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190A - Television for using a remote control - Google Patents

Television for using a remot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190A
KR20100107190A KR1020090025353A KR20090025353A KR20100107190A KR 20100107190 A KR20100107190 A KR 20100107190A KR 1020090025353 A KR1020090025353 A KR 1020090025353A KR 20090025353 A KR20090025353 A KR 20090025353A KR 20100107190 A KR20100107190 A KR 20100107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vision
remote control
unit
storage space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9002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7190A/en
Publication of KR2010010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1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TV equipped with the receiving space of a remote controller is provided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a user and prevent the loss of the remote controller by receiving the remote controller. CONSTITUTION: A receiving space(120) receives a remote controller. An insertion/extraction(130) exposes an opera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ler, inserts the remote controller inside the receiving space and extracts the remote controller from the receiving space. A signaling transfer unit(140) transfers the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to a controller of TV. The receiving space prepares in a stand(150) of TV.

Description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TELEVISION FOR USING A REMOTE CONTROL}TV using remote control {TELEVISION FOR USING A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본체나 스탠드에 리모콘을 수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리모콘을 텔레비전과 일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that can store a remote control in a main body or a stand of the television, and that the remote control can be used integrally with the television.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은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에 따라 CRT TV, 프로젝션 TV, PDP TV, LCD TV 등 그 종류가 다양하며, 설치되는 방식에 따라 지면에 설치되는 스탠드형 텔레비전과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텔레비전이 있다.Generally, televisions have various types, such as CRT TVs, projection TVs, PDP TVs, and LCD TV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play device used. There is a television.

이러한 텔레비전은 원거리에서 기능이 선택되거나 제어되기 위하여 리모콘이 사용된다.These televisions use a remote control to select or control a function remotely.

이와 같이, 리모콘은 텔레비전을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상면에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다수의 버튼이 마련되고, 버튼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키코드 신호를 생성하는 키코드발생부가 마련되며, 키코드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키코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가 일측에 마련된다. 한편, 텔레비전은 리모콘의 키코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하여 본체에 수신부가 마련된다.In this way, the remote contro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for the user's operation on the top surface for remote control of the television, a key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key cod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is provided, from the key code generation unit A transmitter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keycode signal into a radio signal is provided on one side. On the other hand, the television is provided with a receiver in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key code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그러므로, 사용자가 리모콘의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버튼에 해당하는 키코드 신호가 리모콘의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텔레비전의 수신부에 수신됨으로써 텔레비전의 동작에 대한 원격 제어가 이루어진다.Therefore, as the user operates the buttons of the remote controller, key cod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buttons ar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received at the receiver of the television, thereby remo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levision.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텔레비전은 기능의 선택 및 제어를 위하여 본체에도 별도의 조작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작부와 리모콘의 이원적인 조작에 의해 본체에 별도의 조작부를 마련하게 됨으로써 비용이 증가하며, 리모콘을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분실 및 사용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televis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operation unit in the main body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a function, and a control unit for remote control. Therefore, by providing a separate operation unit on the main body by the dual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and the remote control, the cost increases, and has a problem that causes loss and inconvenience of use due to the hassle of storing the remote control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모콘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모콘의 분실 및 사용의 불편을 해소하고, 리모콘을 일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에 별도의 조작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제조단가를 절감하며, 리모콘을 일체화하여 사용하기 위한 비용 증가나 구조 복잡화를 최소화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remote control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and loss of use of the remote control,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operation unit to the main body by using the remote control integrally Not only this, but als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minimizes the increase in the cost and complexity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은,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텔레비전에 리모콘이 수납되도록 마련되는 수납공간과, 리모콘이 조작부를 노출시키도록 장착되며, 리모콘을 수납공간에 삽입시키거나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삽입인출부와, 삽입인출부에 의해 인출된 리모콘의 조작 부를 조작함으로써 발생되는 신호를 텔레비전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신호전달부를 포함한다.In 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levision remotely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includes a storage space provided so that the remote control is stored in the television, a remote control mounted to expose the operation unit, and a remote control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An insertion lead-out unit for drawing out from the storage space, and a signal transfer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generat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 drawn out by the insertion lead-out unit to the control unit of the television.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본체나 스탠드에 리모콘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모콘의 분실 및 사용의 불편을 해소하고, 리모콘을 텔레비전과 일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텔레비전에 별도의 조작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리모콘을 일체화하여 사용하기 위한 비용 증가나 구조 복잡화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loss and use of the remote control by allowing the remote control to be stored in the main body or stand of the television,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operation unit on the television by allowing the remote control to be used integrally with the television.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cost and structure complexity are minimized to use the remote controller integral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100)은 리모콘(11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20)과, 수납공간(120)에 리모콘(110)을 수납 및 인출시키는 삽입인출부(130)와, 리모콘(110)의 신호를 텔레비전(100)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는 신호전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of the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television 100 using th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120, the accommodation of the remote control 110, and the storage space 120 in the storage space 120, and withdrawal Insertion and extraction unit 130,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140 for transmitting a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110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television (100).

수납공간(120)은 텔레비전(100)에 리모콘(110)이 수납되도록 마련되고, 일례로 리모콘(110)이 자신의 측방향으로 수평되게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100)의 스탠드(150)에 마련된다. The storage space 120 is provided so that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accommodated in the television 100, and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ler 110 has a space in which the remote controller 110 can be horizontally inserted in its side direction. The stand 150 is provided.

스탠드(150)는 화면(161)이 마련된 본체(160)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됨으로써 본체(160)가 거치되도록 하며, 리모콘(110)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가 통과함으로써 텔레비전(100)의 본체(160)에 마련되는 수신부(143)에 도달하도록 리모콘(110)의 무선신호가 이동하는 경로에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윈도우(151)가 설치될 수 있다.The stand 150 is installed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main body 160 provided with the screen 161 so that the main body 160 is mounted, and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110 passes through the main body of the television 100. A window 151 made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may be installed in a path through which the wireless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110 moves so as to reach the receiver 143 provided in the 160.

한편, 리모콘(110)은 텔레비전(100)의 기능을 원격 제어하는 것으로서, 일면에 조작을 위한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111)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to remotely control the function of the television 100, the operation unit 11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for operation on one surface.

삽입인출부(130)는 리모콘(110)이 조작부(111)를 노출시키도록 장착되며, 리모콘(110)을 수납공간(120)에 삽입시키거나 수납공간(120)으로부터 인출시킨다. The insertion extraction unit 130 is mounted so that the remote controller 110 exposes the operation unit 111, and inserts the remote controller 110 into the storage space 120 or withdraws it from the storage space 120.

삽입인출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20)의 입구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131)와, 도어(131)에 리모콘(110)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고정부(132)와, 도어(13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3)와, 도어(131)가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록킹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insertion lead-out unit 130 may include a door 131 hinged to an inlet of the storage space 120, and a fixing part provided to fix the remote controller 110 to the door 131. 132, an elastic member 133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door 131, and a locking part 134 that allows the door 131 to close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20.

도어(131)는 수납공간(120)의 입구 하단에 힌지축(131a)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전후로 회전함으로써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개폐시키며,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개방 시 리모콘(110)의 조작부(111)가 상면을 향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멈출 수 있도록 수납공간(120)의 입구 형성 부위에 지지되거나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 다.The door 131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20 by the hinge shaft 131a, and rotates back and forth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20, and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20 is opened. A stopper may be provided or supported at an inlet formation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0 to stop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111 of the 110 faces the upper surface.

고정부(132)는 도어(131)의 내측면, 즉 도어(131)에서 수납공간(120)을 향하는 면에 리모콘(11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마련되고, 일례로 리모콘(11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도어(131)의 내측면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기(132a)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unit 132 is provided to detachably fix the remote controller 110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131, that is, the side facing the storage space 120 from the door 131.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32a) form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1 to support both sides.

탄성부재(133)는 도어(131)가 탄성력에 의해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설치되는데, 일례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힌지축(131a)에 끼워져서 양단이 도어(131)와 수납공간(120) 형성부위에 각각 지지됨으로써 도어(131)가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33 is installed so that the door 131 opens the inlet of the storage space 120 by the elastic force.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133 is formed of a coil spring and fitted to the hinge shaft 131a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door 131. Since the door 131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of the storage space 120 is opened, the elastic force may be provided to each of the storage spaces 120.

록킹부(134)는 도어(131)가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조작에 의해 도어(131)가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개폐시키도록 하는데,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1)의 내측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34a)와, 수납공간(120)의 입구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이동 방향에 따라 걸림돌기(134a)에 걸리거나 걸림돌기(134a)로부터 분리되는 체결편(134b)과, 체결편(134b)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체결편(134b)이 걸림돌기(134a)에 걸리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134c)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편(134b)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걸림돌기(134a)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도어(131)는 리모콘(110)과 함께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이 조작부(111)가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인출된다.The locking unit 134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31 closes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20 so that the door 131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20 by an operation. 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protrusion 134a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door 131 and the locking protrusion 134a are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storage space 120 so as to be slidable up and down. The spring 134c to apply the elastic force to the fastening piece 134b and the fastening piece 134b so as to be caught by the fastening piece 134a. It may include.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piece 134b is slid and moved out of the locking protrusion 134a, the door 131 rotates for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33 together with the remote controller 110, as shown in FIG. 2. Likewise,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drawn out so that the operation unit 111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한편, 도어(131)를 후방으로 회전시켜서 수납공간(120)의 입구가 폐쇄되도록 하면, 이로 인해 도어(131) 내측면에 장착된 리모콘(110)이 수납공간(120)에 삽입되고, 체결편(134b)이 스프링(134c)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134a)에 걸림으로써 도어(131)가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131 is rotated to the rear to close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20, thereby inserting the remote control 110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1 into the storage space 120, fastening pieces The door 131 keeps the inlet of the storage space 120 closed by the 134b being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34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34c.

신호전달부(140)는 삽입인출부(130)에 의해 수납공간(120)으로부터 인출된 리모콘(110)의 조작부(111)를 조작함으로써 발생되는 키코드 신호를 텔레비전(1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4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elevision 100 on the key code signal generated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unit 111 of the remote controller 110 drawn out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20 by the insertion extraction unit 130. Transfer to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신호전달부(140)는 본 실시예에서 리모콘(110)에 마련되어 무선의 키코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41,142)와, 송신부(141,142)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의 키코드 신호를 수신받도록 텔레비전(100)의 본체(160)에 마련되는 수신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ing unit 140 is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mission unit 141, 142 for transmitting a wireless key code signal, and the television 100 to receive the wireless key cod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141, 142 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143 provided in the main body 160 of.

송신부(141,142)는 리모콘(110)이 삽입인출부(130)에 의해 인출된 상태의 자세를 고려하여 송신되는 무선신호가 수신부(143)에 제대로 도달할 수 있도록 리모콘(110)에 설치되는 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수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일례로 리모콘(110)이 삽입인출부(130)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이용되도록 리모콘(110)의 전단에 마련되는 제 1 송신부(141)와, 리모콘(110)이 삽입인출부(130)에 장착되어 일체로 사용되는 경우에 이용되도록 리모콘(110)에서 수신부(143)를 향하는 측부에 마련되는 제 2 송신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ers 141 and 142 may be positioned at the remote controller 110 so that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properly reaches the receiver 143 in consideration of the posture of the remote controller 110 drawn out by the insertion drawer 130. I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ler 110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emote controller 110 to be used when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unit 130 and used independently. The first transmitter 141 and the second transmitter 142 provided on the side facing the receiver 143 in the remote controller 110 to be used when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mounted on the insertion unit 130 and used integrally. It may include.

한편, 수납공간(120)에 리모콘(110)이 삽입 시 텔레비전(100)의 전원을 오 프(off)시키는 전원스위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텔레비전(100)의 시청이 불필요하여 리모콘(110)을 수납공간(120)에 삽입시키면 텔레비전(100)의 전원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mote control 11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2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170 for off (off) the power of the television (100). Therefore, when the television 100 is not viewed, the remote control 11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20 so that the power of the television 100 may be automatically turned off.

전원스위치(170)는 수납공간(120)에 리모콘(110)이 삽입됨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수납공간(120)의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수납공간(120)에 삽입되는 리모콘(110)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하는 누름 스위치일 수 있다.The power switch 170 is pressurized by the remote controller 110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20 by being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space 120 to accurately detect that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20. It can be a push switch.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levision using th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개방시킨 도어(131)의 내측면에 리모콘(110)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리모콘(110)의 조작부(111)에 대한 조작에 의해 텔레비전(100)의 기능을 선택하면, 리모콘(110)에 내장된 키코드발생부(미도시)로부터 선택된 기능에 해당하는 키코드 신호가 발생하고, 이러한 키코드 신호를 제 1 및 제 2 송신부(141,142)가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고, 제 2 송신부(142)의 무선신호는 윈도우(151)를 통해서 본체(160)에 마련된 수신부(143)에 수신되어 텔레비전(100)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됨으로써 텔레비전(100)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the television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control unit 111 of the remote controller 110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1 which opens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20. When the function of 100 is selected, a key code signal corresponding to a function selected from a key code generator (not shown) built in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generated, and the key cod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ers 141 and 142. ) Modulates and transmits the radio signal to the radio signal, and the radio signal of the second transmitter 142 is received by the receiver 143 provided in the main body 160 through the window 151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television 100. Transfer to (not shown) allows the television 100 to perform the desired function.

한편, 리모콘(110)을 도어(131)로부터 분리시켜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리모콘(110)의 조작 시 전단에 위치하는 제 1 송신부(141)를 이용하여 무선신호가 수신부(143)에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mote controller 110 may be separated from the door 131 and used independently. In this case, the wireless signal is received by the receiver 143 using the first transmitter 141 located at the front end when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operated. Can be received.

텔레비전(100)의 사용이 불필요하여 리모콘(110)을 보관 시, 리모콘(110)을 고정부(132)에 의해 도어(131)에 장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어(131)를 뒤로 회전시킴으로써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폐쇄시키면, 도어(131)의 내측면에 위치한 리모콘(110)은 수납공간(120)에 수납되며, 이 때, 록킹부(134)에 의해 도어(131)가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리모콘(110)을 인출시키고자 할 경우 록킹부(134)의 체결편(134b)을 올려서 걸림돌기(134a)로부터 분리시키면,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131)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수납공간(120)의 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리모콘(110)의 조작부(111)가 상측을 향하도록 인출된다.When the remote control 110 is stored because the television 100 is unnecessary, the door 131 is rotated backward while the remote control 110 is mounted on the door 131 by the fixing part 132. When the entrance of the 120 is closed, the remote controller 110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131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20, and at this time, the door 131 is closed by the locking part 134. ) Will remain closed. In addition, when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to be withdrawn, when the fastening piece 134b of the locking part 134 is lifted up and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 134a, the door 131 is moved for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33. By rotating and opening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20, the operation unit 111 of the remote control 110 is pulled out to face upward.

한편, 리모콘(110)이 수납공간(120)에 삽입 시 전원스위치(17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텔레비전(100)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텔레비전(100)에 의한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방지한다. 한편, 리모콘(110)이 인출되면 전원스위치(17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텔레비전(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텔레비전(1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해진다.Meanwhile, when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20, the power switch 170 is pressed to cut off the power of the television 100,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the television 1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drawn out, the power is applied to the television 100 by being separated from the power switch 170, thereby enabling operation control of the television 100.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의 요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200)은 리모콘(210)이 수납되도록 텔레비전(200)에 마련되는 수납공간(220)과, 리모콘(210)이 조작부(211)를 노출시키도록 장착됨과 아울러 리모콘(210)을 수납공간(220)에 삽입시키거나 수납공간(220)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삽입인출부(230)와, 삽입인출부(230)에 의해 인출된 리모콘(210)의 조작 부(211)를 조작함으로써 발생되는 신호를 텔레비전(200)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는 신호전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television 200 using th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space 220 provided in the television 200 so that the remote control 210 is accommodated, and the remote control 210 is an operation unit ( 211 is mounted to expose and the remote control unit 210 to insert the remote control 210 in the storage space 220 or withdraw from the storage space 220, and the remote control withdrawn by the insertion outlet 230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240 for transmitting a signal generat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211 of 210 to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television 200.

수납공간(22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100)의 수납공간(120)과 마찬가지로 리모콘(210)의 삽입 방향 및 삽입 자세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설치 위치가 스탠드(250)가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200)에서 화면(261)이 마련된 본체(260)에 마련된다. The storage space 22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d the insertion posture of the remote controller 210, similarly to the storage space 120 of the television 10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a stand. Instead of 250, as shown in FIG. 4, the television 2 20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60 provided with the screen 261.

한편, 삽입인출부(23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100)의 삽입인출부(130)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Meanwhile, since the insertion lead-out unit 230 is the same as the insertion lead-out unit 130 of the television 100 using th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신호전달부(240)는 본 실시예에서 리모콘(210)의 키코드발생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된 키코드 신호를 텔레비전(200)의 기능 실현을 위한 제어부(미도시)에 유선으로 전달하도록 리모콘(210)의 저면과 삽입인출부(230)의 도어(231) 내측면에 서로 접속되도록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커넥터(241,2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tter 240 transmits the keycode signal generated from the keycode generator (not shown) of the remote controller 210 to the controller (not shown) for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television 200 by wir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41 and 242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31 of the insertion outlet 230.

제 1 및 제 2 커넥터(241,24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암.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리모콘(210)의 조작부(211)에 대한 조작으로 인해 키코드발생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 신호가 제 1 및 제 2 커넥터(241,242)를 통해서 텔레비전(200)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제 2 커넥터(242)는 케이블(242a) 등을 통해서 키코드 신호를 텔레비전(200)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41 and 242 may be formed in a male and female form to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generated from a key code generation unit (not shown) due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211 of the remote controller 210. The keycod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television 2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41 and 242. In this case, the second connector 242 may transmit the keycode signal to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television 200 through the cable 242a or the like.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부(24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부(140)와 마찬가지로 리모콘(210)이 삽입인출부(23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무선 방 식에 의해 텔레비전(200)에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부(14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달부(240)와 마찬가지로 유선 방식에 의해 텔레비전(100)에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like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y a wireless method in a state in which the remote control 210 is mounted on the insertion outlet 230. And may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 to the television 200. 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 to the television 100 in a wired manner similar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신호전달부(240)는 리모콘(210)을 독립적으로 사용 시 리모콘(210)의 키코드 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텔레비전(200)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기 위하여 리모콘(210)의 전단에 마련되는 송신부(243)와 텔레비전(200)의 본체(260)에 마련되는 수신부(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40 converts the keycode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210 into a wireless signal when the remote controller 210 is used independently,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front end of the remote controller 210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television 200.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ter 243 provided and a receiver 244 provided in the main body 260 of the television 20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어(231)에 의해 수납공간(220)으로부터 인출된 리모콘(210)을 일체로 사용하여 텔레비전(200)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리모콘(210)을 도어(231)로부터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어(231)에 리모콘(210)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도어(231)를 닫게 됨으로써 리모콘(210)이 수납공간(220)의 내측에 삽입되어 보관되도록 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television 200 performs a desired function by integrall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210 drawn out from the storage space 220 by the door 231, or the remote controller. The door 210 is separated from the door 231 and can be used independently. The door 231 is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remote controller 210 is mounted on the door 231, so that the remote controller 210 is inward of the storage space 220. It can also be inserted into the archive and stored.

한편, 리모콘(210)이 도어(231)에 의해 인출된 상태에서 조작부(211)에 대한 조작 시 발생하는 키코드 신호는 제 1 및 제 2 커넥터(241,242)를 통해서 텔레비전(200)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key code signal generated when the remote controller 21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unit 211 with the door 231 drawn ou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television 2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41 and 242. Will be deliver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비전의 본체나 스탠드에 리모 콘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모콘의 분실 및 사용의 불편을 해소하고, 리모콘을 텔레비전과 일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텔레비전의 본체에 별도의 조작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리모콘의 일체 사용을 위한 비용 증가나 구조 복잡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control can be stored in the main body or stand of the television,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remote control.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operation unit,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increase or structural complexity for the integral use of the remote control.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be included in the described technical idea.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age of 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의 요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210 : 리모콘 111,211 : 조작부110,210: remote control 111,211: control panel

120,220 : 수납공간 130,230 : 삽입인출부120,220: Storage space 130,230: Insertion drawer

131,231 : 도어 131a : 힌지축131,231: door 131a: hinge shaft

132 : 고정부 132a : 지지돌기132: fixing part 132a: support protrusion

133 : 탄성부재 134 : 록킹부133: elastic member 134: locking part

134a : 걸림돌기 134b : 체결편134a: engaging projection 134b: fastening piece

134c : 스프링 140,240 : 신호전달부134c: Spring 140,240: Signal Transmitter

141,142,243 : 송신부 143,244 : 수신부141,142,243: transmitter 143,244: receiver

150,250 : 스탠드 151 : 윈도우150250: Stand 151: Windows

160,260 : 본체 161,261 : 화면160,260: main body 161,261: screen

170 : 전원스위치 241 : 제 1 커넥터170: power switch 241: first connector

242 : 제 2 커넥터 242a : 케이블242: second connector 242a: cable

Claims (11)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In a television remotely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상기 텔레비전에 상기 리모콘이 수납되도록 마련되는 수납공간과,A storage space provided to store the remote control in the television; 상기 리모콘이 조작부를 노출시키도록 장착되며, 상기 리모콘을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삽입인출부와, An insertion and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expose the operation unit, insert the remote control into or withdraw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삽입인출부에 의해 인출된 상기 리모콘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발생되는 신호를 상기 텔레비전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신호전달부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generat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ler drawn out by the inser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of the television 를 포함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납공간은,The storage space, 상기 텔레비전의 스탠드에 마련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provided in the stand of the televis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탠드는,The stand is,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가 통과하여 상기 텔레비전의 본체에 마련되는 수신부에 도달하도록 윈도우가 마련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And a window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 window through which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passes to reach a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televis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납공간은,The storage space, 상기 텔레비전의 본체에 마련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A 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televis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삽입인출부는,The insertion drawer,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전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와,A door hinged to a lower end of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and rotating the front and rear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상기 리모콘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A fixing part provided to detachably fix the remote controller to an inner side of the door; 상기 도어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와,An elastic member installed so that the door opens the inlet by an elastic force; 상기 도어가 상기 입구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록킹부A locking portion to allow the door to close the entrance 를 포함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고정부는,The fixing part, 상기 리모콘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기로 이루어지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pport projection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remote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호전달부는,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상기 리모콘에 마련되어 무선의 키코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A transmission unit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wireless keycode signal;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의 키코드 신호를 수신받도록 상기 텔레비전의 본체에 마련되는 수신부A receiver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television to receive a wireless keycod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를 포함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송신부는,The transmitting unit, 상기 리모콘이 상기 삽입인출부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이용되는 제 1 송신부와,A first transmitter used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used separately from the insertion unit; 상기 리모콘이 상기 삽입인출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이용되는 제 2 송신부A second transmitter used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mounted and used in the insertion lead-out; 를 포함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호전달부는,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상기 리모콘의 키코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유선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리모콘과 상기 삽입인출부에 서로 접속되도록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커넥터First and second connector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and the insertion outlet to transfer the key code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to the control unit by wire. 를 포함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리모콘이 삽입 시 상기 텔레비전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A power switch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television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를 더 포함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Television using a remote control further comprising.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전원스위치는,The power switch,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리모콘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하는 리모콘을 이용하는 텔레비전.And a remote control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space and pressurized by the remote control to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KR1020090025353A 2009-03-25 2009-03-25 Television for using a remote control KR201001071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353A KR20100107190A (en) 2009-03-25 2009-03-25 Television for using a remot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353A KR20100107190A (en) 2009-03-25 2009-03-25 Television for using a remot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190A true KR20100107190A (en) 2010-10-05

Family

ID=4312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353A KR20100107190A (en) 2009-03-25 2009-03-25 Television for using a remot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719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78B1 (en) * 2012-10-18 2013-06-18 주식회사주연테크 Monitor with mobile holder
CN104295870A (en) * 2013-07-19 2015-01-21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base comprising same
KR20160102688A (en) * 2015-02-23 2016-08-3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TV Remote Controller Hold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78B1 (en) * 2012-10-18 2013-06-18 주식회사주연테크 Monitor with mobile holder
CN104295870A (en) * 2013-07-19 2015-01-21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base comprising same
EP2835571A1 (en) * 2013-07-19 2015-02-11 BenQ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stand base used therein
KR20160102688A (en) * 2015-02-23 2016-08-3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TV Remote Controller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5533A (en) Monitor control panel drawing apparatus
KR100880486B1 (en) Refrigerator
US20180245321A1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flush toilet and remote control device unit
BRPI0804922A2 (en)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remotely connected to it
KR100803773B1 (en) Cooking device
KR20100107190A (en) Television for using a remote control
KR20160042229A (en) Set-top box linked TV power
KR20070105689A (en) A power consent and remote controller for wireless control
CN200976106Y (en) Multifunctional integrated control system apparatus
CN107076997B (en) Video glass headband and video glass
CN105704534A (en) A telescopic remote controller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KR101124155B1 (en) Multi-tab for automatic cutting off the standby-power
CN107809870B (en) Closing mechanism of remote controller battery cover
KR100854093B1 (en) Distributing device of an apartment house
KR101249731B1 (en) Furniture having Display
KR100615848B1 (en) Potable Multimedia Player
KR101023353B1 (en) Concent assembly for connecting cable
KR100854525B1 (en) Distribution line board of the apartment house
KR200244788Y1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cell phone
KR20050106761A (en) Remocon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0606840B1 (en) Detachment capable remote controller
KR100853032B1 (en) Distributing terminal of the apartment
KR19990014511U (en) Display monitor with remote controller
KR200424580Y1 (en) Both direction communicated univers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having TV and AV function
KR100751135B1 (en)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