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825A -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 Google Patents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825A
KR20100104825A KR1020090023478A KR20090023478A KR20100104825A KR 20100104825 A KR20100104825 A KR 20100104825A KR 1020090023478 A KR1020090023478 A KR 1020090023478A KR 20090023478 A KR20090023478 A KR 20090023478A KR 20100104825 A KR20100104825 A KR 20100104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ant magnetoresistive
signal
amplifier
pull
ampl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만휴
김영묵
길도현
강구삼
김정률
이충완
양지혜
강문숙
김만중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4825A/ko
Priority to CN2010800125721A priority patent/CN102356545A/zh
Priority to US13/257,122 priority patent/US20120086448A1/en
Priority to PCT/KR2010/001706 priority patent/WO2010107273A2/en
Priority to EP10753723A priority patent/EP2409402A4/en
Publication of KR20100104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9Magnetoresis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회로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거대 자기 저항 센서로부터 공급된 양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 및 음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풀-업 다운시키는 풀-업 다운부와, 상기 풀-업 다운시킨 양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 및 음극성 자기 저항 신호의 전압차를 거대 자기 저항 센서 특성에 따라 증폭하여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증폭부를 포함하는 거대 자기 저항 증폭부와, 상기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의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부와, 상기 거대 자기 저항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증폭 신호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적절한 범위의 기준 전압을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변환부와, 상기 다수의 증폭부 각각에 입력되는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수십 내지 수백 배 이득 조절하도록 상기 다수의 증폭부 각각과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이득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대 자기 저항 센서, 증폭 구동부, 바이오 센서

Description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AMPLIFYING DRIVE USING GIANT MAGNETO RESISTANCE}
본 발명은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노령화 사회로의 진입 및 건강한 삶에 대한 욕망의 증가는 휴대용 건강 진단 시스템 (Health Care System) 시장을 확장 시키며 각종 생리활성 물질 및 화학 물질을 분석, 측정, 진단, 검색해 낼 수 있는 바이오 센서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 센서는 분자간의 선택적 반응을 이용하므로 다른 물질에 의한 간섭을 줄이고, 측정대상 물질을 고감도로 구별해 낼 수 있어야 하며, 생산 단가를 낮추어 대량생산도 가능하고, 감응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원하는 곳 어디에서나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바이오 센서 개발 연구는 특정 생리활성 물질의 농도를 정량 하거나 분석하는 도구로서 다양한 연구 개발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이미 혈당측정기, 혈액이온성분 분석기, 생체시료 연구용 기기 등과 같이 의료 및 환경 산업 분야에 사용 될 수 있는 휴대용 측정기와 연구 목적의 자동화 분 석 기기 형태로 관련 시장이 형성되어 있고, 임상 및 의료용 진단과 식품 위생, 농업, 정밀화학 분야 등에 걸쳐 광범위한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간의 유전정보 규명, 질병 진단, 예방 의학, 그리고 신약 후보 물질의 대량 검색 수단으로서 DNA 칩, 단백질 칩과 같은 바이오 칩 기술이 급속히 발전되고 있기 때문에 바이오 센서의 기능 또한 단순한 분석 수단을 뛰어 넘어 진단과 대량 검색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바이오 센서는 물질을 감지하기 위해 자기 저항 센서(Magneto resistance, Hall 센서)를 이용한 자성입자 검출 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자성 입자 검출 장치는 교류 전류 및 직류 전원의 복합적인 전원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자기 저항 센서 중 민감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강력한 자계를 인가하여 센서를 구동해야 한다. 그리고 교류 파형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 노이즈에 민감한 측면이 있으며, 기준 전압을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변환시켜야하는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기 저항 센서(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하여 복잡한 시스템 장비를 구성해야 하며, 외부 노이즈에 민감하고, 많은 전력이 필요함으로 비용 면에서 큰 약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위하여, 본 발명은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회로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로부터 공급된 양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 및 음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풀-업 다운시키는 풀-업 다운부와, 상기 풀-업 다운시킨 양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 및 음극성 자기 저항 신호의 전압차를 거대 자기 저항 센서 특성에 따라 증폭하여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증폭부를 포함하는 거대 자기 저항 증폭부와, 상기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의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부와, 상기 거대 자기 저항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증폭 신호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적절한 범위의 기준 전압을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변환부와, 상기 다수의 증폭부 각각에 입력되는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수십 내지 수백 배 이득 조절하도록 상기 다수의 증폭부 각각과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이득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풀-업 다운부는 상기 거대 자기 저항 센서로부터 공급된 양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풀-업 다운시키는 제1 풀-업 다운부와, 상기 거대 자기 저항 센서로부터 공급된 음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풀-업 다운시키는 제2 풀-업 다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풀-업 다운부 각각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대 자기 저항 증폭부는 상기 풀-업 다운시킨 양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 및 음극성 자기 저항 신호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제1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생성하는 인스트로먼트 증폭부와, 상기 인스트로먼트 증폭부로부터 제1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부와, 상기 제2 증폭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2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증폭하는 제3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득 변환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의 크기는 상기 인스트로먼트 증폭부, 상기 제2 증폭부, 상기 제3 증폭부의 특성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 변환부는 전압 노이즈 및 레벨에 적합한 수십Ω ~ 수㏀ 범위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스트로먼트 증폭부, 제2 증폭부, 제3 증폭부는 임피던스 정도가 향상된 저전압 구동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스트로먼트 증폭부, 상기 제2 증폭부, 상기 제3 증폭부 각각에는 증폭된 신호를 완충시킬 수 있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폭 구동부는 자기 저항 센서 중 가장 우수한 자기 저항 비율(MR Ratio) 및 민감도를 가지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자 성 입자를 검출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동시 직류 전원 전압만 이용하기 때문에 자기 저항 센서에 비해서 간단한 장비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적은 전력을 이용함으로 비용 면에서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이오 센서는 특정한 물질에 대한 인식기능을 갖는 생물학적 수용체가 전기 또는 광학적 변환기(transducer)와 결합되어 생물학적 상호작용 및 인식반응을 전기적 또는 광학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소자이다. 이와 같이 물질을 감지하기 위해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거대 자기 저항 소자, 스위칭 소자 및 자성 물질로 구성되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Giant Magneto Resistance;이하 GMR)를 바이오 센서에 다수개에 배치되어 각각 다른 특성을 띠는 물질의 성분에 따라 각각 상이한 자화율을 센싱하여, 주변 물질의 전기적 성분을 분석한다.
이때, GMR 센서는 스핀 밸브 타입(Spin-valve type)의 GMR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스핀 밸브 타입의 GMR 소자의 센싱 원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강자성체 금속층 사이에 비자성 금속층이 사이에 위치한다. 두 개의 강자성체 금속층 중 어느 한층의 자력은 고정되어 있고 두 개의 강자성체 금속층 중 다른 한층의 자력은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두 층의 자력이 평행할 경우 오직 특정 방향으로 스핀이 배향된 전자만이 도체를 통하과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두 강자서층의 자화 방향의 정렬에 따라 재료 내부에서 유되는 전기 저항의 차이 또는 전위차가 발생하고 이것을 디지털 신호로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스핀 밸브 타입의 GMR 소자를 이용한 측정 키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측정 키트 내에 바이오 센서용 스핀 밸브 타입의 GMR 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치하여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GMR 소자는 0.3mm, 0.5mm, 1.0mm 또는 0.25mm, 1.0mm, 1.5mm의 체적을 갖는 규격으로 포화 영역(Saturation field)이 3~150Gauss이고, 감도는 0.9~18mV/V-0e되는 것을 이용하기로 한다.
GMR 소자 자체 인터페이스는 휘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를 사용하여 전원 공급하며, 전원 전압은 5V를 인가하였고, 센싱 엘리먼트는 약 5㏀ 정도로 측정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다시 말하여, 사용된 GMR 소자의 저항 대 자장 곡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로 영역에서 거의 대칭이며, 자장 방향의 신호는 측정되지 않는다. GMR 소자의 저항은 양 또는 음의 적용 자장에 반응하여 거의 동일한 량으로 감소한다. 이와 같은 그래프의 특성을 가지는 GMR 소자의 정확한 신호 검출을 위해 GMR 소자의 신호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거대 자기 저항(Giant Magneto-Resistance;이하 GMR) 증폭 구동부(110)를 통해 신호를 검출한다.
GMR 증폭 구동부(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업 다운부(112), 제1 이득 변환부(114),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 레퍼런스 변환 부(118), 제2 증폭부(120), 제2 이득 변환부(122), 저역 통과 필터부(124), 제3 증폭부(126)를 포함한다. 이때, 도 5에 표시된 S-는 음극성 전원 전압이며, S+는 양극성 전원 전압이며, O+는 양극성 GMR 신호이며, O-는 음극성 GMR 신호이다.
풀-업 다운부(112)는 영극성 GMR 신호(O+)를 풀-업 다운시키기 위해 제1 풀-업 다운부와, 음극성 GMR 신호(O-)를 풀-업 다운시키기 위해 제2 풀-업 다운부를 포함한다. 즉, 풀-업 다운부(112)는 양극성 GMR 신호(O+) 및 음극성 GMR 신호(O-)의 노이즈를 감쇄시키며, 기준 전압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제1 풀-업 다운부는 직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저항(R1,R2)과, 제1 및 제2 저항(R1,R2)과 병렬로 연결된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한다. 제2 풀-업 다운부는 직렬로 연결된 제3 및 제4 저항(R3,R4)과, 제3 및 제4 저항(R3,R4)과 병렬로 연결된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제1 풀-업 다운부는 GMR 소자로부터 공급된 양극성 GMR 신호(O+)를 풀-업 다운시킨 후, 풀-업 다운시킨 양극성 GMR 신호(O+)를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의 양극성 입력 단자로 공급된다.
제2 풀-업 다운부는 GMR 소자로부터 공급된 음극성 GMR 신호(O-)를 풀-업 단운시킨 후, 풀-업 다운시킨 음극성 GMR 신호(O-)를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의 음극성 입력 단자로 공급된다.
제1 이득 변환부(114)는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로 입력되는 양극성 GMR 신호(O+) 및 음극성 GMR 신호(O-)를 수십 내지 수백 배로 이득(Gain)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제1 이득 변환부(114)는 제5 저항(R5) 및 제6 저항(R6)을 포함한다. 이때, 제5 저항(R5)의 크기 및 제6 저항(R6)의 크기는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스트로먼트 증폭부(Instrument Amplifier)(116)는 제1 및 제2 풀-업 다운부(112)로부터 풀-업 다운시킨 양극성 GMR 신호(O+) 및 음극성 GMR 신호(O-)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제1 증폭 GMR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의 양극성 입력단자에는 제1 풀-업 다운부(112)와 접속되며,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의 음극성 입력단자에는 제2 풀-업 다운부(112)와 접속된다. 그리고,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는 제1 이득 변환부(114), 제2 증폭부(120), 레퍼런스 변환부(118)와 접속된다.
이때,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는 500Khz의 대역폭을 가지는 부품으로써, 임피던스 정도가 향상된 저전압 구동 증폭기(Low power Operational amplifer)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는 저전압 구동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제1 이득 변환부(114)로에 포함된 제5 저항(R5) 및 제6 저항(R6)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
레퍼런스 변환부(118)는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로부터 증폭된 제1 증폭 GMR 신호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적절한 범위의 기준 전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레퍼런스 변환부(118) 및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 사이에 제4 증폭부가 접속되는데, 이러한 제4 증폭부는 증폭된 제1 증폭 GMR 신호를 적절한 기준 전압 범위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기준 전압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완충기로 사용된다.
레퍼런스 변환부(118)는 인스트로먼트 증폭기(116)의 이득 변화 량에 따라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레퍼런스 변환부(118)는 전압을 이용한 아날로그 구동 회로를 사용하므로 전압 노이즈 및 레벨에 적합한 수십Ω~ 수㏀ 정도에 해당하는 제7 저항(R7) 및 제8 저항(R8)을 사용한다.
제2 증폭부(120)는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로부터 제1 증폭 GMR 신호를 증폭하여 제2 증폭 GMR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2 증폭부(120)는 인스트로먼트 증폭부(116)와 접속되며, 제2 이득 변환부(122) 및 저역 통과 필터부(124)와 접속된다.
이때, 제2 증폭부(120)는 500Khz의 대역폭을 가지는 부품으로써, 임피던스 정도가 향상된 저전압 구동 증폭기(Low power Operational amplifer)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증폭부(120)는 저전압 구동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제2 이득 변환부(122)로에 포함된 제9 저항(R9) 및 제10 저항(R10)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이득 변환부(122)는 제2 증폭부(120)로 입력되는 제1 증폭 GMR 신호를 수십 내지 수백 배로 이득(Gain)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제2 이득 변환부(122)는 제9 저항(R9) 및 제10 저항(R10)을 포함한다. 이때, 제9 저항(R9)의 크기 및 제10 저항(R10)의 크기는 제2 증폭부(120)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부(124)는 제2 증폭부(120)로부터 공급된 제2 증폭 GMR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저역 통과 필터부(124)는 제5 증폭부와, 제5 증폭부와 접속된 제13 저항(R13), 제14 저항(R14), 제15 커패시터(C15), 제16 커패시터(C16)를 포함한다.
제3 증폭부(126)는 저역 통과 필터부(124)를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제2 증폭 GMR 신호를 증폭하여 제3 증폭 GMR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3 증폭부(126)는 저역 통과 필터부(124)와 접속되며, 신호가 검출된다.
이때, 제3 증폭부(126)는 500Khz의 대역폭을 가지는 부품으로써, 임피던스 정도가 향상된 저전압 구동 증폭기(Low power Operational amplifer)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저역 통과 필터부(124) 및 제3 증폭부(126) 사이에 제2 증폭 GMR 신호를 풀-업 다운시키기 위해 제3 풀-업 다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풀-업 다운부(130)는 직렬로 연결된 제19 저항(R19) 및 제20 저항(R20)과, 제19 저항(R19) 및 제20 저항(R20)과 병렬로 연결된 제4 커패시터(C4)를 포함한다. 제3 풀-업 다운부(130)는 제2 증폭부(120) 및 저역 통과 필터부(124)를 통해 공급된 제2 증폭 GMR 신호를 풀-업 다운시킨 후, 제3 증폭부(126)로 공급된다.
또한, 제3 증폭부(126)는 제3 증폭 GMR 신호를 수십 내지 수백 배로 이득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3 이득 변환부(134)와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이득 변환부(134)는 제21 저항(R21) 및 제22 저항(R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3 증폭 GMR 신호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적절한 범위의 기준전압을 잡아줄 수 있도록 제3 증폭부(126)와 연결된 레퍼런스 변환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GMR 증폭 구동부(110)를 통해 도 3과 같이 거대 자기 저항 센서에 매칭한 결과 GMR 신호의 자성 입자를 검출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명백한 신호 피크(peak)를 검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핀 밸브 타입의 GMR 소자의 원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핀 밸브 타입의 GMR 소자를 이용한 측정 키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대 자기 저항 센서의 특성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GMR 증폭 구동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GMR 증폭 구동부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GMR 증폭 구동부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GMR 센서 110 : GMR 증폭 구동부
112 : 풀-업 다운부 114 : 제1 이득 변환부
116 : 인스트로먼트 증폭부 118 : 레퍼런스 변환부
120 : 제2 증폭부 122 : 제2 이득 변환부
124 : 저역 통과 필터부 126 : 제3 증폭부

Claims (7)

  1. 거대 자기 저항 센서로부터 공급된 양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 및 음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풀-업 다운시키는 풀-업 다운부와;
    상기 풀-업 다운시킨 양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 및 음극성 자기 저항 신호의 전압차를 거대 자기 저항 센서 특성에 따라 증폭하여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증폭부를 포함하는 거대 자기 저항 증폭부와;
    상기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의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부와;
    상기 거대 자기 저항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증폭 신호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적절한 범위의 기준 전압을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변환부와;
    상기 다수의 증폭부 각각에 입력되는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수십 내지 수백 배 이득 조절하도록 상기 다수의 증폭부 각각과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이득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다운부는
    상기 거대 자기 저항 센서로부터 공급된 양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풀-업 다운시키는 제1 풀-업 다운부와;
    상기 거대 자기 저항 센서로부터 공급된 음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풀- 업 다운시키는 제2 풀-업 다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풀-업 다운부 각각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대 자기 저항 증폭부는
    상기 풀-업 다운시킨 양극성 거대 자기 저항 신호 및 음극성 자기 저항 신호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제1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생성하는 인스트로먼트 증폭부와;
    상기 인스트로먼트 증폭부로부터 제1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부와;
    상기 제2 증폭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2 증폭 거대 자기 저항 신호를 증폭하는 제3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변환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의 크기는 상기 인스트로먼트 증폭부, 상기 제2 증폭부, 상기 제3 증폭부의 특성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변환부는 전압 노이즈 및 레벨에 적합한 수십Ω ~ 수㏀ 범위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로먼트 증폭부, 제2 증폭부, 제3 증폭부는 임피던스 정도가 향상된 저전압 구동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로먼트 증폭부, 상기 제2 증폭부, 상기 제3 증폭부 각각에는 증폭된 신호를 완충시킬 수 있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KR1020090023478A 2009-03-19 2009-03-19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KR20100104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478A KR20100104825A (ko) 2009-03-19 2009-03-19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CN2010800125721A CN102356545A (zh) 2009-03-19 2010-03-19 使用巨磁阻传感器的放大驱动单元以及使用其的诊断装置
US13/257,122 US20120086448A1 (en) 2009-03-19 2010-03-19 Amplifying driving unit using giant magneto resistance sensor and diagnosis device using the same
PCT/KR2010/001706 WO2010107273A2 (en) 2009-03-19 2010-03-19 Amplifying driving unit using giant magneto resistance sensor and diagnosis device using the same
EP10753723A EP2409402A4 (en) 2009-03-19 2010-03-19 REINFORCING DRIVE UNIT WITH GMR SENSOR AND DIAGNOSTIC DEVICE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478A KR20100104825A (ko) 2009-03-19 2009-03-19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825A true KR20100104825A (ko) 2010-09-29

Family

ID=4300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478A KR20100104825A (ko) 2009-03-19 2009-03-19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48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3851A1 (en) * 2010-10-21 2012-04-26 Lg Innotek Co., Ltd.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o resistance sen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3851A1 (en) * 2010-10-21 2012-04-26 Lg Innotek Co., Ltd.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o resistance sensor
KR101239863B1 (ko) * 2010-10-21 2013-03-18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검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Boer et al. An integrated and sensitive detection platform for magneto-resistive biosensors
EP13605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accumulations of magnetic particles
US20090072815A1 (en) Calibration of a magnetic sensor device
US20090314066A1 (en) Sensor device for and a method of sensing particles
CN101454683A (zh) 具有自适应场补偿的传感器设备
JP2007500347A (ja) 改善されたsnrを持つチップ上磁性粒子センサ
US20080054896A1 (en) Magnetic Sensor with Parallel Magnetic Sensor Strips
US20080238411A1 (en) Magneto-Resistive Nano-Particle Sensor
CN207780034U (zh) 一种基于磁珠的生物样品检测装置
US20090102472A1 (en) Magnetic sensor device with field generators and sensors
Hansen et al. Exchange-biased AMR bridges for magnetic field sensing and biosensing
Shirzadfar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eedle-type giant magnetoresistance sensor for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s magnetic marker
CN104132966B (zh) 一种基于磁珠非线性磁化特性的生物样品检测器
Fodil et al. Dynamic sensing of magnetic nanoparticles in microchannel using GMI technology
US20120086448A1 (en) Amplifying driving unit using giant magneto resistance sensor and diagnosis device using the same
CN101479617A (zh) 具有场发生器和传感器元件的磁传感器设备
KR20100104825A (ko) 거대 자기 저항 센서를 이용한 증폭 구동부
CN113219170B (zh) 磁免疫检测系统及使用方法
KR20090017013A (ko) 자기장을 이용한 미세 입자 및 미생물 검출 장치 및 그방법
KR101239863B1 (ko)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검출시스템
KR101235845B1 (ko)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20100104826A (ko) 진단 기기
Amara et al. Highly-sensitive magnetic tunnel junction based flow cytometer
KR20120087668A (ko)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Xuan et al. Highly sensitive modified giant magnetometer resistance measurement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s in continuous flow with application for the separation of biomar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