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430A - Connector member - Google Patents

Connector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430A
KR20100109430A KR1020100027186A KR20100027186A KR20100109430A KR 20100109430 A KR20100109430 A KR 20100109430A KR 1020100027186 A KR1020100027186 A KR 1020100027186A KR 20100027186 A KR20100027186 A KR 20100027186A KR 20100109430 A KR20100109430 A KR 20100109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ignal
connector member
ground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98839B1 (en
Inventor
마사키 야마시타
노부카즈 가토
요스케 혼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member is provided to prevent the signal interference between both contacts by including an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having a ground member. CONSTITUTION: A connector member includes the pairs of contacts including two signal contacts(130), and a ground member(150). From the view at a rear portion of the contact member, the odd number pairs of contacts are distanced from the even number pairs of contac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ground member includes an interference prevention unit(151). From the view at the rear portion of the contact member, the interference member is placed between the odd and even number pairs of contacts.

Description

커넥터 부재{CONNECTOR MEMBER}Connector member {CONNECTOR MEMBER}

본 발명은 복수의 콘택트(contact)(핀)를 구비하는 커넥터 부재(connector 部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 핀(入力 pin)의 배치와 출력 핀(出力 pin)의 배치에 관하여 당해 커넥터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피치변환(pitch 變換) 및 배열변환(配列變換)을 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터 부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pins),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input pins and the arrangement of output pi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member which is subjected to pitch conversion and array conversion in.

상기한 바와 같은 커넥터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120345호 공보(특허문헌1)나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7-080782호 공보(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As said connector member, there exist some which are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6-120345 (patent document 1), and th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7-080782 (patent document 2), for exampl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 부재와 비교하여 더 양호한 고주파 특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member having better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nnector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측면은, 2개의 신호 콘택트(信號 contact)로 이루어지는 콘택트 쌍을 여러 쌍 구비함과 아울러 그라운드 부재(ground 部材)를 구비하는 커넥터 부재를 제공한다. 커넥터 부재에 있어서, 당해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後端側)에서 본 경우에 가로방향에 있어서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이 상기 가로방향과 직교하는 높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콘택트 쌍이 배치되어 있다. 그라운드 부재는 적어도 간섭방지부(干涉防止部)를 구비하고 있다. 간섭방지부는,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 사이의 모두에 위치하고 있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member including several pairs of contact pairs composed of two signal contacts and a ground member. In the connector member, the rear end of the contact pair that is an odd nu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connector member and the rear end of the contact pair that is an even nu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ntact pairs are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member is provided with at least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ortion is located both between the rear end of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and the rear end of the even-numbered contact pair when viewed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connector member.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홀수 번째 콘택트 쌍의 후단과 짝수 번째 콘택트 쌍의 후단 사이에 그라운드 부재가 구비되는 간섭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콘택트 쌍 사이의 신호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ortion provided with the ground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and the rear end of the even-numbered contact pair when viewed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connector member, signal interference between both contact pairs is prevented. It can prevent.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를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비결합상태에 있다.
도2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플러그 커넥터를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를 구성하는 앞쪽 커넥터 부재와 뒤쪽 커넥터 부재는 분리되어 있다.
도4는 도3의 앞쪽 커넥터 부재를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앞쪽 커넥터 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6은 도4의 앞쪽 커넥터 부재를 저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앞쪽 커넥터 부재에 포함되는 하우징의 일부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8은 도6의 앞쪽 커넥터 부재에 포함되는 신호 콘택트 및 그라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신호 콘택트 및 그라운드 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8의 신호 콘택트 및 그라운드 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11은 도3의 뒤쪽 커넥터 부재를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2는 변형예에 의한 그라운드 부재와 신호 콘택트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2의 그라운드 부재와 신호 콘택트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formed of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upper surface side thereof. Here,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shown in the figure are in an uncoupled stat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ure 1 seen from the bottom sid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connector of Fig. 1 seen from the bottom side. Here, the front connector member and the rear connector member constituting the plug connector are separat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onnector member of Fig. 3 seen from the upper side.
Fig. 5 is a rear view showing the front connector member of Fig. 4.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onnector member of Fig. 4 as seen from the bottom sid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housing included in the front connector member of FIG. 6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gnal contact and a ground member included in the front connector member of FIG. 6.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ignal contact and ground members of FIG. 8 separately.
FIG. 10 is a rear view illustrating the signal contact and the ground member of FIG. 8.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nnector member of FIG. 3 seen from an upper surface side.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ound member and the signal contact separately according to a modification.
FIG. 13 is a rear view of the ground member and signal contacts of FIG. 12; FIG.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1)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2)와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3)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커넥터(2)에는 케이블(cable)(4)이 접속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3)는 기판(基板)(5)에 탑재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3)는, X방향(전후방향)에 있어서 서로 결합·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necto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g connector 2 and a receptacle connector 3. A cable 4 is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2,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3 is mounted on the substrate 5. The plug connector 2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3 are configured so that they can be engag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s).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2)는, 앞쪽 커넥터 부재(front connector member)(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 부재」)(10)와 뒤쪽 커넥터 부재(back connector member)(20)의 2개가 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뒤쪽 커넥터 부재(20)는 케이블(4)의 선단(先端)을 수용하는 것이고, 앞쪽 커넥터 부재(10)는 리셉터클 커넥터(3)에 결합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plug connector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ont connector member (the "connector member" in the present embodiment) 10 and a back connector member. Two of the members 20 consist of members. The rear connector member 20 is here to receive the front end of the cable 4, and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is to be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3.

도4 내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커넥터 부재(10)는, 하우징(housing)(110)과, 하우징(110)에 지지된 신호 콘택트(信號 contact)(130) 및 그라운드 부재(ground 部材)(150)와,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3)의 결합상태를 록(lock)하기 위한 록 부재(lock member)(170)와, 하우징(110)의 밑면을 덮는 셀(shell)(19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신호 콘택트(130), 그라운드 부재(150), 록 부재(170) 및 셀(190)은 모두 금속제(金屬製)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록 부재(170)는, 동종의 기능(후술한다)을 구비하는 것이라면 본 실시예에 의한 것과 다른 형상이어도 좋으며, 수지(樹脂) 등의 인슐레이터(insulator)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includes a housing 110, a signal contact 130 supported by the housing 110, and a ground member. 150, a lock member 170 for lock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plug connector 2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3, and a shell covering the bottom of the housing 110 ( 190). Although the signal contact 130, the ground member 150, the lock member 170, and the cell 190 in this embodiment are all made of met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long as the lock member 170 has the same func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lock member 170 may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such as resin.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Y방향(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부(主部)(111)와, 주부(111)의 Y방향 양단으로부터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부(側部)(112)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111)와 측부(112)는, Z방향(높이방향)에서 본 경우에 대략 ㄷ자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6, the housing 110 includes a main part 111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and a side part extending along the X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Y direction of the main part 111. Part 112 is provided. The main part 111 and the side part 112 comprise substantially C shape when it sees from Z direction (height direction).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주부(111)는, 대략 판자(板子) 모양의 전부(前部)(113)와, XZ평면에 있어서 대략 ㄷ자 모양의 단면(斷面)을 구비하는 후부(後部)(114)를 구비하고 있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부(113)의 상면 상에는,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콘택트 지지부(contact 支持部)(1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콘택트 지지부(115)는 볼록한 모양의 단면을 구비하는 홈이다. 후부(114)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上部)(116)와, Z방향에 있어서 상부(116)와 대향(對向)하는 하부(下部)(117)와, 상부(116)와 하부(117)를 그들의 전단(前端)에서 접속하는 전벽부(前壁部)(118)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상부(116), 하부(117) 및 전벽부(118)에 의하여 후부(114) 내에는 스페이스(space)가 규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벽부(118)는 YZ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콘택트 지지부(115)는 이 전벽부(118)를 X방향에 있어서 관통하고 있다. 상부(116)와 하부(117)의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는 콘택트 지지부(120 및 1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콘택트 지지부(120 및 121)는 볼록한 모양의 단면을 구비하는 홈이다. 또한 Z방향에 있어서 콘택트 지지부(115)는 콘택트 지지부(120)와 콘택트 지지부(12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하부(117)와 상부(116)에는, 그라운드 부재(150)의 위치결정·고정용의 오목부(122)와 고정구멍(1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6 및 도7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부(122)와 고정구멍(123)은 후부(114)에 있어서 Y방향 양단부와 Y방향 중앙부의 3군데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main part 111 has a front part 113 having a substantially board shape and a rear part having an approximately c-shaped cross section in the XZ plane. 114 is provided. As shown in FIG. 7, a contact support 115 extending along the X dir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hole 11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ct support 115 is a groove having a convex cross section. The rear portion 114 includes an upper portion 116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a lower portion 117 facing the upper portion 116 in the Z direction, an upper portion 116 and a lower portion. It is provided with the front wall part 118 which connects 117 at the front end, and it is in the rear part 114 by these upper part 116, the lower part 117, and the front wall part 118. Is defined as a space.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wall portion 118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YZ plane, and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15 penetrates the front wall portion 118 in the X direction. Contact supports 120 and 121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upper portion 116 and the lower portion 117 facing each other. The contact supports 120 and 121 here are grooves having a convex cross section. Moreover, the contact support part 115 is located between the contact support part 120 and the contact support part 121 in a Z direction. In the lower part 117 and the upper part 116, the recessed part 122 and the fixing hole 123 for positioning and fixing of the ground member 150 are formed, respectively. As can be understood from Figs. 6 and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ss 122 and the fixing hole 123 are formed at three positions at both ends of the Y-direction and the center of the Y-direction at the rear portion 114, respectively. .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측부(112)에는, 각각 록 부재(17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收容部)(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부(112)의 전단에는, 리셉터클 커넥터(3)에 플러그 커넥터(2)를 결합시킬 때(예를 들면 도2 참조)에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 포스트(guide post)(1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복수의 압입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구멍(126)은 셀(190)을 하우징(110)의 하면에 부착할 때에 이용된다.6 and 7, a receiving portion 124 for accommodating the lock member 170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112, respectively. In addition, at the front end of the side part 112, a guide post 125 is formed to guide the plug connector 2 to the receptacle connector 3 (for example, see FIG. 2).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essing holes 126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his press-in hole 126 is used when attaching the cell 19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도6, 도8∼도10을 참조하면 신호 콘택트(130)는, 중간부(中間部)(131)와, 중간부(13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즉 X방향에 있어서 앞쪽 커넥터 부재(10)의 전단부(前端部)(10a)를 향하여 : 예를 들면 도3 참조) 연장되는 제1신호접촉부(第一信號接觸部)(133)와, 중간부(13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즉 X방향에 있어서 앞쪽 커넥터 부재(10)의 후단부(後端部)(10b)를 향하여 : 예를 들면 도3 참조) 연장되는 제2신호접촉부(135)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1신호접촉부(133)는 신호 콘택트(130)의 전단을 구성하고 있고, 제2신호접촉부(135)는 신호 콘택트(130)의 후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9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간부(131)는 주로 YZ 평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X방향에서 본 경우에 대략 크랭크(crank)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1신호접촉부(133)는 콘택트 지지부(115)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위이고, 제2신호접촉부(135)는 콘택트 지지부(120) 또는 콘택트 지지부(121)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위이다.6 and 8 to 10, the signal contact 130 faces forward from the middle portion 131 and the middle portion 131 (that is,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in the X direction).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10a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for example, see FIG. 3) and rearward from the intermediate portion 131 (i.e., X). And a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exten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ar end portion 10b of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see Fig. 3, for example). That is,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constitutes the front end of the signal contact 130, and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constitutes the rear end of the signal contact 130. As best shown in Fig. 9, the intermediate portion 131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mainly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YZ plane, and has a substantially crank shape when viewed in the X direction. The first signal contact part 133 is a part supported by the contact support part 115, and the second signal contact part 135 is a part supported by the contact support part 120 or the contact support part 121.

본 실시예에 의한 그라운드 부재(150)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간섭방지부(151)와, 간섭방지부(15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제1그라운드 접촉부(first ground 接觸部)(153)와, 간섭방지부(15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와, U자 모양의 셀 접속부(shell 接續部)(157)와, 간섭방지부(151)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피고정부(被固定部)(159)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셀 접속부(157)는 간섭방지부(15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에 전방을 향하도록 되돌려져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셀 접속부(157)의 단부(端部)는 전방을 향하고 있다.The ground memb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151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ground contact parts extending forward from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151 ( 153, a plurality of second ground contacting portions 155 extending rearward from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1, a shell connection portion 157 having a U-shape, and an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1. A fixed portion 159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is provided. In detail, the cell connecting portion 157 extends back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1 and then returns to face forward. Therefore, the end part of the cell connection part 157 is facing forward.

도8 및 도9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신호접촉부(133) 및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는, Y방향으로 1열로 나란하게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2개의 신호 콘택트(130)를 콘택트 쌍(140)으로 한 경우에 가장 근접하는 2개의 콘택트 쌍(140)(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O)과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E) : 도10 참조)에 있어서 제1신호접촉부(133)의 사이에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 제1신호접촉부(133), 제1신호접촉부(133),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 제1신호접촉부(133), 제1신호접촉부(133),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 …… 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도8 참조).As best shown in Figs. 8 and 9,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and the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153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Y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two contact pairs 140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140 O and the even-numbered contact pair 140 that are closest to each other when the two signal contacts 130 are used as the contact pair 140) are described. E ): see FIG. 10), the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15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s 133. That is, the first ground contact 153, the first signal contact 133, the first signal contact 133, the first ground contact 153, the first signal contact 133, the first signal contact 133, and the first 1 ground contact portion 153. … It is arrange | positioned as (refer FIG. 8).

한편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신호접촉부(135) 및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는, 제1열(142)과 제2열(144)의 2열로 나누어져 있다. 제1열(第一列)(142)을 구성하는 제2신호접촉부(135) 및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와 제2열(144)을 구성하는 제2신호접촉부(135) 및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는, Z방향에 있어서 상호간의 사이를 개방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8 및 도10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신호접촉부(133) 및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로 구성되는 접촉부 열은, Z방향에 있어서 제1열(142)과 제2열(14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1열(142)과 제2열(144)의 쌍방과도, 제1신호접촉부(133) 및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로 구성되는 접촉부 열은 Z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즉 제1신호접촉부(133) 및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로 구성되는 접촉부 열은, Z방향에 있어서 제1열(142)과 제2열(144)의 쌍방과도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and the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 155 are divided into two columns of the first column 142 and the second column 144.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and the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 155 constituting the first column 142 and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and the second ground constituting the second column 144. The contact portions 155 are arranged to open each other in the Z direction. 8 and 10, the contact column formed of the first signal contact 133 and the first ground contact 153 includes the first row 142 and the second row 144 in the Z direction. Located in between. That is, with both the first column 142 and the second column 144, the contact column composed of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and the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153 is located at a different position in the Z direction ( That is, the contact portion column formed of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and the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153 is locat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both the first column 142 and the second column 144 in the Z direction.) .

더 상세하게는 도8 및 도10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140E))의 제2신호접촉부(135)는 제1열(142)에 포함되어 있고, 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140O))의 제2신호접촉부(135)는 제2열(144)에 포함되어 있고, 각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는, 제1열(142) 및 제2열(144)의 각 열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2개의 콘택트 쌍(140)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즉 제1열(142)에 있어서는,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E)에 포함되는 2개의 제2신호접촉부(135),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E)에 포함되는 2개의 제2신호접촉부(135) …… 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제2열(144)에 있어서는, 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O)에 포함되는 2개의 제2신호접촉부(135),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 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O)에 포함되는 2개의 제2신호접촉부(135),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 …… 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8 and 10,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of the even-numbered contact pair 140 (140 E ) is included in the first column 142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of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140 (140 O ) is included in the second column 144, and each of the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s 155 is the first column 142. ) Is inserted between the two closest contact pairs 140 in each column of the second column 144. That is, the first in the column 142, the second ground contact 155, an even number of 2 contained in the second contact pair (140 E), the second signal contacts 135, the second ground contact 155, the even-numbered Two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s 135 included in the contact pair 140 E of ? … In the second column 144, the second signal contact part 135, the second ground contact part 155, and the odd numbered number included in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140 O are similarly arranged. Two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s 135 and a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 155 included in the contact pair 140 O. … It is arranged in order.

개개의 콘택트 쌍(140)에 착안하면, 각 콘택트 쌍(140)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콘택트(130)는, Y방향에 있어서 당해 2개의 신호 콘택트(130) 사이에 위치하는 면으로서 XZ평면과 평행한 면(Y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특정한 면으로 가정하였을 경우에, 당해 특정의 면과 거울상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콘택트(130)의 중간부(131)는, X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대략 크랭크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각 콘택트 쌍(140)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콘택트(130)에 있어서 제2신호접촉부(135) 사이의 거리는 제1신호접촉부(133) 사이의 거리보다 커지도록 되어 있다. 즉 신호 콘택트(130)의 앞쪽과 뒤쪽에서는, 피치변환(pitch 變換)이 되어 있다.Focusing on the individual contact pairs 140, the two signal contacts 130 constituting each contact pair 140 are planes located between the two signal contacts 130 in the Y direction and the XZ plane. When a parallel surface (surface orthogonal to the Y direction) is assumed to be a specific surface,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a mirror image relationship with the specific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 portion 131 of each contact 130 has a substantially crank shape when viewed in the X direction. Therefore, in the two signal contacts 130 constituting each contact pair 140,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ignal contacts 135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gnal contacts 133. That is, pitch conversion is per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signal contact 130.

또한 Y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쌍의 콘택트 쌍(140)(즉 Y방향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O)과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E))에 착안하면, 이들 2개의 콘택트 쌍(140)은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적(假想的)인 축을 회전대상축으로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일방(一方)의 콘택트 쌍(140)(예를 들면 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O))을 회전대상축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켰을 때에 타방(他方)의 콘택트 쌍(140)(예를 들면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E))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신호접촉부(133)는 1열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제2신호접촉부(135)는 2열로 나란하게 되어 있다. 즉 신호 콘택트(130)의 앞쪽과 뒤쪽에서는, 배열변환(配列變換)이 되어 있다.Also, paying attention to the contact pair of the two pairs adjacent in the Y direction 140 (i.e., Y direction nearest odd contact pair of the second (140 O) and the even contact pair of a second in the (140 E)), the two When the contact pair 140 has a virtual axis extending along the X direction as a rotation target axis, one contact pair 140 (for example, an odd number of contact pairs 140 O) is used. )) may, when rotated 180 degrees to the central rotation axis of the target is arranged so as to match the contact pairs 140 (e. g. an even contact of the second pair of the other (他方) (E 140)). As a result,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is arranged in one row, while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is arranged in two rows. That is, array conversion is per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signal contact 130.

신호 콘택트(130) 및 그라운드 부재(150)는, 상기한 배열조건을 충족하도록 하여 하우징(110)에 조립된다. 상세하게는, 우선 제1신호접촉부(133)를 콘택트 지지부(115)에 하우징(11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하고, 또한 상기한 요건을 충족하도록 하여 제2신호접촉부(135)를 콘택트 지지부(120) 또는 콘택트 지지부(121)에 압입한다. 이 때에 하나의 콘택트 쌍(140)의 제1신호접촉부(133)와, 이것과 이웃하는 콘택트 쌍(140)의 제1신호접촉부(133)의 사이에는, 제1신호접촉부(133)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콘택트 지지부(115)가 남아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제1신호접촉부(133)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콘택트 지지부(115)에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를 압입하고, 또한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를 콘택트 지지부(120) 또는 콘택트 지지부(121)에 압입한다. 이 때에 피고정부(159)가 하우징(110)의 고정구멍(123)에 압입됨과 아울러, 셀 접속부(157)가 오목부(122)에 결합된다.The signal contact 130 and the ground member 150 are assembled to the housing 110 to satisfy the above arrangement condition. Specifically, first,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15 from the rear of the housing 110, and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is contacted 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satisfy the above requirements. Or it press-fits into the contact support part 121. At this time,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of one contact pair 140 and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of the adjacent contact pair 140. Make sure that no contact support 115 remains. Subsequently, the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153 is press-fitted in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15 into which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is not inserted, and the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 155 is connected 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0 or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1. Press in). At this time, the pinned portion 159 is pressed into the fixing hole 123 of the housing 110, and the cell connecting portion 157 is coupled to the recess 122.

도5 및 도10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신호 콘택트(130) 및 그라운드 부재(150)를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앞쪽 커넥터 부재(10)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그라운드 부재(150)의 중간부에 형성된 간섭방지부(151)는,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140O)의 제2신호접촉부(135)와, 이것과 이웃하는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140E)의 제2신호접촉부(135)의 사이의 모두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간섭방지부(151)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콘택트 쌍(140)에 있어서의 제2신호접촉부(135) 사이의 상호간섭이 방지되고 있다.As can be understood from Figs. 5 and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signal contact 130 and the ground member 150 are assembled in the housing 110, the ground member (as seen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151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150 is formed of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of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140 O and the even-numbered contact pair 140 E adjacent thereto. Located between all of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s 135. Since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151 is inserted in this way,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signal contact parts 135 in the neighboring contact pair 140 is prevented.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170)는, 갈고랑이 모양의 록부(lock portion)(172)와, 록부(172)의 이동에 사용되는 조작부(操作部)(174)를 구비하고 있다. 록 부재(170)는, 록부(172)를 Y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이드 포스트(125)로부터 돌출시키도록, 또한 조작부(174)를 Y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가압(加壓)시켰을 때에 당해 가압조작에 의하여 록부(172)가 가이드 포스트(125) 내에 인입되도록 하우징(110)의 수용부(124)에 수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lock member 170 includes a lock portion 172 in the shape of a crotch, and an operation portion 174 used to move the lock portion 172. When the lock member 170 presses the lock part 172 to protrude from the guide post 125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Y direction, and pushes the operation unit 174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Y direction, The lock portion 172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4 of the housing 110 to be introduced into the guide post 125.

도3 및 도6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셀(190)은, XY평면과 평행한 주부(19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부(192)에는, Y방향으로 길이가 긴 창부(窓部)(193)가 형성되어 있다. 창부(193)는 앞쪽 커넥터 부재(10)와 뒤쪽 커넥터 부재(20)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셀(190)이 하우징(110)에 부착되었을 때에 주부(111)의 후단(테두리 : 엣지)이 창부(193)를 통하여 보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셀(190)은, 리셉터클 커넥터(3)의 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과 접속되는 접속부(接續部)(194)와, 주부(192)와 접속부(194)를 연결하는 연결부(連結部)(196)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194)는 대략 Y방향으로 길고 가늘게 연장되는 판자 모양의 부위이다. 주부(192)나 접속부(194)에는 복수의 피압입부(被壓入部)(197)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하우징(110)의 압입구멍(126)에 압입됨으로써 셀(190)이 하우징(110)에 부착된다. 셀(190)이 하우징(110)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주부(192)는 하우징(110)의 측부(側部)(112)와 후부(後部)(114)의 하면을 덮음과 아울러 측부(112)의 하부 사이를 덮고 있고, 한편 접속부(194)는 하우징(110)에 있어서 전부(113)의 하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셀(190)이 하우징(110)에 부착됨으로써 그라운드 부재(150)의 셀 접속부(157)와 셀(190)의 접속도 도모된다.As can be understood from FIGS. 3 and 6, the cell 190 includes a main portion 192 parallel to the XY plane. The main portion 192 is formed with a window portion 193 long in the Y direction. The window 193 is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and the rear connector member 20. When the cell 190 is attached to the housing 110, the rear end of the main member 111 (edge: edge) ) Is formed through the window 193. In addition, the cell 19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194 connected to a cell (not show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3,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main portion 192 and the connecting portion 194. 196 is provided. The connection portion 194 is a board-shaped portion that extends long and thinly in the Y direction. The main part 192 or the connection part 194 is provided with the some to-be-pressed part 197, and these are press-fitted into the pushing-in hole 126 of the housing 110, and the cell 190 is housed 110 ) Is attached. In the state where the cell 190 is attached to the housing 110, the main part 192 covers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112 and the rear part 114 of the housing 110 and the side part ( It covers between the lower parts of 112, and the connection part 194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hole part 113 in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ell 190 is attached to the housing 110 to connect the cell connecting portion 157 of the ground member 150 to the cell 190.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셀(190)의 주부(192)에는, 뒤쪽 커넥터 부재(20)를 앞쪽 커넥터 부재(10)에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피압입부(198)가 더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main portion 192 of the cell 190 in this embodiment has a press-fitted portion 198 for fixing the rear connector memb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connector member 20 is coupled to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Is further formed.

도3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뒤쪽 커넥터 부재(20)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에 지지되는 케이블 콘택트(cable contact)(22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11, the rear connector memb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210 and a cable contact 220 supported by the housing 210.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10)에는, 케이블 콘택트(2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멍(212)과, 앞쪽 콘택트 부재(10)에 있어서 셀(190)의 피압입부(198)가 압입되는 압입구멍(21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구멍(212)은 X방향에 있어서 전단(210a)으로부터 후단(210b)까지 관통하는 구멍이고, 케이블 콘택트(220)의 전단부를 하우징(210)의 전단(210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케이블 콘택트(220)를 지지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1, a support hole 212 for supporting the cable contact 220 and a press-fitted portion 198 of the cell 190 are press-fitted into the housing 210 in the front contact member 10. An indentation hole 214 is formed. The support hole 212 is a hole penetrating from the front end 210a to the rear end 210b in the X direction, and the cable contact 220 does not protrude from the front end 210a of the housing 210 in the front end of the cable contact 220. ).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콘택트(220)에는 케이블(4)이 접속·지지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콘택트(220)의 전단부는, 하우징(2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전단(210a)으로부터 신호 콘택트(130)의 제2신호접촉부(135)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cable 4 is connected and supported by the cable contact 22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able contact 220 has a shape capable of receiving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of the signal contact 130 from the front end 210a of the housing 21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housing 210. Doing.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2)를 앞쪽 커넥터 부재(10)와 뒤쪽 커넥터 부재(20)로 나누었기 때문에, 앞쪽 커넥터 부재(10)에 있어서 신호 콘택트(130)의 피치변환 및 배열변환을 할 수 있고, 또한 뒤쪽 커넥터 부재(20)를 통하여 앞쪽 커넥터 부재(10)의 신호 콘택트(130)와 케이블(4)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lug connector 2 is divided into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and the rear connector member 20, the pitch contact and the array conversion of the signal contacts 130 can be changed in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It is also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of the cable 4 with the signal contact 130 of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via the rear connector member 20.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그라운드 부재(150)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라운드 부재로서 복수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an Example was given and demonstrated concretely,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ground member 150 is composed of one memb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mbers as the ground member.

도12 및 도13에는, 복수의 그라운드 부재(150a, 150b)와 복수의 신호 콘택트(130)의 조합이 나타나 있다. 그라운드 부재(150a)는, 대략 크랭크 형상의 간섭방지부(151a)와, 간섭방지부(151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a)와, 간섭방지부(151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라운드 부재(150b)는, 대략 J자 형상의 간섭방지부(15lb)와, 간섭방지부(15l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b)와, 간섭방지부(15l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b)를 구비하고 있다. 그라운드 부재(150a)와 그라운드 부재(150b)는, Y방향에 있어서 대략 교대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그라운드 부재(150a, 150b)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하여 신호 콘택트(130)의 제1신호접촉부(133)와 그라운드 부재(150a, 150b)의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a, 153b)는 1열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한편, 신호 콘택트(130)의 제2신호접촉부(135)와 그라운드 부재(150a, 150b)의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a, 155b)는 제1열(146) 및 제2열(148)의 2열로 그룹화 되어 있다(특히 도13을 참조).12 and 13 show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ground members 150a and 150b and a plurality of signal contacts 130. The ground member 150a extends rearward from the substantially crank-shaped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1a, the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153a extending forward from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1a, and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1a. The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 155a is provided. In addition, the ground member 150b has an approximately J-shaped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lb, a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153b extending forward from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lb, and an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lb to the rear. The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 155b extends. The ground member 150a and the ground member 150b are arranged side by side substantially alternately in the Y direction. Due to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ground members 150a and 150b,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133 of the signal contact 130 and the first ground contact portions 153a and 153b of the ground members 150a and 150b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135 of the signal contact 130 and the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s 155a and 155b of the ground members 150a and 150b are formed in the first row 146 and the second row 148. Grouped in two columns (see especially FIG. 13).

상기한 변형예에 있어서도 도13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커넥터 부재(10)의 후단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간섭방지부(151a) 및 간섭방지부(15lb)는,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140O)의 제2신호접촉부(135)와, 이것과 이웃하는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140E)의 제2신호접촉부(135) 사이의 모두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간섭방지부(151a) 및 간섭방지부(15lb)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콘택트 쌍(140)의 제2신호접촉부(135) 사이의 상호간섭이 방지되고 있다.Also in the above-described modification, when seen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front connector member 10, as shown clearly from FIG. 13,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1a and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15lb have an odd number of contact pairs ( located between both O 140) the second signal contacts 135, a second signal contact 135 of the even-contact pair (E 140 is a second) and its neighboring. Since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151a and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15lb are inserted in this way,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signal contact part 135 of the neighboring contact pair 140 is prevented.

Claims (8)

2개의 신호 콘택트(信號 contact)로 이루어지는 콘택트 쌍을 여러 쌍 구비함과 아울러 그라운드 부재(ground 部材)를 구비하는 커넥터 부재(connector 部材)로서,
상기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가로방향에 있어서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이 상기 가로방향과 직교하는 높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상기 콘택트 쌍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적어도 간섭방지부(干涉防止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상기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상기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As a connector member including several pairs of contact pairs consisting of two signal contacts and a ground member,
When viewed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connector member, the rear end of the contact pair that is an odd numb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contact pair that is an even numb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contact pairs are positioned,
The ground member is provided with at least an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art is locat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and the rear end of the even-numbered contact pair, when viewed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connector member.
A connector memb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각 신호 콘택트는, 중간부(中間部)와, 상기 중간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신호접촉부(第一信號接觸部)와, 상기 중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신호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신호접촉부는, 상기 가로방향으로 1열로 나란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신호접촉부는, 제1열 및 제2열로 그룹화 되어 있고,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은, 상기 높이방향에 있어서 사이를 개방하도록, 또한 상기 제1신호접촉부의 열과 상기 높이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Each signal contact includes an intermediate portion, a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a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intermediate portion. ,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is arranged in one r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is grouped into a first column and a second column,
The first column and the second column are formed so as to be open between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and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column of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A connector memb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상기 간섭방지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그라운드 접촉부(first ground 接觸部)와, 상기 간섭방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그라운드 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그라운드 접촉부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콘택트 쌍의 상기 제1신호접촉부와 상기 짝수 번째 콘택트 쌍의 상기 제1신호접촉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2그라운드 접촉부는, 상기 홀수 번째 콘택트 쌍 중 하나의 상기 콘택트 쌍의 상기 제2신호접촉부와 상기 하나의 콘택트 쌍에 가장 가까운 상기 홀수 번째 콘택트 쌍의 상기 제2신호접촉부의 사이, 및 상기 짝수 번째 콘택트 쌍 중 하나의 상기 콘택트 쌍의 상기 제2신호접촉부와 상기 하나의 콘택트 쌍에 가장 가까운 상기 짝수 번째 콘택트 쌍의 상기 제2신호접촉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The method of claim 2,
The ground member further includes a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ortion and a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ortion,
The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of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and the first signal contact portion of the even-numbered contact pai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 is between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pair of one of the odd-numbered contact pairs and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of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closest to the one contact pair, and the even number. Located between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pair of one of the first contact pairs and the second signal contact portion of the even-numbered contact pair closest to the one contact pair.
A connector memb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전후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크랭크와 같은 형상(crank-like shape)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mediate portion has a crank-like shape whe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connector memb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쌍을 구성하는 상기 2개의 신호 콘택트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신호 콘택트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가로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특정한 면으로 가정하였을 경우에, 상기 특정의 면과 거울상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two signal contacts constituting the contact pair are in a mirror image relationship with the specific plane when the plane located between the two signal contact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ateral direction is assumed to be a specific plane. Is arranged to be
A connector memb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쌍의 상기 콘택트 쌍은, 상기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축을 회전대상축으로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상기 2쌍의 콘택트 쌍 중 일방(一方)의 콘택트 쌍을 상기 회전대상축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켰을 때에 타방(他方)의 콘택트 쌍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The method of claim 5,
The two pairs of adjacent contact pairs in the lateral direction may use one of the pairs of pairs of contacts as the rotation target axis when the virtual axis extending forward is used as the rotation target axis. When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center, they are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other contact pair.
A connector memb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상기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 사이의 모두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간섭방지부는, 서로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ortions located at both the rear end of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and the rear end of the even-numbered contact pair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 connector memb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상기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 사이마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ference preventing part is form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odd-numbered contact pair and the rear end of the even-numbered contact pair.
A connector memb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20100027186A 2009-03-30 2010-03-26 connector member KR10109883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2825A JP4738507B2 (en) 2009-03-30 2009-03-30 Connector member
JPJP-P-2009-082825 200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430A true KR20100109430A (en) 2010-10-08
KR101098839B1 KR101098839B1 (en) 2011-12-26

Family

ID=4280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186A KR101098839B1 (en) 2009-03-30 2010-03-26 connector memb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38507B2 (en)
KR (1) KR101098839B1 (en)
CN (2) CN102751626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91B1 (en) * 2011-06-08 2013-10-0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having a cam operating portion which presses a connection object being rotate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3726B2 (en) * 2010-11-03 2013-01-15 Hon Hai Precision In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bars therein to reduce cross talking
US8342886B2 (en) * 2011-03-14 2013-01-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ing bars therein to reduce cross talking
JP5878071B2 (en) 2012-04-13 2016-03-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Electrical connector
JP6210540B2 (en) 2013-09-13 2017-10-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Electrical connector
US9437988B2 (en) 2014-10-17 2016-09-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043B2 (en) * 2004-10-19 2011-01-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2007080782A (en) * 2005-09-16 2007-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Electric connector
JP4260791B2 (en) * 2005-11-07 2009-04-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4623584B2 (en) * 2005-12-28 2011-0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91B1 (en) * 2011-06-08 2013-10-0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onnector having a cam operating portion which presses a connection object being rotated
US8858249B2 (en) 2011-06-08 2014-10-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having a cam operating portion which presses a connection object with being rot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839B1 (en) 2011-12-26
CN102751626B (en) 2015-01-14
JP2010238409A (en) 2010-10-21
JP4738507B2 (en) 2011-08-03
CN102751626A (en) 2012-10-24
CN101854004A (en) 2010-10-06
CN101854004B (en)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839B1 (en) connector member
US6540559B1 (en) Connector with staggered contact pattern
US7651341B2 (en) Circuit board assembly with staggered cable arrangement
US8535065B2 (en) Connector assembly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different orientations
US781112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plate
CN102197540B (en) Connector shield with integrated fastening arrangement
US7654831B1 (en) C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configuration for suppressing cross-talk
CN108365465B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ating connector interface
JP4439540B2 (en) connector
US8241063B2 (en) Connector having a body with a positioning projection engaging a positioning depression on a shield case
US20080214059A1 (en) Orthogonal electrical connector with increased contact density
US20090149065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ding means
CN104779458A (en) Backplane or midplane communication system and electrical connector
JP2001015223A (en) Versatile connector and its coupling method
US7708567B2 (en)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or modules and a housing that holds said plurality of connector modules with a gap between adjacent ones thereof
US2008001479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outer shield
JP2003022877A (en) Right-angled connector
US20200313362A1 (en) Double- shielded high-speed docking connector
CA2782705C (en) Lead fram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group, and connector
TWI722581B (en) Connector
JP2006269107A (en) Connector
US20090170351A1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To Isolate Mating Forces
US8183155B1 (en) Lower profile connector assembly
US20080020642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inner shileding plate
JP5090554B2 (en) Connector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