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251A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251A
KR20100113251A KR1020090031727A KR20090031727A KR20100113251A KR 20100113251 A KR20100113251 A KR 20100113251A KR 1020090031727 A KR1020090031727 A KR 1020090031727A KR 20090031727 A KR20090031727 A KR 20090031727A KR 20100113251 A KR20100113251 A KR 20100113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creen
display
menu
us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도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3251A/en
Publication of KR20100113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2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build sympathy between a viewer and a display device when the menu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reacts to the movement of viewer. CONSTITUTION: A menu screen generator(10) creates the menu screen expressed in 3D(Dimensional) space. A location perception unit(30) senses the location of a viewer through infrared photo receiver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and outputs the location information. A controller(20) changes the display type of the menu screen marked through the display unit(4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senses the location of the viewer based on the received time point of the infrared signal crea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of infrared photo receivers.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allow a display form of a menu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apparatus to be changed in response to a user's movement.

근래에 이르러, 디스플레이장치(예를 들면, TV, Set Top Box, 모니터)의 기능은 다양화 및 복잡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메뉴 화면 역시 다양화되고 복잡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In recent years, the functions of display apparatuses (eg, TVs, set top boxes, and monitors) have been diversified and complicated. Accordingly, the menu screens provided through the screens of display apparatuses as user interface means have also been diversified and complicated. There is a tendency to become.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이 많아짐에 따라,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각각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들의 개수 역시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을 시각적으로 정렬하기 위해, 메뉴항목들이 상하 계층 구조로 되어 있는 메뉴화면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addition, as functions of the display apparatus increase, the number of menu items for executing respective functions on the menu screen also increases. Therefore, in order to visually align them, a menu screen in which menu items are hierarchically structured is widely us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되는 메뉴 화면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nu screen form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된 메뉴화면은 사용자가 메 뉴 키를 입력하였을 경우, 화면이 각각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선택메뉴를 보여주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user inputs a menu key, the menu screen form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played in a form in which the screen shows a selection menu for executing respective functions.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항목에는 설정 메뉴(Set Up), 옵션 메뉴(Option), 영상 메뉴(Picture), 음성 메뉴(Audio), 시간 메뉴(Time) 블루투스 메뉴(Bluetooth) 등이 존재한다.The displayed menu items include a set menu, an option menu, an image menu, a picture menu, an audio menu, a time menu, and a Bluetooth menu.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되는 메뉴화면은 시청자의 동작에 대해, 단순히 기능 선택 및 정보 제공을 위한 기능에 국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메뉴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단순히 기능 선택 및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반응만이 있을 뿐이다.However, the menu screen form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imited to a function for simply selecting a func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viewer's operation,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is simply a function selection and information. There is only a reaction that displays on the screen.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메뉴 항목들을 사용자가 일견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청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electing a menu item more intuitively to the user and also allowing the user to see the selected menu items at a glance is requir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 및 동작 형태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form and the operation form of the menu screen may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 빈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항목들이 각각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items selected by the user may have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menu selection by the user.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oposed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ar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oposed embodiments belong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화면에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메뉴화면 생성부; 상기 메뉴화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시청 위치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위치 감지부를 통해 출력되는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 menu on a screen represented by a three-dimensional space, comprising: a menu scree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menu screen represented by the three-dimensional space;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menu screen generated by the menu screen generator; A position detector which detects a viewing position of the user and outputs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a control unit for changing a display form of a menu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position sens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화면에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따라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될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menu on the screen represent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the step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ser; Determining a display direction of a menu screen to be expressed in the 3D space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r position; Generating a menu screen express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direction;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menu scree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시청자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이미지가 반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와 시청자 간의 감성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메뉴화면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에게 즐거움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reacts as the viewer moves, thereby forming an emotional consensus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viewer, and also the menu of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provided by the scree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fun to the user.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The propos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inventions which are further deteriorated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component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de. I can sugges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as a general term widely used as possible, but in some cases, the term i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name of a simple term It should be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a meaning of terms.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other word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ord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other elements or steps than those lis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메뉴화면을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menu screen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intuitively interface with the display devic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메뉴화면 생성부(10)와, 상기 메뉴화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사용자의 시청 위치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30)와, 상기 위치 감지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menu screen generation unit 10 for generating a menu screen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 display unit 20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generated through the menu screen generation unit, and A menu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0 based on the position detector 30 for detecting a viewing position of the user and outputting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position detector 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40 for changing the display form of the screen.

이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메뉴화면 생성부(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부(40)의 제어하에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메뉴화면)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에서, 메뉴화면 생성부(10)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OSD 생성부, 그래픽 카드의 일 영역, 영상을 3D(3-Dimension)로 처리할 수 있는 3D 그래픽 엔진 및 해당 프로그램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menu screen generator 10 generates and outputs a predetermined interface screen (menu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according to a user input. Here, the menu screen generation unit 10 may include an OSD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interface screen, a region of the graphics card, a 3D graphics engine capable of processing an image in 3D (3-Dimension), and a corresponding program.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그리고, 메뉴화면 생성부(10)는 후술할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메 뉴를 갖는 인터페이스 화면(메뉴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는 복수의 메인항목과 메인항목에 대한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nu screen generation unit 10 may generate an interface screen (menu screen) having a predetermined menu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menu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in items and a plurality of sub items for the main items.

여기서, 메뉴화면 생성부(10)가 메인항목 및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를 후술할 바와 같이 원근감을 갖도록 3D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메뉴화면 생성부(10)는 2차원 좌표에서 메뉴를 처리하며, 사용자가 3차원으로 느낄 수 있도록 거리에 따른 표시상태를 달리할 수 있다.Here, the menu screen generating unit 10 may display a menu having a main item and a sub item on the display unit 20 by 3D processing to have a perspective as described below. At this time, the menu screen generation unit 10 processes the menu in two-dimensional coordinates, and may change the display state according to the distance so that the user can feel in three dimensions.

또는, 메뉴화면 생성부(10)는 3차원 엔진을 포함하여, 콘텐츠 정보의 기하학적인 형상을 3차원 좌표계를 사용하여 모델링(Modeling)하고, 3 차원 형상을 2 차원 평면에 투영(Projection)하고, 생성된 3 차원 형상의 색상과 명암을 추가(Rendering)하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랜더링 과정은 그래픽에 그림자나 색채의 변화와 같은 3 차원적인 질감을 더하여 현실감을 추가하는 과정으로서, 감추어진 면의 제거(Hidden Surface Removal), 쉐이딩(Shading), 텍스쳐 매핑(Texture Mapp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enu screen generation unit 10 includes a three-dimensional engine to model a geometric shape of the content information using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project the three-dimensional shape onto a two-dimensional plane, The process of rendering the color and contrast of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shape is performed. Here, the rendering process is a process of adding realism by adding three-dimensional textures such as shadows or color changes to graphics, such as hidden surface removal, shading, texture mapping, and the like. It may include.

이와 같이, 메뉴화면 생성부(10)가 3차원 엔진을 포함하여 3차원 좌표계로 각 콘텐츠정보의 표시상태를 산출하여 각 콘텐츠정보를 원근감을 갖는 3차원 좌표로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면, 2차원 좌표로 처리한 것보다 보다 개선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메뉴 화면은 3차원 다면체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차원 다면체는 육면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메뉴화면은 상기 기재된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enu screen generating unit 10 calculates the display state of each piece of content information in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engine and displays each piece of content information in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having a perspective, the display unit 2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n improved interface screen than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s. In addition, the menu screen express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polyhedron. 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polyhedron may be a hexahedron, and the menu screen represented by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orm.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메뉴화면 생성부(10)를 통해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타입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isplay unit 20 is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through the menu screen generating unit 10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type of display module.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ena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That is, the display unit 20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isplay modules, such as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enal (PDP), and the like, which display video data.

위치 감지부(30)는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조작하고 있는 시청자의 위치를 파악한다.The position sensor 3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viewer who is currently operating the display apparatus.

여기에서, 상기 위치 감지부(30)는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적외선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될 수도 있다. Here, the position sensing unit 3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nfrared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front image of the display device.

이하, 상기 위치 감지부(30)의 구성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sition sens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감지부(30)는 다수의 적외선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ing unit 3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도 3은 상기 위치 감지부(3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osition sensor 30.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감지부(30)는 제 1 적외선 수광부(31)와, 제 2 적외선 수광부(32)와, 제 3 적외선 수광부(33)와, 제 4 적외선 수광부(34)와, 제 5 적외선 수광부(35)와, 제 6 적외선 수광부(36)와, 제 7 적외선 수광부(37)와, 제 8 적외선 수광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적외선 수광부의 구성 개수를 8개로 한정하였지만, 상기 적외선 수광부의 구성 개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개수에서 늘어날 수도 또는 줄어들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position detecting unit 30 includes a first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31, a second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32, a third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33, and a fourth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 34, the 5th infrared light receiving part 35, the 6th infrared light receiving part 36, the 7th infrared light receiving part 37, and the 8th infrared light receiving part 38 are comprised.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is limited to eight, but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from the number.

상기 구비된 제 1~8 적외선 수광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detecting the user's position using the first to eight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특정 키를 입력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적외선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발생된 적외선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된 제 1~8 적외선 수광부를 통해 수신되게 된다.First, when a user inputs a specific key for displaying the menu screen using a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ler generates an infrare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from the user, and the infrared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to eighth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이때,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적외선 수광부에는 각각 서로 다른 시점에 상기 발생된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generated infrared signal is received at each different point of time at each of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측 하단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특정 키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 3 적외선 수광부(33)를 통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발생된 적외선 신호가 가장 먼저 수신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 specific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at the lower left of the display device, the infrared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is first received through the third infrared light receiver 33.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측 하단에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특정 키를 입력하였다면,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와 가장 근접해 있는 적외선 수광부는 상기 제 3 적외선 수광부(33)임을 확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user inputs a specific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at the lower left of the display device,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identified as the third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33.

따라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발생된 적외선 신호가 상기 제 3 적외선 수광부(33)를 통해 가장 먼저 수신된 경우에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디스플레 이장치의 좌측 하단임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nfrared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is first received through the third infrared light receiver 33,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current user's position is the lower left of the display device.

이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다수의 적외선 수광부를 통한 적외선 신호의 수신 시점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적외선 신호의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ception timings of the infrared signals through the plurality of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he location of the current user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ception timing of the infrared signal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감지부(30)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는 웹캠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30 may be configured as a camera. Here, the camera may be replaced with a webcam.

즉, 상기 카메라로 구성된 위치 감지부(3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 영상, 좌측 영상, 하측 영상, 우측 영상 및 상측 영상을 각각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감지부(30)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That is, the position sensor 30 configured as the camera captures the front image, the left image, the bottom image, the right image and the top image of the display device, respectively. The location sensor 30 analyzes the photographed imag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얼굴은 특정 패턴(머리, 얼굴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촬영된 영상의 레벨을 분석하면 현재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user's face is formed in a specific pattern (head, face, etc.), by analyzing the level of the photographed image, the image of the current user's face can be confirmed.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영상의 촬영 방향을 기준으로 개략적인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user is confirm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user may be grasped based o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identified image.

또한, 상기와 같이 촬영 방향을 파악한 이후에는 해당 촬영 영상내에서 실제 사용자가 촬영된 위치를 확인하여, 보다 세부적인 사용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determin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of the actual user in the photographed image may be checked to determine a more detailed user loca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감지부(30)는 다수의 적외선 수광부 또는 카메라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감지부(30)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detecting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hrough a plurality of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or cameras. 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may be replaced by another means capable of detecting a user position.

즉, 하나의 특정 적외선 수광부만을 이용하여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외선 신호가 수신된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That is, the position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by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using only one specific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and detecting an angle at which the infrared signal is received.

제어부(4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40 controls each unit of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2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로부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라는 신호가 수신되면,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되는 메뉴화면이 생성되도록 상기 메뉴화면 생성부(1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40 may generate the menu screen to generate a menu screen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when a signal for displaying the menu screen on the display unit 20 is received from the user. (10) can be controlled.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되는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결정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e display form of the menu screen represented by the three-dimensional space.

즉, 상기 제어부(4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특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위치 감지부(3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전달받은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메뉴화면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결정한다.That is, when a specific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40 receives user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location sensor 30.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menu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user location information.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위치 감지부(30)를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전달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기준이 되는 절대적 혹은 상대적인 좌표값을 계산한다. 여기에서, 상기 좌표값은 3차원 공간을 나타내는 임의의 X, Y 및 Z 축 좌표값이 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pos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sition sensor 30, the controller 40 calculates an absolute or relative coordinate value that is a reference to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menu screen based on the transmitted user position information. do. Herein, the coordinate values may be arbitrary X, Y and Z axis coordinate values representing three-dimensional spa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된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creen form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메뉴화면은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다. 상기 메뉴화면에는 각각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메뉴 항목(100)들이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4, the menu screen form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On the menu screen, a plurality of menu items 100 for selecting respective functions are represented and display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여기에서, 상기 각각의 메뉴 항목(100)들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을 향해 디스플레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 중앙부분인 경우에는 별도의 회전 없이 상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Here, it may be confirmed that each of the menu items 100 is displayed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apparatus. That is, when the detected user position is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the menu screen is displayed without additional rotation.

또한, 상기 메뉴 화면에는 별도의 특정 캐릭터 이미지(110)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캐릭터 이미지(110)는 상기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인지하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캐릭터 이미지(110)는 상기 메뉴 화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캐릭터 이미지는 동물 이미지일 수 있으며, 초기 상기 동물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가,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specific character image 110 is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The displayed character image 110 is displayed to allow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menu screen. That is, the character image 110 is displayed by moving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enu screen. For example, the character image may be an animal image, and the initial animal image may be displayed in a form of moving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user position after being displayed on a specific area of the display screen.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메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nu screen formed by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측인 경우, 상기 메뉴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메뉴 항목(200)들은 좌측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캐릭터 이미지(2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detected user position is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apparatus, each menu item 200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is rotated and displayed in the left direc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 image 210 is displayed to move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display screen.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우측인 경우, 상기 메뉴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메뉴 항목(300)들은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캐릭터 이미지(310)는 디스플레 이 화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detected user position is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device, each menu item 300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is rotated and displayed in the 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 image 310 is displayed in a form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display screen.

또한, 상기와 같이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의 선택 빈도 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이미지가 반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menu item is selected from the user while the menu screen is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ed character image may be reac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election of the selected menu item.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외부입력 항목(400)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선택된 외부입력항목(400)의 선택 빈도 수를 체크하며, 상기 체크한 선택 빈도 수에 따라 상기 캐릭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형태가 변경되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input item 400 is selected from the user as shown in FIG. 7, the controller 40 checks the frequency of selection of the selected external input item 400, and checks the selected frequency of selection. The display form of the character imag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다시 말해서, 상기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외부입력 항목(400)의 선택 빈도 수가 높은 경우, 상기 캐릭터 이미지(410)의 표정이 환하게 웃고 있는 표정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선택된 외부입력 항목(400)의 선택 빈도 수가 낮은 경우, 상기 캐릭터 이미지의 표정이 울고 있는 표정으로 변경되거나, 상기 캐릭터 이미지가 손을 좌우로 흔드는 행동을 취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7, when the frequency of selection of the selected external input item 400 is high,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 image 410 may be changed into a brightly smiling expression. On the contrary, when the frequency of selection of the selected external input item 400 is low,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 image may change to a crying expression, or the character image may take an action of shaking a hand from side to 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청자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이미지가 반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와 시청자 간의 감성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메뉴화면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제공해줄 수 있다.As such,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n emotional consensus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viewer by reacting the menu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iewer, and also the menu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In addition to these built-in features, they can be enjoyable for users.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로부터 메뉴화면 키가 입력되면(S101), 상기 메뉴화면 키를 입력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S102).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감지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적외선 수광부를 통해 감지할 수도 있고, 카메라를 통해 감지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a menu screen key is input from a user (S101), a position of the user who inputs the menu screen key is sensed (S102). Here, the user position detection may be detected through a plurality of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detected through a camera.

이어서,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따라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될 메뉴 화면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결정한다(S103). 즉,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측인 경우, 상기 결정되는 메뉴 화면의 회전 방향은 좌측 방향이 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상세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좌측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X, Y 및 Z 측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menu screen to be expressed in the 3D spac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r position (S103). That is, when the detected user position is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devic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etermined menu screen will be leftward. 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X, Y and Z side coordinates) in the left direc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ail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결정된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대응되는 3차원 형태의 메뉴 화면을 생성한다(S104).In operation S104, a menu screen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angle is generated.

이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에 대응되게 회전된 3차원 형태의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05).Subsequently, a menu screen having a 3D shape rotated corresponding to the user position is displayed (S105).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감지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for detecting a user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발생된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1).As shown in FIG. 9,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an infrared signal generate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is received (S201).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201) 상기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각각의 적외선 수광부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확인한다(S202).Subsequently, when the infrared signal is received, the determination result (S201) checks the infrared signal received through each of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S202).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적외선 수광부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확인하였으면, 상기 각각의 적외선 수광부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 신호의 수신 시점을 확인한다(S203).In addition, if the infrared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respectiv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are checked, the reception timing of the infrared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respectiv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is checked (S203).

이어서, 상기 확인한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가장 먼저 수신한 적외선 수광부의 위치를 파악한다(S204).Subsequently, the position of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that first receives the generated infrared sign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checked reception time (S204).

그리고, 상기 파악한 적외선 수광부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메뉴화면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설정한다(S205).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menu screen are set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감지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user location detection method step by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 방향에 대한 각각의 영상을 촬영한다(S301).As shown in FIG. 10, first, each image of the front, left, right,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display apparatus is photographed (S301).

이어서, 상기 방향별로 각각 촬영된 영상을 분석한다(S302).Subsequently, the captured images are analyzed for each direction (S302).

그리고, 상기 촬영된 영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가 감지된 촬영 영상의 방향을 확인한다(S303).The user checks the direction of the detected captured imag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captured image (S303).

이어서, 상기 방향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실제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촬영되었는지 확인한다(S304).Next,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s analyzed to determine where the actual user is photographed (S304).

그리고, 상기 확인된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메뉴화면의 회전 각도 및 방향을 결정한다(S305).Then, the rotation angle and direction of the menu screen ar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identified shooting direction and shooting position (S305).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character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생성된 3차원 형태의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401).As shown in FIG. 11, first, a menu screen having a 3D shape generated through the above method is displayed (S401).

이어서, 상기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된 방향에 대응되게 캐릭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40). 즉, 상기 메뉴 화면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좌측을 바라보고 있는 캐릭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좌측 방향에 디스플레이한다.Subsequently, the character image is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nu screen is displayed (S40). That is, when the menu screen is rotated and displayed in the left direction, the character image facing the left is display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display scree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화면상에서 특정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3).In operation S403, it is determined whether a specific menu item is selected on the displayed menu screen.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403) 상기 특정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의 선택 빈도 수를 확인한다(S404).Subsequently, when the specific menu item is selected (S403), the frequency of selection of the selected menu item is checked (S404).

그리고, 상기 확인된 선택 빈도 수를 기준으로 상기 캐릭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한다(S405). 즉,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캐릭터 이미지의 표정이 무표정이고,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의 선택 빈도 수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캐릭터 이미지의 표정을 우는 표정으로 변경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의 선택 빈도 수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캐릭터 이미지의 표정을 웃는 표정으로 변경한다.The display form of the character image is changed based on the checked selection frequency (S405). That is, when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displayed character image is expressionless and the frequency of selection of the selected menu item is low,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displayed character image is changed to a crying facial expression. On the contrary, when the frequency of selection of the selected menu item is high, the expression of the displayed character image is changed to a smiley express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시청자 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이미지가 반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와 시청자 간의 감성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메뉴화면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도 상요자에게 즐거움을 제공해줄 수 있다.As such,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otional consensus can be formed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viewer by reacting a menu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iewer.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provided by the menu screen of the user can provide enjoy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되는 메뉴 화면을 일 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nu screen form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특정 구성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3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된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menu screen form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메뉴화면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menu screen formed by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메뉴화면을 나타낸 도면 6 is a view showing a menu screen formed by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캐릭터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racter image form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감지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for detecting a user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감지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user location detection method step by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haracter image display method step by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화면에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In th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menu on a screen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메뉴화면 생성부;A menu screen generator for generating a menu screen expressed in the 3D space; 상기 메뉴화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menu screen generated by the menu screen generator; 사용자의 시청 위치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 및,A position detector which detects a viewing position of the user and outputs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상기 위치 감지부를 통해 출력되는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hange a display form of a menu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position sens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감지부는 The position sensing unit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다수의 적외선 수광부이며,A plurality of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적외선 수광부를 통해 리모트컨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control un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time when the infrared signal genera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plurality of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감지부는 촬영부로 구성되며,The position detecting unit is composed of a photographing unit, 상기 촬영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s a front area of the display device, and analyzes the photographed image and output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메뉴 화면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control unit is a display device for determin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menu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position sens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는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되는 메뉴 화면의 X, Y 및 Z 측에 대한 회전 각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 display form of the menu screen is a rotation angle with respect to X, Y, and Z sides of the menu screen represented by the three-dimensional space.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화면에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In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menu on a screen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a location of the user;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따라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될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 display direction of a menu screen to be expressed in the 3D space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r position;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된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menu screen express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direction; And, 상기 생성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 레이장치의 제어 방법.And displaying the generated menu scree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Determin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menu screen 상기 감지된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될 메뉴 화면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And determining a rotation direction and a rotation angle of a menu screen to be expressed in the 3D space based on the sensed user positi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결정된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의 대응 위치에 기설정된 캐릭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And display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ima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angl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특정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의 선택 빈도 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캐릭터 이미지의 형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And when a particular menu item is selected on the menu screen,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ed character image in response to the frequency of selection of the selected menu item.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주기적으로 감지되는 사용자 위치의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And changing a rotation direction and a rotation angle of the displayed menu screen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s position that is periodically detected is changed.
KR1020090031727A 2009-04-13 2009-04-1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1132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727A KR20100113251A (en) 2009-04-13 2009-04-1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727A KR20100113251A (en) 2009-04-13 2009-04-1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251A true KR20100113251A (en) 2010-10-21

Family

ID=4313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727A KR20100113251A (en) 2009-04-13 2009-04-1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325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238A1 (en) * 2018-01-12 2019-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elative position
WO2019143122A1 (en) * 2018-01-16 2019-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238A1 (en) * 2018-01-12 2019-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elative position
US11054919B2 (en) 2018-01-12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143122A1 (en) * 2018-01-16 2019-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841996B2 (en) 2018-01-16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device and a plurality of antenna module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07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reception method
JP5689707B2 (e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9225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tilizing augmented reality technique
CN109308205B (en) Display adapt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of application program
JP57026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20139907A1 (en) 3 dimensional (3d) display system of responding to user motion and user interface for the 3d display system
JP7005161B2 (en)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control methods
CN109743892A (en) The display methods and device of virtual reality content
US8952956B2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TWI571827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pth of 3d object image in 3d environment image
US10802784B2 (en) Transmission of data related to an indicator between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data
JP2012068984A (e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ler,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854358B2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image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i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201202684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TW201336294A (en) Stereoscopic im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70185147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virtual object in three-dimensional (3d) space
CN114327700A (en) Virtual reality equipment and screenshot picture playing method
CN113066189B (en) Augmented reality equipment and virtual and real object shielding display method
KR20100113251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005160B2 (en)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control methods
KR1012885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control using infrared radiation camera
KR20120055434A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177793B1 (en) Stereoscopic virtual experience apparatus and method
CN104076910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5830899B2 (en) Projection system, projection apparatus, projection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