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667A - Elevator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667A
KR20100109667A KR1020090028037A KR20090028037A KR20100109667A KR 20100109667 A KR20100109667 A KR 20100109667A KR 1020090028037 A KR1020090028037 A KR 1020090028037A KR 20090028037 A KR20090028037 A KR 20090028037A KR 20100109667 A KR20100109667 A KR 20100109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passenger
control unit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06973B1 (en
Inventor
한권상
Original Assignee
(주)테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카 filed Critical (주)테카
Priority to KR102009002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973B1/en
Publication of KR20100109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6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9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vator system is provided to observe the state of an interval between elevator doors by placing a camera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door. CONSTITUTION: A thread(20) for preventing a passenger from being caught in a door is arranged between a first elevator door and a second elevator door. A camera device(11) takes a photograph of the thread. A detection device(12) detects whether a passenger is caught in a door by detecting the recorded image in the camera device. The camera device is arranged in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The camera device is one among a CMPS image sensor camera, a charge-coupled device element camera, and an analog type camera.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Elevator system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엘레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device of an elevator.

엘레베이터의 사고나 고장의 대부분은 주로 엘레베이터의 도어장치에서 발생한다. 특히 승객이 도어의 사이에 끼인 상태로 엘레베이터가 출발하게 되면,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끼인 승객이 부상을 당할 수 있고, 심지어 사망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끼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엘레베이터의 출입도어에 슈(shoe)라는 장치를 둔다. 슈라는 것은 엘리베이터의 이중도어 사이에 있는 안전장치로서, 이중도어의 사이에 손으로 누르면 들어가는 부분을 말한다. 그것을 세프티 슈, 또는 슈라고 하는 것이다. 이 슈는 도어가 닫히면서 장애물을 만나면 장애물에 의해서 눌려지게 된다. 슈가 눌려진 것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전송된다.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이 신호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도어를 제어한다. Most of the accidents and breakdowns of elevators occur mainly in elevator door devices. In particular, when the elevator starts with the passengers caught between the doors, personal accidents may occur. Stuck passengers can get injured and even die. In order to prevent such jamming accident, a shoe called a shoe is placed in the entrance door of the elevator. Shoe is a safety device between the double doors of an elevator. It is a part that is pressed by hand between the double doors. It is called a safety shoe or shoe. The shoe is pressed by the obstacle when the door is closed and meets the obstacle. The pressed sho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The elevator control unit controls the door so that the door of the elevator does not close in response to this signal.

도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eneral elevator system.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부(1), 엘리베이터 도어(2), 도어 제어부(3), 슈(4) 및 슈 상태 감지부(5)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도어(2)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도어(2)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양쪽에 각각 배치되며, 하나의 엘리베이터 도어(2)는 2개의 문이 쌍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그 2개의 문 사이에는 슈(4)가 배치된다. 슈(4)는 엘리베이터 도어(2)가 움직이면 같이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2)가 닫히는 순간에 도어 사이에 승객이 있게 되면, 슈(4)가 눌러진다. 슈 상태 감지부(5)는 엘리베이터 도어(2)가 닫히는 순간에 슈(4)가 눌러지는지 아닌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로 전송한다. 제어부(1)는 슈(4)의 이러한 상태를 슈 상태 감지부(5)를 통해 감지하여 다시 엘레이베이터 도어(2)를 열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elevator system includes an elevator control unit 1, an elevator door 2, a door control unit 3, a shoe 4, and a shoe state detection unit 5. The elevator doors 2 are arranged to move along the rails and the elevator doors 2 are arranged at both sides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elevator, and one elevator door 2 is arranged so that two doors move in pairs. A shoe 4 is disposed between the two doors. The shoe 4 is made to move together when the elevator door 2 moves. When there is a passenger between the doors at the moment when the elevator door 2 is closed, the shoe 4 is pressed. The shoe state detecting unit 5 detects whether or not the shoe 4 is pressed at the moment when the elevator door 2 is close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 The control unit 1 detects this state of the shoe 4 through the shoe state detecting unit 5 to open the elevator door 2 again.

만약 엘리베이터 도어(2) 사이에 승객이나 다른 이물질이 없다면, 엘리베이터 도어(2)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 거의 엘리베이터 도어(2)이 닫힐 때가 되면 기계적인 장치로 인하여 슈(4)가 눌리지 않고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로 들어가서 닫힐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어 제어부(3)는 제어부(1)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3)를 열고 닫는 역할을 하는 모터를 제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제어부(3)는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If there are no passengers or other foreign objects between the elevator doors 2, the elevator door 2 is completely closed. When it is almost time for the elevator door 2 to close, it is a structure that the shoe 4 can enter and close between elevator doors without being pressed by the mechanical device. The door controller 3 controls a motor that opens and closes the elevator door 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 As shown, the door control unit 3 is located above the elevator door.

그러나, 슈를 이용하는 방법은 슈가 기계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반복해서 사용하다 보면, 기계적인 고장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부가적인 안전장치인 포토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포토센서가 엘리베이터의 한쪽 도어에 부착되고, 반대편 도어에는 포토센서에서 오는 빛을 수신하는 수신장치가 부착된다. 만약 승객이나 물체가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끼이게 되면, 수신장치에 빛이 수신되지 못하고, 이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한다. However, since the shoe is a mechanical device, when it is used repeatedly, mechanical failure may occur frequently. To alleviate this problem, elevator systems generally have a photo sensor which is an additional safety device. A photosensor is attached to one door of the elevator, and a receiver is attached to the opposite door to receive light from the photosensor. If a passenger or an object is caught in the door of the elevator, light is not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the elevator controller detects this so that the door of the elevator is not closed.

도2는 포토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vator system having a photosensor.

도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포토검출장치(6), 발광부(7),및 수광부(8)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포토검출장치(6)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부(3)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위치한다. 발광부(7)는 엘리베이터 도어(2)의 한쪽에 배치되고, 포토검출장치(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7)가 배치된 엘리베이터 도어(2)의 반대편 도어에는 수광부(8)가 위치하고 있으며 수광부(8)는 발광부(7)에서 쏘는 빛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포토검출장치(6)에 알려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포토검출장치(6)에 연결되어 있다.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2 is further provided with a photodetector 6, a light emitting portion 7,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8 in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The photodetector 6 is located above the elevator like the elevator door control unit 3. The light emitting portion 7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vator door 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hotodetector 6. In addition, a light receiving unit 8 is positioned at an opposite door of the elevator door 2 o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7 is disposed,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can det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7, and the photo detector 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hotodetector 6.

그러나 포토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빛을 쏘는 장치와 빛을 수신하는 장치를 일일이 설치하여야 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발신부와 수신부가 조금만 틀어져서 빛이 다른 쪽으로 가게 되에 장애물 검출에 에러가 발생 할 수 있다. However, the method using the photosensor has a problem that the cost is greatly increased because the device for shooting light and the device for receiving the light must be installed in the elevator door. In addition, since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re slightly distorted, the light may go to the other side, which may cause an error in detecting the obstacl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슈(4)가 자주 승객과의 충돌로 인하여 기계적이나 전기적인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잘 동작하다가 한번이라도 고장이 나는 순간 큰 인명사고가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한 구조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센서를 추가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할 수 있는데, 그러나 이 방법은 설치비용이 상당히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된다 하더라도 사용하다 보면 발광부(7)의 위치나 수광부(8)의 위치가 조금만 틀어져도 제대로 동작할 수 없다. 발광부(7)의 위치나 수광부(8)의 위치가 틀어진 경우, 실제로는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에 승객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에 승객이 있다고 판단 되어진다. 이 경우에 엘리베이터가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고, 결국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비용까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As shown in Fig. 1, an elevator system using a shoe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shoe 4 frequently causes mechanical or electrical failure due to a collision with a passenger. Because of this, it is a very dangerous structure because it can work well and cause a big casualty at the moment of fail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hoto sens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elevator system, as shown in FIG. In addition, even if installed, even if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7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8 is slightly distorted, it cannot operate properly. If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7 or the position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8 is misaligned,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passenger between the elevator doors even though there are actually no passengers between the elevator doors. In this case, since the elevator is unable to move, it causes a frequent breakdown, and eventually causes a problem of rising to the maintenance cost of the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하는데 어려움을 줄이고, 안전시설을 설치하는데 비용을 줄이면서도, 승객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that can reduce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and repairing an elevator system, reduce the cost of installing safety facilities, and effectively prevent a safety accident of a passenger.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도어; 상기 제1 엘리베이터 도어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승객끼임 방지용 실; 상기 승객끼임 방지용 실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엘리베이터 도어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이 영역에 승객이 끼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승객끼임 검출장치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elevator doors; A jamming prevention seal disposed in an area between the first elevator door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A camera device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passenger pinch prevention thread; And a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device and detecting whether a passenger is caught in an area between the first elevator door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에 배치된 카메라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이 공간의 상태를 항시 관측하고 있다가 승객이 끼임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바로 제어부에 알려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에 찍히는 영상은 랜등의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감시장치나 관제실에 화상을 전송하여 상태를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데 보다 효과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serve the state of the space between the elevator doors at all times with a camera disposed on the elevator door to determine the jamming state of the passengers in real time to immediately inform the controller to prevent the accident. In addition, sinc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can transmit an image to an external monitoring apparatus or control room using a communication such as a LAN, the status can be informed, so that an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카메라를 엘리베이터의 상단에 부착하고, 승객끼임 방지용 실과 같은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승객이 끼인 것을 감지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사고를 예방발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amera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and a passenger is caught in the door of the elevator by using a simple tool such as a passenger pinch prevention thread, an acciden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t low cos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어부(10), 카메라 장치(11), 승객끼임 검출장치(12), 도어 제어부(13), 슈(14), 슈 상태 감지부(15), 엘리베이터 도어(16) 및 승객끼임 방지용 실(20)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도어(16)는 각각 2개의 문이 쌍으로 배치되어 있고,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엘리베이터 도어(16)를 구성하는 2개의 문 사이에는 슈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슈(14)는 엘리베이터 도어(16)가 거의 닫힐 때쯤에 엘리베이터 도어(16) 안쪽으로 들어가서 양쪽 슈끼리는 서로 부딪힐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카메라장치(11)는 CMP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것, CCD 소자를 이용한 것과 아날로그 방식의 카메라등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10, a camera device 11, a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a door control unit 13, a shoe 14, and a shoe state detection unit. 15, an elevator door 16 and a seal 20 for preventing passenger jamming are provided. The elevator door 16 has two doors arranged in pairs, respectively, and can move along a rail. A shoe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two doors which comprise one elevator door 16. As shown in FIG. The shoe 14 enters the inside of the elevator door 16 at the time when the elevator door 16 is almost closed, and both shoes cannot be hit against each other. The camera device 11 may use various types of cameras, such as one using a CMPS image sensor, one using a CCD element, and an analog camera.

엘리베이터 도어(16) 바닥에는 엘리베이터 도어(16)가 쉽게 이동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홈이 있고 이 홈에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는 승객 끼임 방지용 실(20)이 있다. 이 실(20)은 엘리베이터 도아(16)가 움직이는 레일위에 설치할 수도 있고, 레일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16)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 제어부(16)는 엘리베이터 도어(16)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도어(16)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도어(16)가 열고 닫히는 것을 제어한다.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door 16, there is a groove through which the elevator door 16 can easily move along the movement path, and there is a passenger jamming prevention seal 20 made of aluminum in the groove. The seal 20 may be installed on a rail on which the elevator door 16 moves,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ail. The door control unit 16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elevator door 16 is disposed above the elevator door 16 and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elevator door 16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16.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16) 상부에 카메라장치(11)가 배치되어 있으며 카메라장치(11)는 전기적으로 승객끼임 검출장치(12)와 연결되어 있다. 승객 끼임 검출장치(12)는 카메라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전송 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승객 끼임 검출장치(12)는 제어부(10)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에 어떤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제어부(10)에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객 끼임 검출장치(12)는 Lan선을 통하거나 기타 다른 통신수단으로 외부 관제실이나 기타 원격지에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의 상태를 알려 줄 수 있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a camera device 11 is disposed above the elevator door 16, and the camera device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has a structure that can receive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 in communication so as to inform the control unit 10 whether there is an object between elevator doors. In addition, 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for informing the status of the elevator door to the external control room or other remote location through the LAN line or other communication means.

계속해서 도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사펴본다. 3,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어부(10)는 도어 제어부(13)에 엘리베이터 도어(16)을 닫으라는 지시를 하고, 도어 제어부(13)는 그 지시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16)를 닫게 된다. 카메라 장치(11)는 엘리베이터 도어(20)의 사이에 영상을 찍어서 승객끼임 검출장치(12)로 전송한다. 승객끼임 검출장치(12)는 카메라장치(11)로부터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는 상황을 영상으로 전송받고, 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이 끼임 상태 인지 아니면 승객이 엘리베이터 도어(2)을 다 통과한 상태인지를 승객끼임 방지용 실(20)을 이용하여 검출하게 된다. 만약 카메라에 승객끼임 방지용 실(20)이 검출되지 않은 상황이면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0)로 엘리베이터 도어(16)가 닫히지 못하도록 통신을 보내고 승객끼임 방지용 실(20) 전체가 정상적으로 잘 보이면 승객이 다 엘리베이터 도어(16)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0)에 엘리베이터 도어(2)를 닫아도 좋다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The control unit 10 instructs the door control unit 13 to close the elevator door 16, and the door control unit 13 closes the elevator door 16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The camera device 11 captures an image between the elevator doors 20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receives an image of the elevator elevator doors closed from the camera device 11 as an image, and analyzes the received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passenger is jammed or whether the passenger has passed through the elevator door (2) Is detected using the passenger-side jamming chamber 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assenger jamming chamber 20 in the camera,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assenger and the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 so that the elevator door 16 cannot be closed, and the entire passenger jamming chamber 20 is normally visible. It is determined that all the passengers have passed through the elevator door 16, and the control unit 10 sends a signal to close the elevator door (2).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객끼임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ssenger pin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끼임 검출장치(12)는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으로 움직일 수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제어부(1)와 RS232 방법, RS485방법 또는 기타 다른 통신방법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통신모듈과, LAN통신을 할 수 있는 이더넷(Ethernet) 통신모듈와, 외부 관제 시스템과 통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Memory) 모듈을 구비한다. 메모리 모듈은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는 램(RAM)과 외부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입출력회로(IO)를 구비한다. 메모리 모듈은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인 RTOS, Embedded Linux, 또는 WinCE 같은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응용프로그램을 필요에 따라 구비한다. 응용프로그램 내부에는 웹서버(Web Server)가 있어 인터넷으로 외부의 원격제어 및 원격 검침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basically performs a communication with a microprocessor capable of moving by a program, the control unit 1 by an RS232 method, an RS485 method, or another communication method. It is provided with a general-purpos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on, an Ethernet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LAN communication, and a memory module capable of storing data communicated with an external control system. The memory module includes a RAM capable of storing data and an input / output circuit IO capable of controlling external input and output. The memory module includes a program such as an operating system RTOS, Embedded Linux, or WinCE, and includes an application program as necessary. Inside the application, there is a web server, which enables remote control and remote meter reading through the Internet.

승객끼임 검출장치(15)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카메라장치(11)로부터 보내온 영상신호를 메모리모듈에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분석하며, 분석결과 승객이 끼임 상태라고 판단되면 범용 통신모듈을 통해서 즉시 제어부(10)와, 근거리에 있는 감시반이나 관제센터에 통신으로 알리게 된다. 이 신호를 받은 제어부(10)는 도어 제어부(13)에 엘리베이터 도어(16)을 열라는 지시를 보냄으로서 승객이 끼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움직여서 인명사고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microprocessor of 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5 analyzes an image signal sent from the camera device 11 by a program in the memory modul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s pinched, the controller 10 immediately through the universal communication module. Wo will be notified by communication to the monitoring station or control center at a close distance. The control unit 10 having received this signal sends an instruction to open the elevator door 16 to the door control unit 13 to prevent the elevator from moving while the passengers are jammed, resulting in personal injury.

승객끼임 검출장치(12)는 이더넷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긴급사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화재, 고장으로 인한 승객 갇힘 등의 위급상황을 제어부(10)로부터 전송받아 외부 관제센터, 소방서, 경찰서 등으로 긴급하게 알리는 기능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관리실에 담당기사가 부재중에도 외부에서 자동으로 구조원을 파견하여 갇힌 승객을 구조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곳 어디에서든지 엘리베이터 도어(16) 사이에 승객이 끼인 상태와 엘리베이터의 다른 이상을 감시할 수 있다.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receives the emergency situation, such as the passenger trapped due to an emergency, for example, elevator fire, failure by using the Ethernet communication module from the control unit 10 to the external control center, fire station, police station, etc. It can also function as an urgent notification. Therefore, even if the engineer is not in the control room, the rescuer can be dispatched from the outside to rescue the trapped passengers. Such an elevator system can monitor a passenger's jamming between elevator doors 16 and other abnormalities of the elevator wherever the internet is connected.

만약에 엘리베이터에 이상, 알람 등이 발생하면 제어부(10)는 승객끼임 검출장치(12)에 통신으로 이를 전송하고 승객끼임 검출장치(12)에 있는 웹서버(Web Server)의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가 구동되어 웹서버(Web Server)에 입력되어 있는 사람에게 이메일(E-Mail)을 전송한다. 승객 끼임 검출장치(12) 내부의 구성을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면, 이를 인터넷에 연동시켜서 원격 감시 시스템의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승객끼임 검출장치(12)를 제어할 수도 있다.If an abnormality, an alarm or the like occurs in the elevator, the control unit 10 transmits the communication to 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by communication, and SMTP (Simple Mail Transfer) of a web server in 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2. Protocol is activated to send E-mail to the person entered in Web Server. If the system can adjust the configuration inside the passenger jam detection device 12 from the outside, it may be linked to the Internet to control the passenger jam detection device 12 through a web browser of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도어 상단에 있는 카메라와 하단에 배치된 승객끼임 방지용 실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에 승객이 끼인 상태인지를 판별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실을 이용하 지 않고 기타 다른 장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아무런 추가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프로그램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에 승객이 끼인 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로 들어, 엘리베이터 도어(2)를 처음 열었을 때의 화면을 저장하여 이 화면과 비교하여 승객의 끼임을 판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the elevator door is jammed by using a camera on the top of the elevator door and a passenger pinch prevention chamber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do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assenger is stuck in the elevator door through the program, without using the seal, using any other device, or using any additional device. For example, a program for storing a screen when the elevator door 2 is first opened and comparing the screen with the screen may be used to determine a passenger's jamming.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도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eneral elevator system.

도2는 또 다른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general elevator system.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객끼임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ssenger pin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어부 11: 카메라10: control unit 11: camera

12: 승객끼임 검출장치 13: 도어 제어부12: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13: door control unit

14: 슈 15: 슈 상태 감지부14: shoe 15: shoe state detection unit

16: 도어 20: 승객끼임 방지용 실16: door 20: passenger pinch

Claims (7)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도어;First and second elevator doors; 상기 제1 엘리베이터 도어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이 영역에 배치된 승객끼임 방지용 실;A jamming prevention seal disposed in an area between the first elevator door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상기 승객끼임 방지용 실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 및A camera device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passenger pinch prevention thread; And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엘리베이터 도어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이 영역에 승객이 끼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승객끼임 검출장치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the passenger is caught in the area between the first elevator door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by detect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device 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hav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도어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d said camera device is arranged on top of said first and second elevator door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카메라 장치는 CMP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것, CCD 소자를 이용한 것, 아날로그 방식의 카메라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camera device is an elevat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sing one of the CMPS image sensor, CCD device, an analog camer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 제어부; 및A do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doors; And 상기 승객끼임 검출장치에서 검출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도어 제어부의 도어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control unit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승객끼임 검출장치는 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상기 제어부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전송받아 엘리베이터의 이상, 알람, 경보 시에 그 내역을 미리 설정 되어 있는 이메일 어드레스로 전송 하는 메일전송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d an e-mail transmitting device which receives the state of the elevator from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details to an e-mail address set in advance in case of an abnormality, alarm or alarm of the elevato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승객끼임 검출장치는The passenger pinch detection device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상기 제어부와 RS232 방법, 또는 RS485방법으로 통신을 하기 위한 범용 통신 모듈;A general-purpos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via an RS232 method or an RS485 method; LAN통신을 할 수 있는 이더넷(Ethernet) 통신모듈;An Ethernet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LAN communication; 외부 관제 시스템과 통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d a memory module capable of storing data communicated with an external control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도어는 각각 2개의 문이 이중으로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슈가 배치되고, 상기 슈의 눌러짐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된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슈 상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doors has two doors doubled therebetween, and a shoe is disposed therebetween, further comprising a shoe state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pressing of the shoe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result to the control unit. Elevat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90028037A 2009-04-01 2009-04-01 Elevator system KR1010069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037A KR101006973B1 (en) 2009-04-01 2009-04-01 Elevat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037A KR101006973B1 (en) 2009-04-01 2009-04-01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667A true KR20100109667A (en) 2010-10-11
KR101006973B1 KR101006973B1 (en) 2011-01-12

Family

ID=4313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037A KR101006973B1 (en) 2009-04-01 2009-04-01 Elevat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97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667B1 (en) * 2014-08-05 2015-02-16 (주)미주하이텍 Interface apparatus of anti-pinch safety device
WO2018199514A1 (en) * 2017-04-24 2018-11-01 윤일식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hand from being wedged i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894U (en) * 1996-10-17 1998-07-15 이종수 Elevation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landing door
JP4204896B2 (en) * 2003-05-14 2009-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Sliding do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667B1 (en) * 2014-08-05 2015-02-16 (주)미주하이텍 Interface apparatus of anti-pinch safety device
WO2018199514A1 (en) * 2017-04-24 2018-11-01 윤일식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hand from being wedged i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973B1 (en)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6233B2 (en) Barrier operator control of a camera
US6550585B2 (en) Hoistway intrusion detection
EP2214998B1 (en) Passive detection of persons in elevator hoistway
KR100797932B1 (en) A safe management system of subway door
KR101424077B1 (en) crime prevention system for windows and/or doors
EP3527525A1 (en) Elevator door control system for detection of obstacle trapping
EP3872018B1 (en)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KR101006973B1 (en) Elevator system
KR102008966B1 (en) Response System For a Fall From Railroad Platform
JP2011093702A (en) Object caught-in detecting system of elevator
CN104418188A (en) Elevator self-salvation control system
JPH10278787A (en) Door opening/closing controller
CN107082334B (en) A kind of Load-Carrying Equipment safe early warning guard system and method
JP5380819B2 (en)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KR20100013481A (en)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the inside of a train
KR20160095901A (en) Security system using safety window connecting with home network system
JP2009263016A (en) Crime prevention device and crime prevention method for elevator
KR101937791B1 (en) Screen doo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56206B1 (en) System for checking a dangerous situation of elevator
KR100293625B1 (en) Elevator remote sensing and control system
JP2020104983A (en)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operation control
KR20150075508A (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of door having camera module
KR20070111741A (en) A system for detecting passenger isolated in the closed elevator cage
CN111946384B (en) Air door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ystem
KR102093427B1 (en)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