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649A -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선별적으로 컨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 Google Patents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선별적으로 컨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649A
KR20100099649A KR1020090108786A KR20090108786A KR20100099649A KR 20100099649 A KR20100099649 A KR 20100099649A KR 1020090108786 A KR1020090108786 A KR 1020090108786A KR 20090108786 A KR20090108786 A KR 20090108786A KR 20100099649 A KR20100099649 A KR 20100099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ice
fragment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587B1 (ko
Inventor
이지혜
이상민
이승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9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을 통해 선별적으로 컨텐트(content)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별은 단말 내에 저장된 개인 기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컨텐트의 메타데이터(metadata) 등을 판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컨텐트가 광고일 경우에 상기 개인 기호에 적합한 속성을 갖는 광고의 수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방송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컨텐트에 대한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되는 적합한 컨텐트가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방송 시간과 컨텐트의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방송 시간 중에 상기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특정 기간 동안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컨텐트의 목록, 상기 전송되는 컨텐트가 타겟하는 수신자의 특성 및 상기 전송되는 컨텐트의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비스 가이드,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송망, 광고, BCAST

Description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선별적으로 컨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METHOD FOR OBTAINING CONTENT SELECTIVELY USING SERVICE GUIDE DELIVERED THROUGH BROADCAST NETWORK, AND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이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활용하여 선별적으로, 예컨데 광고와 같은, 컨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에 컨텐트를 제공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모든 단말에게 동일한 내용의 컨텐트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단말의 사용자는 각각의 취향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트를 필요로 할 것이다. 따라서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내용의 컨텐트가 전달된다면,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지 않는 컨텐트를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컨텐트가 광고일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지 않는 광고를 스팸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텐트 서버가 각각의 사용자별로 적절한 컨텐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각각의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해 주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단말이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점 대 점(point-to-point) 방 식으로 컨텐트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전송으로 인하여 상당한 양의 네트워크 자원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각의 단말이 방송망을 통해 컨텐트를 수신받는 경우, 각각의 단말은 방송망을 통해 상기 컨텐트를 전부 수신받은 후에야 상기 단말이 원하는 컨텐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인 수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단말의 자원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활용하여,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컨텐트 중 상기 단말에게 적합한 컨텐트를 선별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세부적인 절차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컨텐트가 광고일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활용하여,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광고 중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를 선별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세부적인 절차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되는 컨텐트를 방송망을 통해 선별적으로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방송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컨텐트에 대한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되는 적합한 컨텐트가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방송 시간과 컨텐트의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방송 시간 중에 상기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특정 기간 동안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컨텐트의 목록, 상기 전송되는 컨텐트가 타겟하는 수신자의 특성 및 상기 전송되는 컨텐트의 방송 시간과 상기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단말 내의 컨텐트 엔진이 상기 단말 내의 BCAST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BCAST 클라이언트가 상기 방송망을 통해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BCAST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비스 가이드 중 컨텐트 엔진에 관련된 프래그먼트(fragment)를 선별하여, 상기 선별된 프래그먼트를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BCAST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트 엔진에게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service fragment)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은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 및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식별자(Identifier; ID)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하여 연관된 다른 프래그먼트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서비스의 타입을 가리키는 요소가 컨텐트 전달 혹은 방성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서비스를 의미하는 특정 값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 및 컨텐트 프래그먼트 등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식별자 요소와의 레퍼런스 관계를 통해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와 연관되고, 상기 변환은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 및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식별자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하여 연관된 다른 프래그먼트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서비스의 타입 을 가리키는 요소가 파일 다운로드 혹은 방송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서비스를 의미하는 특정 값을 갖고, 상기 식별자 요소를 통해 연관된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확장 정보를 가리키는 요소가 컨텐트 전송을 위한 정보들을 정의하는 이름 공간(name space)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 및 컨텐트 프래그먼트 등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식별자 요소와의 레퍼런스 관계를 통해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와 연관되고, 상기 변환은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 및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식별자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하여 연관된 다른 프래그먼트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서비스의 타입을 가리키는 요소가 파일 다운로드 혹은 방송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서비스를 의미하는 특정 값을 갖고, 상기 서비스 프레그먼트 혹은 상기 식별자 요소를 통해 연관된 컨텐트 프래그먼트에 컨텐트의 안내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식별자 요소를 통해 연관된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가리키는 요소가 상기 컨텐트의 전송을 위한 서버의 URL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 내의 컨텐트 엔진은 상기 단말 내의 개인 기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에 포함된 컨텐트가 타겟하는 수신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컨텐트의 메타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특정 기간 동안 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특정 기간은 1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상기 방 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복수 개의 컨텐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컨텐트의 전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컨텐트의 전송 시간은 각각 상기 1개 이상의 구간 중 하나이며, 상기 적합한 컨텐트는 상기 복수 개의 컨텐트 중 일부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단말 내의 컨텐트 엔진이 상기 단말 내의 BCAST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BCAST 클라이언트가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상기 방송 시간 중에 수신하는 단계, 상기 BCAST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트 엔진에게 상기 수신한 적합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트 엔진이 상기 단말에 상기 제공받은 컨텐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은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 내에 전역 컨텐트 식별자(global content identifier) 또는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적합한 방송 시간을 설명하는 스케쥴(schedule) 프래그먼트 및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의 컨텐트의 위치를 가리키는 요소와 래퍼런스 관계를 통해서 연관되는 접근(access) 프래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시간은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의 요소를 통해 지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가 제공되는 기간의 종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추출 단계 및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종기 이후에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를 요청하는 정책을 포함하는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규칙은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의 요청 시작 시간(start time)과 구간(timeframe)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추출 단계 및 상기 저장 단계는는 상기 요청 시작 시간에 순차적으로 시작되며, 이후 상기 구간마다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변경된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된 규칙은 상기 구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작 시간 및 상기 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망을 통해 선별적으로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말은, 방송망을 통해 컨텐트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BCAST 클라이언트 및 상기 BCAST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트 안내 정보를 제공받는 컨텐트 엔진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와 전자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BCAST 클라이언트 및 상기 컨텐트 엔진의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들여 작동시키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트 엔진은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되는 적합한 컨텐트를 판단하고,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로부터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방송 시간과 컨텐트의 식별자를 추출하며, 상기 BCAST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트 엔진으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상기 컨텐트 엔진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방송 시간에 상기 방송망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BCAST 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한 컨텐트를 상기 컨텐트 엔진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이 방송망을 통해 컨텐트를 전송받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전송으로 인해 무선 통신 채널의 네트워크 자원이 요구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활용하여,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컨텐트 중 상기 단말에게 적합한 컨텐트를 선별적으로 수신한다. 따라서, 선택적인 수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단말의 자원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텐트가 광고일 경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광고를 선별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단말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자원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수신된 광고가 광고로서의 목적을 이룰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방송망을 통해 컨텐트(content)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 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 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단말에서 사용되는 컨텐트 전반에 대해 적용될 수 있으나, 특히 상기 컨텐트가 광고일 경우에 그 목적이 더 구체화되고, 더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인 컨텐트를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거나, 상기 컨텐트가 광고일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의 정의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를 기술한다.
1) 컨텐트 서버(content server)
컨텐트 서버는 이동통신사 또는 관련 회사가 컨텐트를 저장하고 단말에게 분배하기 위해 운영하는 서버이다. 상기 컨텐트가 광고일 경우 상기 컨텐트 서버를 광고 서버(ad server)라고 한다.
2) 컨텐트 엔진(content engine)
컨텐트 엔진은 단말 내 개체(entity)이다. 상기 컨텐트 엔진은 단말 내에서 컨텐트의 제공에 필요한 작업을 처리한다. 상기 컨텐트가 광고일 경우 상기 컨텐트 엔진을 광고 엔진(ad engine)이라고 한다.
3)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은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말 내 프로그램이다. 상기 컨텐트가 광고일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광고 애플리케이션(ad application)이라고 한다.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에는 문자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게임, 뉴스 티거(ticker), 웹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다.
4) 컨텐트(content), 광고(ad) 및 메타데이터(metadata)
컨텐트는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의미한다. 상기 컨텐트는 상기 컨텐트의 속성을 설명해 주는 컨텐트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가 광고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경우, 상기 컨텐트를 광고(ad)라고 하며, 상기 광고는 상기 광고의 속성을 설명해 주는 광고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 중 상기 광고 메타데이터를 제외한 내용 자체를 광고 컨텐트라고 한다. 상기 광고 메타데이터는 만기, 타입 및 제한조건(예컨데, 내부적으로 보여지는 횟수나 시간 등에 대한 제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5) 방송망(broadcast network)
본 발명에서의 방송망은 방송 전용(예컨데 DVB-H)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망은 컨텐트 서버와 광고 단말에서 사용하는 망(예컨데 UMTS와 같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 등이 제공하는 망) 내의 방송 채녈(예컨데 MBMS)일 수도 있다.
6) BCAST 서버(server)
BCAST 서버는 방송 서버스를 전송하는 서버로, 실제 방송 내용과 함께 방송 내용을 설명하는 서비스 가이드를 방송망을 통해 전송한다.
7) BCAST 클라이언트(client)
BCAST 클라이언트는 단말 내의 개체이다. 상기 BCAST 클라이언트는 방송망을 통해 방송 내용 및 서비스 가이드 등을 수신하며, 수신한 정보를 특정 용도에 맞도록 조작할 수 있다.
8)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
서비스 가이드는 방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여러 컨텐트의 정보를 담은 정보 개체를 의미하거나, 그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능을 의미한다.
9) 규칙(rule)
규칙은 컨텐트 엔진의 동작에 대한 지시사항으로, 컨텐트 서버가 작성하여, 컨텐트 엔진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규칙은 단말이 방송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시작 시간 을 지정하는 시작 시간(start time) 항목과, 상기 방송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한 시간 구간을 지정하는 타임프레임(timeframe)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임프레임 항목은 1 시간, 2 시간, 24 시간 등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망을 통한 선별적 컨텐트 제공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망을 통한 선별적 컨텐트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상기 시스템은 단말(100), 컨텐트 서버(200), BCAST 서버(210) 및 컨텐트 제공자(220)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컨텐트 엔진(110), BCAST 클라이언트(120) 및 애플리케이션(130)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이 광고 컨텐트를 위한 것이라면, 상기 컨텐트 서버(200)는 광고 서버이고, 상기 컨텐트 제공자(220)는 광고주이며,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광고 엔진이며, 상기 애플리케이션(130)은 광고 애플리케이션이다.
먼저, 상기 단말(100) 내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컨텐트 서버(200)와 이동 통신망 등의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컨텐트 서버(200)로부터 규칙을 전송받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컨텐트 서버(200)가 관리하는 컨텐트를 전송받아, 상기 컨텐트를 상기 단말(100)에 저장한 다. 추가적으로,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단말 내에서 사용자가 활동한 정보 등을 상기 컨텐트 서버(200)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트 서버(200)가 상기 단말(100)이 요구하는 컨텐트를 판단하는데 기초가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에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따라 방송망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서비스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컨텐트를 전송받을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에게 전송받을 것으로 결정된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한다.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로부터 상기 컨텐트를 제공받고, 상기 컨텐트를 상기 단말(10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130)으로부터 컨텐트 제공의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100) 내의 컨텐트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130)이 필요로 하는 컨텐트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130)이 수집한 상기 애플리케이션(130)을 통해 사용자가 활동한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는 상기 BCAST 서버(210)와 방송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는 상기 BCAST 서버(210)로부터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에는 상기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컨텐트가 포함된다.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는 상기 서비스 가이드 중 일부를 상기 컨텐트 엔진(110)이 이해할 수 있는 형식의 서비스 정보로 변환한다.
그외, 상기 컨텐트 엔진(110)과의 연결 관계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30)은 컨텐트의 내용이 출력되는 단말 내 프로그램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130)을 통해 사용자가 활동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엔진(110)과의 연결 관계는 전술한 것과 같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100) 외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컨텐트 서버(2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컨텐트 제공자(220)로부터 컨텐트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컨텐트 서버(100)는 상기 컨텐트 제공자(220)에게 상기 제공받은 컨텐트의 상기 단말(100) 내 활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BCAST 서버(210)에게 컨텐트 및 상기 컨텐트를 방송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컨텐트 서버와 상기 BCAST 서버는 동일한 물리적 서버 내에 설치된 각각의 프로그램을 칭하는 것일 수 있으며, 동일한 프로그램 내에 각각의 모듈을 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엔진(110)과의 연결 관계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컨텐트 제공자(220)는 컨텐트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상기 컨텐트 서버(200)와의 연결 관계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BCAST 서버(210)는 상기 컨텐트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트 및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가이드를 작성하며, 상기 컨텐트와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방송망을 통해 방송한다.
상기 컨텐트 서버(200) 및 상기 BCASAT 클라이언트(120)와의 연결 관계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컨텐트가 광고일 경우, 상기 컨텐트 서버(200), 즉 광고 서버와, 상기 컨텐트 엔진(110), 즉 광고 엔진은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정의된 MobAd(Mobile Advertisement) Enabler(3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고 엔진(110)은 MobAd-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130)으로부터 광고 전송 요청을 받는다. 상기 광고 엔진(110)은 MobAd-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광고 서버(200)에게 광고를 요청하고, 상기 광고 서버(200)가 전송한 상기 광고를 수신한다. 상기 광고 엔진(110)은 상기 수신한 광고를 상기 광고 애플리케이션(130)으로 전송한다.
상기 광고 서버(200)는 외부 요청이 없이도 Delv-1 인터페이스를 통해 PUSH(푸쉬) 방식으로 상기 광고 엔진(110)으로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USH 방식으로 WAP PUSH(왑 푸쉬)나 BCAST Enabler(이네이블러)가 사용된다. BCAST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광고 서버(100)는 상기 BCAST 서버(210)로 광고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200)은 상기 BCAST 서버(210)에 연결된 방송망을 통하여 광고를 수신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가이드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이드를 도시한 도이다. 상기 구성은 OMA BCAST(broadcast service) Enabler에서 정의한 서비스 가이드의 구성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크게 관리(administrative) 부분, 프로비져닝(provisioning) 부분, 핵심(core) 부분, 접근(access) 부분 및 상기 부분에 속하지 않는 기타 프래그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핵심 부분은 서비스(service) 프래그먼트, 스케쥴(schedule) 프래그먼트, 컨텐트(content) 프래그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접근 부분은 접근(access) 프래그먼트 및 세션 디스크립션(session description) 프래그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트 아이템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구매나 가입 정보와 같은 서비스의 기능에 관련한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서비스 가이드의 일부분으로서 타 프래그먼트의 중앙 허브(hub) 역할을 한다.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는 관련된 콘텐트 아이템이 스트리밍(streaming), 다운로딩(downloading) 또는 렌더링(rendering) 될 타임프레임(timeframe)을 정의한다.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는 항상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참조한다.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는 특정 컨텐트 아이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컨텐트의 타입, 설명, 언어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텐트의 목표하는 사용자 그룹 이나 지리적 위치, 장르, 청소년 보호의 내용을 다룬다.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는 프리뷰데이터 프래그먼트 또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로부터 참조될 수 있다.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는 어떻게 서비스가 그 생명주기 동안 접근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는 세션 디스크립션(session description) 정보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고유 자원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참조하고, 상기 서비스의 전달 방법을 지시한다.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와 관련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거나 또는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로부터 참조될 수 있다.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는 상기 단말(100)이 특정 서비스를 수신하고 렌더링하기 위해, 상기 단말(100)이 필요로 하는 능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세션 디스크립션(session description) 프래그먼트는 특정 서비스 혹은 콘텐트 아이템으로 접근하는데 필요한 세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 프래그먼트는 관련된 전달 프로시져에서 사용되기 위한 부가 설명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션 디스크립션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RFC 4566를 참조) 신택스 또는 3GPP MBMS USDB(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3GPP TS 26.346]를 통해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트 서비스를 위한 스키마 및 상기 스키마의 요소(element) 및 속성(attribute)에 대한 설명을 도시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스키마는 광고 컨텐트를 전제로 요소 및 속성을 명명하였 지만, 전술한 것처럼 광고 뿐만이 아닌 컨텐트 일반을 제공하기 위한 스키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서비스 정보(MobAd Service Info) 대신 서비스 정보(Service Info)"와 같은 이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MobileAdService" 요소는 "MobileContentService"와 같은 이름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Advertisement" 요소는 컨텐트의 실제 데이터를 의미하게 될 것이며 또한 기타 속성 및 요소의 역할도 컨텐트 일반에 대한 것으로 될 것이다.
광고 서비스 정보(MobAd service info)는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광고, 상기 광고의 송신 일정 및 단말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광고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추가 속성 정보를 설명한다. 즉, 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는 광고에 대한 안내 정보이다. 광고 서버(200)는 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를 작성하여, 작성된 광고 서비스 정보를 광고와 함께 BCAST 서버(210)에게 전달한다. 이하, 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컨텐트 일반에 대한 서비스를 위한 스키마를 컨텐트 서비스 정보라고 한다. 역시,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는 컨텐트에 대한 안내 정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트 서비스를 위한 스키마를 참조한 서비스 가이드의 작성 예를 도시한다.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 및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는 그 내용에 따라 제1 예와 제2 예가 도시되었다.
상기 프래그먼트들의 요소 또는 속성 중, 실제 광고 선택을 위해 쓰이는 부분은 이텔릭체로 표시되었거나, 밑줄이 그어진 채로 표시되었다. 이 중 이탤릭체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BCAST 서버(210)가 생성하는 부분이며, 밑줄이 그어진 부분은 상기 BCAST 서버(210)가 상기 광고서버(200)로부터 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의 요소 또는 속성의 값을 사용하여 부가시키는 부분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서비스 가이드의 프래그먼트들의 작성 방법 중 주요한 부분을 설명한다. 전술한 상기 프래그먼트들의 요소 또는 속성 중 밑줄이 그어진 부분, 즉 복사에 의해 부가되는 부분은 별도의 설명 없이도 그 작성 방법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상기 BCAST 서버(210)는 상기 광고 서버(200)로부터 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MobAd Service Info)(도 2)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상기 서비스 가이드의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스케쥴 프래그먼트, 컨텐트 프래그먼트 및 접근 프래그먼트 등을 생성한다.
1)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생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ServiceType 요소는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를 나타내는 값(예컨데, 5) 또는 광고 서비스를 나타내는 값을 갖는다. OMA BCAST에 의할 경우, 상기 ServiceType의 값이 5일 경우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를 의미하는 기 정의된 타입을 가리키게 되고, 상기 ServiceType의 값이 15인 경우 광고 전달 서비스(Advertisement Service)를 의미하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된 타입을 가리키 게 된다. 만일 광고 이외의 추가 서비스를 지정하고 싶은 경우, 상기 추가 서비스를 의미하는 ServiceType의 값을 정의하고, 이후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할 BCAST 클라이언트(120)가 상기 정의된 값에 따라 상기 추가 서비스와 연관된 단말 내 개체에게 상기 서비스 가이드의 정보를 전송해주면 된다.
다음,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참조하는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와 컨텐트 프래그먼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와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Service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이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참조하게 한다.
다음으로, 광고를 전송하는 방식의 세부 내용을 설명하는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를 작성한다.
2)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는 일정에 따라 하나의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가 1개 이상의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를 참조하도록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의 Content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이 1개 이상의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를 참조하게 하고, 상기 ContentReference 요소의 startTime 속성 및 endTime 속성이 각각 상기 광고의 방송망을 통한 전송 시작 시점과 끝 시점을 가리키게 한다.
3)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생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는 하나의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가 하나의 광고에 대응하도록 생성한다.
광고 서버를 운영하는 이동통신사 또는 기타 회사는, 광고 메타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광고 메타데이터를 이름-값의 쌍(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의 MobAdMetaData 요소의 Name 속성과 Value 요소의 쌍을 사용하는 경우)이나 스트링의 연속(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의 ContextualData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가 광고의 속성을 지정하기 위해 MobAdMetaData 요소의 Name 속성과 Value 요소의 쌍을 사용한 경우(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제1 예), 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를 위한 이름 공간(name space)를 참조하는 PrivateExt 요소를 채워준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상기 PrivateExt 요소가 참조하는 이름 공간이 광고 전송을 위한 것임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광고 엔진(1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가 선택적으로 응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서비스 정보가 광고의 속성을 지정하기 위해 ContextualData 요소를 사용한 경우(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제2 예),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Extension 요소의 Description 요소의 값을 상기 ContextualData 요소의 값들로 채워주고, url 속성은 광고용으로 전송되는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임을 알 수 있는 주소를 갖게 한다. 이는 ServiceType이 5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다른 서비스와 광고 전송을 위한 서비스를 서로 구분하여, 상기 광고 엔진(1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가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취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단, 상기 ContextualData 요소를 사용한 경우라도, 상기 이동통신사 또는 기타 회사가 광고 영역에서 정의한 이름 공간을 사용하기를 원할 경우, 상기 정의된 이름 공간을 참조하는 상기 PrivateExt 요소를 작성한다.
광고 전송이 아닌 컨텐트 일반을 위한 데이터라면, 상기 데이터를 설명해 주 는 메타데이터를 상기 PrivateExt 요소 또는 상기 Extension에 저장시키면 된다.
4)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의 생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제 광고 콘텐츠는 파일 형태로 ALC 또는 FLUTE 세션(session)을 사용하여 방송된다. 상기 ALC 세션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는 1개 이상의 File 요소를 갖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File 요소는 실제 광고 콘텐츠의 Content-Location 정보와 ALC 세션 중의 객체(Object) 구분자인 TOI(Transport Object Identifier)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FLUTE 세션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FLUTE 세션은 자체적으로 파일 설명 테이블(file description table)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일 설명 테이블은 각 광고 콘텐츠 파일의 상기 Content-Location 정보와 상기 TOI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Content-Location 정보는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에서 기술된 Content-Location과 대응하고, 상기 스케쥴 프프래그먼트는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ID와 상기 Content-Location의 쌍을 가짐으로써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와 상기 ALC 세션 내의 상기 TOI를 연결 짓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방송망을 통한 선별적 컨텐트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망을 통한 선별적 컨텐트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는 크게 상기 BCAST 서버(210) 및 상기 컨텐트 서버(200)에서 동 작이 이루어지는 서버 내 단계와, 상기 단말(100)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는 단말 내 단계로 나뉘어진다. 상기 서버 내 단계와 상기 단말 내 단계를 차례로 설명한다.
1) 상기 서버 내 단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컨텐트 서버(200)는 어떤 컨텐트를 방송망을 통해 전송할지를 결정하고, 각 광고 별 전송 일정을 결정한다. 상기 컨텐트 서버(210)는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도3의 스키마와 같은 컨텐트 서비스 정보를 작성한다. 단,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는 전역 컨텐트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컨텐트 서버(210)는 작성된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를 상기 BCAST 서버(210)로 전송한다(S110). 상기 BCAST 서버(210)는 상기 전역 컨텐트 식별자를 작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는 특정 기간 동안 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특정 기간은 1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컨텐트의 전송 일정, 즉 전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컨텐트의 전송 시간은 각각 상기 1개 이상의 구간 중 하나이다. 예를 들면, 상기 도 5에서 서비스 가이드 S1는 T0에서부터 T2까지의 기간(이하, (T0, T2)로 표시한다) 동안 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기간은 2개의 구간, 즉 (T0, T1)과 (T1, T2)로 분할된다. 상기 S1은 컨텐트 A, B, C, D 및 E의 정보 등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트 A 및 B는 상기 구간 (T0, T1) 동안에 전송되며, 상기 컨텐트 C, D 및 E는 상기 구간 (T1, T2) 동안에 전송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BCAST 서버(210)는, 예컨데 대역폭 제한(bandwidth limit) 과 같은 방송망의 사정을 고려하여, 상기 컨텐트 서버(200)와 상기 전송 일정의 조정 협상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서버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수집한 단말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상기 결정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상기 BCAST 서버(210)는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한다(S112). 상기 서비스 가이드의 생성에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의 생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래그먼트 각각의 생성 방법은 전술한 것과 같다.
다음, 상기 BCAST 서버(210)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방송한다(S114).
2) 상기 단말 내 단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 내 단계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로부터 단말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컨텐트와 상기 적절한 컨텐트의 방송 시간 및 상기 컨텐트의 식별자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및 상기 적절한 컨텐트의 방송 기간 중에 상기 컨텐트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 단계로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추출 단계, 상기 저장 단계 및 기타 부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2-1) 상기 수신 단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컨텐트 중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를 선별하기 위해,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BCAST 클라이언트(120)에게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를 요청한다(S120). 상기 요청은 단말의 운용을 위한 내부 함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등을 이용한 요청일 수 있으며,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가 수신받은 서비스 가이드를 저장한 공유 메모리에 대한 접근 요청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공유 메모리에 대한 접근을 할 경우에는,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의 상기 서비스 가이드의 수신 여부와는 무관하게, 상기 컨텐트 엔진(110)이 상기 공유 메모리에 새롭게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가이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한다(S130). 다음,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 중 컨텐트 엔진에 관련된 프래그먼트를 선별하여, 상기 선별된 프래그먼트를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로 변환한다(S132).
바람직하게, 상기 변환은 상기 서비스 가이드 내의 프래그먼트 중 특정한 프래그먼트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한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상기 ServiceType 요소의 값이 컨텐트 전달을 의미하거나 또는 방송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상기 ID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하여 연관된 다른 프래그먼트도 상기 변환의 대 상이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한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상기 ServiceType 요소의 값이 파일 다운로드를 의미하거나 혹은 방송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서비스를 의미하고, 상기 ID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해 연관된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상기 PrivateExt 요소가 컨텐트 전송을 위한 정보들을 정의하는 이름 공간(name space)을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상기 ID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하여 연관된 다른 프래그먼트도 상기 변환의 대상이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한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상기 ServiceType 요소의 값이 파일 다운로드를 의미하거나 방송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서비스를 의미하고, 상기 ID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해 연관된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상기 URL 요소가 컨텐트의 전송을 위한 서버의 URL을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프레그먼트 또는 상기 ID 요소를 통해 연관된 컨텐트 프래그먼트는 상기 컨텐트의 컨턴트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상기 ID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하여 연관된 다른 프래그먼트도 상기 변환의 대상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는 상기 컨텐트 엔진(110)에게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를 전송한다(S140).
바람직하게,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는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이드를 단말 내의 번역 모듈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번역 모듈은 상기 서비스 가이드 중 컨텐트의 전달에 관련된 프래그먼트를 선별하여, 상기 선별된 프래그먼트를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컨텐트 엔진(110)에게 전송한다.
2-2) 상기 추출 단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적절한 컨텐트를 판단하고, 상기 적절한 컨텐트의 방송 시간 및 컨텐트의 식별자를 추출한다(S142).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단말(100) 사용자의 개인 기호에 대한 정보인 C&PR(Contextualization and Personalization; 맥락화 및 개인화)과 상기 컨텐트의 메타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적절한 컨텐트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컨텐트가 타겟(target)하는 수신자의 특성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130)으로부터 상기 단말(100)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활동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PR을 생성할 수 있다.
2-3) 상기 저장 단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에게 상기 적절한 컨텐트를 상기 방송망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컨텐트 엔진(110)에게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150).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의 상기 globalContentID 속성을 사용하여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주소 값, 즉 ID 요소 값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를 상기 컨텐트 엔진(110)에게 전달하여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는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전송 시간을 설명하는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를 찾고,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의 상기 contentLocation 요소와 상기 content 요소를 통해 연관되는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를 찾는다.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는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를 사용하여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상기 방송 시간 중에 수신한다(S160). 수신 후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는 상기 컨텐트 엔진(110)에게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제공한다(S170).
바람직하게, 상기 제공은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파일의 형식으로 상기 컨텐트 엔진(110)에게 전송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파일에 대한 레퍼런스의 형태로 상기 컨텐트 엔진(110)에게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단말(100)에 상기 제공받은 컨텐트를 저장한다(S172).
2-4) 마지막으로, 기타 부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로부터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가 제공되는 기간의 종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종기가 되면,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추출 단계 및 상기 저장 단계를 다시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가이드 S1 내의 컨텐 트 서비스 정보는, 상기 S1이 제공되는 종기인 T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T0, T2) 동안 전술한 단계들(S100)이 수행된 뒤,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T2 부터 다시 전술한 단계들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고(S200), 이후에도 같다(S300). 상기 단계들이 반복될 때마다 전송되는 서비스 가이드는 변경되고(S1, S2 및 S3), 전송되는 컨텐트 또한 변경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컨텐트 서버(200)로부터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책을 포함하는 규칙을 수신할 수 있다(S90). 상기 규칙은 상기 컨텐트 서비스 정보의 요청 시작 시간(start time)과 구간(timeframe)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100)은 상기 요청 시작 시간에,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추출 단계 및 상기 저장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작하며, 이후 상기 구간마다 상기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한다. 단, 상기 구간은 실제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 가이드가 변경되는 기간보다는 더 짧아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특정 서비스 가이드가 미처 수신되기 전에 다음 서비스 가이드가 전송되어, 서비스 가이드 및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 관련된 컨텐트가 유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트 엔진(110)은 상기 컨텐트 서버(200)로부터 변경된 상기 규칙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규칙은 상기 구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작 시간 및 상기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 어, 이동 단말기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30),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 및 상기 컨텐트 엔진(130)은 각각 단말 내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process)일 수 있으며, 또는 특정 프로세스의 모듈(module)이나 쓰레드(thread)로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130), 상기 BCAST 클라이언트(120) 및 상기 컨텐트 엔진(130)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와 전자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들여 작동시키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망을 통한 선별적 컨텐트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가이드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트 서비스를 위한 스키마 및 상기 스키마의 요소(element) 및 속성(attribute)에 대한 설명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트 서비스를 위한 스키마를 참조한 서비스 가이드의 작성 예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망을 통한 선별적 컨텐트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14)

  1. 단말 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되는 컨텐트를 방송망을 통해 선별적으로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송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컨텐트에 대한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되는 적합한 컨텐트가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방송 시간과 컨텐트의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방송 시간 중에 상기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방송망을 통해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특정 기간 동안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컨텐트의 목록, 상기 전송되는 컨텐트가 타겟하는 수신자의 특성 및 상기 전송되는 컨텐트의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단말 내의 컨텐트 엔진이 상기 단말 내의 BCAST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BCAST 클라이언트가 상기 방송망을 통해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BCAST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비스 가이드 중 컨텐트 엔진에 관련된 프래그먼트(fragment)를 선별하여, 상기 선별된 프래그먼트를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BCAST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트 엔진에게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service fragment)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은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 및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식별자(Identifier; ID)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하여 연관된 다른 프래그먼트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서비스의 타입을 가리키는 요소가 컨텐트 전달 혹은 방송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서비스를 의미하는 특정 값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 및 컨텐트 프래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식별자 요소와의 레퍼런스 관 계를 통해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와 연관되고,
    상기 변환은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 및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식별자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하여 연관된 다른 프래그먼트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서비스의 타입을 가리키는 요소가 파일 다운로드를 의미하는 특정 값 혹은 방송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서비스를 의미하는 특정 값을 갖고, 상기 식별자 요소를 통해 연관된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확장 정보를 가리키는 요소가 컨텐트 전송을 위한 정보들을 정의하는 이름 공간(name space)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 및 컨텐트 프래그먼트 포함하며, 상기 컨텐트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식별자 요소와의 레퍼런스 관계를 통해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와 연관되고,
    상기 변환은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 및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식별자 요소와 레퍼런스 관계를 통하여 연관된 다른 프래그먼트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특정한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중 서비스의 타입을 가리키는 요소가 파일 다운로드를 의미하는 특정 값 혹은 방송 서비스를 제외 한 다른 서비스를 의미하는 특정 값을 갖고, 상기 서버스 프레그먼트 혹은 상기 식별자 요소를 통해 연관된 컨텐트 프래그먼트에 컨텐트의 안내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식별자 요소를 통해 연관된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가리키는 요소가 상기 컨텐트의 전송을 위한 서버의 URL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내의 컨텐트 엔진은 상기 단말 내의 개인 기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에 포함된 컨텐트가 타겟하는 수신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컨텐트의 메타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특정 기간 동안 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특정 기간은 1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복수 개의 컨텐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컨텐트의 전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컨텐트의 전송 시간은 각각 상기 1개 이상의 구간 중 하나이며, 상기 적합한 컨텐트는 상기 복수 개의 컨텐트 중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광고 수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단말 내의 컨텐트 엔진이 상기 단말 내의 BCAST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BCAST 클라이언트가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상기 방송 시간 중에 수신하는 단계;
    상기 BCAST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트 엔진에게 상기 수신한 적합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트 엔진이 상기 단말에 상기 제공받은 컨텐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은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 내에 전역 컨텐트 식별자(global content identifier) 또는 컨텐트 프래그먼트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적합한 방송 시간을 설명하는 스케쥴(schedule) 프래그먼트 및 상기 스케쥴 프래그먼트의 컨텐트의 위치를 가리키는 요소와 래퍼런스 관계를 통해서 연관되는 접근(access) 프래그먼트를 포함 하고, 상기 전송 시간은 상기 접근 프래그먼트의 요소를 통해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는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가 제공되는 기간의 종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추출 단계 및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종기 이후에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를 요청하는 정책을 포함하는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규칙은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의 요청 시작 시간(start time)과 구간(timeframe)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단계, 상기 추출 단계 및 상기 저장 단계는 는 상기 요청 시작 시간에 순차적으로 시작되며, 이후 상기 구간마다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변경된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된 규칙은 상기 구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작 시간 및 상기 구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선별적 컨텐트 수신 방법.
  14. 방송망을 통해 컨텐트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BCAST 클라이언트 및 상기 BCAST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트 안내 정보를 제공받는 컨텐트 엔진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와 전자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BCAST 클라이언트 및 상기 컨텐트 엔진의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들여 작동시키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트 엔진은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되는 적합한 컨텐트를 판단하고, 상기 컨텐트 안내 정보로부터 상기 적합한 컨텐트의 방송 시간과 컨텐트의 식별자를 추출하며,
    상기 BCAST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트 엔진으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적합한 컨텐트를 상기 컨텐트 엔진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방송 시간에 상기 방송망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BCAST 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한 컨텐트를 상기 컨텐트 엔진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망을 통해 선별적으로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말.
KR1020090108786A 2009-03-03 2009-11-11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선별적으로 컨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KR101076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18009P 2009-03-03 2009-03-03
US61/157,180 2009-03-03
US17900809P 2009-05-17 2009-05-17
US61/179,008 2009-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649A true KR20100099649A (ko) 2010-09-13
KR101076587B1 KR101076587B1 (ko) 2011-10-26

Family

ID=4300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786A KR101076587B1 (ko) 2009-03-03 2009-11-11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선별적으로 컨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5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929A2 (ko) * 2011-05-13 201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장치, 제어 타겟 장치, 및 이들의 컨텐트 리스트 전송 방법
WO2015167187A1 (ko) * 2014-04-27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160126963A (ko) 2016-10-26 2016-11-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방식의 컨텐츠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제공단말 및 제공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929A2 (ko) * 2011-05-13 201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장치, 제어 타겟 장치, 및 이들의 컨텐트 리스트 전송 방법
WO2012157929A3 (ko) * 2011-05-13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장치, 제어 타겟 장치, 및 이들의 컨텐트 리스트 전송 방법
US10567815B2 (en) 2014-04-27 2020-02-18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666993B2 (en) 2014-04-27 2020-05-26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9888271B2 (en) 2014-04-27 2018-02-06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284886B2 (en) 2014-04-27 2019-05-07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or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306278B2 (en) 2014-04-27 2019-05-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306277B2 (en) 2014-04-27 2019-05-28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WO2015167187A1 (ko) * 2014-04-27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11570494B2 (en) 2014-04-27 2023-01-31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743044B2 (en) 2014-04-27 2020-08-1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848797B2 (en) 2014-04-27 2020-11-24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887635B2 (en) 2014-04-27 2021-01-0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939147B2 (en) 2014-04-27 2021-03-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1070859B2 (en) 2014-04-27 2021-07-2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20160126963A (ko) 2016-10-26 2016-11-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방식의 컨텐츠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제공단말 및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587B1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997B1 (ko) 단말 내에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통해 관련된 콘텐츠를 검색하고 주문하는 방법 및 장치
JP5908529B2 (ja) ユーザの個人化情報に基づくコンテンツ配信および選択されたコンテンツ受信の装置および方法
US20180359528A1 (en) Receiver,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1490988B (zh) 移动通信装置用的电子节目指南
EP2245830B1 (en) Content aggregation in a digital broadcast network
KR100941348B1 (ko) 채널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보조 서비스들을 전달 및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들
US9319461B2 (en) Individualized data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a descriptive file
US20100070595A1 (en) Content update from a server to a client terminal in a dynamic content delivery (dcd) system
US20100037258A1 (en) Mobile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mobile broadcasting services with rich media including an enhanced service guide
KR20070038161A (ko) 콘텐츠 서버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9036624A1 (fr) Système et procédé pour actualiser les différences d'un guide électronique des services
KR20180123500A (ko)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패키징 및 전달의 시그널링
MX2014012335A (es) Metodo y sistema para marcar e identificar de manera uniforme lugares de oportunidad de colocacion para facilitar decision de resolucion acelerada.
CN109314797A (zh) 用于提供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
KR101076587B1 (ko)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선별적으로 컨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WO2009048297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plural data in portable broadcasting service
JP2009532751A (ja) ウェブサイトの更新についての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127755B1 (ko) 브로드캐스트 방식 및 푸시 방식을 이용한 dcd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00055755A (ko) 이동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의 업데이트 방법
KR100880743B1 (ko)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