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863A -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863A
KR20100106863A KR1020090025119A KR20090025119A KR20100106863A KR 20100106863 A KR20100106863 A KR 20100106863A KR 1020090025119 A KR1020090025119 A KR 1020090025119A KR 20090025119 A KR20090025119 A KR 20090025119A KR 20100106863 A KR20100106863 A KR 20100106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phase error
multiple access
division mult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복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2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6863A/ko
Publication of KR2010010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2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125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94Allocation of channels in TDM/TDMA networks, e.g. distributed multiplex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게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피드 포워드(feed-foward)형식으로 보정한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정신호의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피드 백(feed-back)형식으로 보정한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호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 IN TDMA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통신에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호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은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는 채널 접속 방법의 하나이다.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은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타임슬롯을 사용함으로서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사용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은 다수의 기지국이 하나의 통신 수단(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채널 등을 포함한다)을 공유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은 디지털 2세대 셀룰러 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IS-136,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iDEN,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등에 이용된다.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은 또한 위성 통신 시스템이나, 군사용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이용된다.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의 통신에서 동기성능은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좌우하 는 중요한 요소이다.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의 통신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의 동기화를 위한 신호처리방법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의 통신에 있어서, 수신된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의 신호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동기성능을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할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며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신호처리방법은,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게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피드 포워드(feed-foward)형식으로 보정한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정신호의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피드 백(feed-back)형식으로 보정한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프리앰블은, 복수의 심볼로 오버샘플링(Oversampl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프리앰블은, 사용자가 지정한 비율로 오버샘플링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M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여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DP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여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DPLL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지정한 루프필터 계수를 가지는 루프 필터에 의하여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신호처리장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피드 포워드(feed-foward)형식으로 보정한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제1 동기화부 및 상기 제1 보정신호의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피드 백(feed-back)형식으로 보정한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제2 동기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프리앰블은, 복수의 심볼로 오버샘플링(Oversampl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프리앰블은, 사용자가 지정한 비율로 오버샘플링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동기화부는, M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여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제2 동기화부는, DP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여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제2 동기화부는, DP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는 루프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루프 필터는, 사용자가 지정한 루프필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신호처리방법은, 열악한 잡음환경내에서도 고속 동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악한 잡음환경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작은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동기화를 함으로써, 신호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신호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의 신호는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도중에 주파수 또는 위상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함에 있어서, 수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동기화 과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는 수신단에서, 상기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감안한 적절한 주파수 또는 위상 오프셋(offset)을 주어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으로 신호를 처리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의 동기화 알고리즘은 피드 포워드(feedfoward) 및 피드 백(feedback)방식이 있다. 피드 백(feedback)방식의 대표적인 예로는 DPLL(Digital Phase-Lock Loop) 알고리즘이 있다.
도 1은 DP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PLL 알고리즘은 처리된 신호로부터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측정하여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의 오프셋(offset)을 추적한다. MLE 알고리즘은 상기 추적된 오프셋에 의해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한다. 보정되어 처리된 신호는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예측하기 위하여 다시 재귀적으로 이용된다.
상기 DPLL알고리즘은 동기화 성능이 높으나 hang-up 현상 또는 pull-up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hang-up 현상 또는 pull-up현상은 짧은시간 발생하더라도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주파수를 공유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에서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통상의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에서는 피드 포워드 방식의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 보정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피드 포워드 방식의 대표적이 예로는 MLE(Maximum Likelyhood Estimation)이 있다.
도 2는 M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LE 알고리즘은 하나의 신호 단위(burst)에 포함된 프리앰블(PREAMBLE)을 이용하여(도 3참조) 상기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의 오프셋(offset)을 추적한다. 상기 MLE 알고리즘은 추적된 오프셋에 의해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한다.
이러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MLE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MLE알고리즘은 신호의 SNR(Signal-to-Noise Ratio)이 낮은 환경에서 DPLL에 비하여 그 정확도가 낮고, 이를 만회하기 위하여 Preamble의 길이를 늘리는 경우, Preamble부분 자체가 채널자원을 소모하게 되어 데이터 전송률이 감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신호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신호처리장치(100)는 신호송수신부(110), 정합필터(120), 제1 동기화부(130), 제2 동기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신호처리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신송수신부(11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프리앰 블(Preamb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앰블은, 복수의 심볼로 오버샘플링(Oversampling)될 수 있다. 상기 프리앰블이 오버샘플링되는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정합필터(120)는 상기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의 송신필터와 매칭되는 필터(Matched Filter)일 수 있다.
상기 제1 동기화부(130)는 상기 신호송수신부(110)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기화부(130)는, M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여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동기화부(140)는 상기 제1 동기화부에 의하여 보정된 제1 보정신호의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기화부(140)는 DP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여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기화부(140)는 DP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는 루프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루프 필터는, 사용자가 지정한 루프필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및 위상 오프셋을 포함하는 수신된 등가 기저대역 신호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드 포워드 기반의 data-aided MLE 기법과 피드 백 기반의 decision directed DPLL 방식을 결함하여 설계된 것이다.
신호처리장치에서 잡음성분을 포함하는 신호는 먼저 동기식으로 복조된다. 상기 동기식으로 복조된 신호는 송신기 및 수신기의 부정합에의한 주파수 또는 위상 오프셋을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r(t)로 변환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 r(t)는 디지털처리를 위하여 오버샘플링되어 정합필터(120)에 의하여 정합여파 처리된다.
주파수 또는 위상 오프셋을 포함하는 수신된 등가 기저대역 신호는 다음 수학식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01
여기서 v(t) 는 No/2의 양측파 전력밀도를 가지는 가산성 백색잡음(AWGN, Additive Wight Gausian Noise)이며, u(t) 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의 등가 기저대역 신호로서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02
여기서 A는 inpahse(I) 와 quadrature(Q) 성분의 진폭을 나타낸다.
전송대역 제한을 위한 정합필터(120)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은 impulse 응답특성을 가지는 RRC(Root Raised Cosine)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03
r은 대역폭을 결정하는 roll-off factor이며 0.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표본화율 Ts로 oversampling 후, 정합여파를 거친 수신신호, r(kTs)는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04
여기서 k 는 표본 index 이며, N은 파라메터 추정을 위한 표본 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신호처리방법에서 주파수 오프셋 추정파라메터는 f, 위상 오프셋 추정파라메터는 Ψ로 표현될 수 있다.
▶ 주파수 offset 추정
추정하고자하고자 하는 파라메터는 랜덤변수가 아니라 deterministic 값이기 때문에 파라메터 추정을위한 기준은 아래 수학식 5와 같은 likelyhood 함수값을 최대화 하는 Maximum Likeihood 이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05
여기서 Ω 는 표본당 rad.이며 주파수 오프셋을 나타낸다.
주파수 오프셋 Ω 에 대한 수학식 5의 최대값은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수학식 5의 미분을 취하여 '0’이되는 Ω 값을 찾는 것이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06
Cd = k-m(k>m) 이라 두고, 수학식 6의 항을 재배열하면 아래 수학식 7과 같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07
따라서, 상기 수학식7 로부터 추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오프셋은 다음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08
상기 수학식 8에서 보듯이 추정코저하는 주파수 offset은 상관거리 Cd를 가지는 자기상관함수의 위상성분이다.
상관거리 Cd는 주파수 offset 추정 범위를 결정하며, 추정의 정확도는 상관함수 샘플수(N-Cd)와 상관거리 Cd에 의존적이다.
도 5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여기서 arg(·)는 식(8)의 위상을 나타낸다.
▶ 위상 offset 추정
data-aided 위상 offset 추정을 위한 주파수 offset 보상한 프리앰블 표본수를 Np라 두면 k번째 표본 데이터는 다음 수학식 9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09
여기서 ΔΩ 는 부정확한 주파수 오프셋에 의한 잔여 주파수 오차를 나타낸다.
위상 오프셋 역시 랜덤변수가 아니므로, 주파수 offset 추정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음 수학식 10의 likelyhood 함수값을 최대화 하는 Maximum Likeihood 추정으로 위상 offset 값을 추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10
신호의 통계적 특성(ergodic)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10으로부터 추정한 위상 추정값은 다음 수학식 11과 같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11
도 6은 위상 offset 추정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블록도(block diagram)이며, 여기서 arg(·)는 상기 수학식 11의 위상을 나타낸다.
▶ 잔여 위상 offset 추적
일반적으로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 시스템의 burst에서 사용자 data의 크기가 작을 경우 상기 MLE를 이용하여 파라메터추정은 한번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전송효율을 고려하여 preamble 크기를 작게하던지 또는 사용자 data가 많아지는 경우, 특히 응용 분야가 멀티 플렛폼의 CDL(Common Data Link) 와 같은 경우에는 MLE에 기인한 잔여 주파수 및 위상 오프셋이 데이터에 누적되어 성능을 급격히 열화시키므로 위상추적이 필수적이다.
비선형 변환을 기반으로 하는 Viterbi&Viterbi NonData-aided 위상 추적기법은 feedforward 방식으로서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그러나 SNR 값이 낮은 경우, 또는 잔여 위상 offset 이 작지 않은 경우에는, 추정 성능이 떨어져 BER(Bit Error Rate) 성능이 열화하게되므로 성능유지를 위해서는 전단계 MLE 의 추정성능이 좋아야 한다. 이는 프리앰블 크기 증가를 의미하므로 결국 전송효율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제안된 복합 반송파 동기기법에서는 위상 추적을 위하여 피드백 기반 DPLL기법을 적용하며, 다음 수학식12 과같은 전달특성을 갖는 2차 loop의 Dicision-directed DPLL 은 하나의 좋은 예가 된다.
Figure 112009017802001-PAT0001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DPLL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수학식 12에서 K1,K2 는 loop bandwidth를 결정하는 상수로서 추정 범위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신호처리장치(100)에서는 실험적으로 K1=0.01, K2=0.005에서 PLL이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물론, DPLL은 hang-up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특성은 초기 추적 에러가 unstable equilibrium point에 근접할 때 나타나는 현상인데, 제안된 방식에서는 MLE로 인하여 이러한 조건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DPLL의 초기 포착 범위가 작으므로 loop bandwidth를 좁게할 수 있어 PLL 추정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신호처리방법을 구비한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DP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M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에서 데이터 단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신호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5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블록도(block diagram).
도 6은 위상 offset 추정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블록도(block diagram).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DPLL의 블록 구성도.

Claims (15)

  1.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게;
    상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피드 포워드(feed-foward)형식으로 보정한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제1 보정신호의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피드 백(feed-back)형식으로 보정한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은,
    복수의 심볼로 오버샘플링(Oversampling)된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은,
    사용자가 지정한 비율로 오버샘플링 된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M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여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DP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여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DPLL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지정한 루프필터 계수를 가지는 루프 필터에 의하여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8.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피드 포워드(feed-foward)형식으로 보정한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제1 동기화부;및
    상기 제1 보정신호의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피드 백(feed-back)형식으로 보정한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제2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주파수 또는 위상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은,
    복수의 심볼로 오버샘플링(Oversampling)된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은,
    사용자가 지정한 비율로 오버샘플링 된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화부는,
    M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여 제1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기화부는,
    DP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여 제2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기화부는,
    DP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잔여 주파수 또는 위상 오차를 보정하는 루프필터를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장치.
  15.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필터는,
    사용자가 지정한 루프필터 계수를 가지는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장치.
KR1020090025119A 2009-03-24 2009-03-24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KR20100106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119A KR20100106863A (ko) 2009-03-24 2009-03-24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119A KR20100106863A (ko) 2009-03-24 2009-03-24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863A true KR20100106863A (ko) 2010-10-04

Family

ID=4312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119A KR20100106863A (ko) 2009-03-24 2009-03-24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68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74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timing adjustment and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JP3118548B2 (ja) ディジタル通信受信機用同期検波装置および同期方法
US201000756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wireless communication reliability and performance in process control systems
US10516521B2 (en) Sampling rate synchronization between transmitters and receivers
JP3492565B2 (ja) Ofdm通信装置および検波方法
KR101056095B1 (ko) Ofdm 공동 타이밍 및 주파수 추적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1513308A1 (en) Process for pilot-aided carrier phase synchronization
KR101165266B1 (ko) Ofdm 심볼 동기 및 추적을 위한 참조 신호(rs) 타이밍 루프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
US65909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US5259005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ynchronizing a clock signal
KR20110030469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잔류 주파수 에러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EP1513309A1 (en) Process for pilot-aided carrier phase synchronisation
Temim et al. A novel approach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lora-like phy layer to synchronization errors
US52552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a decision-directed clock recovery system
US7606331B2 (en)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in radio receiver
US6724847B1 (en) Feed-forward symbol synchronizer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for
WO2002041518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frequency offset
GB2375272A (en) A frequency estimator
US7474718B2 (en) Frequency control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00106863A (ko)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의 신호처리방법 및 신호처리장치
Chen Carrier recovery in burst-mode 16-qam
EP1117219B1 (en) Frequency offset correction in the presence of intersymbol interference
Assaf et al. Sample Clock Offset Compensation in the fifth-generation new radio Downlink
RU2392761C2 (ru) Итеративная коррекция частот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бучающей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и битов данных
CN114051706A (zh) Ofdma基带时钟同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