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307A - System for ga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ga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307A
KR20100097307A KR1020090016184A KR20090016184A KR20100097307A KR 20100097307 A KR20100097307 A KR 20100097307A KR 1020090016184 A KR1020090016184 A KR 1020090016184A KR 20090016184 A KR20090016184 A KR 20090016184A KR 20100097307 A KR20100097307 A KR 20100097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ni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game prog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봉철
Original Assignee
(주)륜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륜닷컴 filed Critical (주)륜닷컴
Priority to KR102009001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7307A/en
Publication of KR20100097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3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63F13/352Details of game servers involving special game server arrangements, e.g. regional servers connected to a national server or a plurality of servers managing partitions of the game worl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1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 to video games, e.g. between several handheld game devices at close ran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63F13/327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Wi-Fi® or pico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game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store high-capacity network game of various types in a game device and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I/O(Input/Output) unit and communication unit of network game, thereby enjoying a high speed game regardless of perform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ON: A game device(200) includes network game program for multi-user. The game device transfers output data related to game playing through local area communica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00) interchanges input data related to game playing by key input through a network(3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image or sound according to the output data related to the playing game of the game device.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SYSTEM FOR GA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Game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FOR GA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게임진행 관련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 간에 이루어지게 하고 게임 진행 프로세서동작은 별도의 게임장치에서 이루어지게 하여, 대용량의 네트워크 게임을 빠른 진행속도로 즐길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game progress related data to be mad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game progress processor operation to be made in a separate game device, so that a large amount of network games can be played fa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enjoyed at a running speed.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다기능성에 편승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까지도 구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이동 통신망을 통한 네트워크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편의성과 시간에 구애받음 없이 원하는 시간에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아울러 일반 PC(personal computer)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게임을 즐기고 있는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의 구현 성능에도 지대한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제작하면 휴대하기에 불편하게 되어 그 상품성이 낮아지므로, 한정된 크기에 고 집적회로를 구성하여 필요한 성능을 갖추도록 개발되고는 있다.In recent years, network gam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implemented by riding on the multi-function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 network gam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njoy the network gam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ytime and anywhere, and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njoyed at any time regardless of time, the demand is increasing rapidly, and Users who play a variety of network games through a personal computer (PC) have a great interest in the performance of implementing a network gam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inconvenient to carry when it is manufactured in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nd thus its commerciality is lowered.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veloped to have a required performance by constructing a high integrated circuit in a limited size.

하지만, 성능이 향상되더라도 용량이 큰 게임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만으로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반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성능에 맞게 네트워크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모리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다양한 게임 프로그램을 탑재시키기도 못하였다. 즉,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몇가지로 한정된 게임만을 즐기다가 새로운 게임을 하고 싶으면, 기존 게임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삭제해야만 했던 것이다.However, even if the performance is improved, there is a limitation in accommodating a large game program,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one does not satisfy the user's needs. On the contrary, the network game program must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terminal. There was this. In addi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emory capacity, it was not possible to mount various game programs.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play a new game while playing only a limited number of games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you have to delete the existing game program from memory.

또한, 네트워크 게임 또는 혼자서 하는 게임의 실행 중에도 이동통신단말기 본연의 다양한 기능도 수행해야 하므로, 게임을 실행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연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여 하지만, 그 만큼 이동통신단말기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켜야 하는 어려움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perform various functions even during the execution of a network game or a game played alone, even if the game is executed,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was also the difficulty of furthe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또한, 네트워크 게임을 즐기기 위한 입력 조작도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입력수단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지만, 이러한 입력수단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어떤 게임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입력수단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지만, 또 다른 게임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입력수단만으로 게임을 즐기기엔 불편하였던 것이다.In addition, as input operations for playing network games have become complicated and diverse, input means operated by a user have also been developed to be used quickly and simpl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such input means cannot be mou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some games can enjoy the game by the input mean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another game was inconvenient to enjoy the game only by the input mean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10-0695367호 "이동통신 단말기용 게임 조작을 위한 지원 장치"와 제10-0703453호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간 의 게임기능구현방법 및 게임 제공 시스템"에서는, 근거리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네트워크 게임을 지원하는 중계용 게임장치를 제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게임에 참가하려는 사용자들이 근거리에서 상호 약속하에 게임을 진행해야 하므로, 공간적 및 시간적 제약을 받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제약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게임장치가 필요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Patent Publication No. 10-0695367 "support device for game oper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 10-0703453 "game func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game providing system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luetooth," A relay game device supporting a network gam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was proposed. 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users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e game must proceed with the game at a short distance from each other, there is a difficulty in receiving space and time constraints.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game device that enables users to enjoy a game anytime and anywher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대용량 네트워크 게임을 언제 어디서든 즐길 수 있게 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에 부담을 주지 아니하며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enjoy various types of large-capacity network games anytime, anywhere, and can execute a game program without burden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수단을 게임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간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se the input means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type of game, so that the game can be easily enjoy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망(300)을 통해 무선통신하여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참여자마다 휴대되어 동작하며,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전달받아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게임 프로그램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전달하는 게임장치(200); 게임 참여자마다 휴대되며, 게임 참여자 자신의 게임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동하여 게임모드로 진입하고, 키입력으로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통신망(300)을 통해 상호 교환하고, 키입력으로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와 통신망(300)을 통해 교환하여 획득한 다른 게임 참여자의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구분하여 근 거리 통신으로 게임장치(200)에 전달하고, 게임장치(2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에 따라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ame system capable of playing a multi-user network game by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each game participant is carried and operated, multi-user network game A game device 200 having a built-in program and receiving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to execute a multi-user network game program, and delivering game progress-related output data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program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It is carried by each game participant, enters the game mode by interlocking with the game participant's own game device 2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exchanges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key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enters the key.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of the other game participants obtained by exchang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s divided and transmitted to the game device 200 by near-field communication, from the game device 20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utputting an image or a sound according to the received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은, 통신망(300)을 통해 무선통신하여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참여자마다 휴대되어 동작하며,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근거리 통신으로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 또는 본 게임장치(200)에 구비한 입력부로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따라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게임 프로그램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전달하는 게임장치(200); 게임 참여자마다 휴대되며, 게임 참여자 자신의 게임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동하여 게임모드로 진입하고,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키입력 권한을 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키 입력부로 하게 하는 자체 콘트롤 모드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키입력 권한을 상기 게임장치(200)에 부여하는 콘트롤 전달 모드 중에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받아 동작하고, 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키 입력부 또는 게임장치(200)에서 입력되는 게임 진행관련 데이터를 통신망(300)을 통해 다른 게임 참여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상호 교환하는 한편, 상기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데이터 및 통신망(300)으로 획득한 게임 진행관련 데이터에 따라 상기 게임장치(200)에서 게임이 진행되게 하고, 게임장치(2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에 따라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ame system that can play a multi-user network game by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each game participant is carried and operated, and embedded a multi-user network game program, The multi-user network game program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or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nput to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game device 200, and the game progress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program is executed. Game device 200 for transmitting the relevant output data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t is carried by each game participant, and enters the game mode by interlocking with the game participant's own game device 2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makes the key input authority of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he key input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lect one of the control control mode and the control transfer mode for granting the key input authority of the game-related input data to the game device 200 to operate, the key input unit or game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ame progress related data input at 200 is exchang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other game participant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data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data obtained by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re ex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game device 200, the game proceeds, according to the video data related to the game progres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200 The mobile terminal 100 for outputting sou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게임장치(200)는, 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또는 와이브리(Wibree) 통신 중에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game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be on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IR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UWB (Ultrawideband) communication, or Wibree communication.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게임장치(200)는,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game device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onnected by a wired cable.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자체 구비한 표시부의 화소수 및 화면비율을 포함하는 표시부 사양정보를 근거리 통신으로 게임장치(200)에 전달하여,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 중에 영상에 대한 출력데이터를 표시부 사양정보에 맞게 생성하게 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display unit spec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pixels and the screen ratio of the display unit to the game device 2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outputs the output data for the image in the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The display uni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대용량 네트워크 게임을 게임장치에 저장하여 실행할 수 있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입출력수단 및 네트워크 게임의 통신수단으로 사용하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성능에 구애받음 없이 고속의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and execute various kinds of large-capacity network games in the game device, and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input / output means and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network game, thereby being limi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lows you to enjoy high speed games without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로 게임을 즐기되,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입력해야만 제대로 즐길 수 있는 게임에서는 게임장치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게임을 일반 전용게임기를 사용하듯이 즐길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laying a gam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game can be selectively used by the input means provided in the game device in the game that can be properly enjoyed only by inputting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quickly and simply, the game is dedicated to the general public You can enjoy it like you use a game conso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망(300)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 : 100-1, 100-2)와, 이동통신단말기(100 : 100-1, 100-2)와 근거리 통신하는 게임장치(200 : 200-1, 200-2)로 구성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100-1, 100-2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100-1,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2) and a game device (200: 200-1, 200-2) in clos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게임장치(200)는,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 프로그램을 내장하며, 근거리 통신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연동되어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The game device 200 includes a built-in multi-user network game program, and interlock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short-range communication to execute a game program.

그리고, 상기 게임장치(200)는 게임의 콘트롤 권한을 갖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와, 본 게임장치(200)에 구비한 입력부(후술하는 도 3의 입력부(271))를 통해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을 실행한다. When the game device 200 has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game, the game data related to the game progres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input unit included in the game device 200 (the input unit of FIG. 3 described later) 271) a multi-user network game is executed using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step 271).

또한, 상기 게임장치(200)는 게임의 콘트롤 권한을 갖지 아니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로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 임을 실행한다. In addition, the game device 200 executes a multi-user network game with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the game device 200 does not have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game.

더불어, 상기 게임장치(200)는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의 실행에 따른 출력 영상 또는 음향 데이터를 자신과 근거리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달한다.In addition, the game device 200 transmits the output image or sound data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multi-user network gam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close communication with itself.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게임모드의 실행을 위한 게임모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게임모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게임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을 하여 연동하는 형태로 게임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게임모드 프로그램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키입력 권한을 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키 입력부로 하게 하는 자체 콘트롤 모드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키입력 권한을 상기 게임장치(200)에 부여하는 콘트롤 전달 모드 중에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받도록 이루어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game mode program for executing a game mode, and executes a game mode program by a user's key operation to perform a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game apparatus 200 to interoperate with a game. Enter the mode. The game mode program grants the game device 200 its own control mode and key input authority of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o allow the key input authority of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o be a key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is made to be selected one of the control delivery mode.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통신망(300)을 통해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상호 교환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자체 콘트롤 모드 하에서는 자체에 구비한 입력부로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콘트롤 전달 모드 하에서는 상기 게임장치(200)에서 입력되어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고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전송받는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xchanges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with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by the input unit provided in its own control mode under its own control mode, and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and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200 under the control delivery mod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data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es input data related to game progress from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자체 콘트롤 모드 하에서는 자체에 구비한 입력부로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와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자신과 근거리 통신하는 상기 게임장치(200) 에 전달하여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을 실행하게 한다. 만약 콘트롤 전달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자신과 근거리 통신하는 상기 게임장치(200)에 전달하고, 게임장치(2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s a game devic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from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its own control mode ( 200) to execute a multi-user network game. If the control transfer mode is ente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from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game device 200 in close communication with itself, and from the game device 200. Sends the received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자신과 근거리 통신하는 게임장치(200)로부터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의 진행에 따른 출력신호(영상 또는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출력신호에 맞게 표시부 또는 스피커로 출력시킨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an output signal (video or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multi-user network game from the game device 200 which communicates with itself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or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Let's do it.

여기서, 상기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는, 네트워크 게임의 참여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즉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서 게임 참여자의 의도대로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입력되는 각종 제어 입력 데이터이다. 그리고, 상기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는 게임 참여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해 게임 진행 과정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출력시킬 현재 진행중인 게임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 또는 음향 데이터를 말한다.Here,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data input by the participant of the network game, that is, various control input data inputted to proceed with the game as the game participant intends to play the game. The game data related to the game progress may include video or audio data indicating a current game situation to be out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order for the game participant to recognize the game progr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a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게임에 참여한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상호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게임 진행에 따른 출력을 담당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게임장치(200)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따른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의 실행을 담당한다. 더불어,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 또는 게 임장치(200) 중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받는다. 따라서,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에 필요한 파일의 크기가 크고 고속으로 실행해야 하여 프로세서의 사양이 높아야만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장치(200)의 성능만을 향상시키면 시스템 사양이 한정된 이동통신단말기(100)로도 대용량의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을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게임장치(200)는 가방에 넣고 휴대할 수 있고 또는 차량 등에 놓고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평소에는 이동통신을 하다가 원할 때에는 간편하게 네트워크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changing input data related to game progress with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game, and is responsible for outputting the game progress. The gam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onsible for executing a multi-user network game according to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n addition,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selectively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the game device 200. Therefore, even if the size of a file required for a multi-user network game is to be executed at a high speed and a high processor spec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only the performance of the game device 200 is improved, the system specif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imited. Can also play large multi-user network games at high speed. In addition, since the game device 200 can be carried in a bag or can be used in a vehicle or the lik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easily enjoy a network gam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is normally desired.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게임장치(200) 사이의 근거리 통신은 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또는 와이브리(Wibree) 통신 중에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game device 200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IR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ultrawideband communication, or Wibree communication. .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게임장치(200) 사이의 근거리 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의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game device 200 may be made by wired communication using a USB (Universal Serial Bus) type of cable.

상기 통신망(300)은, 이동통신단말기(100)들 사이의 이동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과 연계된 인터넷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include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associat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enables mobil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는 통신망(300)을 통해 제 1 이동통신단말기(100-1)와 제2 이동통신단말기(100-2) 사이에 교환되며,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100-1)는 제1 게임장치(200-1)와 근거리 통신을 하고,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기(100-2)는 제2 게임장치(200-2)와 근거리 통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대의 이동통신단말기(100-1, 100-2) 사이에서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을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만약 네트워크 게임을 원하는 사용자가 3사람 이상이어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게임을 동시에 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통신망(300)에 연결된 게임서버(미도시)에 게임방을 개설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5160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게임 방법"에 의해 공지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게임 서버로 설정하여 게임 서버를 구동시킨 다음에 다른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게임참석을 요청하는 SMS를 그룹전송하여 다른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 중에 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게임에 참석하게 하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 1,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exchanged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1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he terminal 100-1 performs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game device 200-1,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2 performs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game device 200-2.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playing a multi-user network game between tw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1 and 100-2, and may be three or more users who want a network game. As described above, a technology for playing a network game by a plurality of users at the same time may be performed as a generally known technique. For example, a game room may be opened in a game serv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o allow a plurality of users to perform mobile communication. It is to be able to participate as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as known by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675160 "Network game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t the game server to drive the game server and then a number of other mobile By sending a group of SMS reques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gam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esi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a number of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attend the gam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블록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저장수단인 메모리(180)와, 통신망(300)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통신망접속부(120)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을 받는 입력부(130)와, 화면 출력하는 표시부(141) 및 음향 출력하는 스피커(142)로 구성되는 출력부(140)와, 게임장치(200)와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모 듈(150)과,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와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분류하여 처리되게 하는 게임 중계부(160)와,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에 따른 출력신호를 상기 출력부(140)로 출력시키는 출력신호 처리부(170)와, 상기 구성들(120, 130, 140, 150, 160, 170)을 제어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 네트워크 게임을 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11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hown in FIG. 2 includes a memory 180 that is a storage means,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that connects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an input unit 130 that receives input by a user's manipulation. ), An output unit 140 including a display unit 141 for outputting a screen and a speaker 142 for outputting sou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150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game device 200, and a game progress related input. A game relay unit 160 for classifying and processing data and output data related to game progress, an output signal processor 170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output data related to game progress to the output unit 140, and the configuration And a controller 110 that controls the fields 120, 130, 140, 150, 160, and 170 to play a network gam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상기 메모리(180), 통신망접속부(120), 입력부(130) 및 출력부(140)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구성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memory 180,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the input unit 130, and the output unit 140 are generall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상기 메모리(180)는 네트워크 게임의 실행에 필요한 제어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게임모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즉, 상기 게임모드 프로그램은 게임모드를 실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게임장치(200)가 상호 연동되게 하고, 통신망(100)을 통해 무선 통신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게임 실행관련 제어신호 처리형태를 규정하고, 게임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게임 진행관련 제어신호 처리형태를 규정하며, 입력부(130)의 키입력 신호를 미리 설정된 통신규약에 따라 게임 진행관련 통신용 메세지로 가공하는 형태를 규정한다. 여기서, 상기 게임모드 프로그램는, 송신용 메세지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통신망(300)에 의해 접속된 다른 게임 참여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기 위하여,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통신규약에 따라 게임 진행관련 통신용 메세지로 가공하는 것이다. However, the memory 180 stores a game mode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a control operation required for executing a network game. That is, the game mode program executes the game mode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game device 200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and perform a game execution related control signal processing form requi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a game signal related control signal processing form necessary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game device 200, and processing a key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130 into a game message related to game progress according to a preset communication protocol. It defines. Here, the game mode program is a process for generating a message for transmission, and other game participants connected to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 order to transm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is processed into a game progress related communication message according to a preset communication protocol.

또한, 상기 게임모드 프로그램은,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비된 입력 부(130)를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입력수단으로 할 것인지(자체 콘트롤 모드), 아니면 게임장치(200)에 구비된 입력부(271)를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입력수단으로 할 것인지(콘트롤 전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game mode program, whether the input unit 130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the input means of the input data related to the game progress (self-control mode) or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game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or not 271 is an input means of game data related to game progress (control transfer mode).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50)은 게임장치(200)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0 is a component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the game apparatus 200.

상기 게임 중계부(16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와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획득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도록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식별자를 부가하고, 식별자를 부가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모듈(15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게임 중계부(160)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50)을 통해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영상용 출력데이터와 음향용 출력데이터로 분류하여 상기 출력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한다. The game relay unit 160 adds an identifier to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so as to distinguish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and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ob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o which the identifier is added is transmitted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50. In addition, the game relay unit 160 classifies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50 into image output data and sound output data, and transmits the output data to the output signal processor 170. .

즉, 상기 게임 중계부(160)는 이동통신단말기(100) 내부의 입출력장치(120, 130, 140)와 게임장치(200) 사이에서 게임 진행관련 데이터(입력데이터 및 출력데이터)를 중계하여, 입력데이터에 의해 게임장치(200)에서 게임이 진행되게 하고, 출력데이터에 의해 출력부(140)에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That is, the game relay unit 160 relays game progress related data (input data and output data) between the input / output devices 120, 130, 140 and the game device 200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ame proceeds in the game device 200 by the input data, and the image or sound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140 by the output data.

상기 출력신호 처리부(170)는, 상기 게임 중계부(160)로부터 전달받는 영상용 출력데이터 및 음향용 출력데이터를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부(140)로 전달하며, 이를 위해 영상처리부(171) 및 D/A변환부(172)를 구비한다. 즉, 상기 출력신호 처리부(170)의 영상처리부(171)는 영상용 출력데이터를 표시 부(141)에 맞는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부(140)의 표시부(141)에 전달하여 화면으로 출력되게 하고, 상기 출력신호 처리부(170)의 D/A변환부는 음향용 출력데이터를 스피커(142)에 맞는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음향신호를 상기 출력부(140)의 스피커(142)에 전달하여 음향으로 출력되게 한다.The output signal processing unit 170 converts the image output data and the sound output data received from the game relay unit 160 into an image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transmits the image signal and the audio signal to the output unit 140. The processor 171 and the D / A converter 172 are provided. That is, the image processing unit 171 of the output signal processing unit 170 converts the image output data into an image signal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141 and converts the converted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141 of the output unit 140. The D / A converter of the output signal processor 170 converts the sound output data into an analog sound signal suitable for the speaker 142 and converts the converted sound signal into the screen of the output unit 140. The speaker 142 transmits the sound to the speaker 142.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구성들(120, 130, 140, 150, 160, 170)을 제어하여 네트워크 게임을 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부(130)의 제어 키입력에 따라 게임모드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을 선택받으면, 메모리(180)에 저장된 게임모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게임장치(200)와 근거리 통신망을 구축하고 통신망(300)을 통해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부(130)의 선택신호에 따라 자체 콘트롤 모드 또는 콘트롤 전달 모드 중에 어느 하나로 동작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게임장치(200)에 다수 게임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을 경우에 특정 게임 프로그램은 선택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components 120, 130, 140, 150, 160, and 170 to play a network game. That is, when the controller 120 is selected to execute the game mode program according to the control key input of the input unit 130, the controller 120 executes the game mod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80 to establish a local area network with the game device 200. An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game can proce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operates in either a control mode or a control transfer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f the input unit 13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preferably operates to select a specific game program when a plurality of game programs are embedded in the game device 200.

자체 콘트롤 모드로 진입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상기 게임 중계부(160)에 전달함과 동시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사실 또한 상기 게임 중계부(160)에 알려주어, 입력부(130)에서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부가하도록 상기 게임 중계부(160)에 지시하고, 식별자가 부가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모듈(150)을 통해 게임장치(200)에 전달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를 미리 설정된 통신규약에 따라 가공하여 게임 진행관련 통신용 메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게임 진행관련 통신용 메세지를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전송되게 한다.When the controller 120 enters its own control mode, when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received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o the game relay unit 160. In addition, the game relay unit 160 is notified of the fact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to instruct the game relay unit 160 to add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input from the input unit 130 to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o which the identifier is added is transmitted to the game device 2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processes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according to a preset communication protocol to generate a game progress related communication message, and generates the game progress related communication message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 120).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게임 진행관련 통신용 메세지를 전송받으면, 미리 설정된 통신규약에 근거하여 게임 진행관련 통신용 메세지에서 추출하여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상기 게임 중계부(160)에 전달함과 동시에,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전송받은 사실 또한 상기 게임 중계부(160)에 알려주어, 통신망접속부(120)에서 전송받았음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부가하도록 상기 게임 중계부(160)에 지시하고, 식별자가 부가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모듈(150)을 통해 게임장치(200)에 전달하게 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game progress communication messag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the control unit 120 extracts from the game progress related communication message based on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to obtain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At the same time as transferring the obtained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o the game relay unit 160, and also informs the game relay unit 160 that the fac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and transmits from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Instructs the game relay unit 160 to add an identifier indicating receipt to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and transmits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o which the identifier is added to the game device 2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0. do.

만약, 콘트롤 전달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키입력 권한을 상기 게임장치(200)에 이관한다는 권한 부여신호를 상기 게임장치(200)에 전달하여 상기 게임장치(200)에 구비된 입력부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게임장치(200)에서 입력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50)을 통해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전송한다. If the control transfer mode is entered,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an authorization signal for transferring the key input authority of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o the game apparatus 200 to the game apparatus 200 to transmit the game.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device 200 enables input of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he controller 110 receives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nput from the game device 2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0, and receives the received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from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Send it through.

또한, 자체 콘트롤 모드 또는 콘트롤 전달 모드 중에 어느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50)을 통해 게임장치(200)로부터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전달받으면, 상기 게임 중계부(160)에 지시하여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영상용 출력데이터와 음향용 출력데이터로 분류하게 하고, 상기 출력신호 처리부(170) 및 출력부(140)를 제어하여 영상용 출력데이터와 음향용 출력데이터에 따른 영상 및 음향이 출력되게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may receive the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from the game device 2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0, even if the controller 120 operates in any of a control mode or a control delivery mode. Instructing 160 to classify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into image output data and sound output data, and control the output signal processor 170 and the output unit 140 to output image output data and sound output. The image and sound according to the data are output.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장치(200)의 블록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gam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에 도시된 게임장치(200)는, 게임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240)와,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게임 진행부(230)와,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신호 생성부(23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250)와, 사용자의 키입력을 받는 입력부(271)와, 상기 각 구성들(220, 230, 240, 250, 271)을 제어하여 게임이 진행되게 하는 게임장치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game device 200 illustrated in FIG. 3 includes a storage unit 240 for storing a game program, a game progress unit 230 for executing a game program, and an outpu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230,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50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 input unit 271 for receiving a user's key input, and the components 220, 230, 240, 250, and 27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ame device control unit 210 to control the progress of the game.

구체적으로, 상기 게임장치 제어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게임모드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을 하게 되며,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대한 입력 권한을 나타내는 권한 부여신호의 전달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권한 부여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게 되면, 상기 게임장치 제어부(210)는 본 게임장치(200)에 구비된 입력부(271)를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한다. Specifically, the game device control unit 210 performs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the game mode program is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ndicates an input right for input data related to game progress. Check whether the authorization signal is transmitted. In this case, when the authoriz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ame device controller 210 may receive input data related to game progress from the input unit 271 provided in the game device 200. Activate to state.

다음으로 상기 게임장치 제어부(210)는, 저장부(240)에 저장하였던 게임 프로그램을 게임 진행부(230)에서 실행되게 함과 더불어, 게임 프로그램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하게 하고 생성된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25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달되게 한다. 부연하면,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230)는,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게임 진행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및 음향 정보를 상기 게임 진행부(220)로부터 전달받고, 전달받은 영상 및 음향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는 형태의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Next, the game device control unit 210 executes the gam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0 in the game progress unit 230 and outputs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program. The signal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the generated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50. In other words, the output signal generator 230 receives the video and sound information from the game progress unit 220 to allow the user to know the progress of the game while the game is in progress. To convert the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of the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만약,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대한 권한 부여신호를 전달받지 아니하면 상기 게임장치 제어부(2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입력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통신망(300)을 통해 전송받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으므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식별자로 구분하여 게임 진행부(220)에 전달한다. 즉, 상기 게임장치 제어부(21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와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획득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구분하여 게임 진행부(220)에서 게임이 진행되게 하는 것이다.If the authorization signal for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not received, the game device control unit 210 may input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npu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ince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classified into an identifier and transmitted to the game progress unit 220. That is, the game device control unit 210 distinguishes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and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ob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to play the game in the game progress unit 220. Is to make this progress.

만약,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대한 권한 부여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상기 게임장치 제어부(210)는, 상기 입력부(271)로부터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게 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는 다른 게임 참가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게임장치 제어부(210)는 상기 입력부(271)로부터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달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통신망(300)을 통해 송신할 수 있게 한다. If the authorization signal for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received, the game device controller 210 receives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271 and the gam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ame proceeds according to th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At this time,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nother game participant. In addition, the game device controller 210 transmits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271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nable transmission over communication network 300.

이와 같이 게임장치(200)에서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므로, 상기 입력부(271)는 한정된 공간에 집적되어 제작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입력부(130)에 비해 더욱 고기능성을 갖는 입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271)는 조이스틱,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게임장치에 맞게 전용으로 제조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In this way, since game game-related input data is input from the game device 200, the input unit 271 is an input means having higher functionality than the input unit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at is integrated and manufactured in a limited space. It may be configured as. That is, the input unit 271 may be formed of an input means such as a joystick, a keyboard, or a mouse, or may be made of a controller that is manufactured exclusively for a game device.

또한, 상기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게임장치(200)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영상 또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2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출력부(272)는 한정된 성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 기(100)의 출력부(140)에 비해 더욱 고해상도로 구현되는 화상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referring back to FIG. 3, the game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272 capable of outputting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as an image or a sound. The output unit 272 may include an image output means that is implemented in a higher resolution than the output unit 1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ving a limited performance, and also the audio means for outputting high-quality sound It may include.

상기 게임장치(20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프로그램을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슬롯(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데이터 슬롯(260)를 통해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과 같은 PC에 연결되어, PC로부터 다수의 게임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는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gam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data slot 260 for receiving a game program. That is, the data slot 260 is connected to a PC, such as a desktop or a notebook, to download a plurality of game programs from the PC.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모듈(160)과 상기 게임장치(200)의 근거리 통신부(250)는, 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또는 와이브리(Wibree) 통신 기술로 구현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60)과 근거리 통신부(25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을 채용하는 유선 통신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60)를 일반적인 휴대폰에 구비되는 한국형 표준 방식의 24핀 슬롯으로 구현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250)를 USB 잭으로 구현하여, 일측에 24핀 커넥터를 구비하고 타측에 USB 커넥터를 구비한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50 of the game device 200, IR communication, Bluetooth (Bluetooth) communication, UWB (Ultrawideband) communication or Wibree communica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mplemented by the technology can be configured.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50 may be configured by a wired communication means employ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method,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is provided in a general mobile phone By implementing a Korean standard 24-pin slot and implement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50 as a USB jack,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a cable having a 24-pin connector on one side and a USB connector on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표시부(141)의 사양정보를 상기 게임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달되는 표시 부(141)의 사양정보는 화소수 및 화면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transmit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141 to the game device 200. In this case,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141 transmitted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pixels and the aspect ratio.

즉,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게임모드 프로그램을 가동할 때에 표시부(141)의 화소수 및 화면비율을 상기 게임장치(20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게임장치(200)는 영상에 대한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출력신호 생성부(230)로 생성하되, 전달받은 표시부(141)의 화소수 및 화면비율에 맞게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number of pixels and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unit 141 to the game device 200 when the game mode program is operated. In addition, the game device 200 generates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for the image to the output signal generator 230, but generates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xels and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unit 141 received. It is.

상기 도 2의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상기 도 3의 게임장치(200)는,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배터리와 같은 전원수단 또는 전원수단을 충전하기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FIG. 2 and the game device 200 of FIG. 3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means such as a battery or a connector for charging the power supply means. The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입력 권한을 이동통신단말기(100) 또는 게임장치(200)에 선택적으로 부여할 수 있게 구성되었으나,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입력 권한을 부여하는 선택과정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입력수단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게임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입출력 수단으로 자동 설정되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3, although the authority to input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selectively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the game device 200, the authority to input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provided. It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the input means of the game-related input data without performing a selection process to give a. That is, when entering the game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utomatically set as an input / output means.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 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n order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s the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arried out withi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의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블록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장치(200)의 블록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gam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이동통신단말기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 제어부 120 : 통신망접속부 130 : 입력부110: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30: input unit

140 : 출력부 150 : 근거리 통신모듈 160 : 게임 중계부140: output unit 150: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game relay unit

170 : 출력신호 처리부 180 : 메모리170: output signal processing unit 180: memory

200 : 게임장치200: game device

210 : 게임장치 제어부 220 : 게임 진행부 230 : 출력신호 생성부210: game device controller 220: game progress unit 230: output signal generation unit

240 : 저장부 250 : 근거리 통신부 260 : 데이터 슬롯240: storage unit 250: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60: data slot

271 : 입력부 300 : 통신망271 input unit 30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7)

통신망(300)을 통해 무선통신하여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laying a multi-player network game by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게임 참여자마다 휴대되어 동작하며,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전달받아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게임 프로그램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전달하는 게임장치(200); It is carried by every game participant, and it has a built-in multi-user network game program and receives input data related to game progress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to execute a multi-user network game program, and outputs game progress related data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program. Game device 200 for transmitting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게임 참여자마다 휴대되며, 게임 참여자 자신의 게임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동하여 게임모드로 진입하고, 키입력으로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통신망(300)을 통해 상호 교환하고, 키입력으로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와 통신망(300)을 통해 교환하여 획득한 다른 게임 참여자의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구분하여 근거리 통신으로 게임장치(200)에 전달하고, 게임장치(2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에 따라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 It is carried by each game participant, enters the game mode by interlocking with the game participant's own game device 2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exchanges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key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enters the key.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obtained by exchang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s divided and transmitted to the game device 200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ransmitted from the game device 20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outputting an image or sound according to the received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통신망(300)을 통해 무선통신하여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laying a multi-player network game by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게임 참여자마다 휴대되어 동작하며,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근거리 통신으로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 또는 본 게임장치(200)에 구비한 입력부로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따라 멀티 유저용 네트워크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게임 프로그램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전달하는 게임장치(200); It is carried by every game participant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game data related to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in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or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in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 game device 200 which executes a network game program for a user and transmits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program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게임 참여자마다 휴대되며, 게임 참여자 자신의 게임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동하여 게임모드로 진입하고,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키입력 권한을 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키 입력부로 하게 하는 자체 콘트롤 모드와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키입력 권한을 상기 게임장치(200)에 부여하는 콘트롤 전달 모드 중에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받아 동작하고, 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키 입력부 또는 게임장치(200)에서 입력되는 게임 진행관련 데이터를 통신망(300)을 통해 다른 게임 참여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상호 교환하는 한편, 상기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데이터 및 통신망(300)으로 획득한 게임 진행관련 데이터에 따라 상기 게임장치(200)에서 게임이 진행되게 하고, 게임장치(2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에 따라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 It is carried by each game participant, and enters the game mode by interlocking with the game participant's own game device 2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makes the key input authority of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he key input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lect one of the control control mode and the control transfer mode for granting the key input authority of the game-related input data to the game device 200 to operate, the key input unit or game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ame progress related data input at 200 is exchang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other game participant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data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data obtained by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re ex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game device 200, the game proceeds, according to the video data related to the game progres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200 The mobile terminal 100 for outputting sound;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게임장치(200)는,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game device 200, 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또는 와이브리(Wibree) 통신 중에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on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IR communication, Bluetooth (Bluetooth) communication, UWB (Ultrawideband) communication or Wibree communica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게임장치(200)는,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game device 200,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onnected by a wired cabl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자체 구비한 표시부의 화소수 및 화면비율을 포함하는 표시부 사양정보를 근거리 통신으로 게임장치(200)에 전달하여,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 중에 영상에 대한 출력데이터를 표시부 사양정보에 맞게 생성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Display unit spec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pixels and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unit provided to the game device 200 by short-range communication, to generate the output data for the image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spec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output data related to the game progress 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통신망(300)에 접속하여 다른 게임참여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망접속부(120);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nother game participant; 상기 게임장치(200)와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150);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0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the game apparatus 200;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을 받은 입력부(130); An input unit 130 which receives a key input from a user; 화면 및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140); An output unit 140 for outputting a screen and sound;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출력신호 처리부(170); An output signal processor 170 for converting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into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through the output unit 140; 네트워크 게임의 실행을 제어하고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키입력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게임모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80); A memory 180 storing a game mode program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a network game and granting key input authority of input data related to game progress;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와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획득하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도록 식별자를 부여하고,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영상용 출력데이터와 음향용 출력데이터로 분류하는 게임 중계부(160); It assigns an identifier to distinguish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and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ob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and outputs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for image output data and sound. A game relay unit 160 classified as output data; 상기 입력부(130)의 키입력에 따라 게임모드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의 키입력 권한을 상기 입력부(130)로 하도록 선택받으면 상기 입력부(130)로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전송되게 하는 한편 상기 입력부(130)와 상기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상기 게임 중계부(160)로 처리한 후에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50)을 통해 상기 게임장치(200)에 전달하고,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 의 키입력 권한을 상기 게임장치(200)로 하도록 선택받으면 키입력 권한을 이관한다는 권한신호를 상기 게임장치(200)에 전달하며 상기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상기 게임 중계부(160)로 처리한 후에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50)을 통해 상기 게임장치(200)에 전달하고 상기 게임장치(2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를 통신망접속부(120)를 통해 전송하며, 상기 게임장치(200)로부터 전달받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상기 출력신호 처리부(170) 및 출력부(140)를 제어하여 영상 및 음향으로 출력되게 하는 제어부(110);The game mode program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input unit 130, and when the key input authority of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selected to be the input unit 130,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by the input unit 130 is inputte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fter processing the game-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to the game relay unit 160 while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And transmits the authority signal to the game apparatus 200 when the key input authority of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is transferred to the game apparatus 200 through 150. Afte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to the game relay unit 16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50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transmitted to the installation apparatus 200 and received from the game apparatus 2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20,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received from the game apparatus 200 is output. A control unit 110 controlling the signal processing unit 170 and the output unit 140 to output an image and a sound;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게임장치(200)는, The game device 200,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250);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50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게임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240); A storage unit 240 for storing a game program; 사용자의 키입력을 받는 입력부(271); An input unit 271 receiving a key input from a user;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진행하는 게임 진행부(220); A game progress unit 220 which proceeds by executing a game program; 게임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영상 및 음향정보를 상기 게임 진행부(220)로부터 전달받아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신호 생성부(230); An output signal generator 230 which receives video and sound information indicating a game progress from the game progress unit 220 and generates output data related to game progress; 상기 근거리 통신부(250)로 권한을 이관한다는 권한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근거리 통신부(250) 및 상기 입력부(271)를 통해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따라 상기 게임 진행부(220)로 게임을 진행하고 상기 입력부(271)를 통해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달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250)로 권한을 이관한다는 권한신호를 전달받지 아니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부(250)를 통해 입력받는 게임 진행관련 입력데이터에 따라 상기 게임 진행부(220)로 게임을 진행하며,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되는 게임 진행관련 출력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10)에 전달하는 게임장치 제어부(210);When the authority signal indicating that the authority is transferred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50 is received, the game proceeds to the game progress unit 220 according to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input unit 271.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271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50, and transmits the authority signal to transfer the authority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50. If not received, the game proceeds to the game progress unit 220 according to the game progress related in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game progress related output data generated by the output signal generator 230 A game device controller 210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5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게임시스템.Game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KR1020090016184A 2009-02-26 2009-02-26 System for ga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000973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84A KR20100097307A (en) 2009-02-26 2009-02-26 System for ga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84A KR20100097307A (en) 2009-02-26 2009-02-26 System for ga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307A true KR20100097307A (en) 2010-09-03

Family

ID=4300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184A KR20100097307A (en) 2009-02-26 2009-02-26 System for ga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30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548A1 (en) * 2012-06-01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an existing connection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WO2013191328A1 (en) * 2012-06-21 2013-12-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 device-based game, service device for supporting same, and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548A1 (en) * 2012-06-01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an existing connection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WO2013191328A1 (en) * 2012-06-21 2013-12-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 device-based game, service device for supporting same, and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4998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PECIFIC INFORMATION STORAGE METHOD, COMMUNICATION SPECIFIC INFORMATION STORAGE PROGRAM RECORDE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MUNICATION SPECIFIC INFORMATION STORAGE PROGRAM
KR100906216B1 (en) System and methood of generationg image information for outputing common game image and private game image
US99080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7516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viewing request transmission method
JP2020044136A (en) Viewing program, distribution program, method for executing viewing program, method for executing distributio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102302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wireless multi-player gaming with a multi-player game hub
US106683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sharing content with users
US110402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pplication image distribution method
US106611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069536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game which is embedded mobile terminal
US109059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viding multiple sharing modes in interactive application processing
EP371861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game image distribution method
JP2016163131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ata distribution method
US106323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user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US9675871B1 (en) PC transceiv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00097307A (en) System for ga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2302779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JP7094404B2 (en) Viewing program, distribution program, how to execute the viewing program, how to execute the distributio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9449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application screen image displaying method
US202301584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sharing method
JP2008264541A (en) Inter-multiplayer game device and method using zigbee communication
JP73519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game image display method
US2023015840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sharing method
KR100838763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wireless multi-player gaming with a multi-player game hub
JP3139708U (en) Network server slave unit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