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008A - Reray with display for user setting - Google Patents

Reray with display for user set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008A
KR20100102008A KR1020090020486A KR20090020486A KR20100102008A KR 20100102008 A KR20100102008 A KR 20100102008A KR 1020090020486 A KR1020090020486 A KR 1020090020486A KR 20090020486 A KR20090020486 A KR 20090020486A KR 20100102008 A KR20100102008 A KR 20100102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hmi
display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40034B1 (en
Inventor
김지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034B1/en
Publication of KR2010010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0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0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02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wherein one single insertion movement of a key comprises an unlocking stroke and a switch actuating stroke, e.g. security switch for safety guards

Abstract

PURPOSE: A relay is provided to satisfy the request of a user by displaying the status of a relay body through a display. CONSTITUTION: A relay comprises a relay body(830) and an HMI(Human Machine Interface)(810). The relay body has a measuring unit(831) and a relay unit(833). The measuring unit measures the current of an object. The relay unit relays the object when the curren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is abnormal. An HMI includes a display(811) and an HMI controller(813). The display displays the status of the relay body. An HMI controller displays a screen set by the user on the display.

Description

사용자 설정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계전기{RERAY WITH DISPLAY FOR USER SETTING}RELAY WITH DISPLAY FOR USER SETTING}

본 발명은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UI를 제공하는 사용자 설정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lay having a user setting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UI that meets a user's needs.

보호계전기(保護繼電器, protective relay)는 전기회로에 단락이나 맴돌이전류 등의 이상 상태가 일어났을 때, 그 부분을 회로에서 절단시키는 명령기능을 갖춘 장치이다.A protective relay is a device with a command function that cuts a part of a circuit when an abnormal condition such as a short circuit or eddy current occurs in the electric circuit.

간단한 예로 맴돌이전류가 흐르면, 맴돌이전류의 정도에 따라 몇 초, 내지는 몇십 초 내에 회로의 차단기를 열기 위한 명령을 내는 맴돌이전류 계전기가 있다. 이것은 계전기 안에 회전원판을 갖추고, 정상전류 이하에서는 원판이 정지하고 있으나, 맴돌이전류가 흐르면 원판이 회전하기 시작하여, 원판축에 설치한 접점이 닫혀져 명령을 내리는 것으로, 이런 형식을 유도형(誘導型) 맴돌이전류 계전기라고 한다.  A simple example is a eddy current relay that, when eddy currents flow, commands the circuit breaker to open within seconds, or even tens of seconds, depending on the degree of eddy current. It has a rotating disc in the relay and the disc stops below the normal current, but when the eddy current flows, the disc starts to rotate, and the contacts installed on the disc shaft are closed to give orders. This is called eddy current relay.

보호계전기의 종류는 대단히 많은데, 회로전압(回路電壓)이 저하했을 때 작용하는 부족전압 계전기, 위험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전기, 전력을 보내야 할 회로가 보낼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작용하는 전력계전기, 송전선의 고장위치를 감지하는 거리계전기, 변압기의 1차·2차의 전류비(電流比)에 이상이 있을 때 작용하는 차동계전기(差動繼電器), 송배전선의 접지사고를 알리는 접지계전기 등이 있다. There are many types of protective relays, including undervoltage relays that act when the circuit voltage drops, thermometer relays that detect dangerous temperatures, power relays that act when the circuits that need to send power are in a state that can be sent, There are distance relays that detect faults on transmission lines, differential relays that act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current ratios of transformers, and grounding relays that indicate ground faults i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

보호 계전기의 일예인 모터 보호 계전기는 모터의 시동 및 운전 중에 발생되는 과전류, 결상, 상 불평형 및 역상을 설정된 동작시간에 의해 정확하게 검출하여 모터를 신뢰성있게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기기이다. Motor protection relay, an example of a protection relay, is a device that reliably protects the motor by accurately detecting overcurrent, phase loss, phase unbalance, and reverse phase generated during starting and operation of the motor by a set operating time.

모터 보호 계전기는 모터의 전류를 변류기를 통하여 변환하여 출력하고, 이렇게 변환된 출력값에 이상이 있는 경우 릴레이를 구동하여 폐로 접점을 개로함으로써, 상기 폐로 접점을 통하여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모터의 소손 방지 및 보호를 수행하게 된다.The motor protection relay converts and outputs the current of the motor through a current transformer, and if there is an error in the converted output value, operates a relay to open the closing contact, there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through the closing contact. Prevents and protects against damage.

최근에는 여러 산업분야의 공장 자동화 시스템 구축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모터 구동으로 라인 제어가 전자화되고, 이로 인하여 모터 보호에 대한 기기들도 중요성을 더해가며 제품의 다양화 및 고기능화 그리고 대량생산 체제가 전개되고 있다.Recently, as the factory automation system in various industries is actively developed, the line control is electronicized by driving the motor, and as a result, the devices for motor protection become more important, diversification, high functionalization, and mass production system are developed. have.

본 발명은 계전기의 상태 및 설정 정보 표시를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여 표 시하는 사용자 설정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계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having a user setting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state and setting information display of the relay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requirement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전기는 계전기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 표시 화면을 선택 키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선택 키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HMI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relay state; And a HMI controller configured to store a setting display screen set by a user corresponding to a selection key and to display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ctivation of the selection key.

상기 선택 키는 HMI 상에 형성된 버튼일 수 있다.The selection key may be a button formed on the HMI.

상기 HMI 제어부는 상기 설정 표시 화면이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복수개의 설정 표시 화면을 순환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tting display screens, the HMI controller may circularly display the plurality of setting display screens by a user's manipulation.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전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 표시 화면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display the setting display screen set by the user at the request of the user.

본 발명의 기술을 설명하는데 있어, 큰 전류에서 그것에 비례하는 작은 전류를 얻는 장치인 변류기(變流器, current transformer) 및 다른 명칭인 전류 변환기를 변류기로 통일하겠다.In describing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rrent transformer, which is a device that obtains a small current proportional to it at a large current, and a current converter, which is another name, will be unified to the current transformer.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otection rela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의 일예로써, 모터 보호 계전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motor protection relay as an example of a protection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모터 보호 계전기의 일부 구성은 변류기 등이 구비된 계측부의 외형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전면상부에는 조작전원 인가부(112) 및 다수개의 출력 접점(111) 등이 구비된다.Some configurations of the illustrated motor protection relay correspond to an external shape of a measurement unit provided with a current transformer, and the front upper portion includes an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12 and a plurality of output contacts 111.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계측부는 관통형 계전기(모터와 릴레이 측으로 연결되는 주회로 배선이 배선 관통공(115)을 관통하여 배선)로 적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부(110)를 독립적으로 설치하거나 혹은 상기 계측부(110)에 단자식 연결수단(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정된 단자를 통하여 모터의 배선과 릴레이의 배선을 연결) 또는 직결식 연결수단(모터의 배선을 고정된 단자에 연결하고, 계전기에 형성된 연결핀을 통하여 릴레이에 직접 연결) 등을 계전기의 설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관통형, 단자형, 직결형 계전기로서 모두 적용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installed as a through type relay (main circuit wiring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relay side through the wiring through-hole 115). In addition, the measurement unit 110 is installed independently or the terminal connection means (connecting the wiring of the motor and the wiring of the relay through the terminal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to the measurement unit 110) or direct connection By selectively coupling the means (connecting the motor wiring to a fixed terminal and directly connecting to the relay through the connecting pin formed on the rela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relay, it can be applied as a through type, terminal type or direct type relay. Can be.

상기 계측부에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부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계전부는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별도로 구성되기도 한다. Although the relay unit may include a relay unit performing a relay operation, the relay unit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matters.

따라서, 보호 계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보호 계전기의 계측부와 같은 계측부,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부, 각종 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 수단 또한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보호 계전기의 외형은 도 2에서와 같이 커다란 철제 케이스와 같이 형태를 갖추기도 한다.Therefore, the protection relay includes a measurement unit such as the measurement unit of the motor protection relay shown in FIG. 1, a relay unit for performing relay operation, various circuits, and also includes heat dissipation means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itself. Thus, the appearance of the protective relay may be shaped like a large steel case as shown in FIG.

보호 계전기가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120) 내에 각 요소가 구비되는 형태를 취하거나, 각각이 구별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는 경우 모두 사용자에게 보호 계전기의 상태를 표시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계전 동작의 제어를 받을 필요가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elements are provided in one case 120 or each of them is distinguished, it is necessary to indicate the state of the protection relay to the user. It is necessary to be controlled by the relay operation.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호 계전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사용자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입력 수단이 구비된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have a HMI (Human Machine Interface) equipped with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protective relay to the user and an input means to be controlled by the user.

상기 HMI는 사람과 기계의 상호 접속이라는 뜻으로 기계와 사용자간의 접근을 좀 더 쉽게 도와줄 수 있는 도구를 의미하며, 보호 계전기에 사용되는 HMI는 도 3의 형태와 같다.The HMI refers to a tool that can more easily assist access between a machine and a user by means of human and machine interconnection, and the HMI used for the protection relay is shown in FIG. 3.

HMI(150)에는 보호 계전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1), 보호 계전기의 계전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부(15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HMI는 앞에서 살펴본 보호 계전기의 각 요소가 구비된 케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보호 계전기는 단독으로 설치되기보다는 배전반 등에 다른 부재와 함께 설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 로, 배전반 내의 공간 확보, 유지 보수시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별도의 캐비넷(130)에 수납되기도 한다. 배전반 내에 상기 케이스가 수납될 일정 공간을 확보하고, 유지 보수시에 상기 케이스를 용이하게 배전반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MI 150 includes a display 151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protective relay and an input unit 153 for controlling the relay operation of the protective relay. The HMI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ase 120 provided with each element of the protective relay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tection relay is generally installed together with other members, such as a switchboard rather than being installed alone, the protection relay may be housed in a separate cabinet 130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other members during spac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It is desirable to secure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case is to be housed in the switchboard, and to allow the case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witchboard during maintenance.

이상에서는 보호 계전기를 HMI와 별개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HMI가 구비된 보호 계전기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이상의 보호 계전기를 계전기 본체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계전기 본체와 HMI를 포함하는 구성을 보호 계전기라 칭하기로 한다.The protective relay has been described separately from the HMI, b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otective relay will be referred to as a relay main body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 description of the protective relay provided with the HMI. In additio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relay body and an HMI will be referred to as a protection relay.

보호 계전기의 내부 구성을 도 4의 블럭도를 통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보호 계전기는 계측부(211), 계전부(213), 공용 메모리(215), HMI 제어부(217), 디스플레이(218) 및 입력부(219)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on relay in brief through the block diagram of FIG. 4, the protection relay includes a measurement unit 211, a relay unit 213, a common memory 215, an HMI control unit 217, a display 218, and an input unit ( 219).

계측부(211)는 변류기 등의 계측 소자를 이용하여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는 요소이다.The measuring unit 211 is an element measuring voltage or current using a measuring element such as a current transformer.

계전부(213)는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값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보호 계전기가 보호 대상으로 하는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계전부(213)에는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값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계전 판단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계전 판단부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값을 비교할 수 있는 기존 데이터 및 처리 루틴 등이 요구되므로 메모리가 요구되는데, 앞에서 언급한 공용 메모리(215)가 이러한 용도로 사용된다.The relay unit 213 is an element that performs a relay 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device protected by the protection relay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value of the voltage or curren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To this end, the relay unit 213 should be provided with a relay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relay determination unit requires a conventional data and a processing routine for comparing the values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thus requires a memory. The above-described common memory 215 is used for this purpose.

HMI 제어부(217)는 HMI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담당하며, 입력부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를 분석하여 상기 계전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HMI 제어부 역시 처리 루틴 등이 요구되므로, 상기 처리 루틴이 수납될 메모리가 필요하며, 이러한 용도로 앞에서 언급한 공용 메모리가 사용된다.The HMI controller 217 is an elemen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MI. The HMI controller 217 is responsible for display control and analyzes the control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control to the relay unit. Since the HMI control unit also requires a processing routine, a memory for storing the processing routine is required, and the aforementioned common memory is used for this purpose.

디스플레이(218)는 상기 계전부의 계전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계측부의 계측값을 표시하는 요소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8-세그멘트,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ED(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218 is an element for displaying the relay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unit to the user or a measurement value of the measurement unit, and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8-segm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an LED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like.

입력부(219)는 상기 계전부의 제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의 조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요소로, 푸쉬(push) 스위치(버튼),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19 is an element that receives the control of the relay unit from the user or receives an adjustment of the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from the user, and may be configured as a push switch (button), a touch screen, and the like.

이상의 구성을 통하여 계전기 본체의 계전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계전기 본체에 대한 제어를 직접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relay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body, and directly control the relay body.

다만, 계전기 본체와 HMI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유지 보수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HMI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확인하거나, 입력부를 통한 제어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체로 배전함의 외면이 이 위치에 해당한다. 그러나, 여닫이 덮개를 구비하는 배전함을 고려하면 배전함 외부로 HMI가 드러나도록 설비하는 것이 어려우며, 배전함 내에 설비한다 하더라도, 배전함의 여닫이 덮개를 개방했을 경우 사용자 측으로 HMI가 위치하도록 설비가 되어야 한다. 즉, 계 전기 본체와 HMI가 일체로 형성된 보호 계전기의 경우 설비 및 유지 보수에 제한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계전부 및 HMI 제어부에서 필요한 메모리를 서로 사용이 가능한 공용 메모리로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충돌로 인한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relay body and the HMI are integrally formed, maintenance difficulties are expected. The HMI is preferably arrang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check the display or control the inpu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box generally corresponds to this position. However, considering a distribution box having a case cover,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HMI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tribution box, and even if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box, when the case cover of the distribution box is opened, the HMI should be installed to the user side.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otective relay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lay body and the HMI, limitations may occur in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n addition, by forming the memory required by the relay unit and the HMI control unit as a common memory that can be used with each other, an error due to a memory conflict may occur.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tection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보호 계전기는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기 본체(320), 상기 계전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HMI(35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rotection relay includes a relay main body 320 performing a relay operation, and an HMI 350 detachable from the relay main body.

HMI는 상기 계전기 본체의 계전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계전기 본체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계전기 본체와 서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상기 계전기 본체에도 HMI와 신호 전송이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The HMI should be provided with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signals to and from the relay body in order to control the relay operation of the relay body and display the state of the relay body. Of course, the relay body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means for signal transmission with the HMI.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블럭도에서와 같이 상기 계전기 본체는 상태 표시 신호를 상기 HMI로 전송하고, 상기 HMI로부터 계전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받는 계전기 통신부(414)를 포함하고, 상기 HMI는 계전 동작 제어 신호를 상기 계전기 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계전기 본체로부터 상태 표시 신호를 전송받는 HMI 통신(415)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외의 구성 요소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도록 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6, the relay main body includes a relay communication unit 414 which transmits a status indication signal to the HMI and receives a relay oper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HMI, and the HMI includes a relay. And an HMI communication unit 415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relay main body and receiving a status indication signal from the relay main body. Since other compon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상기 계전기 본체는 계전기 통신부 외에도 계측부(411), 계전부(413)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계전부에서 필요로 하는 메모리는 계전기 본체에서만 사용되는 메모리로 구성된다.In addition to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the relay main body includes a measurement unit 411, a relay unit 413, and the like. The memory required by the relay unit includes a memory used only in the relay main body.

상기 HMI는 HMI 통신부 외에 HMI 제어부(417), 디스플레이(418), 입력부(419)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HMI 제어부에서 필요로 하는 메모리는 HMI 자체에서만 사용되는 메모리로 구성된다.The HMI includes an HMI control unit 417, a display 418, an input unit 419, etc. in addition to the HMI communication unit, and the memory required by the HMI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be used only in the HMI itself.

상기 계전기 통신부와 HMI 통신부와의 통신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방식 등의 적용이 가능하다. Communication between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and the HMI communication unit may be applied to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pply such as Ethernet,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도 5에서 상기 HMI가 상기 계전기 본체에 장착될 때는 서로 맞물리는 커넥터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용이한 장착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HMI 통신부와 계전기 통신부의 통신 방식이 무선인 경우에는 별도의 커넥터가 필요하지 않다. 물론 HMI가 신뢰성있게 계전기 본체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기구적인 장착 및 지지 수단, 필요에 따라 장착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In FIG. 5, when the HMI is mounted on the relay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perform easy mounting by providing connectors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HMI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are wireless, a separate connector is required. Not. Of course, mechanical mounting and support means for reliably mounting the HMI to the relay body, and guide means for guiding the mounting as necessary, can be formed.

상기 HMI가 상기 계전기 본체에서 분리되어 배전함 등에 설비되며, 유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 전송을 수행할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계전기와 HMI 간의 신호 배선(370) 또한 별도의 커넥터(371)를 구비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HMI를 계전기 본체에 분리하여 설비할시에 HMI를 지지할 기구에 장착한 후에 신호 배선을 연결하는 것이 설비 작업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커넥터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계전기 본체를 HMI가 아닌 제어용 컴퓨터 등에 직접 연결하는 것 또한 가능하게 된다. 도 7에서는 제어용 컴퓨터와의 연결을 HMI가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HMI는 계전기 본체 및 제어용 컴퓨터(390)와의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HMI 통신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HMI와 제어용 컴퓨터간의 통신 또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도 7에서는 유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바람직할 것이다.When the HMI is separated from the relay main body and installed in a distribution box, and the signal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a wired communication manner, as shown in FIG. 7, the signal wiring 370 between the relay and the HMI is also provided with a separate connector 371. It is desirable to make the connection possible. This is because it is advantageous for the installation work to separate the HMI from the relay body and mount the signal wires after installing the HMI in a mechanism that will support the HMI. In addition, by taking the connector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relay main body to a control computer or the like instead of the HMI.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HMI performs a connection with a control computer. In this case, the HMI must form an HMI communication unit so that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body and the control computer 390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Communication between the HMI and the control computer may also b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n FIG. 7,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but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infrared rays may be preferable to a user.

상기 HMI와 계전기 본체와의 통신을 고정 연결된 신호 배선을 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장착시 신호 배선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HMI 또는 계전기 본체에 신호 배선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와 같이 커넥터를 사용한 신호 배선의 경우에도 추후 신호 배선의 사용을 고려하여 신호 배선 수납부를 형성하여 신호 배선을 보관토록 하는 것이 유지 보수에 유리할 것이다.Communication between the HMI and the relay body may be performed through fixedly connected signal wires. In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o form a signal wiring accommodating portion in the HMI or the relay main body so that the signal wiring does not protrude outward when mounted. In the case of the signal wiring using the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signal wiring by forming the signal wiring accommodating por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 of the signal wiring later.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HMI를 계전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식으로 형성함으로써, 계전기 본체의 설비 및 HMI의 설비가 보다 자유롭게 되며, HMI의 설비를 사용자에게 드러난 위치에 설비가 가능하다. 따라서, HMI의 본 기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릴 수 있게 되며, 착탈식 구성에 의하여 메모리 또한 HMI, 계전기 본체 각각에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충돌로 인한 오류의 방지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MI is detachab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relay main body, whereby the facility of the relay main body and the facility of the HMI are more free, and the facility of the HMI can be installed at a position exposed to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enjoy the present function of the HMI, and the memory is also formed on each of the HMI and the relay body by a detachable configuration, thereby preventing errors due to memory conflicts.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계전기 감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lay monitoring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앞에서 살펴본 보호 계전기는 계전기 본체와 HMI가 1:1 대응되는 착탈식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계전기 본체가 적용된 계전기 감시 장치에서 HMI 또한 계전기 본체의 수만큼 구비되어야 한다. 복수의 HMI가 설비된 경우, 복수의 HMI에 대한 감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으며, 현재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보호 계전기의 HMI는 불필요한 자원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가 일시점에서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는 HMI의 수가 한정되어 있는 바, 현재 감시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HMI는 불필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요소에 해당하는 HMI는 설비 비용의 증가 및 유지 보수 비용의 증가가 발생되며, 계전기 감시시 여러 위치에 배치된 HMI 확인에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The protective relay described above has a detachable structure in which the relay body and the HMI correspond to 1: 1. Therefore, in a relay monitoring device to which a plurality of relay bodies are applied, the HMI must also be provided with the number of relay bodies. If a plurality of HMIs are installed, the monitoring of the plurality of HMIs cannot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 HMI of the protection relay that is not currently being monitored becomes an unnecessary resource state. In other words, since the number of HMIs that a user can monitor and manage at a time is limited, an HMI that is not currently monitored and managed becomes an unnecessary element. These unnecessary elements of HMI have increased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checking HMIs located at various locations during relay monitoring.

도 8을 살펴보면,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계전기 본체(620), 상기 계전기 본체 모두가 연결되는 중계부(670), 상기 중계부에 연결되며, 상기 계전기 본체 중 선택된 계전기 본체의 계전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계전기 본체와 별도로 형성되는 HMI(650)를 포함하는 계전기 감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8, at least one relay body 620 performing a relay operation, a relay unit 670 to which all of the relay bodies are connected, and a relay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body selected from the relay bodies are connected. Disclosed is a relay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an HMI 650 for displaying or performing control and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lay body.

상기 계전기 본체(620)는 계측부,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부, 제어부 등 각종 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 수단 또한 갖추고 있다.The relay main body 620 includes various circuits such as a measuring unit, a relay unit performing a relay operation, a controller,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s heat radiating means for radiating heat generated from itself.

상기 중계부(670)는 상기 계전기 본체가 연결되는 요소로, 상기 계전기 본체 모두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계전기 본체에서 처리하는 모든 신호를 모두 전송받거나 전송하게 된다.The relay unit 670 is an element to which the relay body is connecte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ll of the relay bodies are connected. Therefore, the relay unit receives or transmits all signals processed by the relay body.

상기 HMI는 상기 계전기 본체와 별도로 설비되고, 한 개체만 설비되며, 상기 중계부에 연결되어 선택된 계전기 본체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 및 통신하게 된다.The HMI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elay body, and only one entity is installed, and is connected to the relay to process and communicate signals related to the selected relay body.

상기 중계부는 상기 HMI에 의하여 계전기 본체와의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HMI가 일시점에서 어느 하나의 계전기 본체를 선택하여 통신을 수 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HMI가 관심을 갖는 계전기 본체 외의 계전기 본체와의 통신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상기 HMI의 제어를 받아 상기 중계부에서 신호를 전송하지 말것을 요구하는 전송 금지 신호를 생성하여 관심 대상 외의 계전기 본체로 전송함으로써 계전기 본체에서 중계부로의 신호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송 금지 신호는 HMI에서 생성되어 중계부를 거쳐 관심 대상 외의 계전기 본체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는 이와는 달리 계전기 본체에서 신호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HMI에서 관심을 갖는 계전기 본체에 대하여 통신을 수행할 것으로 요구하는 전송 요청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계전기 본체에서 신호 전송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전송 요청 신호는 HMI의 제어를 받아 중계부에서 생성되어 전송되거나, HMI에서 직접 생성되어 중계부를 거쳐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처리할 경우, 일시점에서 HMI는 선택된 하나의 계전기 본체만의 HMI로서 기능하게 되며, 중계부는 복수의 계전기 본체 중 선택된 계전기 본체로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중계부에 의하여 통신 경로가 설정되면, HMI에서 선택된 계전기 본체로의 제어 신호의 전송 또한 가능해진다.The relay unit may limit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body by the HMI. For example, when the HMI intends to perform communication by selecting any one relay body at a time point, it is necessary to restrict communication with a relay body other than the relay body of interest to the HMI. Under the control of the HMI, a transmission prohibition signal for requesting not to transmit a signal from the relay uni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 relay body other than the target of interest, thereby limiting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relay body to the relay unit. Of course, the transmission prohibi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HMI and transmitted to the relay main body not of interest through the relay unit. Alternatively, the relay body may be based on not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signal transmission in a relay body selected by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equiring the HMI to communicate with a relay body of interest. .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from the rela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HMI, or may be generated directly from the HMI and transmitted through the relay unit. In this process, at a time point, the HMI functions as an HMI of only one selected relay body, and the relay unit sets a communication path to the selected relay body among the plurality of relay bodies. Therefore, when the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by the relay unit in this manner, 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from the HMI to the selected relay body is also possible.

경우에 따라 선택된 계전기 본체가 복수개일 수도 있다. 보다 확장하면, 선택된 계전기 본체는 설비되어 있는 계전기 본체 모두가 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a plurality of selected relay bodies may be provided. More broadly, the selected relay body may be all of the installed relay bodies.

이와 같은 경우, HMI는 선택된 계전기 본체 모두에 대하여 전달할 제어 신호와 각각의 계전기 본체에 전달할 제어 신호를 구분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라 중계부에서의 통신 경로 설정 또한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계전기 본체, 중계부, HMI 간에는 소정 통신 수단이 적용되어야 한다. 상기 통 신 수단은 유무선 통신 수단 모두 가능하며, 예로써, 지그비(Zigbee), 이더넷(ethernet) 등을 적용함으로써 랜(LAN)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 case, the HMI needs to distinguish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each relay body and the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ll the selected relay bodies, and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path setting at the relay unit must be appropriately made. For this purpos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ans must be applied between the relay body, the relay unit, and the HMI. The communication means can be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form a LAN (LAN) by applying Zigbee (Zigbee), Ethernet (ethernet) and the like.

한편, HMI는 선택된 복수의 계전기 본체를 표시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야 한다. 일예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선택된 계전기 본체의 수만큼 분할할 수 있다. 그러나, HMI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감안하여 많은 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선택된 복수의 계전기 본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대신, 화면을 가독이 용이한 일정 수로 분할한 뒤, 일정 시간 단위로 표시되는 계전기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 화면 수는 HMI의 디스플레이 크기 등을 감안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화면 분할 없이 일정 주기별로 선택된 계전기 본체의 상태를 번갈아가며 표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MI must configure the display to display a plurality of selected relay bodies. For example, the screen of the display may be divided by the number of selected relay bodies. However, it may not be desirable to divide the display screen into a large number of screens in view of the display size of the HMI. Therefore, instead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ed relay bodies,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scree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that is easy to read, and then change the relays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time basis. The number of split screens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isplay size of the HMI, and the status of the selected relay body can be displayed alternately at regular intervals without splitting the screen.

복수의 계전기 본체 중 사용자가 원하는 계전기 본체의 선택은 HMI의 입력부 조작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각 계전기 본체에 일련 번호 등의 식별자를 부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계전기 본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lection of the relay body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lay bodies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by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of the HMI, and an identifier such as a serial number may be added to each relay body so that the user may easily select the desired relay body. .

또한, 계전기 본체의 식별자를 메뉴화하여 HMI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이 가능한 지시자로 하여금 상기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er of the relay main body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HMI by menuizing, and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indicator that is movable on the display to select the menu.

한편, 중계부는 연결되는 계전기 본체의 수만큼 통신 포트가 구비되어야 한다. 만약, 계전기 본체의 수가 일정 수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계부를 HMI 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중계부와 HMI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구성이 보다 간소화될 수 있으나, 계전기 본체의 수가 많은 경우 통신 포트 확장성에 있어서 불리한 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중계부의 독립 설비 여부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lay unit should be provided with as many communication ports as the number of relay bodies to be connected. If the number of relay bodies is limited to a certain number or less, the relay unit may be arranged in the HMI. That is, the relay unit and the HMI may be integrally formed. In such a case, the configuration may be simplified, but in the case of a large number of relay bodies, disadvantages may occur in communication port scalability, a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 relay is an independent facility.

계전기 본체, 중계부, HMI 간의 신호 전송을 위해서, 상기 계전기 본체는 중계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계전기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중계부는 상기 계전기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부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부 통신부는 HMI 통신부와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맞춰 상기 HMI 또한 상기 중계부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HMI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transmit signals between the relay main body, the relay unit, and the HMI, the relay main body may include a relay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relay unit, and the relay unit may include a relay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 In addition,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HMI communication unit, and accordingly the HMI may also include an HMI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만약, HMI와 중계부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중계부와 HMI 간에는 별도의 통신 수단을 요구하지 않는다. 물론, 내부적 배선 연결이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If the HMI and the re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no separate communication means is required between the relay unit and the HMI. Of course, the internal wiring connection must be made.

한편, 계전기 본체의 구체적인 제어, 처리 루틴의 갱신 등을 위하여 별도의 관리 컴퓨터와 연결될 필요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ed to be connected to a separate management computer for specific control of the relay body, update of the processing routine, and the like.

이 경우, 보통 각 계전기 본체에 직접 상기 관리 컴퓨터를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각 계전기 본체에 직접 연결하여 각 계전기 본체를 관리하는 것은 번거로운 작업이 되므로, 앞에서 살펴본 HMI를 통하여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is usually performed by directly connecting the management computer to each relay main body. Since it is cumbersome to manage each relay body by connecting directly to each relay body,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easily perform it through the HMI.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MI(650)에 외부 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외부 인터페이스(651)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각 계전기 본체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리 컴퓨터(690)를 HMI에 형성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HMI와 중계부를 통하여 연결된 각 계전기 본체 모두를 관리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9, it is preferable to form an external interface 651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n the HMI 650 and to manage each relay body using the external interface. That is, by connecting the management computer 690 to the external interface formed in the HMI, it is possible to manage all of the relay body connected through the HMI and the relay.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유무선 통신 지원 방식 모두 가능하며, 예로써 적외선 무선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SB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external interface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upport method, and for example,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USB, or the like may be appli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 감시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계전기 본체를 하나의 HMI를 통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설비 비용의 감소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입장에서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la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manage one or a plurality of relay bodies through one HMI.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nd easy managem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위에서 살펴본 바와 따르면, 계전기의 설정 정보를 변경 및 갱신하거나 추출하기 위해서는 관리 컴퓨터를 계전기에 직접 또는 HMI를 통하여 연결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관리 컴퓨터가 항상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관리 컴퓨터를 설정 정보 관련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계전기 또는 HMI에 연결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중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hange, update, or extract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the management computer must be connected to the relay directly or through an HMI. However, connecting the management computer to the relay or HMI that needs to perform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operation while the management computer is not always connected adds inconvenience to the user.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계전기용 HMI를 나타낸 블럭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HM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 10의 계전기용 HMI는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710), 상기 외부 메모리 내 계전기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계전기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 모드 또는 상기 내장 메모리의 계전기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추출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설정 정보 처리부(750), 상기 저장 모드 또는 추출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입력부(770)를 포함하고 있다.The relay HMI of FIG. 10 is a removable external memory 710, a storage mode in which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is read in the external memory and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relay, or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ternal memory is read and the external memory is read. And a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750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traction mode to be stored in a mode, and a mode input unit 770 for selecting the storage mode or the extraction mode.

상기 외부 메모리(710)는 HMI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외장형 하드디스크, 메모리가 구비된 각종 휴대용 단말기 등이 상기 외부 메모리가 될 수 있다.The external memory 710 has a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HMI. For example, the external memory may be a USB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n external hard disk, or various portable terminals equipped with a memory.

상기 설정 정보 처리부(750)는 상기 외부 메모리 내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계전기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 모드 또는 상기 내장 메모리의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추출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 모드 또는 추출 모드의 동작 선택은 상기 모드 입력부(77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계전기 설정 정보는 계전요소 설정 파일, 계전기 설정 파일, 전력계통 설정 파일, 이름 설정 파일, 통신 유저 맵 파일, 단선도 계통 파일 등이 가능하며, 이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The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750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storage mode for reading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e external memory and storing it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relay or an extraction mode for reading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ternal memory and storing it in the external memory. . Operation selection of the storage mode or the extraction mode is made through the mode input unit 770.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may be a relay element setting file, a relay setting file, a power system setting file, a name setting file, a communication user map file, a single line diagram file, and the like, and may be part or all of them.

상기 모드 입력부(770)는 계전기용 HMI의 모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모드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는 일반적인 계전기용 HMI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모드 입력부의 모드가 저장 모드 또는 추출 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 설정 정보 처리부는 장착된 외부 메모리에 대하여 저장 모드 또는 추출 모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mode input unit 770 sets a mode of the relay HMI, and when a user's selection or input is not performed through the mode input unit, the mode input unit 770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general relay HMI. When the mode of the mode input unit is selected as the storage mode or the extraction mode by the user, the setting information processor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mode or the extraction mode with respect to the mounted external memory.

저장 모드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계전기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계전기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이며, 추출 모드는 상기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계전기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이다.The storage mode is a mode for reading out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and storing the internal device in the relay, and the extracting mode reads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This mode is for storing operations in memory.

따라서, 저장 모드 및 추출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설정 정보 처리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부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Therefore, the external memory must be mounted in order for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mode and the extraction mode to operate normally.

만약, 외부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모드 입력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는 설정 모드 처리부가 동작된 경우, 원하지 않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외부 메모리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요소가 요구된다.If the setting mode processor oper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mode input unit is operated while no external memory is mounted, an unwanted result may occur, and thus an element for detecting whether the external memory is mounted is required.

따라서, 도 11에서와 같이 외부 메모리의 착탈 여부, 다시말해서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외부 메모리 감지부(72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xternal memory detecting unit 720 for detecting whether the external memory is attached or detached, that is, whether the external memory is installed.

상기 외부 메모리 감지부(720)는 외부 메모리와 설정 정보 처리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메모리가 계전기용 HMI를 구성하는 HMI 본체(650)에 착탈식으로 장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HMI 본체에 커넥터 등의 외부 인터페이스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메모리 감지부는 구체적으로 상기 HMI 본체에 형성된 외부 인터페이스와 설정 정보 처리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external memory detector 720 may be located between the external memory and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processor. In order for the external memory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HMI main body 650 constituting the relay HMI, an external interface such as a connector must be formed on the HMI main body. Therefore, the external memory detector may be specifically formed between the external interface formed on the HMI main body and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processor.

이와 같이 형성된 외부 메모리 감지부를 이용하여 모드 입력부 또는 설정 정보 처리부의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의 해소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 메모리 감지부에 의하여 외부 메모리의 장착이 감지된 경우에만 모드 입력부를 활성화시키거나, 설정 정보 처리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설정 정보 처리부에 제한을 가하는 경우 모드 입력부에서 저장 모드 또는 추출 모드 선택에 대한 제어 신호가 인가되더라도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되나, 불필요한 모드 입력부의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전력 낭비가 발생되므로, 모드 입력부의 활성화를 제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By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mode input unit or the setting information processor using the external memory sensor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solved. For example, the mode input unit may be activated or the setting information processor may be activated only when the mounting of the external memory is detected by the external memory detector. If a limit is applied to the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even if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storage mode or an extraction mode is applied from the mode input unit, an operation is not performed. It may be more desirable to limit.

상기 외부 메모리를 USB 메모리로 구성한 예를 도 12이 도시하였다.12 illustrates an example of configuring the external memory as a USB memory.

외부 메모리인 USB 메모리의 착탈을 위해서 HMI 본체(650)의 외부 인터페이 스로서 상기 USB 메모리(710)의 커넥터(711)에 대응되는 USB 포트(653)를 채택하였다.The USB port 653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711 of the USB memory 710 is adopted as the external interface of the HMI main body 650 to attach or detach the external USB memory.

USB 메모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드 입력부를 조작한다고 하더라도, 외부 메모리 감지부에 의하여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별다른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만약 USB 메모리가 상기 USB 커넥터를 통하여 장착되면, 모드 입력부가 활성화되고,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선택이 가능해진다. 활성화된 모드 입력부의 선택이 저장 모드인 경우, 장착이 이루어진 USB 메모리에서 계전기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계전기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며, 활성화된 모드 입력부의 선택이 추출 모드인 경우, 계전기 내장 메모리에서 계전기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USB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Even if the user manipulates the mode input unit while the USB memory is not mounted, the operation is not performed because it is inactivated by the external memory detector. If the USB memory is mounted through the USB connector, the mode input unit is activated, and the mode selection by the user is enabled. If the selected mode input is selected as the storage mode,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mounted USB memory and stored in the built-in relay memory. If the selected mode input is selected as the extraction mode, the relay is configu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relay. The information is read out and stored in the USB memory.

물론,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저장 모드시에 상기 USB 메모리에서 독출되는 데이터가 계전기 설정 정보인 것이 약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오류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USB 메모리인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저장 모드시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계전기 설정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계전기 설정 정보 판단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Of course, in order to perform normal operation, it should be promised that the data read out from the USB memory in the storage mode is relay setting information. However, since a user error may cause a USB memory in which different types of data are stored,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may determine whether the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is relay setting information in a storage mode. C)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계전기 설정 정보 판단부는 도 11 상으로 살펴보면, 메모리 감지부와 설정 정보 처리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설정 정보 처리부는 모드 입력부의 선택 모드가 저장 모드인 경우, 상기 설정 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추가로 검토하여 외부 메모리에서 독출된 데이터가 계전기 설정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계전기 설정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저장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is located between the memory sensing unit and the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selection mode of the mode input unit is the storage mode, the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urther examine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tting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read from the external memory is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o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Only when the storage mode is performed.

만약, 외부 메모리에서 독출된 데이터가 계전기 설정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이러한 사실을 HMI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정상적으로 저장 모드 또는 추출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 완료한 후에도 동작 완료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If the data read out from the external memory is not the relay setting information, the fact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a display formed on the HMI body, and even 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mode or the extraction mode is completed normally. It can indicate whether the operation is completed.

한편, 상기 HMI 본체는 USB 포트를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외부 메모리에 해당하는 USB 메모리 및 다른 외부 기기의 연결을 동시에 지원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HMI main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USB ports to simultaneously support connection of a USB memory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memory and another external device.

일예로, USB 메모리가 장착되고 난 후의 여유 USB 포트에 프린터를 연결함으로써, 저장 모드, 추출 모드 수행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추가로 연결하여 모드 입력부를 통한 모드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by connecting the printer to a spare USB port after the USB memory is installed,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the results of the storage mode and extraction mode. It may be easy.

물론, 각각의 외부 기기는 구현 시 USB 표준 규약에 정의 되어 있는 저장 장치(mass storage), 허브, 프린터 의 세부 스펙을 만족하여야 한다.Of course, each external device must satisfy the detailed specifications of mass storage, hub, and printer as defined in the USB standard.

이상의 계전기용 HMI에 따르면, 관리용 컴퓨터와 직접 연결하지 않고서도 휴대가 용이한 외부 메모리의 장착만으로 계전기의 설정 정보를 갱신 또는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외부 메모리만을 사용하여 계전기를 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HMI 설정 정보 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lay HMI described above,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relay can be updated or extracted only by mounting a portable external memory without directly connecting to the management computer. This means that the relay can be operated using only external memory, which makes it easy to work with HMI setting information.

상기 HMI의 디스플레이 UI(User Interface)는 기본적인 메인 표시 화면이 존재하며, 사용자에 의한 키 조작에 의한 경우 또는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없는 경우, 계전기의 상태 또는 설정 정보, 계측기 관련 정보(이하 '계전기 상태'라 칭함)를 순환식으로 표시하는 UI가 제공된다.The display UI (User Interface) of the HMI has a basic main display screen, and in the case of a key operation by a user or no operation by a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tate or setting information of the relay, information related to a measuring instrument (hereinafter, UI is provided to display the relay state in a circular manner.

상기 메인 표시 화면은 계전기 상태의 순환식 표시 중 사용자에 의한 키 조작이 있는 경우에 표시되는 기본 화면이 된다. 상기 메인 표시 화면은 HMI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소형인 관계로 계전기 관리에 필요한 기본적인 메뉴로 형성된다.The main display screen is a basic screen displayed when there is a key operation by the user among the circular display of the relay state. The main display screen is formed as a basic menu necessary for relay management because of the small size of the display formed on the HMI.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계전기 상태의 세부 요소, 예를 들어, 전류치, 전압치 등을 디스플레이 크기와 가독성을 감안하여 여러 화면으로 형성하여 순환식으로 표시하고 있다.Therefore, when there is no operation by the user, the detailed elements of the relay state, for example, the current value, the voltage value, and the like,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creens in consideration of the display size and readability and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상기 순환되는 화면을 순환 표시 화면이라 칭할 경우, 상기 순환 표시 화면 또한 메인 표시 화면과 마찬가지로 공장 출하시에 설정된 화면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순환 표시 화면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임의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When the cycled screen is referred to as a cycle display screen, the cycle display screen is also fixed to a screen set at the time of factory shipment as in the main display screen. Therefore, even if there is a circular display screen which the user does not wan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change it arbitrarily.

또한, 순환 표시 화면이 순환식으로 표시되는 중 사용자의 키조작이 있는 경우 항상 메인 표시 화면으로 전환됨으로써, 사용자가 HMI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최상위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메인 표시 화면부터 원하는 선택 메뉴 화면까지 탐색해 나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In addition, if there is a user's key operation while the circular display screen is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the display is always switched to the main display screen.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search for.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계전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계전기는 변류기가 구비되어 적어도 측정 대상의 전류를 측정하는 계측부(831),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전류의 이상 발생시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하여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부(833)가 구비된 계전기 본체(830) 및 계전 기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11),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 표시 화면을 선택 키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선택 키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설정 표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HMI 제어부(813)가 구비된 HMI(810)를 포함하고 있다.The relay illustrated in FIG. 13 includes a current measuring unit 831 for measuring a current of a measurement target and a relay unit 833 for performing a relay operation on the measurement target when an abnormality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occurs. The relay main body 830 and the display 811 for displaying the relay state, and a setting display screen set by the user in correspondence with a selection key, and the setting display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ccording to activation of the selection key. And an HMI 810 provided with an HMI control unit 813 for displaying.

상기 디스플레이(811)는 계전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요소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8-세그먼트,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된다. HMI의 디스플레이는 사용 용도, 생산 비용, HMI 본체 크기를 고려하여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크기는 사용자의 가독이 용이한 크기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작은 크기의 HMI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메뉴의 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계전기용 HMI의 UI는 한 화면에 많은 메뉴 및 정보를 표시하는 대신, 디스플레이되는 상위 메뉴 선택시, 상기 선택된 상위 메뉴의 하위 메뉴에 해당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하위 메뉴는 하위 메뉴로만 구성된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고 있다.The display 811 is an element indicating a state of a relay, and is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eight-segmen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the like. The display of the HMI is formed into a smaller display in consideration of the intended use, production cost, and HMI body size. Since the size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ust be easy to be read by the user, the number of information or menus displayed on the small size HMI display screen is inevitably limited. Therefore, instead of displaying many menus and information on one screen, the UI of the relay HMI display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lower menu of the selected upper menu when selecting the displayed upper menu. The submenu is displayed as a full screen consisting of only submenus.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새로운 하위 메뉴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상위 메뉴가 표시되는 화면으로 복귀한 후 새로운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각 메뉴 선택시 메인 표시 화면으로 복귀하는 조작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표시 방법은 하위 메뉴 중에서 자주 사용하는 메뉴의 경우에도 해당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order to enter a new lower menu, a new selection must be made after returning to the screen where the upper menu is displayed. That is, an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main display screen when selecting each menu is required. Such a display method is also applicable to a menu frequently used among lower menus, thereby increas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즉,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매번 메인 표시 화면에서 선택하 여 들어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select a desired menu, it is inconvenient to select every time from the main display screen.

계전기용 HMI는 특성상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 계전기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특정 키 조작이 있는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한 키 조작이 일정 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계전기용 HMI는 계전기 상태 표시 모드로 전환하여, 계전기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HMI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제한으로 인하여 한 화면에 계전기 상태 모두를 표시할 수는 없으므로, 계전기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를 적절한 수로 나누어 표시되도록 복수의 순환 표시 화면을 형성한 후, 순환식으로 표시하게 된다.The relay HMI preferably displays the relay status when the operation by the user is not perform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Therefore, when there is a specific key operation by the user or when the key operation by the user has not been performed for a certain time, the relay HMI switches to the relay state display mode and displays the relay state. As mentioned above, due to the size limitation of the display formed on the HMI, it is not possible to display all the relay states on one screen. Therefore, after forming a plurality of circular display screens to display various types of data indicating the relay state by an appropriate number, It is expressed as an expression.

이를 도 14를 통하여 살펴보면, 계전기 상태 표시 조건, 즉 사용자에 의한 특정 키 조작이 있는 경우 또는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키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를 만족하면, 계전기 상태 표시 모드가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 표시할 계전기 상태가 n개의 순환 표시 화면으로 구성된 경우, 순환 표시 화면1 → 순환 표시 화면2 → 순환 표시 화면3 → … → 순환 표시 화면n → 순환 표시 화면1 →…과 같은 방식으로 순환하여 표시된다. 상기 순환 표시 화면의 화면 전환 시간 간격 또한, 공장 출하시 고정된 값으로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4, when the relay state display condition, that is, when there is a specific key operation by the user or when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key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relay state display mode is activated. Specifically, when the relay state to be displayed is composed of n circular display screens, the circular display screen 1 → the circular display screen 2 → the circular display screen 3 →. → Cycle display screen n → Cycle display screen 1 →… It is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as follows. The screen switching time interval of the circular display screen is also a fixed value at the time of factory shipment.

이와 같이 순환 표시 화면이 순환식으로 표시되는 중, 사용자에 의한 키 조작이 있게 되면, 순환 표시 화면의 표시가 중단되고 메인 표시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user is subjected to key operation while the circular display screen is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the display of the circular display screen is stopped and the main display screen is displayed.

상기 순환 표시 화면은 공장 출하시 고정된 화면이므로, 사용자는 필요하지 않거나 원하지 않는 순환 표시 화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지 못해왔다.Since the circular display is a fixed screen at the time of shipment from the factory, the user has not been able to perform correction on the unnecessary or unwanted circular display.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MI 제어부(813)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 표시 화면을 선택 키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선택 키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13, the HMI control unit 813 stores a setting display screen set by a user corresponding to a selection key, and displays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ctivation of the selection key. do.

상기 선택 키는 HMI 상에 형성된 키,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로서 터치 스크린을 적용한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되는 키, 버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lection key may be formed as a key, a button,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the touch screen is applied as a key, a button, or a display formed on the HMI.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소정 화면을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키에 대응되도록 저장하고, 추후 상기 선택 키를 누르는 행위 등으로 활성화시킨 경우 상기 선택 키에 대응되어 저장된 화면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서는 소정 화면이 소정 선택 키에 대응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표시 설정 모드가 사전에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표시 설정 모드는 특정 키에 할당해 둘 수 있다. 상기 표시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모든 키를 상기 선택 키로서 동작하게 하면 상기 표시 설정 모드 상에서의 화면 변경 등이 어려우므로, 상기 표시 설정 모드라 하더라도 현 화면이 대응되어 저장될 선택키는 소정 부위에 위치한 키로 한정하거나, 별도의 특수 키와 함께 누름으로써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redetermined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is stored to correspond to the selection key selected by the user, and later activated by pressing the selection key, the store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key is displayed. To this end, a display setting mode in which a predetermined screen is stored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lection key must be performed in advance. The display setting mode can be assigned to a specific key. Even if the display setting mode is activate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screen on the display setting mode if all keys are operated as the selection key. Therefore, the selection key to which the current screen is correspondingly stored even in the display setting mode. Is preferably limited to a key located at a predetermined site, or operated by pressing together with a special key.

또한 상기 HMI 제어부(813)는 선택 키에 소정 화면을 저장하고, 상기 선택 키의 활성화시 상기 선택 키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각종 메뉴를 변경, 즉 편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메인 표시 화면 외의 화면을 선택 키에 대한 원클릭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표시 화면을 빠르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순환식 화면 표시의 경우, 순환되는 각 화면의 지속 시간 또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MI controller 813 stores a predetermined screen in a selection key, and controls to display a screen stored in the selection key on the display when the selection key is activated.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i.e. edit, various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By doing in this way, screens other than the main display screen can be displayed by one-click on the selection key, whereby the user can quickly acquire a desired display screen.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ircular screen display, the duration of each screen to be cycled can also be set.

이상에서 하나의 표시 화면을 하나의 선택 키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만약 복수의 표시 화면, 즉 복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설정 표시 화면)을 선택 키에 저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 키를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의 수만큼 배치할 수 있다. 또는 HMI에 형성되어 있는 선택 키의 수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선택 키에 복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이 대응되도록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택 키를 반복하여 누름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이 순환식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선택 키에 복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소정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을 대응되는 선택 키에서 제거하기를 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특수 키로서 삭제 키를 마련하여, 상기 삭제 키와 조합하여 소정 선택 키를 누를 경우,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선택 키에서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삭제 키는 하나의 선택 키에 하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선택 키에 복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을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특수키인 저장 키와의 조합에 의하여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 방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선택 키에 하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을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method of storing one display screen corresponding to one selection key has been described. If it is necessary to store a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that is, a plurality of user-defined display screens (setting display screens) in a selection key, the selection keys may be arranged as many as the number of user-defined display screens. Alternatively, when the number of selection keys formed in the HMI is limited, a plurality of user defined display screens may be stored to correspond to one selection ke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repeatedly display a plurality of user-defined display screens stored in cycles by repeatedly pressing the selection key. When a plurality of user defined display screens are stored in one selection key, it may be desired to remove a user defined display screen from a corresponding selection key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ccordingly, the delete key may be provided as a special key so that, when the predetermined selection key is pressed in combination with the deletion key, the currently displayed screen may be removed from the selection key. Of course, the delete key can be applied even when one user defined display screen is stored in one selection key.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user defined display screens are to be stored in one selection key, the storage may be performed by combining with a special key, which is a separate special key. It is also applicable when you want to save a custom display screen.

복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을 순환식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기존 공장 출하시에 설정된 순환 표시화면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을 순환식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순환식으로 표시되는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의 범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 모두가 순환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일부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이 순환식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user defined display screens may be set and the user defined display screens may be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That is, instead of the circular display screen set at the factory, the user-defined display screen set by the user is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ange of the user-defined display screen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All of the plurality of user defined display screens may be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and some user defined display screens may be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예를 들어, 하나의 선택 키에 복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이 대응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선택 키를 장시간 누르게 되면 순환식 표시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여 순환식으로 상기 선택 키에 저장된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순환식 표시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중이라도, 사용자의 다른 키 조작이 발생된 경우, 상기 순환식 표시 모드를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하고, 사용자가 조작한 키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에도 기존에는 공장 출하시에 고정 설정된 메인 표시 화면이 표시될 것이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한 키가 선택 키인 경우, 상기 선택 키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이 표시되며, 이때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은 기존의 메인 표시 화면과 같은 화면이 되며, 상기 메인 표시 화면과 구별하여 사용자 정의 선택 화면으로 칭한다. 즉, 상기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은 사용자의 선택 키 조작에 따라 모두 사용자 정의 선택 화면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user-defined display screens ar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one selection key, when a user presses the selection key for a long time, the circular display mode is activated to display the user-defined display screen stored in the selection key in a circular manner. You can do that. Of course, even if the circular display mode is activated, when another user's key operation occurs, the circular display mode should be switched to an idle state and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key operated by the user should be displayed. will be. In this case, the main display screen fixed at the time of factory shipment will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operated key is a selection key, a user-defined display scree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key is displayed, and the user-defined display screen is the same screen as the existing main display screen. It is called a user-defined selection screen separately from the main display screen. That is, all of the user defined display screens may be user defined selection screen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key manipulation.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단일 또는 복수의 선택 키에 대응하여 저장한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이 n개 존재할 경우,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1 →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2 →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3 → … →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 n →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1 →…과 같은 방식으로 순환하여 표시된다. 이렇게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한 선택 키 조작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 키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의 선택 화면을 바로 표시하게 되어, 사용자의 메뉴 선택 동작을 간소화시킨다. 물론, 상기 사용자 정의 선택 화면은 기존 메인 표시 화면과 달리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 각각이 사용자 정의 선택 화면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when there are n user-defined display screen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a single or a plurality of selection keys, the user-defined display screen 1 → the user-defined display screen 2 → the user-defined display screen 3 →. → Custom display screen n → Custom display screen 1 →… It is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as follows. If there is a selection key operation by the user while being displayed in this way, the user-defined selection screen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lection key is immediately displayed, thereby simplifying the user's menu selection operation. Of course, a plurality of user-defined selection screens may exist, unlike the existing main display screen, and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user-defined display screens may function as a user-defined selection screen.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이 복수개이며 그 중 일부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만을 순환식으로 표시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선택 키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 중 일부 또는 여러 선택 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의 표시 화면 중 일부를 조합하여 순환식으로 표시할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선택 키로서 순환 표시 설정 키를 마련하여, 상기 순환 표시 설정 키가 활성화된 동안에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화면을 순환식 표시 대상 화면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There may be a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 defined display screens and only some of the user defined display screens are to be cyclically displayed. For example, some of the plurality of user-defined display screens stored in one selection key or some of the user-defined display screens stored in several selection keys may be combined and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To this end, the circular display setting key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selection key so that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set as the circular display target screen while the circular display setting key is activa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키 조작이나 일정 시간 키 입력이 없는 경우(타이머를 이용), 순환식으로 표시되는 계전기 상태의 표시 화면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으며, 메뉴 선택 화면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바로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re is no user's key operation or key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using a timer), the user can directly designate a relay display screen which is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and a menu selection screen is also desired by the user. Can be displayed immediately.

한편,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for the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의 일예로써, 모터 보호 계전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1 is an example of a protection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motor protection relay.

도 2는 보호 계전기의 계전기 본체를 감싸는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surrounding the relay body of the protective relay.

도 3은 HMI 일체형 보호 계전기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HMI integrated protective relay.

도 4는 HMI 일체형 보호 계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HMI integrated protection relay.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on relay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otection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의 신호 배선 연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ignal wiring connection state of a protective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계전기 감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lay monitoring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계전기 감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relay monitoring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계전기용 HMI를 나타낸 블럭도.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HM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용 HMI를 나타낸 블럭도.Figure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HMI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실시예에 따른 계전기용 HMI를 나타낸 개략도.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lay HMI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계전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Figure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일반적인 계전기의 UI 실행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I execution method of a general relay.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계전기의 UI 실행 방식을 나타 낸 개략도.1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I execution method of the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811...HMI 제어부 813...디스플레이811 HMI control 813 Display

Claims (4)

변류기가 구비되어 적어도 측정 대상의 전류를 측정하는 계측부,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전류의 이상 발생시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하여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부가 구비된 계전기 본체 및A curren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t least a current of the measurement target, and a relay main body including a relay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relay operation on the measurement target when an abnormality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occurs; 계전기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 표시 화면을 선택 키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선택 키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설정 표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HMI 제어부가 구비된 HMIHMI hav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 relay state and a HMI control unit for storing a setting display screen set by a user corresponding to a selection key and displaying the setting display screen on the display according to activation of the selection key. 를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계전기.Relay having a user-defin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 키는 HMI 상에 형성된 버튼인 사용자 설정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계전기.And the select key is a button formed on the HMI.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HMI 제어부는 상기 설정 표시 화면이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복수개의 설정 표시 화면을 순환식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설정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계전기.And the HMI control unit has a user setting screen display device for circularly displaying a plurality of setting display screens by a user's opera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tting display screen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HMI 제어부는 순환식으로 표시되는 복수개의 설정 표시 화면 각각의 표시 지속 시간의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설정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계전기.And the HMI controller includes a user setting screen display device capable of setting a display dur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setting display screens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KR1020090020486A 2009-03-10 2009-03-10 Reray with display for user setting KR1012400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86A KR101240034B1 (en) 2009-03-10 2009-03-10 Reray with display for user set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86A KR101240034B1 (en) 2009-03-10 2009-03-10 Reray with display for user set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008A true KR20100102008A (en) 2010-09-20
KR101240034B1 KR101240034B1 (en) 2013-03-06

Family

ID=4300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486A KR101240034B1 (en) 2009-03-10 2009-03-10 Reray with display for user set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03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0474A (en) * 2010-10-28 2013-10-30 Abb技术有限公司 Human-machine interface for a self-supplied relay
KR20190095780A (en) * 2018-02-07 2019-08-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onitoring and load controlling system of distribution panel
KR102039327B1 (en) * 2018-06-12 2019-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asy protective relay to pullou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9482A (en) * 1995-03-08 1996-09-27 Meidensha Corp Digital relay
KR200288242Y1 (en) * 2002-06-01 2002-09-09 이진락 The static condenser protection of a substation for digital voltage relay
KR100549824B1 (en) * 2003-11-17 2006-02-08 주식회사 효성 Digital relay
KR200392658Y1 (en) * 2005-05-11 2005-08-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Digital Relay with USB Por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0474A (en) * 2010-10-28 2013-10-30 Abb技术有限公司 Human-machine interface for a self-supplied relay
KR20190095780A (en) * 2018-02-07 2019-08-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onitoring and load controlling system of distribution panel
KR102039327B1 (en) * 2018-06-12 2019-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asy protective relay to pullout
US10483063B1 (en) 2018-06-12 2019-11-19 Lsis Co., Ltd. Protective relay with easy withdrawal
CN110600325A (en) * 2018-06-12 2019-12-20 Ls产电株式会社 Easy-to-draw r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034B1 (en)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0232B2 (en) Electronic protection device for circuit breaker and corresponding programming method
CN101498744B (en) Rotary switch memory for digital multimeter
CN106066637B (en) On-site equip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858193A1 (en) A switching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377485B2 (en) Handheld measurement system with selectable options
KR101240034B1 (en) Reray with display for user setting
US20210123821A1 (en) Temperature calibrator with advanced functionality
KR101245091B1 (en) Relay using external memory
KR101473694B1 (en) Temperature and humidity remote control unit, temperature and humidity remote control system
CN106254193B (en) Fieldbus device for detecting operating state of automation equipment
CN102456991A (en) Power socket device capable of switching on/off power in remote control manner and remote control type power socket thereof
EP28765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put-driven, switching-enabled, display device for an automation controller
KR200178021Y1 (en) Digital motor control unit and remote motor control system
KR200360131Y1 (en) An electronic wattmeter consists of plurality module
JP3214953U (en) Circuit breaker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and distribution box
KR20100102005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
KR102307959B1 (en) Solar connection board with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function and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JP3129502U (en) Water level controller using power frequency carrier
CN108899796B (en) Intelligent control device of switch cabinet
JP5184027B2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and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system
KR101701733B1 (en) Apparatus For Test and Evaluation of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Device
KR101681592B1 (en) Selective setting and saving apparatus of protection for electronic motor protection relay
KR101240124B1 (en) Protection relay
KR101383514B1 (en) Distributing board having event recording function
KR101260928B1 (en) Cluster apparatus with a function of vehicle option s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