KR20090034947 A KR 20090034947A KR 20100116310 A KR20100116310 A KR 20100116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housing
substrate
conne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6310A/ko
Publication of KR2010011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면 일측에 배치된 다수개의 접속 패드들 사이에 댐이 구비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삽입된 렌즈 배럴;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패드가 구비된 전원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카메라 모듈, 기판, 하우징, 전원 연결 부재, 접속 패드, 솔더, 쇼트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판의 접속 패드들 사이에 댐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의 멀티 컨버전스 기기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장치중에 카메라 모듈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자동 초첨(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현 가능한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과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자기적인 힘에 의해 렌즈 모듈이 장착된 구동부가 상,하 구동되도록 함에 의해서 자동 초점이 수행되는 카메라 모듈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 자동 초점이 수행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렌즈 배럴이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는 전원 연결 부재 및 상기 전원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는 쉴드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전원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된 전극 패드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다수개의 접속 패드가 등간격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접속 패드는 솔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종종 솔더의 흘러 넘침으로 인하여 인접한 접속 패드간에 쇼트가 발생되어 전기적 연결이 차단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전체적인 카메라 모듈의 수율 및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제기되는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의 접속 패드들 사이에 댐을 구비함으로써 기판의 접속 패드와 전원 연결 부재의 전극 패드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는 기판과 전원 연결부재의 접합시 인접한 접속 패드간의 접착제의 유입을 차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 일측에 배치된 다수개의 접속 패드들 사이에 댐이 구비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삽입된 렌즈 배럴;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패드가 구비된 전원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때, 상기 댐은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댐의 높이는 상기 접속 패드 보다 높은 높이를 갖으며 상기 댐의 길이는 상기 접속 패드 보다 긴 길이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패드와 상기 전극 패드는 전도성 접착제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렌즈 배럴을 수직 이동시키는 구동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연결 부재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쉴드 케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기판의 접속 패드들 사이에 댐을 구비함으로써, 기판의 접속 패드와 전원 연결 부재의 전극 패드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는 기판과 전원 연결 부재의 접합시 인접한 접속 패드 간의 접착제의 유입을 차단하여 쇼트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기판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기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기판(110), 하우징(120), 렌즈 배럴(130), 상기 하우징(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원 연결 부재(140) 및 쉴드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중앙에 이미지센서(도면 미도시)가 장착되며, 상기 이미지센서가 안착된 영역의 일측으로 연장된 영역에는 상기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저항, 커넥터 등 각종 전자 부품들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기판(110)은 인쇄회로기판, 세라믹 기판, 연성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1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센서가 안착된 영역의 일측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접속 패드(113)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접속 패드(113)는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된 구동장치(도면 미도시)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전원 연결 부재(140)에 구비된 전극 패드(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패드(113)들 사이에는 댐(114)이 구비된다.
상기 댐(114)은 상기 기판(110)의 접속 패드(113)와 상기 전원 연결 부재(140)의 전극 패드(143) 접합 시 접착제가 상기 댐(113)에 의해 인접한 접속 패드(113)쪽으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댐(114)은 상기 접속 패드(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실크 스크린(slik screen) 인쇄 방식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때, 비전도성 물질은 실크 잉크 또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댐(114)의 길이(l)는 상기 접속 패드(113)보다 긴 길이를 갖으며, 그 높이(h)는 상기 접속 패드(113)보다 높은 높이 즉, 상기 접속 패드(113)와 상기 전극 패드(143) 연결시 접착제가 넘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댐(114)의 폭(w)은 상기 접속 패드(113)와 접속 패드 간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11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쉴드 케이스(150)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연결 패드(1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기판(110)의 상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0)의 상부에는 관통공(121)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21)을 통해 원통형의 상기 렌즈 배럴(130)이 내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 배럴(130)은 내부에 구비된 비구면 렌즈(L)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렌즈(L)가 적층 결합되어 구성되며, 외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이 상기 렌즈(L)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기판(1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수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 배럴(130)을 수직 이동시키는 구동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전원을 통해 구동되어 상기 렌즈 배럴(13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렌즈 배럴(130)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렌즈 배럴(130)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렌즈 배럴(130) 간의 거리 조정에 의해서 초점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를 이용한 모터 방식 또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방식의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 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연결 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2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소정 지점이 절곡 가능한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 부재(140)는 상기 기판(110)의 접속 패드(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전극 패드(14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극 패드(143)는 상기 기판(110)의 접속 패드(113)와 전도성 접착제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쉴드 케이스(150)는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해 상기 이미지센서의 구동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연결 부재(140)를 포함한 상기 하우징(120)의 사방 측벽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다.
상기 쉴드 케이스(150)의 중앙부에는 상기 렌즈 배럴(130)이 이동하는 관통부(15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패드(14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방부(153)가 구비되어 상기 전원 연결 부재(140)의 전극 패드(143)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개방부(153)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전극 패드(143)는 상기 접속 패드(113)와 접착제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쉴드 케이스(150)의 하단에는 상기 기판(110)의 연결 패드(115)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부(15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55)와 상기 연결 패드(115)는 솔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한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기판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기판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카메라 모듈 110 : 기판
113 : 접속 패드 114 : 댐
120 : 하우징 130 : 렌즈 배럴
140 : 전원 연결 부재 143 : 전극 패드
150 : 쉴드 케이스

Claims (8)

  1. 상면 일측에 배치된 다수개의 접속 패드 및 상기 접속 패드들 사이에 댐이 구비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삽입된 렌즈 배럴;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패드가 구비된 전원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의 높이는 상기 접속 패드 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의 길이는 상기 접속 패드 보다 긴 길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패드와 상기 전극 패드는 전도성 접착제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렌즈 배럴을 수직 이동시키는 구동장치가 더 포함된 카메라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 부재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인 카메라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쉴드 케이스가 더 포함된 카메라 모듈.
KR1020090034947A 2009-04-22 2009-04-22 카메라 모듈 KR20100116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947A KR20100116310A (ko) 2009-04-22 2009-04-22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947A KR20100116310A (ko) 2009-04-22 2009-04-22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310A true KR20100116310A (ko) 2010-11-01

Family

ID=4340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947A KR20100116310A (ko) 2009-04-22 2009-04-2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3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697B1 (ko) * 2013-03-20 2015-01-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실리콘 잉곳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697B1 (ko) * 2013-03-20 2015-01-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실리콘 잉곳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5735B2 (en)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047373B1 (ko) 카메라 모듈
KR101190253B1 (ko)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845089B1 (ko) 카메라 모듈
US20150131000A1 (en) Camera module having mems actuator, connecting method for shutter coil of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US9154674B2 (en) Camera module
KR101606960B1 (ko) 카메라 모듈
KR101008477B1 (ko) 카메라 모듈
KR100813599B1 (ko) 칩 내장형 기판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
KR20100020704A (ko) 카메라 모듈
KR20110127922A (ko)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080031570A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0904181B1 (ko)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KR20180110796A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0291444B (zh) 包括液体透镜的相机模块以及光学装置
KR102202197B1 (ko) 카메라 모듈
KR101003653B1 (ko) 카메라 모듈
KR101677523B1 (ko)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20075904A (ko) 카메라 모듈
KR20100116310A (ko) 카메라 모듈
KR20110030091A (ko) 카메라 모듈
US20220113456A1 (en) Camera module
CN113302905A (zh) 传感器驱动装置和相机模块
KR100772586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027741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