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093A -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Google Patents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98093A KR20100098093A KR1020090017096A KR20090017096A KR20100098093A KR 20100098093 A KR20100098093 A KR 20100098093A KR 1020090017096 A KR1020090017096 A KR 1020090017096A KR 20090017096 A KR20090017096 A KR 20090017096A KR 20100098093 A KR20100098093 A KR 201000980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base plate
- rail track
- rail
- intermediate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0—Tie-plates for flat-bottom rails
- E01B9/42—Tie-plates for flat-bottom rails of two or mor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2—Rail fastenings incorporating resilient suppo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트랙 부분을 따라 서로 상이한 횡단면을 가지는, 특히 전철기 형태의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는, 경우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 또는 지지 블록을 가지는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각각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스(10, 66, 110)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지점들,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침목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같은 지지면(34)을 가지는 할당 배치된 받침대(18)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중간층(24, 72, 134)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받침대 내에서 고정 가능한, 특히 나사 조임 가능한 고정 수단(116)에 의해 상기 중간층에 예비 응력을 가하면서 고정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점 또는 실질적으로 각각의 지지점이 상기 지지점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부분(들)을 고려해서 동일한 최대 하강을 가지고, 상기 중간층(24, 72, 112, 134)의 예비 응력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66, 110) 및 상기 중간층을 관통하고 상기 받침대(118)에 지지되는 슬리브형 삽입부들(114, 136)에 의해 사전에 주어질 수 있고, 상기 삽입부들은 상기 고정 수단들(116)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고정 수단들은 상기 삽입부들로부터 시작하는 압축 부재들(120, 140)에 지지되고, 상기 압축 부재와 상기 중간층의 지지면 사이의 간격은, 응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상기 중간층의 두께와, 상기 삽입부의 영역에서 상기 압축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 사이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의 합보다 크다.
리브 플레이트, 중간층, 삽입부, 고정 수단, 베이스 플레이트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 트랙 부분을 따라 서로 상이한 횡단면들을 가지는, 특히 전철기 형태의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는 경우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 또는 지지 블록을 가지는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각각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가지는 다수의 지지점들,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지지면을 가지는, 침목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같은 할당 배치된 받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재료로된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받침대 내에 고정 가능한, 특히 나사 조임 가능한 고정 수단에 의해 중간층에 예비 응력을 가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자갈 도상 및 슬래브 궤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트랙 상부 구조체를 위한 규정된 탄성을 보장하고 구조체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레일을 수용하는,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침목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같은 받침대 사이에 탄성 중간 플레이트가 배치된다. 사용되는 탄성 중간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면에 따라 거의 선형인 강성을 가지는, PU 발포재와 같은 다공질 탄성 중합체(cellular elasto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일을 따라, 특히 전철기 영역에서 연장하는 지지점들은, 이들이 전철기의 시작부에 배치되는지 또는 끝부분에 배치되는지에 따라 상이한 강성을 가진다.
레일을 통과하는 휠에 대해, 휠 부하를 지지하는 레일 부분의 저항 모멘트 또는 지지 모멘트, 및 중간 플레이트의 탄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지점의 스프링 강성에 따라 좌우되는 벤딩 라인이 레일에 나타난다. 지지점의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변형 없이 휠 부하가 전달되도록 설계된다.
휠 부하 대 하강의 비로 얻어지는 레일의 스프링 강성은 전철기 또는 교차부의 스프링 강성과는 상이하다.
DE 198 23 812 A1에는 탄성 중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레일 장치가 도시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일체형 가류물로 이루어지고 실질적으로 평면인 상부면 및 구역들로 세분된, 상이한 특성을 가진 하부면을 포함한다.
DE 32 30 565 A1은 용접부에 의해 결합된 개별 플레이틀의 커팅부들로 구성된, 전철기 구조부용 레일 베이스부에 관한 것이다.
DE 298 07 791에는 통상의 힘이 도입되는 경우 지지면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되는, 지지측으로 커팅된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레일 부분용 지지부가 공지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횡단면이 서로 상이한 레일 부분들, 특히 전철기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를, 레일과 유사한 조건이 주어지도록, 즉 전철기 또는 교차부의 영역에서의 벤딩 라인이 보통 레일에서의 벤딩 라인에 상응하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탄성 중간층이 구조적으로 간단한 조치에 의해, 규정된 정도로 예비 응력을 받을 수 있어서, 지지점의 강성이 규정된 정도로 사전에 주어질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모든 지지점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지지점이 상기 지지점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부분(들)을 고려해서, 동일한 최대의 하강을 가지고, 중간층의 예비 응력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중간층을 관통하고, 받침대에 지지되는 슬리브형 삽입부들에 의해 사전에 주어질 수 있고, 상기 삽입부들은 삽입부로부터 시작하는 압축 부재들에 지지되는 고정 수단들에 의해 관통되고, 압축 부재와 중간층의 지지면 간의 간격은,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의 중간층의 두께와, 삽입부의 영역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압축 부재 사이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의 합보다 작다.
삽입부에 의해, 하기에서 중간 플레이트라고도 하는 중간층에 규정된 예비 응력이 주어짐으로써, 고정부에 따른 강성의 차이가 방지된다. 각각의 지지점은, 상기 지지점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부분(들)을 고려해서, 동일한 최대 하강을 가짐으로써, 전철기 또는 교차부 영역, 즉 서로 상이한 횡단면을 가지는 레일 트랙 부분들이 연장하는 영역에서, 레일 부분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는 레일에서와 동일한 조건이 얻어진다. 휠이 레일 트랙 부분을 통과할 때, 레일 부분을 따라 각각의 지지점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대 하강이 나타 나도록, 탄성 중간층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레일 부분(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결정되는 저항 모멘트에 대해 설계된다.
특히, 지지점에 대해 특정적으로, 동일한 저항 모멘트를 가지는 레일 부분들을 위해, 각각의 중간 플레이트는, 중간 플레이트를 향하는, 부하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베이스 면에 의존하지 않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면의 크기를 가진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면 크기에 의존하지 않는 방식으로, 항상 동일하게 지지하는 면을 가지는 탄성 중간 플레이트가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휠 부하가 없는 경우, 중간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실질적으로 전방 에지 영역에서 받침대에 대해 지지한다.
중간 플레이트는 중간 영역에서 각각의 종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뼈 형태의 리세스들을 포함해야 하고, 상기 리세스들은 적어도 중간 플레이트의 횡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특히 중간 플레이트의 종축선에 대해서도 대칭으로 연장한다.
리세스들의 형태는, 각각의 리세스들이 베이스부의 횡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길이 la를 가지고, 횡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게 일렬로 배치되는 2 개의 리세스들은 1.1 ×1a ≤lz ≤1.5 ×la인 간격 lz를 가진다. 여기에서 리세스들은 중간 플레이트의 연속 부분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통상의, 즉 허용되는 휠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전방 에지 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중간 플레이트의 부분의 자유 외부 면에 대해 후방으로 변위되어 연장한다. 이로 써, 허용되지 않은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의 확실한 지지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출발하는 레일 부분의 바로 아래에서도 이루어지므로, 허용되지 않는 응력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 내 각각의 횡방향 에지 영역에서 뼈 형태를 갖는 리세스들에 인접하도록 U형의 다른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U형 리세스의 종방향 레그는 각각의 에지측 리세스의 길이에 상응하는 최대 폭을 갖는다.
중간층 또는 중간 플레이트의 규정된 예비 응력을 보장하는 삽입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압축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압축 부재는 삽입부의 바람직하게는 링형인 칼라일 수 있다.
대안으로, 압축 부재는 삽입부의 상부 에지 상에 놓이는 링형 부재일 수 있다.
또한 고정 수단은 나사 부재이고, 상기 나사 부재의 헤드는 압축 부재에 지지된다. 나사의 제어되지 않는 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나사 부재의 헤드와 압축 부재 사이에 고정 디스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사 부재의 헤드와 압축 부재 사이에, 스프링 디스크 쌍과 같은 스프링 부재가 배치된다.
특히, 압축 부재가 삽입부의 칼라로서 형성되면, 칼라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탄성 재료, 예컨대 탄성 중합체로 된 링 디스크가 연장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삽입부의 영역에서 리세스, 즉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내에서 압축 부재가 연장한다.
본 발명의 세부 사항, 장점 및 특징들은 상기 특징들이 단독 및/또는 조합적으로 제시된 청구항, 및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기 설명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간단한 구조적 조치에 의해, 규정된 정도로 예비 응력을 받을 수 있는 탄성 중간층이 제공됨으로써, 지지점의 강성이 규정된 정도로 사전에 정해짐으로써 보통의 레일에서의 조건을 가지는, 횡단면이 상이한 레일 부분들, 특히 전철기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레일 부분을 위한 도입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전철기를 따라 놓여있는 지지점들의 부재들이 도시되지만,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원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부재들은, 지지점에서 지지되는 레일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점들이 서로 상이한 저항 모멘트를 가지는 레일 트랙 부분을 위해 아주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부하를 가진 휠의 통과시 각각의 지지점에 동일한 최대 하강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하기에서 리브 플레이트라고 함-와 침목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같은 받침대 사이에 탄성 중간층이 배치되고, 상기 중간층은, 동일한 최대 하강을 보장하기 위해, 리브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스톡 레일 또는 텅 레일과 같은 레일 부분(들)에 의한 저항 모멘트를 우선시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리브 플레이트가 리브 플레이트의 변형 없이 휠의 부하가 전달되도록 설계된다고 간주한다. 그렇지않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중간 플레 이트의 설계시 저항 모멘트가 고려될 것이다. 중간층은 중간 삽입부(패드)이거나 또는 가류에 의해 리브 플레이트 상에 형설될 수 있다. 편의상, 하기에는 중간 플레이트라고 하지만, 이로써 플레이트라는 용어에 의해 보호 범위를 한정하게 구체화한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예컨대 전철기의 시작부에 배치되는 리브 플레이트(10)가 도시된다. 상기 리브 플레이트 상에, 리브들(12, 14, 16, 18) 사이에서 연장하고 도시되지 않은 고정부에 의해 홀딩되는 스톡 레일(도시되지 않음)이 고정된다. 리브 플레이트(10)는 개구들(20, 22)을 관통하는 나사들에 의해 침목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같은 받침대와 결합된다. 리브 플레이트(10)를 침목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같은 받침대에 고정하는 방식은, 도 10 내지 도 12와 관련해서 설명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9에는 고정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리브 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는 탄성 중간 플레이트(24)가 제공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듯이, 중간 플레이트(24)는 리브 플레이트(10)를 베이스 측 및 에지 측으로 완전히 둘러싼다. 중간 플레이트(24)는 이 경우 리브 플레이트 상에 가류에 의해 제공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듯이, 리브 플레이트(10)는 중간 플레이트(24)의 전방 에지 측 부분들(30, 2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전방 에지 측 부분들 사이에 놓인 부분(32)은 리브 플레이트(10)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경우 또는 통상의 휠 부하를 지지하는 플레이트(10)의 경우, 중간 플레이트(24)의 지지면(34)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하고, 상기 지지면은 침목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의 상부면, 또는 중간 플 레이트(24)를 직접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중첩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이미 공지된 구조가 참조된다.
부분(32)은 중간 부분(36), 및 리세스들(38, 40, 42) 사이에서 연장하는 부분들(46, 48, 50, 52, 54, 56)로 구성되고, 이들 모두가 부분(32)을 형성한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24)의 종축선(58)에 대해 횡방향으로, 부분(32)과 전방 에지 영역들(30, 28) 사이에, 평면도로 볼 때 직사각형인 다른 레세스(60, 62)가 각각 연장한다.
종방향 에지 영역에서 연장하는 리세스들(38, 40, 42, 44)은 뼈 형태를 가지고, 중간 플레이트(24)의 종축선(58) 및 횡축선(64)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리세스들(38, 40, 42, 44, 60, 62)에 의해, 리브 플레이트(10)에 의해 사전에 주어지는 지지점의 최대 하강이 전철기 영역의 다른 받침대들에 의해서도 특성 값으로서 사전에 주어지는 소정의 값에 도달하도록, 중간 플레이트(24)의 전체 지지면 및 강성이 나타나고, 이는 지지되는 레일 부분들의 저항 모멘트 또는 지지 모멘트가 도 1 내지 도 5의 구성과 상이하더라도 적용된다. 이것은, 최대 지지면이 감소되거나 또는 다른 탄성을 가지는 중간 플레이트 재료가 사용되면, 트랙 구조체의 저항 모멘트의 상승시, 상응하는 중간 플레이트의 강성이 상응하게 감소됨으로써 달성된다.
즉, 지지되는 레일 부분의 저항 모멘트의 증가에 따라, 중간 플레이트는 더 연성이도록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9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68)가 통합된 리브 플레이트(66)가 도시되고, 상기 리브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하부면 및 에지(70)를 따라 둘러싸는 방식으로 탄성 중간 플레이트(72)가 배치되고, 부하가 없는 경우 또는 통상의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실질적으로 에지 영역에서는 리브 플레이트(66)를 지지하나, 중간 영역에 놓인 부분(74)은 베이스부(76)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한다.
부분(74)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상응하게- 뼈 형태 리세스들(78, 80, 82, 84)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들은 중간 플레이트(72)의 종축선(86) 및 횡축선(88)에 대해 대칭으로 연장한다. 에지 측으로 U형 리세스들(86, 88)이 제공되고, 상기 U형 리세스들은 2 개의 U형 베이스 부분들(90, 92) 및 상기 베이스 부분들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하는 L형 부분들(94, 96, 98, 100)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횡축선(88)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기 L형 부분들의 레그들(104, 106, 108, 110)은, 중간 플레이트(72)의 횡축선(88)에 대해 평행하는 리세스들(78, 80, 82, 84)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진다. 도 7의 중간 플레이트의 평면도와 도 8 및 도 9의 단면도의 비교로 알 수 있듯이, 리세스들(78, 81, 82, 84, 86, 88)은 중간 플레이트(72)의 부분(74)에 의해 한정된다.
도 1 내지 도 5의 리세스들(38, 40, 42, 44)에서처럼, 횡축선(88) 바로 가까이에서 연장하는 내부 리세스들(78, 80, 82, 84)은 뼈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리세스들(78, 80, 82, 84)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간 플레이트(72)의 부분들은 평면도로 볼 때 원형이다. 동일한 형태가 L-형태의 리세스들(94, 96, 100, 102)와 인접한 리세스들(78, 80, 82, 84) 사이에서 연장하는 영역에도 적용된다.
뼈 형태의 리세스들(78, 80, 82, 84) 또는 횡축선(88)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레그들(104, 106, 108, 110)은 리세스들(78, 82 또는 80, 84) 간의 간격lz 보다 작은 길이la를 가진다. 상기 간격lz은 리세스들의 길이la 보다 약 20% 내지 50% 더 크다.
리브 플레이트(10) 상에 고정되는 스톡 레일의 저항에 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68)을 포함하는 리브 플레이트(66)에 지지되는 레일 트랙, 즉 스톡 레일 및 텅 레일의 저항이 더 크기 때문에, 중간 플레이트(72)는 도 2의 중간 플레이트(24) 보다 작은 강성을 가진다.
지지점들의 강성이,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침목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트 같은 받침대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간 플레이트라고도 한, 탄성 중간층의 상이한 예비 응력들에 의해, 제어 불가능하고 재현 불가능하게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강성의 지지점들 또는 모든 지지점들이 동일하게 예비 응력을 받는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 및 탄성 중간층을 관통하고 베이스 플레이트가 받침대 상에 고정되는 고정 수단에 의해 관통되는 조절 삽입부라고 하는 삽입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응하는 실시예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되고, 편의상, 베이스 플레이트는 리브 플레이트, 탄성 중간층은 중간 플레이트로, 받침대는 침목으로, 고정 수단은 나사라고 한다. 또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도 10의 실시예에는 탄성 중간 플레이트(112)를 형성하기 위해, 리브 플레이 트(110)의 하부 측 및 에지 둘레 측에 탄성 중합체가 가류 처리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탄성 중간 플레이트가 규정대로 예비 응력을 받도록, 중공 실린더형과 같은 슬리브형 삽입부(114)가 제공되고, 상기 삽입부는 리브 플레이트(110)가 나사(116)에 의해 침목(118)과 결합되고 고정되는 영역에서 리브 플레이트(110) 및 중간 플레이트(112)를 관통한다. 삽입부(114)는 상부 에지에 압축 슬라이드로서 작용하는 링형 칼라(collar)(120)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리브 플레이트(110)의 상부면(122)를 따라 연장된다. 칼라(120)의 하부면, 또는 상기 칼라와 리브 플레이트(110)의 상부면(122) 사이에서 연장하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디스크(124) 와, 침목(118) 상의 삽입부(114)의 지지면(126) 사이의 간격은 삽입부(114)의 영역에서 리브 플레이트(110)의 두께와, 응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리브 플레이트(110)의 베이스 면을 따라 연장하는 중간 플레이트(112)의 두께의 합보다 작다. 나사(116)가 조여지면, 삽입부(114)의 하부면이 침목(118)의 지지면에 놓이고 나사(116)의 추가 조임이 불가능할 때까지 중간 플레이트(112)가 압축되고, 즉 예비 응력을 받는다. 이를 위해 나사(116)의 헤드(128)는 삽입부(14)의 상부면(130)을 따라 연장하고, 제어 불가능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나사 헤드(118)와 상부면(130) 사이에 고정 디스크(132)가 제공된다.
도 11의 실시예에 따라, 침목(118)과 리브 플레이트(110)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플레이트(134)는 중간 삽입부 또는 패드로서 형성되고, 즉 가류에 의해 리브 플레이트(11)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규정된 예비 응력을 보장하는 삽입부(136)는 두부분으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칼라를 포함하지 않는 슬리브(138) 및 상부 전방 에지 상에 놓이는 압축 디스크(140)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 디스크는 삽입부(114)의 칼라(120)의 기능을 한다. 도 10의 실시예에 상응하게, 패드(134)는 슬리브(138)의 길이 및 압축 디스크(114)의 두께에 따라 예비 응력을 받는다. 도 11의 실시예는, 나사(116)의 헤드(128)와 압축 디스크(140) 사이에 나사(116)를 고정하기 위한 디스크 스프링 쌍(142)이 배치된다. 또한, 압축 디스크(140)는 리브 플레이트(110)의 상부면 내의 리세스(144) 내에서 연장한다.
도 12의 실시예는 삽입부와 관련해서 도 11의 실시예에 상응하므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중간 플레이트로서 패드 대신, 도 10에 상응하게, 하부면, 즉 리브 플레이트(10)의 베이스면 및 둘레측에 탄성 중합체가 가류 처리에 의해 제공되므로, 삽입부(136)에 의해 예비 응력을 받는 탄성 중간층이 형성된다.
도 1은 리브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리브 플레이트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 리브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리브 플레이트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중간 플레이트 및 삽입부를 포함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부분이고,
도 11은 탄성 중간층 및 삽입부를 포함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 2 실시예의 부분이고,
도 12는 탄성 중간층 및 삽입부를 포함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 3 실시예의 부분이다.
Claims (19)
- 레일 트랙 부분을 따라 서로 상이한 횡단면을 가지는, 특히 전철기 형태의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로서,상기 지지부는, 경우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 또는 지지 블록을 가지는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각각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0, 66, 110)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지점들, 및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지지면(34)을 가지는, 침목 또는 콘크리트 플레이트와 같은 할당 배치된 받침대(18)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중간층(24, 72, 134)을 포함하고,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받침대 내에 고정 가능한, 특히 나사 조임 가능한 고정 수단(116)에 의해 상기 중간층에 예비 응력을 가하면서 고정될 수 있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에 있어서,모든 지지점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지지점이 상기 지지점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부분(들)을 고려해서, 동일한 최대 하강을 가지고, 상기 중간층(24, 72, 112, 134)의 예비 응력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66, 110) 및 상기 중간층을 관통하고 상기 받침대(118)에 지지되는 슬리브형 삽입부들(114, 136)에 의해 사전에 주어질 수 있고, 상기 삽입부들은 상기 고정 수단들(116)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고정 수단들은 상기 삽입부들로부터 시작하는 압축 부재들(120, 140)에 지지되고, 상기 압축 부재와 상기 중간층의 지지면 사이의 간격은, 응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상기 중간층의 두께와, 상기 삽입부의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상기 압축 부재 사이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압축 부재(120)가 상기 삽입부(114)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압축 부재(120)가 상기 삽입부(114)의 바람직하게는 링형인 칼라(coll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압축 부재(140)가 상기 삽입부(136)의 상부 에지 상에 놓이는 링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 부재(116)가 나사 부재이고, 상기 나사 부재의 헤드(128)가 상기 압축 부재(120, 14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나사 부재(116)의 상기 헤드(128)와 상기 압축 부재(14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디스크(13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나사 부재(116)의 상기 헤드(128)와 상기 압축 부재(140) 사이에 스프링 디스크 쌍(142)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압축 부재(1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 탄성 부재(124)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압축 부재(14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시작하는 리세스(144)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동일한 저항 모멘트를 가지는 상기 레일 부분들용 지지점들이 동일하게 부하 를 지지하는 면을 가지는 상기 탄성 중간층들(24, 72, 112, 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이한 저항 모멘트를 가지는 상기 레일 부분들용 지지점들이 상이한 강성을 가지는 중간층들(24, 72, 112, 13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동일한 저항 모멘트를 가지는 레일 부분들용 지지점들이 동일하게 부하를 지지하는 면을 가지는 탄성 중간층들(24, 72, 112, 134)을 포함하고, 상기 면의 크기가 상기 중간층을 향하는, 부하를 지지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66, 110)의 베이스 면에 따라 좌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중간층은 중간 삽입부(패드)(134)이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가류에 의해 제공된 층(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중간층(24, 72, 116)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중간 영역에서, 각각 의 종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뼈 형태의 리세스들(38, 40, 42, 44, 78, 80, 82, 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리세스들(38, 40, 42, 44, 78, 80, 82, 84)이 적어도 상기 중간층(24, 72)의 종축선(58, 86)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리세스들(38, 40, 42, 44, 78, 80, 82, 84)이 상기 중간층(24, 72)의 종축선(58, 86) 및 횡축선(64,88)에 대해 대칭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뼈 형태의 각각의 리세스(38, 40, 42, 44, 78, 80, 82, 84)가 길이 la를 가지고, 횡축선(64, 88)에 대해 평행하게 일렬로 배치되는 리세스들은 1.1 ×la ≤lz ≤1.5 ×la인 간격 lz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뼈 형태의 상기 리세스들(38, 40, 42, 44, 78, 80, 82, 84)이 상기 중간층(24, 72)의 연속 부분(36, 74)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부분(36, 74)는 통상의 휠 부하에서는 상기 받침대(118) 상의 지지면(34, 76)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중간 층(24, 27)은 각각의 횡방향 영역에서, 뼈 형태의 상기 리세스들(78, 80, 82, 84)에 대해 인접하게 배치되는, U형의 다른 리세스(86, 88)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리세스들의 종방향 레그는 상기 뼈 형태의 리세스들의 길이 la에 상응하는 최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7096A KR20100098093A (ko) | 2009-02-27 | 2009-02-27 |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7096A KR20100098093A (ko) | 2009-02-27 | 2009-02-27 |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8093A true KR20100098093A (ko) | 2010-09-06 |
Family
ID=4300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7096A KR20100098093A (ko) | 2009-02-27 | 2009-02-27 |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9809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33806A (zh) * | 2011-09-30 | 2012-05-02 | 周子雄 | 铁轨用重载垫板 |
-
2009
- 2009-02-27 KR KR1020090017096A patent/KR2010009809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33806A (zh) * | 2011-09-30 | 2012-05-02 | 周子雄 | 铁轨用重载垫板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K2714991T3 (en) | A RAILWAY SUPPORT PLATE | |
US11041274B2 (en) | Center supported bond joint | |
EP1950347B1 (en) | Support plate for flexible fastenings of railway rails | |
KR101749913B1 (ko) | 선로 레일 체결 장치 | |
CN109312544B (zh) | 用于轨道车辆轨道固定点的弹性元件和固定点 | |
US4266719A (en) | Track mounting assembly and sound-damping system therefore | |
KR101981601B1 (ko) | 레일 고정 시스템 | |
KR102393149B1 (ko) | 레일 체결 시스템 | |
CN102472020B (zh) | 铁轨垫板 | |
US4235371A (en) | Track arrangement for a railroad | |
WO2016094965A1 (en) | Rail support system, components and method for control of noise and vibration from ballastless monorail or super narrow gauge railway track systems | |
US9004372B1 (en) | Dual hardness bonded direct fixation fastener | |
CN107254813A (zh) | 一种垂横向刚度分开型钢轨扣件 | |
KR20100098093A (ko) | 레일 트랙 부분용 지지부 | |
KR20010013239A (ko) | 레일 장치 | |
US11492763B2 (en) | Tension clamp and fastening point for the fastening of a rail to the ground | |
US6572027B1 (en) | Concrete railroad tie two-piece insulator spacer and fastening system | |
KR100397870B1 (ko) | 철도레일 방진체결장치 | |
RU2249642C2 (ru) | Опора участка пути | |
CA2824875C (en) | Track | |
AU2016269658B2 (en) | Guide rail support suitable for withstanding forces transverse to a railway track,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a guide rail support | |
EP3612677B1 (en) | System for fastening a rail, methods for producing a fastening and a support system for a rail and use of a rail fastening system | |
CN1981089A (zh) | 轨道紧固装置 | |
GB2554648A (en) | A pad for a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 |
CN201517188U (zh) | 用于轨道区段的支承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