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209A -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209A
KR20100110209A KR1020090028674A KR20090028674A KR20100110209A KR 20100110209 A KR20100110209 A KR 20100110209A KR 1020090028674 A KR1020090028674 A KR 1020090028674A KR 20090028674 A KR20090028674 A KR 20090028674A KR 20100110209 A KR20100110209 A KR 20100110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management
node
priority information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040B1 (ko
Inventor
이지혜
황승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040B1/ko
Priority to PCT/KR2010/002011 priority patent/WO2010114322A2/en
Priority to US12/752,687 priority patent/US20100257262A1/en
Publication of KR2010011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1/00Click devices; Stop clicks; Clu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hierarchical managem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단말기의 원격 관리에 관한 것으로, 단말 관리 권한자가 복수 개인 경우, 특정 노드(Node)에 대한 커맨드(Command) 수행이 충돌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단말에 연관된 관리권한자 및 단말관리 서버 목록을 저장하고, 관리권한자 별 접근 권한을 사용자 선호도 혹은 서비스 제공자의 사업 관계 등의 정책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거나 우선순위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M 커맨드, DM 관리권한자

Description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Device Management Authorities}
본 발명은 디바이스 관리(Device Management)에 관한 것으로, 특히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단말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기(device)들을 관리해주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이 필요하였고, 무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가 무선으로 단말기들과 통신을 하며 단말기의 펌웨어, 소프트웨어, 파라미터, 스케줄, H/W 기능(Firmware, Software, Parameter, Schedule, Capabilities 등)을 관리하기 위한 이동 장치 관리(Mobile Device Management)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응용 표준을 만드는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개발된 OMA DM(Device Management)을 들 수 있다. OMA DM은 SyncML(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을 바탕으로 한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의 객체(object)를 읽거나 추가, 삭제, 변경, 실행함으로써 단말기 내부의 펌웨어, 소프트웨어, 파라미터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와 같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주체는DM 서버 이며, 무선 통신 단말기와 같이 관리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이다.
종래의 디바이스 관리(Device Management) 방법은 일대일(Peat-to-Peat) 방식으로 동작한다. 즉, 네트워크 상의 DM 서버와 무선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DM 클라이언트 사이에 일대일 세션을 생성하여 DM 프로토콜에 정의된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DM 서버가 DM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단말기에 특정 구성(configuration)을 추가/삭제/변경하거나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DM 프로토콜은 패키지(package) #0 ~ 패키지 #4까지 총 5개의 메시지로 정의되어 있으며, DM 서버와 디바이스 간에는DM 프로토콜을 통해 DM 세션(Session)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DM 세션은 DM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즉, 디바이스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DM 세션 셋업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M 서버(20)는 특정 디바이스에 행할 관리 동작(Management operation)이 있는 경우, 101단계에서 특정 디바이스 즉, 특정 디바이스에 구비된 DM 클라이언트(10)로 패키지 #0 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전달하여 DM 액션이 존재함을 알린다. 패키지 #0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DM 클라이언트(10)는 103단계에서 DM 서버(20)에게 패키지 #1 메시지를 보내어 세션 형성을 요청한다. DM 서버(20)는 DM 세션 셋업을 허용하고, 대기 중인 단말기 관리 동작(management operation)을 위한 DM 커맨드를 전달하는 패키지 #2 메시지를 105단계에서 DM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하고, DM 클라이언트(10)는 패키지 #2 메시지에 응답하여 107단계에서 DM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DM 커맨드의 수행 결과를 전달 하기 위해 패키지 #3 메시지를 DM 서버(20)로 전송한다.
이어서, DM 서버(20)는 109단계에서 패키지 #4 메시지를 통해 DM 세션을 종료하거나 DM 클라이언트(10)에게 추가적인 관리 동작(management operation)을 전달하고, DM 클라이언트(10)는 패키지 #4 메시지에 포함된 추가 관리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패키지 #3 메시지를 통해 DM 서버(20)에 보고한다. 이후, DM 서버(20)와 DM 클라이언트(10)는 패키지 #4 메시지와 패키지 #3 메시지의 반복을 통해 관리 동작 또는 관리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키지 #4 메시지에 관리 동작(management operation)이 계속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면, DM 세션은 유지된다. 만일 추가적인 관리 동작이 없다면, DM 세션은 종료된다.
일반적으로 DM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관리권한자와 DM 서버, DM 클라이언트의 관계를 살펴보면 도 2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DM 클라이언트(200)는 복수 개의 DM 서버(210, 220, 2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지만, 상기 복수 개의 DM 서버(210, 220, 230)는 하나의 관리권한자(Mgmt Authority)(240)에 종속되는 것으로 한정된다. 이러한 DM 시스템에서는 특정 노드의 값을 리플레이스(Replace)할 수 있는 DM 서버가 복수 개일지라도 그 복수 개의 DM 서버는 하나의 관리권한자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충돌되는 커맨드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DM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관리권한자가 복수 개의 DM 서버를 제어하기 때문에 커맨드 전송에 따른 단말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DM 시스템에서는 단지 하나의 관리권한자가 존재할 경우를 가정한 동작 방법만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관리권한자가 존재할 경우에는 단말에서의 동작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 복수 개의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DM 시스템에서 단말에서의 동작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관리권한자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DM 시스템에서 커맨드 충돌 우려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관리권한자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DM(Device Management)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면서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관리권한자에 종속된 복수 개의 DM 서버들을 포함하는 DM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 관리객체에 상기 관리권한자 또는 상기 DM 서버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DM 클라이언트가 둘 이상의 DM 서버로부터 특정 노드에 대한 커맨드를 중복 수신할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DM 서버로부터의 커맨드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DM(Device Management)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장치에 있어서, 단말 관리객체에 상기 관리권한자 또는 DM 서버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과,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 각각에 종속된 복수 개의 DM 서버 중 둘 이상의 DM 서버로부터 특정 노드에 대한 커맨드가 중복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커맨드가 중복 수신된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DM 서버로부터의 커맨드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근권한목록(ACL)에 우선순위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DM 시스템을 수정하지 않고, 간단하게 특정 노드에 대한 커맨드 수행 시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관리 객체에 해당 단말에 연관된 관리권한자와 DM 서버 목록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통해 각 관리권한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동적으로(dynamically)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선호도 혹은 서비스 제공자의 사업 관계 등의 정책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DM 시스템에서 커맨드 충돌 우려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관리권한자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노드의 특성 목록 중 접근권한목록에 우선 순위 정보를 설정하고, 특정 노드에 대해 복수 개의 DM 서버로부터 중복된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 설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근거로 우선 순위가 높은 관리권한자가 소유한 DM 서버로부터의 커맨드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정 노드에 대한 커맨드 수행 시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DM 서버(20)가 DM 클라이언트(10)에게 특정 관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DM 클라이언트(10)를 장착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내부의 DM 트리(tree)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DM 트리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DM 트리는 무선 통신 단말기 내부의 관리 객체(Management Object:MO)의 구조를 트리 형태로 나타낸 것이며, MO는 단말기 내부의 파라미터(parameter) 및 객체를 DM 서버(10)에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MO의 구조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단말기 벤더(vendor) 등 누구에 의해서든 정의될 수 있고, 정의된 MO 구조는 특정 MO ID를 가짐으로써 자신의 구조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MO ID에 대응하는 MO의 구조는 모두 특정 서버, 예를 들어 OMNA(Open Mobile Naming Authority)에 등록되어 관리되며, 따라서 누군가에 의해 정의된 MO의 구조는 OMNA에 등록된 MO ID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즉, 하 나의 MO ID에 대응하는 MO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가진다.
DM 트리의 각 요소를 노드(Node)라고 하는데, DM 트리는 내부 노드(Interior Node)와 리프 노드(Leaf Node)로 구성된다. 내부 노드는 종속된 자식 노드(child Node)를 가지고 있으며, 값을 저장할 수 없고, 노드의 특성목록 중 Format은 “node”이다. 리프 노드는 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종속된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없고, 저장된 값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노드의 특성목록 중 Format을 이용하여 지정할 수 있다. 각 노드는 노드의 존속기간 동안 유효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는데, 해당 특성목록은 하기 표 1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Property Explanation
ACL Access Control List
Format Specifies how Node values should be interpreted
Name The name of the Node in the tree
Size Size of the Node value in bytes
Title Human readable name
TStamp Time stamp, date and time of last change
Type The MIME type of a Leaf Node’s value or a URN representing the Management Object identifier for Interior Nodes which root a Management Object sub-tree
VerNo Version number, automatically incremented at each modification
상기 표 1에서와 같은 노드의 특성목록 중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우선 순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접근권한목록(ACL)을 이용한다. 이러한 접근권한목록을 이용할 경우에는 각 노드마다 우선 순위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접근권한목록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접근권한목록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맨드 별로 각 노드마다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서버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서버를 서버 식별자(Identifier)로 나타내야 한다. 예를 들어, 노드 A(400)에 표시된 'Get' 및 'Replace'는 권한이 부여된 서버를 나타내는데, 노드 A(400)의 값에 대한 'Get' 권한은 서버 C에 있으며, 'Replace' 권한이 부여된 서버는 서버 C임을 알 수 있다. 노드 C(410)에서는 첨자 '*'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모든 서버가 'Get' 권한이 있음을 의미한다. 만일 노드 D(420)에서와 같이 접근권한목록(ACL) 값이 비어있는 경우에는 그 부모 노드(parent Node)인 노드 A(400)의 접근권한목록값을 따른다. 노드 F(430)에서는 그 노드 F(430)의 값에 대한 'Get'권한은 서버 A에게만 있으며, 'Replace' 권한은 서버 A와 서버 B에게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노드 F의 접근권한목록 설정에서 노드 F의 값을 복수 개의 DM 서버가 리플레이스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복수 개의 DM 서버가 하나의 관리권한자에 의해 제어될 경우를 전제로 한다.
이와 달리 복수 개의 DM 서버가 서로 다른 관리권한자에 의해 종속되고 독립적으로 제어될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도 4의 노드 F에 대해 서버 A가 x값으로 Replace 커맨드를 전송하고, 서버 B가 y값으로 Replace 커맨드를 전송한다면, DM 클라이언트는 노드 F값을 x와 y 중 어떤 것으로 Replace 커맨드를 수행해야 할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다시 말하면, 복수 개의 관리권한자에 각각 종속된 복수 개의 서버로부터 커맨드가 수신될 경우 중복된 커맨드로 인해 단말에서는 동작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동일 노드에 대한 커맨드 동작이 충돌할 우려가 있으므로 어떤 커맨드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것인지를 조절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관리권한자와 DM 서버, DM 클라이언트의 관계를 정의한 DM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에서는 하나의 DM 클라이언트(500)가 DM 서버 A(510), DM 서버 B(530), DM 서버 C(550)와 같은 복수 개의 DM 서버들에 의해 관리되며, 각각의 DM 서버 A(510), DM 서버 B(530), DM 서버 C(550)는 관리권한자 A(520), 관리권한자 B(540) 및 관리권한자 C(560)에게 각각 종속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 클라이언트(500)는 우선순위정보가 설정된 단말 관리객체를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그 우선순위정보에 따라 동일 노드에 대한 중복된 커맨드를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DM 서버들(510, 530, 550)이 서로 다른 관리권한자(520, 540, 560)에 종속되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여기서, 관리권한자란 서비스제공자, 망사업자, 엔터프라이즈 등 사용자 단말을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실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관리권한자 또는 DM 서버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할당함으로써 단말에서는 중복된 커맨드를 수신하더라도 그 우선 순위 정보에 따른 커맨드 처리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우선 순위 정보는 단말 관리 트리에 해당 단말에 연관된 관리권한자 및 서버 정보를 저장할 때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관리권한자와 서버, 우선 순위 정보 등은 사용자 선호도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사업 관계 등의 정책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 혹은 설정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우선 순위 정보의 저장을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단말 관리 트리의 노드별 관리권한목록(ACL)을 이용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관리권한목록에 우선 순위 정보를 추가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각각의 노드마다 가지고 있는 관리권한목록을 이용할 경우에는 기존의 DM 시스템을 수정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특정 노드에 대한 커맨드 수행 충돌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권한자 또는 DM 서버의 우선순위를 관리권한목록에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 6을 참조한다.
만일 각각 서로 다른 관리권한자 소속인 서버 A 및 서버 B에 대해 사용자의 선호도 혹은 서비스 제공자의 사업 관계 등의 정책에 따라 서버 A의 우선순위를 0, 서버 B의 우선순위를 1로 설정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특정 노드 F(620)에서와 같이 Replace 커맨드를 구동할 권한이 있는 DM 서버로서 서버 A와 서버 B가 정의된 경우, 'Replace=ServerA_p0'는 서버 A에 대한 우선순위가 0임을 나타내며, 'Replace=ServerB_p1'는 서버 B에 대한 우선순위가 1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우선순위정보는 노드의 접근권한목록(ACL) 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노드 B(610)에 대해 Replace 커맨드에 대한 권한이 서버 A에 있다고 정의할 경우 서버 A의 우선순위가 0이므로 'Replace=ServerA_p0'로 나타낼 수 있다. 만일 노드 A(600)에서와 같이 단수의 DM 서버만이 할당된 경우에는 해당 DM 서버를 소유한 관리권한자의 우선순위를 2로 설정하여 'p2'를 표기할 수 있다. 이때, 노드 A(600)에 대해서는 하나의 DM 서버 즉, 서버 C로부터의 커맨드만 수행할 수 있어 이러한 우선 순위 표기는 생략 가능하다.
이후, 노드 F에 대해 둘 이상의 DM 서버 즉, 서버 A 및 서버 B로부터 중복된 커맨드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에서는 상기 우선 순위를 적용하게 된다. 그러면 단말에서는 우선 순위 정보를 근거로 우선순위가 높은 관리권한자가 소유한 DM 서버의 커맨드만을 수행하는 방법 등으로 중복된 커맨드 전송으로 인한 동작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우선 순위 정보는 별도의 노드를 지정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이렇게 지정된 노드가 단말 관리객체(MO)에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권한자 또는 DM 서버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지정 노드를 단말 관리객체에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인 도 7을 참조한다.
도 7에서는 단말 관리객체 트리를 도시하고 있는데, 단말 관리객체에 상기 관리권한자 또는 상기 DM 서버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노드를 추가할 수 있다. 즉, 단말 관리객체 트리에 관리권한자 목록과 우선순위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노드(interior Node)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권한자('My Mgmt Authorities') 노드(700)에 해당 단말에 연관된 모든 관리권한자 목록을 각각 자식 노드(child Node)(710, 720, 730)로서 종속시킬 수 있다. 예컨대, 관리권한자 A(710), 관리권한자 B(720), 관리권한자 C(730)는 자식 노드들로서 관리권한자 노드(700)에 종속된다. 이러한 각 관리권한자 노드(710, 720, 730)마다 자식 노드로서 상기 관리권한자의 우선 순위 정보와 상기 관리권한자에 종속된 서버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리권한자 또는 서버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노드가 단말 관리객체에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관리객체(MO)에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노드를 추가하는 방법은 다이나믹한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적은 저장 공간만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의 우선 순위에 따른 동작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도 8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800단계에서 복수 개의 DM 서버로부터 동일 노드에 대해 커맨드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복수 개의 DM 서버로부터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 810단계에서 우선 순위 정보를 검색한다. 도 6을 예로 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드 F에 대해 둘 이상의 DM 서버 즉, 서버 A 및 서버 B로부터 중복된 커맨드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단말 관리객체에서 노드 F의 저장된 ACL값을 확인함으로써 서버 A의 우선 순위 정보 및 서버 B의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와 달리 도 7을 예로 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 F에 대해 둘 이상의 DM 서버 즉, 서버 A 및 서버 B로부터 중복된 커맨드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단말 관리객체에서 별도의 노드 즉, 관리권한자 노드(700)에 저장된 관리권한자 목록 및 우선 순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서버 A, B의 우선 순위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획득한 우선 순위 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서버의 우선 순위가 더 높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820단계에서 우선 순위에 따른 커맨드를 선택한다. 즉, 단말은 우선 순위가 높은 관리권한자가 소유한 DM 서버로부터의 커맨드를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은 830단계에서 선택된 커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관리권한자가 복수 개일지라도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관리권한자별 접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특정 노드에 대한 중복된 커맨드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DM 세션 셋업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관리권한자와 DM 서버, DM 클라이언트의 관계를 나타낸 DM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DM 트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접근권한목록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관리권한자와 DM 서버, DM 클라이언트의 관계를 나타낸 DM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관리권한자 또는 DM 서버의 우선순위를 관리권한목록에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권한자 또는 DM 서버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노드를 단말관리객체에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의 우선 순위에 따른 동작 흐름도.

Claims (7)

  1. 하나의 DM(Device Management)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면서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관리권한자에 종속된 복수 개의 DM 서버들을 포함하는 DM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 관리객체에 상기 관리권한자 또는 상기 DM 서버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DM 클라이언트가 둘 이상의 DM 서버로부터 특정 노드에 대한 커맨드를 중복 수신할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DM 서버로부터의 커맨드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정보는,
    각각의 노드가 가지는 특성목록 중 접근권한목록에 추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 관리객체에 상기 관리권한자 또는 상기 DM 서버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노드를 추가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정보는,
    사용자 선호도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정책에 따라 변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5. DM(Device Management)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장치에 있어서,
    단말 관리객체에 상기 관리권한자 또는 DM 서버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과,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 각각에 종속된 복수 개의 DM 서버 중 둘 이상의 DM 서버로부터 특정 노드에 대한 커맨드가 중복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커맨드가 중복 수신된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DM 서버로부터의 커맨드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정보는,
    노드의 특성목록 중 접근권한목록에 추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정보의 저장은,
    상기 단말 관리객체에 상기 관리권한자 또는 상기 DM 서버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노드를 추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KR1020090028674A 2009-04-02 2009-04-02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0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674A KR101506040B1 (ko) 2009-04-02 2009-04-02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0/002011 WO2010114322A2 (en) 2009-04-02 2010-04-01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plurality of device management authorities
US12/752,687 US20100257262A1 (en) 2009-04-02 2010-04-01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plurality of device management author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674A KR101506040B1 (ko) 2009-04-02 2009-04-02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209A true KR20100110209A (ko) 2010-10-12
KR101506040B1 KR101506040B1 (ko) 2015-03-25

Family

ID=4282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674A KR101506040B1 (ko) 2009-04-02 2009-04-02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57262A1 (ko)
KR (1) KR101506040B1 (ko)
WO (1) WO20101143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6582B2 (en) * 2010-03-23 2015-05-05 Htc Corporation Device management methods and related apparatus for enhancing applicability of status messages in response to commands
WO2013088376A1 (en) * 2011-12-12 2013-06-20 Leo Laboratories Limited Gel compositions
CN104579940B (zh) * 2013-10-10 2017-08-11 新华三技术有限公司 查找访问控制列表的方法及装置
CN105471947B (zh) * 2014-09-04 2019-05-14 青岛海尔智能家电科技有限公司 一种获取位置信息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7577B1 (en) * 1998-06-30 2002-04-23 Cisco Technology, Inc. Access control list processing in hardware
KR20070047594A (ko) * 2005-11-02 2007-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엠 로그화일 관리장치 및 방법
CN101009515A (zh) 2006-01-24 2007-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终端设备管理方法及通信终端
WO2008003081A2 (en) * 2006-06-29 2008-0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sonalization, diagnostics and terminal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in a network
CN101123785B (zh) * 2006-08-11 2013-0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中管理终端的方法和系统
KR101209071B1 (ko) 2006-09-19 201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90049518A1 (en) * 2007-08-08 2009-02-19 Innopath Software, Inc. Managing and Enforcing Policies on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040B1 (ko) 2015-03-25
US20100257262A1 (en) 2010-10-07
WO2010114322A2 (en) 2010-10-07
WO2010114322A3 (en)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2154B1 (en) Method, terminal, apparatus, and system for device management
CA2592702C (en) Use of configurations in device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EP254186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management based on right control
US10470003B2 (en) Method for regrouping multiple groups and device
EP2408140B1 (en) Method, control point,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configuring access right
US20100138537A1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access control in device management
JP2012182846A (ja) 情報をロック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20130346610A1 (en)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WO2015176465A1 (zh) 账号管理方法及装置
US10148486B2 (en) Object version management
US9438603B2 (en) Method for managing access right of terminal to resource by ser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WO2019129033A1 (zh) 传送网子切片管理方法和装置
KR20100110209A (ko) 복수 개의 dm 관리권한자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13976B1 (ko) 다중 구성들을 구비한 장치에서 구성들의 사용
JP5095831B6 (ja) 機器管理の方法、端末、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1442791B (zh) 一种节点信息的发送方法和装置
JP2015154268A (ja) 設定制御装置、設定制御方法および設定制御プログラム
JP2015090665A (ja) 通信装置、管理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53912A (ja) 複数の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を有する装置内における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の使用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