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333A -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압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압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333A
KR20100109333A KR1020090044136A KR20090044136A KR20100109333A KR 20100109333 A KR20100109333 A KR 20100109333A KR 1020090044136 A KR1020090044136 A KR 1020090044136A KR 20090044136 A KR20090044136 A KR 20090044136A KR 20100109333 A KR20100109333 A KR 20100109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related information
sink device
compress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297B1 (ko
Inventor
김재승
이재준
주성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697,710 priority Critical patent/US8620147B2/en
Publication of KR2010010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4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horizont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5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horizont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의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의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 및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추출하며,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추출하고, 압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보조 정보 및 압축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복원된 원본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 HDMI, HD급 비디오, 영상 압축 통신

Description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압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mpressed data using digital data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의 통신에 관한 것이다.
고해상도 비디오 또는 고화질 비디오를 획득하는 촬상 시스템 및 재생하는 재생 시스템의 제작 및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해상도 비디오 또는 고화질 비디오가 송수신될 수 있는 통신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3차원 영상은 일반 일시점 영상에 비해 데이터량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3차원 영상의 통신에 있어서도 보다 대용량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환경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디스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미디어 데이터 및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의 송수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은,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 중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가 삽입된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상기 압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은,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보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원된 원본 데이터를 상기 보조 정보 및 상기 압축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가 삽입된 미디어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전 송 방법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상기 싱크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이다.
일 실시예의 상기 압축 관련 정보는, 상기 압축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Bit Rate)에 관한 정보,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압축 데이터가 삽입되어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 상기 압축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관한 정보, 상기 압축 데이터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 및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압축 관련 정보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에 삽입된 기존 보조 정보 프레임의 압축 관련 필드 영역 또는 예비 영역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압축 관련 정보는 신규 보조 정보 프레임에 삽입되고, 상기 신규 보조 정보 프레임이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수직 귀선 구간(Vertical Blanking Interval) 영역 및 수평 귀선 구간(Horizontal Blanking Interval)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수직 귀선 구간 영역, 수평 귀선 구간 영역 및 액티브 비디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압축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 데이터의 컬러 성분별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송수신되거나, 상기 컬러 성분별 데이터 라인을 통해 각각 송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가 삽입된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싱크 기기로부터 상기 소스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수신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추출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추출된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싱크 기기에 전송하는 압축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이다.
일 실시예의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비트레이트에 관한 정보,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가능성에 관한 정보,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관한 정보,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의 예비 비트 필드 또는 신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는,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에 삽입하는 압축 데이터 삽입부;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하는 보조 정보 삽입부; 및 상기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하는 압축 관련 정보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는, 상기 싱크 기기의 재 생 능력에 관한 정보가 삽입된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삽입하는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는,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파싱하는 미디어 데이터 파싱부; 상기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 중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가 삽입된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압축 관련 정보 추출부; 상기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상기 압축 데이터를 추출하는 압축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압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보조 정보를 추출하는 보조 정보 추출부; 및 수신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파싱하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파싱부; 상기 파싱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재생 능력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 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가 포함된 미디어 데이터의 수신 방법 및 장치, 전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수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술된다.
도 1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데이터 파싱부(110), 보조 정보 추출부(120), 압축 관련 정보 추출부(130), 압축 데이터 추출부(140), 복호화부(150) 및 재생부(1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 이터 수신 장치(100)는 싱크단 또는 싱크 기기에 위치할 수 있다.
싱크 기기는 HDTV(High Definition TV) 등의 디스플레이, DVD-R(Digital Versatile Disc Recoder) 등의 레코더, 저장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기기는 셋탑 박스 등의 호스트 기기 또는 PC(Personal Computer)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미디어 데이터 파싱부(110)는, 소스 기기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파싱한다.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소정 표준 규격을 따르고 있다면, 미디어 데이터도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소정 표준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구조를 따라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는 실제 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 및 보조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보조 정보 추출부(120), 압축 관련 정보 추출부(130) 및 압축 데이터 추출부(140)는 각각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보조 정보 추출부(120)는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의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를 추출하여, 재생부(16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보조 정보는 AVI(Auxiliary Video Information) 정보, SPD(Serial Presence Detect) 정보, 오디오 정보, MPEG 정보, 일반 컨트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정보 추출부(120)는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IP(Internet Protocal)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압축 관련 정보 추출부(130)는,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의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원본 데이터가 압축된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복호화부(250)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관련 정보는, 미디어 데이터에 압축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압축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데이터스트림 형태, 압축 방식, 해상도 등에 관한 정보들 및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압축 관련 정보의 일례로서, 기본적으로 미디어 데이터에 압축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압축 관련 정보의 일례로서, 미디어 데이터 구조에 삽입된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데이터는 기초스트림(Elementary Stream; ES) 형태 또는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 TS) 형태의 데이터스트림일 수 있다.
세부적으로 기초스트림 형태의 압축 데이터의 파일 포맷 또는 컨테이너 종류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데이터의 파일 포맷 또는 컨테이너는, TS(Transport Stream) 포맷, AVI(Audio Video Interface) 포맷, ASF(Advanced Systems Format) 포맷, MP4(MPEG-4) 포맷, MKV(Matroska Video) 포맷, FLV(Flash Video) 포맷, IP 데이터그램(Internet Protocol datagram) 포맷 등일 수 있다.
압축 관련 정보의 일례로서, 압축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관한 정보는 압축 데이터가 따르는 규격 또는 프로파일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데이터를 압축하는데 이용된 비디오 코덱이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H.264, MPEG4 등의 표준 압축 규격 중 어떤 압축 방식을 따르는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H.264 베이스라인 프로파일, H.264 베이스라인 프로파일(H.264 Baseline Profile;H.264 BP), H.264 메인 프로파일(H.264 Main Profile; H.264 MP), H.264 하이 프로파일(H.264 High Profile; H.264 HP), MPEG4 심플 프로파일(MPEG4 Simple Profile; MPEG4 SP) 및 MPEG4 어드밴스드 심플 프로파일(MPEG4 Advanced Simple Profile; MPEG-4 ASP) 등과 같은 프로파일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압축 관련 정보로서 설정될 수 있다.
압축 관련 정보의 일례로서, 압축 데이터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데이터의 해상도가 2k X 1k, 4k X 2k 또는 8k X 4k 등임이 설정될 수 있다.
압축 관련 정보의 일례로서, 압축 데이터의 원본 데이터가 3차원 영상인 경우 기본적으로 미디어 데이터 구조에 압축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그 밖에도, 3차원 영상 관련 정보로써 깊이(depth) 정보가 제공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 영상을 획득한 카메라들에 관한 카메라 파라미터가 제공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관련 정보 추출부(130)는 압축 관련 정보를, 미디어 데이터 구조에 삽입된 보조 정보 프레임의 압축 관련 필드 영역 또는 예비 비트 필드(Reserved bit field) 영역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관련 정보 추출부(130)는 보조 정보가 삽입되어 있는 보조 정보 프레임과 별개의 보조 정보 프레임으로부터, 압축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압축 데이터 추출부(140)는,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호화부(150)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데이터 추출부(140)는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액티브 비디오 영역 또는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데이터 영역은 수직 귀선 구간 영역 또는 수평 귀선 구간 영역이라면, 압축 데이터는 수직 귀선 구간 영역, 수평 귀선 구간 영역, 액티브 비디오 영역 중 하나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복호화부(150)는, 압축 관련 정보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압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 추출부(140)에 의해 추출된 압축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원본 데이터를 복원한다.
일 실시예의 재생부(160)는, 보조 정보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된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부(150)에 의해 복원된 원본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압축 관련 정보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압축 관련 정보 중 원본 데이터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재생부(160)에서 압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데이터를 재생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전송 속도 등 통신 환경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수 신 장치(200)는 압축 데이터의 컬러 성분별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수신받거나, 컬러 성분별 데이터 라인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의 컬러 성분별로 각각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데이터가 삽입된 데이터 영역은, RGB 컬러 규격에 따른 R성분 데이터, G성분 데이터 및 B성분 데이터를 가지거나, YCbCr 컬러 규격에 따라 Y성분 데이터, Cb성분 데이터 및 Cr성분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컬러 성분별로 별개 데이터 라인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다만, 데이터 전송 속도가 충분히 빠른 경우, 하나의 데이터 라인만을 이용하여 모든 컬러 성분별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성분 데이터 라인만을 이용하여 R성분, G성분, B성분 데이터가 모두 전송될 수 있으며, 또는 Y성분 데이터 라인만을 이용하여 Y성분 데이터, Cb성분 데이터 및 Cr성분 데이터가 모두 전송될 수 있다.
고해상도 비디오, 고화질 비디오, 3차원 비디오 등은 상대적으로 데이터량이 많기 때문에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부담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고해상도 비디오, 고화질 비디오 또는 3차원 비디오는 압축되어 송수신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디스플레이단에서는 원본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해 압축 데이터가 압축 해제되어 원본 데이터를 복원하여야 하므로, 압축 데이터의 압축 해제 및 원본 데이터의 복원을 위한 부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100)는, 압축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필요한 보조 정보 및 압축 관련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시스템을 이용하여 압축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별개의 채널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존의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고서도 압축 데이터 뿐만 아니라 3차원 비디오의 복원 및 재생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생성부(210),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삽입부(220) 및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200)는 싱크 기기 또는 싱크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생성부(210)는,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가 삽입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삽입부(22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는, 싱크 기기의 제조회사, 제품유형, 버전, 타이밍, 지원 가능한 해상도, 색상 포맷, 화소 및 오디오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경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소정 표준 규격을 따른다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도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소정 표준 규격에서 정의된 데이터 구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삽입부(220)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생성부(210)로부터 입력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고,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부(230)로 출력한다.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이란, 싱크 기기가 압축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지 여부 그 자체와,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비트레이트, 데이터스트림 형태, 압축 방식, 해상도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들을 나타낸다. 또한, 압축 데이터가 3차원 영상의 압축 데이터라면, 싱크 기기가 3차원 영상의 압축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지 여부도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기본적으로 싱크 기기가 압축 데이터 자체를 인식하여 재생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싱크 기기가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이 기초스트림(Elementary Stream; ES) 형태 또는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 TS) 형태일 수 있다.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싱크 기기가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싱크 기기가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세부 정 보로서, 전송스트림의 파일 포맷 또는 컨테이너 종류에 관한 정보가,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스트림의 파일 포맷 또는 컨테이너 종류는, TS 포맷, AVI 포맷, ASF 포맷, MP4 포맷, MKV 포맷, FLV 포맷, IP 데이터그램 포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관한 정보는,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가 따르는 규격 또는 프로파일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데이터를 압축하는데 이용된 비디오 코덱이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H.264, MPEG4 등의 표준 압축 규격 중 어떤 압축 방식을 따르는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H.264 베이스라인 프로파일, H.264 메인 프로파일, H.264 하이 프로파일, MPEG4 심플 프로파일 및 MPEG4 어드밴스드 심플 프로파일 등과 같은 프로파일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로서 설정될 수 있다.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해상도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가 재생할 수 있는 해상도가 2k X 1k, 4k X 2k 또는 8k X 4k 등임이 설정될 수 있다.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압축 데이터의 원본 데이터가 3차원 영상인 경우 기본적으로 싱크 기기가 3차원 영상의 압축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그 밖에도, 3차원 영상 관련 정보로써 깊이(depth)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싱 크 기기가 깊이 정보를 인식하여 3차원 영상을 재생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 영상을 획득한 카메라들에 관한 카메라 파라미터가 제공되는 경우 싱크 기기가 카메라 파라미터를 인식하여 3차원 영상을 재생할 때 카메라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삽입부(220)는,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의 예비 비트 필드 영역 또는 신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삽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부(230)는,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삽입부(220)로부터 입력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200)가 싱크 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미디어 데이터 구조 생성부(310), 보조 정보 삽입부(320), 압축 관련 정보 삽입부(330) 및 미디어 데이터 전송부(3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셋탑 박스 등의 호스트 기기 또는 PC 등과 같은 소스 기기 또는 소스단에 위치할 수 있 다.
일 실시예의 미디어 데이터 구조 생성부(310)는,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가 삽입된 미디어 데이터 구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미디어 데이터 구조는 실제 미디어 데이터가 삽입되는 액티브 데이터 영역 및 보조 정보들이 삽입되는 보조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 데이터는 미디어 데이터 구조의 액티브 데이터 영역 또는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보조 정보 삽입부(320)는, 미디어 데이터 구조 생성부(310)에 의해 성성된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를 삽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구조의 보조 데이터 영역은 수직 귀선 구간 영역 또는 수평 귀선 구간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정보는 AVI 정보, SPD 정보, 오디오 정보, MPEG 정보, 일반 컨트롤 정보 등을 원본 데이터에 대한 각종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정보 삽입부(320)는 보조 데이터 영역에 IP 데이터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압축 관련 정보 삽입부(330)는, 미디어 데이터 구조 생성부(310)에 의해 성성된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압축 관련 정보는, 미디어 데이터에 압축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압축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데이터스트림 형태, 압축 방식, 해상도 등에 관한 정보들 및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압축 관련 정보는,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200)와 관련하여 전술된 압축 관련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압축 관련 정보 삽입부(330)는, 이미 생성되어 있는 기존 보조 정보 프레임의 압축 관련 필드 영역 또는 예비 영역에 압축 관련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압축 관련 정보 삽입부(330)는 보조 정보 프레임을 새로 생성하여 신규 보조 정보 프레임에 압축 관련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미디어 데이터 전송부(340)는, 압축 데이터 뿐만 아니라 보조 정보 삽입부(320) 및 압축 관련 정보 삽입부(330)에 의해 보조 정보 및 압축 관련 정보가 삽입된 미디어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300)가 소스 기기에 탑재되어 있다면, 미디어 데이터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 전송부(340)는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의 송수신 환경에 따라 압축 데이터의 컬러 성분별 데이터 모두가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컬러 성분별 데이터 각각을 별개의 라인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파싱부(410), 재생 능력 정보 추출부(420),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추출부(430) 및 미디어 데이터 결정 및 전송부(4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 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400)는 소스 기기 또는 소스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파싱부(410)는 수신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파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싱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어 오며, 디스플레이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거쳐 소스 기기에 의해 수신된다.
일 실시예의 재생 능력 정보 추출부(420)는, 파싱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로부터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가 소스 기기에게 제공됨으로써, 소스 기기는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 범위 이내의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싱크 기기는 디스플레이 관련 처리를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는, 싱크 기기의 제조회사, 제품유형, 버전, 타이밍, 지원 가능한 해상도, 색상 포맷, 화소 및 오디오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추출부(430)는, 추출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로부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는 싱크 기기가 디스플레이 처리할 수 있는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로서,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가능성에 관한 정보,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비트레이트, 데이터스트림 형태, 압축 방식 또는 해상도 등에 관한 정보 또는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100)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 력에 관한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미디어 데이터 결정 및 전송부(440)는, 재생 능력 정보 추출부(420)에 의해 추출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및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추출부(430)에 의해 추출된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싱크 기기에 전송하는 압축 데이터를 결정한다. 즉, 일 실시예의 미디어 데이터 결정 및 전송부(440)는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또는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싱크 기기가 디스플레이 처리할 수 있는 미디어 데이터를 선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100),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200),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3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400)의 각각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인식하고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에 따라 생성되어, 각종 정보가 삽입된 데이터를 취급한다. 특히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소정 규격을 따르는 경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들도 소정 규격에 따르는 데이터 구조로 생성되어야한다.
또한, 미디어 데이터가 원본 데이터(raw data)가 아닌 압축 데이터인 경우, 압축 데이터에 관한 각종 부가 정보 및 압축 데이터 자체가 미디어 데이터에 삽입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100)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의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압축 데이터의 재생 가능성에 관한 정보 또는 IP 데이터를 부가적으로 삽입하여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200)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의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압축 데이터, 압축 관련 정보 또는 IP 데이터를 부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의 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미디어 데이터에 압축 데이터, 압축 관련 정보 또는 IP 데이터를 부가적으로 삽입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400)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의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으로부터 압축 데이터의 재생 가능성에 관한 정보 또는 IP 데이터를 부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100),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200),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3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400)는 기존 규격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 및 압축 관련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기존의 시스템을 크게 변형하지 않은 채 부가적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된 압축 데이터 및 압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비디오, 초고해상도 비디오 또는 3차원 비디오의 원활한 재생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기존 규격의 일례로써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방식을 따르는 시스템에 적용된 실시예들이 상술된다.
도 5a 및 도 5b 는 HDMI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다.
HDMI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서, 미디어 데이터는 프레임 전환점(510)으로 구분되는 연속적인 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미디어 데이터의 제 1 프레임(500), 제 2 프레임(520) 등의 프레임별로 비디오 데이터 및 보조 정보가 수록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 액티브 비디오 영역(512) 및 제 2 프레임 액티브 비디오 영역(522)에 원본 비디오 데이터가 삽입되고, 제 1 프레임 수직 보조 데이터 영역(514), 제 2 프레임 수직 보조 데이터 영역(522)에 해당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수직 보조 정보(Vertical Ancillary Data; V-ANC)가 삽입될 수 있다. 수평 보조 데이터 영역(530)에 해당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수평 보조 정보(Horizontal Ancillary Data; H-ANC)가 삽입될 수 있다.
수직 보조 데이터는 각각의 프레임의 전단 또는 후단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 수직 보조 데이터 영역(514)은 제 1 프레임(500)의 후단에 위 치하고 있고, 제 2 프레임 수직 보조 데이터 영역(516)은 제 2 프레임(520)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다.
액티브 비디오 구간(540)에는, 액티브 비디오 종료점(end of active video; EAV)(542), 수평 보조 정보(544), 액티브 비디오 시작점(start of active video; SAV)(546) 및 액티브 비디오 라인(548) 등이 삽입된다. 수직 귀선 구간(550)에는 수직 보조 정보들이 삽입된다.
수평 보조 데이터(544) 영역은, 수직 귀선 구간(550)의 소정 수직 보조 정보(555)에 대응하는 액티브 비디오 구간(540)에 위치할 수 있다. 수평 보조 데이터(544) 영역에는 대응하는 액티브 비디오 라인(548)에 대한 임베디드 오디오(Embeded Audio)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 은 HDMI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중 보조 데이터의 종류를 도시한다.
수평 보조 데이터 영역 또는 수직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되는 보조 정보의 종류는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 SMPTE(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에서 표준으로 정한 영상 관계 기기의 규격인 SMPTE 291을 따라 보조 패킷이 포맷팅되고, SMPTE 259 또는 292를 따라 SDI(Serial Digital Interface)급 또는 HD급 비디오 데이터가 송수신되고,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는 HDMI 환경(600)이 가정된다.
수평 보조 정보 어플리케이션(610)의 예로서, 오디오 정보, EDH(Error Detection and Handling) 정보, ATC(Ancilry Time Code) 정보, LTC/ANC(Linear Time code/Ancilry Time Code) 정보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User Applications) 등이 수록될 수 있다.
수직 보조 정보 어플레이션(620)는 수직 귀선 구간의 자막(Closed Caption in VBI) 정보, PGM 기술자(Program Mode Descriptor), 수직 귀선 구간 내의 데이터(Data in VBI) 및 다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들(Other User Applications) 등이 수록될 수 있다.
도 7 은 HDMI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중 한 프레임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다.
TDM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방식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고속 시리얼 데이터 전송 기술이며, DVI 또는 HDMI 비디오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된다. TDMS 방식에 따르는 HDMI 링크는 비디오 데이터 구간, 데이터 섬 구간, 제어 구간 중 한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 구간에서는 액티브 비디오 라인의 액티브 픽셀들이 전송되며, 데이터 섬 구간에서는 오디오 및 보조 정보들이 연속적인 패킷들의 형태로 전송된다. 비디오, 오디오 또는 보조 정보들이 전송될 필요가 없을 때 제어 구간이 발동된다. 제어 구간은 다른 두 구간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TDMS 방식의 미디어 데이터 프레임(700)은 H 싱크(710) 및 V 싱크(720)에 동기화되어 전송된다. 미디어 데이터 프레임(700)은 총 525개 라인(730)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라인은 총 858개 픽셀(740)을 포함한다.
미디어 데이터 프레임(700) 중 액티브 비디오 데이터 영역은 720X480p, 즉 순차 주사 방식의 480개의 액티브 라인(734) 및 라인당 720개의 액티브 픽셀(744)로 구성된 영역이다. 또한, 45개 라인의 수직 귀선 구간 영역(732)에 수직 보조 정보(VANC)가 삽입될 수 있으며, 수평 귀선 구간 영역의 라인당 138개의 픽셀들(742)에는 수평 보조 정보(HANC)가 삽입될 수 있다.
도 8 은 MPEG 소스 인포프레임 포맷(MPEG Source InfoFrame format)을 도시한다.
TDMS 방식은 액티브 비디오 스트림 및 액티브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특성을 기술하는 보조 정보를 수록하기 위해, AVI(Auxiliary Video Information) 인포프레임 포맷 및 오디오 인포프레임 포맷을 이용한다.
도 8의 AVI 인포프레임 포맷(800)에서는 액티브 비디오 스트림의 다양한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인포프레임 타입 코드(InfoFrame Type Code, 810), 인포프레임 버전 번호(InfoFrame Version Number, 815), MPEG 소스 인포프레임 길이(Length of MPEG Source InfoFrame, 820), 하나 이상의 데이터바이트(Data Byte 1-10, 825 내지 870)의 항목들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VI 인포프레임 포맷(800)에서, 인포프레임 타입 코드(810)는 '0516'로 설정되고, 인포프레임 버전 번호(815)가 '0116'로 설정되고, MPEG 소스 인포프레임 길이(820)가 '10'로 설정되어 있다. 제 1 데이터바이트(825), 제 2 데이터바이트(830), 제 3 데이터바이트(835) 및 제 4 데이터바이트(840)에는 각각 제 0 MPEG 비트레이트(MB#0), 제 1 MPEG 비트레이트(MB#1), 제 2 MPEG 비트레이트(MB#2) 및 제 3 MPEG 비트레이트(MB#3)에 관한 정보가 삽입된다.
제 5 데이터바이트(845)는, 필드 반복 정보(Field Repeat)인 'FR0', 해당 프레임이 I 프레임, B 프레임 및 P 프레임 중 하나임을 나타내는 MPEG 프레임 지시자(MPEG Frame indicator)인 'MF0' 및 'MF1'에 관한 보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5 내지 10 데이터바이트들(845, 850, 855, 860, 865, 870)에는 F57, F56, F55, F53, F52, F67 내지 F60, F77 내지 F70, F87 내지 F80, F97 내지 F90 및 F107 내지 F100 과 같이 아무런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예약 비트 필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100)는 AVI 인포프레임(800)과 같은 포맷의 보조 정보가 삽입된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보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AVI 인포프레임(800)의 예약 비트 필드 또는 신규 필드로부터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AVI 인포프레임 포맷(800)과 같은 보조 정보를 미디어 데이터에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VI 인포프레임 포맷(800)의 예약 비트 필드 또는 신규 필드에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AVI 인포프레임 포맷(800)의 예약 비트 필드들을 이용하여 압축 관련 정보가 삽입된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 상술한다.
압축 데이터의 비트레이트에 관한 정보는 제 1 데이터바이트 내지 제 4 데이 터바이트(825, 830, 835, 840)에 삽입될 수 있다. 제 5 데이터바이트(845) 중 'F57' 비트 필드에는, 미디어 데이터에 압축 데이터가 삽입되어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수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57=1'로 설정되는 경우 압축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는 제 6 데이터바이트(850) 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6 데이터바이트(850) 중 'F67' 비트 필드에는 압축 데이터가 비디오 기초스트림 형태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F66' 비트 필드 내지 'F70' 비트 필드를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가 전송스트림 형태인지 여부, 압축 데이터의 파일 포맷 또는 컨테이너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파일 포맷 또는 컨테이너의 종류는, AVI 포맷, ASF 포맷, MP4 포맷, MKV 포맷, FLV 포맷, IP 데이터그램 등이 있을 수 있다.
제 7 데이터바이트(855)에는 비디오 코덱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PEG2 방식, H.264 BP 방식, H.264 MP 방식, H.264 HP 방식, MPEG4 SP 방식 및 MPEG4 ASP 방식 등의 표준 비디오 압축 규격 중, 해당 압축 데이터가 따르는 압축 방식에 관한 정보가 제 7 데이터바이트(855)에 삽입될 수 있다.
제 8 데이터바이트(860)에는 압축 데이터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데이터의 해상도는 2k x 1k, 4k x 2k, 8k x 4k 중 하나일 수 있다.
제 9 데이터바이트(865)에는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데이터가 3차원 영상의 압축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 보, 깊이 영상 데이터의 유무에 관한 정보 및 카메라 파라미터 정보의 유무에 관한 정보 등이 제 9 데이터바이트(865)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축 관련 정보가 삽입된 인포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새로운 AVI 인포프레임 포맷(900)를 생성하여 보조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AVI 인포프레임 포맷(900)에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100)는 압축 관련 정보의 보조 정보가 설정된 AVI 인포프레임 포맷(900)이 삽입된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보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새로운 AVI 인포프레임 포맷(900)에도, 인포프레임 항목으로써 인포프레임 타입 코드(910), 인포프레임 버전 번호(915), MPEG 소스 인포프레임 길이(920), 제 1 데이터바이트(925), 제 2 데이터바이트(930), 제 3 데이터바이트(935), 제 4 데이터바이트(940), 제 5 데이터바이트(945), 제 6 데이터바이트(950), 제 7 데이터바이트(955), 제 8 데이터바이트(960), 제 9 데이터바이트(965) 및 제 10 데이터바이트(970)의 항목들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AVI 인포프레임을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와 관련된 보조 정보가 설정되는 경우, 인포프레임 타입 코드(910)는 압축 데이터 인포프레임으로써 '06h'로 설정될 수 있다. 인포프레임 버전 넘버(915)에는 압축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가 삽입된 인포프레임의 버전 넘버가 설정되며, 인포프레임 길이(920)에 는 압축 데이터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제 1 데이터바이(925), 제 2 데이터바이(930), 제 3 데이터바이(935) 및 제 4 데이터바이(940)에는 각각 제 0 비트레이트인 'BR#0', 제 1 비트레이트인 'BR#1', 제 2 비트레이트인 'BR#2' 및 제 3 비트레이트인 'BR#3'가 삽입될 수 있다.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는 제 5 데이터바이트(945)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5 데이터바이트(945)에는 압축 데이터가 비디오 기초스트림 형태인지, 전송스트림 형태인지 여부, 압축 데이터의 파일 포맷 또는 컨테이너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제 6 데이터바이트(950)에는 비디오 코덱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으며, 제 7 데이터바이트(955)에는 압축 데이터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8 데이터바이트(960)에는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데이터가 3차원 영상의 압축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깊이 영상 데이터의 유무에 관한 정보 및 카메라 파라미터 정보의 유무에 관한 정보 등이 제 8 데이터바이트(96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축 관련 정보가 삽입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다.
싱크 기기가 멀티미디어의 재생 능력을 기술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로써, 확장형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를 생성할 수 있다.
전미소비자가전연합(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l CEA)에서 규정한 CEA-861 규격을 따르는 싱크 기기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 EDID에 CEA 확장형으로써 CEA 데이터 블록을 추가 삽입한다. CEA 데이터 블록에는 제조회사 정보, 제품 타입 정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의 버전 정보, 타이밍 정보, 해상도 정보, 색상 포맷 정보, 화소 정보 및 오디오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200)가 CEA-861 규격을 따르는 경우,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 EDID에,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를 삽입할 새로운 CEA 데이터 블록을 추가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로부터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400)가 CEA-861 규격을 따르는 경우,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 EDID의 새로운 CEA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CEA 데이터 블록 포맷(1000)은 제 1 데이터바이트(1010), 제 2 데이터바이트(1015), 제 3 데이터바이트(1020), 제 4 데이터바이트(1025), 제 5 데이터바이트(1030), 제 6 데이터바이트(1035), 제 7 데이터바이트(1040), 제 8 데이터바이트(1045), 제 9 데이터바이트(1050) 및 제 10 데이터바이트(1055)의 항목들이 설정 될 수 있다.
제 1 데이터바이트(1010)에는, 태그 코드 및 압축 데이터 블록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EA 데이터 블록이 기존 데이터 블록이며, 보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확장 태그라면 태그 코드는 '07h'로 설정될 수 있다. CEA 데이터 블록의 확장 태그에서는 하나 이상의 예비 비트가 존재하므로 예비 비트 필드에 신규 데이터 블록이 정의된다면, 신규 데이터 블록에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보조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제 2 데이터바이트(1015)에는 보조 정보가 삽입될 신규 데이터 블록의 확장 태그 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
제 3 데이터바이트(1020), 제 4 데이터바이트(1025), 제 5 데이터바이트(1030) 및 제 6 데이터바이트(1035)에는, 싱크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비트레이트와 관련하여 제 0 비트레이트인 'BR#0', 제 1 비트레이트인 'BR#1', 제 2 비트레이트인 'BR#2' 및 제 3 비트레이트인 'BR#3'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제 7 데이터바이트(1040)에는, 싱크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압축 데이터가 비디오 기초스트림 또는 전송스트림 형태인지 여부, 압축 데이터의 파일 포맷 또는 컨테이너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제 8 데이터바이트(1045)에는, 싱크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압축 데이터의 비디오 코덱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제 9 데이터바이트(1050)에는, 싱크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압축 데이터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제 10 데이터바이트(1055)에서는, 싱크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데이터가 3차원 영상의 압축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깊이 영상 데이터의 유무에 관한 정보 및 카메라 파라미터 정보의 유무에 관한 정보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 1110에서,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가 수신되어 파싱된다.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소정 규격에 따르는 경우, 미디어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소정 규격에 따르는 데이터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디어 데이터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싱크 기기 및 소스 기기 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압축 데이터의 컬러 성분별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송되거나, 컬러 성분별 데이터 라인을 통해 각각 수신될 수 있다.
단계 1120에서,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의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가 추출된다. 미디어 데이터는 보조 데이터 영역 및 액티브 데이터 영역으로 구불될 수 있다. 보조 데이터 영역에는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 등 부가적인 정보들이 삽입될 수 있으며, 액티브 데이터 영역에는 원본 데이터 등이 삽입될 수 있다. 보조 정보는, AVI 정보, SPD 정보, 오디오 정보, MPEG 정보, 일반 컨트롤 정보 등일 수 있다.
단계 1130에서,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가 추출된다. 압축 관련 정보는, 미디어 데이터에 압축 데이터가 삽입되어있는지 여부, 압축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데이터스트림 형태, 압축 방식, 해상도,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1140에서,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압축 데이터가 추출된다. 압축 데이터는 미디어 데이터의 보조 데이터 영역 및 액티브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단계 1150에서, 압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가 복호화된다. 압축 데이터가 복호화되어 원본 데이터가 복원되면, 보조 정보 및 압축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원본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압축 데이터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압축 관련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별개의 채널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존의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고서도 압축 데이터 뿐만 아니라 3차원 비디오의 복원 및 재생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 1210에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가 삽입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단계 1220에서,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 이 관련 정보에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싱크 기기의 디스플레이 단에서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싱크 기기가 압축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비트레이트, 데이터스트림 형태, 압축 방식, 해상도 등에 관한 정보 및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230에선,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소정 규격에 따르는 경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도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소정 규격을 따르는 데이터 구조를 취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싱크 기기의 디스플레이 대상이 될 수 있는 미디어의 상세규격을 싱크 기기가 소스 기기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디스플레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특히, 싱크 기기가 압축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는지 여부는 일반적인 재생 능력과 독립적인 재생 능력이므로, 재생 가능성에 관한 정보가 별도로 필요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은 기존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압축 데이터에 대한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별개의 전송 채널 없이 기존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보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 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 1310에서,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가 삽입된 미디어 데이터 구조가 생성된다. 미디어 데이터 구조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인식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1320에서,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가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미디어 데이터 구조가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인 경우, 보조 정보는 수직 보조 데이터 공간(VANC data space) 또는 수평 보조 데이터 공간(HANC data space)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보조 데이터 공간을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수직 귀선 구간 영역에 삽입하거나, 수평 보조 데이터 공간을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디지털 라인 귀선 구간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단계 1330에서,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가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된다. 보조 정보와 마찬가지로 압축 관련 정보도 수직 보조 데이터 공간(VANC data space) 또는 수평 보조 데이터 공간(HANC data space)에 삽입될 수 있다.
단계 1340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은, 압축 데이터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압축 관련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의 미디어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별개의 채널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존의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고서도 압축 데이터 뿐만 아니라 3차원 비디오의 복원 및 재생에 필요한 보조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 1410에서, 싱크 기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가 파싱된다. 수신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1420에서, 파싱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로부터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가 추출된다. 또한 단계 1430에서, 추출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로부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가 추출된다.
소스 기기는,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및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싱크 기기에 전송하는 압축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해상도 비디오, 고화질 비디오 또는 3차원 비디오과 같이 대용량 데이터 또는 그 압축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통신 환경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소스 기기측에서 싱크 기기가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를 미리 선별하여 전송함으로써 통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 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 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 은 HDMI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중 보조 데이터의 종류를 도시한다.
도 7 은 HDMI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중 한 프레임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8 은 MPEG 소스 인포프레임 포맷(MPEG Source InfoFrame format)을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축 관련 정보가 삽입된 인포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축 관련 정보가 삽입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Claims (38)

  1.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 중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가 삽입된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상기 압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은,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보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원된 원본 데이터를 상기 보조 정보 및 상기 압축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관련 정보는, 상기 압축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에 관한 정보,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압축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 상기 압축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관한 정보, 상기 압축 데이터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 및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압축 데이터가 기초스트림(ES) 형태 또는 전송스트림(TS) 형태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압축 데이터의 파일 포맷 또는 컨테이너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관한 정보는, 상기 압축 데이터가 따르는 규격 또는 프로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압축 데이터가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깊이 영상 데이터의 유무에 관한 정보 및 카메라 파라미터 정보의 유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관련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압축 관련 정보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에 삽입된 보조 정보 프레임의 압축 관련 필드 영역 또는 예비 영역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관련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압축 관련 정보를, 상기 보조 정보가 삽입되어 있는 보조 정보 프레임과 별개의 보조 정보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은, 상기 데이터 구조 중 수직 귀선 구간 영역 및 수평 귀선 구간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데이터 추출 단계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 중 수직 귀선 구간 영역, 수평 귀선 구간 영역 및 액티브 비디오 영역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압축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 데이터의 컬러 성분별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송되거나, 상기 컬러 성분별 데이터 라인을 통해 각각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는, AVI 정보, SPD 정보, 오디오 정보, MPEG 정보, 일반 컨트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 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방법.
  14.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가 삽입된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싱크 기기로부터 상기 소스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비트레이트에 관한 정보,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가능성에 관한 정보,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관한 정보,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가 기초스트림(ES) 형태 또는 전송스트림(TS) 형태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압축 데이터의 파일 포맷 또는 컨테이너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압축 데이터가 따르는 규격 또는 프로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가능한 3차원 영상 압축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싱크 기기의 3차원 영상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 상기 싱크 기기의 깊이 영상 데이터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카메라 파라미터 정보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삽입 단계는,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의 예비 비트 필드 또는 신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제조회사 정보, 제품 타입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의 버전 정보, 타이밍 정보, 해상도 정보, 색상 포맷 정보, 화소 정보 및 오디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방법.
  23.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가 삽입된 미디어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상기 싱크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 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25.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로부터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추출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추출된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싱크 기기에 전송하는 압축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방법.
  27.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가 삽입된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에 삽입하는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싱크 기기로부터 상기 소스 기기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전송 장치.
  29.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파싱하는 미디어 데이터 파싱부;
    상기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 중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가 삽입된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압축 관련 정보 추출부;
    상기 파싱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상기 압축 데이터를 추출하는 압축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압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는,
    상기 보조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보조 정보를 추출하는 보조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압축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원된 원본 데이터를 상기 보조 정보 및 상기 압축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31.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미디어 데이 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원본 데이터의 압축 데이터가 삽입된 미디어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미디어 데이터 구조 생성부;
    상기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보조 정보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하는 보조 정보 삽입부; 및
    상기 압축 데이터의 압축 관련 정보를 상기 미디어 데이터 구조 중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하는 압축 관련 정보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상기 싱크 기기로 전송하는 미디어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33.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파싱하는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파싱부;
    상기 파싱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로부터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재생 능력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추출된 싱크 기기의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추출된 싱크 기기의 압축 데이터 재생 능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싱크 기기에 전송하는 압축 데이터를 결정하여 전송하는 미디어 데이터 결정 및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수신 장치.
  3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싱크 기기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6. 제 14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기기로부터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7. 제 23 항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8. 제 25 항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0044136A 2009-03-31 2009-05-20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압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32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97,710 US8620147B2 (en) 2009-03-31 2010-02-0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mpressed data using digital data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mpressed data using digital data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02909P 2009-03-31 2009-03-31
US61/165,029 2009-03-31
US16562409P 2009-04-01 2009-04-01
US61/165,624 2009-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333A true KR20100109333A (ko) 2010-10-08
KR101632297B1 KR101632297B1 (ko) 2016-07-01

Family

ID=4313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136A KR101632297B1 (ko) 2009-03-31 2009-05-20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압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3100A1 (en) * 2012-02-17 2013-08-22 Microsoft Corporation Metadata assisted video decoding
WO2014115923A1 (ko) *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 포키비언 입출력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입출력 신호 송수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013A (ko) * 1999-10-21 2001-05-15 윤종용 영상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20030067648A (ko) * 2003-07-30 2003-08-14 이디텍 주식회사 압축기법을 이용한 고속의 디브이아이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디브이아이 송신기 및 수신기
WO2007068211A1 (fr) * 2005-12-14 2007-06-21 Lenovo (Beijing) Limited Systeme et procede d'affichage
KR20080099630A (ko) * 2007-05-10 200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 정보가 삽입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스트림 구조,송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013A (ko) * 1999-10-21 2001-05-15 윤종용 영상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20030067648A (ko) * 2003-07-30 2003-08-14 이디텍 주식회사 압축기법을 이용한 고속의 디브이아이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디브이아이 송신기 및 수신기
WO2007068211A1 (fr) * 2005-12-14 2007-06-21 Lenovo (Beijing) Limited Systeme et procede d'affichage
KR20080099630A (ko) * 2007-05-10 200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 정보가 삽입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스트림 구조,송수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3100A1 (en) * 2012-02-17 2013-08-22 Microsoft Corporation Metadata assisted video decoding
US9241167B2 (en) 2012-02-17 2016-01-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adata assisted video decoding
US9807409B2 (en) 2012-02-17 2017-10-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adata assisted video decoding
WO2014115923A1 (ko) *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 포키비언 입출력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입출력 신호 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297B1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01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mpressed data using digital data interfa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mpressed data using digital data interface
US9596430B2 (en) Data generation apparatus, data generating method, data reproduction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method
US9788020B2 (en) File generation apparatus, file generating method, file reproduction apparatus, and file reproducing method
JP6333226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85085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producing 3D stereoscopic image file including 2D image
US9918099B2 (en) File generation apparatus, file generating method, file reproduction apparatus, and file reproducing method
KR102643537B1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KR102396133B1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WO2009048235A2 (en) System and method for 3d multimedia contents service using multimedia application file format
US77785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DVD-subpicture streams upon conversion to higher compressed data format
US91312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compressed three-dimensional video data via digital data interface
KR101632297B1 (ko)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압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수신 방법 및 장치
JP5784810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EP3306942B1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US10812838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KR20110035810A (ko)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압축 3차원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압축 3차원 비디오 데이터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