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505A - Automatic toothbrush - Google Patents

Automatic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505A
KR20100097505A KR1020090016482A KR20090016482A KR20100097505A KR 20100097505 A KR20100097505 A KR 20100097505A KR 1020090016482 A KR1020090016482 A KR 1020090016482A KR 20090016482 A KR20090016482 A KR 20090016482A KR 20100097505 A KR20100097505 A KR 20100097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ousing
shaft
brush shaft
electric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75432B1 (en
Inventor
장승환
허건
최지훈
박승일
진수연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432B1/en
Publication of KR2010009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5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4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8Self-contained intraoral toothbrush, e.g. mouth-guard toothbrush without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6Brushes which automatically reverse direction of rotation, e.g. using gravity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PURPOSE: A power toothbrush is provided, which can perform teeth brushing in the state that is fixed within the oral cavity. CONSTITUTION: A power toothbrush comprises: a housing(10) which is formed in a curve type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rangement of the human body and in which an operating space is formed; a brush shaft(21) which is arranged in zigzag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o cover both sides of the tooth, is installed to be rotated inside the operating space of the housing; and a driving source(30) which is connected to the brush shaft and belt and transfers the torque to the brush shaft.

Description

전동칫솔{Automatic toothbrush}Electric toothbrush

본 발명은 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원을 이용하여 칫솔을 회전시켜 양치 기능을 수행하는 마우스피스형 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toothbrush,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thpiece type electric toothbrush that performs a brushing function by rotating the toothbrush using a drive source.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를 청소하는 도구로서, 음식을 섭취한 후 입안에 잔류된 음식물 찌꺼기와 충치의 원인이 되는 플라그 및 치석 등을 칫솔질을 통해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In general, a toothbrush is a tool for cleaning teeth, and is used to easily remove plaque and tartar, which cause food debris and tooth decay, which remain in the mouth after ingesting the food through brushing.

하지만, 종래의 칫솔에 의해 칫솔질을 하게 될 경우 주로 좌우방향으로 칫솔질이 이루어지는데, 무리하게 힘이 가해질 경우 잇몸이 쉽게 손상되고 힘을 너무 적게 주면 치태가 잘 제거되지 않아 청결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brushing by a conventional toothbrush is mainly brush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f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gums easily damaged and if too little force is removed plaqu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liness falls.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전동칫솔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전동칫솔은 모터를 이용하여 칫솔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치아를 닦아주게 된다. 출원번호 10-2003-0036886를 비롯한 다양한 선행기술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전동칫솔은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고 회전되는 솔부분을 치아에 밀착한 상태로 전동칫솔을 작동시켜 양치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electric toothbrushe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The electric toothbrush uses a motor to rotate the toothbrush at high speed to clean the teeth. As can be seen in the various prior art, including the application number 10-2003-0036886, such a powered toothbrush to perform the brushing function by operating the electric toothbrush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and rotates the brush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일반 칫솔 뿐 아니라, 상기 전동칫솔은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고 사용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일반칫솔 또는 전동칫솔의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로 솔부분을 치아에 갖다 댄 후에, 칫솔 전체를 움직이면서 양치를 하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general toothbrush, the electric toothbrush is to be gripped and used by the user. That is, the user touches the brush part to the tooth while holding the handle of the general toothbrush or the electric toothbrush, and moves the toothbrush while moving the entire toothbrush.

물론, 전동칫솔의 경우에는 솔부분이 자동으로 회전되므로 칫솔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일 필요는 없으나, 여러 치아를 닦기 위해서는 전동칫솔 자체를 움지이는 동작은 필요하게 된다. Of course, in the case of an electric toothbrush, the brush portion is automatically rotated, so it is not necessary to repeatedly move the toothbrush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in order to clean several teeth, it is necessary to move the electric toothbrush itself.

그러나, 사용자가 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환자인 경우에는 이와 같이 칫솔을 파지하고 이동시키는 동작 자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이나 노약자, 환자가 쉽고 청결하게 양치할 수 있는 전동칫솔이 필요로 된다. However, when the user is a disabled person, a senior citizen, or a patient, the operation of gripping and moving the toothbrush may not be eas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lectric toothbrush that can be easily and cleanly brushed by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the pati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치아에 물려 구강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양치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동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n electric toothbrush that can perform the brushing function in a fixed state in the oral bite by the user's teet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칫솔의 부품 중에서 치아에 닿아 실제 양치기능을 수행하는 솔부분의 교체가 용이한 전동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toothbrush that is easy to replace the brush portion that touches the teeth of the electric toothbrush to perform the actual brushing fun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인체의 치아배열에 대응되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솔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치아 양측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는 솔축과, 상기 솔축과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솔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rangement of the human body is formed in the working space, and the housing inside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end of the at leas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rush detachably, arranged in a zigzag mann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o wrap both sides of the tooth The brush shaf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source connected to the sole shaft and the belt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brush shaft.

상기 솔축은 원기둥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벨트와 접하는 접촉면이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솔축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회전솔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brush shaft extends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by indenting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elt, and a rotary brush is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brush shaft.

상기 회전솔은 상기 솔축에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솔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otary brush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k-shaped rotating plate coupled to the brush shaft, and the sole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le shaft from the rotating plate.

상기 하우징은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작동공간을 형성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로 구성되고, 치아에 의해 물리는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외면에는 각각 요입부가 형성된다. The housing is composed of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working space therebetween, and recesses are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bited by teeth, respectively.

상기 벨트는 서로 인접한 솔축의 외면 중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반대면에 각각 접하도록 엇갈리게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솔축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belts are alternately exten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pposite surfaces facing away from each other among outer surfaces of the adjacent sole shafts, so that the adjacent sole shafts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솔축의 접촉면 및 상기 구동원의 회전샤프트의 외면은 타이밍기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벨트는 이에 대응되는 타이밍벨트로 구성된다. The contact surface of the sole shaf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source are formed in a timing gear shape, and the belt is composed of a timing belt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회전솔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솔의 외주면 또는 상기 솔축의 외주면은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전솔의 외주면 또는 상기 솔축의 외주면과, 이에 접하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방수시일이 구비된다. The rotary brush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brush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ush shaft is rotatably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 waterproof seal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rush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ush shaf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n contact therewith.

상기 구동원에는 조작버튼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구동원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제1버튼부 및 제2버튼부로 구성된다. An operation button is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source, and the operation button includes a first button part and a second button part so as to operate the drive source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ctric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서는 인체의 치아배열에 대응되는 형상의 전동칫솔을 사용자가 치 아로 문 상태에서 전동칫솔이 작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치아가 자동으로 세척된다. 이에 따라, 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환자와 같이 스스로 칫솔을 움직이기 어려운 사용자도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을 이용하여 쉽게 양치를 할 수 있어, 치아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teeth are automatically cleaned as the electric toothbrush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toothbrush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rangement of the human body is opened to the teeth. Accordingly, a user who is difficult to move the toothbrush by himself or herself, such as a disabled person, an elderly person or a patient, can easily brush the teeth using the electric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maintaining an effective tooth.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동칫솔을 구성하는 솔축에는 회전솔이 압입구조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노후된 회전솔을 솔축으로부터 교체하는 과정에서 회전솔을 솔축으로부터 쉽게 탈거하여 새로운 회전솔로 교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전동칫솔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brush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rush shaft constituting the electric toothbrush by a press-fit structur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rotary brush from the brush shaft and replace it with a new rotary brush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old rotary brush from the brush shaft,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electric toothbrush.

특히, 본 발명에서는 회전솔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하우징을 굳이 개방할 필요 없이 회전솔만을 교체할 수 있어 전동칫솔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ry brush is kep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user can replace only the rotary brush without having to open the housing has the effect of easy maintenance of the electric toothbrush.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동칫솔을 구성하는 솔축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방식으로 배열되어 사용자의 치아를 양쪽에서 감싸게 되고, 사용자의 치아배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므로 일반 칫솔로는 쉽게 닿기 어려운 구강 내측의 치아들도 효과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 shaft constituting the electric toothbrush is arranged in a zigzag mann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o surround the user's teeth on both sides, and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tooth arrangement inside the mouth that is difficult to reach with a general toothbrush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wash the teeth of.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동칫솔에 솔축이 하우징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므로, 하우징의 폭방향 길이가 좁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동칫솔의 하우징이 소형화되어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가 짧아질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치아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하우징을 고정할 수 있어 전동칫솔의 사용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ush shaft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toothbrush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us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can be narrow. Accordingly, the housing of the electric toothbrush can be miniaturized, so that the length of the electric toothbrush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mouth.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fix the housing by using the tooth,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electric toothbrush.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솔축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솔축에서 회전솔이 분리된 모습이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rush shaf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constitu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rush is separated from the brush shaft to be shown in exploded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치아배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치아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0)을 문 상태에서 전동칫솔이 작동되기 때문이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electric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rangement of the human body as shown.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below, the powered toothbrush is operated with the user using the tooth to open the housing 10.

상기 하우징(10)의 몸체(11)는 제1몸체(11a)와 제2몸체(11b)로 구성되는데, 그 내부에는 작동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공간(S)은 일종의 빈 공간으로, 작동공간(S)에는 후술할 솔축(21)을 비롯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The body 11 of the housing 10 is composed of a first body 11a and a second body 11b, the working space (S) is formed therein. The working space S is a kind of empty space, and the working space S is provided with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brush shaft 21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요입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요입부(12)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일부가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치아에 의해 물리게 되는 부분이다.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12). The concave portion 12 is a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portion to be bitten by the user's teeth.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관통공(1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3)은 아래에서 설명될 솔축(21)의 일부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 로, 도 1에는 제1몸체(11a)의 관통공(13)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2몸체(11b)의 외면에도 관통공(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3)은 솔축(2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The through hole 1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through hole 13 allows a part of the brush shaft 21 to be described below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In FIG. 1, only the through hole 13 of the first body 11a is shown. However, the through hole 13 may also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1b. The through hole 13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brush shaft 21.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S)에는 가이드축(17)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축(17)은 아래에서 설명될 벨트(B)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솔축(21)을 회전시킨 벨트(B)를 안내하여 구동원(30) 방향으로 원활하게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축(17)은 상기 작동공간(S)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벨트(B)의 이동경로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guide shaft 17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space S of the housing 10. The guide shaft 17 is for guiding the belt B to be described below, and serves to guide the belt B in which the sole shaft 21 is rotated to smoothly return to the driving source 30. To this end, the guide shaft 17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operating space (S),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is provide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belt (B).

상기 하우징(10)에는 간섭회피공간(18)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공간(18)은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을 문 상태에서 사용자의 혀가 위치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하우징(10)의 일부가 요입된 형상으로 된다.Interference avoiding space 18 is formed in the housing 10. The interference avoidance space 18 is an empty space in which the user's tongue can be positioned while the user opens the housing 10, and a portion of the housing 10 is recessed.

다음으로, 솔조립체(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솔조립체(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원(30) 및 벨트(B)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에 연결된 회전솔(25)을 회전시켜 양치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Next, the brush assembly 20 will be described. The brush assembly 2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0, and rotates the rotary brush 25 connected thereto while being rotated by the drive source 30 and the belt B to perform a brushing function. do.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조립체(20)는 원기둥형상의 솔축(21)과, 이에 결합되는 회전솔(25)로 구성된다. 상기 솔축(21)에는 일부가 요입되어 접촉면(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접촉면(22)에는 벨트(B)가 접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2, the brush assembly 2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rush shaft 21 and a rotary brush 25 coupled thereto. A part of the brush shaft 21 is recessed to form a contact surface 22. The belt B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22.

상기 솔축(21)은 상기 하우징(10)의 두께 방향, 즉 도 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좌우폭은 상기 솔축(21)이 상기 하우징(1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에 비해 작아질 수 있다. The brush shaft 21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hat is, based on FIG. 1. Accordingly, the right and left widths of the housing 10 may be smaller than the brush shaft 21 is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면(22)은 타이밍기어형상(23)으로 형성되어, 벨트(B)와의 접촉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surface 22 is formed in the timing gear shape 23,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belt (B) can be made firm.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축(21)에는 단차부(21')가 구비된다. 상기 단차부(21')는 상기 하우징(10)의 걸림홈(11a',11b')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솔축(21)이 하우징(10) 외측으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brush shaft 21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21 ′. The step portion 21 ′ is a portion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s 11a ′ and 11b ′ of the housing 10, and serves to prevent the sole shaft 21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out of the housing 10. .

도 1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솔축(21)에는 체결돌기(24)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기(24)는 회전솔(25)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회전솔(25)의 체결홈(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 회전솔(25)이 상기 솔축(2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ure 1 and 3, the brush shaft 21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24). The fastening protrusion 24 is for coupling with the rotary brush 25 and is inserted into a fastening groove (not shown) of the rotary brush 25 so that the rotary brush 25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brush shaft 21. Make sure

상기 솔축(21)에는 회전솔(25)이 결합된다. 상기 회전솔(25)은 상기 솔축(21)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치아를 실질적으로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The brush shaft 21 is coupled to the rotary brush 25. The rotary brush 25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brush shaft 21, serves to substantially wash the user's teeth.

상기 회전솔(25)은 상기 솔축(21)에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25a)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5a)의 외면에 구비되는 솔부(25b)를 포함한다. 참고로, 하우징(10)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해, 도 1에는 상기 다수개의 회전솔(25) 중에서 일부 회전플레이트(25a)에만 솔부(25b)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The rotary brush 25 includes a rotary plate 25a coupled to the sole shaft 21 and a sole portion 25b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25a. For reference, in order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ousing 10 in detail, FIG. 1 shows that the sole portion 25b is provided only in some of the rotating plates 25a among the plurality of rotating brushes 25.

이때, 상기 회전플레이트(25a)와 솔부(25b)는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솔부(25b)가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해당하는 상기 회전플레이트(25a)의 외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솔축(21)의 체결돌기(24)와 결합된다. At this time, the rotating plate 25a and the sole portion 25b are integrally provided, and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25a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ole portion 25b is provided. It is coupled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24 of (21).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구동원(30)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원(30)은 상기 솔조립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모터로 구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원(30)의 몸체부(31) 내부에는 전기모터와 건전지가 삽입된다. One side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drive source (30). The drive source 30 is a portion for generating power for rotating the brush assembly 20, in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Although not shown, an electric motor and a battery are inserted into the body 31 of the driving source 30.

상기 구동원(30)에는 회전샤프트(3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샤프트(32)는 상기 구동원(30)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이에 물린 벨트(B)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샤프트(32)의 외면은 타이밍기어(33) 형상으로 형성되어, 벨트(B)가 미끄러지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된다. The drive source 30 is provided with a rotary shaft (32). The rotary shaft 32 is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30 and rotates, thereby rotating the belt (B) bite.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shaft 32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timing gear 33, so that the belt (B) can be smoothly rotated without slipping.

상기 구동원(30)에는 조작버튼(25)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조작버튼(25)은 상기 구동원(30)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제1버튼부(35a) 및 제2버튼부(36b)로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제1버튼부(35a) 및 제2버튼부(35b)를 누르게 되면, 상기 회전샤프트(32)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An operation button 25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3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ource 30, and the operation button 25 is a first button unit for operating the driving source 30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35a and the second button part 36b.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button part 35a and the second button part 35b, the rotation shaft 32 may b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한편, 상기 회전샤프트(32)는 별도의 기어케이스에(40)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기어케이스(40)는 상기 회전샤프트(32)를 감싸, 회전샤프트(32) 및 이에 연결된 벨트(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ry shaft 32 may be shielded by a separate gear case (40). The gear case 40 surrounds the rotary shaft 32 so that the rotary shaft 32 and the belt B connected thereto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회전샤프트(32) 및 상기 솔축(21)에는 벨트(B)가 연결된다. 상기 벨트(B)는 상기 회전샤프트(32)를 감쌈과 동시에, 상기 솔축(21)의 접촉면(22)에 접하여, 상기 회전샤프트(32)의 회전력을 솔축(2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A belt B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32 and the sole shaft 21. The belt B wraps the rotary shaft 32 and at the same time contacts the contact surface 22 of the sole shaft 21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shaft 32 to the sole shaft 21.

즉, 상기 벨트(B)는 상기 구동원(30)의 회전샤프트(32)와 상기 솔축(21)에 각각 접하는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샤프트(32)의 회전력은 벨트(B)를 통해 상기 각각의 솔축(21)에 전달하는 것이다. That is, the belt (B) forms a closed circuit in contact with the rotary shaft (32) and the sole shaft (21) of the drive source (30),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shaft (32) is through the belt (B). It is delivered to each of the brush shaft (21).

이때, 상기 벨트(B)는 서로 인접한 솔축(21)의 외면 중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반대면에 각각 접하도록 엇갈리게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솔축(21)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belt (B) is alternately extended to contact each other in the direction facing away from each other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shaft 21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adjacent sole shaft 2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벨트(B)는 신축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만들어지나,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체인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벨트(B)는 타이밍벨트(B)형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솔축(21) 및 회전샤프트(32)와의 마찰과정에서 미끌어지지않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lt (B) is made of elastic rubber material, but may be a chain of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lt B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iming belt B, so that the belt B does not slip in the friction process with the sole shaft 21 and the rotation shaft 32.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는 상기 구동원(30)의 몸체부(3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을 구강 내부로 이동시켜 치아로 상기 하우징(10) 외면, 보다 정확하게는 하우징(10)의 요입부(12)를 물게 된다. First, the user moves the housing 10 into the oral cavity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31 of the driving source 30 is gripp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with teeth, more precisely the indentation of the housing 10 ( 12).

이렇게 되면, 사용자의 치아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솔(25) 사이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솔축(21)은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식으로 배치되므로, 그 사이에 사용자의 치아가 위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teeth are located between the rotary brush 25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10. In particular, the brush shaft 21 is arranged in a zigzag for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he user's teeth can be located therebetween.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원(30)의 제1버튼부(35a) 또는 제2버튼부(35b)를 누르면, 상기 구동원(30)이 작동하게 되고, 회전샤프트(32) 및 이에 연결된 벨트(B)가 회전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button portion 35a or the second button portion 35b of the drive source 30 is pressed, the drive source 30 is operated and the rotary shaft 32 and the belt B connected thereto. Is rotated.

그리고, 상기 벨트(B)가 회전되면 상기 벨트(B)에 맞물린 다수개의 솔축(21) 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솔축(21)에 결합된 상기 회전솔(25)이 회전되면서 사용자의 치아를 세척하게 된다. When the belt B is rotated, a plurality of brush shafts 21 engaged with the belt B are rotated together, and the rotary brush 25 coupled to the brush shaft 21 is rotated to wash the user's teeth. Done.

이때, 사용자는 상기 구동원(30)의 몸체부(31)를 파지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가 상기 전동칫솔을 별도로 움직이지 않더라도, 구동원(30)에 의해 양치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does not have to grip the body portion 31 of the drive source 30, even if the user does not move the electric toothbrush separately, the brushing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drive source (30).

상기 솔축(21)의 회전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벨트(B)는 이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A솔축(2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동시에 상기 벨트(B)는 상기 A솔축(21)과 인접한 B솔축(21)을 반시계방향으로, B솔축(21)에 인접한 C솔축(21)은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Looking at the rotation of the sole shaft 21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rotary shaft 3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belt (B) is moved accordingly while the A brush shaft 21 Rotate clockwise. At the same time, the belt B rotates the B sole shaft 21 adjacent to the A sole shaft 21 counterclockwise, and the C sole shaft 21 adjacent to the B sole shaft 21 rotates clockwise again.

한편, 상기 솔축(21) 중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가장 우측에 위치된 솔축(21)까지 회전시킨 벨트(B)는 가이드축(17)에 의해 안내되어, 가장 좌측에 위치된 솔축(21)까지 이동되고, 다시 솔축(21)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벨트(B)는 다시 상기 회전샤프트(32)로 이동되어 1회전을 마치게 된다.Meanwhile, the belt B rotated to the sole shaft 21 located on the rightmost side of the brush shaft 21 based on the drawing is guided by the guide shaft 17 to move to the sole shaft 21 located on the leftmost side. Then, the brush shaft 21 is rotated again. And finally the belt (B) is moved back to the rotary shaft 32 to finish one rotation.

그리고, 이와 같은 벨트(B)의 회전이 반복됨에 따라 사용자의 치아에는 세척기능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n, as the rotation of the belt (B) is repeated, the user's teeth are washed.

다음으로, 상기 솔축(21)으로부터 회전솔(25)을 교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회전솔(25)의 솔부분을 파지하고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솔축(21)의 체결돌기(24)와 상기 회전솔(25)의 체결홈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회전솔(25)이 분리된다. Next, looking at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rotary brush 25 from the brush shaft 21, when the user grips the sole portion of the rotary brush 25 and pulled away from the housing 10, the brush shaft 21 The rotational sole 25 is separated while the coupling between the fastening protrusion 24 and the fastening groove of the rotary brush 25 is released.

그리고, 사용자는 새로운 회전솔(25)을 다시 상기 회전축에 체결시켜 회전솔(25)의 교체를 마무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솔(25)의 교체에 있어서 사용자는 하우징(10)을 분리할 필요 없이, 하우징(10) 외부에서 회전솔(25)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Then, the user can fasten the new rotary brush 25 to the rotary shaft again to complete the replacement of the rotary brush 25. As such, in the replacement of the rotary brush 25,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rotary brush 25 outside the housing 10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housing 10.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솔(25) 또는 솔축(21)의 외주면과 이에 접하는 상기 하우징(10)의 관통공(13)의 내주면 사이에는 방수시일이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waterproof seal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rush 25 or the brush shaft 2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3 of the housing 10 in contact with the housing 10. It can als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그리고, 상기 기어케이스(40) 내부에는 기어조립체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샤프트(32)의 회전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즉, 상기 기어조립체에 의해 상기 구동원(30)의 몸체부(31)가 도 1에 도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설계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 gear assembly is provided inside the gear case 40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32. That is, the body assembly 31 of the drive source 30 may be desig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shown in FIG. 1 by the gea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 구성이 일부 보이도록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솔축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ush shaf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솔축에서 회전솔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도.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brush is separated from the brush shaf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drive sour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하우징 11: 하우징몸체10: housing 11: housing body

12: 요입부 17: 가이드축12: recessed part 17: guide shaft

18: 간섭회피부 20: 솔조립체18: interference skin 20: brush assembly

21: 회전축 22: 접촉면21: axis of rotation 22: contact surface

24: 체결돌기 25: 회전솔24: fastening protrusion 25: rotary brush

25a: 회전플레이트 25b: 솔부25a: rotating plate 25b: sole part

30: 구동원 31: 구동원몸체30: drive source 31: drive source body

32: 회전샤프트 35: 조작버튼32: rotary shaft 35: operation button

40: 기어케이스 B: 벨트40: gear case B: belt

Claims (11)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인체의 치아배열에 대응되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 working space formed therein and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rangement of the human body;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솔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치아 양측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는 솔축과,I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rotary brush is detachably connected, and in a zigzag mann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teeth. Brush shaft arranged, 상기 솔축과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솔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칫솔.An electric toothbrush comprising a drive source connected to the brush shaft and the belt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brush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축은 상기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벨트와 접하는 접촉면이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솔축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회전솔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ush shaft is installed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elt is formed, th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brush is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both ends of the brush shaft toothbrush.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솔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tary brush 상기 솔축에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회전플레이트와, A disk-shaped rotating plate coupled to the brush shaft; 상기 회전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솔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솔부를 포함하 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Electric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us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ush shaft from the rotating plat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서로 인접한 솔축의 외면 중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반대면에 각각 접하도록 엇갈리게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솔축은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4. The bel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elts are alternately exten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pposite surfaces facing away from each other among outer surfaces of the adjacent sole shafts, so that the adjacent sole shafts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Electric Toothbrus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작동공간을 형성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로 구성되고, 치아에 의해 물리는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외면에는 각각 요입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According to claim 4, The housing is composed of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working space there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bitten by teeth Electric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each recess is form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솔축의 접촉면 및 상기 구동원의 회전샤프트의 외면은 타이밍기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벨트는 이에 대응되는 타이밍벨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6. The electric toothbrush of claim 5, where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ush shaf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source are formed in a timing gear shape, and the belt is formed of a timing belt corresponding thereto.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솔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 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솔의 외주면 또는 상기 솔축의 외주면은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otary brush is pro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brush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ush shaft is rotatably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Electric toothbrush.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솔의 외주면 또는 상기 솔축의 외주면과, 이에 접하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방수시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8. The powered toothbrush of claim 7, wherein a waterproof seal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rush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ush shaf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n contact therewith.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솔축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가장자리에는 서로 대응되는 단차부 및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솔축이 하우징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9. The electric toothbrush of claim 8, wherein a stepped portion and a locking groov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rush shaft and an edge of the through hole of the housing, thereby preventing the brush shaft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hous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벨트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10. The powered toothbrush of claim 9, wherein a guide shaft for guiding a movement path of the belt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에는 조작버튼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구동원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 도록 제1버튼부 및 제2버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an operation button is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drive source, and the operation button includes a first button part and a second button part so as to operate the drive source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Electric toothbrush.
KR1020090016482A 2009-02-26 2009-02-26 Automatic toothbrush KR1010754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482A KR101075432B1 (en) 2009-02-26 2009-02-26 Automatic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482A KR101075432B1 (en) 2009-02-26 2009-02-26 Automatic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505A true KR20100097505A (en) 2010-09-03
KR101075432B1 KR101075432B1 (en) 2011-10-24

Family

ID=4300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482A KR101075432B1 (en) 2009-02-26 2009-02-26 Automatic too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4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3064B1 (en) * 2020-09-15 2023-02-21 II Henderson Baker Mouth piece toothbrus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827A (en) 1991-01-14 1993-01-12 Ellison Benedict M Electric-powered dental brush
KR100397187B1 (en) 2000-12-12 2003-09-06 고경용 An electro-motion toothbrush
KR100697940B1 (en) 2006-06-02 2007-03-20 이성부 Electric toothbrus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3064B1 (en) * 2020-09-15 2023-02-21 II Henderson Baker Mouth piece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432B1 (en)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142Y1 (en) Mouthpiece type automatic toothbrush
US20100311007A1 (en) Gingival massaging device
US7882845B2 (en) Flossing device with internal floss feed
EP2568850A1 (en) A drive system
KR101075432B1 (en) Automatic toothbrush
KR890002450B1 (en) Motor powered rotary toothbrush of gum massager with detachable brush head
KR100683814B1 (en) An Electric-Powered Toothbrush
KR100413209B1 (en) Electromotion toothbrush rotatable in positive or reverse direction
KR200317503Y1 (en) Tooth clearing apparatus
KR101332947B1 (en) Electric powered toothbrush
KR101124526B1 (en) Electric motion toothbrush
KR20100009825A (en) Rotary type brush electric toothbrush
KR100697940B1 (en) Electric toothbrush
KR101865221B1 (en) Electric dental floss device
KR100849629B1 (en) Electric powered brush
KR20130060948A (en) Electric toothbrush
KR101812312B1 (en) Electric dental floss device
KR20130030475A (en) Electric toothbrush
KR100467004B1 (en) Electric Tooth Brush
KR20040085085A (en) Tooth clearing apparatus
KR102433087B1 (en) Vibrating handle for toothbrush
KR101323700B1 (en) Electric toothbrush
KR100896126B1 (en) Tilting power toothbrush
KR200301174Y1 (en) Electric Tooth Brush
KR102133470B1 (en) Electric toothbrush and case for electric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