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806A - 계량기 검사대 - Google Patents

계량기 검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806A
KR20100113806A KR1020090032318A KR20090032318A KR20100113806A KR 20100113806 A KR20100113806 A KR 20100113806A KR 1020090032318 A KR1020090032318 A KR 1020090032318A KR 20090032318 A KR20090032318 A KR 20090032318A KR 20100113806 A KR20100113806 A KR 20100113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test
fixed block
inle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054B1 (ko
Inventor
이흥순
Original Assignee
세화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화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화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0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0Element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parts
    • G01D11/12Element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parts using fluid dam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0092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for metering by volu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02Bearings or suspensions for moving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기 검사대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시험계량기를 복수개 검사하는 계량기 검사대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제1 고정블럭과;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제2 고정블럭과; 상기 제1 고정블럭과 상기 제2 고정블럭 사이에 상호 이격배치되며, 상기 유입공 및 상기 배출공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복수의 연결블럭과; 상기 연결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봉과; 상기 제1 고정블럭과 그 제1 고정블럭에 인접한 상기 연결블럭 사이와, 상기 연결블럭들 사이와, 상기 제2 고정블럭과 그 제2 고정블럭에 인접한 상기 연결블럭 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시험계량기들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가압래버를 포함하며, 상기 시험계량기들과 상기 연결봉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량기 검사대{Test bench for flow meters}
본 발명은 계량기 검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시험계량기를 일체로 회전시키면서 검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계량기 검사대에 관한 것이다.
유체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때, 그 유량을 적산하여 사용한 유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는 사용한 유량을 오차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계량기를 이용하여 유량을 반복적으로 측정할 때, 그 유량이 허용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여야 우수한 계량기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계량기의 성능을 반복적으로 측정할 때 계량기 자체의 성능 문제뿐만 아니라 측정하는 설비가 계량기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계량기의 성능을 평가할 때, 시험대상이 되는 시험계량기에 유체를 흘려보내어 공급된 유체의 양과 시험계량기의 적산표시부에 표시된 유량의 오차를 측정하여 그 시험계량기의 성능을 평가하게 된다.
그런데, 시험계량기의 내부에 공기가 잔존하는 경우에, 유량의 반복측정시 재현성을 방해하여 정확한 반복측정의 장애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험계량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기 위하여, 시험계량기에 유체를 공급한 상태에서 시험계량기를 뒤짚고, 시험계량기의 내부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진공펌프로 빼내어 시험계량기의 잔존 공기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때 다수의 시험계량기를 측정하는 검사대에서 그 다수의 시험계량기를 일체로 회전시키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시험계량기의 성능을 동시에 측정하는 계량기 검사대에 있어서, 각 시험계량기의 잔존공기를 용이하게 빼내어 반복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시험계량기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계량기 검사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는,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시험계량기를 복수개 검사하는 계량기 검사대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제1 고정블럭과,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제2 고정블럭과, 상기 제1 고정블럭과 상기 제2 고정블럭 사이에 상호 이격배치되며 상기 유입공 및 상기 배출공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복수의 연결블럭과, 상기 연결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봉과, 상기 제1 고정블럭과 그 제1 고정블럭에 인접한 상기 연결블럭 사이와, 상기 연결블럭들 사이와, 상기 제2 고정블럭과 그 제2 고정블럭에 인접한 상기 연결블럭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시험계량기들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가압래버를 포함하며, 상기 시험계량기들과 상기 연결봉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블럭의 유입공과 상기 시험계량기의 유입구를 연결시키는 제1 부시와, 상기 제2 고정블럭의 배출공과 상기 시험계량기의 배출구를 연결시키는 제2 부시와, 상기 제1,2 부시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2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봉의 양단부 각각에는 상기 시험계량기의 유입구 및 배출구가 삽입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시에는 상기 시험계량기의 유입구가 삽입체결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시에는 상기 시험계량기의 배출구가 삽입체결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과 상기 제1,2 결합홈에는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부재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 부시의 외주면에는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블럭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는, 연결봉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시험계량기가 연결봉과 함께 일체로 회전가능하므로 시험계량기에 잔존하는 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는 시험계량기, 예컨대 수도계량기 등을 복수개 검사하는데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도2에서 가압래버의 작동 전후의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는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11)와 배출구(12)를 구비하는 시험계량기를 복수개 검사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0)와, 제1,2 고정블럭(20,30)과, 연결블럭(40)과, 연결봉(50)과, 가압래버(6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복수의 시험계량기가 장착된다.
상기 제1 고정블럭(20)은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며,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블럭(30)은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며, 상기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공(3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블럭(40)은 상기 제1 고정블럭(20)과 상기 제2 고정블럭(30) 사이에 복수개가 상호 이격배치되며, 상기 유입공(21) 및 상기 배출공(31)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연결공(4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블럭(40)은 상기 제1 고정블럭(20)과 상기 제2 고정블럭(3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베이스(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연결봉(50)은 일측에 시험계량기의 유입구(11)가 삽입체결되고, 타측에 시험계량기의 배출구(12)가 삽입 체결되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봉(50)은 시험계량기와 함께 일체로 상기 연결공(4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봉(50)의 양단부 각각에는 상기 시험계량기의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삽입체결되는 체결홈(51)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래버(60)는 상기 제1 고정블럭(20)과 그 제1 고정블럭에 인접한 상기 연결블럭(40) 사이와, 상기 연결블럭(40)들 사이와, 상기 제2 고정블럭(30)과 그 제2 고정블럭에 인접한 상기 연결블럭(40) 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시험계량기(1)들을 일측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래버(60)는, 손잡이부(61)와 가압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61)는 상기 제2 고정블럭(30)에 힌지축(61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62)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6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할 슬라이딩부재(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는, 제1 부시(70)와, 제2 부시(80)와, 제1,2 베어링(90,100)과, 슬라이딩부재(13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부시(70)는 상기 제1 고정블럭(20)의 유입공(21)과 상기 시험계량기의 유입구(11)를 연결시킨다. 상기 제1 부시(70)는 상기 유입공(21)에 삽입되지 않도록 유입공(21)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1 걸림부(72)와, 상기 유입공(21)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삽입부(7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걸림부(72)에는 상기 시험계량기의 유입구(11)가 삽입체결되는 제1 결합홈(71)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30)는 상기 가압래버(60)가 하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배 출구(12)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시험계량기를 일측으로 가압밀착시키는 중공형의 부재로서, 상기 배출구(12)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131)와, 상기 배출구(12)에 삽입되지 않도록 배출구(1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부(62)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턱(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부시(80)는 상기 제2 고정블럭(30)의 배출공(31)과 상기 시험계량기의 배출구(12)를 연결시킨다. 상기 제2 부시(8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에 삽입되지 않는 제2 걸림부(82)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에 회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삽입부(8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걸림부(82)에는 상기 시험계량기의 배출구(12)가 삽입체결되는 제2 결합홈(81)이 형성된다.
상기 제1,2 베어링(90,100)은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된 복수의 시험계량기를 일체로 180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 상기 제1,2 부시(70,8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 트러스트 볼 베어링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베어링(90)은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부시(70)의 제1 걸림부(72) 사이에서 상기 제1 부시(7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2 베어링(100)은 상기 슬라이등부재의 돌출턱(132)과 상기 제2 부시(80)의 제2 걸림부(82) 사이에서 상기 제2 부시(8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는 공급된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패킹부재(110)와 오링(12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패킹부재(110)는 상기 체결홈(51)과 상기 제1,2 결합홈(71,81)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게 위해서, 상기 체결홈(51)과 상기 제1,2 결합홈(71,81)에 삽입 된다.
상기 오링(120)은 상기 제1 부시(70)의 외주면과 유입공(21) 사이와, 상기 제2 부시(80)의 외주면과 상기 슬라이딩부재(130) 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1,2 부시(70,8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130)의 슬라이딩부(131)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과 배출공(31) 사이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120)이 결합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연결블럭(40)에 연결봉(50)에 삽입하고, 연결봉(50)의 양측에 각각 시험계량기의 유입구(11)와 배출구(12)를 끼워서 결합한다.
제1 고정블럭(20)과 연결블럭(40) 사이와, 연결블럭(40)과 연결블럭(40) 사이와, 제2 고정블럭(30)과 연결블럭(40) 사이에 시험계량기를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그 후, 도3a의 상태에서 가압래버(60)를 하방으로 내리면 가압래버(60)의 가압부(62)가 슬라이딩부재(130)의 돌출턱(132)을 가압하여 슬라이딩부재(130)가 시험계량기 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시험계량기가 일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킨다.
이어서, 유입공(21)을 통해 유체가 공급되면, 제1 고정블럭(20)에 인접한 시험계량기로부터 제2 고정블럭(30)에 인접한 시험계량기까지 유체가 순차적으로 흐르면서 시험계량기는 그 유량을 적산한다.
이때, 시험계량기에 잔존하는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시험계량기 일체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계량기가 설치되는 원위치(시험계량기의 적산표시부(미도시)가 상측을 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유입공(21)을 통해 공급된 유체가 제2 고정블럭(30)에 인접한 시험계량기를 통해 배출되면 유입공(21)과 배출공(31)을 일시적으로 폐쇄시키고, 시험계량기와 연결봉(50)을 파지하여 180도 회전시킨다.
이때, 가압래버(60)에 의해 시험계량기가 일측으로 가압되어 연결봉(50)의 체결홈(51)에 시험계량기가 견고하고 삽입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연결봉(50)은 연결블럭(40)의 연결공(4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2 부시(70,80)에는 베어링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시험계량기와 연결블럭(40)과 제1,2 부시(70,80)는 일체로 180도 회전된다.
그러면, 도5와 같이 시험계량기가 뒤짚어진 상태(시험계량기의 적산표시부(미도시)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시험계량기의 잔존하는 공기를 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어서, 다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계량기의 적산표시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배치시키고, 유입공(21)과 배출공(31)을 개방시켜 유체가 흐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험계량기에 잔존하는 공기를 시험계량기를 뒤짚어 제거함으로써 시험계량기의 유량계측 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복수개의 시험계량기의 유량계측 성능을 동시에 검사하는 본 실시예 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는, 복수의 시험계량기를 용이하게 180도 회전시키는 효과를 제공하여, 시험계량기의 유량계측 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 실시예에 채용된 가압래버의 작동전후 단면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검사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험계량기 10... 베이스
20... 제1 고정블럭 30... 제2 고정블럭
40... 연결블럭 50... 연결봉
60... 가압래버 70... 제1 부시
80... 제2 부시 90... 제1 베어링
100... 제2 베어링 110... 패킹부재
120... 오링

Claims (5)

  1.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시험계량기를 복수개 검사하는 계량기 검사대에 있어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며,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공(21)이 형성된 제1 고정블럭(20);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며, 상기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공(31)이 형성된 제2 고정블럭(30);
    상기 제1 고정블럭(20)과 상기 제2 고정블럭(30) 사이에 상호 이격배치되며, 상기 유입공(21) 및 상기 배출공(31)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연결공(41)이 형성된 복수의 연결블럭(40);
    상기 연결공(4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봉(50); 및
    상기 제1 고정블럭(20)과 그 제1 고정블럭에 인접한 상기 연결블럭 사이와, 상기 연결블럭(40)들 사이와, 상기 제2 고정블럭(30)과 그 제2 고정블럭에 인접한 상기 연결블럭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시험계량기(1)들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가압래버(60)를 포함하며,
    상기 시험계량기(1)들과 상기 연결봉(50)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검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블럭의 유입공(21)과 상기 시험계량기의 유입구(11)를 연결시키는 제1 부시(70);
    상기 제2 고정블럭의 배출공(31)과 상기 시험계량기의 배출구(12)를 연결시키는 제2 부시(80); 및
    상기 제1,2 부시(70,8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2 베어링(90,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검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50)의 양단부 각각에는 상기 시험계량기의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삽입체결되는 체결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시(70)에는 상기 시험계량기의 유입구(11)가 삽입체결되는 제1 결합홈(7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시(80)에는 상기 시험계량기의 배출구(12)가 삽입체결되는 제2 결합홈(8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51)과 상기 제1,2 결합홈(71,81)에는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부재(11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검사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부시(70,80)의 외주면에는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12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검사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40)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검사대.
KR1020090032318A 2009-04-14 2009-04-14 계량기 검사대 KR101086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318A KR101086054B1 (ko) 2009-04-14 2009-04-14 계량기 검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318A KR101086054B1 (ko) 2009-04-14 2009-04-14 계량기 검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806A true KR20100113806A (ko) 2010-10-22
KR101086054B1 KR101086054B1 (ko) 2011-11-22

Family

ID=4313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318A KR101086054B1 (ko) 2009-04-14 2009-04-14 계량기 검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0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7870A (zh) * 2016-04-15 2016-07-06 洛阳功航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跨河道水文检测装置
US20160349100A1 (en) * 2013-04-15 2016-12-01 OW Investors, LLC. (dba MARS Company) Modular fluid meter test bench
TWI582896B (zh) * 2015-08-18 2017-05-11 由田新技股份有限公司 氣浮載台
KR20190006108A (ko) * 2017-07-06 2019-01-17 (주)에프엔씨 수도계량기의 성능 검사용 연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9100A1 (en) * 2013-04-15 2016-12-01 OW Investors, LLC. (dba MARS Company) Modular fluid meter test bench
US9891089B2 (en) * 2013-04-15 2018-02-13 OW Investors, LLC. Modular fluid meter test bench
TWI582896B (zh) * 2015-08-18 2017-05-11 由田新技股份有限公司 氣浮載台
CN105737870A (zh) * 2016-04-15 2016-07-06 洛阳功航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跨河道水文检测装置
KR20190006108A (ko) * 2017-07-06 2019-01-17 (주)에프엔씨 수도계량기의 성능 검사용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054B1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054B1 (ko) 계량기 검사대
JP2011506931A (ja) 熱交換器の漏れの検査方法及び装置
CN101271034B (zh) 一种燃气表密封性检测方法及其检测装置
CN102680545A (zh) 用于检测电解质项目和总二氧化碳的测试仪器
US20080184779A1 (en) Seal for tube
CN102589938B (zh) 转炉煤气人工取样装置
CN106053387B (zh) 一种呼出气体检测方法及装置
US201601697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exposure of a hydrocarbon on a component
KR200463311Y1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누수검사, 토크측정 및 신뢰성테스트 장치
CN204479250U (zh) 一种燃气表输气状态下密封性检测装置
US200902076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ultrapure solvent blends
KR101129659B1 (ko) 이동식 유량계교정장치를 구비하는 유량교정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량측정시스템 검사방법
CN106338357B (zh) 一种倒u型管压差计及方法
CN112857694A (zh) 移动式恒压密封性检测系统
CN210664914U (zh) 一种油管密封性检具
US20160003723A1 (en) Hose kink resistanct testing device
JP2012130842A (ja) 逆浸透膜淡水化装置及び逆浸透膜淡水化装置の検査方法
KR102025872B1 (ko) 고정식 필터 종합 시험 장비
CN2847236Y (zh) 数字式毛细管流量测试装置
CN202494591U (zh) 转炉煤气人工取样装置
CN205280291U (zh) 一种液压元件微小泄漏量的测量装置
CN111269798B (zh) 一种自来水中药物残留的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3472022A (zh) 一种在线检测水质中硫化物浓度的光纤传感器装置及检测方法
CN112229687A (zh) 一种零泄漏煤气自动取样装置及取样方法
JP4281001B2 (ja) ガスリーク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