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745A - Radar observational density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Radar observational density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745A
KR20100106745A KR1020090024879A KR20090024879A KR20100106745A KR 20100106745 A KR20100106745 A KR 20100106745A KR 1020090024879 A KR1020090024879 A KR 1020090024879A KR 20090024879 A KR20090024879 A KR 20090024879A KR 20100106745 A KR20100106745 A KR 20100106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ar
information
observation
data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36823B1 (en
Inventor
손성호
김경식
심영규
장기호
석미경
이희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기상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기상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기상청장)
Priority to KR1020090024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823B1/en
Publication of KR2010010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7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8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5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eteorological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G06T2207/10044Radar im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PURPOSE: A radar observational density analysis system and an analysis method of the same are provided to efficiently radar measurement data by accurately measuring quantitative precipitation depending on geographical factors. CONSTITUTION: A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or(100) manages the basic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of a measurement point of a radar site, and a vector data generator(200) generates vector data according to the processed data of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or. A three-dimensional image data generator(300) implements the generated vector data in three-dimensional image. An image analysis unit(400) analyzes the weather in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implemented in three-dimension. A data display unit(500) displays the analyzed weather information.

Description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시스템 및 방법{Radar observational density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the same}Radar observational density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더 관측 자료의 공간적 관측 밀도를 분석하고 QPE 신뢰도를 산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구체적으로는 레이더 자료 관측 밀도 분석 표출 시스템은, 사용자가 임의로 특정영역에 대해 분석시 QPE 신뢰도와 레이더 강수 정확도인 상관계수(R2), RMSE의 비교분석을 수행하고, 각 관측고도면의 관측 밀도 D를 측정하여 QPE 신뢰도가 높은 관측 고도를 계산함으로써,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analyzing spatial observation density of radar observation data and calculating QPE reliability. In particular, the radar data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display system perform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2 ) and the RMSE, which are the QPE reliability and radar precipitation accuracy when the user arbitrarily analyzes a specific region, and observes each observation altitude. By measuring the density D and calculating the observation altitude with high QPE reli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implementing an efficient system.

기상 레이더 관측기록을 바탕으로 한 강우량추정은 현재까지 심도 있게 다루어 온 연구된 분야이다. 레이더 데이터를 근거로 정확하고 정밀한 측정한 광범위한 강수량과 시간당 강우량이 표시된 지형의 표출로부터 날씨 변화에 따른, 폭우, 눈, 우 박, 폭설등과 홍수, 강물의 흐름, 담수등 다양한 수문학의 응용의 연구에 대한 필수적인 예측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 기상청은 2005년 이후로 모든 강수량의 경우에 대해 Z=200R1.6의 구름층 Z-R 관계식을 적용해 왔으나 한국의 여름에서는 대류성 강우이므로 이 관계식이 적절하지 않았으며, 2006년부터 우량계 자료로 기상 레이더 자료를 보정함으로써 강수량을 추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이 시스템의 명칭을 “레이더-AWS 강우강도(Radar-AWS Rainrate; 이하 RAR) 산출시스템”라 부른다.Rainfall estimation based on weather radar observations has been studied in depth. The application of various hydrologic applications such as heavy rain, snow, hail, heavy snow and floods, river flows, and fresh water according to weather changes, from the display of terrain with accurate and precise measurements of rainfall and hourly rainfall based on radar data. Provide essential predictive information about the stud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as applied the cloud layer ZR relation of Z = 200R1.6 for all precipitation cases since 2005, but this relation was not appropriate due to convective rainfall in summer in Korea. A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estimate rainfall by calibrating radar data. The system is called "Radar-AWS Rainrate (RAR) calculation system".

이 RAR 시스템은 기상청에서 10-레이더로 관측한 반사도와 우량계로 관측한 강수량에 대한 WPMM (Window Probability Matching Method; Rosenfeld et al., 1994) 이론을 적용하여 Z-R 관계식을 결정하여 레이더로 강우량을 추정하고 한반도에 걸친 강우 지역을 나타내었다.This RAR system uses the WPMM (Window Probability Matching Method; Rosenfeld et al., 1994) theory on the reflectivity observ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Office and the rainfall measured by the rain gauge to determine the ZR relation to estimate the rainfall by radar. Rain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is represented.

특히,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강수장은 한반도의 강수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특히 악천후와 관련된 집중호우 등의 감시 및 예측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정량적 강수량 추정(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이하 QPE)과 이를 통한 강수시스템의 특성파악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의 광범위한 해양의 분포 등은 정확한 강수장 파악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In particular, the precipitation in East Asia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cipi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the monitoring and forecasting ability of heavy rain related to bad weather,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QPE) in East As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cipitation system are required. However, the wide distribution of oceans in this region is also one of the factors that makes it difficult to pinpoint accurate precipitation.

이러한 지역에 따른 관측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강수장 감시요소를 다양화 할 수 있는 시간/공간규모가 다른 AWS지상관측-한중레이더-정지기상위성-극궤도 마이크로파 위성자료의 관측자료 들을 활용하여 동아시아 강수장을 산출하기 위한 자료의 한계성 등에 관한 기반기술개발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Precipitation in East Asia by using observation data from AWS ground observation-Korea-China radar- geostationary satellite-polar orbit microwave satellite data with different time / space scale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observation in these regions and diversify the monitoring elements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base technology on the limitations of data for calculating the chapter.

따라서 한중 레이더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한반도에서 동아시아까지 악천후 감시, 현재는 남한지역의 날씨변화 집중적으로 예측능력기능을 확대하여 공간적 한 계성 분석 위하여 임의 영역에 대한 레이더 자료 관측 밀도 분석 표출 시스템 원형을 개발 및 이에 따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청된다.Therefore, by utilizing the comprehensive radar data of Korea-China, we monitor the bad weather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East Asia, and expand the capability of forecasting to concentrate on weather changes in South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a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the analysis accordingl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리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정확한 강수량의 파악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여, 관측의 환경적 요인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고 강수장의 감시요소를 다양화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동아시아 강수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precipitation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environmental factor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observation and monitoring of the precipitation plant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elements, thereby providing a system that can more efficiently calculate East Asian precipitation.

특히, 한중레이더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한반도에서 동아시아까지의 악천후를 감시하고, 날씨변화를 집중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효율적으로 특정영역에 대한 레이더 관측 자료 관측밀도를 분석하고 표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by utilizing the Korea-China radar data comprehensively, we can monitor the bad weather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East Asia and implement a system that can intensively predict weather changes to efficiently analyze and express the observation density of radar observation data for specific area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레이더 사이트의 관측지점의 기본정보 및 분석정보를 관리하는 종합정보처리부; 상기 종합정보처리부에서 처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벡터자료를 생성하는 벡터자료생성부; 상기 벡터자료생성부에서 생성된 벡터자료를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하는 3차원 영상자료 생성부; 상기 3차원 영상으로 구현된 정보를 분석하여 기상정보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부; 상기 분석된 기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자료표시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managing the basic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observation point of the radar site; A vector material generation unit generating vector data based on the data processed by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 three-dimensional image data generation unit for implement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vector material generated by the vector material generation unit; An image analyzer for analyzing weather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implemented as the 3D image; A dat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nalyzed weather information; to provide a 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comprising a.

특히, 본 발명에서의 상기 종합정보처리부는, 레이더 자료의 분석과 디스플레이용 레이더 자료를 분석하는 레이더자료분석모듈; 레이더 사이트의 정보를 처리하는 레이더사이트 정보처리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레이더사이트의 정보의 관리를 위한 자료관리모듈과 레이더사이트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저장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ar data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radar data and display radar data; A radar sit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radar sit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and further comprises a data management module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radar site and the data management module for the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of the radar site.

상술한 상기 종합정보처리부에서 처리 및 관리되는 정보는, 레이더 사이트 정보, 상관정보(correlarion), 예측오차(RMSE), 레이더자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ed and managed by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or may include radar site information, correlation information, prediction error (RMSE), and radar data.

상술한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레이더의 관측 밀도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The 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method using the 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steps.

특정지역의 지도 및 레이더의 강수 관측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1단계; 상기 특정지역의 레이더 사이트별 정보를 표시하는 2단계; 상기 레이더의 관측각도를 선택하여 관측 반경 격자지점을 표출하는 3단계; 상기 관측반경의 강수 분포 및 레이더 관측 격자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표출하는 4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산출하는 5단계; 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Displaying a map of a specific area and image information of precipitation observation of a radar; Displaying radar site-specific information of the specific region; Selecting an observation angle of the radar to express an observation radius grid point; 4 steps of expressing the precipitation distribution of the observation radius and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radar observation grid; 5 steps of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analysis informa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상술한 단계 중 상기 2단계는, 레이더 사이트의 위치, 높이, 반경, 관측 각도를 입력하여 정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3단계는, 상기 관측반경 격자지점을 표출함에 있어, 관측반경을 레이더 사이트별 각도를 지정하고, 관측지점의 고도와 레이더 고도를 분석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mentioned steps, the second step may adjust the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position, height, radius, and observation angle of the radar site, and further, in the third step, in displaying the observation radius lattice point, the radar site may be adjusted. The angle of the star is specified, and the altitude of the observation point and the radar altitude are calculat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5단계의 분석정보는, 특정지역에 대한 정량적강수량 추정(QPE) 신뢰도와 상관계수(R2), 예측오차(RMSE)의 비교분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five step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calculating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QPE) reliability, correlation coefficient (R2), prediction error (RMSE) for a specific region Can be.

본 발명에 따르면, 지리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정확한 강수량의 파악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여, 관측의 환경적 요인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고 강수장의 감시요소를 다양화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동아시아 강수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precipitation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environmental factor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observation and to diversify the monitoring elements of the precipitation plan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view the East Asian precipitation plan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ystem that can be efficiently calculated.

특히, 한중레이더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한반도에서 동아시아까지의 악천후를 감시하고, 날씨변화를 집중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효율적으로 특정영역에 대한 레이더 관측 자료 관측밀도를 분석하고 표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by utilizing the Korea-China radar data comprehensively, we can monitor the bad weather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East Asia and implement a system that can intensively predict weather changes to efficiently analyze and express the observation density of radar observation data for specific areas. To provide a system.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 및 이를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 appli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시스템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시스템은 레이더 사이트의 관측지점의 기본정보 및 분석정보를 관리하는 종합정보처리부(100)와 상기 종합정보처리부에서 처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벡터자료를 생성하는 벡터자료생성부(200), 상기 벡터자료 생성부에서 생성된 벡터자료를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하는 3차원 영상자료 생성부(300), 상기 3차원 영상으로 구현된 정보를 분석하여 기상정보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부(400), 그리고 상기 분석된 기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자료표시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vector data based on the data processed by the integrate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0 and the integrate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managing the basic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observation point of the radar site The unit 200, the three-dimensional image data generation unit 300 for implementing the vector data generated by the vector data generating unit 300, the image analysis to analyze the weather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implemented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The unit 400 and a data display unit 500 for displaying the analyzed weather information is configured.

특히 상기 종합정보처리부(100)는 자료처리용 레이더 자료분석모듈(110)과, 레이더 사이트에대한 각종 정보를 읽어 처리하는 레이더 사이트 정보처리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에 레이더 사이트 정보나 상관(correlation), 예측오차(RMSE), 레이더 자료 등을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이를 관리하는 자료관리모듈(130), 상술한 고속 처리를 위해 자료의 일부는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자료저장모듈(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0 includes a radar data analysis module 110 for data processing and a radar sit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20 for reading and processing various information on the radar site, wherein the radar site information Or a data management module 130 for managing the correlation, prediction error (RMSE), radar data, etc. at high speed, and a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part of the data for the high-speed processing described above and managing the same. It is preferable that it further comprises 140).

여기에서 상기 자료분석모듈(Radar Data Parsing module;110)은 자료 처리용 레이더 자료 분석 모듈로서, 상관정보(Correlation) 및 예측오차(RMSE; Root Mean Square Error) 등 자료처리와 디스플레이용 레이더(radar) 자료를 처리한다. 여기에서 예측오차(RMSE) 예보값과 관측값의 차이를 제곱근하여 평균을 취한 값이며 '0'에서 무한 대까지 값을 가지며 완벽한 경우는 '0'의 값을 가지게 된다.The Radar Data Parsing module 110 is a radar data analysis module for data processing, and includes radar for data processing and display such as correlation information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Process the data. Here, the average error is calculated by taking the square roo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error (RMSE) and the observed value, and has a value ranging from '0' to infinity and '0' in a perfect case.

또한, 상기 레이더 사이트 정보처리모듈(Site Information module;120)은 기상분석이 필요한 특정 지역의 레이더 사이트(Radar Site)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읽어서 처리하는 모듈을 의미하며, 사용자는 각 사이트(Site)에 대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사이트(Site) 값의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adar sit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Site Information module) 120 means a module for reading and processing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radar site (Radar Site) of a specific area that requires weather analysis, the user is to each site (Site)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information on the site and to simulate the change of the site value.

상기 자료관리모듈(Storage Manage module; 130)은 본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레이더 사이트(Radar Site) 정보, Correlation, RMSE, 레이더(Radar) 자료를 고속처리하기 위하여 이를 관리하는 모듈이며, 각 분석 케이스(Case)별로 자료를 저장하고 불러오기를 통하여 자료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The storage management module 130 is a module that manages the radar site information, Correlation, RMSE, and radar data to be processed at high speed by the system. The data can be managed by storing and loading data.

상기 자료저장모듈(Memory Manage module;140)은 상술한 자료의 고속처리를 위하여 자료 중 일부는 메인메모리(Main Memory)에 저장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ata storage module 140 stores some of data in a main memory for high-speed processing of the data, and efficiently manages the data.

상기 벡터자료생성부(200;Vector Graphic module)는 본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자료는 대부분 벡터(Vector) 자료를 기반으로 처리되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전처리 벡터(PreProcesssing Vector) 자료 생성 및 관리를 수행하는 모듈이다.The vector graphic generation unit 200 is a module for generating and managing preprocessing vector data for processing the data processed in this system based on most vector data. .

또한, 상기 3차원 영상자료생성부(300;3D Lib. module)는 상기 벡터자료생성부에서 생성된 3D vector 자료를 가공하여 3차원 영상자료를 구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벡터자료 생성부에서 생성된 자료는 단순한 Vector 자료이므로, 이러한 벡터(Vector) 자료 및 레스터(Raster)자료들을 기상학, 특히 레이더(Radar) 자료의 특성에 맞추어 3D Volume 상에 자료를 실제와 같이 버츄얼(Virtual)하게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3D image data generation unit 300 (3D Lib. Module) performs a function to implement the 3D image data by processing the 3D vector data generated by the vector data generation unit. Specifically, since the data generated by the vector data generation unit is a simple vector data, these vector data and raster data can be converted into actual data on a 3D volu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y, especially radar data. It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creating virtually.

상기 영상분석부(400;Analysis module)은 상기 3차원 영상자료생성부(300)에 의해 3D Virtual Volume 상에 구현된 정보에서, 해당하는 분석을 실제 구현하는 모듈로서 정확한 Box counting이 가능하도록 영역상 위치와 box 위치에 대한 교차 충돌 감지, 레이더(Radar) 자료 표출 영역과의 충돌 감지등의 분석방법이 적용하여 분석이 수행되게 된다. 특히 Detected Point 자료를 계산하는 모듈을 구현함이 바람직하다.The image analysis unit 400 is a module that actually implements a corresponding analysis in the information implemented on the 3D virtual volume by the 3D image data generating unit 300, so that accurate box counting is possible. The analysis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cross collision detection for the position and the box position and the collision detection with the radar data display area.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a module for calculating Detected Point data.

상기 자료표시부(500; Client User Interface)는 상술한 구성에서 처리되고 분석된 최종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듈로서, 사용자 단말상에서 구현시, 서브 도메인(Sub Domain)을 마우스(Mouse)를 통하여 정의하도록 하고 이 정보는 분석 모듈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표시되는 자료는 Zoom In/Out을 통한 확대 축소가 가능하게 되며, 영역이동은 Panning 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 상에서 분석이 수행되는 지역 사이트(Site)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자료가 표출이 될 수 있으며, 상술한 고도각은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data display unit 500 is a module for providing a user with the final data processed and analyze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when implemented on a user terminal, defines a sub domain through a mouse. This information can then be provided to the analysis module. The displayed data can be enlarged and reduced by Zoom In / Out, and the area movement can be done by Panning. In particular, the site where the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system (Site) can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data can be displayed, and the above-described elevation angles can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시스템의 구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레이더 관측 밀도 분석시스템의 디렉토리의 구조를 나타내며, 이 구조의 내용을 아래의 표 1을 통하여 설명한다.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rectory of the 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in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f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through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112009017674918-PAT00001
Figure 112009017674918-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시스템이 구동되는 경우, 상술한 디렉토리 상의 data, image, map, setup 자료에서 자료를 처리한후 3차원 Virtual Voulme 내에 자료를 표출한 후 이를 가공하여 화면에 자료를 표현하게 된다. When the 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the data is processed in the data, image, map, and setup data in the above-mentioned directory, the data is displayed in the 3D Virtual Voulme, and processed to express the data on the screen. Done.

아울러 레이더(Radar) 관련된 자료는 레이더 데이터 프로세싱(Radar Data Processing)에 의해서 분석후 이를 3D Virtual Volume상에 표출이 될 수 있도록 처리가 된다. 여기에는 Correlation, RMSE 등 자료가 처리되어진다.In addition, radar-related data is processed to be displayed on 3D Virtual Volume after analysis by Radar Data Processing. This includes data such as correlation and RMSE.

레이더 사이트 정보(Site Information) 자료는 3D Virtul Volume상에 표출되는 사이트(Site)의 기본적인 정보를 처리한다. 이를 통하여 추가적인 사이트(Site) 를 넣어서 시뮬레이션(Simulation)이나 또는 Theta value를 조정하는 등의 일련의 작업을 통한 시뮬레이션(Simulation)이 가능하게 된다.The radar site information data processes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site displayed on the 3D Virtul Volume. This enables simulation through a series of tasks, such as adding additional sites and adjusting the Theta value .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시스템이 구동되는 경우, 시스템이 구동되며 읽은 자료는 종합정보처리부에서 처리 및 분석한 후 자료관리모듈(130)에서 필요시 자료저장모듈(140)로 전달하거나 필요시 Disk cash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시스템 내부에서의 필요가 발생시 자료는 즉시 처리되도록 한다. 특히 일부 자료는 빠른 처리가 필요하므로, 이러한 자료는 메인메모리나 그래픽 메모리에서 관리되도록 처리한다.When the 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the system is driven and the read data is processed and analyzed by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hen transferred from the data management module 130 to the data storage module 140 when necessary or when necessary. Disk cash is processed to ensure that the data is processed immediately when there is a need inside the system. In particular, some data needs to be processed quickly, so the data is processed in main memory or graphics memory.

특히, 벡터자료는 3D 그래픽 처리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형태로서 레스터(raster) 자료를 제외한 모든 자료는 벡터(Vector) 처리를 거치게 된다. 이를 통하여 확대 및 축소시에도 화면상에서 표출되는 자료는 항상 최상의 해상도(Quality)를 제공하게 된다.In particular, vector data is an essential form for 3D graphics processing, and all data except raster data undergo Vector processing. This ensures that the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always provides the best resolution, even when zooming in and out.

또한, 벡터(Vector) 자료 자체로서는 단순한 자료뿐이므로 이를 기상학 특히 레이더(Radar) 등의 특성에 맞는 자료형태로 재 가공하여야 하며, 이는 3차원 영상자료생성부(300)를 통해 자료를 처리한후 자료가 표출된다.In addition, since the vector data is only simple data, it must be reprocessed into a data typ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y, especially radar, etc., which is processed through the 3D image data generation unit 300 Data is displayed.

벡터(Vector) 및 레스터(Raster) 자료가 3차원 영상자료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자료는 최종적으로 3D Virtual Volume상에 구현이 된다. 이는 3D Virtual Volume상에 구현된 정보에서 현실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모듈(영상분성부)이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Map상에 자료를 표현하여야 하므로 GIS Map정보도 함께 구현한다.The vector and raster data generated by the 3D image generating unit are finally implemented on the 3D virtual volume. This provides a method that can be analyzed by the analysis module (image segmenter) in the same way as the reality in the information implemented on the 3D Virtual Volume. In addition, since data should be represented on a map, GIS map information is also implemented.

영상분석부(400)는 3D Virtual Volume에서 현실과 같은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GIS 정보상에서 구현된 정보에서 처리를 하여야 한다. 특히 Box Counting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Grid상에서 실제와 같은 영영과 선택된 영역에서의 Box 교차 충돌 감지, 레이더(Radar) 자료 표출영역과 실제 영역과의 충돌 감지등을 함께 하여야 한다. 또한 자료는 레이더(Radar)의 고도에 따른 변화 에 대응하여 실세계서와 같이 자료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Theta 값의 변화에 따른 상황도 고려하도록 하였다.The image analyzer 400 analyzes the data in the 3D Virtual Volume in the same way as in the reality. To do this, the information must be processed in the information implemented on the GIS information. In particular, in order to apply the same method as Box Counting, real-time zeroing on the grid, box crossing collision detection in the selected area, and radar data display area and collision detection with the real area must be performed together. In addition, the data can be analyzed like the real worl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radar altitude, and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ta values is also considered.

최종 분석된 특정 영역은 사용자의 화면상에 표출이 되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서브 도메인(Sub Domain)을 실세계의 도메인(Domain)과 일치하도록 계산한후 이를 활용하여 분석 모듈에서 자료가 분석이 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인터렉션(Interaction) 정보를 분석 모듈로 피드백(Feed Back)하여 준다.The final analyzed area is displayed on the user's screen. In addition, after calculating the sub domain designated by the user to match the domain of the real world, it is used to feed the user's interaction information back to the analysis module so that the data can be analyzed in the analysis module. Back)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동과정에 대한 실제 적용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driving process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기본적인 사용자 단말(PC)에서의 프로그램 실행화면을 각 기능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gram execution screen in the basic user terminal (PC) will be described for each function as follows.

도 3a는 시스템을 구동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지역(area)을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여 중국과 일본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잡아 대상영역을 확보한다. (특히 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한반도 중심, 중국 및 일본을 포함하는 1km * 1Km Grid 구현하였으며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한국기상청) 의 표준 Map Projection을 사용하였다. KMA의 표준 Map Projection 방법은 각 레이더의 자료의 격자화를 위한 지도 투영 방법으로써, Lambert Conic Conformal map Projection으로 지구 반경을 6371.00877 km로 가정하였다. 실측거리 대응위도는 북위 30, 60 °N로 설정한 것을 일례로 든다.)3A illustrates a screen when a system is driven to execute a program. We will secure the target area by catching the area with the Chinese and Japanese areas cen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1km * 1Km Grid including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China and Japan, and uses the standard map projection of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s a map projection method for the data grid, Lambert Conic Conformal map Projection assumed the earth radius of 6371.00877 km. The measured distance correspondence latitude was set to 30, 60 ° N north latitude as an example.)

도 3b는 임의의 영역을 선택한 것으로, 임의영역을 설정하는 설정박스(BOX) 를 지정하며, 이는 마우스로 영역의 설정이 가능하며, 이동이나 크기의 조정도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가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과정도 가능하며( 도 3c), 화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3d). 이러한 조작은 마우스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FIG. 3B illustrates that an arbitrary area is selected, and a setting box (BOX) for setting an arbitrary area is designated, which can be set with a mouse, and can be moved or adjusted in size. In addition, the user may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FIG. 3C), or move the screen to an arbitrary area desired by the user (FIG. 3D). This operation can be controlled via the mouse.

도 3e는 Line 지도를 표출하는 것으로, 컨트롤 옵션 박스창에서 지도의 표시 유무(On/Off)를 지정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지도를 30m의 정밀도의 Line 지도와 DEM 지도를 선택적으로 표출이 가능하다. 도 3f에서 DEM 지도로의 표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고도에 따른 색상표현이 부가적으로 설정가능하다.3E shows a line map, and it is possible to designate whether the map is displayed (on / off) in the control option box window. In this system, this map can be selectively expressed as 30m precision line map and DEM map. Figure 3f shows the appearance to the DEM map. In addition, color expression according to altitude can be additionally set.

도 3g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시스템에서는 위도 경도의 표시가 가능하며, 이 경우, Zoom 상황에 따라서 밀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3h에 서처럼, Grid 표출하는 경우, 관측지점체크(Detect Point Check) 용 그리드(Grid)를 표출하게 되며, 역시 Zoom 상황에 따라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G, the latitude and longitude can be displayed in the present system, and in this case, the densit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zoom situation.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3h, when the grid is expressed, the grid for the observation point check (Detect Point Check) will be displayed, and the density can als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zoom situation.

도 3i에서 보이는 것은 레이더의 사이트를 선택하는 선택창을 도시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표출하고자 하는 사이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3j 처럼, 필요시 임의의 사이트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필요시 임의의 지점을 선정하고 해당자료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자료는 위도, 경도를 설정하게된다. 해당 자료는 텍스트(text) 형태로 가능하며, 사이트의 추가 및 이동에 따른 사전점검도 가능하게 된다.Shown in Fig. 3i is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the site of the radar. That is,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elect a site to be displayed, and as shown in FIG. 3J, it is also possible to add an arbitrary site if necessary. This allows you to select an arbitrary point and calculate the data, if necessary, and to set the latitude and longitude. The data can be in the form of text, and preliminary checks can be made as the site is added or moved.

도 3k에 도시된 것은 본 시스템에서의 고도각을 선택하고 표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즉, 해당 사이트의 고도각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고도각에 대한 화면은 도 3l에 도시되어 있다.3k illustrates a process of selecting and expressing an elevation angle in the present system. That is, the elevation angle of the corresponding site can be easily selected, and the screen for the selected elevation angle is shown in FIG. 3L.

도 3m은 레이더의 관측자료의 중첩표시를 표출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중첩하여 표시할 관측자료를 선택하고, 관측자료는 특정 디렉토리에 보관된 내용만 표출하게 된다. 물론, 관측자료로는 KMA 사용자료이거나, 압축데이터(Compressed Binary Data), short integer, Lambert Conformal Conic, 3*3km res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3m illustrates a screen for displaying an overlapping display of observation data of a radar. Select observations to display in a nested manner, and the observations will only display the contents kept in a specific directory. Of course, observation data may be KMA user fees, or may include compressed binary data, short integers, Lambert Conformal Conic, and 3 * 3 km resolution.

특히 본 시스템에서는 CAPPI 가변고도를 표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 도 3n을 참조하면, CAPPI 고도 설정은 base는 1km, Top은 3km, 증가분(increment) 0.1km로 설정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마우스의 조절을 통해 조절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레이더 데이터(RADAR Data)의 기본적인 Display로서, 안테나 고도각을 0°~ 45°까지 18개로 나누어 스캔작업을 수행하며 1번 스캔한 자료를 DISPLAY한 기본적인 값을 PPI라고 한다. 특히, CAPPI (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란 각각의 PPI를 일정한 고도에서 평면의 값으로 계산한 값이다.)In particular, this system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the variable altitude of CAPPI. Referring to FIG. 3N, the CAPPI altitude setting shows that the base is set to 1 km, the top is 3 km, and the increment is 0.1 km, which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mouse and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As the basic display of radar data, the antenna altitude angle is divided into 18 from 0 ° to 45 ° to scan the data, and the basic value that displays the data once scanned is called PPI, especially CAPPI (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each PPI as a plane value at a constant altitude.)

도 3o에 도시된 것은 count detected points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서브도메인의 정보를 지정할 수 있으며, 일예로는 관측밀도나 평균 RMSE, 평균 correlation coefficient, 선택영역의 정보(위도/경도), 또는 사이트의 정보(이를테면, 사이트명-고도각-detected No.)등을 지정할 수 있다. 도 3p는 상술한 도 3o에서의 서브도메인의 조정 및 조정된 도메인에서의 값이 표출되는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3o shows the count detected points. The user can specify the information of the subdomain, for example, observation density, average RMSE, average correlation coefficien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area (latitude / longitude), or site information (such as site name-elevation-detected no. ) Can be specified. FIG. 3P shows the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adjustment of the subdomain in FIG. 3O and the value in the adjusted domain.

도 3q는 detected Line과 Box 충돌을 감지 및 계산하는 것으로, count point는 도시된 도면의 우측의 작은 사각박스(푸른색)로 표현된다.3q detects and calculates a detected line and a box collision, and a count point is represented by a small rectangular box (blue)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도 3r은 AWS(자동기상관측장비; automatic weather system)의 지점명을 표출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 역시 주요 AWS 지점명을 표출하고, 관측지점의 정보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는 마우스 컨트롤로 조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Figure 3r shows the display of the name of the branch of the AWS (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system; automatic weather system), which also represents the main AWS point name,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f the observation point, which can be operated by the mouse control Of course.

도 3s는 각 분석 케이스(case)별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 케이스별 작업환경을 분리하여 보관이 가능하며, 저장된 작업환경은 추후 재차 불러오거나 저장을 분류 할 수 있다. 최종 작업환경은 자동저장되어 활용이 가능하다.Figure 3s shows a process of performing management for each analysis case (cas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store the work environment for each analysis case, the stored work environment can be recalled later or classified storage. The final working environment is automatically saved and can be used.

도 3t는 본 시스템을 적용하여 서해상에서의 비관측 지역의 정보분석을 하는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측 "1"번 도면은, 관측이 가능한 지역의 강수량과 레이다에서 산출한 QPE 와의 통계식에 의한 correlation을 산출하게 되며, 좌측 "2"번도면은 관수 관측이 불가능한 지역이 레이다 정보에 의한 QPE 신뢰도가 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u는 실제 본 시스템을 적용한 3차원 가상영상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3t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system to the information analysis of the unobserved area on the West Sea. The right figure "1" calcul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cipitation of the observed area and the QPE calculated by the radar, and the left figure "2" shows the QPE reliability by the radar information where the irrigation observation is impossible. It is shown that is calculated. 3u illustrates a three-dimensional virtual image to which the present system is applied.

이러한 본 시스템의 각 기능별 적용사례를 참조하여 특정지역의 기상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analyzing weather information of a specific reg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pplication examples of each function of the present system.

(동아시아 특정지역의 기상정보 분석의 적용례)(Example of application of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alysis in specific regions of East Asia)

우선, 본 시스템에서 상술한 화면에서 동아시아 지역을 선택하여 그 지역의 지도 및 레이더 강수 관측 영상을 표출한다.물론 이러한 과정에서는 마우스 드래그 앤 드랍으로 화면의 이동이 가능하고 마우스 휠로 영상의 줌인/아웃이 가능하다. First, the system selects an East Asian region from the above-described screen and displays a map of the region and radar precipitation observation image. Of course, in this process, the screen can be moved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mouse and zooming in and out of the image using the mouse wheel. It is possible.

다음으로, 각 레이더 사이트별 정보를 표출한다. 레이더 사이트 별 정보는 사이트 위치, 높이, 반경 및 관측 각도가 파일로 변경이 가능하며, 변경 후 프로그램을 재시작하면 해당 내용이 프로그램에 적용된다. Next, information on each radar site is displayed. The radar site information can be changed to a file such as site location, height, radius, and observation angle. If the program is restarted after the change, the content is applied to the program.

이후, 레이더 관측 각도 선택하여 관측 반경 격자 지점을 표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이트를 선택하면 각 사이트 별 각도가 표출되고 표출을 원하는 각도를 선택하면 레이더 관측 반경이 표출된다. (여기서 반경은 관측지점의 고도와 레이더 고도가 고려되어 계산된 값이다. 본 시스템 상에서의 반경은 1도 간격으로 360개의 점으로 표현되며, 360개의 점으로 표현된 관측 반경은 Grid 옵션 체크 시 1km×1km 반경의 격자가 표현되는데 이 격자에 점이 포함되는지 여부의 판별 뿐 아니라 1km×1km 영역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지도 마우스 휠을 이용한 줌인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Then, the radar observation angle is selected to express the observation radius grid point. Specifically, when the site is selected, the angle for each site is expressed, and when the desired angle is selected, the radar observation radius is expressed. (The radius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altitude of the observation point and the radar altitude. In this system, the radius is expressed as 360 points in 1 degree intervals. The radius of observation represented by 360 points is 1km when the Grid option is checked. A grid with a radius of × 1km is represented, and it is possible to check not only whether the grid contains points but also where the area of the 1km × 1km area is zoomed in using the mouse wheel.)

이상과 같은 과정에따라 특정지역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동아시아 강수 분포 및 레이더 관측 격자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동아시아 레이더 관측 자료를 선택시 지도 정보 위에 중첩되어 표출된다. Grid, AWS station, DEM, Lon/Lat, Line Map 옵션을 선택시 각각의 정보가 표출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th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region can express various image information about the East Asian precipitation distribution and the radar observation grid by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selecting East Asian radar observation data, it is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map information. When selecting Grid, AWS station, DEM, Lon / Lat, Line Map option, each information is displayed.

최종적으로 레이더 관측 밀도 및 QPE 신뢰도 정보가 표출된다. 또한, 분석 영역 선택시 해당 영역의 ‘관측 밀도’, ‘평균 RMSE’, ‘평균 CORR’, ‘영역 정보’, ‘사이트 각도 별 관측점의 수’ 정보가 나타난다. 분석영역은 사용자가 임의로 위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Finally, radar observation density and QPE reliability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addition, when selecting an analysis area, information on 'observation density', 'average RMSE', 'average CORR', 'area information', and 'number of observation points per site angle' of the area are displayed. Of course, the analysis area can be changed by the user arbitrarily.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레이더 관측 자료의 공간적 관측 밀도를 분석하고 QPE 신뢰도를 산출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레이더 자료 관측 밀도 분석 표출 시스템은 사용자가 임의 영역에 대해 분석시 QPE 신뢰도와 레이더 강수 정확도인 상관계수(R2), RMSE의 비교분석을 하며, 각 관측고도면의 관측 밀도 D를 측정하여 QPE 신뢰도가 높은 관측 고도를 계산하므로써, 보다 효율적인 기상분석이 가능하게 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spatial observation density of radar observation data can be analyzed and QPE reliability can be calculated. Specifically, the radar data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expression system can be used to analyze the QPE reliability and radar precipitation accurac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2 ) and RMSE is performed, and the observation altitude D of each observation altitude is measured to calculate the observation altitude with high QPE reliability,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weather analysis.

또한, 상술한 적용례는 정량적 강수량 추정 신뢰도와 관측밀도관계를 이용하여 임의지역 또는 관측공백(바다 또는 우량계 없는 지역)에 대한 관측밀도와 추정 레이더강수 성능(R2)을 산출 및 표출하는 방식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are applied by calculating and expressing the observed density and the estimated radar precipitation performance (R2) for an arbitrary area or an empty space (the area without an ocean or rain gauge) by using the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reliability and the observation density relationship. It is also possibl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도 1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관측 밀도 분석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1A and 2B show the configuration of a 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시스템의 디렉토리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directory of th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u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시스템의 구동예를 기능별로 나타낸 작용상태도이다.3A to 3U are functional state diagrams showing a driving example of th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function.

Claims (9)

레이더 사이트의 관측지점의 기본정보 및 분석정보를 관리하는 종합정보처리부;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managing the basic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observation point of the radar site; 상기 종합정보처리부에서 처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벡터자료를 생성하는 벡터자료생성부;A vector material generation unit generating vector data based on the data processed by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상기 벡터자료생성부에서 생성된 벡터자료를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하는 3차원 영상자료 생성부;A three-dimensional image data generation unit for implement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vector material generated by the vector material generation unit; 상기 3차원 영상으로 구현된 정보를 분석하여 기상정보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부;An image analyzer for analyzing weather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implemented as the 3D image; 상기 분석된 기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자료표시부;A dat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analyzed weather information;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시스템.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종합정보처리부는,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레이더 자료의 분석과 디스플레이용 레이더 자료를 분석하는 레이더자료분석모듈;A radar data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radar data and analyzing radar data for display; 레이더 사이트의 정보를 처리하는 레이더사이트 정보처리모듈;A radar sit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radar sit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관측 밀도 분석시스템.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종합정보 처리부는,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레이더사이트의 정보의 관리를 위한 자료관리모듈;A data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information of the radar site; 레이더사이트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저장모듈;A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information of the radar site;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시스템.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종합정보처리부에서 처리 및 관리되는 정보는,Information processed and managed in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레이더 사이트 정보, 상관정보(correlarion), 예측오차(RMSE), 레이더자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시스템.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system comprising radar site information, correlation information (correlarion), prediction error (RMSE), radar data. 특정지역의 지도 및 레이더의 강수 관측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1단계;Displaying a map of a specific area and image information of precipitation observation of a radar; 상기 특정지역의 레이더 사이트별 정보를 표시하는 2단계;Displaying radar site-specific information of the specific region; 상기 레이더의 관측각도를 선택하여 관측 반경 격자지점을 표출하는 3단계;Selecting an observation angle of the radar to express an observation radius grid point; 상기 관측반경의 강수 분포 및 레이더 관측 격자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표출 하는 4단계;4 steps of expressing the precipitation distribution of the observation radius and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radar observation grid;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산출하는 5단계;5 steps of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analysis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레이더의 관측 밀도 분석방법.Observation density analysis method of the radar comprising a.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2단계는,The second step, 레이더 사이트의 위치, 높이, 반경, 관측 각도를 입력하여 정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관측 밀도 분석방법.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is adjusted by inputting the position, height, radius, observation angle of the radar site.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3단계는,The third step, 상기 관측반경 격자지점을 표출함에 있어, 관측반경을 레이더 사이트별 각도를 지정하고, 관측지점의 고도와 레이더 고도를 분석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방법.The 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displaying the lattice point of the observation radius, the observation radius is determined by specifying an angle for each radar site, and the altitude and radar altitude of the observation point are analyzed and calculated.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5단계의 분석정보는,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five steps, 특정지역에 대한 정량적강수량 추정(QPE) 신뢰도와 상관계수(R2), 예측오차(RMSE)의 비교분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방법.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QPE) reliability, correlation coefficient (R2), predictive error (RMSE) for a specific region.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5단계의 분석정보는,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five steps, 정량적 강수량 추정 신뢰도와 관측밀도관계를 이용해 임의지역 또는 관측공백에 대한 관측밀도와 추정 레이더강수 성능(R2)을 산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관측밀도 분석방법.Radar observation density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observation density and estimated radar precipitation performance (R 2 ) for any area or observation blank using the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reliability and observation density relationship.
KR1020090024879A 2009-03-24 2009-03-24 Radar observational density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the same KR101036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879A KR101036823B1 (en) 2009-03-24 2009-03-24 Radar observational density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879A KR101036823B1 (en) 2009-03-24 2009-03-24 Radar observational density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45A true KR20100106745A (en) 2010-10-04
KR101036823B1 KR101036823B1 (en) 2011-05-31

Family

ID=4312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879A KR101036823B1 (en) 2009-03-24 2009-03-24 Radar observational density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82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88B1 (en) * 2009-02-26 2011-06-09 광주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Nonpoint-Pollution Model
KR101244544B1 (en) * 2013-01-09 2013-03-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alculating quality index of sampling error for single and dual-polarization radar parameters
KR101354522B1 (en) * 2012-08-23 2014-01-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Retrival method of high resolution wind fields of multiple-doppler radar using by variational and fgat method
CN110658524A (en) * 2019-09-25 2020-01-07 安徽四创电子股份有限公司 Cloud radar echo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based on full-airspace multi-azimuth scanning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425B1 (en) 2013-06-05 2014-08-05 (주)헤르메시스 Apparatus for gridding radar data and method thereof
KR101465576B1 (en) * 2014-01-24 2014-11-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D Weather Radar Expression System using GIS and Method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88B1 (en) * 2009-02-26 2011-06-09 광주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Nonpoint-Pollution Model
KR101354522B1 (en) * 2012-08-23 2014-01-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Retrival method of high resolution wind fields of multiple-doppler radar using by variational and fgat method
KR101244544B1 (en) * 2013-01-09 2013-03-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alculating quality index of sampling error for single and dual-polarization radar parameters
CN110658524A (en) * 2019-09-25 2020-01-07 安徽四创电子股份有限公司 Cloud radar echo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based on full-airspace multi-azimuth scanning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823B1 (en)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olard et al. Spatial characterization, resolution, and volumetric change of coastal dunes using airborne LIDAR: Cape Hatteras, North Carolina
CN1918451B (en) System and method for 3-d measurement of objects from single imagery
KR101036823B1 (en) Radar observational density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the same
Wang et al. Delineating and defining the boundaries of an active landslide in the rainforest of Puerto Rico using a combination of airborne and terrestrial LIDAR data
Chmielewski et al. Estimating outdoor advertising media visibility with voxel-based approach
KR20120027633A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rainfall and water level in dam
Meng Raster data projection transformation based-on Kriging interpolation approximate grid algorithm
CN115631423A (en) Remote sensing satellite coverage prediction method considering meteorological prediction cloud picture and sensor measurement pendulum
CN117109524A (en) Geological disaster unmanned plane airborne radar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Pakoksung et al. Assessment and comparis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DEM) products in varying topographic, land cover regions and its attribute: a case study in Shikoku Island Japan
Rau et al. Semi-automatic shallow landslide detection by the integration of airborne imagery and laser scanning data
Olsen et al. Real-time change and damage detection of landslides and other earth movements threatening public infrastructure
JP5362493B2 (en) Radar signal processing device
Sandford Correcting for wind drift in high resolution radar rainfall products: A feasibility study
KR101994200B1 (en) 3D visualization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and mehod of rainfall radar data
Zus et al.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the IPM MM5 GPS slant path 4DVAR system
Raupach et al. Spatial interpolation of experimental raindrop size distribution spectra
Campins et al. Influence of targeted observations on short-term forecasts of high-impact weather events in the Mediterranean
Lojou et al. 2.4 ON THE REPRESENTATION OF TWO-AND THREE-DIMENSIONAL TOTAL LIGHTNING INFORMATION
Harrison et al. NSW Beach Photogrammetry: a new online database and toolbox
CN115018973A (en) Low-altitude unmanned-machine point cloud modeling precision target-free evaluation method
CN104424515A (en) Novel BeiDou technology and GIS technology-based tour group real-time management system
Aune Sun glare detection and visualization
Wieczorek et al. Modelling and computer animation of geodetic field work
Miller et al. Engineering geomorphological m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