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400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97400A KR20100097400A KR1020090016321A KR20090016321A KR20100097400A KR 20100097400 A KR20100097400 A KR 20100097400A KR 1020090016321 A KR1020090016321 A KR 1020090016321A KR 20090016321 A KR20090016321 A KR 20090016321A KR 20100097400 A KR20100097400 A KR 201000974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jection
- projection light
- portable terminal
- reflector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프로젝터 모듈에 의한 영상의 투사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듈에서 제공되는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투사광을 굴절렌즈 또는 반사경을 사용하여 굴절 또는 반사시켜,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조절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of the image by the projector module, in order to adjust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provided from the projector module by refracting or reflecting the projection light using a refractive lens or a reflec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for adjusting the projection direction of projection light.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독립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흡수하고, 그 독자적인 영역이 희석되는 추세이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각종 정지화상 또는 동적화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을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단지 촬영된 영상뿐만 아니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받은 자료 또는 방송화면일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수단으로서 프로젝터 모듈을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가 소개되고 있다.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e absorbed the functions of independent multimedia devices, and their own areas have been diluted. Recently, a portable terminal can take various still images or dynamic images, and store the captured images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them on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not only a photographed image but also a data or a broadcast screen received by wireless or wired. Recently, a portable terminal employing a projector module has been introduced as an output means of the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프로젝터 등의 출력장치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은 수직하게 설치된 스크린 등에 투사되어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는 납작하고 길이가 폭보다 긴 형태가 많다. 그 두께 역시 박형화가 가속되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 모듈을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장착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은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측면방향 또는 전후면방향으로 투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an output device such as a projector is projected onto a screen installed vertically to display an image. However, portable terminals are often flat and longer than their width. Its thickness is also accelerating thinning. Therefore, when the projector module is mounted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by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be proj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main body.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본체하우징의 측면 방향으로 투사광이 투사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테이블에 눕힌 상태로 거치하여 투사광을 투사하면,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테이블 등의 설치면과 간섭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거치대 등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해야 한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projection light is proj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able and projected the projection light,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by the projector module is installed on the table or the like. Since it may interfere with the surface, the portable terminal should be mounted using a separate holder.
또한,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각을 인위적으로 조절한다고 하여도, 스크린 또는 벽면에 맺히는 영상의 왜곡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In addition, even if artificially adjusting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solve this problem can occur because the distortion of the image formed on the screen or wall.
따라서, 프로젝터 모듈에서 제공된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프로젝터 모듈에서 제공되는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경우, 투사각도의 조절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영상의 왜곡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요구된다.Therefore,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provided by the projector module can be selectively changed, and when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provided by the projector module is selectively adjuste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distortion of the image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adjustment of the projection angle. What is needed is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프로젝터 모듈에 의한 영상의 투사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a projection angle of projection light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of an image by a projector module.
또한, 본 발명은 투사광이 굴절 또는 반사시켜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투사광에서 발생되는 색수차, 영상의 반전 또는 영상의 비율변경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olving problems such as chromatic aberration, inversion of the image or changing the ratio of the image generated in the projection light when the projection light is refracted or reflected to change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ion light. It is a task.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영상신호를 투사광으로 변환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수용하는 본체하우징,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켜 투사광의 투사각을 변경하는 투사각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unit, a projector module for converting and projecting an image signal into projection light, a main body housing accommodating the display unit and the projector module, and refracting or projecting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module. Provided i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projection angle adjusting member which reflects and changes a projection angle of projection light.
여기서, 상기 투사각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투사광을 굴절시키는 굴절렌즈일 수 있다.The projection angle adjusting member may be a refractive len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or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housing and refracting projection light.
그리고, 상기 굴절렌즈가 본체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굴절렌즈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투사렌즈와 본체하우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fractive lens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the refractive lens may be rotatably mounted between the projection lens of the projector module and the main body housing.
이 경우, 상기 굴절렌즈는 그 길이방향 일단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투사광이 선택적으로 상기 굴절렌즈로 입사되도록 하거나, 상기 굴절렌즈에 입사되는 투사광의 입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ractive lens may have a rotation axis at one end thereo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rojection light may be selectively incident on the refractive lens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axis, or the incident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incident on the refractive lens may be changed. .
여기서, 상기 회전축은 구동휠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휠은 그 일부가 상기 본체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rota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drive wheel, the drive wheel may be mounted so that a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housing.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may be driven by a drive motor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여기서, 상기 굴절렌즈는 상기 본체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굴절장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refractive lens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fractive apparatus housing that is selectively detachable to the body housing.
그리고, 상기 회전축은 구동휠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휠은 그 일부가 상기 굴절장치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wheel, and the driving wheel may be mount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driving wheel to the outside of the deflector housing.
이 경우, 상기 투사각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거나, 상기 본체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투사광이 반사되는 반사경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jection angle adjusting member may be a reflecting mirr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or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housing to reflect the projection light.
여기서, 상기 반사경이 본체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반사경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투사렌즈와 본체하우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Here, when the reflector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the reflector may be rotatably mounted between the projection lens of the projector module and the main body housing.
또한, 상기 반사경은 그 길이방향 일단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투사광이 선택적으로 상기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도록 하거나, 상기 반사경에 입사되는 투사광의 입사각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or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axis at one end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rojection light may be selectively reflected by the reflector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axis, or the incident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incident on the reflector may be changed.
여기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본체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반사장치 하우징 내부에 1개 또는 2개가 구비할 수 있다.Here, one or two reflectors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flector housing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housing.
그리고, 상기 반사경이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반사경 중 적어도 1개의 반사경의 일단에 회전축 및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반사장치 하우징 외부로 그 일부가 노출되는 구동휠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wo reflectors are provided, a driving wheel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at least one of the reflectors to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he rotating shaft, and a portion of the reflecting mirro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flector housing.
이 경우, 상기 반사장치 하우징에 원형 파이프 형태의 장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하우징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홈이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lector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pipe having a circular pipe shape, and the main body housing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into which the mounting protrusion is rotatably inserted.
여기서, 상기 본체하우징의 전면 또는 배면에 상기 반사경에서 반사된 투사광이 투사되는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된 투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body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projection made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to project the projection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굴절 또는 반사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영상반전 또는 색수차가 보정 또는 수정되기 위한 임시 이미지에 의한 영상신호를 투사광으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rojector module and the display unit. When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by the projector module is refracted or reflected, the controller may temporarily adjust the projector module to correct or correct image inversion or chromatic aberr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convert an image signal by an image into projection ligh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젝터 모듈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을 투사하여 관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projector modul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view by viewing the image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에 의한 영상의 투사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의 투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투사광을 굴절렌즈 또는 반사경(600)을 통해 굴절 또는 반사시켜 투사되는 영상의 투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of the image by the projector module, the projection light is refracted or reflected through the refractive lens or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굴절 또는 반사된 경 우 발생될 수 있는 색수차, 영상의 비율변경 또는 영상 반전 등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chromatic aberration, the ratio change of the image or the image reversal that may be generated when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refracted or reflect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 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신호, 화상 통화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프로젝터 모듈(155)에 의하여 외부로 투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 /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사용 환경에 따라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피사체의 밝기 또는 조명 등을 측정하는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 휴대용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으며, 폴더폰의 경우 폴더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부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로서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Referring to FIG. 1, a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proximity.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통화모드를 위한 모듈과 멀티미디어 등의 재생시에 발생되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모듈이 분리되어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신호를 투사광으로 변환하여, 투사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은 상기 카메라 모듈(121)에서 촬영된 정지 화상 또는 동적 화상을 투사광으로 변환시켜 투사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화상 또는 영상은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에서 무선으로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포함된 화상 또는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을 사용하여 피사체의 영상 등을 촬영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이 상기 카메라 모듈(121)에서 촬영되거나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 영상상을 투사광으로 투사함과 동시에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마이크(122)에서 입력되거나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r image projected by the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에서 무선으로 수신된 화상신호를 투사광으로 투사하는 경우, 화상신호와 함께 음향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상기 음향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Likewise, when projecting image signals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는 투과성 LCD 패널 또는 Lcos 패널 등이 영상소자로서 채용된 방식이 사용가능하며, 광원으로서 LE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프로젝터 모듈로서, 레이져광 방식의 프로젝터 모듈이 소개되고 있다. 상기 레이져광 방식의 프로젝터 모듈은 예열에 소모되는 시간이 아주 짧고 전력 소모량이 작아 휴대용 프로젝터에 적용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식별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용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용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용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 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s are stored in th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도 2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바디는 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실시예에 관해서는 별도로 설명한다.The body of the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forming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or titanium (Ti).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제1카메라 모듈(121), 사용자 입력부(130-1/131-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mainly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로서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도 1의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제1카메라 모듈(121)이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미도시)가 배치된다. 제2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사 용자 입력부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제2 및 제3사용자입력부(131,132,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제2 및 제3사용자입력부(131,132,133)들은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의 조작유닛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second, and
제1, 제2 및 제3사용자입력부(131,132,133)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입력부(13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사용자입력부(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또한, 제3사용자 입력부(133)는 카메라 모듈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 입력부일 수 있있으며, 제2사용자 입력부(132)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프로젝터 모듈(155)을 구비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은 투사렌즈, 광원 그리고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소자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은 투사광의 투사에 필요한 조명 또는 피사체의 밝기 또는 조명 등을 측정하는 측광센서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하나의 유닛으로 모듈화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은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내부에 장착되며, 투사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 되어 투사광을 투사하게 된다.The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방향 일단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프로젝터 모듈(155)의 투사렌즈가 길이방향 일단의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The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은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에서 무선으로 수신되거나, 상기 저장부(160) 등에 저장되거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로서의 영상신호를 투사광으로 변환하여 투사할 수 있다.The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을 사용하여 영상신호를 투사광으로 변환시켜 투사하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들고 영상을 투사하는 것은 불편하므로, 고정된 물체에 거치하여 촬영하거나 투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투사각 조절부재가 채용된다. 그 자세한 설명은 뒤로 미루기로 한다.When converting and projecting an image signal into projection light by using 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도 3에서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에 제2카메라 모듈(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카메라 모듈(121')은 제1카메라 모듈(121, 도 2 참조)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In FIG. 3, a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 모듈(121')은 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따라서, 상기 제2카메라 모듈(121') 근방에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제2카메라모듈(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공급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모듈(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리어 케이스(102) 후면에는 제2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cond
상기 제2음향 출력부(152')는 도 2에 도시된 제1음향 출력부(152)와 다른 출력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음향 출력부(152')는 제1음향 출력부(152) 보다 큰 출력을 갖을 수 있다.The second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antenna that forms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fer to FIG. 1)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terminal body.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충전식 베터리일 수 있다.The
휴대용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영상을 투사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하우징이 직립된 상태로 거치(프로젝터 모듈(155)이 케이스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된 경우)되거나, 눕힌 상태로 유지(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155)이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된 경우)해야 한다. 휴대용 단말기를 눕힌 경우, 촬영되는 영상 또는 투사되는 투사광이 거치면에 의하여 간섭받게 된다.In order to project an image using the
따라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adjusting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by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djusting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by th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영상신호를 영상이 포함된 투사광으로 변환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수용하는 본체하우징;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켜 투사광의 투사각을 변경하는 투사각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투사각 조절부재는 굴절렌즈 또는 반사경(600)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 projector module for converting and projecting an image signal into projection light including an image; A main body housing accommodating the display unit and the projector module; It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projection angle adjustment member for changing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by refracting or reflecting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module. The projection angle adjusting member may be a refractive lens or 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투사각 조절부재는 굴절렌즈(300)가 채용된 경우이다.4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the projection angle adjusting member is a case that the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하우징 내부에 프로젝터 모듈(155)이 내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측면 방향으로 투사광을 투사하게 된다.In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 the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빛을 제공하는 광원과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영상소자 그리고 광원에서 제공된 빛을 투사광을 투사하는 투사렌즈(155a)가 프로젝터 모듈의 하우징(155b)에 하나로 모듈화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투사렌즈(155a)는 상기 투사렌즈(155a)가 휴대용 단말기 본체하우징에 구비된 투사부(103) 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means that a light source for providing light, an image element for converting an image signal, and a
상기 투사부(103)는 투과형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서, 투사광을 손실없이 투사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The
상기 본체하우징, 즉 투사부(103)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 사이에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켜 투사광의 투사각을 변경하는 투사각 조절부재로서의 굴절렌즈(3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굴절렌즈(3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상하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장착된다.The
즉,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굴절렌즈가 없는 상태에서 테이블 등에 거치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납작하고 긴 형태의 본체하우징을 구비하므로, 본체하우징(101,102)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된 투사부(103) 측에서 투사광이 투사되면, 투사광은 테이블의 상면(설치면)과 간섭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a table or the like in the absence of the refractive lens,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flat and elongated main body housing, which is provi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를 설치면에 수평하게 거치한 상태에서, 투사광과 테이블 등의 설치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투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horizontally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projection angle should be adjustable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projection light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such as a table.
따라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과 상기 투사부(103) 사이에 개재되는 굴절렌즈(300)는 입사되는 투사광을 상향 조절하게 된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굴절렌즈(300)는 그 일단에 회전축(31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회전축(310)은 구동휠(320)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휠(320)을 회전시키면 상기 굴절렌즈(300)의 일단에 구비된 회전축(310)이 회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굴절렌즈(300)가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구동휠(300)의 일부가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101,10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부로 상기 구동휠의 일부가 노출되면, 사용자는 노출된 구동휠(320)을 굴려 상기 굴절렌즈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 portion of the
상기 구동휠(3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하우징에 개방구(105)가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구(105)는 상기 본체하우징(10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expose a part of the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젝터 모듈(155)과 굴절렌즈(300) 근방의 단면도를 도시한다.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the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투사렌즈(155a)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상기 굴절렌즈(155)에 입사될 수 있도록 상기 굴절렌즈(3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투사부(103) 사이에 위치한다.The
상기 굴절렌즈(300)의 두께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로 얇아지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투사렌즈에서 투사되는 투사광 전체가 입사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으면 된다.The
도 4(c)는 굴절렌즈(300)에 입사된 투사광의 투사각도가 변경되는 원리를 간 략하게 도시한다.4 (c) briefly illustrates a principle in which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incident on the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의 렌즈부(155a)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을 조절하거나, 선택적으로 상기 굴절렌즈(300)로 입사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투사광의 투사각도가 조절되는 원리는 도 4(c)에 도시되었으며, 투사광이 선택적으로 굴절렌즈에 입사되거나 입사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By rotating the
도 4(c)에 도시된 굴절렌즈(300)는 그 두께가 하부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얇아지는 투과형 프리즘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굴절렌즈의 입사면(rs)에 투사되는 투사광이 입사면(rs)과 수직하게 입사된다고 가정하는 경우, 수직하게 입사된 투사광은 별도의 굴절없이 진행하다가 입사면과 반대쪽에 구비된 투사면(ps)을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상방으로 투사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When it is assumed that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on the incident surface rs of the refractive lens is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incident surface rs, the vertically incident projection light proceeds without additional refraction and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incident surface rs. The projection angle may be changed while being ref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lope ps.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보다 투사렌즈가 더 밀한 매질에 해당되므로, 투사광의 상단에서 투사되는 빛(l1)의 투사면에서의 입사각 x1과 굴절각 y1의 크기는 입사각 x1이 굴절각 y1 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투사광의 상단의 빛(l1)은 상향 투사되어 진행하며, 마찬가지로 투사광의 하단에서 투사되는 빛(l2)은 투사면에서의 입사각 x2과 굴절각 y2의 크기는 입사각 x2이 굴절각 y2 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투사광의 상단에서 투사되는 빛(l2)은 상향 투사되어 진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C, since the projection lens corresponds to a medium having a denser density than air, the magnitude of the incident angle x1 and the refractive angle y1 at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light l1 projected from the top of the projection light is the incident angle x1 is the refractive angle. It becomes smaller than y1. Therefore, the light l1 at the top of the projection light is projected upward, and likewise, the light l2 projected from the bottom of the projection light has a magnitude of the incident angle x2 and the refractive angle y2 on the projection surfac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angle y2. Therefore, the light l2 proj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projection light is projected upward.
상기 굴절렌즈(300)의 일단에 구비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굴절렌즈(300)의 입사면(rs)의 경사를 물론 조절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투사광의 투 사방향이 조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Rotating the rotation ax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설명 중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굴절렌즈(30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공통되지만, 굴절렌즈(3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3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5 is common in that it includes a
즉, 굴절렌즈(300)의 일단에 구비된 회전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330)가 일단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가 본체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서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조절하도록 사용자 UI가 제공될 수도 있다. 물론, 별도의 사용자 입력부와 제어 UI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That is, a drivin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휴대용 단말기와 착탈가능한 굴절장치(4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6(b)는 상기 굴절장치(4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6(c)는 상기 굴절장치(400)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6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하는 굴절렌즈(3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6, the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굴절렌즈(300)는 상기 본체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굴절장치 하우징(35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굴절장치 하우징(350)은 상기 본체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장착돌기(35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하우징에는 상기 굴절장치 하우징의 장착돌기(355)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홈(107)이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355)와 상기 장착홈(107)의 위치는 상기 본체하우징과 상기 굴절장치 하우징(350)에서 서로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6, the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굴절렌즈의 일단에 회전축(310)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휠(320)이 상기 굴절장치 하우징(350) 외부로 일부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굴절장치 하우징(350)에 상기 구동휠(3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개방구(355)가 형성될 수 있음과 투사광의 굴절의 원리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공통된다.6 and 5,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굴절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refractive len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7(a)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굴절렌즈(300)가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7(b)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굴절렌즈가 회전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상기 굴절렌즈(300)로 입사되지 않고 투사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7(c)는 상기 굴절렌즈(300)와 회전축(310) 그리고 구동휠(32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Specifically, FIG. 7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굴절렌즈(300)는 도 4 또는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투사부(103)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무조건 상기 굴절렌즈(300)로 입 사된다. 따라서, 상기 굴절렌즈(300)를 적당히 회전하여, 상향 투사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경우라도, 굴절과정에서 영상이 왜곡될 수 있으므로, 투사렌즈(300)를 사용하여 투사광의 투사각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투사광이 굴절렌즈로 입사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렌즈(300)가 구비된 굴절장치(400)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여 본체하우징에 착탈하는 경우는 별론, 상기 본체하우징(101,102) 내부에 굴절렌즈(300)를 장착하는 경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요구된다.As shown in FIG. 6, in the cas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굴절렌즈(155)의 일단에 구비된 회전축(310)이 투사렌즈(300)의 단면 기준 길이방향 일단의 꼭지점 근방에 구비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310)을 구동하는 구동휠(도 4 참조)을 회전 또는 구동모터(도 5 참조)를 작동시켜, 상기 굴절렌즈(300)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입사되지 않는 위치로 회전시키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투사렌즈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상기 굴절렌즈에 입사되지 않고 상기 투사부를 통해 투사될 수 있으므로, 굴절렌즈에 의한 투사방향의 조절을 막을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상기 굴절렌즈(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림한 삼각기둥의 형태를 갖으며, 상기 본체하우징은 상기 굴절렌즈(300)가 회전한 경우 굴절렌즈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절렌는 슬림한 삼각기둥 형태를 갖으며, 그 일단에 구비된 회전축(310)은 상기 굴절렌즈(300) 상부에 연결된다. 딸라서, 상기 굴절렌즈(300)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굴절렌즈(300) 하부가 회전 되어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입사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c), the refractive lend has a slim triangular prism shape, and a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상기 굴절렌즈가 선택적으로 투사광을 굴절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굴절렌즈(300)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방법으로 선택적으로 투사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rojection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8 discloses another method for the refractive lens to selectively refract projection light. Specifically, FIG. 8A may selectively refract the projection light by the method in which the
구체적으로 도 8(a)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휴대용 단말기의 투사렌즈가 투사광을 굴절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8(c)는 도 8(a)의 휴대용 단말기의 투사렌즈가 그 회전축 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투사광이 굴절없이 투사되는 상태를 도시한다.Specifically, FIG. 8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FIG. 8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 lens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8 (a) refracts projection light, and FIG. 8 (c) is FIG. 8. The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 lens of the portable terminal of (a)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so that the projection light is projected without refraction.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굴절렌즈가 상기 투사광의 입사를 차단하는 방법은 굴절렌즈(300)의 회전에 의한 방법이 아닌 굴절렌즈(300)를 회전축(310)의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굴절렌즈(300)를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굴절렌즈(300)가 투사광을 선택적으로 굴절되도록 할 수 있다.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7, the method of blocking the incidence of the projection light by the refractive lens illustrated in FIG. 8 may be performed by rotating the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투사렌즈(300)를 회전시켜 투사광의 입사를 차단하지만, 상기 투사렌즈(300)가 회전하여 수용되어 투사광을 피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프로젝터 모듈(155)과 본체하우징의 투사부(103)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굴절렌즈(300)를 굴절렌즈의 회전을 위하여 구비되는 회전축(310)의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면 투사광의 입 사를 피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터 모듈(155)과 본체하우징의 투사부(103)의 거리를 최소화하며 굴절렌즈를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rotates the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휠(32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에 형성되는 개방구(105')는 도 4 등에 도시된 개방구보다 회전축의 축방향으로의 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8, the
상기 굴절렌즈(300)를 변위시키는 작업을 사용자의 손으로 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추진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of displacing 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사각 조절부재는 반사경(600)이 채용된다.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a reflecting
구체적으로 도 9(a)는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반사경(600)에 의해 반사되어 투사광의 투사방향이 변경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9(b)는 상기 반사경(600)이 회전하여 투사광이 반사경(600)의 반사없이 투사되는 상태를 도시한다.In detail, FIG. 9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by the
반사경(600)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굴절렌즈와 달리 투사광을 반사시켜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굴절렌즈(300)는 그 굴절렌즈(300)를 투과하는 투사광을 굴절시켜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하게 되지만,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투사광을 반사시켜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변경하는 특징을 갖는다.Unlike the refractive le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전술한 실시예들은 상기 본체하우징에서 투사광이 투사되는 투사부가 1개 구비된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투사부는 본체하우징의 상단부의 측면(제1투사부(103))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배면(제2투사부(103')에 두개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러나, 상기 투사부의 위치와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case in which the projection unit projecting the projection ligh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is illustrated, bu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projection unit is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the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투사부(103')는 본체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되었으나, 상기 투사부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상기 투사부는 상기 반사경에서 반사된 투사광이 투사되는 광투과성 재질(유리 또는 투과형 플라스틱)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jection unit may be made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glass or transmissive plastic) to which the projection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is projected.
도 9①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도 전술한 실싱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은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프로젝터 모듈(155)의 투사렌즈(155a)가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단의 측면을 향하여 투사광을 투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siling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9① is provided with the
따라서, 상기 반사경(600)이 투사광을 반사시키지 않는다면, 상기 투사광은 상기 제1투사부(103)를 통해 투사된다.Therefore, if the
먼저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반사경(600)에 의해 반사되어 투사광의 투사방향이 변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경(60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그 일단에 회전축(610)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9A,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the
상기 회전축(610)에 마찬가지로 구동휠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휠(6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음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반사경(600)은 투사광의 반사여부에 따라 상기 제1투사부(103)와 상기 제2투사부(103')로 선택적으 로 투사광을 투사할 수 있지만, 투사광을 반사시켜 제2투사부(103')사광을 투사시키는 경우, 제2투사부(103')로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투사부에서 제2투사부(103')로 투사방향을 변경하는 것 이외에 제2투사부(103')로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반사경을 회전시켜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Similarly, a driving wheel may be provided on the
도 9(a)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투사렌즈 전단에 구비된 반사경(600)에 입사되는 투사광의 입사각을 조절하면, 상기 제2투사부(103')로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9 (a), when the incident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incident on the
도 9(b)는 상기 반사경(600)을 반사경(600)에 구비된 회전축과 구동휠을 사용하여 상기 반사경(600)을 상기 본체하우징과 평행하게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 9(b)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경(600)은 상기 투사광을 간섭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FIG. 9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도 9(a)에 도시된 경우는 상기 본체하우징 배면에 구비된 제2투사부(103')를 통해 투사광을 투사하는 경우는 휴대용 단말기를 직립시켜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며, 도 9(b)에 도시된 경우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단부의 측면으로 투사광을 투사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눕힌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거나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직접 들고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9 (a) is a method that can be used when projecting the projection light through the second projection unit 103 'provided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housing when projecting an image by standing up a portable terminal. 9 (b) is used when projecting the projection light toward th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lying down, or when the user directly lifts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jects an image. That's how it can b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이점은 상기 반사경(600)의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구동휠이 아닌 구동모터(630)에 의하여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different in that it is provided by a driving
상기 반사경(600)은 그 일단에 회전축(610)이 구비되고, 그 회전축(6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630)가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630)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가 본체하우징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서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조절하도록 사용자 UI가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사용자 입력부와 제어 UI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음 도 5에 도시된 굴절렌즈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마찬가지이다.Th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그 본체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사장치(700)를 구비한다. 상기 반사장치(700)는 그 내부에 반사경(600)을 구비한다.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includes a reflecting
구체적으로 도 11(a)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하우징과 반사장치(700)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b)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반사장치(700)가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1(c)는 상기 반사장치(700)가 장착된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의 단면도이다.Specifically, (a)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reflecting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제공되는 투사광은 상기 반사장치(70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단 측면에 구비된 투사부(또는 투사렌즈)를 통해 투사되지만, 필요에 따라 투사광을 본체하우징의 배면방향 또는 전면방향으로 투사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장치(700)를 장착할 수 있다.The projection light provided by the
상기 반사장치(700)는 도 6에 도시된 굴절장치와 굴절렌즈를 구비하느냐 반 사경(600)을 구비하느냐와 굴절장치 또는 반사장치에서 굴절 또는 반사되는 투사광의 투사방향이 본체의 길이방향인지 아니면 본체하우징의 전면 또는 배면방향인지의 차이점이 있다.The reflecting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절장치(700)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제공되는 투사광을 반사시켜 영상의 투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C, the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제공되는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직각으로 변경하는 경우 이외에도 상기 반사경(600)에 구비된 회전축(610)을 회전시켜 상기 반사경(600)에서 반사되는 투사광의 반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투사광의 상향투사 또는 하향투사가 가능할 것이다.Further, in addition to changing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ion light provided from the
도 11에 도시된 반사장치 역시 도 5에 도시된 굴절장치와 마찬가지로 반사경(600) 일단에 회전축(610)과 구동휠(620)을 갖으며, 상기 반사경(600), 상기 회전축(610) 그리고 상기 구동휠(62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반사장치 하우징(750) 및 장착돌기(755)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공통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eflector shown in FIG. 11 also has a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반사장치(700)는 그 내부에 반사경(600)을 2개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different in that the reflecting
상기 반사경(600)을 2개 구비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반사경(600)이 하나 구비되는 경우, 투사광에 포함된 영상의 반전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반사 경(600)이 하나 장착된 경우 또는 반사경(600)이 하나가 구비되는 반사장치를 장착한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제공되는 투사광이 반사되는 과정에서 영상이 반전될 수 있으나, 반사된 투사광을 추가적인 반사경(600)에 의하여 다시 반사시키면, 영상이 재반전되어 원본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cluding the two
도 1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반사장치는 그 내부에에 제1반사경(600)과 제2반사경(600')을 구비한다.In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2, the reflec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reflecting
상기 제1반사경(600)과 제2반사경(600')이 대략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제공되는 투사광은 제1반사경(600)에서 반사되어 제2반사경(600')으로 투사되며, 제2반사경(600')은 다시 투사광을 반사시켜 스크린 또는 벽면으로 영상을 투사하게 된다.When the first reflecting
상기 반사장치 하우징(750)은 전술한 굴절장치 또는 반사장치와 달리, 장착돌기(755)가 원형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장착돌기를 파이프 형태로 구비하고, 장착홈(107)을 상기 원형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면, 상기 본체하우징에 상기 반사장치(700)를 장착한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상기 반사장치(700)가 장착되지 않는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테이블 등에 거치하는 경우, 투사광과 설치면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투사광의 투사높이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a table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반사장치(700)를 구성하는 반사경(600) 역시 그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휠(620)과 회전축(610)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12에 도시된 반사장치에서, 상기 제2반사경(600')에 회전축(610)과 구동휠(620)이 구비된 것이 도시된다. 상기 구동휠(620)을 회전시켜 상기 제2반사경(6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면, 상기 반사장치(700)에서 반사되어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reflector shown in FIG. 12, the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반사장치 내부에서 투사광의 반사 및 투사과정을 도시한다. 보다 상세히, 도 13(a)는 상기 반사장치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반사장치(700)에 입사한 방향과 평행하게 높이만 변경된 상태로 투사되는 경우를 도시하며, 도 13(b)는 상기 반사장치(700)를 구성하는 제2반사경(600')을 회전시켜 반사되는 투사광의 입사각(a)을 줄이는 방법으로, 상기 반사장치(700)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FIG. 13 illustrates a process of reflecting and projecting projection light inside the reflector shown in FIG. 12. More specifically, FIG. 13 (a) shows a case in which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is projected in a state where only the height is chang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incident to the
상기 제2반사경(600')에 반사되는 투사광의 입사각이 도 13(a)의 경우, a도이지만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입사각을 b도로 줄이면 투사광의 투사각도가 상향 조절될 수 있다.13 (a), the incident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600 'is a degree, but if the incident angle is reduced by b by rotating the rotation axis,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can be adjusted upward.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제공되는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최적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ion light provided from the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굴절렌즈(또는 굴절장치) 또는 반사경(또는 반사장치)를 사용하여, 프로젝터 모듈에서 제공되는 투사광의 투사각도를 조절하거나,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러나, 굴절렌즈 또는 반사경을 사용하여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투사광의 굴절과정 또는 반사과정을 거치면서 영상의 왜곡, 예를 들면 색수차, 영상반전 또는 화면 비율의 변경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의 왜곡 현상은 휴대용 단말기와 스크린 등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커진다. 굴절렌즈 또는 반사경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이러한 문제점을 기구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2 to 13, a method of adjusting or changing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ight provided from the projector module by using a refractive lens (or a refractive device) or a reflector (or a reflection device) has been examined. . However, when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ion light is changed by using the refraction lens or the reflector, distortion of the image, for example, chromatic aberration, image inversion, or change of aspect ratio may occur while the projection light is refracted or reflected. . The distortion of the image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creen increases. This problem caused by using a refractive lens or a reflector cannot be solved mechanically, but can be solved using a software method, as described below.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을 사용하여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방법을 검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7.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굴절렌즈를 구비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색수차를 해결하기 위한 영상의 처리과정을 도시한다.14 illustrates a process of processing an image to solve chromatic aberration that may occur whe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ractive lens.
유리 등의 굴절률은 일반 투명물질과 마찬가지로 빛의 파장이 길어짐에 따라 차차 작아지므로, 굴절렌즈를 통해 물체의 상을 맺게 하면 물체의 색(빛의 파장)에 따라 상의 위치나 배율이 달라지는 현상을 색추차라 한다. 색수차를 가진 굴절렌즈를 통해 백색광을 보면 빨강에 가까운 긴 파장의 빛일수록 초점이 렌즈에서 먼 곳에, 보라에 가까운 짧은 파장의 빛일수록 렌즈와 가까운 곳에 초점이 맺히므로 상이 아롱져 덜 선명해 보인다.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glass and the like becomes smaller as the wavelength of light becomes longer, like a general transparent material, when the image of the object is formed through the refractive lens, the position or magnification of the image varies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object (light wavelength). It is called tea. When looking at white light through a refractive lens with chromatic aberration, the longer the wavelength is closer to red, the farther the focus is from the lens, and the shorter the wavelength is closer to the lens, the closer the lens is.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굴절렌즈에 투사되는 투사광은 입사되는 투사광은 여러 색상의 빛이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굴절렌즈를 통과하면서, 파장이 가장 짧은 보라색 계열의 빛이 굴절렌즈를 통과하는 경우 굴절각이 가장 크며, 파장이 가장 긴 붉은 색 계열의 빛이 굴절각이 가장 작다.That is,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onto the refractive le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incident projection light is a mixture of light of various colors, while passing through the refractive lens, the violet light having the shortest wavelength When passing through the refraction lens, the angle of refraction is greatest, and the red light with the longest wavelength has the smallest angle of refraction.
따라서, 프로젝터 모듈에서 제공되며, 굴절렌즈의 동일한 지점으로 입사되는 투사광 중 붉은 색 계열의 투사광은 상대적으로 덜 굴절되고, 보라색 계열의 투사 광은 상대적으로 더 굴절된다.Accordingly, among the projection light beams provided by the projector module, the red light projection light is relatively less refracted, and the violet light projection light is relatively more refracted.
도 14(a)는 원본 이미지를 도시하며, 도 14(b)는 굴절렌즈 없이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된 투사광이 정상적으로 스크린 등에 투사된 경우에 투사된 이미지를 도시하며, 도 14(c)는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된 투사광이 상향 투사를 위해서, 굴절렌즈가 사용된 경우에 굴절렌즈를 통과한 투사광에 의하여 형성된 영상을 표시하며, 도 14(d)는 원본이미지를 투사광으로 투사하는 경우,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형성한 임시 이미지를, 도 14(e)는 도 14(d)의 임시 이미지를 투사광으로 변환하여 투사한 경우의 이미지를 도시한다.Fig. 14 (a) shows the original image, Fig. 14 (b) shows the projected image when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module without the refractive lens is projected normally on the screen, and Fig. 14 (c) shows the projector.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the module displays an image formed by the projection light passing through the refractive lens when the refractive lens is used for upward projection, and FIG. 14 (d) shows the projection of the original image as the projection light. FIG. 14E illustrates an image obtained by converting the temporary image of FIG. 14D into projection light and projecting the temporary image formed to correct chromatic aberration.
굴절렌즈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투사광에 의해 맺힌 영상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왜곡없는 이미지가 될 것이나, 굴절렌즈가 사용되면 원본 이미지의 보정이 없다면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라색으로 표시된 문자 "P"의 굴절과정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된 문자 "R"보다 상방향으로 더 상승된 위치에 도달하도록 영상이 형성될 것이다. 즉, 굴절률에 차이에 따른 적절한 보정과정이 없다면 색수차가 발생될 것이다.If the refractive lens is not used, the image formed by the projection light will be a distortion-free image as shown in Fig. 14 (b), but if the refractive lens is used without correction of the original image as shown in Fig. 14 (c) As described above, an image may be formed to reach a position that is higher upward than the letter “R” indicated in red in the refraction of the letter “P” indicated in purple. That is, chromatic aberration will occur if there is no proper corr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따라서, 굴절렌즈가 사용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색수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라색으로 표시된 문자 "P"가 붉은 색으로 표시된 문자 "R"보다 더 상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임시 이미지를 생성한다.Therefore, when the refractive lens is used, in order to remove the chromatic aber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4 (d), the letter "P" displayed in purple is more upward than the letter "R" indicated in red. Create a temporary image to be displayed.
도 14(d)에 도시된 이미지는 임시 처리된 이미지로 투사광을 생성하여 이를 투사한 경우 맺히는 영상이므로, 도 14(d)에 도시된 이미지를 투사광으로 변환하여 굴절렌즈에 투사하게 되면,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이미지와 동일한 결 과를 얻을 수 있다.Since the image shown in FIG. 14 (d) is an image formed when the projection light is generated by projecting the temporarily processed image, the image shown in FIG. 14 (d) is converted into the projection light and projected onto the refractive lens. As shown in FIG. 14E, the same result as the original image can be obtained.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굴절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상향 조절하기 위한 예가 사용되었으므로, 도 14에 도시된 이미지의 색수차는 파장이 짧은 빛이 상향 표시되는 것으로 왜곡된 것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굴절렌즈를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하향 조절하기 위한 굴절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4(c)에 도시된 보라색 계열의 빛은 위쪽이 아닌 하방으로 치우쳐 보일 것이다.4 to 8, when the refractive lens is used, an example is used to upwardly adjust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ion light. Therefore, the chromatic aberration of the image shown in FIG. 14 indicates that light having a short wavelength is displayed upward. It is marked as distorted.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refraction lens for adjusting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ion light downward projection of the violet-based light shown in Figure 14 (c) will be seen to be shifted downward rather than upward.
이와 같은 색수차에 의한 영상 왜곡은 투사광에 의한 영상의 전체적인 선명도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도 14(d)와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수차를 가정한 임시 이미지를 투사광으로 변환하여 투사하면 도 14(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색수차에 의한 영상의 왜곡을 줄일 수 있다.Since the image distortion due to chromatic aberration may worsen the overall sharpness of the image due to the projection light, as shown in FIGS. 14 (d) and 14 (e), the temporary image assuming chromatic aberration is converted into projection light. Projection can reduce distortion of an image due to chromatic aberration, as shown in FIG.
도 15는 굴절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색수차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한 블록선도이다.15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correcting chromatic aberration when using a refractive lens.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에 의하여 투사광의 투사를 원하는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광을 투사(S100)하게 된다.The user who wants to project the projection light by the projector module may project the projection light from the projector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S100).
만일 사용자가 색수차의 발생을 대비하여 미리 색수차의 보정을 설정(S200)하거나 투사과정의 진행 중 색수차 보정을 선택(S200)하는 경우,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굴절렌즈의 각도 또는 위치 등을 센싱부(140)에서 감지하여, 굴절렌즈의 사용여부를 판단(S300)하게 된다. If the user sets the correction of the chromatic aberration in advance in preparation for the occurrence of the chromatic aberration (S200) or selects the correction of the chromatic aberration during the projection process (S200),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2 to 8, the angle of the refractive lens Alternatively, the
즉, 상기 굴절렌즈의 각도와 위치가 투사광이 입사되는 각도와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임시 이미지를 생성(S400)하고 상기 임시 이미지를 투사광으로 변환(S500A)하여, 임시이미지에 의한 투사광을 투사(S600A)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angle and the position of the refractive lens corresponds to the angle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projection light is inciden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temporary image (S400) and converts the temporary image into projection light (S500A), to the temporary image By the projection light (S600A).
그러나, 사용자가 색수차의 발생을 대비하여 미리 색수차의 보정을 설정(S200)하거나 투사과정의 진행 중 색수차 보정을 선택(S200)하였어도, 굴절렌즈의 사용여부를 판단(S300)하는 단계에서, 굴절렌즈에 투사광이 입사되지 않는 각도로 굴절렌즈가 회전된 상태이거나, 굴절렌즈의 위치가 투사광이 입사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가 색수차의 발생을 대비하여 미리 색수차의 보정을 설정(S200)하거나 투사과정의 진행 중 색수차 보정을 선택(S200)한 경우라도, 색수차를 위한 보정작업은 불필요하다.However, even if the user sets the correction of the chromatic aberration in advance in preparation for the occurrence of the chromatic aberration (S200) or selects the correction of the chromatic aberration during the projection process (S200),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refractive lens (S300), the refractive lens When the refractive lens is rotated at an angle at which the projection light is not incident on or the position of the refractive lens moves to the state where the projection light is not incident, the user sets the correction of the chromatic aberration in advance in preparation for the occurrence of chromatic aberration (S200). Even when the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is selected (S200) during the projection process, the correction for chromatic aberration is unnecessary.
따라서, 이러한 경우 원본 이미지를 투사광으로 변환(S500B)하고 원본 이미지에 의한 투사광을 투사(S600B)하면 된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original image may be converted into projection light (S500B), and the projection light by the original image may be projected (S600B).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렌즈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투사광이 투사렌즈에 입사되는 것은 선택적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it may be optional for the projection light to be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even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efractive lens.
이와 같은 판단은 굴절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의 색수차를 보정하는 방법은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굴절렌즈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켜, 굴절렌즈로 투사광이 입사되는 과정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과, 휴대용 단말기의 센싱부는 굴절렌즈에 투사광이 입사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이 전제된다.This determination is a method of correcting chromatic aberration when using a refractive lens by rotating or moving the refractive lens for adjusting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ion light, the process of the projection light incident on the refractive lens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And, it is assumed that the sensing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he projection light is incident on the refractive lens.
따라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굴절렌즈의 회전축 등의 회전변위 등을 감지하여 굴절렌즈가 투사광을 굴절시키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ensing unit may be set to detect whether the refractive lens refracts the projection light by detecting a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refractive lens or the like.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반사경(600)을 구비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영상반전을 해결하기 위한 영상의 처리과정을 도시한다.16 illustrates a process of processing an image to solve image inversion that may occur whe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도 16(a)는 프로젝터 모듈에서 표시하기 위한 원본 이미지를 도시하며, 도 16(b)는 반사경 없이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된 투사광이 정상적으로 스크린 등에 투사된 경우에 투사된 영상의 이미지를 도시하며, 도 16(c)는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된 투사광의 투사방향 변경을 위해서, 반사경이 사용된 경우에 반사경에서 반사된 투사광에 의하여 형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며, 도 16(d)는 원본이미지를 투사광으로 투사하는 경우, 영상반전을 수정하기 위한 임시 이미지를 도시하며, 도 16(e)는 도 16(d)의 임시 이미지를 포함한 투사광이 반사경(600)에서 반사되고 스크린 등에 맺힌 영상을 도시한다.FIG. 16 (a) shows an original image for display on the projector module, FIG. 16 (b) shows an image of the projected image when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module without a reflector is normally projected on a screen, etc. FIG. 16 (c) shows an image formed by the projection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when the reflector is used for changing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module, and FIG. 16 (d) shows the projection image of the original image. In the case of the projection, the temporary image for correcting the image inversion is shown, and FIG. 16 (e) shows an image in which the projection light including the temporary image of FIG. 16 (d) is reflected by the
도 14에 대한 설명 중 굴절렌즈 대신 반사경(600)이 사용된다는 점과, 반사경(600)이 하나 사용되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이 색수차가 아닌 영상반전이라는 점 이외에는 영상반전을 위한 임시 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를 투사광으로 변환하여 투사하여 다시 반사경에 의하여 반사시킴으로써, 원본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는 점은 굴절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와 공통점을 갖는다.In the description of FIG. 14, a temporary image for image reversal is generated by generating a temporary image for image reversal except that a
도 17은 반사경을 사용하는 경우, 영상반전을 수정하는 방법에 대한 블록선도이다. 굴절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색수차를 제거하기 위한 보정방법과 공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17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of correcting image inversion when using a reflector. Descriptions common to correction methods for removing chromatic aberration generated when using a refractive lens are omitted.
마찬가지로, 영상반전의 수정을 선택(S100(2))하거나 영상반전의 수정이 설정(S100(2))되었는지를 판단(S300(2))하게 된다. Similar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ction of the image inversion is selected (S100 (2)) or whether the correction of the image inversion is set (S100 (2)) (S300 (2)).
즉, 상기 반사경의 각도 또는 위치가 투사광이 반사되는 각도와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임시 이미지를 생성(S400(2))하고 상기 임시 이미지를 투사광으로 변환(S500A(2))하여, 임시이미지에 의한 투사광을 투사(S600A(2))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angle or position of the reflector corresponds to the angle and position at which the projection light is reflected, the controller generates a temporary image (S400 (2)) and converts the temporary image into projection light (S500A (2)). Thus, projection light (S600A (2)) by the temporary image is projected.
그러나, 사용자가 영상반전의 발생을 대비하여 미리 영상반전의 수정을 설정(S200(2))하거나 투사과정의 진행 중 영상반전의 수정을 선택(S200(2))하였어도, 반사경(600)의 사용여부를 판단(S300(2))하는 단계에서, 반사경(600)에 투사광이 반사되지 않는 각도로 반사경(600)이 회전된 상태이거나, 반사경의 위치가 투사광이 입사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가 영상반전의 발생을 대비하여 미리 영상반전의 수정을 설정(S200(2))하거나 투사과정의 진행 중 영상반전의 수정을 선택(S200(2))한 경우라도, 영상반전을 위한 보정작업은 불필요하다.However, even if the user has previously set the correction of the image inversion in preparation for the occurrence of the image inversion (S200 (2)) or the correction of the image inversion during the projection process (S200 (2)), the use of the
따라서, 이러한 경우 원본 이미지를 투사광으로 변환(S500B(2))하고 원본 이미지에 의한 투사광을 투사(S600B(2))하면 된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original image may be converted into projection light (S500B (2)) and the projection light by the original image may be projected (S600B (2)).
또한, 굴절렌즈를 사용하여 투사광을 상향투사하는 경우와 반사경을 사용하여 투사광의 투사방향을 변경하고, 더불어 투사방향을 상향 조절하는 경우(도 13(b) 참조)하는 경우에는 투사광에 의한 영상이 사다리꼴화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jection light is upwardly projected using a refraction lens and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ion light is changed by using a reflector, and when the projection direction is upwardly adjusted (see FIG. 13 (b)), The phenomenon that the image becomes trapezoidal may occur.
이러한 영상의 사다리꼴화(영상의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더 큰 현상) 등은 디더링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해결하거나, 전술한 색수차와 영상반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임시이미지(영상의 상부 의 폭을 하부의 폭보다 작게 투사광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하다.Such trapezoidalization of the image (phenomena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image is larger than the lower part) is solved using software techniques such as dithering, or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methods for solving problems such as chromatic aberration and image inversion. This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by creating a temporary image (projection light generated by making the upper part of the image smaller than the lower part).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4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굴절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refractive len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rojection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반사장치 내부에서 투사광의 반사 및 투사과정을 도시한다.FIG. 13 illustrates a process of reflecting and projecting projection light inside the reflector shown in FIG. 12.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굴절렌즈를 구비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색수차를 해결하기 위한 영상의 처리과정을 도시한다.14 illustrates a process of processing an image to solve chromatic aberration that may occur whe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ractive lens.
도 15는 굴절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색수차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한 블록선15 is a block line for a method of correcting chromatic aberration when using a refractive lens;
도이다.It is also.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반사경(600)을 구비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영상반전을 해결하기 위한 영상의 처리과정을 도시한다.16 illustrates a process of processing an image to solve image inversion that may occur whe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도 17은 반사경을 사용하는 경우, 영상반전을 수정하는 방법에 대한 블록선도이다.17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of correcting image inversion when using a reflector.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6321A KR101654723B1 (en) | 2009-02-26 | 2009-02-26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6321A KR101654723B1 (en) | 2009-02-26 | 2009-02-26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7400A true KR20100097400A (en) | 2010-09-03 |
KR101654723B1 KR101654723B1 (en) | 2016-09-06 |
Family
ID=4300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6321A KR101654723B1 (en) | 2009-02-26 | 2009-02-26 |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4723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4725B1 (en) * | 2012-06-28 | 2013-09-05 | 황인석 | Detachable reflector for projector |
WO2014011682A1 (en) * | 2012-07-12 | 2014-01-16 | Electro Scientific Industires, Inc. | Interactive control system,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
CN106817442A (en) * | 2015-11-30 | 2017-06-09 |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 Electronic installation |
CN108799954A (en) * | 2018-08-27 | 2018-11-13 | 上海岗消网络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projection security against fire exit direction device |
WO2020017167A1 (en) * | 2018-07-17 | 2020-01-23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Optical unit and projection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2966A (en) * | 2018-06-26 | 2018-09-07 | 河南首弘电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obile phone and its projecting method of additional projection instrumen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1164B1 (en) * | 1995-03-14 | 1998-08-17 | 이대원 | Optical projection system for projector |
KR20070013393A (en) * | 2005-07-26 | 2007-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creen apparatus for mobile phone having laser projectio display |
JP2008281815A (en) * | 2007-05-11 | 2008-11-20 | Shinko Electric Ind Co Ltd | Display device |
-
2009
- 2009-02-26 KR KR1020090016321A patent/KR101654723B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1164B1 (en) * | 1995-03-14 | 1998-08-17 | 이대원 | Optical projection system for projector |
KR20070013393A (en) * | 2005-07-26 | 2007-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creen apparatus for mobile phone having laser projectio display |
JP2008281815A (en) * | 2007-05-11 | 2008-11-20 | Shinko Electric Ind Co Ltd | Display device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4725B1 (en) * | 2012-06-28 | 2013-09-05 | 황인석 | Detachable reflector for projector |
WO2014011682A1 (en) * | 2012-07-12 | 2014-01-16 | Electro Scientific Industires, Inc. | Interactive control system,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
US9120180B2 (en) | 2012-07-12 | 2015-09-01 |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 Interactive control system,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
CN106817442A (en) * | 2015-11-30 | 2017-06-09 |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 Electronic installation |
TWI658403B (en) * | 2015-11-30 | 2019-05-01 |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
CN106817442B (en) * | 2015-11-30 | 2020-04-14 |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
WO2020017167A1 (en) * | 2018-07-17 | 2020-01-23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Optical unit and projection device |
CN108799954A (en) * | 2018-08-27 | 2018-11-13 | 上海岗消网络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projection security against fire exit direc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4723B1 (en) | 2016-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40068B2 (en) |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949730B1 (en) | Zoom Lens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 |
US9971175B2 (en) |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KR101235594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50084608A (en)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10007381B2 (en) | Mobile terminal | |
KR101654723B1 (en) | Mobile terminal | |
US9230515B2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 |
EP1855470B1 (en) | Image offset adjustment apparatus for LCD projector and mobile phone having same | |
KR20110008459A (en) | Mobile terminal with an led backlight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20110003705A (en) |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170115186A (en) | POV(Point of View) Globe using LED after-image | |
KR20110131941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ssage thereof | |
KR20100081082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622220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10002613A (en) | Mobile terminal | |
KR101741399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 |
KR20190087261A (en) | Camera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584547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627858B1 (en) | Method for controling projector modul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thereof | |
KR101529926B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110064417A (en) | Mobile terminal | |
KR101548998B1 (en) | Mobile terminal | |
KR20090124168A (en) | Terminal | |
KR20100053947A (en) | Handheld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