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102A -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102A
KR20100116102A KR1020090064323A KR20090064323A KR20100116102A KR 20100116102 A KR20100116102 A KR 20100116102A KR 1020090064323 A KR1020090064323 A KR 1020090064323A KR 20090064323 A KR20090064323 A KR 20090064323A KR 20100116102 A KR20100116102 A KR 20100116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er
noise
noise signa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570,230 priority Critical patent/US8320852B2/en
Publication of KR2010011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부가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부 신호의 명료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 신호는 송신부 잡음 신호와 송신부 음성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송신부가 수신부 잡음 신호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부 신호 중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는 제거하고,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는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송신부에서 강화할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량과, 상기 송신부에서 제거할 잡음 신호량을 명확하게 결정하여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킬 때 생기는 왜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음성 송신장치, 음성 신호 명료도, 잡음 제거, 음성 강화, 수신신호 잡음 예측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송신 장치에서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두 번째 방법으로는 수신 장치에서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상기와 같은 2가지 방법 중, 상기 첫 번째 방법인 송신 장치에서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송신 장치는 음원(音源) 신호인 송신부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송신부 신호는 음성 신호(이하, '송신부 음성 신호'라 칭함) 또는 잡음 신호(이하, '송신부 잡음 신호'라 칭함)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로 인해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명료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 여, 상기 송신부 신호에서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제거된 송신부 음성 신호를 수신 장치로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제거된 송신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좀 더 명료화된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성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인 상기 수신 장치에서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종래의 수신 장치는 음원 신호인 수신부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수신부 신호는 상기 송신부 신호와 유사하게, 음성 신호(이하, '수신부 음성 신호'라 칭함) 또는 잡음 신호(이하, '수신부 잡음 신호'라 칭함)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부 신호로부터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부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로 인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명료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에서는 상기 수신부 음성 신호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보다 더 큰 크기로 출력되므로, 상기 수신 장치의 사용자는 좀 더 명료한 수신부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키는 과정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었다.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 장치에서 송신부 잡음 신호의 제거에 따라 송신부 음성 신호의 변형이 일차적으로 발생하며, 수신 장치에서 수신된 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이 증가될 경우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변형은 또 한번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서 각각 음성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음성 신호가 두 번 변형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는 송신부 신호로부터 잡음 신호를 제거할 때, 예측된 잡음 신호를 바탕으로 제거할 잡음 신호의 양 즉, 잡음 신호 제거량을 정확히 결정해야 한다.
만일 상기 결정된 잡음 신호 제거량이 실제 잡음 신호량보다 상대적으로 클 경우 음성 신호는 왜곡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된 잡음 신호 제거량이 실제 잡음 신호량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에는 상기 잡음 신호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잡음 신호 제거량이 정확하게 결정되지 못할 경우 상기 음성 신호의 명료도는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잡음 신호 제거량을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를 위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부 신호로부터 송신부 잡 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음성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부 신호로부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제거된 송신부 음성 신호를 수신부 잡음 신호를 고려하여 강화하기 위한 음성 신호 송신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부가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수신부 잡음 신호를 고려하여 송신부 음성 신호를 강화하기 위한 음성 신호 송신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예측된 수신부 잡음 신호를 고려하여 송신부 음성 신호를 강화하고, 상기 강화된 송신부 음성 신호에 존재하는 추가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음성 신호 송신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부가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부 신호의 명료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 신호는 송신부 잡음 신호와 송신부 음성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에 있어서,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수신부 잡음 예측부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부 신호의 명료도를 증가시키는 증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 신호는 송신부 잡음 신호와 송신부 음성 신호를 포한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송신 장치에서 송신부 신호로부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제거된 송신부 음성 신호를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신 장치에서 송신부 잡음 신호 뿐만 아니라,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예측된 수신부 잡음 신호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를 강화시킴으로써,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를 고려함으로써, 상기 송신 장치에서의 잡음 신호 제거량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를 강화할 수 없더라도,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강화된 송신부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음성 신호가 수신 장치에서 좀 더 명료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 장치에서 수신 장치 주변의 잡음 신호를 고려하여 송신되는 음성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송신 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는 마이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0), 제1프레임화부(102), 제1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FFT'라 칭함)부(104),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 신호 복호화부(108), 제2프레임화부(110), 제2FFT부(112),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 음성 강화부(118), 신호 부호화부(120) 및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원 신호인 송신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0)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송신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송신부 신호는 음성 신호 또는 잡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화부(102)는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송신부 신호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분할한다. 그리고, 상기 제1FFT부(104)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송신부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1FFT부(104)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송신부 신호를 상기 프레임 단위로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로 출력한다.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는 상기 송신부 신호의 각 프레임별로 음성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지 또는 잡음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는 상기 잡음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잡음 신호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는 각 프레임별로 현재 프레임의 주파수 성분의 크기와 이전 프레임에서 예측된 잡음의 주파수 성분 크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는 현재 프레임의 특정 주파수 성분 크기가 이전 프레임에서 예측된 잡음의 주파수 성분보다 큰 경우 해당 주파수를 음성 신호가 포함된 주파수 성분으로 판단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는 현재 프레임의 특정 주파수 성분 크기가 이전 프레임에서 예측된 잡음의 주파수 성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해당 주파수를 잡음 신호만을 포함하는 주파수로 판단하고 잡음 예측값을 현재 프레임의 주파수 성분 크기에 맞추어 변경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는 다른 여러 방식의 음성 구간 검출(Voice Activity Detection: VAD)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잡음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을 예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측된 잡음 신호(이하 '송신부 잡음 신호'라 칭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송신부 신호와 함께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신호 복호화부(108)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부호화율(Coding rate) 정보 및 부호화된 신호가 포함된 패킷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패킷 신호에 포함된 부호화된 신호를 상기 패킷 신호에 포함된 부호화율 정보를 사용하여 복호화한다. 상기 패킷 신호에 포함된 부호화된 신호는 상기 수신 장치에 입력된 음성 신호 또는 잡음 신호(이하, '수신부 신호,라 칭함)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 신호는 상기 패킷 신호에 프레임 단위로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부호화율은 상기 부호화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지 또는 잡음 신 호인지에 따라 상기 패킷 신호에 각각 다른 값으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패킷 신호는 상기 수신 장치에서 생성되는데, 상기 패킷 신호의 생성 과정은 이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프레임화부(110)는 상기 복호화된 수신부 신호를 상기 프레임 단위로 분할한다. 그리고, 상기 제2FFT부(112)는 상기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수신부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수신부 신호는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에 상기 프레임 단위로 출력된다.
도 1에서는 상기 제1FFT부(104) 및 제2FFT부(112)가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FFT부(104) 및 제2FFT부(112)는 통합된 하나의 FFT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킷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와 잡음 신호의 부호화율은 각각 다르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상기 부호화율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부 신호의 각 프레임 별로 해당 프레임에 음성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또는 잡음 신호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상기 해당 프레임에 잡음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해당 프레임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주파수 성분별 에너지 크기를 검출한다.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상기 수신부 신호의 나머지 프레임들에서도 상기와 같이 잡음 신호의 주파수 성분별 에너지 크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상기 검출된 상기 잡음 신호의 주파 수 성분별 에너지 크기를 사용하여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프레임별로 산출한다. 이어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상기 산출된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프레임 단위로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로 출력한다.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로부터 출력된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로부터 출력된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와 수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비교한다. 즉,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비교하여 마스킹(masking) 현상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마스킹 현상이란 음향 심리학(psychoacoustics)에 개시된 개념으로, 두 가지 이상의 음원 신호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음원 신호가 다른 하나의 음원 신호에 가려져 사람의 귀에 인지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음성 신호와 잡음 신호가 동시에 존재할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이 잡음 신호의 음압 레벨보다 크다면 상기 잡음 신호는 상기 음성 신호에 마스킹되어 사람의 청각에 인지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상기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이 상기 잡음 신호의 음압 레벨보다 작다면, 상기 잡음 신호에 상기 음성 신호가 마스킹되어 사람의 청각에는 상기 잡음 신호만이 인지된다.
한편, 상기 마스킹 현상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에서 마스킹 임계값이 산출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음성 신호와 잡음 신호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상기 음성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이 상기 잡음 신호의 음압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잡음 신호는 사람의 청각에 인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음성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이 상기 잡음 신호의 음압 레벨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잡음 신호가 사람의 청각에 인지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마스킹 임계값의 사용으로 좀 더 정확하게 마스킹 현상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음압 레벨 즉, 주파수 크기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에 마스킹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의 사용자에게 청취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송신부 신호에서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는 제거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에 마스킹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수신 잡음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 장치의 사용자에게 청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 거하지 않는다. 대신,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이하' 송신부 음성 신호'라 칭함)를 좀 더 명료히 하기 위해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보다 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송신부 신호 전체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킨다. 그 효과로 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도 같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 사이의 비율, 즉 신호대 잡음비가 증가하여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명료도가 향상된다.
한편,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주파수별로 제거하거나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주파수별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신부 신호 및 수신부 신호의 주파수 영역을 임계 대역(critical band)으로 나누고, 각 임계 대역별로 주파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각 임계 대역별로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각 임계 대역별로 상기 마스킹 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임계 대역에서의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감소시킨다.
한편,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과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비교한다.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은 앞서 설명한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산출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즉,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은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가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주파수 성분 각각에 포함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산출된다.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이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거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에 마스킹되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이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가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에 마스킹된다.
따라서,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거한다.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모두 수행한 후, 상기 송신부 신호 및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상기 송신부 신호의 명료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비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은 각 임계 대역별로 비교될 수 있다. 즉,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각 임계 대역별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임계 대역에 포함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 증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특정 임계 대역에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특정 임계 대역에 포함된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큰 값을 갖도록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증가될 때,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잉여 송신부 잡음 신호가 존재할 경우 상기 잉여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도 같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상기 주파수 크기가 증가된 송신부 신호를 다시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는 상기 주파수 크기가 증가된 송신부 신호로부터 잡음 신호를 예측하고,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주파수 크기가 증가된 송신부 잡음 신호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비교하여 잡음 제거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상기 음성 강화부(118)에서 기 주파수 크기가 증가된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큰 값을 가 진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와 달리,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특정 임계 대역에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를 명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특정 임계 대역에 포함된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상기 송신부 신호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송신부 신호를 상기 신호 부호화부(12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과는 달리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가 명료한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각 임계 대역별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두 값의 비율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상기 계산된 두 값의 비율을 각 임계 대역별로 점수화한 후 합산하여, 전체 임계 대역에 대응되는 명료도 값을 산출한다.
이어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상기 산출된 명료도 값을 정의된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가 명료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가 명료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상기 송신부 신호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송신부 신호를 상기 신호 부호화부(120)로 출력한다.
상기 신호 부호화부(120)는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로부터 출력된 상기 송신부 신호를 부호화한다. 상기 송신부 신호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CELP(Code Excitation Liner Prediction) 부호화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된 송신부 신호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장치에서 송신 장치의 잡음 신호뿐만 아니라 수신 장치의 잡음 신호를 고려할 수 있어, 상기 송신 장치는 송신부 신호에서 제거될 잡음 신호량을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송신 장치는 음성 신호의 왜곡 현상을 방지하고, 좀 더 명료한 음성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살펴본 송신 장치는 상기 송신부 신호를 강화하는 음성 강화부(118) 및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를 모두 포함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음성 강화부(118) 및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상기 송신 장치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신 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 장치는 마이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0), 프레임화부(202), FFT부(204), 잡음 검출부(206), 신호 부호화부(208), 신호 복호화부(210) 및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원 신호인 수신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0)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수신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수신부 신호는 음성 신호 또는 잡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화부(202)는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수신부 신호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분할한다. 그리고, 상기 FFT부(204)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수신부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FFT부(204)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수신부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상기 잡음 검출부(206)로 출력한다.
상기 잡음 검출부(206)는 현재 입력되는 프레임이 음성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지 또는 잡음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잡음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잡음 검출부(206)에서 상기 잡음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했던 송신 장치의 송신부 잡음 예측부(206)에서의 잡음 신호 예측 방법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잡음 검출부(206)에서는 상기와 같은 잡음 신호 검출 과정에 따라 상기 수신부 신호를 음성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과 잡음 신호만 포함한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잡음 검출부(206)는 상기 음성 신호 프레임과 및 잡음 신호 프레임 구분 정보(이하 '신호 구분 정보'라 칭함)를 상기 수신부 신호와 함께 상기 신호 부호화부(208)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 부호화부(208)는 상기 신호 구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부 신호에서 음성 신호 프레임과 잡음 신호 프레임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 된 음성 신호 프레임과 잡음 신호 프레임을 각각 서로 다른 부호화율을 사용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 신호와 잡음 신호는 일례로, CELP 부호화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부호화부(208)는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에 대응되는 부호화율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부호화된 신호는 상기 패킷 신호에 프레임 단위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부호화부(208)에서 생성된 패킷 신호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신 장치로 송신된다.
한편,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 복호화부(210)는 상기 수신된 송신부 신호를 복호화한다. 그러면 상기 스피커는 상기 복호화된 송신부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에 입력된 잡음 신호를 식별할 수 있도록 패킷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패킷 신호에 포함된 부호화율을 사용하여, 수신되는 신호가 음성 신호인지 또는 잡음 신호인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이미 명료해진 음성 신호를 수신하게 되므로, 수신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각각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송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3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앞서 설명했던 도 1의 송신 장치의 구성부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00 단계에서 송신부 신호 즉, 음성 신호 또는 잡음 신호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0)는 302 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송신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304 단계에서 제1프레임화부(102)는 상기 디지털 변환된 송신부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고, 306 단계에서 상기 제1FFT부(104)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송신부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1FFT부(104)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송신부 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로 출력된다.
그러면 308 단계에서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는 상기 송신부 신호의 각 프레임별로 해당 프레임이 음성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지 또는 잡음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는 입력되는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잡음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을 식별함으로써 송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고,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부 신호와 함께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로 출력한다.
한편, 310 단계에서 상기 신호 복호화부(108)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부호화율 정보 및 부호화된 신호가 포함된 패킷 신호를 수신하고, 312 단계에서 상기 패킷 신호에 포함된 부호화된 신호를 상기 패킷 신호에 포함된 부호화율 정보를 사용하여 복호화한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화부(110)는 314 단계에서 상기 복호화된 수신 신호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분할한다. 이어 상기 제2FFT부(112)는 316 단계에서 상기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수신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수신 신호를 상기 프레임 단위로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로 출력한다.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318 단계에서, 입력되는 프레임으로부터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상기 패킷 신호에 포함된 부호화율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부 신호의 각 프레임 별로 음성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지 또는 잡음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해당 프레임이 잡음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 경우, 상기 잡음 신호의 주파수 성분별 에너지 크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상기 수신부 신호의 나머지 프레임들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잡음 신호의 주파수 성분별 에너지 크기를 검출한다.
이어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는 상기 검출된 상기 잡음 신호의 주파수 성분별 에너지 크기를 사용하여 프레임별로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산출한다.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에서 산출된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은 프레임 단위로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로 출력된다.
320 단계에서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106)로부터 출력된 송신부 잡음 신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114)로부터 출력된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사용하여 송신부 잡음 신호와 수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각 임계 대역별로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을 비교하여, 각 임계 대역별로 상기 마스킹 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특정 임계 대역에서의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 322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특정 임계 대역에서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거한다. 즉, 상기 322단계에서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특정 임계 대역에서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감소시킨다.
한편,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320 단계에서 상기 특정 임계 대역에서의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324 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322 단계가 수행되고 난 후, 각 임계 대역별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과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특정 임계 대역에서의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 의 마스킹 임계값이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특정 임계 대역에서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특정 임계 대역에서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감소시킨다. 이는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가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에 마스킹되어 상기 수신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송신부의 음성 신호를 명료하게 청취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는 상기 특정 임계 대역에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이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거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에 마스킹되어,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제거하지 않아도 상기 수신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청취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324 단계에서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각 임계 대역별로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과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비교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에 마스킹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수행된다.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상기 324 단계에서 특정 임계 대역에서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이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에 마스킹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326 단계에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킨다. 즉,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상기 특정 임계 대역에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상기 수신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더 큰 값을 갖도록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증가되면, 상기 송신부 잡음 제거부(116)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잉여 송신부 잡음 신호의 주파수 크기도 같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상기 주파수 크기가 증가된 음성 신호(이하, '제1송신부 음성 신호'라고 칭하기로 함)로부터 상기 주파수 크기가 증가된 잉여 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다시 308 단계로 돌아간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했던 320~324 단계가 재수행된다. 상기 320~324 단계는 상기 324 단계에서 상기 제1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보다 큰 값을 가질 때까지 반복된다.
한편,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상기 특정 임계 대역에서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값이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주파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송신부 음성 신호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에 마스킹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송신부 음성 강화부(118)는 상기 제2송신부 음성 신호를 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328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8 단계에서 상기 음성 강화부(118)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상기 송신부 신호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송신부 신호를 상기 신호 부호화부(1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신호 부호화부(120)는 330 단계에서 상기 송신부 신호를 부호화 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송신 장치의 잡음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수신 장치의 잡음 신호를 고려함으로써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킨다.
게다가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켜 송신하기 때문에, 상기 수신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수신 장치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킬 수 없더라도 좀 더 명료한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송신 장치의 동작 과정에서 상기 송신 장치는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과정과, 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모두 수행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두 가지 과정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4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앞서 설명했던 도 2의 수신 장치의 구성부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0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수신부 신호가 입력된 경우, 402 단계에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0)는 상기 입력된 수신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입력된 수신부 신호는 음성 신호 또는 잡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화부(202)는 404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수신부 신호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분할한다. 그리고, 상기 FFT부(204)는 406 단계에서 상기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수신부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FFT부(204)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수신부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상기 수신부 잡음 예측부(206)로 출력된다.
상기 잡음 검출부(206)는 408 단계에서 현재 입력되는 프레임이 음성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지 또는 잡음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수신부 잡음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잡음 검출부(206)는 상기 잡음 신호 검출 과정에 따라, 410 단계에서 상기 수신부 신호를 음성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과 잡음 신호만 포함된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잡음 검출부(206)는 상기 음성 신호 프레임 및 잡음 신호 프레임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구분 정보를 상기 수신부 신호와 함께 상기 신호 부호화부(208)로 출력한다.
그러면, 412 단계에서 상기 신호 부호화부(208)는 상기 신호 구분 정보에 따라 구분된 음성 신호 프레임 및 잡음 신호 프레임을 각각 서로 다른 부호화율을 사용하여 부호화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부호화부(208)는 414 단계에서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에 대응되는 부호화율을 사용하여 패킷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패킷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안테나는 416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패킷 신호를 상기 송신 장치로 송신한다.
한편, 400 단계에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부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신 호 복호화부(232)는 418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송신부 신호를 복호화한다. 이어 상기 스피커는 420 단계에서 상기 복호화된 송신부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이미 음압 레벨이 증가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게 되므로, 별도로 상기 송신부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수신부 신호에서 잡음 신호와 음성 신호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패킷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므로, 상기 송신 장치는 보다 간단하게 상기 수신 장치의 잡음 신호를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송신 장치의 구성도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신 장치의 구성도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송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인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인 제어 흐름도.

Claims (11)

  1.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부가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부 신호의 명료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 신호는 송신부 잡음 신호와 송신부 음성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의 신호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 신호의 명료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은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를 비교하는 제1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감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와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를 비교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는 송신부의 신호 송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비교 결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송신부의 신호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 레벨이 증가된 송신부 음성 신호인 제1송신부 음성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와 상이한 제1송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송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송신부 잡음 신호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감소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와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를 비교하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하는 송신부의 신호 송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를 수신부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송신부의 신호 송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킨 후, 상기 제3과정 내지 제5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송신부의 신호 송신 방법.
  7.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에 있어서,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수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수신부 잡음 예측부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부 신호의 명료도를 증가시키는 증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 신호는 송신부 잡음 신호와 송신부 음성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부는,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송신부 잡음 예측부와,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를 제1비교하고, 상기 제1비교 결과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감소시키는 잡음 제거부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와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를 제2비교하는 음성 강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강화부는,
    상기 제2비교 결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 잡음 예측부는,
    상기 음압 레벨이 증가된 송신부 음성 신호인 제1송신부 음성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부 잡음 신호와 상이한 제1송신부 잡음 신호를 예측하는 제3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송신부 잡음 신호를 상기 잡음 제거부로 전달하고,
    상기 잡음 제거부는, 상기 제1송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송신부 잡음 신호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감소시키는 제4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음성 강화부는,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와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를 비교하는 제5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부 잡음신호가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를 수신부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부 잡음 신호가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제1송신부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킨 후, 상기 제3과정 내지 제5과정을 반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KR1020090064323A 2009-04-21 2009-07-15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116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70,230 US8320852B2 (en) 2009-04-21 2009-09-30 Method and apparatus to transmit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657 2009-04-21
KR20090034657 2009-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102A true KR20100116102A (ko) 2010-10-29

Family

ID=4313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323A KR20100116102A (ko) 2009-04-21 2009-07-15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1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085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transmit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FI116643B (fi) Kohinan vaimennus
US9646621B2 (en) Voice detector and a method for suppressing sub-bands in a voice detector
RU2251750C2 (ru) Обнаружение активности сложного сигнала для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классификации речи/шума в аудиосигнале
JP3963850B2 (ja) 音声区間検出装置
KR102317686B1 (ko) 잡음 환경에 적응적인 음성 신호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546468B1 (ko) 잡음 억제 시스템 및 방법
US7558729B1 (en) Music detection for enhancing echo cancellation and speech coding
JP5326051B2 (ja) 音声コーデックを備えた補聴器および方法
KR101038964B1 (ko) 에코 제거/억제 방법 및 장치
US201201167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Voice Quality in Mobile Device
CN111145767B (zh) 解码器及用于产生和处理编码频比特流的系统
EP0819302A1 (en) Arrangement and method relating to speech transmission and a telecommunications system comprising such arrangement
KR20040005860A (ko) 음성 통신에서의 위로 잡음 생성 방법 및 시스템
EP3815082B1 (en) Adaptive comfort noise parameter determination
KR100848798B1 (ko) 배경 노이즈의 고속 동적 추정을 위한 방법
EP2743923B1 (en) Voice processing device, voice processing method
US81448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and suppression of echo in packet based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frame energy estimation
EP15153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coding with noise suppression
JP5468020B2 (ja) 音響信号復号装置及びバランス調整方法
KR20170055515A (ko)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프리에코 판별 및 감쇠
KR101539268B1 (ko) 수신기의 잡음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100116102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71171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voice quality of a vocoder
CN112334980B (zh) 自适应舒适噪声参数确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