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733A -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 Google Patents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733A
KR20100108733A KR1020090026899A KR20090026899A KR20100108733A KR 20100108733 A KR20100108733 A KR 20100108733A KR 1020090026899 A KR1020090026899 A KR 1020090026899A KR 20090026899 A KR20090026899 A KR 20090026899A KR 20100108733 A KR20100108733 A KR 20100108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ain body
air pressure
buffer cap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786B1 (ko
Inventor
주성원
Original Assignee
주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원 filed Critical 주성원
Priority to KR102009002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78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이,착륙시 탑승자가 기내에 준비된 이어폰을 착용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급속한 고도변화에 따라 기압이 급변하더라도 탑승자의 고막에 가해지는 기압은 서서히 변화되게 하여, 고막팽창에 따른 통증을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착륙시 안내방송이나 음악을 들으며 편안하고 안락한 비행이 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항공사의 이미지를 좋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인체의 고막과 외부공기사이의 외이도(귓구멍)에 또하나의 새로운 공기방을 형성하고, 새로이 형성된 공기방 외측면에 이관과 같은 미세구멍을 뚫어 외부대기압이 급격히 변하더라도 새로이 형성된 공기방에는 기압이 서서히 변화되게 하고, 따라서 새로이 형성된 공기방과 접하는 고막 안쪽 고실공기방의 기압 역시 서서히 변화될 수 있게 하여, 대기압의 급변화를 새로이 형성된 공기방에서 이를 완충케 하므로서, 고막의 팽창을 막아 이통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EARPHONE WITH ATMOSPHERIC PRESSURE ADJUSTING FUNCTION}
본 발명은 항공기 이,착륙시 탑승자가 기내에 준비된 이어폰을 착용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급속한 고도변화에 따라 기압이 급변하더라도 탑승자의 고막에 가해지는 기압은 서서히 변화되게 하여, 고막팽창에 따른 통증을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착륙시 안내방송이나 음악을 들으며 편안하고 안락한 비행이 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항공사의 이미지를 좋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가장 빠른 이동수단인 비행기는 지구촌이라는 말을 만들 정도로 국가간 이동시간차를 줄여 세계화하였으며, 이러한 세계화 추세에 맞춰 비즈니스, 여행, 공부등의 목적으로 비행기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교통수단이지만, 이착륙시 빠른 고도변화에 따라 급변하는 기압차에 의하여 많은 탑승객들이 고막팽창에 따른 통증과 불쾌감을 호소하게 되며, 원인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인체의 귀에 구성된 이관은 방어작용과 배출 및 정화작용, 그리고 환기작용 을 통하여 중이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환기작용은 중이내에서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이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
이관의 골부는 항상 열려있지만 연골부는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중이는 약간의 음압편에 있으며, 이관기능이 정상일때에는 이관이 간헐적으로 개구되어 중이강이 거의 대기압으로 평형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이강 내에서의 가스교환도 이루어지게 한다.
이관의 개구에는 능동적인 개구와 수동적인 개구가 있는데, 능동적인 개구는 연하나 기타요인에 따른 구개범장근의 수축에 의한 것이며, 수동적인 개구는 이관근육의 수축과는 관계없이 압력차이만으로 일어나는 이관의 개구와 폐쇄이다.
즉 외부와의 압력차이가 20~40mmHg인 경우에는 수동적으로 개구되며, 정상의 경우 능동적으로 발살바(valsalba)를 하게 되면 20~40mmHg정도의 압력이 되어 이관을 개구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관의 수동적 개폐는 고막을 중심으로 고막바깥의 대기압과 고막안쪽 고실부분의 압력차이가 20~40mmHg일 때에는 자연적으로 이관의 개구가 일어나, 대기압과 고실의 압력을 비슷하게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고속엘리베이터나 케이블카, 항공기의 이착륙시와 같이 위치의 이동이 급속하여 대기압이 급변하면 이변화의 차이를 고실의 압력조절기관인 이관(유스타키오관)의 자연적인 수동적 개폐로는 극복할 수 없게 된다.
이때 고실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고막이 외부로 휘고, 낮을 경우에는 내부 로 휘어지면서 불쾌감과 통증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한 의료건강신문사의 조사에 의하면, 해외여행이 차츰 보편화되고, 저가항공사까지 등장하면서 비행기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비행기를 타는것 자체를 두려워하는 "비행공포증"을 가진 사람들도 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비행공포증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으로는 항공여행으로 인한 불쾌한 자극, 즉 젯트엔진의 소음, 난기류로 인한 기체의 요동, 기압변화에 의한 이통(귀의 통증)등이 꼽힌다는 것을 알 수 있을만큼 항공기 이착륙시 기압차이로 발생하는 탑승객의 이통은 점차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형태의 독립된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대부분 고가일뿐 아니라, 비행중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음악을 감상하거나, 기타정보를 청취하고 있던 탑승객의 경우, 이어폰을 벗고 다시 이통완화를 위한 제품을 착용하여야 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어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행기 내에 비치되는 이어폰에 간단한 구조로 기압조절기능이 부가되게 하므로서, 항공기 이착륙시 탑승객이 전방에 비치된 이어폰을 간편하게 착용하여 급격한 기압변화로 인한 귀의 통증을 해소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이어폰을 통하여 음악이나 기타정보를 듣거나 기내 안내방송을 들으며 편안하고 안락한 비행이 될 수 있게 하므로서 비행공포증 해소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항공사 이미지를 좋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인체의 고막과 외부공기사이의 외이도(귓구멍)에 또하나의 새로운 공기방을 형성하고, 새로이 형성된 공기방 외측면에 이관과 같은 미세구멍을 뚫어 외부대기압이 급격히 변하더라도 새로이 형성된 공기방에는 기압이 서서히 변화되게 하고, 따라서 새로이 형성된 공기방과 접하는 고막 안쪽 고실공기방의 기압이 서서히 변화될 수 있게 하여, 대기압의 급변화를 새로이 형성된 공기방에서 이를 완충케 하므로서, 고막의 팽창을 막아 이통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원리를 이어폰에 적용한 것으로 통상의 이어폰을 구성하는 본체 배면에 귀 내부의 이관을 모방한 작은 관통공을 뚫어 이어폰의 본체 내면 공간부와 상통하게 하고, 상기 이어폰 전면에는 연질의 수지로 구성되고, 내부에 이어폰의 본체 내면 공간부와 상통하는 공기방이 형성된 분리형 완충캡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이어 폰을 귀에 꽂으면 분리형 완충캡이 귀의 외이도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고막과 분리형 완충캡 사이에 새로운 완충공기방이 형성되게 하여 대기압이 급변하더라도, 급변한 대기압이 이어폰 본체에 뚫린 작은 관통공을 통하여 분리형 완충캡의 공기방에 서서히 전달되게 하므로서 급변하는 대기압을 완충, 고막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내에 비치되는 이어폰의 본체 배면에 관통공을 뚫어 내면공간부와 상통하게 하고, 상기 이어폰 전면에 내부에 공기방이 형성된 분리형 완충캡을 결합하여, 항공기 이착륙시 탑승자가 전면에 비치된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고막과 외부공기 사이에 분리형 완충캡을 통하여 별도의 완충공기방이 형성되게 하므로서, 외부기압이 급변하더라도 급변하는 기압이 이어폰 본체 배면에 뚫린 관통공을 통하여 1차적으로 완충공기방에 전달되어 기압을 1차조절하고, 1차조절된 기압이 고막과 고실에 전달되게 하여 기압급변에 따른 고막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게 하므로서, 항공기 이착륙시 기압급변에 따른이통과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음악이나 기타 정보 및 기내안내방송을 들으면서 편안하고 안락한 비행이 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른 항공사의 이미지를 좋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인체의 고막과 외부공기 사이, 즉 외이도(귓구멍)에 새로운 공기방이 구성되게 하고, 새로이 형성된 공기방 외측면에 이관과 같은 미세관통공을 뚫어 대기압이 급변하더라도 새로이 구성된 공기방에는 기압이 서서히 변화되게 하여, 급변하는 기압이 고막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항공기 내에 비치되는 이어폰에 적용하여 이어폰의 착용감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이어폰의 기능과 항공기 이착륙시 이통완화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이어폰(10)을 구성하는 본체(20) 배면에 이관을 모방한 미세한 관통공(21)을 뚫어 이어폰(10) 내의 공간부(26)과 상통하게 구성하고, 이어폰(10) 전면에는 공기방(31)이 형성된 분리형 완충캡(30)을 결합한다.
이때 이어폰(10)의 본체(20)에 뚫리는 관통공(21)은 반드시 배면일 필요성은 없으며, 위치에 관계없이 외부공기가 작은 구멍을 통하여 공간부(26)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분리형 완충캡(20)은 실리콘 수지와 같이 신축성이 좋고, 변형이 자유로운 부드러운 수지로 성형되며, 일측에는 결합테(32)와 결합부(33)가 구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개방부(3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분리형 완충캡(30)은 본체(35) 외경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대,중,소형으로 구성하여 성인, 청소년, 어린이용으로 구분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분리형 완충캡(30)을 이어폰(10) 전면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이어폰(10) 전면에 결합홈(22)이 형성된 홀더(23)를 구성하고, 상기 홀더(23)에 분리형 완충캡(30)의 결합부(33)를 끼워 결합부(33)의 결합테(32)가 홀더(23)의 결합 홈(22)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이어폰(10)과 분리형 완충캡(30)이 조립구성되게 한다.
상기에서 이어폰(10)의 홀더(23)내에 끼워진 스피커(40)와 홀더(23) 내면 사이에는 통기공(24)을 뚫어 이어폰(10) 내의 공간부(26)와, 분리형 완충캡(30) 내의 공기방(31)이 서로 상통하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분리형 완충캡(30)의 크기를 서로 달리 구성할 경우, 결합테(32)와 결합부(30)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하되, 공기방(31)을 구성하는 본체(35)의 외경부분을 작게하여 대,중,소로 구별할 수 있으며, 또한 전체크기를 줄이는만큼 이어폰(10) 전면에 구성된 홀더(23)와 결합홈(22)을 그에 맞게 줄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어폰(10)의 홀더(23)와 결합홈(22)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분리형 완충캡(30)을 대,중,소로 제작한 다음 신축성있는 재질의 성질을 이용하여 홀더(23)에 강제조립되게 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50)은 귀의 구조, (51)은 고막, (52)는 이관, (53)은 고실, (54)는 중이, (54)는 외이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항공기 탑승시 기내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이어폰에 적용하여 사용토록 하는 것으로서, 비행시에는 통상의 이어폰으로 사용하다가 이착륙시에는 이어폰의 기능뿐만 아니라, 이착륙시 고도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급변하는 대기압의 변화를 완화시켜 고막에 전달되게 하므로서, 고막팽창에 따른 탑승자의 이통과 불쾌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즉 항공기의 이착륙시 급속한 고도의 변화에 따라 대기압이 급변하나, 탑승자가 기내에 서비스되고 있는 이어폰(10)을 착용하게 되면, 이어폰(10) 전면에 결합된 연질의 분리형 완충캡(30)이 도 8에서와 같이 외이도(귓구멍)(54) 입구부에 결합되어 외부공기와는 완전히 차단되고, 분리형 완충캡(30)내에는 외이도(54)와 같은 공간으로 구성되는 별도의 공기방(3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방(31)은 스피커(40)와 홀더(23) 내면 사이에 구성된 통기공(24)과, 공간부(26) 및 미세한 관통공(21)을 통하여 외부공기와 상통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기압이 급변하더라도 급변한 기압이 고막에 바로 전달되지 않고, 이어폰(10)의 본체(20) 배면에 뚫린 미세한 관통공(21)을 통하여 기압이 공간부(26)로 전달되어 1차조절되고, 1차조절된 기압은 다시 스피커(40)와 홀더(23) 내면 사이에 뚫린 통기공(24)을 통하여 분리형 완충캡(30)의 공기방(31)에 전달되어 2차기압이 조정된다.
이때 이어폰(10)의 본체(20) 배면에 뚫린 관통공(21)은 이관(52)과 같은 크기 정도의 미세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기압이 관통공(21)을 통하여 분리형 완충캡(30)의 공기방(31)에 서서히 전달되므로 공기방(31)을 통하여 고막(51)에 전달되는 기압도 서서히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고막(51) 안쪽에 구성된 고실(53)의 공기방 압력과, 고막(51) 외측에 위치하는 외이도(54) 및 분리형 완충캡(30)에 구성된 공기방(31)의 압력변화속도를 거의 일치하도록 함으로서, 압력변화에 대한 완충효과로 고막(51)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이통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어폰(10)의 본체(20) 전면에 결합되는 분리형 완충캡(30)은 실리콘수지와 같이 신축성과 감촉이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착용감이 우수할 뿐 아니라, 착용시 분리형 완충캡(30)이 외이도(54)에 결합되면서 외이도(54)의 내경형태와 같이 변형되어 결합되므로 밀폐성을 좋게 하여 외부공기를 완벽히 차단하게 되고, 따라서 외부기압이 고막에 직접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어폰(10)에 결합되는 분리형 완충캡(30)은 크기별로 제작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어른, 청소년, 어린이)에 적합한 크기의 제품을 선택사용할 수 있으며, 한번 사용한 분리형 완충캡(30)은 재사용하지 않고, 1회용으로 사용토록 하므로서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며, 이어폰(10)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어폰(10)은 반드시 항공기의 기내에서만 착용가능한 것이 아니고, 일반개인이 직접 구매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고속엘리베이터나, 케이블카, 도로주행시 고갯길을 급속히 오르고 내릴 경우 기압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이통이나 불쾌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2 : 도 1의 분해도
도 3 : 본 발명의 실시도
도 4 : 도 3의 분해도
도 5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충캡의 측면구성도(대형)
도 6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충캡의 측면구성도(중형)
도 7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충캡의 측면구성도(소형)
도 8 :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어폰 (20)--본체
(21)--관통공 (22)--결합홈
(23)--홀더 (24)--통기공
(26)--공간부 (30)--분리형 완충캡
(31)--공기방 (32)--결합테
(33)--결합부 (34)--개방부
(35)--본체

Claims (4)

  1. 이어폰(10)을 구성하는 본체(20)에 귀의 이관을 모방한 작은 관통공(21)을 뚫어 본체(20) 내에 구성된 공간부(26)와 상통하게 구성하고, 상기 이어폰(10)의 본체(20) 전면에 연질의 수지로 구성된 분리형 완충캡(30)을 결합구성하되, 상기 분리형 완충캡(30) 내면에는 개방부(34)가 형성된 공기방(31)을 구성하여 이어폰 본체(20)의 공간부(26)와 상통하게 구성하므로서, 이어폰(10)을 사용자의 귀에 구성된 외이도(귓구멍)에 착용하게 되면, 이어폰 본체(20)에 뚫린 관통공(21)을 통하여 외부기압이 분리형 완충캡(30)에 구성된 공기방(31)에 서서히 전달되게 하여 외부기압의 급변에 따른 고막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이어폰(10)을 구성하는 본체(20) 전면에 결합홈(22)이 형성된 홀더(23)를 구성하고, 분리형 완충캡(30)에는 결합테(32)가 형성된 결합부(33)를 구성하여, 상기 분리형 완충캡(30)의 결합부(33)를 이어폰 본체(20) 전면에 구성된 홀더(23)에 끼우면, 분리형 완충캡(30)의 결합테(32)가 홀더(23)의 결합홈(22)에 끼워져 조립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어폰(10)의 본체(20) 내면공간부(26)와 분리형 완충캡(30)의 공기방(31) 사이에는 통기공(24)을 뚫어 본체(20)의 공간부(26)와 분리형 완충캡(30)의 공기방(31)이 상통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어폰(10) 전면에 결합되는 분리형 완충캡(30)의 본체(35) 외경 크기를 각기 달리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선택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20090026899A 2009-03-30 2009-03-30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102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899A KR101025786B1 (ko) 2009-03-30 2009-03-30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899A KR101025786B1 (ko) 2009-03-30 2009-03-30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33A true KR20100108733A (ko) 2010-10-08
KR101025786B1 KR101025786B1 (ko) 2011-04-04

Family

ID=4312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899A KR101025786B1 (ko) 2009-03-30 2009-03-30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7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188B1 (ko) * 2013-12-20 2014-11-12 유병진 공기 흐름 구조를 갖는 커널형 이어폰
KR101499412B1 (ko) * 2013-09-09 2015-03-09 박충만 통공부와 노이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음향기기
CN105100995A (zh) * 2015-08-20 2015-11-25 张元伟 一种防耳膜损伤的耳机
CN115314790A (zh) * 2021-05-07 2022-11-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耳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1776B2 (ja) * 2013-11-11 2020-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ヤホン、およびイヤホンシステム
TWI628961B (zh) * 2016-11-24 2018-07-01 王士俊 提供耳道減壓及提高自然音質之耳機及其製作方法
KR102501025B1 (ko) 2017-11-21 202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압 조절 장치 및 기압 조절 장치의 기압 조절 방법
KR102406572B1 (ko) 2018-07-17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2176Y1 (ko) * 1979-01-12 1979-12-26 차홍철 이어폰의 공기압 조절장치
KR20010045790A (ko) * 1999-11-08 2001-06-05 변기만 공기조절기구를 갖는 이어폰
KR20090049510A (ko) * 2007-11-13 2009-05-18 문현구 청력(고막) 손상 보호형 이어폰
KR100968406B1 (ko) 2008-02-20 2010-07-07 크레신 주식회사 웨이브가이더가 장착된 헤드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412B1 (ko) * 2013-09-09 2015-03-09 박충만 통공부와 노이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음향기기
KR101461188B1 (ko) * 2013-12-20 2014-11-12 유병진 공기 흐름 구조를 갖는 커널형 이어폰
WO2015093911A3 (ko) * 2013-12-20 2015-08-13 황형용 공기 흐름 구조를 갖는 커널형 이어폰
CN105100995A (zh) * 2015-08-20 2015-11-25 张元伟 一种防耳膜损伤的耳机
CN115314790A (zh) * 2021-05-07 2022-11-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耳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786B1 (ko) 2011-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786B1 (ko) 기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어폰
US8625833B1 (en) Portable pressurization headphones
US9020164B2 (en) Apparatus to mitigate ear pressure on airline flights while preserving awareness of the cabin surroundings
US20180146279A1 (en) Earphone capable of reducing pressure in ear canal and providing enhanced sound quali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SE527006C2 (sv) Anordning för att bota eller minska stamning
US5467784A (en) Pressure-regulating ear plug
CN203122763U (zh) 一种减压耳塞
ONeill et al. Middle ear barotrauma
US5865183A (en) Device for equalizing pressure across the eardrum of divers
Klokker et al. Pressure-equalizing earplugs do not prevent barotrauma on descent from 8000 ft cabin altitude
Brown Middle ear symptoms while flying: ways to prevent a severe outcome
CN108371583A (zh) 一种耳部压力平衡调节装置
JP2007267310A (ja) ジェット旅客機の機内用防音保護具、イヤーマフ。
GB2570123A (en) Headphones
CN107801116A (zh) 一种充气式自适应耳道的耳机
CN105704595A (zh) 一种具有主动噪声抵消和闹钟功能的睡眠降噪耳塞
US10342705B1 (en) Noise reduc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reathing apparatuses and helmets
WO2009090396A1 (en) An ear protection device
US20110126846A1 (en) Original ear popper stopper pressurized headset
CN216417508U (zh) 一种环形降噪耳塞
CN107484100B (zh) 半入耳式耳塞、耳机及其制造方法
US20090202085A1 (en) Listening Device for Clear Perception of Sound Signals In a Noisy Environment
Cartwright et al. DoD–Air Force Attenuating Custom Communications Earpiece System (ACCES®)
CN210536891U (zh) 一种航空用碳纤头戴耳机
KR102381636B1 (ko)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