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740A -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740A
KR20100106740A KR1020090024862A KR20090024862A KR20100106740A KR 20100106740 A KR20100106740 A KR 20100106740A KR 1020090024862 A KR1020090024862 A KR 1020090024862A KR 20090024862 A KR20090024862 A KR 20090024862A KR 20100106740 A KR20100106740 A KR 20100106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information
standard
mai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한
양석훈
유병우
김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지주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지주,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지주
Priority to KR102009002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6740A/ko
Publication of KR2010010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60

Abstract

본 발명은 대량으로 우편물을 발송하는 대량발송업체의 주소 DB에 포함된 고객 주소들을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량발송업체에서 발송하고자 하는 우편물의 주소를 표기하기 위해 대량발송업체의 고객 주소 DB 또는 고객 주소 자체를 읽어 해석하고, 해석된 주소와 계층적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주소별 매칭한 후 매칭된 주소를 표준화 주소로 변환한 표준화 주소와 우편번호 바코드보다 더 세분화된 주소 정보까지 포함되어 있는 주소코드(DPC)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배달그룹 및 배달순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생성하여 표준 주소 정보, DPC 정보 및 순로정보와 배달그룹 정보를 대량발송업체로 제공하여 대량발송업체가 자체적으로 우편물을 인쇄, 제작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우편물 제작까지 요청한 경우에는 우편물 인쇄부, 바코드 인쇄부 및 우편물 제작부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하여 대량발송업체로 제공할 수도 있다.
우편물, 표준 주소, 대량발송, 주소 표기

Description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O CHANGING ADDRESS OF MAIL INTO STANDARD ADDRESS}
본 발명은 우편물 주소 표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대량으로 우편물을 발송하는 대량발송업체의 주소 DB를 표준 주소 DB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우편물 자동화는 우편물에 표기된 우편번호에 의한 자동 구분이었으며, 자동 구분율을 높이기 위하여 우체국에서는 대량으로 우편물을 발송하는 업체에서 표준화된 우편번호 규격을 지킬 경우 보상차원으로 할인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우편물을 자동 구분하기 위해 우편물의 주소를 인식하고, 인식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우편물의 순로를 자동으로 구분하는 순로 구분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순로 구분기는 우편번호만이 아닌 문자로 적은 주소 자체를 인식하여 분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순로 구분기를 통해 우편물을 구분함으로써 좀 더 세분화된 구분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주소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지 않아 주소 인식을 통한 구 분률은 대량발송업체에 따라 상당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는 주소의 표준화에 따른 보상할인은 아직 적용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향후 자동화 구분율을 높이기 위해서 대량으로 우편물을 발송하는 업체에서 주소 표준화를 지킬 경우 보상할인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량발송업체에서 대량 우편물 발송 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우편물에 대한 주소를 표기할 시 자동화 구분기에 맞는 주소의 표준화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대량발송업체에서 주소 정제 시 행정구역, 도로명, 번지 등과 같은 주소 항목들 중 특히 도로명 주소를 표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인력과 시간이 들게 되어 도로명 주소 표기에 따른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안도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우편물 구분 시 구분 오류를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고, 이에 따라 주소 인식뿐 아니라 우편번호 바코드도 이용하여 우편물 구분을 하고 있다.
하지만, 우편번호 바코드는 행정구역 및 주배달점(번지)까지의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뿐, 상세배달점에 대한 정보는 가지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상세배달점에 대한 정보까지 포함되어 있는 코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량발송업체에서 대량 우편물을 발송하고자 할 시 우편물에 대한 주소의 표준화 작업을 하기 위한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발송처의 주소 정제 시 행정구역, 도로명, 번지 등과 같은 주소 항목들 중 특히 도로명 주소 변환에 따른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편번호 바코드보다 더 세분화된 주소 정보까지 포함되어 있는 코드를 이용하여 주소 인식을 할 수 있도록 주소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고객 주소를 저장하는 고객 주소 데이터베이스(DB)와, 계층적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표준 주소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상기 고객 주소 DB로부터 고객 주소 읽어 해석하고, 해석된 주소와 상기 표준 주소 정보 DB에 저장된 계층적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주소별 매칭한 후 매칭된 주소를 표준화 주소로 변환하는 표준 주소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상기 표준화된 주소에 대응 되는 주소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주소 코드는 행정구역, 번지, 도로명, 주배달점, 상세배달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상기 고객 주소 DB로부터 고객 주소를 읽어 해석하는 주소 해석부와, 해석된 주소와 상기 표준 주소 정보 DB에 저장된 계층적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주소별 매칭하는 주소 매칭부와, 상기 매칭된 주소를 표준화 주소로 변환하는 주소 표준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표준 주소 정보 DB가 우정 본부의 DB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상기 주소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주소의 도로명이 필요한 경우 상기 표준 주소 정보 DB에서 상기 매칭된 주소에 대응하는 해당 도로명을 찾아 변환하는 도로명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상기 표준화된 주소를 이용하여 주소코드를 생성하는 주소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상기 주소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주소의 변경된 주소 정보가 있는지 검사하고, 만약 변경된 주소 정보가 있을 경우 주소를 변경하는 주소 현황 반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생성된 주소코드와 상기 표준화된 주소를 주소 라벨로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된 주소라벨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하는 우편물 제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우편물을 배달하는 순로정보와 배달그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순로정보/배달그룹 정보 제공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우편물 제작부는, 우편물 제작 시 표준화 주소와 함께 상기 순로정보와 배달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배달그룹, 순로에 따라 미리 선구분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발송업체에서 발송하고자 하는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대량발송업체에서 우편물을 발송하고자 하는 고객의 주소 DB 또는 고객 주소 자체를 읽어 해석하는 과정과, 상기 해석된 주소와 계층적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주소별 매칭하는 과정과, 상기 매칭된 주소를 표준화 주소로 변환하여 대량발송업체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우편물을 배달하는 순로정보와 배달그룹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대량발송업체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표준화 주소 변환 과정 수행 후, 상기 표준화된 주소에 대응되는 주소코드를 확인하여 변환하 여 상기 대량발송업체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표준화된 주소와 함께 상기 생성된 주소코드 및 순로정보와 배달그룹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주소코드는, 4 상태(State)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매칭된 주소의 도로명이 필요한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만약 매칭된 주소의 도로명이 필요한 경우 상기 표준 주소 정보 DB에서 상기 매칭된 주소에 대응하는 해당 도로명을 찾아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표준화된 주소를 이용하여 주소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매칭된 주소의 변경된 주소 정보가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만약 변경된 주소 정보가 있을 경우 주소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상기 우편물 제작 과정 전에, 상기 생성된 주소코드와 상기 표준화된 주소를 주소라벨로 인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편물 제작부 과정은 상기 인쇄된 주소라벨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후 우편번호 체계에서 주소 코드체계로의 변경 또는 우편번호 할인에서 주소코드 할인을 시행하게 될 시 본 발명에 따른 주소 변 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소코드(DPC)를 생성하여 주소정보에 포함하게 되면, 대량발송업체에서는 할인을 많이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추후 주소 표준화에 대한 할인을 시행하게 될 시 대량발송업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준 주소로 변환하게 되면 주소 표준화에 따른 할인 혜택을 많이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 비해 주소 표준화 및 도로명 표기 시 필요했던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소 상태도 확인하여 과거주소, 현재주소, 잘못된 주소 판별 및 반송 우편물 판별과 같은 통계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우편물 자동 구분기의 구분률을 향상시켜 비용 및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량으로 우편물을 발송하는 대량발송업체의 주소 DB를 표준 주소 DB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표준 주소 변환기(100), 대량발송업체 주소 DB(Database)(101), 표준 주소 정보 DB(200), 바코드 인쇄부(108), 우편물 인쇄부(109), 우편물 제작부(111), 표준 주소 정보 우편물 DB(112)를 포함한다. 이때, 표준 주소 정보 DB(200)는 우정 본부의 DB 등이 될 수 있고, 표준 주소 정보 우편물 DB(112)는 우정 본부의 우편물 DB가 될 수 있다.
먼저, 대량발송업체 주소 DB(101)는 복수의 고객 주소를 저장하는 고객 주소 데이터베이스로서, 우편물을 발송하고자 하는 수신처 즉, 고객의 이름과 주소가 저장된다. 이러한 고객 주소 데이터는 우편물을 발송하고자 하는 대량발송업체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대량발송업체 주소 DB를 구축할 수도 있고, 별도로 DB를 구비하지 않고 대량발송업체의 주소 DB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표준 주소 정보 데이터베이스(DB)(200)는 계층적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DB로서, 행정명칭, 번지(주 배달점), 단지명과 동 및 호(상세 배달점)에 대한 표준주소와 각각에 대한 동의어들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준행정명칭 중 “서울특별시”는 동의어로 “서울”, “서울시”등이 있을 수 있고, 이와 같이 표준 주소 정보 DB(200)에는 표준행정명칭에 대응되는 동의어들이 매칭되어 저장되고, 표준번지에 대응되는 동의어들이 매칭되어 저장되고, 표준단지명과 동과 호에 대응되는 동의어들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표준 주소 변환기(100)는 대량발송업체 고객 주소 DB(101)로부터 고객 주소 읽어 해석하고, 해석된 주소와 표준 주소 정보 DB(200)에 저장된 계층적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주소별 매칭한 후 매칭된 주소를 표준화 주소로 변환한다.
또한, 표준 주소 변환기(100)는 표준화된 주소에 대응되는 주소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주소코드는, 4 상태(State) 바코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표준 주소 변환기(100)는 주소 해석부(103), 주소 매칭부(104), 주소 표준화부(110), 도로명 변환부(105), 주소 코드 생성부(106), 주소 현황 반영부(107)를 포함한다.
주소 해석부(103)는 대량발송업체 주소 DB(101)로부터 고객 주소를 읽어 해석하는 구성으로, 대량발송업체 주소 DB(101)의 각 주소를 해석 처리한다. 즉, 주소 해석부(103)가 여러 대량발송업체와의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DB, XLS, CSV, TXT 등과 같은 다양한 포맷, 테이블 구조, MSSQL, ORACLE, MYSQL. MDB등과 같은 DB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주소 매칭부(104)는 주소 해석부(103)을 통해 해석된 주소와 표준 주소 정보 DB(200)에 저장된 계층적 주소 정보를 비교하여 주소별 매칭한다.
주소 표준화부(110)는 주소 매칭부(104)를 통해 매칭된 주소를 표준화 주소로 변환한다. 이러한 주소 표준화부(110)의 내부 구성은 도 2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소 표준화부(110)는 행정구역 표준화부(10), 도로명 표 준화부(20), 번지 표준화부(30), 주배달점명 표준화부(40), 상세배달점 표준화부(50)를 포함한다.
행정구역 표준화부(10)는 매칭된 주소의 행정구역을 표준행정구역으로 변환한다.
도로명 표준화부(20)는 매칭된 주소의 도로명을 표준도로명으로 변환한다.
번지 표준화부(30)는 매칭된 주소의 번지를 표준번지로 변환한다.
주배달점명 표준화부(40)는 매칭된 주소의 주배달점명을 표준 주배달점명으로 변환한다. 이때, 주배달점명은 “xx빌딩, xx아파트, xx빌라”와 같은 주소이다.
상세배달점 표준화부(50)는 매칭된 주소의 상세배달점명을 표준 상세배달점명으로 변환한다. 이때, 상세배달점은 “305동 101호”와 같은 주소이다.
상기와 같이 주소 표준화부(110)에서는 주소를 표준화된 주소로 변경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도로명 변환부(105)는 주소 매칭부(104)를 통해 매칭된 주소의 도로명이 필요한 경우 표준 주소 정보 DB(200)에서 상기 매칭된 주소에 대응하는 해당 도로명을 찾아 변환한다.
주소코드 생성부(106)는 매칭된 주소의 주소코드가 필요한 경우 표준화된 주소를 이용하여 주소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매칭된 주소의 주소코드의 필요 여부는 초기 설정 시 우편물 제작 시 주소코드도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에 따른다. 또한 여기서 주소코드는 행정구역, 번지, 도로명, 주배달점, 상세배달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코드이다. 따라서 각각의 수신처들이 서로 다른 번호의 주소 코드를 가지게 된다.
주소 현황 반영부(107)는 주소 매칭부(104)를 통해 매칭된 주소를 확인하여 해당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주소인지, 과거에 사용했던 주소인지 등을 확인한다. 또한 주소와 수취인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주소의 수취인이 이사 등으로 인하여 배달주소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 수취인의 변경 주소를 제공 또는 변환한다.
이를 위해 주소 현황 반영부(107)는 외부의 개인별 주소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와 같이 수취인에 대한 주소 현황을 반영할 수도 있고, 이러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여 가지고 있어 수취인에 대한 주소 현황을 반영할 수도 있다.
순로정보/배달그룹 정보 제공부(113)는 우편물을 배달하는 순서(순로)정보와 배달그룹(집배구,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만약, 대량발송업체에서 자체 인쇄, 제작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의 표준 주소 변환기(100)에서 제공되는 정보만을 제공하면 된다.
하지만, 대량발송업체에서 자체 인쇄 및 자체 제작을 못할 경우에는 표준 주소 변환기(100)에서 제공되는 순로정보와 배달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우편물 인쇄부(109) 및 우편물 제작부(111)를 통해 미리 배달그룹, 순서에 따라 미리 선구분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의 표준 주소 변화기(100)에서 생성된 표준 주소 정보, DPC 정보 및 순로정보와 배달그룹 정보를 대량발송업체로 제공할 수 있고, 대량발송업체는 자체 인쇄, 제작 가능한 경우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한다거나 다른 제작업 체를 통해 우편물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만약 대량발송업체에서 자체 제작이 불가능하여 우편물 제작까지 요청한 경우에는 하기의 우편물 인쇄부(109), 바코드 인쇄부(108) 및 우편물 제작부(111)에서 상기 표준 주소 변화기(100)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우편물 인쇄부(109)는 표준화된 주소를 주소라벨로 인쇄하고, 바코드 인쇄부(108)는 생성된 주소코드를 주소라벨로 인쇄한다.
우편물 제작부(111)는 인쇄된 주소라벨과 주소코드라벨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한다. 이때, 설정에 따라 만약 주소 코드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주소라벨만을 가지고 우편물을 제작할 수도 있다. 반대로 텍스트로 기재된 주소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주소코드라벨만 가지고 우편물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우편물은 표준 주소 정보 우편물 DB(112)로 제공된다.
한편, 표준 주소 정보 우편물 DB(112)의 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우편물이 현재 진행상태를 추적하여 의뢰한 대량발송업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준 주소 정보 우편물 DB(112)의 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우편물이 반송이 되었을 시 반송 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한 표준 주소 변환기(100)를 통해 주소가 변환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대량발송업체 주소 DB(101)에 우편물을 발송할 고객 주소가 저장되어 있고, 이들 중 300과 같은 “서울 노원 상계 주공 101동 101 호”를 표준 주소 변환기(100)를 통해 주소를 변화시키면 302와 같이 된다.
302를 참조하면, “서울”은 “서울 특별시”로, “노원”은 “노원구”로, “상계”는 “상계 8동”으로 없던 번지정보는 추가되어 “321-10번지”로 “주공 101동 101호”는 “주공 1단지 아파트 101동 101호”로 표준화 주소로 변경됨이 도시된다. 또한 DPC(Destination Point Code: 배달점코드) 정보 즉 주소 코드가 “139300001”로 생성되고, 이 주소 코드는 상기의 변환된 표준 주소를 코드화한 것으로 추후 순로 구분기에서 주소별 구분 시 사용될 코드이다.
그리고 DPC 정보 하단에는 주소 현황 반영부(107)를 통해 확인된 수취인의 현재 주소 상태가 표시된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현재 주소 상태가 변경되지 않아 “상태: 과거주소”라고 도시되어 있다.
또한 표준 주소 변환기(100)는 대량발송업체 주소를 표준화 변환 및 주소코드 생성 시 표준 주소 정보 서버(310)의 DB에 저장된 계층적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변환 및 생성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표준 주소 정보 서버(310)와의 연결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는 표준 주소 정보 서버(310)에 별도로 접속하지 않고, 표준 주소 변환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 후, 별도 접속없이 변환 및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제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대량발송업체에서 발송하고자 하는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고, 이와 같이 변환된 표준 주소 및 주소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하는 동작 흐름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400단계에서 대량발송업체에서 우편물을 발송하고자 하는 고객의 주소 DB 또는 고객 주소 자체를 읽어 해석하고, 해석된 주소와 계층적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주소별 매칭한다.
402단계에서 매칭된 행정구역, 도로명, 번지, 주배달점, 상세배달점을 포함하는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표준화 작업을 수행한 후 404단계로 진행하여 매칭된 주소 도로명이 필요한 지를 검사한다.
만약, 매칭된 주소 도로명이 필요하면 406단계로 진행하여 도로명을 찾아 변환한 후 4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408단계로 진행한다.
408단계에서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주소코드가 필요한지 검사한 후 주소코드가 필요하면 410단계로 진행하여 표준화된 주소를 이용하여 주소코드를 생성하여 변환한 후 4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412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주소코드는 상기 도 1의 주소코드 생성부(10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행정구역, 번지, 도로명, 주배달점, 상세배달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코드이다.
412단계에서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매칭된 주소의 변경된 주소 정보가 있는지 검사한 후, 414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주소 정보가 있으면 주소를 변경한 후 41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로 416단계로 진행한다.
416단계와 418단계를 통해 우편물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생성된 주소코드와 표준화된 주소를 주소라벨로 인쇄한 후 420단계에서 인쇄된 주소라벨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한다.
도 4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420단계에서 우편물 제작 시 우편물을 배달하는 순로정보와 배달그룹에 따라 미리 선구분하여 제작하기 위한 설정이 있으면, 표준화 주소와 함께 순로정보와 배달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배달그룹, 순로에 따라 미리 선구분하여 제작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대량발송업체에서 자체 제작을 못할 경우에는 상기의 416단계 내지 420단계를 통해 인쇄 및 제작까지 해서 대량발송업체로 제작된 우편물을 제공한다. 하지만, 대량발송업체에서 자체 제작이 가능하거나 다른 업체를 통해 우편물을 제작하고자 할 시 즉, 대량발송업체에서 표준주소 정보 및 배달그룹 및 배달순로 정보만이 필요한 경우에는 414단계까지만 수행하여 생성된 표준주소 정보 및 배달그룹 및 배달순로 정보를 대량발송업체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주소 표기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소 표준화부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량발송업체 주소의 표준화, 주소코드추출 및 주소현황을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량발송업체에서 발송하고자 하는 우편물의 주소의 표준화와 주소코드 생성 및 이를 이용한 우편물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대량발송업체 주소 DB 102: 인터넷망
103: 주소 해석부 104: 주소 매칭부
110: 주소 표준화부 105: 도로명 변환부
106: 주소코드 생성부 107: 주소 현황 반영부
108: 바코드 인쇄부 109: 우편물 인쇄부
111: 우편물 제작부 112: 표준 주소 정보 우편물 DB

Claims (19)

  1.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고객 주소를 저장하는 고객 주소 데이터베이스(DB)와,
    계층적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표준 주소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상기 고객 주소 DB로부터 고객 주소 읽어 해석하고, 해석된 주소와 상기 표준 주소 정보 DB에 저장된 계층적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주소별 매칭한 후 매칭된 주소를 표준화 주소로 변환하는 표준 주소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상기 표준화된 주소에 대응되는 주소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코드는, 행정구역, 번지, 도로명, 주배달점, 상세배달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상기 고객 주소 DB로부터 고객 주소를 읽어 해석하는 주소 해석부와,
    해석된 주소와 상기 표준 주소 정보 DB에 저장된 계층적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주소별 매칭하는 주소 매칭부와,
    상기 매칭된 주소를 표준화 주소로 변환하는 주소 표준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상기 주소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주소의 도로명이 필요한 경우 상기 표준 주소 정보 DB에서 상기 매칭된 주소에 대응하는 해당 도로명을 찾아 변환하는 도로명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상기 표준화된 주소를 이용하여 주소코드를 생성하는 주소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상기 주소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주소의 변경된 주소 정보가 있는지 검사하고, 만약 변경된 주소 정보가 있을 경우 주소를 변경하는 주소 현황 반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주소코드와 상기 표준화된 주소를 주소라벨로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된 주소라벨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하는 우편물 제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주소 변환기는,
    우편물을 배달하는 순로정보와 배달그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순로정보/배달그룹 정보 제공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제작부는,
    우편물 제작 시 표준화 주소와 함께 상기 순로정보와 배달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배달그룹, 순로에 따라 미리 선구분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대량발송업체에서 발송하고자 하는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대량발송업체에서 우편물을 발송하고자 하는 고객의 주소를 읽어 해석하는 과정과,
    상기 해석된 주소와 계층적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주소별 매칭하는 과정과,
    상기 매칭된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여 상기 대량발송업체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우편물을 배달하는 순로정보와 배달그룹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대량발송업체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 주소 제공 과정 수행 후,
    상기 표준화된 주소에 대응되는 주소코드를 확인하여 변환하여 상기 대량발송업체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주소와 함께 상기 생성된 주소코드 및 순로정보와 배달그룹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코드는, 행정구역, 번지, 도로명, 주배달점, 상세배달점의 정보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주소의 도로명이 필요한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만약 매칭된 주소의 도로명이 필요한 경우 상기 표준 주소 정보 DB에서 상기 매칭된 주소에 대응하는 해당 도로명을 찾아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주소를 이용하여 주소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주소의 변경된 주소 정보가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만약 변경된 주소 정보가 있을 경우 주소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제작 과정 전에, 상기 생성된 주소코드와 상기 표준화된 주소를 주소라벨로 인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편물 제작 과정은 상기 인쇄된 주소라벨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제작하 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변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90024862A 2009-03-24 2009-03-24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20100106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862A KR20100106740A (ko) 2009-03-24 2009-03-24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862A KR20100106740A (ko) 2009-03-24 2009-03-24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40A true KR20100106740A (ko) 2010-10-04

Family

ID=4312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862A KR20100106740A (ko) 2009-03-24 2009-03-24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67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836B1 (ko) * 2010-11-03 2011-03-28 주식회사 짚코드 도로명 주소체계 적용에 따른 주소정보 변경에 관한 사용자 동의 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492569B1 (ko) * 2013-11-29 2015-02-11 최규섭 이중화 코드가 구비된 택배 운송장
KR20160115028A (ko) *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배송 순서 결정 방법 및 배송 순서 결정 시스템
KR101674640B1 (ko) * 2015-11-05 2016-11-2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우편물 자동 기표지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08787A (ko) * 2019-07-15 2021-01-25 쿠팡 주식회사 주소 수정을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836B1 (ko) * 2010-11-03 2011-03-28 주식회사 짚코드 도로명 주소체계 적용에 따른 주소정보 변경에 관한 사용자 동의 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492569B1 (ko) * 2013-11-29 2015-02-11 최규섭 이중화 코드가 구비된 택배 운송장
KR20160115028A (ko) *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배송 순서 결정 방법 및 배송 순서 결정 시스템
KR101674640B1 (ko) * 2015-11-05 2016-11-2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우편물 자동 기표지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08787A (ko) * 2019-07-15 2021-01-25 쿠팡 주식회사 주소 수정을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0320A (ko) * 2019-07-15 2022-02-18 쿠팡 주식회사 주소 수정을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US11328249B2 (en) 2019-07-15 2022-05-10 Coupang Corp. Computerized systems and methods for address corr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9038B1 (en) Block analyser
US6549892B1 (en) System for delivering mail
US67910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reducing the amount of return to sender mailpieces
US20020147731A1 (en) Method of updating an addressee database in a mail sorting apparatus
US200301149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return to sender mailpieces, notifying sender of addressee changes and charging sender for processing of return to sender mailpieces
EP1671708A2 (en) Method for enhancing mail piece processing system
JP2004527042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00106740A (ko) 우편물의 주소를 표준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CN1158146C (zh) 利用记录所得的地址记录更新地址数据库的设备和方法
CN111804599A (zh) 物流包裹的自动分拣派送系统
US7739200B2 (en) Method of electronically consolidating mail items
US200902877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un time directories for address services on a mail processing system
US6740835B2 (en) Method of outsorting return to sender mail using an incoming mail sorting apparatus
US20060173797A1 (en) Method for tracking mail piece data
US20160228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chine-Readable Final Destination Information on Mail
KR102205637B1 (ko) 주소 약칭 운송장
KR100336719B1 (ko) 우편물 배달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075987A1 (en) Method for captur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09067B2 (en) System for managing documents without printed mark recognition
KR20210114128A (ko) 물류 서비스 자동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72482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stic matching of objects and events which are not uniquely identified
US20050267821A1 (en) Address validation mode switch
KR200353215Y1 (ko) 배송분류정보를 생성하는 운송장
CN110738449B (zh) 仓储业务中获取标贴的方法和装置及仓储业务实现方法
KR200343603Y1 (ko) 배송분류정보 장치, 그에 따른 운송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