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826A -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826A
KR20100097826A KR1020090016674A KR20090016674A KR20100097826A KR 20100097826 A KR20100097826 A KR 20100097826A KR 1020090016674 A KR1020090016674 A KR 1020090016674A KR 20090016674 A KR20090016674 A KR 20090016674A KR 20100097826 A KR20100097826 A KR 2010009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load
frame
wire
vinyl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468B1 (ko
Inventor
이승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1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4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이루는 골조 부재들에 가해지는 (연직)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은, 하중을 지지하는 제1 골조부재;와, 제1 골조부재에 가해지는 하중변동에 따라 상기 제1 골조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적어도 일부는 지면에 시공되는 제2 골조부재; 및, 상기 제1,2 골조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계되면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저항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하중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 기상 현상에 의한 폭설시 비닐하우스에 가해지는 하중 특히, 연직방향의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어 비닐하우스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한편, 정상 상태에서는 업-리프트(up-lift)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기존 골조 시스템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고 구조도 간단하여 실용적인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1020090016674
비닐하우스, 골조부재, 서가래, 기둥, 와이어 긴장, 연직하중

Description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vinyl house structuring system}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상 기상 현상에 의한 폭설시 비닐하우스에 가해지는 연직 방향의 하중(이하, '연직하중'이 라 함)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어 비닐하우스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한편, 정상 상태에서는 업 리프트 하중에 대해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기존 골조 시스템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고 구조도 간단하여 실용적인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채소·화훼류를 속성 재배하거나 열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비닐로 만든 온상이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는 아치형, 지붕식 및 3/4식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런데, 거의 모든 형태의 비닐하우스는 통상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비용도 저렴한 아치형 비닐하우스이다.
이와 같은 아치형 비닐하우스는 비닐(피복재)이 부착되는 골조 시스템 즉, 파이프로 통상 사용되는 골조를 이루는 골조 부재들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아치형태로 시공되는 서가래와 상기 서가래에 체결되고 비닐하우스 길이방향으로 길게 시공되는 중도리 및, 상기 서가래가 결합되고 지면에 시공되는 기초부재의 골조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용 골조부재들인 파이프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금 처리된 스틸 파이프나 합성수지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근래 비닐하우스의 시공후 사용시, 기상 이변에 따른 폭설이 발생하여 예측하기 어려운 과도한 적설하중 즉, 연직하중이 비닐하우스에 가해져, 이와 같은 과도한 폭설이 아닌 정상상태를 기준으로 설계된 비닐하우스의 구조물 붕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의 골조 구조물을 기상이변에 의한 이상상태의 폭설을 대비하여 그 기준으로 설계하는 경우, 과도한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 시공도 그만큼 지연되고, 비닐하우스의 면적(골격 률)이 증대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시공단가를 낮추는 것이 이상적인 원예 시설물의 비닐하우스로는 적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이 복잡하면 원예 공간이 그만큼 줄어드는 문제도 발생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상상태 즉, 폭설에 따라 가해지는 과도한 연직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자 기존 아치형 서가래에 트러스트 구조물로 강도를 보강하는 경우, 시공 비용이나 제작 기간이 늘어남은 물론, 시공 기간도 연장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기본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폭설에 의한 연직하중 저항성을 높이고, 정상상태에서는 풍압에 의한 업 리프트(up-lift) 하중에 대한 저항성도 갖추도록 한 개선된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이상 기상 현상에 의한 폭설시 비닐하우스에 가해지는 연직방향의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어 비닐하우스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한편, 정상 상태에서는 업 리프트 하중에 대해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기존 골조 시스템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고 구조도 간단하여 실용적인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중을 지지하는 제1 골조부재;
제1 골조부재에 가해지는 하중변동에 따라 상기 제1 골조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적어도 일부는 지면에 시공되는 제2 골조부재; 및,
상기 제1,2 골조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계되면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저항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하중 저항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형태의 가변형 체결수단을 매개로 제1 골조부재인 서가래는 정상상태에서는 제2 골조부재인 기둥부재에 하단부가 체결되어 비닐하우스 골조를 이루고, 특히 서가래가 기둥부재에서 들려지지 않게 유지하다 가, 폭설에 의한 과도한 연직하중이 가해지면, 와이어의 하중 저항수단을 팽팽하게 긴장시키어 하중을 분산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폭설시에도 서가래는 물론, 골조의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상 기상 현상에 의한 폭설시 비닐하우스에 가해지는 연직방향의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어 비닐하우스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한편, 정상 상태에서는 업 리프트 하중에 대해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기존 골조 시스템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고 구조도 간단하여 실용적인 개선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1)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골조 시스템(1)은, 기본적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제1 골조부재(10)와 상기 제1 골조부재(10)가 가해지는 하중변동 즉, 폭설이 발생되어 과도하게 가해지는 연직하중과 같은 하중변동에 따라 상기 제1 골조부재가 유동(하강)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골조부재(30) 및, 상기 제1 골조부재와 제2 골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와 연계되면서 적어도 연직 하중에 대한 저항을 구현토록 제공되는 하중 저항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1)에서, 상기 제 1 골조부재(10)는 실제로는 통상의 아치형 서가래일 수 있고, 상기 제2 골조부재(30)는 상기 아치형 서가래의 양측 하단부가 끼움 조립되고, 지면에 박히거나 지면에 시공된 기초부재(40)에 시공되는 기둥부재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골조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아치형으로 지면에 하단부가 박히거나 기초부재에 시공되는 서가래를 2단으로 분리하여 하중을 받는 서가래 부분과 기둥부재 부분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골조부재(10)인 아치형 서가래와 제2 골조부재(30)인 기둥부재에는 이들을 가로질러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제3 골조부재(20) 즉, 파이프의 중도리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비닐 즉, 필름부재는 상기 중도리와 서가래에 걸쳐서 지지되게 되어 비닐하우스가 완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골조부재의 도면부호를 그대로 포함하여, 이들 제1 내지 제3 골조부재들을 각각 서가래(10), 기둥부재(30) 및 중도리(30)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가래(10)는 그 하단부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 1,2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가변형 체결수단(70)을 통하여 상기 기둥부재(30)의 상부에 기상이변에 따른 예측할 수 없는 폭설시 과도한 적설하중 즉, 도 2b와 같이 연직 하중(F)이 가해지면 연직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특히,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1)에서, 상기 하중 저항수단(50)은 상기 서가래(10)와 상기 가변형 체결수단(70)사이에 연계되어 서가래가 폭설로 인 하여 과도한 하중을 받는 경우, 기둥부재(30)의 상단에서 하단부가 일부분 삽입된 상태에서 강제로 하강하면서 이때, 긴장되는 와이어 예컨대, 스틸 와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상기 하중 저항수단(50)인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서가래(10)의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서가래 하단부를 따라 상기 기둥부재(30)안으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가변형 체결수단(70)에 연결되되, 도 2a와 같이 폭설이 발생되지 않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와이어는 약간 느슨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도 2b와 같이, 폭설로 인하여 비닐하우스의 전체 서가래(10)에 전체적으로 과도한 연직하중(F)이 가해지면, 상기 서가래(10)는 강제로 기둥부재(30)에 삽입되면서, 와이어도 동시에 기둥부재(30)의 상단부에서 안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팽팽하게 긴장되고, 따라서 와이어의 긴장으로 연직하중은 서가래와 더불어 와이어에서 분산되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 골조 구조물은 하중 특히, 연직하중 저항능력이 향상되어 골조 시스템(1)의 붕괴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인 하중 저항수단(50)은 동시에 서가래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변 체결수단(70)에 연결되고, 이와 같은 기변 체결수단은 서가래 하단과 기둥부재 상단에 상호 연계되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는 서가래가 바람이 과도하게 불어서 서가래(10)에 업-리프트 하중(F')이 작용되는 경우에도 서가래가 기둥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결국,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1)에서 상기 하중 저항수단(50)의 와이어는 폭설에 따른 과도한 연직하중(F)과 바람의 풍압에 의한 업-리프트 하 중(F')이 가해지면 서가래와 같이 이들을 분산 지지하여 비닐하우스 골조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서가래(10)에 중도리(20)들이 가로 질러 고정되지만, 실제 폭설의 경우 단위 비닐하우스의 전체적으로 쌓이는 적설량은 대체로 균일한 분포이기 때문에, 중도리로 연결되기는 하지만, 서가래(10)들은 거의 같은 연직하중을 받게될 것이고, 따라서 기둥부재(30)들에 조립된 서가래(10)들은 같이 하강할 것이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는 그 일단이 서가래 중앙에 스크류방식으로 조립되거나 용접 결합되는 접합철물(52) 즉, 스트럿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와이어에는 체결링(훅크방식으로 끼움되되 이탈은 방지되는)이 미리 연결되어 이 체결링을 스트럿부재에 쉽게 연결시킬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체결 와이어로 스트럿부재에 감겨진 와이어를 체결할 수 있을 것이고, 이와 같은 체결형태는 와이어의 타단과 체결수단의 부재에 연결하는 경우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3 내지 도 8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서가래(10)에 정상 설계 기준 이상으로 폭설에 따른 연직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서가래(10)가 하단부가 조립된 기둥부재(30)의 상부에서 유동 가능하게 하고, 정상상태에서는 서가래가 견고하게 기둥부재에 조립되는 하는 상기 가변형 체결수단(70)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형 체결수단(70)은, 상기 기둥부재(30)와 이에 하단부가 일부분 삽입 조립되는 서가래(10)에 형성된 개구(32)(12)를 통과하여 체결되고 상기 하중 저항수단(50)인 와이어가 연계되는 체결볼트(72)와, 상기 체결볼트(72)와 부재사이에 개재되면서 정상상태에서는 서가래(10)와 기둥부재를 견고하게 체결 고정하는 체결력을 제공하되, 폭설에 따른 과도한 연직하중이 가해지면 사가래(10)의 강제적인 하강을 가능하게 하여 연결된 와이어를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스프링(7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상태에서 서가래(10)의 하단부는 기둥부재(30)의 상단부에 끼워지고, 체결볼트(72)가 스프링(74)과 와셔(W)를 개재하여 각각의 개구(12)(32)를 통과하여 반대측의 너트(72a)로 체결되면, 스프링(74)은 압축되면서 서가래(10)와 기둥부재(30)를 조여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와이어는 서가래(10)에 형성된 구멍(54)이나 도 5와 같은 절개구(54')를 통하여 상기 체결볼트(72)에 앞에서 설명한 체결링이나 다른 체결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서가래와 기둥부재사이에 단순하게 개재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a 및 도 3,4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스프링(74)의 탄성력으로 와셔(W)는 기둥부재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밀착력이 작용되어 서가래(10)는 기둥부재(30)의 상단부에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는 것이 유지된다.
그러나, 기상이변에 따른 폭설로 과도한 연직하중(F)이 서가래에 가해져, 이와 같은 연직 하중력(도 2b의 F)이 스프링에 의한 부재들의 체결력 즉, 스프링 탄 성력 보다 큰 경우에는, 서가래는 강제로 하강하고, 이때 와이어는 기둥부재 상단에서 안으로 밀려들면서 도 2b와 같이 팽팽하게 긴장되어 연직 하중을 서가래와 같이 분담하여 하중 저항력을 높이는 것이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도 4와 같이, 서가래에 업-리프트 하중이 가해지면 서가래의 개구(12)를 통과하는 체결볼트(72)는 기둥부재 개구(32)의 상단에서 걸리고, 스프링의 탄성력이 와셔(W)와 기둥부재간 밀착력을 유지시키기 때문에, 사가래는 기둥부재에서 들려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 서가래(10)의 하강폭은 정해지는데, 예를 들어 체결볼트(72)가 통과하는 기둥부재의 개구(32)의 높이(종심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서가래(10)와 기둥부재(30)를 가로질러 체결되는 체결볼트(72)는 서가래가 하강하여도 기둥부재의 개구(32) 하단에서 걸리어 지지되므로, 서가래가 과도하게 기둥부재에 끼워지지 않고, 동시에 실제 서가래(10)는 아치형으로 하단부의 직선부를 벗어나면 만곡되기 때문에, 이부분이 기둥부재 상단에 걸려서 하강이 제한 될 수도 있다.
이때, 도 5에서 서가래(10)의 절개부(54')는 도 3의 구멍에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것 보다는 와이어의 체결볼트 연결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그런데, 도 3 및 도 4에서, 스프링(74)을 이용하지 않아도, 서가래(10)의 개구(12)는 체결볼트가 통과할 정도로 개구되어 있고, 기둥부재(30)의 개구(32)는 일정 길이를 갖기 때문에, 정상상태에서는 체결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으로 서가래와 기둥부재의 도 2a와 같은 조립 상태를 유지하다가, 폭설로 과도한 연직하중이 가해 져 체결볼트의 체결력 보다 가해지는 하중력이 더 크면, 서가래(10)는 강제로 하강되고, 이때 하강폭은 기둥부재의 개구 길이로 제한된다.
따라서, 스프링이 있는 경우 이와 같은 서가래의 하강을 더 용이하게 할 것이지만, 스프링이 없어도 폭설시 서가래의 하강에 따른 와이어의 긴장 형성도 가능하다.
그런데,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확대하여 기둥부재의 개구(32)를 도시하였지만, 실제 연직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서가래의 하강폭은 와이어를 당겨서 팽팽하게 긴장시킬 수 있는 정도의 수 cm 이내이면 될 것이다.
다음, 도 6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가변형 체결수단(7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형 체결수단(70)은, 상기 기둥부재(30)와 이에 삽입된 서가래(10)에 형성된 개구(32)(12)를 통과하여 체결되고 상기 하중 저항수단인 와이어가 연계되는 체결볼트(72) 및, 상기 기둥부재에 구비되고 적어도 연직하중 작용시 상기 체결볼트(72)가 강제로 통과되어 서가래의 하강을 통하여 앞에서 설명한 하중 저항수단(50)인 와이어의 긴장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지지턱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서가래(10)와 기둥부재(30)에 형성된 개구(12)(32)를 통과하여 와셔(W)를 개재하여 너트(72a)로서 체결되는 체결볼트(72)는, 과도한 연직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정상상태에서는 기둥부재(30)의 개구(32) 중앙부분에 형성된 지지턱부(76)에서 지지되어 있다가, 과도한 연직하중이 가해져 연직 하중력이 볼트와 너트 체결력 보다 크면, 체결볼트(72)는 지지턱부를 벌리면서 강제로 통과되어 하강한다.
따라서, 하중 저항수단(50)인 와이어는 체결볼트의 하강으로 기둥부재 상단부에서 안으로 밀려 들면서 팽팽하게 긴장된다.
이때, 상기 지지턱부(76)는, 체결볼트는 지지하다가 과도한 연직하중이 가해지면 체결볼트가 강제로 하강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고 실제로는 체결볼트의 직경 보다 약간 작은 길이의 간격을 가지도록 양측에서 돌출되면 될 것이다.
물론, 체결볼트가 너트로 체결되는 조임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사실상 서가래(10)는 기둥부재(30)에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어 정상상태에서 와이어가 약간 느슨하게 유지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다음, 도 8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가변형 체결수단(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또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의 가변형 체결수단(70)은, 상기 제2 골조부재(30)에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연직하중 작용시 제2 골조부재에 삽입된 제1 골조부재(10)의 하단이 강제 하강되어 와이어의 긴장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돌턱부(78)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돌턱부(78)에 타단이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도 8의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는 가장 간단하고, 다만 서가래(10)는 기둥부재(30)에 억지 끼움형태로 끼워져 조립되는 것이 업-리프트 하중(도 2b의 F')이 가해져도 기둥부재에서 이탈되 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
그런데, 도 8에서 하중 저항수단(50)인 와이어가 서가래(10)에 형성된 구멍(54)을 통하여 돌턱부(78)에 형성된 구멍(78a)을 통하여 기둥부재 외부에서 결합철물(56)로 고정되거나, 서가래와 기둥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와이어는 돌턱부 외측에서 타단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서가래(10)에 폭설에 의한 과도한 연직하중이 가해지면, 서가래 하단은 돌턱부(78)를 반대방향으로 누르면서 강제로 하강하고, 이때 하강하는 서가래의 하단부가 누르거나, 서가래와 기둥부재사이에 마찰력으로 안으로 밀려들면서 팽팽하게 긴장되면서, 서가래에 가해지는 연직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하중 저항수단(50)인 와이어의 긴장 형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정상상태의 경우 체결볼트(72)는 위쪽에서 기둥부재와 서가래를 체결 고정하고, 이때 와이어는 체결볼트에 타단이 연결되고 일단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서가래 중앙부분에 약간 느슨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폭설에 의한 연직하중이 가해져, 체결볼트(72)가 서가래(10)의 강제 하강되면, 와이어는 기둥부재(30)에 서가래(10)가 하강된 삽입구간(D)에서는 기둥부재를 관통하여 50'의 형태로 이동할 수 없고, 기둥부재의 상단을 통하여 이동하여야 하고, 이때 기둥부재 상단을 통과하여 서가래의 하강으로 안으로 밀려드는 와이어는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긴장되게 된다.
도 8의 경우, 도 3 내지 도7과는 다르게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으나, 와이 어 특히, 스틸와이어가 서가래와 기둥부재사이에 말려들게 되어, 마찰에 의하여 연직하중이 가해져도 서가래가 과도하게 기둥부재에 끼워지지 않고, 와이어가 구멍(54)을 통하여 서가래의 하단을 거쳐 기둥부재 돌턱부에 연결되는 경우, 서가래의 하강폭은 와이어에 의하여 제한된다. 또한 서가래가 아치형이므로 기둥부재 상단에 만곡되는 부분이 걸려서 서가래의 하강폭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하중 저항수단(50)의 와이어는 실제로는 정상 상태시 팽팽하게 긴장되지 않는 약간만 느슨하게 제공되어 서가래가 연직하중에 의하여 약간만 하강하여도 쉽게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여러 형태의 가변형 체결수단(70)을 매개로 서가래(10)는 정상상태에서는 기둥부재(30)에 하단부가 체결되어 비닐하우스 골조를 이루고, 특히 바람이 심하여 도 2b와 같이 풍압에 의한 업-리프트 하중이 가해져도 서가래가 기둥부재에서 들려지지 않게 하고, 반대로 폭설에 의한 과도한 연직하중이 가해지면, 하중 저항수단인 와이어를 팽팽하게 긴장시키어 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때문에, 폭설시 서가래는 물론, 골조의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것이다.
특히, 기존 서가래를 2중의 서가래와 기둥부재로 변경하면, 쉽게 비닐하우스를 시공 구현하는 것을 가능토록 하기 때문에, 비닐 하우스 골조부재의 구조를 매우복잡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쉽게 시공 가능하게 하여, 시공 기간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하는 매우 실용적인 골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골조 시스템의 연직하중 미작용시와 작용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가변 체결수단을 이용한 도 2b의 'A'부분을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도 3의 구조도
도 5는 다른 형태의 제1 골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가변 체결수단을 이용한 도 2a의 'A'분분을 도시한 분해도
도 7은 도 6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가변 체결수단을 이용한 도 2a의 'A'부분을 도시한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 골조시스템에서 하중 저항수단인 와이어의 긴장 형성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골조 시스템 10.... 제1 골조부재(서가래)
12,32.... 개구 20.... 제3 골조부재(중도리)
30.... 제2 골조부재(기두부재) 40.... 기초부재
50.... 하중 저항수단(와이어) 70.... 가변형 체결수단
72.... 체결볼트 74.... 스프링
76.... 지지턱부 78.... 돌턱부

Claims (9)

  1. 하중을 지지하는 제1 골조부재(10);
    제1 골조부재에 가해지는 하중변동에 따라 상기 제1 골조부재가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적어도 일부는 지면에 시공되는 제2 골조부재(30); 및,
    상기 제1,2 골조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계되면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저항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하중 저항수단(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골조부재(10)의 하단부는 가변형 체결수단(70)을 통하여 상기 제2 골조부재의 상부에 하중 작용시 하방으로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저항수단(50)은 상기 제1 골조부재(10) 및, 상기 제2 골조부재 또는 상기 가변형 체결수단(70)사이에 연계되어 하중 작용에 따른 상기 제1 골조부재의 하강시 긴장되는 와이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 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골조부재(10)는 아치형 서가래로 제공되고, 상기 제2 골조부재(30)는 상기 서가래의 하단부가 삽입 조립되는 기둥부재로 제공되며,
    상기 하중 저항수단(50)의 와이어는 일단이 서가래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골조부재 또는 가변형 체결수단(7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골조부재의 하강시 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체결수단(70)은, 상기 제2 골조부재(30)와 이에 삽입되는 제1 골조부재(10)에 형성된 개구(32)(12)를 통과하여 체결되고 상기 하중 저항수단의 와이어가 연계되는 체결볼트(72)를 포함하되,
    상기 기둥부재의 개구는 길이를 갖추어 하중 작용시 상기 제1 골조부재는 개구 길이만큼 강제로 하강되어 와이어를 긴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체결수단(70)은, 상기 제2 골조부재(30)와 이에 삽입되는 제1 골조부재(10)에 형성된 개구(32)(12)를 통과하여 체결되고 상기 하중 저항수단의 와이어가 연계되는 체결볼트(72); 및,
    상기 체결볼트(72)와 부재사이에 개재되어 하중 작용시 상기 제1 골조부재의 하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스프링(7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체결수단(70)은, 상기 제2 골조부재(30)와 이에 삽입되는 제1 골조부재(10)에 형성된 개구(32)(12)를 통과하여 체결되고 상기 하중 저항수단의 와이어가 연계되는 체결볼트(72); 및,
    상기 제2 골조부재의 개구(32)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중 작용시 상기 체결볼트(72)가 강제로 통과되어 제1 골조부재의 하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지지턱부(7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체결수단(70)은, 상기 제2 골조부재(30)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골조부재의 하단이 지지되고 하중 작용시 상기 제1 골조부재의 하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돌턱부(78)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제1 골조부재를 통과하거나 부재사이를 통하여 제2 골조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골조부재(10)와 제2 골조부재(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제3 골조부재(20)와, 상기 제2 골조부재중 적어도 전,후방 양측의 제2 골조부재가 연결되고 지면에 시공되는 기초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KR1020090016674A 2009-02-27 2009-02-27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KR101656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674A KR101656468B1 (ko) 2009-02-27 2009-02-27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674A KR101656468B1 (ko) 2009-02-27 2009-02-27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826A true KR20100097826A (ko) 2010-09-06
KR101656468B1 KR101656468B1 (ko) 2016-09-12

Family

ID=4300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674A KR101656468B1 (ko) 2009-02-27 2009-02-27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4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111B1 (ko) * 2011-07-08 2014-04-28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방음터널
KR20200006240A (ko)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케이엔지플러스 비닐 하우스 기둥용 거푸집
KR20230075310A (ko) 2021-11-22 2023-05-31 김학섭 비닐하우스용 패널
KR20230149776A (ko) 2020-12-24 2023-10-27 김학섭 비닐하우스용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348B1 (ko) 2022-03-24 2022-09-21 주식회사 현대웍스 비닐하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648A (ko) * 2001-03-07 2002-09-13 경은천 제설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구조
KR20060045163A (ko) * 2004-11-09 2006-05-17 이종현 구조강도가 보강된 비닐하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648A (ko) * 2001-03-07 2002-09-13 경은천 제설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구조
KR20060045163A (ko) * 2004-11-09 2006-05-17 이종현 구조강도가 보강된 비닐하우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111B1 (ko) * 2011-07-08 2014-04-28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방음터널
KR20200006240A (ko)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케이엔지플러스 비닐 하우스 기둥용 거푸집
KR20230149776A (ko) 2020-12-24 2023-10-27 김학섭 비닐하우스용 패널
KR20230075310A (ko) 2021-11-22 2023-05-31 김학섭 비닐하우스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468B1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7826A (ko)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CN101410043B (zh) 推车及组装推车的方法
KR100998818B1 (ko) 고추 지주용 받침틀
KR101403575B1 (ko) 캠핑 텐트
KR20130021228A (ko)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R101742479B1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KR100949768B1 (ko) 비닐하우스 골조
KR100818715B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101416008B1 (ko) 이상기후대비용 비닐하우스 보강장치
KR101753841B1 (ko) 로프가 결합된 비닐하우스
CN205305570U (zh) 一种简易大棚
KR100782864B1 (ko) 비닐하우스용 보조지주
KR200429769Y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20190142680A (ko) 보강용 파이프를 삽입한 비닐하우스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0650638B1 (ko) 연성 스크린을 이용한 식생형 강재 보강 토 옹벽 시스템
KR101250270B1 (ko) 보강용 파이프가 삽입된 비닐하우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07743B1 (ko)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KR101897482B1 (ko) 광폭형 인삼 재배 시설
KR200413233Y1 (ko) 비닐하우스용 형강 프레임
KR20100095085A (ko)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KR20210051983A (ko) 1단 비닐 온실 하우스용 프레임 구조
KR102626686B1 (ko)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채용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JP4301447B2 (ja) 壁面緑化プランター並びにこの壁面緑化プランターの取付方法及び灌水方法
KR101539371B1 (ko) 모멘트 저감 산형 골조
EP3900520A1 (en) Flexible-structure system for forming tunnels of variable height and width to protect cro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